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622B1 - 연료 분사 펌프 - Google Patents

연료 분사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622B1
KR102443622B1 KR1020207007019A KR20207007019A KR102443622B1 KR 102443622 B1 KR102443622 B1 KR 102443622B1 KR 1020207007019 A KR1020207007019 A KR 1020207007019A KR 20207007019 A KR20207007019 A KR 20207007019A KR 102443622 B1 KR102443622 B1 KR 102443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haft
lubricating oil
opening
groo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9620A (ko
Inventor
마사키 난코
유지 시바
료스케 오카모토
테쯔 핫토리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9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24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 F02M59/2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caused by movements of pistons relative to their cylinders
    • F02M59/28Mechanism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01Fuel-injection apparatus with specially arranged lubricating system, e.g. by fuel o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61B5/004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adapted for image acquisition of a particular organ or body part
    • A61B5/0044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adapted for image acquisition of a particular organ or body part for the he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61B5/0263Measuring blood flow using NM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A61B5/7207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of noise induced by motion artif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using specific filters therefor, e.g. Kalman or adaptiv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3Details of waveform analysis characterised by using transforms
    • A61B5/7257Details of waveform analysis characterised by using transforms using Fourier trans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9/00Lubrication mean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7/00
    • F01M9/10Lubrication of valve gear or auxilia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1/02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1/02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 F02D1/08Transmission of control impulse to pump control, e.g. with power drive or power assistance
    • F02D1/10Transmission of control impulse to pump control, e.g. with power drive or power assistance 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1/00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 F02M41/02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being spaced from pumping elements
    • F02M41/06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being spaced from pumping elements the distributor rot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1/00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 F02M41/08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 F02M41/14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rotary distributor supporting pump pistons
    • F02M41/1405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rotary distributor supporting pump pistons pistons being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rotation axis
    • F02M41/1411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rotary distributor supporting pump pistons pistons being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rotation axis characterised by means for varying fuel delivery or injection 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4Pumps peculiar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8NMR imaging systems
    • G01R33/54Signal processing systems, e.g. using pulse sequences ; Generation or control of pulse sequences; Operator console
    • G01R33/56Image enhancement or correction, e.g. subtraction or averaging techniques, e.g. improvement of signal-to-noise ratio and resolution
    • G01R33/5608Data processing and visualization specially adapted for MR, e.g. for feature analysis and pattern recognition on the basis of measured MR data, segmentation of measured MR data, edge contour detection on the basis of measured MR data, for enhancing measured MR data in terms of signal-to-noise ratio by means of noise filtering or apodization, for enhancing measured MR data in terms of resolution by means for deblurring, windowing, zero filling, or generation of gray-scaled images, colour-coded images or images displaying vectors instead of pix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69Analysis of motion using gradient-based metho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09Architectural arrangements, e.g. perimeter networks or demilitarized z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76/00Medical imaging apparatus involving image processing or analysis
    • A61B2576/02Medical imaging apparatus involving image processing or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organ or body part
    • A61B2576/023Medical imaging apparatus involving image processing or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organ or body part for the he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07Evaluating blood vessel condition, e.g. elasticity, com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07Evaluating blood vessel condition, e.g. elasticity, compliance
    • A61B5/02014Determining aneury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3/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heating, cooling or thermally-insu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02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 F02M59/1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characterised by the piston-drive
    • F02M59/102Mechanical drive, e.g. tappets or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38Pumps characterised by adaptations to special uses or conditions
    • F02M59/42Pumps characterised by adaptations to special uses or conditions for starting of eng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8NMR imaging systems
    • G01R33/54Signal processing systems, e.g. using pulse sequences ; Generation or control of pulse sequences; Operator console
    • G01R33/56Image enhancement or correction, e.g. subtraction or averaging techniques, e.g. improvement of signal-to-noise ratio and resolution
    • G01R33/563Image enhancement or correction, e.g. subtraction or averaging techniques, e.g. improvement of signal-to-noise ratio and resolution of moving material, e.g. flow contrast angiography
    • G01R33/56308Characterization of motion or flow; Dynamic imaging
    • G01R33/56316Characterization of motion or flow; Dynamic imaging involving phase contrast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72Tomographic images
    • G06T2207/100764D tomography; Time-sequential 3D tom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72Tomographic images
    • G06T2207/10088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1Blood vessel; Artery; Vein; Vascular
    • G06T2207/30104Vascular flow; Blood flow; Perf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ard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Abstract

연료 분사 펌프의 컨트롤 랙에 수분이 부착되어 상기 수분이 동결함에 따른 엔진의 시동 불량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디젤 엔진(30)에 마련되는 연료 분사 펌프(1)로서, 펌프 헤드(3)와 펌프 하우징(2) 사이에 형성되는 랙 룸(5)에 배치되어 연료 분사량을 조정하는 컨트롤 랙(20); 펌프 하우징(2)에 형성되는 전달축 홀(2C)에 회전 지지되는 전달축(49); 및 펌프 하우징(2)에 형성되어 전달축(49)과 전달축 홀(2C) 사이에 윤활유를 압송하는 윤활유 통로(2D)를 구비하고; 전달축(49)에는 윤활유 통로(2D)에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가 통과하는 유로(40)가 형성되고, 유로(40)의 제1 개구부(41A)는 윤활유 통로(2D)와 연통되고, 유로(40)의 제2 개구부(42A)는 컨트롤 랙(20) 근방의 전달축(49) 상부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연료 분사 펌프{FUEL INJECTION PUMP}
본 발명은 연료 분사 펌프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펌프 하우징의 상면 중 오목홈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과 펌프 헤드의 하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랙 룸에 컨트롤 랙이 배치되는 엔진의 연료 분사 펌프가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컨트롤 랙이 조작됨으로써 연료 분사 펌프로부터 각 기통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연료 분사 펌프는 엔진의 온도 상태에 따라 컨트롤 랙의 이동량을 변경함으로써 엔진의 시동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엔진으로부터 침입한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되는 수분이 응축되어 컨트롤 랙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컨트롤 랙 주위의 온도가 빙점보다 밑돌면 수분이 컨트롤 랙 상에서 동결된다. 이 결과, 컨트롤 랙이 빙적(氷滴)에 의해 움직이지 못하게 되어 엔진에 연료를 공급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04500호 공보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컨트롤 랙에 수분이 부착되어 상기 수분이 동결함에 따른 엔진의 시동 불량을 방지하는 연료 분사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연료 분사 펌프는 엔진에 마련되는 연료 분사 펌프로서, 펌프 헤드와 펌프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랙 룸에 배치되어 연료 분사량을 조정하는 컨트롤 랙; 상기 펌프 하우징에 형성되는 전달축 홀에 회전 지지되는 전달축; 및 상기 펌프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전달축과 상기 전달축 홀 사이에 윤활유를 압송하는 윤활유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전달축에는 상기 윤활유 통로에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가 통과하는 유로(油路)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의 제1 개구부는 상기 윤활유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유로의 제2 개구부는 상기 컨트롤 랙 근방의 상기 전달축 상부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연료 분사 펌프에서, 상기 유로는 상기 전달축의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를 포함하는 홈; 상기 홈의 벽부에 개구되며 상기 전달축의 지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연통로; 및 상기 연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전달축의 대략 축심부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까지 형성되는 공급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분사 펌프에서, 상기 홈은 상기 벽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분사 펌프에서, 상기 홈의 개구부의 하단부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분사 펌프에 의하면, 컨트롤 랙의 동결에 의한 엔진의 시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연료 분사 펌프의 구성을 나타낸 일측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연료 분사 펌프의 구성을 나타낸 타측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디젤 엔진과 연료 분사 펌프에서 윤활유의 공급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전달축 및 전달축이 지지되는 펌프 하우징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유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유로의 제1 개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유로의 홈 내에 흐르는 윤활유의 방향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유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3 실시 형태의 유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4 실시 형태의 유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는 제5 실시 형태의 유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제6 실시 형태의 유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C)는 제7 실시 형태의 유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A)는 제8 실시 형태의 유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제9 실시 형태의 유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10 실시 형태의 유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A)는 제11 실시 형태의 유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제12 실시 형태의 유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C)는 제13 실시 형태의 유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14 실시 형태의 유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연료 분사 펌프(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연료 분사 펌프(1)의 구성을 일측면의 단면도로서 나타내고 있다.
연료 분사 펌프(1)는 연료를 디젤 엔진(30)의 도시 생략한 연료 분사 노즐에 공급한다. 연료 분사 펌프(1)는 디젤 엔진(30)의 각 기통에 연료를 분배하고 공급하는, 이른바 분배형 연료 분사 펌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펌프(1)에서, 후술하는 캠축(6)의 축선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규정함과 함께, 후술하는 거버너 장치(22)가 배치되는 쪽을 전방, 후술하는 기어 케이스(34)가 배치되는 쪽을 후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분사 펌프(1)는 펌프 하우징(2) 및 펌프 헤드(3)로 구성된다.
펌프 하우징(2)은 연료 분사 펌프(1)의 하반부를 이루는 구조체이다. 펌프 하우징(2)의 평면에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방으로 파인 오목홈이 형성된다. 펌프 하우징(2)의 하부에는 캠 룸(4)이 형성된다. 캠 룸(4)은 캠축(6)이 배치됨과 함께 펌프 하우징(2)의 내부를 윤활한 오일이 저장 가능하게 구성된다.
펌프 하우징(2)에는 거버너 장치(22)를 장착하기 위한 거버너 플랜지(2A)가 펌프 하우징(2)과 일체로 형성된다. 펌프 하우징(2)에는, 캠축(6), 태핏(8), 전달축(49) 등이 장착될 수 있다.
펌프 헤드(3)는 연료 분사 펌프(1)의 상반부를 이루는 구조체이다. 펌프 헤드(3)는 펌프 하우징(2) 위에 고정된다. 펌프 하우징(2)의 상면 중 오목홈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 및 펌프 헤드(3)의 하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은 랙 룸(5)을 이루고 있다. 랙 룸(5)은 캠 룸(4)의 상방에 배치된다. 펌프 헤드(3)에는 플런저(12), 플런저 배럴(13), 스프링(14), 분배축(15), 슬리브(17) 및 조량 기구(18) 등이 장착된다.
캠축(6)은 캠 룸(4)에 수평으로 걸쳐지는 대략 원통 형상의 긴 부재이다. 캠축(6)은 베어링 등을 개재하여 펌프 하우징(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캠축(6)의 중간부에는 플런저(12)를 구동시키는 캠(6A)이 고정된다.
태핏(8)은 하단부가 폐색된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태핏(8)은 펌프 하우징(2)에 형성된 태핏 홀(2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장착된다. 태핏홀(2B)은 캠 룸(4)과 랙 룸(5) 사이에 마련되는 펌프 하우징(2)를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된 홀이며, 태핏(8)에 의해 대체로 막혀 있다.
전달축(49)은 펌프 하우징(2)에 지지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전달축(49)은 펌프 하우징(2)에 형성된 전달축 홀(2C)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장착된다. 전달축 홀(2C)은 캠 룸(4)과 랙 룸(5) 사이에 마련되는 펌프 하우징(2)을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된 홀이며, 전달축(49)에 의해 대체로 막혀 있다. 전달축(49)은 그 축선 방향이 캠축(6)에 수직인 방향이 되도록 캠축(6)의 상방에 배치된다. 전달축(49)은 그 상단부가 랙 룸(5)에 돌출되어 있고, 랙 룸(5)에서 분배축(15)과 접속된다. 전달축(49)은 그 하단부에 마련되는 베벨 기어(6B·6C)를 통하여 캠축(6)과 연동 연결된다.
분배축(15)은 펌프 헤드(3)에 지지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분배축(15)은 펌프 헤드(3)에 고정된 슬리브(17)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장착된다. 분배축(15)은 그 축선 방향이 캠축(6)에 수직하도록 전달축(49)의 상방에 배치된다. 분배축(15)은 전달축(49)과 연동 연결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량(調量) 기구(18)는 연료 분사 펌프(1)로부터 디젤 엔진(30)의 각 기통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하기 위한 기구이다. 조량 기구(18)는, 랙 가이드(19), 컨트롤 랙(20) 및 컨트롤 슬리브(21)를 구비한다.
랙 가이드(19)는 컨트롤 랙(20)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랙 가이드(19)는 랙 룸(5)의 상면에서 전달축(49)보다 좌측에 전후 방향에 걸쳐 고정된다. 랙 가이드(19)에는 컨트롤 랙(20)을 관통시켜 장착하기 위한 장착홀이 형성된다.
컨트롤 랙(20)은 봉 형상의 부재이다. 컨트롤 랙(20)은 랙 가이드(19)의 장착홀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컨트롤 랙(20)은 랙 가이드(19)의 장착홀 내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컨트롤 랙(20)의 일측 단부는 컨트롤 슬리브(21)에 접속되고, 컨트롤 랙(20)의 중간부는 핀 등을 개재하여 후술하는 거버너 장치(22)의 링크(28)에 접속된다.
컨트롤 슬리브(21)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컨트롤 슬리브(21)는 플런저(12)와 용수철 받이(16)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플런저(12)에 끼워 장착된다. 컨트롤 슬리브(21)는 용수철 받이(16)의 내주면을 따라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때 플런저(12)는 컨트롤 슬리브(21)의 회전에 수반하여 컨트롤 슬리브(21)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거버너 장치(22)는 조량 기구(18)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거버너 장치(22)는 지지 부재(23), 복수의 원심추(24·24··), 슬라이드체(25), 거버너 아암(26), 거버너 하우징(27) 및 링크(28)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부재를 수용한 거버너 하우징(27)은 볼트 등을 이용하여 거버너 플랜지(2A)에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 분사 펌프(1)의 동작 양태에 대해 설명한다.
캠축(6)이 회전하면, 캠(6A)에 접촉하고 있는 태핏(8)이 태핏홀(2B) 내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12)가 플런저 배럴(13) 내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이에 따라, 연료는 가압실(13A) 내에 흡입 및 가압된 후 분배축(15)에 공급된다.
분배축(15)은 캠축(6)이 회전함으로써 베벨 기어(6B·6C) 및 전달축(49)을 통하여 회전한다. 분배축(15)에 공급된 연료는 분배축(15)의 회전에 의해 딜리버리 밸브(29)에 공급된다. 딜리버리 밸브(29)에 공급된 연료는 도시 생략한 분사관을 지나 각 기통의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된다.
거버너 장치(22)에서, 캠축(6)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원심추(24·24··)는, 발생하는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슬라이드체(25)를 이동시킨다. 슬라이드체(25)의 이동에 의해 거버너 아암(26)이 지지축 방향으로 회전된다. 거버너 아암(26)의 회전에 의해 링크(28)가 이동된다. 링크(28)의 이동에 의해 컨트롤 랙(20)이 랙 가이드(19)의 장착홀 내를 이동한다. 컨트롤 랙(20)의 이동에 의해 컨트롤 슬리브(21) 및 플런저(12)가 둘레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연료 분사 펌프(1)로부터 각 기통에 공급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3을 이용하여 윤활유의 순환에 대해 설명한다.
디젤 엔진(30) 및 연료 분사 펌프(1)의 윤활유는 오일 팬(31)에 저장된다. 오일 팬(31)에 저장되어 있는 윤활유는 윤활유 펌프(32)에 의해 빨아올려져 도시 생략한 오일 필터 등을 개재하여 디젤 엔진(30)에 공급된다. 디젤 엔진(30)에 공급된 윤활유는 디젤 엔진(30)에 형성되는 도시 생략한 윤활유 통로를 통하여 디젤 엔진(30)의 각 부에 공급된다. 디젤 엔진(30)의 각 부를 윤활한 윤활유는 오일 팬(31)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디젤 엔진(30)에 공급된 윤활유의 일부는 윤활유 통로(33)를 통하여 연료 분사 펌프(1)에 공급된다. 연료 분사 펌프(1)에 공급된 윤활유는 펌프 하우징(2)의 내부에 있는 조량 기구(18)나 캠축(6)을 윤활한 후 디젤 엔진(30)의 기어 케이스(34)에 배출된다. 기어 케이스(34)에 배출된 윤활유는 오일 팬(31)으로 되돌아간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분사 펌프(1) 내에 공급되는 윤활유의 일부는 윤활유 통로(2D)를 통하여 전달축(49)과 전달축 홀(2C) 사이에 압송된다. 윤활유 통로(2D)는 펌프 하우징(2) 내에 공급되는 윤활유의 일부를 전달축(49)과 전달축 홀(2C) 사이에 압송하는 유로이다. 윤활유 통로(2D)는 펌프 하우징(2)의 태핏홀(2B)의 벽면으로부터 거버너 하우징(27) 측의 벽면을 향해 관통되어 마련된다. 윤활유 통로(2D)의 중간부에는 전달축 홀(2C)이 연통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디젤 엔진(30)으로부터 연료 분사 펌프(1) 내에 공급된 윤활유의 일부는 윤활유 통로(2D)를 지나 전달축(49)과 전달축 홀(2C) 사이에 압송됨으로써, 전달축(49)과 전달축 홀(2C)의 부재 사이의 슬라이딩 운동에 생기는 마찰력이나 마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전달축(49)과 전달축 홀(2C) 사이에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는 전달축(49)의 회전과 함께 윤활유 통로(2D)의 하류측으로 보내진 후, 거버너 하우징(27) 내에 공급된다.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전달축(49)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5의 (A)에서는 전달축(49)의 구성을 정면시(후술하는 제2 개구부(42A) 쪽에서 바라봄) 및 평면시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 5의 (B)에서는 전달축(49)의 구성을 측면시(후술하는 제1 개구부(41A) 쪽에서 바라봄) 및 평면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의 (A)에서는 제1 개구부(41A)를 측면시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6의 (B)에서는 홈(41)을 평면시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달축(49)은 본 발명의 전달축에 관련된 제1 실시 형태이다. 전달축(49)에는 윤활유 통로(2D)에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가 통과하는 유로(40)가 형성된다. 유로(40)는 전달축(49)의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1 개구부(41A)를 포함하는 홈(41), 홈(41)의 벽부(41B)(도 6 참조)에 개구 되며 전달축(49)의 지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연통로(43), 및 연통로(43)와 연통되며 전달축(49)의 대략 축심부로부터 제2 개구부(42A)까지 형성되는 공급홀(42)을 구비한다. 유로(40)의 제1 개구부(41A)는 윤활유 통로(2D)와 연통되고, 유로(40)의 제2 개구부(42A)는 컨트롤 랙(20) 근방의 전달축(49) 상부의 외주면에 형성된다(도 4 참조).
윤활유 통로(2D)에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는 제1 개구부(41A)를 통하여 유로(40) 내에 유입된 후, 유로(40) 내를 통과하여 제2 개구부(42A)로부터 컨트롤 랙(20)에 분사된다.
홈(41)은 전달축(49)의 소정의 외주면에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홈(41)과 윤활유 통로(2D)가 축방향에서 일부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개구부(41A)가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홈(41)의 하단부와 윤활유 통로(2D)의 상부가 상하 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윤활유 통로(2D)로부터 윤활유를 넣기 위한 제1 개구부(41A)가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개구부(41A)는 홈(41)의 일부이며, 홈(41)과 윤활유 통로(2D)가 축방향에서 일부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개구부(41A)가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에서, 전달축(49)이 1회전하는 동안 홈(41)은 윤활유 통로(2D)의 상류측과 1회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전달축(49)의 회전에 수반하여, 홈(41)을 구성하는 제1 개구부(41A)가 윤활유 통로(2D)와 연통됨으로써, 윤활유 통로(2D)가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가 제1 개구부(41A)를 통하여 홈(41) 내에 간헐적으로 유입된다.
한편, 전달축(49)의 1회전중에 제1 개구부(41A)를 통하여 유로(40) 내에 유입되는 윤활유의 양은, 윤활유 통로(2D)와 제1 개구부(41A)의 연통 시간 및 연통 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연통로(43)는 홈(41)과 공급홀(42)을 연통하는 통로로서 구성된다. 홈(41)의 종단부(상단부)와 공급홀(42)의 시단부(전달축(49)의 축심측 단부)는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구성되고, 공급홀(42)의 시단부는 전달축(49)의 대략 축심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이상의 구성에서, 연통로(43)는 홈(41)의 종단부로부터 대략 동높이에 마련되는 전달축(49)의 대략 축심부를 향해 마련되는 횡공(橫孔)으로서 구성된다. 연통로(43)는 홈(41)의 후술하는 벽부(41B)로부터 전달축(49)의 내부를 향해 횡공으로서 마련되고, 복잡한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아 용이하게 연통로(43)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급홀(42)은 제1 개구부(41A)로부터 연통로(43)를 통해 유입되는 윤활유를 랙 룸(5)의 상면에 마련되는 컨트롤 랙(20)에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공급홀(42)은 컨트롤 랙(20) 근방의 전달축(49)의 상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2 개구부(42A)로부터 전달축(49)의 대략 축심부를 향해 형성되는 홀이다.
공급홀(42)의 단면적(윤활유의 흐름 방향에서의 단면적)은 연통로(43)의 단면적(윤활유의 흐름 방향에서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공급홀(42)의 단면적은 그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공급홀(42) 내를 흐르는 윤활유의 압력을 변경할 수 있다. 공급홀(42)의 단면적은 연통로(43)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공급홀(42)을 흐르는 윤활유의 압력을 컨트롤 랙(20)에 분사 가능한 압력이 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급홀(42)은 송곳 구멍 등에 의해 구성된다.
공급홀(42)은 전달축(49)과 컨트롤 랙(20)의 상대 위치나 공급홀(42) 내를 흐르는 윤활유의 압력을 고려하여, 윤활유를 컨트롤 랙(20)에 분사할 수 있도록 컨트롤 랙(20) 근방의 전달축(49) 상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42A)로부터 전달축(49)의 내부를 향해 원하는 경사 각도로 경사되어 마련된다.
제2 개구부(42A)는, 전달축(49)의 상부 외주면에서 분사시에 윤활유를 컨트롤 랙(20)에 분사 가능한 위치에 마련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로(40) 내를 흐르는 윤활유의 유압이나 전달축(49)과 컨트롤 랙(20)의 상대 위치 등을 고려하여, 제2 개구부(42A)는 제1 개구부(41A)로부터 전달축(49)의 회전 하류측에 대략 90˚ 내지 135˚ 사이의 원하는 각도(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90˚)만큼 회전 변위된 위치에 마련된다.
이상의 구성에서, 전달축(49)이 회전하면 윤활유 통로(2D)와 홈(41)이 연통됨으로써 제1 개구부(41A)를 통하여 홈(41)에 오일이 유입된다. 홈(41)에 유입되는 윤활유는 연통로(43)를 통하여 공급홀(42)에 공급된다. 공급홀(42)에 공급되는 윤활유는 소정의 위치에서 분사되어 컨트롤 랙(20)에 분사된다.
이상과 같이, 컨트롤 랙(20)에 윤활유 통로(2D)의 윤활유의 일부가 분사됨으로써 컨트롤 랙(20)에 부착되어 있는 수분이 제거된다. 즉, 연료 분사 펌프(1)의 랙 룸(5)의 온도가 블로우 바이 가스의 이슬점 온도 이하가 되어도 랙 룸(5)의 내부에 배치되는 컨트롤 랙(20)에 수분이 부착되지 않는다. 동시에, 랙 룸(5)의 온도가 빙점 이하가 되어도 컨트롤 랙(20)의 동결에 의한 디젤 엔진(30)의 시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41)을 구성하는 제1 개구부(41A)의 하단부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홈(41)의 하단부는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고, 그 하단부가 윤활유 통로(2D)와 겹치도록 배치된다.
홈(41)의 하단부를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윤활유 통로(2D)와 제1 개구부(41A)의 연통 시간 및 연통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홈(41)의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분을 윤활유 통로(2D)의 상부와 연통 가능하게 함으로써, 윤활유 통로(2D)와 제1 개구부(41A)의 연통 시간 및 연통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전달축(49)이 1회전하는 동안에 연통되는 윤활유 통로(2D)와 제1 개구부(41A)의 연통 시간 및 연통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전달축(49)의 고속 회전시에는 제1 개구부(41A)를 통하여 유입되는 윤활유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달축(49)의 회전 속도에 한하지 않고 공급홀(42)을 통하여 일정시간에 분출되는 윤활유의 양을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도 6의 (B)을 이용하여 홈(41)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홈(41)은 홈(41)의 바닥을 형성하는 벽부(41B) 및 벽부(41B)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며 벽부(41B)의 둘레 방향 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측벽(41C)에 의해 구성된다. 즉, 홈(41)은 평면으로 보아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홈(41)의 벽부(41B)에는 전달축(49)의 지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연통로(43)가 형성된다.
홈(41)의 측벽(41C)이 홈(41)의 벽부(41B)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개구부(41A)로부터 홈(41) 내에 유입되는 윤활유는 홈(41)의 벽부(41B)와 측벽(41C)에 의해 구성되는 각 부에서 소용돌이를 형성한다. 그 때문에, 홈(41)의 각 부에서 윤활유가 머무르기 쉽기 때문에, 홈(41)으로부터 전달축 홀(2C)과 전달축(49)의 부재 사이에 윤활유가 새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어, 홈(41)에 흐르는 윤활유의 유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각 실시 형태의 전달축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각 실시 형태의 전달축에 마련되는 유로는, 도 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유로(40)와 비교하여, 분사홀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도록 구성된다.
도 7을 이용하여 전달축(59)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전달축(59)은 본 발명의 전달축에 관련된 제2 실시 형태이다. 전달축(59)에는 윤활유 통로(2D)에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가 통과하는 유로(50)가 형성된다.
한편, 도 7의 (A)에서는 전달축(59)의 구성을 정면시(후술하는 제2 개구부(52A) 쪽에서 바라봄) 및 평면시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 7의 (B)에서는 전달축(59)의 구성을 측면시(후술하는 제1 개구부(51A) 쪽에서 바라봄) 및 평면시로 나타내고 있다.
홈(51)은 전달축(59)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마련되는 세로홈에 의해 구성된다. 제1 개구부(51A)는 윤활유 통로(2D)의 상부와 홈(51)의 하단부가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성된다. 제2 개구부(52A)는 제1 개구부(51A)로부터 전달축(59)의 회전 하류측에 대략 90˚ 내지 135˚ 사이의 원하는 각도(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90˚)만큼 회전 변위된 위치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개구부(51A)는 홈(51)의 일부이며, 홈(51)과 윤활유 통로(2D)가 축방향에서 일부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개구부(51A)가 형성된다.
공급홀(52)은 컨트롤 랙(20) 근방의 전달축(59) 상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2 개구부(52A)로부터 대략 축심부를 지나 전달축(59)을 관통하여 마련된다. 공급홀(52)은 전달축(59)의 평면시에서, 제2 개구부(52A)로부터 제2 개구부(52A)와 전달축(59)의 대략 축심부의 중간부까지는 송곳 구멍 등에 의해 구성되는 홀(52B)로서 구성되고, 제2 개구부(52A)와 전달축(59)의 대략 축심부의 중간부로부터, 제2 개구부(52A)와 대향하는 전달축(59)의 외주면까지는 관통공(52C)으로서 형성된다. 관통공(52C)은 홀(52B)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된다.
홀(52B)은 제2 개구부(52A)로부터 형성되고, 관통공(52C)은 평면으로 보아 제2 개구부(52B)와 대향하는 전달축(59)의 외주면으로부터 형성된다. 관통공(52C)의 중간부에는 홈(51)의 상단부와 연통되는 연통로(53)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제2 개구부(52A)와 대향하는 전달축(59)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공(52C)을 형성함으로써, 연통로(53)와 홀(52B)의 시단부를 용이하게 연통시킬 수 있고, 공급홀(52)을 구성하는 홀(52B)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도록 유로(5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개구부(52A)와 대향하는 전달축(59)의 외주면의 개구부는 전달축 홀(2C)에 의해 대략 밀폐 상태가 되기 때문에, 유로(50) 내를 흐르는 윤활유의 유압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유로(40)와 비교하여, 공급홀(52)을 구성하는 홀(52B)의 전체 길이를 짧게 구성함으로써,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가공 도구의 수명도 높일 수 있다.
도 8을 이용하여 전달축(69)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전달축(69)은, 본 발명의 전달축에 관련된 제3 실시 형태이다. 전달축(69)에는 윤활유 통로(2D)에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가 통과하는 유로(60)가 형성된다.
한편, 도 8의 (A)에서는 전달축(69)의 구성을 정면시(후술하는 제2 개구부(62A) 쪽에서 바라봄) 및 평면시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 8의 (B)에서는 전달축(69)의 구성을 측면시(후술하는 제1 개구부(61A) 쪽에서 바라봄) 및 평면시로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C)에서는 후술하는 유로(60)를 구성하는 세로홈(61C)의 평면시를 나타내고 있다.
공급홀(62)은 컨트롤 랙(20) 근방의 전달축(69) 상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2 개구부(62A)로부터 대략 축심부를 향해 마련된다. 공급홀(62)의 시단부(전달축(69)의 축심측 단부)는, 평면으로 보아 전달축(69)의 상부 외주면(제2 개구부(62A))과 전달축(69)의 대략 축심부의 중간부에 마련된다. 공급홀(62)은 송곳 구멍 등에 의해 구성된다.
홈(61)은 전달축(69)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마련되는 세로홈(61C), 및 세로홈(61C)의 하단부에 전달축(69)의 둘레 방향으로 일부 겹치도록 마련되는 가로홈(61B)에 의해 구성된다. 제1 개구부(61A)는 윤활유 통로(2D)와 연통되도록 가로홈(61B)이 마련됨으로써 구성된다. 가로홈(61B)은 그 회전 하류측 단부와 세로홈(61C)의 회전 상류측 단부가 겹치도록 배치된다. 세로홈(61C)은 도 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홈(41)과 비교하여, 공급홀(62) 쪽에 배치된다. 세로홈(61C)의 상단부에서 공급홀(62)의 시단부를 향해 연통로(63)로서 횡공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개구부(61A)는 가로홈(61B)의 일부이며, 가로홈(61B)과 윤활유 통로(2D)가 축방향에서 일부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개구부(61A)가 형성된다.
도 8의 (C)을 이용하여, 세로홈(61C)의 형상을 설명한다.
세로홈(61C)은 세로홈(61C)의 바닥을 형성하는 벽부(61D), 및 벽부(61D)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며 벽부(61D)의 회전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만 마련되는 측벽(61E)에 의해 구성된다. 즉, 세로홈(61C)은 평면으로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통로(63)는 세로홈(61C)의 벽부(61D)로부터 전달축(69)의 지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횡공에 의해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측벽(61E)이 벽부(61D)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개구부(61A)로부터 세로홈(61C) 내에 유입되는 윤활유는 세로홈(61C)의 벽부(61D) 및 측벽(61E)에 의해 구성되는 각 부에서 소용돌이를 형성한다. 그 때문에, 세로홈(61C)의 각 부에서 윤활유가 머물기 쉬우므로, 세로홈(61C)으로부터 전달축 홀(2C)과 전달축(69)의 부재 사이에 윤활유가 새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어 세로홈(61C)에 흐르는 윤활유의 유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통로(63)가 세로홈(61C)의 벽부(61D)로부터 전달축(69)의 내부를 향해 횡공으로서 마련되며, 복잡한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아 용이하게 연통로(6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세로홈(61C)의 하단부에 둘레 방향과 겹쳐지도록 가로홈(61B)이 마련되고, 상기 가로홈(61B)과 윤활유 통로(2D)가 연통되도록 제1 개구부(61A)가 구성됨으로써, 제2 개구부(62A)는 제1 개구부(61A)로부터 전달축(69)의 회전 하류측에 대략 90˚ 내지 135˚ 사이의 원하는 각도(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90˚)만큼 회전 변위된 위치에 마련된다. 그 때문에, 원하는 위치에서 제2 개구부(62A)로부터 윤활유를 컨트롤 랙(20)에 분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유로(40)와 비교하여, 공급홀(62)의 전체 길이를 짧게 구성함으로써, 가공을 용이하게 하여 더욱 가공 도구의 수명을 높일 수 있다.
도 9를 이용하여 전달축(79)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전달축(79)은 본 발명의 전달축에 관련된 제4 실시 형태이다. 전달축(79)에는 윤활유 통로(2D)에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가 통과하는 유로(70)가 형성된다.
한편, 도 9의 (A)에서는 전달축(79)의 구성을 정면시(후술하는 제2 개구부(72A) 쪽에서 바라봄) 및 평면시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 9의 (B)에서는 전달축(79)의 구성을 측면시(후술하는 제1 개구부(71A) 쪽에서 바라봄) 및 평면시로 나타내고 있고, 도 9의 (C)에서는 전달축(79)의 구성을 후술하는 공급홀(72)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공급홀(72)은 컨트롤 랙(20) 근방의 전달축(79) 상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2 개구부(72A)로부터 대략 축심부를 향해 마련된다. 공급홀(72)의 시단부(전달축(79)의 축심측 단부)는 평면으로 보아 전달축(79) 상부의 외주면(제2 개구부(72A))과 전달축(79)의 대략 축심부의 중간부에 마련된다. 공급홀(72)은 도 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공급홀(42)과 비교하여, 전달축(79)의 회전 하류측에 배치된다. 공급홀(72)은 송곳 구멍 등에 의해 구성된다.
홈(71)은 전달축(79)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마련되는 세로홈에 의해 구성된다. 제1 개구부(71A)는 홈(71)의 하단부와 윤활유 통로(2D)의 상부가 상하 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성된다. 홈(71)은 도 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홈(41)과 비교하여 공급홀(72) 쪽에 배치된다. 홈(71)의 상단부로부터 공급홀(72)의 시단부를 향해 연통로(73)로서 횡공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개구부(71A)는 홈(71)의 일부이며, 홈(71)과 윤활유 통로(2D)가 축방향에서 일부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개구부(71A)가 형성된다.
도 8의 (C)을 이용하여 홈(71)의 형상을 설명한다.
홈(71)은 도 8의 (C)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세로홈(61C)과 마찬가지로, 평면으로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홈(71)은 홈(71)의 바닥을 형성하는 벽부(71B), 및 벽부(71B)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며 벽부(71B)의 회전 방향 상류측의 단부에만 마련되는 측벽(71C)에 의해 구성된다. 즉, 홈(71)은 평면으로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통로(73)는 홈(71)의 벽부(71B)로부터 전달축(79) 지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횡공에 의해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측벽(71C)이 벽부(71B)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개구부(71A)로부터 홈(71) 내에 유입되는 윤활유는 홈(71)의 벽부(71B) 및 측벽(71C)에 의해 구성되는 각 부에서 소용돌이를 형성한다. 그 때문에, 홈(71)의 각 부에서 윤활유가 머물기 쉬우므로, 홈(71)으로부터 전달축 홀(2C)과 전달축(79)의 부재 사이에 윤활유가 새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어, 홈(71)에 흐르는 윤활유의 유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통로(73)가 홈(71)의 벽부(71B)로부터 전달축(79)의 내부를 향해 횡공으로서 마련되고, 복잡한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아 용이하게 연통로(73)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유로(40)와 비교하여, 본 실시 형태의 홈(71)이나 연통로(73)는 그 전체 길이가 길게 구성되기 때문에, 제2 개구부(72A)는 제1 개구부(71A)로부터 전달축(79)의 회전 하류측에 대략 90˚ 내지 135˚ 사이의 원하는 각도(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120˚)만큼 회전 변위된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서 제2 개구부(72A)로부터 윤활유를 컨트롤 랙(20)에 분사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도 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유로(40)와 비교하여 공급홀(72)의 전체 길이를 짧게 구성함으로써,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가공 도구의 수명도 높일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각 실시 형태의 전달축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각 실시 형태의 전달축에 마련되는 유로는 제1 개구부가 전달축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홈이 아니라, 전달축의 대략 축심부를 향해 마련되는 횡공에 의해 구성되고, 횡공과 공급홀을 연통하는 연통로가 전달축의 바닥부로부터 축심을 따라 마련되는 종공(縱孔)에 의해 형성된다.
도 10의 (A)을 이용하여 전달축(89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전달축(89A)은 본 발명의 전달축에 관련된 제5 실시 형태이다. 전달축(89A)에는 윤활유 통로(2D)에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가 통과하는 유로(80A)가 형성된다.
한편, 도 10의 (A)에서는 전달축(89A)의 구성을 정면시(후술하는 제2 개구부(82A) 쪽에서 바라봄)와 측면시(후술하는 제1 개구부(81A) 쪽에서 바라봄)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공급홀(82)은 컨트롤 랙(20) 근방의 전달축(89A) 상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2 개구부(82A)로부터 대략 축심부를 향해 마련된다. 공급홀(82)의 시단부(전달축(89A)의 축심측 단부)는 후술하는 종공(83)과 연통된다.
전달축(89A)에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축심을 향해 횡공(81)이 마련된다. 횡공(81)은 윤활유 통로(2D)와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개구부(81A)가 형성된다. 전달축(89A)에는 그 저면으로부터 축심을 따라 종공(83)이 마련된다. 종공(83)은 전달축(89)의 바닥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그 바닥부를 봉인 마개(84)에 의해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횡공(81)의 종단부는 종공(83)의 중간부에 연통된다.
종공(83)의 바닥부를 봉인 마개(84)에 의해 막음으로써 종공(83) 내를 흐르는 윤활유의 유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종공(83)은 전달축(89A)의 바닥면으로부터 전달축(89A)의 내부를 향해 마련되며, 복잡한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아 용이하게 종공(8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의 (B)을 이용하여 전달축(89B)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전달축(89B)은 본 발명의 전달축에 관련된 제6 실시 형태이다. 전달축(89B)에는 윤활유 통로(2D)에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가 통과하는 유로(80B)가 형성된다.
한편, 도 10의 (B)에서는 전달축(89B)의 구성을 정면시(후술하는 제2 개구부(82A) 쪽에서 바라봄)와 측면시(후술하는 제1 개구부(81A) 쪽에서 바라봄)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유로(80B)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유로(80A)의 구성에서, 봉인 마개(84) 대신 압력 조절 밸브(85)가 마련됨으로써 구성된다. 압력 조절 밸브(85)가 종공(83)의 바닥부에 마련됨으로써, 유로(80B) 내에 흐르는 윤활유의 유압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그 일부를 전달축(89B)의 바닥부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압력 조절 밸브(85)를 마련함으로써 컨트롤 랙(20)에 분사되는 윤활유의 양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의 (C)을 이용하여 전달축(89C)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전달축(89C)은 본 발명의 전달축에 관련된 제7 실시 형태이다. 전달축(89C)에는 윤활유 통로(2D)에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가 통과하는 유로(80C)가 형성된다.
한편, 도 10의 (C)에서는, 전달축(89C)의 구성을 정면시(후술하는 제2 개구부(82A) 쪽에서 바라봄)와 측면시(후술하는 제1 개구부(81A) 쪽에서 바라봄)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유로(80C)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유로(80A)의 구성에서, 봉인 마개(84) 대신 원심추(86)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밸브의 개폐 동작을 행하는 스로틀 밸브(87)가 마련됨으로써 구성된다. 스로틀 밸브(87)는 전달축(89C)의 회전 속도에 의해 원심추(86)의 원심력이 변경되어 밸브 본체가 슬라이딩됨으로써 밸브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달축(89C)의 회전 속도가 고속이 되면 밸브가 닫히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전달축(89C)의 회전 속도에 의해 밸브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전달축(89C)의 회전 속도, 즉, 디젤 엔진(30)의 회전 속도에 상관없이 컨트롤 랙(20)에 분사되는 윤활유의 양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각 실시 형태의 전달축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각 실시 형태의 전달축에 마련되는 유로는 전달축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홈에 의해 구성된다.
도 11의 (A)을 이용하여 전달축(99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전달축(99A)은 본 발명의 전달축에 관련된 제8 실시 형태이다. 전달축(99A)에는 윤활유 통로(2D)에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가 통과하는 유로(90A)가 형성된다.
한편, 도 11의 (A)에서는 전달축(99A)의 구성을 정면시(후술하는 제2 개구부(93A) 쪽에서 바라봄)와 측면시(후술하는 제1 개구부(91A) 쪽에서 바라봄)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제1 개구부(91A)는 윤활유 통로(2D)와 전달축(99A)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세로홈(91)이 축방향에서 일부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성된다. 세로홈(91)의 상단부에는 전달축(99A)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원주홈(92)의 하부가 축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된다. 원주홈(92)의 상부에는 전달축(99A)의 상부 외주면을 향해 마련되는 세로홈(93)의 하부가 축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개구부(91A)는 세로홈(91)의 일부이며, 세로홈(91)과 윤활유 통로(2D)가 축방향에서 일부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개구부(91A)가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에서, 제1 개구부(91A)로부터 유입되는 윤활유는 세로홈(91)을 지나 원주홈(92)으로 유입된다. 원주홈(92)에 유입되는 윤활유는 세로홈(93)으로 흘러들어 세로홈(93)의 상단부(전달축(99A)과 전달축 홀(2C)의 부재 사이)를 구성하는 제2 개구부(93A)로부터 컨트롤 랙(20)을 향해 분사된다.
세로홈(93)의 형상은, 예를 들면 홈의 깊이를 얕게 함으로써 세로홈(93)을 흐르는 윤활유의 압력을 컨트롤 랙(20)에 분사 가능한 압력이 되도록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유로가 전달축(99A)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홈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유로(90A)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의 (B)를 이용하여 전달축(99B)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전달축(99B)은 본 발명의 전달축에 관련된 제9 실시 형태이다. 전달축(99B)에는 윤활유 통로(2D)에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가 통과하는 유로(90B)가 형성된다.
한편, 도 11의 (B)에서는 전달축(99B)의 구성을 정면시(후술하는 제2 개구부(95A) 쪽에서 바라봄)와 측면시(후술하는 제1 개구부(94A) 쪽에서 바라봄)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제1 개구부(94A)는 전달축(99B)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원주홈(94)이 윤활유 통로(2D)와 축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성된다. 원주홈(94)의 상부에는 전달축(99B)의 상부 외주면을 향해 마련되는 세로홈(95)이 축방향에서 일부 겹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원주홈(94)과 윤활유 통로(2D)가 축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개구부(91A)가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에서, 제1 개구부(94A)로부터 유입되는 윤활유는 원주홈(94)을 통하여 세로홈(95)으로 유입된다. 세로홈(95)에 유입되는 윤활유는 세로홈(95)의 상단부(전달축(99B)과 전달축 홀(2C)의 부재 사이)를 구성하는 제2 개구부(95A)로부터 컨트롤 랙(20)을 향해 분사된다.
세로홈(95)의 형상은, 예를 들면 홈의 깊이를 얕게 함으로써, 세로홈(95)을 흐르는 윤활유의 압력을 컨트롤 랙(20)에 분사 가능한 압력이 되도록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유로가 전달축(99B)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홈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유로(90B)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원주홈(94)의 하부는 항상 윤활유 통로(2D)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컨트롤 랙(20)에 항상 주유할 수 있다.
도 12를 이용하여 전달축(109)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전달축(109)은 본 발명의 전달축에 관련된 제10 실시 형태이다. 전달축(109)에는 윤활유 통로(2D)에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가 통과하는 유로(100)가 형성된다.
한편, 도 12의 (A)에서는 전달축(109)의 구성을 정면시(후술하는 제2 개구부(102A) 쪽에서 바라봄)로 나타내고 있고, 도 12의 (B)에서는 측면시(후술하는 제1 개구부(101A) 쪽에서 바라봄) 및 평면시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공급홀(102)은 전달축(109) 상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2 개구부(102A)로부터 대략 축심부를 향해 마련된다. 제1 개구부(101A)는 윤활유 통로(2D)와 연통 가능한 전달축(109)의 외주면으로부터 공급홀(102)의 시단부(전달축(109)의 축심측 단부)에 관통되는 관통공(101)이 마련됨으로써 구성된다. 공급홀(102)의 시단부는 관통공(101)의 종단부와 연통된다. 이상과 같이, 유로(100)가 전달축(109)의 내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유로(100)를 흐르는 윤활유의 유압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나타내는 각 실시 형태의 유로는 전달축(109)에 홈이나 홀이 마련됨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달축(109)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펌프 하우징(2)에 홈이나 홀을 마련함으로써 유로를 형성해도 무방하다.
도 13에 나타내는 각 실시 형태의 전달축 및 펌프 하우징(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각 실시 형태의 유로는, 전달축 및 펌프 하우징(2), 또는 펌프 하우징(2)에만 홈이나 홀을 마련함으로써 구성된다.
도 13의 (A)를 이용하여 전달축(119A) 및 펌프 하우징(2)에 형성되는 유로의 제11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전달축(119A) 및 펌프 하우징(2)에는 윤활유 통로(2D)에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가 통과하는 유로(110A)가 형성된다. 한편, 도 13의 (A)에서는 전달축(119A) 및 펌프 하우징(2)의 구성을 전후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펌프 하우징(2)의 일부를 단면도로서 나타내고 있다.
제1 개구부(111A)는 전달축(119A)의 둘레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마련되는 원주홈(111)이 윤활유 통로(2D)와 축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성된다. 원주홈(111)의 상부에는 축방향으로 일부 겹치도록 전달축 홀(2C)의 내주면에 세로홈(112)이 마련된다. 세로홈(112)은 원주홈(111)의 상부로부터 랙 룸(5)의 바닥면을 향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원주홈(111)과 윤활유 통로(2D)가 축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개구부(111A)가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에서, 제1 개구부(111A)로부터 유입되는 윤활유는 원주홈(111)을 지나 세로홈(112)에 유입된다. 세로홈(112)에 유입되는 윤활유는 세로홈(112)의 상단부(전달축(119A)과 전달축 홀(2C)의 부재 사이)를 구성하는 제2 개구부(112A)로부터 컨트롤 랙(20)을 향해 분사된다.
도 13의 (B)을 이용하여 펌프 하우징(2)에 형성되는 유로의 제12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펌프 하우징(2)에는 윤활유 통로(2D)에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가 통과하는 유로(110B)가 형성된다. 한편, 도 13(A)에서는, 전달축(119B) 및 펌프 하우징(2)의 구성을 전후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펌프 하우징(2)의 일부를 단면도로서 나타내고 있다.
제1 개구부(113A)는 전달축 홀(2C)의 둘레 방향을 따라 내주면에 마련되는 원주홈(113)이 윤활유 통로(2D)와 상하 방향에서 일부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성된다. 원주홈(113)의 상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일부 겹치도록 전달축 홀(2C)의 내주면에 세로홈(114)이 마련된다. 세로홈(114)은 원주홈(113)의 상부로부터 랙 룸(5)의 바닥면을 향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원주홈(113)과 윤활유 통로(2D)가 축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개구부(113A)가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에서, 제2 개구부(113A)로부터 유입되는 윤활유는 원주홈(113)을 지나 세로홈(114)으로 유입된다. 세로홈(114)에 유입되는 오일은 세로홈(114)의 상단부(전달축(119B)과 전달축 홀(2C)의 부재 사이)를 구성하는 제2 개구부(114A)로부터 컨트롤 랙(20)을 향해 분사된다.
도 13의 (C)를 이용하여 펌프 하우징(2)에 형성되는 유로의 제13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펌프 하우징(2)에는 윤활유 통로(2D)에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가 통과하는 유로(110C)가 형성된다. 한편, 도 13의 (A)에서는 전달축(119C) 및 펌프 하우징(2)의 구성을 전후 방향으로부터 본 펌프 하우징(2)의 일부를 단면도로서 나타내고 있다.
제1 개구부(115A)는 전달축 홀(2C)의 둘레 방향을 따라 내주면에 마련되는 원주홈(115)이 윤활유 통로(2D)와 축방향에서 일부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성된다. 원주홈(115)으로부터 랙 룸(5)의 바닥면을 향해 펌프 하우징(2)의 내부에 공급홀(116)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원주홈(115)과 윤활유 통로(2D)가 축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개구부(115A)가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에서, 제1 개구부(115A)로부터 유입되는 윤활유는 원주홈(115)을 지나 공급홀(116)에 유입된다. 공급홀(116)에 유입되는 오일은 공급홀(116)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제2 개구부(116A)로부터 컨트롤 랙(20)을 향해 분사된다.
한편, 윤활유 통로(2D)를 통하지 않고 거버너 하우징(27) 쪽으로부터 직접 펌프 하우징(2)의 내부에 마련되는 공급홀(116)을 향해 관통공을 마련할 수도 있다.
도 14를 이용하여 펌프 하우징(2)에 형성되는 유로의 제14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펌프 하우징(2)에는 윤활유 통로(2D)에 압송되는 윤활유의 일부가 통과하는 유로(120)가 형성된다. 한편, 도 14에서는 전달축(129) 및 펌프 하우징(2)의 구성을 전후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펌프 하우징(2)의 일부 단면시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제1 개구부(121A)는 전달축(129)의 둘레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마련되는 원주홈(121)이 윤활유 통로(2D)와 축방향에서 일부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성된다. 원주홈(121)에는 축방향으로 홈의 폭이 커지는 볼록부(121B)가 마련된다. 펌프 하우징(2)에는 볼록부(121B)와 연통 가능한 공급홀(122)이 마련된다. 공급홀(122)은 펌프 하우징(2) 내에서 원하는 경사 각도에서 펌프 하우징(2)의 전달축 홀(2C) 쪽 면과의 랙 룸(5)을 구성하는 바닥면을 관통하여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원주홈(121)과 윤활유 통로(2D)가 축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개구부(121A)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펌프 하우징(2)에 홈이나 홀을 형성함으로써 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펌프 하우징(2)에 홈이나 홀을 형성하는 경우, 주조에 의해 제작되기 때문에 절삭 등의 가공을 할 필요가 없어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료 분사 펌프에 이용 가능하다.
1: 연료 분사 펌프 2: 펌프 하우징
2A: 거버너 플랜지 2C: 전달축 홀
2D: 윤활유 통로 3: 펌프 헤드
4: 캠 룸 5: 랙 룸
15: 분배축 20: 컨트롤 랙
30: 디젤 엔진 32: 윤활유 펌프
40: 유로 41: 홈
41A: 제1 개구부 41B: 벽부
41C: 측벽 42: 공급홀
42A: 제2 개구부 43: 연통로
49: 전달축

Claims (6)

  1. 엔진에 마련되는 연료 분사 펌프로서,
    펌프 하우징에 지지되는 전달축을 구비하고;
    상기 전달축에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상기 전달축의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 개구부를 포함하는 홈을 구비하는, 연료 분사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펌프 하우징에 윤활유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윤활유 통로가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연료 분사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윤활유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유로의 제2 개구부는, 상기 전달축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료 분사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추가로,
    상기 홈의 벽부에 개구되며 상기 전달축의 지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연통로; 및
    상기 연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전달축의 축심부로부터 제2 개구부까지 형성되는 공급홀을 구비하는, 연료 분사 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벽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이 형성되는, 연료 분사 펌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개구부의 하단부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료 분사 펌프.
KR1020207007019A 2015-11-26 2016-11-11 연료 분사 펌프 KR102443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31174A JP6411313B2 (ja) 2015-11-26 2015-11-26 燃料噴射ポンプ
JPJP-P-2015-231174 2015-11-26
KR1020187017604A KR102096198B1 (ko) 2015-11-26 2016-11-11 연료 분사 펌프
PCT/JP2016/083546 WO2017090466A1 (ja) 2015-11-26 2016-11-11 燃料噴射ポンプ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604A Division KR102096198B1 (ko) 2015-11-26 2016-11-11 연료 분사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620A KR20200029620A (ko) 2020-03-18
KR102443622B1 true KR102443622B1 (ko) 2022-09-14

Family

ID=587631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604A KR102096198B1 (ko) 2015-11-26 2016-11-11 연료 분사 펌프
KR1020207007019A KR102443622B1 (ko) 2015-11-26 2016-11-11 연료 분사 펌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604A KR102096198B1 (ko) 2015-11-26 2016-11-11 연료 분사 펌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718305B2 (ko)
EP (1) EP3382194B1 (ko)
JP (1) JP6411313B2 (ko)
KR (2) KR102096198B1 (ko)
CN (2) CN111894779A (ko)
WO (1) WO20170904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1313B2 (ja) * 2015-11-26 2018-10-24 ヤンマー株式会社 燃料噴射ポンプ
CN112771089B (zh) 2018-09-28 2022-11-01 日铁化学材料株式会社 多官能乙烯基芳香族共聚物及其制法、共轭二烯系共聚物及其组合物、交联物、轮胎构件
WO2020262371A1 (ja) 2019-06-25 2020-12-30 日鉄ケミカル&マテリアル株式会社 変性ビニル芳香族系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それから得られる変性共役ジエン系共重合体、その組成物、ゴム架橋物及びタイヤ部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6895A (en) 1989-12-29 1992-09-15 Robert Bosch Gmbh Fuel injection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013204500A (ja) 2012-03-28 2013-10-07 Yanmar Co Ltd 燃料噴射ポンプ
EP2876296A1 (en) 2012-07-20 2015-05-27 Yanmar Co., Ltd. Fuel injection pump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3576A (en) * 1943-09-25 1944-11-28 Devorak Raymond John Fuel control valve for diesel engines
US2503458A (en) * 1946-02-11 1950-04-11 Diesel Power Inc Fuel injection pump
US2828727A (en) * 1953-03-05 1958-04-01 Bosch Arma Corp Fuel injection pump
US3744465A (en) * 1972-01-24 1973-07-10 Ambac Ind Hydraulic shuttle vavle for fuel injection pumps
JPS59131970U (ja) * 1983-02-24 1984-09-04 宇部興産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料噴射ポンプ
US4531494A (en) * 1984-03-27 1985-07-30 Caterpillar Tractor Co. Distributor fuel injection pump having a nutator pump subassembly
JPH0212299Y2 (ko) * 1984-12-28 1990-04-06
US5152271A (en) * 1985-07-15 1992-10-06 Osamu Matsumura Fuel injection apparatus
JPS63125121U (ko) * 1987-02-06 1988-08-16
US5000668A (en) * 1988-04-27 1991-03-19 Diesel Kiki Co., Ltd. Distribution-type fuel injection pump
DE3819996A1 (de) * 1988-06-11 1989-12-14 Bosch Gmbh Robert Hydraulische steuereinrichtung insbesondere fuer kraftstoffeinspritzanlagen von brennkraftmaschinen
JPH0361663A (ja) * 1989-07-29 1991-03-18 Nippondenso Co Ltd フェイスカム式分配型燃料噴射装置
DE3928612A1 (de) * 1989-08-30 1991-03-07 Bosch Gmbh Robert Kraftstoffverteilereinspritzpumpe fuer brennkraftmaschinen
JPH04123367U (ja) * 1991-04-22 1992-11-09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燃料噴射ポンプ
JPH06330833A (ja) * 1993-05-24 1994-11-29 Yanmar Diesel Engine Co Ltd 燃料噴射ポンプ
JPH0861180A (ja) * 1994-06-16 1996-03-05 Zexel Corp 分配型燃料噴射ポンプ
JP3783147B2 (ja) * 1997-02-07 2006-06-07 ボッシュ株式会社 分配型燃料噴射ポンプ及び動力伝達装置
JPH11166465A (ja) * 1997-12-04 1999-06-22 Yanmar Diesel Engine Co Ltd 燃料噴射ポンプの潤滑構造
GB9816926D0 (en) * 1998-08-04 1998-09-30 Lucas Ind Plc Distributor arrangement
JP4037986B2 (ja) * 1999-03-11 2008-01-23 ヤンマー株式会社 燃料噴射ポンプ構造
JP2001115921A (ja) * 1999-10-14 2001-04-27 Yanmar Diesel Engine Co Ltd 分配型燃料噴射ポンプ
DE10012306C2 (de) * 2000-03-14 2003-12-24 Bosch Gmbh Robert Verteilereinspritzpumpe
WO2001090569A1 (fr) * 2000-05-26 2001-11-29 Yanmar Co., Ltd. Pompe d'injection de carburant
WO2002038941A1 (fr) * 2000-11-09 2002-05-16 Yanmar Co.,Ltd. Pompe d'injection distributrice a chambre d'accumulation
JP2002265917A (ja) * 2001-03-14 2002-09-18 Sekisui Chem Co Ltd 湿気硬化型接着剤組成物
CN100371582C (zh) * 2002-07-09 2008-02-27 株式会社博世汽车系统 柴油机dme燃料供给装置
JP3814245B2 (ja) * 2002-11-21 2006-08-23 ヤンマー株式会社 燃料噴射ポンプ
JP3993841B2 (ja) * 2003-06-12 2007-10-17 ヤンマー株式会社 低温始動進角機構を備える燃料噴射ポンプ
JP4473839B2 (ja) * 2006-05-09 2010-06-02 ヤンマー株式会社 燃料噴射ポンプ
JP2008163826A (ja) * 2006-12-28 2008-07-17 Denso Corp 燃料噴射ポンプ
JP2009149185A (ja) * 2007-12-20 2009-07-09 Yamaha Motor Co Ltd 船外機
JP5320079B2 (ja) * 2009-01-06 2013-10-23 ヤンマー株式会社 燃料噴射ポンプ
JP5325188B2 (ja) * 2010-09-24 2013-10-23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液圧発生装置及び駆動装置
WO2012097785A1 (de) * 2010-12-07 2012-07-26 Ixetic Hückeswagen Gmbh Kupplung, rotor und baugruppe für eine pumpe
DE102011002811A1 (de) * 2011-01-18 2012-07-19 Robert Bosch Gmbh Kraftstoff-Förderein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2011082729A1 (de) * 2011-09-15 2013-03-21 Robert Bosch Gmbh Kraftstoffhochdruckpumpe für ein Kraftstoffeinspritzsystem sowie Pumpenanordnung
JP5785482B2 (ja) * 2011-11-25 2015-09-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カムシャフト支持構造
JP5459329B2 (ja) * 2012-01-31 2014-04-02 株式会社デンソー サプライポンプ
JP5824394B2 (ja) * 2012-03-28 2015-11-25 ヤンマー株式会社 燃料噴射ポンプ
EP2662564A1 (en) * 2012-05-09 2013-11-13 Delphi Technologies Holding S.à.r.l. Driveshaft lubrication
DE102012219537A1 (de) * 2012-10-25 2014-04-30 Robert Bosch Gmbh Kraftstoffhochdruckpumpe mit einer Lagerversorgung über Schmierbohrungen in einer Antriebswelle
JP6411313B2 (ja) * 2015-11-26 2018-10-24 ヤンマー株式会社 燃料噴射ポン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6895A (en) 1989-12-29 1992-09-15 Robert Bosch Gmbh Fuel injection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013204500A (ja) 2012-03-28 2013-10-07 Yanmar Co Ltd 燃料噴射ポンプ
EP2876296A1 (en) 2012-07-20 2015-05-27 Yanmar Co., Ltd. Fuel injection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0466A1 (ja) 2017-06-01
EP3382194A1 (en) 2018-10-03
JP2017096212A (ja) 2017-06-01
EP3382194B1 (en) 2021-10-27
US10718305B2 (en) 2020-07-21
CN108291515A (zh) 2018-07-17
EP3382194A4 (en) 2018-12-05
CN111894779A (zh) 2020-11-06
KR20200029620A (ko) 2020-03-18
JP6411313B2 (ja) 2018-10-24
CN108291515B (zh) 2020-07-31
US20200375477A1 (en) 2020-12-03
US20180335005A1 (en) 2018-11-22
KR20180084128A (ko) 2018-07-24
KR102096198B1 (ko) 202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3622B1 (ko) 연료 분사 펌프
CN105089730B (zh) 形成凸轮从动件或摇杆臂并包括内腔的机械系统
JP2006312936A (ja) ピストン冷却ノズルの制御された漏出バルブ
US9567960B2 (en) Fuel pump tappet assembly
CN102124204A (zh) 高压燃料泵
JPH0212299Y2 (ko)
CN103703247A (zh) 对燃料泵的改进
EP2954192B1 (de) Hochdruckpumpe
JP3788373B2 (ja) 高圧燃料ポンプの給油装置
EP1288488B1 (en) Fuel injection pump having throttled fuel path for fuel lubrication
JPH11343963A (ja) ラジアルピストンポンプ
EP3298264A1 (en) Pump assembly for a fuel injection system
JP3823819B2 (ja) 燃料噴射ポンプ
JP6165610B2 (ja) ターボチャージャの潤滑油供給機構
JP5886104B2 (ja) 燃料噴射ポンプ
RU2739431C1 (ru) Система смазки с проходом и насадкой для масла
JP6155962B2 (ja) 高圧燃料ポンプ
DE102011076023A1 (de) Ventil
US8960159B2 (en) Drain for fuel pump
WO2018016429A1 (ja) 燃料噴射ポンプ
JP6965702B2 (ja) オイル供給機構
JP6930395B2 (ja) オイル供給機構
JP6225009B2 (ja) ターボチャージャの潤滑油供給機構
JP6830456B2 (ja) エンジン
WO2015146556A1 (ja) 燃料噴射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