KR102446495B1 - 공간 절약 특징부를 구비한 견인기 - Google Patents

공간 절약 특징부를 구비한 견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495B1
KR102446495B1 KR1020197013625A KR20197013625A KR102446495B1 KR 102446495 B1 KR102446495 B1 KR 102446495B1 KR 1020197013625 A KR1020197013625 A KR 1020197013625A KR 20197013625 A KR20197013625 A KR 20197013625A KR 102446495 B1 KR102446495 B1 KR 102446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etractor
spool
webbing
mand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4512A (ko
Inventor
에드가르도 카르도나
패트릭 지라르댕
Original Assignee
발레다 컴퍼니 (디/비/에이 큐′스트레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다 컴퍼니 (디/비/에이 큐′스트레인트) filed Critical 발레다 컴퍼니 (디/비/에이 큐′스트레인트)
Publication of KR20190104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23Straps; Tighteners
    • B60P7/0846Straps; Tighteners winding up or storing of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02Guiding arrangements to control paying-out and re-stor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4Wheel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Toilet Suppli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견인기는 물체, 예를 들어 차량에서 휠체어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공간의 양을 감소시키는 다양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웨빙은 종래 기술의 견인기와 비교하여 견인기 스풀의 상부에서 빼내지도록 설계되며, 이러한 것은 스풀로부터의 웨빙 빼냄 지점을 후방으로 시프팅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견인기는 견인기 스풀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회전하는 웨빙 가이드를 구비한다. 회전 가능한 가이드는 또한 종래 기술의 견인기과 비교하여 웨빙 가이드로부터의 빼냄 지점을 후방으로 시프팅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견인기는 회전 가능한 웨빙 가이드, 및 스풀의 상부에서 빼내지는 웨빙 둘 다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공간 절약 특징부를 구비한 견인기
다른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해당 사항 없음.
연방 정부 후원 연구 또는 개발에 관한 진술.
해당 사항 없음.
공동 연구 협정 당사자 명칭.
해당 사항 없음.
컴팩트 디스크로 제출된 자료의 참조별 통합.
해당 사항 없음.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청구된 실시형태는 일반적으로 견인기(retractor)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견인기는 뒤틀림으로 스풀(spool) 상에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풀 상에 집중된 웨빙(webbing)을 유지하고/하거나 스풀의 상부로부터 웨빙을 공급하는 웨빙 가이드를 가진다. 하나의 적용에서, 견인기는 미국 특허 출원 제62/341,570호에 개시된 휠체어 고정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기초출원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휠체어 고정 견인기는 종종 수 피트의 웨빙 또는 다른 스트랩을 포함한다. 웨빙은 그 근위 단부에서 스풀에 부착된다. 웨빙은 그 자유 단부에서, 휠체어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앵커, 통상적으로 후크에 부착된다. 휠체어에 후크를 고정하도록 견인기 스풀로부터 웨빙을 빼낼 때, 작업자는 웨빙이 수축될 때 견인기 스풀 상에 권취될 수 있는 웨빙에 뒤틀림을 도입할 수 있다. 이러한 뒤틀림은 견인기를 움직이지 않게 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견인기의 적절한 기능을 방해할 수 있는 한편, 또한 웨빙의 마모를 증가시킨다. 유사하게, 웨빙이 견인기에 들어감에 따라서, 웨빙은 중심에서 이탈하여, 아마 견인기 기어/톱니와 간섭하고 이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현재 여러 형태의 웨빙 가이드(webbing guide)가 있다. 이러한 웨빙 가이드는 스풀 둘레에 권취되는 동안 집중된 웨빙을 유지하는 동일한 목적을 제공하며, 일부는 또한 웨빙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체어 고정 산업에서, 웨빙을 가이드하는 것을 돕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마우스(mouth)"를 구비한 견인기 커버를 찾는 것이 일반적이다. 때때로, 견인기는 견인기 프레임의 앞쪽에 장착된 작은 별도의 부품을 포함할 것이다. 모든 기존의 웨빙 가이드의 경우에, 그 설계는, 웨빙이 단일 지점에서 견인기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고 웨빙이 견인기를 빠져나감에 따라서 그 웨빙에 대해 제한된 범위의 운동을 제공하도록 제한된다. 요컨대, 기존의 가이드는 웨빙이 견인기를 떠남에 따라서 웨빙의 각도로부터 어떠한 변형에도 적응할 수 없는 "단일 지점" 웨빙 가이드 역할을 한다. 그 고정된 각도 설계 때문에, 공간 제약이 중요한 휠체어 환경에서 사용되는 기존의 견인기는, 웨빙이 전형적으로 스풀을 0°각도에서 바닥으로부터 곧게 빠져나가야만 되고 그런 다음 둘 다 계속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프레임의 전방에 장착된 견인기 하우징 또는 다른 부품의 형태를 하는 별도의 웨빙 가이드를 통과하여야만 됨에 따라서 필요한 것보다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고 청구된 실시형태는 기존의 웨빙 가이드 설계의 단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웨빙 가이드는 스풀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고, 이러한 것은 벨트가 임의의 각도로 견인기의 스풀에서 빼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설계는 견인기로부터의 웨빙 빼냄 지점(webbing take-off point)을 후방으로 시프팅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적절한 휠체어 고정에 필요한 공간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웨빙의 뒤틀림 및 중심 이탈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웨빙은 견인기 톱니/기어 장치(gearing)와 간섭하고 이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것이다.
제2 실시형태에서, 견인기는 종래 기술과 같이 견인기 스풀의 밑면과는 대조적으로 웨빙이 견인기 스풀의 상부에서 빼내지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설계는 또한 빼냄 지점을 후방으로 시프팅하고 기존의 견인기에 의해 사용된 공간의 일부를 더욱 제거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양태가 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견인기를 위한 하우징은 개방된 상부를 가질 수 있으며, 견인기 상부에 손가락이 들어가서 노출된 기어/톱니와 접촉하여 부지불식간의 상해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견인기는 웨빙 가이드의 운동 범위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국제 표준은 안전을 위한 동작 범위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각도가 30°내지 50°이었으면, 견인기는 회전하는 웨빙 가이드를 제한하여 그 범위 내에서만 동작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웨빙 가이드는 필요하거나 또는 최적의 동작 각도(또는 각도의 범위)를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시각 표시기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표시기는 실제 범위를 나타내는 수치, 또는 벨트 각도가 효과적인 고정을 위한 동작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양 또는 음의 색상값을 통해 나타낼 색상 시스템과 같은 많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회전하는 웨빙 가이드를 위한 록킹 가능 특징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는 유지 보수, 보관과 같은 다양한 목적을 위해 최적의 각도로 웨빙 가이드를 홀딩하거나 또는 견인기로부터 후크의 보다 용이한 제거를 촉진하도록 제공할 수 있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웨빙 가이드에는 스프링 부하(spring loaded) 또는 장력 편향(tension bias)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편향은 예를 들어 90°와 같은 사전 결정된 각도로 웨빙 가이드를 미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90°로 있을 때, 웨빙 가이드는 충돌 동안 효과적인 웨빙 진입을 촉진하는 각도로 있으며, 개선된 후방 편위(rear excursion)를 유발한다. 스프링 부하 또는 장력 편향 없이, 웨빙 자체는 웨빙 가이드를 90°각도까지 '밀어붙이기' 시작할 것이며, 그러므로 웨빙 가이드를 통해 견인기 하우징 내로 웨빙의 용이한 진입을 방지하는 보다 많은 마찰력을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청구된 실시형태의 이러한 및 다른 특징, 양태, 목적, 및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을 고려하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공간 절약 특징부를 포함하는 견인기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는 하우징이 제거된 견인기의 제2 사시도;
도 3은 견인기의 스풀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스풀 유닛의 정면도;
도 5는 스풀 유닛의 분해도;
도 6A는 전형적인 종래 기술의 견인기를 이용하여 전방으로부터 고정된 휠체어를 도시한 도면;
도 6B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견인기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전방으로부터 고정된 휠체어를 도시한 도면; 및
도 7은 공간 절약 특징부 및 시각 표시기를 포함하는 견인기의 제2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면이 반드시 축척으로 도시되지 않고 실시형태가 때때로 그래픽 심볼, 가상선, 도해적 표현 및 단편적 시각에 의해 예시되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특정 예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청구된 실시형태의 이해를 위해 필요하지 않거나 또는 다른 상세를 인식하기 어렵게 만드는 상세는 생략될 수 있다. 물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발명이 반드시 예시된 특정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로, 당업자는 청구 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형태들과 유사하고 동등한 다수의 대안적인 구성을 고안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동일한 도면 부호가 다음의 도면의 상세한 설명에서 도면 사이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공간 절약 특징부를 포함하는 견인기(10)의 실시형태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견인기(10)는 스풀 유닛(100)으로부터 웨빙(40)(또는 다른 유형의 벨트 또는 스트랩)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30)를 갖는 하우징(20)을 포함할 수 있다. 웨빙(40)은 그 근위 단부에서 스풀 유닛(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일정 길이의 웨빙(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유닛(100) 둘레에 권취될 수 있다. 견인기(10)의 스풀 유닛(100)은 모터(60), 감속 기어 장치(70) 및 구동축(80)을 사용하여 한쪽 방향 또는 양쪽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견인기(10)에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스프링 편향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스풀 유닛(100)이 스풀 유닛(100) 상으로 웨빙(40)을 당기게 한다. 웨빙(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유닛(100)의 상부에서 스풀 유닛(100)을 떠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스풀 유닛(100)의 하부에서 스풀 유닛(100)을 떠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웨빙(40)은 휠체어 또는 다른 화물에 대한 부착을 위해 그 종단부에서 도면에 도시된 후크(50)와 같은 앵커에 고정될 수 있다.
스풀 유닛(100)은 하나 이상의 스프로킷(110), 하나 이상의 가이드 플레이트(120), 하나 이상의 웨빙 패드(130), 하나 이상의 베어링(140), 하나 이상의 단부 플레이트(150), 하나 이상의 맨드릴(160), 및 하나 이상의 웨빙 가이드 부재(1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유닛(100)은 스풀 유닛(100)의 양쪽 측면에 배치된 2개의 스프로킷(11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스프로킷(110)은 록킹 멈춤쇠(도시 생략)와 결합하기 위해 그 주변부 둘레에 있는 복수의 톱니(116)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 멈춤쇠(도시 생략)는 한쪽 또는 양쪽 방향으로 스풀 유닛(100)을 록킹하도록 톱니(116)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즉, 웨빙(40)이 견인기(10)로부터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고/하거나 웨빙(40)이 견인기(10) 내로 권취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로킷(110)은 또한 관통하는 구동축(80)을 수용하기 위한 중심 구멍(114)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 구멍(114)은 구동축(8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모터(60)로부터의 토크는 감속 기어 장치(70), 구동축(80) 및 스프로킷(110)을 통해 스풀 유닛(100)에 전달될 수 있다. 스프로킷은 또한 맨드릴(160) 상의 하나 이상의 돌출부(또는 수형 결합 부재)(162)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또는 암형 결합 부재)(1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모터(60)로부터의 토크는 스프로킷(110)을 통해 맨드릴(160)에 더욱 전달될 수 있다. 구멍(112) 및 돌출부(162)는 도면에 도시된 초승달 형상과 같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돌출부(162)는 스풀 유닛(100)을 하나의 유닛으로서 함께 홀딩하고 2개의 스프로킷(110)의 톱니(116) 및 중심 구멍(114)을 정렬시키도록 구멍(112) 내로 압입 끼워맞춰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유닛(100)은 또한 웨빙(40)을 홀딩하기 위한 스풀(145)을 포함할 수 있다. 스풀(145)은 그 양쪽 단부 가까이에서 또는 단부에서 맨드릴(160)에 고정된 2개의 이격된 단부 플레이트(150)와 함께 하나의 맨드릴(160)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각각의 단부 플레이트(150)는 내향 탭(154)을 구비한 중앙 개구(152)를 포함할 수 있다. 맨드릴(160)은 단부 플레이트(150)의 중앙 개구(152) 내로의 삽입을 위해 원형 또는 반원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웨빙(40)은 맨드릴(160)에 연결되고, 단부 플레이트(150) 사이에서 원통 형상으로 맨드릴의 둘레에 권취될 수 있다. 맨드릴(160)은 단부 플레이트(150)을 적소에 록킹하도록 사용되는 그루브(164)을 포함할 수 있다. 단부 플레이트(150)를 설치하기 위해, 맨드릴(160)은 단부 플레이트(150)가 그루브(164) 내로 밀릴 수 있도록 소량 압축될 수 있다. 맨드릴(160)은 더 이상 압축되지 않으면 본래의 직경으로 복귀되어, 그루브(164) 내로 단부 플레이트(150)를 포획하여 록킹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맨드릴(160)은 단부 플레이트(150) 상의 탭(154)을 수용하는 갭(166)을 구비한 반원형이다. 탭(154)은 맨드릴(160)의 갭(166)에서의 결합을 위해 구성되고, 이에 의해, 모터(60)로부터의 토크는 맨드릴(160)을 통해 단부 플레이트(150)에 더욱 전달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맨드릴(160)과 단부 플레이트(150)는 함께 회전한다.
또한, 스풀 유닛(100)은, 웨빙(40)을 수용하고 스풀(145) 상으로 직선으로 가이드하고 웨빙(40)에서의 비틀림이 스풀(145) 상으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개구(175)를 구비하는 회전 가능한 웨빙 가이드(115)를 포함할 수 있다. 웨빙 가이드(115)는 스풀(145)의 주변부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웨빙 가이드(115)는 스풀(145)과 정렬된 웨빙(40)을 유지하여, 웨빙이 스프로킷(110)을 교차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러므로 조기 마모를 감소시킨다. 웨빙 가이드(115)의 개구(175)는 스풀(145) 내에서 웨빙(40)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웨빙(40)을 허용하는 좁은 세장형 슬롯을 또한 제공한다. 웨빙 가이드(115)는 웨빙(40)이 항상 스풀(145) 상에 권취된 웨빙(40)의 원주가 직접적인 경로에 제공되는 것을 또한 보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견인기 및 고정 지점에서의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웨빙 가이드(115)는 벨트 각도가 효과적인 휠체어 고정을 위해 최적화된 수치 또는 색상값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각 표시기(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 표시기(180)는 정상 및/또는 최적의 동작 각도를 나타내는 각도 숫자(예컨대, "45°") 및/또는 색상(예컨대, 녹색), 및 각도 상한 및/또는 각도 하한을 나타내는 각도 숫자(예컨대, "0°" 및/또는 "90°") 및/또는 색상(예컨대, 녹색)을 가질 수 있는 색상 또는 라이닝된(lined) 게이지(184)에 인접한 웨빙 가이드(115) 상의 화살 표시(182)를 포함할 수 있다. 웨빙 가이드(115)는 웨빙 진입을 최대화하기 위해 가이드(115)를 이상적인 기하학적 구조로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편위를 감소시키는 스프링 편향이 더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개구(175)는 한 쌍의 이격된 웨빙 가이드 부재(170)에 의해 분리되는 2개의 대향 위치된 가이드 플레이트(120)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가이드 개구(175)는 대안적으로 상기 쌍의 웨빙 가이드 부재(170)와, 웨빙 가이드 부재(170)와 가이드 플레이트(120) 사이에 배치된 웨빙 패드(130)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웨빙 가이드 부재(170)는 웨빙(40)이 가이드 개구(175)를 통과함에 따라서 웨빙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곡선화되거나 또는 매끄러운 가장자리 및/또는 표면을 갖는 원통 또는 다른 길이 방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웨빙 패드(130)는 웨빙(40)이 가이드 개구(175)를 통과함에 따라서 웨빙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곡선화되거나 또는 매끄러운 가장자리 및/또는 표면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개구(175)는 매끄럽거나 또는 곡선화된 가장자리를 구비한 단일 구조물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웨빙 패드(130) 상의 구멍(134)이 내리는 구멍(124)을 포함할 수 있다. 구멍(124 및 134)은 웨빙 가이드 부재(170)의 양쪽 단부에 있는 나사산 형성 개구(174)와 결합되는 스크루(screw)(135)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스크루는 가이드 패드(120), 웨빙 패드(130), 및 웨빙 가이드 부재(170)를 함께 홀딩하며, 여기에서, 스크루가 토크 다운되면(torqued down) 웨빙 패드(130)가 웨빙 가이드 부재(170)와 가이드 플레이트(120) 사이에 포획된다.
웨빙 가이드(115)의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맨드릴(160)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중앙 개구(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중앙 개구(122)는 맨드릴(160)을 수용할 수 있고, 웨빙 가이드(115)는 맨드릴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웨빙 가이드(115)의 폭은 스풀(145)의 폭보다 약간 크며, 이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플레이트(150)의 외부에, 그러나 스프로킷(110)의 내부에 위치된다. 각각의 세트의 단부 플레이트(150)와 가이드 플레이트(120) 사이에는 트러스트 베어링(140)이 제공되며, 이러한 것은, 웨빙(40)이 일정 각도로 가이드 개구(175)에 진입하여 웨빙 가이드(115)를 측 방향으로 당길 때에도, 스풀 유닛(100)의 나머지 구성 요소와 독립적인, 웨빙 가이드(115)가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웨빙 가이드(115)는 웨빙(40)을 스풀(145) 상으로 가이드할 수 있으며, 스풀이 360°회전을 따라서 상이한 각도로 견인기 케이스로 들어가고 나오는 것을 허용한다. 웨빙 가이드(115)는 스풀(145)의 축을 중심으로 360°자유롭게 회전하여, 웨빙(40)이 상이한 각도로 견인기 케이스를 빠져나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견인기(10)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물체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견인기(10)는 웨빙(40)과 후크(50)가 견인기(10)의 후방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곳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이러한 경우에, 웨빙(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145)의 상부보다는 오히려 스풀(145)의 하부에서 풀릴 것이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서, 웨빙 가이드(115)의 회전은 일정 범위의 각도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웨빙 가이드의 회전 운동을 소정의 사전 결정된 범위의 각도로 제한하는 개구(30)를 갖는 하우징(2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견인기(10)(회전 가능한 웨빙 가이드 및 스풀의 상부에서 빼내지는 웨빙을 포함하는)는 휠체어 고정 시스템에서 공간 절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스풀의 하부로부터 웨빙을 제공하고 견인기의 전방에 위치된 고정 웨빙 가이드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시스템과 비교될 때, 웨빙은 이상적으로 약 35-55°의 각도에서 견인기와 휠체어 사이에서 연장되어야 한다. 공간 절약은 도 6A 및 도 6B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스풀의 하부(도 6A)보다는 오히려 스풀의 상부(도 6B)로부터 웨빙을 빼내는 것에 의해, 견인기로부터의 빼냄 지점(190)은 스풀의 선단 가장자리보다는 오히려 스풀의 후미 가장자리로 후방으로 시프팅되며, D1의 공간 절약이 실현된다. 또한, 견인기의 전방에서 고정적으로 위치되기(도 6A) 보다는 오히려, 웨빙 가이드가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도 6B)은 종래 기술의 웨빙 가이드가 차지한 공간(D2)이 또한 절약된다. 견인기 내로 두 특징부(즉, 회전 가능한 웨빙 가이드 및 상부에서 빼내지는 웨빙)를 통합하는 것은 휠체어가 견인기에 더욱 근접한 거리 D(= D1 + D2)에 고정되는 것을 허용하고, 이에 의해 휠체어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공간의 크기를 줄인다. 절약은 사용되는 견인기의 유형에 의존하며; 일부 예에서, 공간 절약은 6인치(15.24㎝) 이상까지 일 수 있다. 휠체어(사용될 경우)의 후방에서 견인기(들)를 위한 동일한 구성의 사용은 총 공간 절약을 두 배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청구된 본 발명이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상당히 상세하게 기술되었을지라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청구된 본 발명이, 제한의 목적이 아니라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된 실시형태 이외의 실시형태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 범위의 사상 및 범위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20)

  1. 견인기(Retractor)로서,
    스풀(spool), 상기 스풀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가이드(guide), 및 상기 스풀 둘레에 권취되고 상기 가이드에 있는 가이드 개구를 통과할 수 있는 벨트를 포함하는, 견인기.
  2. 제1항에 있어서, 사전 결정된 범위의 각도 내에서 상기 가이드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개구를 구비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견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스풀의 상부에서 빼내지는, 견인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스풀의 전체 원주 주위에서 360°회전 가능한, 견인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적어도 맨드릴의 양쪽 측면 가까이에 위치된 단부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상기 맨드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이격된 가이드 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개구의 상부 및 하부 경계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한정되는, 견인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맨드릴의 양쪽 측면을 수용하는 개구를 가짐으로써, 상기 가이드는 상기 맨드릴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견인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트러스트 베어링에 의해 상기 단부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는, 견인기.
  8. 제7항에 있어서, 사전 결정된 범위의 각도 내에서 상기 가이드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견인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스풀의 상부에서 빼내지는, 견인기.
  10. 견인기로서,
    스풀, 상기 스풀의 원주에 인접하여 위치된 가이드, 및 상기 스풀 주위에 권취되며, 상기 스풀의 상부에서 빼내지고 상기 가이드에 있는 가이드 개구를 통과할 수 있는 벨트를 포함하는, 견인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스풀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견인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적어도 맨드릴의 양쪽 측면 가까이에 위치된 단부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상기 맨드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이격된 가이드 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개구의 상부 및 하부 경계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한정되는, 견인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맨드릴의 양쪽 측면을 수용하는 개구를 가짐으로써, 상기 가이드는 상기 맨드릴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견인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트러스트 베어링에 의해 상기 단부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는, 견인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사전 결정된 범위의 각도 내에서 상기 가이드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견인기.
  16. 휠체어를 위한 고정 시스템에서의 견인기로서,
    스풀 및 상기 스풀의 원주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 가능한 가이드; 및
    상기 스풀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권취되고, 상기 스풀의 상부로부터 상기 가이드를 통해, 벨트의 종단부가 고정되는 상기 휠체어로 연장되는, 상기 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벨트는 상기 스풀과 상기 휠체어 사이에서 대략 직선으로 연장되는, 견인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적어도 맨드릴의 양쪽 측면 가까이에 위치된 단부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상기 맨드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이격된 가이드 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개구의 상부 및 하부 경계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한정되는, 견인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맨드릴의 양쪽 측면을 수용하는 개구를 가짐으로써, 상기 가이드는 상기 맨드릴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견인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트러스트 베어링에 의해 상기 단부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는, 견인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사전 결정된 범위의 각도 내에서 상기 가이드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견인기.
KR1020197013625A 2016-10-31 2017-10-30 공간 절약 특징부를 구비한 견인기 KR102446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39,360 2016-10-31
US15/339,360 US10166907B2 (en) 2016-10-31 2016-10-31 Retractor with space-saving features
PCT/US2017/059034 WO2018081706A1 (en) 2016-10-31 2017-10-30 Retractor with space-saving feat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512A KR20190104512A (ko) 2019-09-10
KR102446495B1 true KR102446495B1 (ko) 2022-09-23

Family

ID=60451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625A KR102446495B1 (ko) 2016-10-31 2017-10-30 공간 절약 특징부를 구비한 견인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10166907B2 (ko)
EP (2) EP3531999B1 (ko)
JP (1) JP2019535461A (ko)
KR (1) KR102446495B1 (ko)
CN (1) CN109922769A (ko)
AU (1) AU2017348422B2 (ko)
BR (1) BR112019008784B1 (ko)
CA (1) CA3041528A1 (ko)
DK (1) DK3531999T3 (ko)
WO (1) WO20180817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0238B2 (en) * 2016-05-25 2023-05-30 Valeda Company Mobility device securement system with winch apparatus
US10166907B2 (en) * 2016-10-31 2019-01-01 Valeda Company Retractor with space-saving features
TWI730598B (zh) * 2020-01-20 2021-06-11 方重懿 輪椅束緊裝置
CN114099163B (zh) * 2020-08-31 2023-02-1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的轮椅固定系统及轨道车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7782A (ja) 2003-07-09 2005-02-03 Daihatsu Motor Co Ltd 車両における車椅子固定装置
JP2012076704A (ja) 2010-10-05 2012-04-19 Tokai Rika Co Ltd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N102648146A (zh) 2009-09-25 2012-08-22 哈利·西迪亚斯 用于绞车总成的改进的匀绕臂
US20120292583A1 (en) 2010-11-12 2012-11-22 Lob Charles J Block
WO2015144099A2 (en) 2014-03-24 2015-10-01 Api Cz S.R.O. Device for fastening a loose object, especially a wheelchair, to a vehicle floo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013A (en) * 1903-03-19 1903-11-24 John H Heisey Wire-stretcher.
US902647A (en) * 1907-01-30 1908-11-03 Frederick Day Suspensory device.
US2178693A (en) * 1936-05-26 1939-11-07 Mcmullen John Automobile securing device
US3140850A (en) * 1963-04-29 1964-07-14 Brandon Equipment Company Inc Vehicle tie down apparatus
US3679175A (en) * 1969-11-24 1972-07-25 American Chain & Cable Co Energy absorbing tie-down winch
US4045002A (en) * 1975-04-14 1977-08-30 Miller Errol S Multi-purpose load winch
US4243350A (en) * 1978-02-06 1981-01-06 Hall Robert E Winch load fastening apparatus
JPS6015718Y2 (ja) * 1979-11-28 1985-05-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トベルト巻取装置のケ−シング
JPS58182757U (ja) * 1982-06-01 1983-12-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リトラクタ
JPH0580924U (ja) * 1992-03-30 1993-11-0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シートのベルトアンカー構造
US5494387A (en) * 1994-04-13 1996-02-27 Ruegg; Thomas A. Universal apparatus for cargo lash tensioning
US6113325A (en) * 1997-09-29 2000-09-05 Craft; Richard D. Wheelchair restraint system for a transportation vehicle
US6287060B1 (en) * 2000-07-20 2001-09-11 Jean Marc Girardin Wheelchair restraint system
CN2458273Y (zh) * 2001-01-17 2001-11-07 何圳钦 绞车
US6899497B2 (en) * 2001-11-14 2005-05-31 Edgardo Cardona Mobility aid securement for vehicles
GB2398547A (en) * 2003-02-24 2004-08-25 Autoliv Dev Seat belt retractor with rotatable guide member
JP2006290124A (ja) * 2005-04-08 2006-10-26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4916733B2 (ja) * 2006-02-22 2012-04-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椅子固定用ベルト装置
US8047751B2 (en) * 2007-07-31 2011-11-01 Midwest Precision Products, Inc. Wheel chock with restraint
US8516979B2 (en) * 2010-09-27 2013-08-27 Joseph Ek Retractable leash with automatic braking mechanism
US11660238B2 (en) * 2016-05-25 2023-05-30 Valeda Company Mobility device securement system with winch apparatus
CN113397843A (zh) * 2016-05-25 2021-09-17 威乐达公司暨科斯卓公司 具有绞盘装置的移动性设备固定系统
US10166907B2 (en) * 2016-10-31 2019-01-01 Valeda Company Retractor with space-saving featur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7782A (ja) 2003-07-09 2005-02-03 Daihatsu Motor Co Ltd 車両における車椅子固定装置
CN102648146A (zh) 2009-09-25 2012-08-22 哈利·西迪亚斯 用于绞车总成的改进的匀绕臂
JP2012076704A (ja) 2010-10-05 2012-04-19 Tokai Rika Co Ltd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20120292583A1 (en) 2010-11-12 2012-11-22 Lob Charles J Block
WO2015144099A2 (en) 2014-03-24 2015-10-01 Api Cz S.R.O. Device for fastening a loose object, especially a wheelchair, to a vehicle fl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48422A1 (en) 2019-05-23
DK3531999T3 (en) 2020-12-14
EP3531999B1 (en) 2020-12-02
EP3531999A1 (en) 2019-09-04
US20180118088A1 (en) 2018-05-03
US11597312B2 (en) 2023-03-07
CN109922769A (zh) 2019-06-21
BR112019008784A2 (pt) 2019-07-16
US10166907B2 (en) 2019-01-01
CA3041528A1 (en) 2018-05-03
AU2017348422B2 (en) 2022-12-08
EP3789000A1 (en) 2021-03-10
KR20190104512A (ko) 2019-09-10
US20190092214A1 (en) 2019-03-28
WO2018081706A1 (en) 2018-05-03
BR112019008784B1 (pt) 2023-03-21
JP2019535461A (ja) 2019-12-12
US20230202379A1 (en)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6495B1 (ko) 공간 절약 특징부를 구비한 견인기
CA2903396C (en) Portable winch
US7793919B2 (en) Hand winch
US3985340A (en) Self tailing winch
US7537199B1 (en) Ratchet pulley device for tightening cords or ropes
US11458824B2 (en) Circumferential lock mechanism, battery locking device, power battery pack and vehicle
DE102015101803A1 (de) Sicherheitsgurt-Aufrollvorrichtung
CN210286564U (zh) 一种自锁式手动绞盘
CN109160393B (zh) 软管卷盘
US2658207A (en) Baby crib mattress elevator
WO2012001878A1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EP3345848A1 (en) Drive gear assembly for a detachable roll
CN211870200U (zh) 一种拉紧器
DE102008025094B4 (de) Gurtstraffer mit einem Metallband zur Kraftübertragung
JP5969286B2 (ja) 緊張装置
JP2008184295A (ja) 逆入力遮断駆動力伝達装置
DE10050000A1 (de) Spannratsche mit Gurtmagazin
WO2002074590A1 (de) Gurtbandbefestigung an einer gurtaufrollerwelle
DE102022004628A1 (de) Rollleine mit automatischem Freilauf
JP4755493B2 (ja) 巻尺
JP3043795U (ja) 釣り用リールの逆回転防止装置
JP3032138U (ja) 高所作業用安全帯
JP3048716U (ja) 釣り用リールの逆回転防止装置
KR20180134558A (ko) 벨트조임장치
JP3274098B2 (ja) チェーン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