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632B1 - 낚싯대끝 보호구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끝 보호구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632B1
KR102424632B1 KR1020210082025A KR20210082025A KR102424632B1 KR 102424632 B1 KR102424632 B1 KR 102424632B1 KR 1020210082025 A KR1020210082025 A KR 1020210082025A KR 20210082025 A KR20210082025 A KR 20210082025A KR 102424632 B1 KR102424632 B1 KR 102424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body
fishing line
rod
attachment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토 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JP2022006496A priority Critical patent/JP7197227B2/ja
Priority to CN202210113403.1A priority patent/CN11494678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7Fishing rods with built-in accessories, e.g. lighting means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8Container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physic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전방 방향으로 신장 및 후방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연결되고 낚싯줄 가이드가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간체에 부착 가능한 낚싯대끝 보호구가 제공된다. 낚싯대끝 보호구는 부착체와, 통형체와, 밴드를 포함한다. 부착체는, 후방 방향으로 수축되어 있는 복수의 간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통형체는, 복수의 간체의 적어도 최전방 간체의 전방 부분 및 최전방 간체에 부착된 낚싯줄 가이드를 수용하고 덮도록 구성된다. 통형체는 부착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된다. 밴드는 부착체에 고정되며, 부착체를 복수의 간체 중 하나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부착체는 통과 슬릿을 가지며, 통과 슬릿은 최전방 간체에 부착된 낚싯줄 가이드의 후방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절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낚싯대끝 보호구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FISHING ROD TIP PROTECTOR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본 개시는 낚싯대의 대끝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낚싯대끝 보호구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진출식(振出式) 낚싯대(telescopic type fishing rod)는, 순차적으로 끼워지는 복수의 간체를 갖는다. 복수의 간체는 낚싯대의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하도록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낚싯줄을 안내하기 위한 낚싯줄 가이드가 각 간체에 부착된다.
낚시인이 진출식 낚싯대를 휴대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때, 진출식 낚싯대는 복수의 간체가 수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에서 초리 측(tip side)에 위치하는 간체와 낚싯줄 가이드를 보호하기 위해, 낚싯대끝 보호구가 수축 상태의 복수의 간체에 부착된다.
일 예로, 일본 특허공보 제5947970호는, 복수의 간체가 수축되어 있는 진출식 낚싯대에 사용되는 낚싯대끝 보호구를 개시한다. 상기 특허문헌이 개시하는 종래의 낚싯대끝 보호구는, 수축 상태의 복수의 간체에서 초리 측에 위치하는 간체와 이에 부착된 낚싯줄 가이드를 덮는 통형체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낚싯대끝 보호구의 통형체는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며,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낚싯대끝 보호구가 부착된 낚싯대가 통형체의 전단으로부터 지면에 낙하할 때, 또는 낚싯대의 후단으로부터 낚싯대끝 보호구 측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때에, 낚싯줄 가이드는 통형체에 격하게 접촉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통형체가 충격을 흡수하지 못해, 낚싯줄 가이드의 수지체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통형체가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면, 초리 측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세라믹제의 가이드 링이 파손될 수도 있다.
낚싯줄 가이드의 수와 크기가 낚싯대의 길이 또는 형태에 따라 다른, 다양한 진출식 낚싯대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크기를 갖는 통형체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낚싯대끝 보호구는 다양한 진출식 낚싯대에 공통적으로 사용되기가 어렵다. 예컨대, 하나의 크기를 갖는 통형체가 복수의 간체의 수축 길이가 짧은 진출식 낚싯대에 사용되면, 초리 측에 위치하는 간체와 낚싯줄 가이드가 통형체의 전단으로 움직일수 있게 하는 공간이 통형체 내에 존재한다. 이 공간으로 인해, 통형체가 수축 상태의 복수의 간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낚싯줄 가이드가 진동으로 인해 통형체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그러면, 낚싯줄 가이드는 통형체에 의해 보호되지 못하고, 낚싯줄 가이드의 수지체가 손상되거나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링이 파손될 수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5947970호
개시된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해결한 낚싯대끝 보호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낚싯줄 가이드의 손상과 파손을 방지하면서 수축 상태의 복수의 간체에 부착되는 낚싯대끝 보호구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낚싯줄 가이드의 수지체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통형체가 낚싯줄 가이드를 덮어 낚싯줄 가이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낚싯대끝 보호구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축 상태의 복수의 간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초리 측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가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공간을 해소할 수 있는 낚싯대끝 보호구가 제공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일 측면은, 낚싯대에 사용되는 낚싯대끝 보호구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끝 보호구는, 전방 방향으로 신장 및 후방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연결되고 낚싯줄 가이드가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간체에 부착 가능하다. 낚싯대끝 보호구는 부착체와 통형체와 밴드를 포함한다. 부착체는, 후방 방향으로 수축되어 있는 복수의 간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통형체는, 복수의 간체의 적어도 최전방 간체의 전방 부분 및 최전방 간체에 부착된 낚싯줄 가이드를 수용하고 덮도록 구성된다. 통형체는 부착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된다. 밴드는 부착체에 고정되며, 부착체를 복수의 간체 중 하나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부착체는 통과 슬릿을 가지며, 통과 슬릿은 최전방 간체에 부착된 낚싯줄 가이드의 후방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절결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형체는, 낚싯줄 가이드의 간체에의 부착을 위한 부착부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형체의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통형체가 부착체에 끼워맞춤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체는 통형체의 일부를 통형체의 둘레 방향으로 감싸는 내주면을 갖고, 통형체는 부착체의 내주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되는 외주면을 갖는다. 통형체는 외주면에서 부착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다. 부착체는, 통과 슬릿을 한정하도록 부착체의 내측으로 구부러진 한 쌍의 엣지부를 가질 수 있고, 통형체는 외주면에, 한 쌍의 엣지부가 각각 걸림결합되는 한 쌍의 단차부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체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슬릿을 갖고, 통형체는, 슬라이드 슬릿에 끼워맞춤되며 슬라이드 슬릿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돌기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형체의 전후 방향에서의 슬라이드 범위는 10mm 내지 60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체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드 슬릿을 갖는다. 통형체는, 한 쌍의 슬라이드 슬릿 중 하나의 슬라이드 슬릿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슬라이드 돌기와, 한 쌍의 슬라이드 슬릿 중 다른 하나의 슬라이드 슬릿에 면하는 암나사를 갖는다. 통형체는, 상기 다른 하나의 슬라이드 슬릿을 통해 암나사에 결합되는 고정 나사에 의해 부착체에 고정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형체는, 통형체의 전단으로부터 통형체의 후단에 걸쳐 절결되어 있는 낚싯줄 슬릿을 갖는다. 낚싯줄 슬릿은 낚싯줄이 통형체를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또 하나의 측면은 낚싯대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는, 전방 방향으로 신장 및 후방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간체와, 복수의 간체에 부착된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와,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끝 보호구를 포함한다. 낚싯대끝 보호구는, 후방 방향으로 수축되어 있는 복수의 간체에 부착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끝 보호구는, 수축 상태의 복수의 간체에 부착되며, 적어도 최전방 간체에 부착되는 낚싯줄 가이드의 손상과 파손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끝 보호구는, 낚싯줄 가이드의 수지제의 부착부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통형체를 갖는다. 이에 따라, 통형체는 낚싯줄 가이드의 수지제의 부착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끝 보호구에서는, 통형체는 부착체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맞춤되며, 통형체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부착체에 대해 가변된다. 그러므로, 통형체의 부착체에 대한 전후 방향의 위치가, 수축 상태의 복수의 간체에서 최전방 간체에 부착되는 낚싯줄 가이드들이 통형체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공간을 해소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끝 보호구는,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가 가변되는 통형체에 의해, 복수의 간체의 수축 길이가 서로 다른 다양한 진출식 낚싯대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싯대의 전방 부분과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낚싯대와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끝 보호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낚싯대의 일부와 도 3에 도시하는 낚싯대끝 보호구의 종단면 형상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끝 보호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낚싯대끝 보호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하는 낚싯대끝 보호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하는 낚싯대끝 보호구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9-9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끝 보호구의 통형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끝 보호구의 통형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끝 보호구가 낚싯대의 수축된 간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통형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끝 보호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낚싯대끝 보호구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15-15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끝 보호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하는 낚싯대끝 보호구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하는 낚싯대끝 보호구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하는 낚싯대끝 보호구의 배면도이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하는 낚싯대끝 보호구가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6에 도시하는 낚싯대끝 보호구가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측면도이며, 도 20의 21-21 선에 따른 낚싯대끝 보호구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재되는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치수와 수치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이러한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값 및 이것을 포함하는 동등한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전방 방향은 낚싯대의 선단(tip)을 향하는 방향(도 1에서 부호 FD로 지시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 방향은 낚싯대의 후단(butt)을 향하는 방향(도 1에서 부호 RD로 지시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전후 방향은, 전방 방향과 후방 방향을 포함한다. 상방 방향과 하방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배향을 기준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싯대의 전방 부분과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낚싯대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끝 보호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낚싯대의 일부와 도 3에 도시하는 낚싯대끝 보호구의 종단면 형상을 도시한다.
낚싯대(100)는, 낚싯대의 가늘고 긴 형상을 유지하며 탄력적으로 휠 수 있는 구조물인 복수의 간체(竿體)(110)를 포함한다. 복수의 간체(110) 중의 하나는 가늘고 긴 관 형상의 부재일 수 있고, 복수의 간체(110) 중의 또 하나는 가늘고 길지만 속이 비지 않은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복수의 간체(110)는 진출식(telescopic type)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출식의 연결은, 하나의 간체가, 후방 방향(RD)으로, 그 다음에 위치하고 그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또 하나의 간체의 내부에 끼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진출식의 연결에 의해 순차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간체(110)가, 낚싯대(100)의 메인 바디를 구성한다. 상기 진출식의 연결에 의해, 복수의 간체(110)는, 전방 방향(FD)으로 신장 및 후방 방향(RD)으로 수축하도록 연결된다. 즉,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간체는, 그 전장이 늘어나도록 전방 방향(FD)으로 신장될 수 있고, 그 전장이 줄어들도록 후방 방향(RD)으로 수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후방 방향으로 수축되어 있는 복수의 간체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복수의 간체는, 낚싯대의 팁 측(tip side)으로부터 낚싯대의 버트 측(butt side)으로 순서대로 배치되는, 최전방 간체(111), 중간 간체(112) 및 최후방 간체(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낚싯대의 팁 측에 최전방 간체(111)가 위치하며, 최전방 간체(111)는 복수의 간체(110)에서 최소의 직경을 갖는다. 최전방 간체(111)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1번 대 또는 초릿대(穗先竿)로서 참조될 수 있다. 중간 간체(112)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2번 대로 참조될 수 있다. 중간 간체(112)는 최전방 간체(11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낚싯대의 버트 측(butt side)에 최후방 간체(113)가 위치하며, 최후방 간체(113)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원대(元竿)로서 참조될 수 있다. 최후방 간체(113)는 중간 간체(11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도 1과 도 2는, 1번 대, 2번 대, 원대와 같은 3개의 간체를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예의 낚싯대는 둘 또는 넷 이상의 간체를 가질 수도 있다.
낚시인은 버트 측에 위치하는 최후방 간체(113)를 잡을 수 있다. 릴 시트(120)가 최후방 간체(113)에 부착된다. 릴 시트(120)에는 낚싯줄(미도시)을 방출하거나 감기 위한 릴(미도시)이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낚시구를 캐시팅할 때에 낚싯줄은 릴로부터 방출되고, 물고기를 낚아올릴 때에 낚싯줄은 릴에 감긴다.
낚싯대(100)는 복수의 간체(110)에 부착되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131, 132, 133, 134, 135)를 포함한다. 낚싯줄 가이드(131)는 최후방 간체(113)에 부착될 수 있고, 낚싯줄 가이드(132, 133)는 중간 간체(112)에 부착될 수 있다. 최전방 간체(111)에는 낚싯줄 가이드(134, 135)가 부착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131, 132, 133, 134, 135)는 낚싯줄을 간체를 따라 안내한다. 각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줄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되며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링(136)과, 간체에의 부착을 위한 부착부(137)와, 부착부(137)에 결합되고 가이드 링(136)을 지지하는 금속제의 프레임(138)을 포함한다.
낚싯줄 가이드(131, 132, 133, 134)의 부착부(137)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간체에 부착되도록 환상 또는 짧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낚싯줄 가이드(131, 132, 133, 134)의 부착부(137)는, 간체가 부착부(137)를 관통한 상태에서 간체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다. 예컨대, 간체가 부착부(137)를 관통한 상태에서 부착부(137)를 후방 방향으로 이동 시키고 부착부(137)와 간체의 외주면이 억지끼워맞춤되면, 낚싯줄 가이드가 간체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간체가 후방 방향(RD)으로 수축됨에 따라, 낚싯줄 가이드는 부착 위치로부터 벗어나 각 간체의 전방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는,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110)에서 낚싯줄 가이드(133, 134, 135)가 각 간체의 전방 부분에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최전방 간체(111)에 부착되는 낚싯줄 가이드(134)에서, 부착부(137)는 각각 다른 사이즈를 가질 수 있고, 가이드 링은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135)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탑 가이드(top guide)로서 참조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135)는 최전방 간체(111)의 전단에 부착되며, 최전방 간체(111)로부터 전방 방향(FD)으로 돌출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131, 132, 133, 134, 135) 중 후방 방향(RD)으로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131, 132)는 비교적 큰 크기를 갖는다. 낚싯줄 가이드(133)는 낚싯줄 가이드(131, 132)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낚싯줄 가이드(134)는 동일한 크기의 가이드 링을 가지면서, 낚싯줄 가이드(133)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낚싯대(100)는, 복수의 간체(110)에 부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끝(釣竿先) 보호구(이하, 간단히 '보호구'라고 한다)를 포함한다. 보호구(200)는, 후방 방향(RD)으로 수축되어 있는 복수의 간체(110)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보호구(200)는, 수축되어 있는 복수의 간체(110)에서, 대끝 측에 위치하는 간체와 이에 부착되어 있는 낚싯줄 가이드를 수용하고 덮도록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보호구(200)는, 후방 방향(RD)으로 수축되어 있는 복수의 간체(110)에서 대끝 측에 위치하는, 최전방 간체(111)의 전방 부분, 중간 간체(112)의 전방 부분 및 최전방 간체(111)와 중간 간체(112)에 부착된 낚싯줄 가이드(133, 134, 135)를 수용하고 덮는다. 또한, 보호구(200)는, 낚싯줄 가이드(131, 132)를 노출시키면서, 낚싯줄 가이드(133, 134, 135)를 수용하고 덮는다. 그러므로, 보호구(200)는 낚싯줄 가이드(133, 134, 135)를 보호하고 낚싯줄 가이드(133, 134, 135)의 손상과 파손을 방지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간체가 수축된 상태에서, 낚싯줄 가이드(134)와 낚싯줄 가이드(135)는 조밀하게 배치되면서 대끝 측에 위치한다. 이하, 후방 방향으로 수축되어 있는 복수의 간체에서 대끝 측에 위치하는, 최전방 간체(111)의 전방 부분과 낚싯줄 가이드(134, 135)는, 대끝부(141)로서 참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200)는, 낚싯대의 수축 상태에서(즉, 복수의 간체의 수축 상태에서), 적어도 대끝부(141)를 보호하도록 복수의 간체(110)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200)는, 부착체(210)와, 통형체(220)와, 밴드(230)를 포함한다. 부착체(210)는 후방 방향(RD)으로 수축되어 있는 복수의 간체(110)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통형체(220)는 부착체(210)에 전후 방향(FR)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다. 통형체(220)는, 수축되어 있는 복수의 간체(110)에서 적어도 최전방 간체(111)의 전방 부분 및 최전방 간체(111)에 부착된 낚싯줄 가이드(134, 135)를 수용하고 덮도록 구성된다.
부착체(210)는,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110)에 부착되고 통형체(22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이다. 부착체(210)는,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110)의 전장의 일부에 대응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부착체(210)는,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110) 중의 하나(예컨대, 최후방 간체(113))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부착체(210)에 고정되는 밴드(230)가 부착체(210)를 최후방 간체(113)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부착체(210)가 복수의 간체(110)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밴드(230)를 최후방 간체(113)의 외주면을 따라 감고 밴드(230)를 부착체(210)에 체결시킴으로써, 부착체(210)가 수축 상태의 복수의 간체에 결합될 수 있다.
통형체(220)는, 수축 상태의 복수의 간체(110)에서, 최전방 간체(111)의 전방 부분, 최전방 간체(111)에 부착된 낚싯줄 가이드(134, 135), 중간 간체(112)의 전방 부분 및 중간 간체(112)에 부착된 낚싯줄 가이드(133)를 수용하고 덮는다. 수축 상태의 복수의 간체(110)에서, 통형체(220)는, 적어도 최전방 간체(111)의 전방 부분 및 최전방 간체(111)에 부착된 낚싯줄 가이드(134, 135)를 수용하고 덮는다. 이에 따라, 통형체(220)는, 낚싯줄 가이드(134, 135)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낚싯줄 가이드(134, 135)의 손상과 파손을 방지한다.
도 5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또한, 필요한 경우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호구가 이하에 설명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의 사시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5에 도시하는 보호구의 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9-9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200)는,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부착체(210)와,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 및 이에 부착되어 있는 낚싯줄 가이드를 수용하고 덮도록 구성되는 통형체(220)와, 부착체(210)를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 중 하나의 간체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밴드(230)를 포함한다. 통형체(220)는 부착체(210)에 전후 방향(FR)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된다. 부착체(210)는 통형체(220)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통형체(220)의 일부가 부착체(210)에 의해 감싸지는 상태에서, 통형체(220)는 부착체(210)를 따라 전후 방향(FR)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체(210)에 끼워맞춤된다.
부착체(210)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부착체(210)는 통형상으로부터 상측 일부가 전후 방향(FR)으로 절결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대략 C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체(210)는 전후 방향(FR)으로 절결되어 있는 통과 슬릿(211)을 갖는다. 또한, 부착체(210)는 통형체(220)를 통형체의 둘레 방향(CD)으로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착체(210)는 통형체(220)의 일부를 통형체의 둘레 방향(CD)으로 감싸는 내주면(212)(도 9 참조)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부착체(210)는, 통형체(220)를 둘레 방향(CD)으로 부분적으로 감싸며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213)와, 지지부(213)로부터 후방 방향(RD)으로 연장하는 체결부(214)를 포함한다. 통과 슬릿(211)이 지지부(213)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213)는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와 이들에 부착된 낚싯줄 가이드들의 부착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13)의 내주면이 부착체(210)의 내주면(212)(도 9 참조)으로 된다. 지지부(213)의 전단이 부착체의 전단(215)으로 된다.
통과 슬릿(211)은 지지부(213)의 상측에서 전후 방향(FR)으로 절결되어 있으며, 전후 방향(FR)으로 빈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보호구(200)가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에 부착될 때, 통과 슬릿(211)은,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 중 일부의 통과를 허용하고 상기 일부의 낚싯줄 가이드를 노출시킨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체(210)가,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110)에 결합될 때, 통과 슬릿(211)은, 통형체(220)가 낚싯줄 가이드(133, 132, 131)로 근접하도록 낚싯줄 가이드(133, 132, 131)의 통과를 허용한다. 낚싯줄 가이드(133, 132, 131)는 최전방 간체(111)에 부착된 낚싯줄 가이드(134, 135)의 후방에 위치한다. 낚싯줄 가이드(133, 132, 131)는 통과 슬릿(211)을 통해 통형체(220)의 후단 부근에 위치한다. 낚싯줄 가이드(131, 132)의 상측 부분(가이드 링 및 가이드 링을 지지하는 프레임)이 통과 슬릿(211)을 통해 보호구(2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최전방 간체(111)에 부착되는 낚싯줄 가이드(134, 135)가 통형체(220)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중간 간체(112)에 부착되는 낚싯줄 가이드(133)는 통형체(2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부착체(210)와 통형체(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통형체의 일부가 통과 슬릿(211)에 위치한다. 지지부(213)는, 통형체(220)의 일부를 노출시키면서 통형체(220)의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지지부(213)는 통과 슬릿(211)을 한정하는 한 쌍의 엣지부(216)를 가지며, 한 쌍의 엣지부(216)는 전후 방향(FR)으로 배치된다. 또한, 지지부(213)는 엣지부(216)에서 통형체(220)의 외주면(225)에 걸림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8과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엣지부(216)는 부착체(210)의 내측(지지부(213)의 내측)을 향하도록 구부러져 상기 통과 슬릿을 한정한다. 한 쌍의 엣지부(216)는 통형체(220)의 외주면(225)에 걸림결합된다.
체결부(214)는 지지부(213)의 하단으로부터 후방 방향(RD)으로 연장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구를 측방에서 볼 때, 체결부(214)는 지지부(213)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200)는 간체에 밴드 체결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밴드 체결을 위한 부재는 체결부(214)에 배치될 수 있다. 부착체(210)는 통형체(220)의 후단 부근에서 상기 밴드 체결을 위한 부재에 의해,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밴드 체결을 위한 부재로서, 보호구(200)는 밴드(230)를 포함한다. 밴드(230)는 부착체(210)를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 중 하나(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최후방 간체(113))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밴드(230)는 부착체(210)의 후단 부근에서 체결부(214)에 고정될 수 있다. 밴드(23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밴드(230)는, 그 기단부(231)를 체결부(214)에 끼워맞춤으로써, 체결부(214)에 고정될 수 있다. 밴드(230)에는 복수개의 체결 구멍(232)이 관통되어 있고, 체결부(214)의 하면에는 체결 돌기(217)(도 4 참조)가 돌출한다. 부착체(210)를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에 평행하게 배치시킨 상태에서, 밴드(230)를 최후방 간체(113)의 외주면을 따라 감고 체결 구멍(232)에 체결 돌기(217)를 끼워맞춘다. 밴드(230)는 부착체(210)를 최후방 간체(113)에 조여붙이면서 부착체(210)를 복수의 간체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보호구(200)가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는, 밴드(230)가 부착체(210)에 고정된 상태로 또는 밴드(230)가 부착체(210)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부착체(210)를 복수의 간체에 부착하는 방식이 밴드(230)를 사용하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방식에 의해 보호구(200)가 복수의 간체에 부착될 수 있다.
통형체(22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형체(220)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탄성 재료는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일 수 있다. 또한, 통형체(220)를 구성하는 상기 탄성 재료는, 낚싯줄 가이드의 수지제의 부착부(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134)의 부착부(137) 및 낚싯줄 가이드(133)의 부착부(137))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다. 일 예로, 상기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통형체(220)의 경도는, 쇼어A(Shore A)에서 30°~90°일 수 있다. 따라서, 보호구(200)가 복수의 간체에 부착되면,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부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갖고 연성을 갖는 통형체(220)가 낚싯줄 가이드를 덮는다. 통형체(220)는 낚싯줄 가이드의 수지제의 부착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낚싯줄 가이드의 손상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통형체(220)는, 폐쇄된 전단(221)과, 개방되어 있고 후방 방향(RD)으로 전단(22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후단(222)을 갖는다. 통형체(220)는 그 내측에 수용 공간(S1)(도 4 및 도 8 참조)을 가지며, 수용 공간(S1)은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 중 대끝 측에 위치하는 간체와 낚싯줄 가이드를 수용하고 덮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형체의 수용 공간(S1)은, 통형체의 원통부(223)와 팽출부(224)에 의해 한정된다. 원통부(223)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전단(221)과 후단(222)이 원통부(223)의 각각의 끝에 형성된다. 팽출부(224)는 원통부(223)의 상측에서 상방으로 팽출하며, 후단(222)의 일부가 팽출부(224)의 끝에 형성된다. 통형체(220)는, 팽출부(224)가 통과 슬릿(211) 내에 위치하고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부착체(210)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110)에서 최전방 간체(111)의 전방 부분, 낚싯줄 가이드(134) 및 낚싯줄 가이드(135), 중간 간체(112)의 전방 부분, 및 낚싯줄 가이드(133)가 수용 공간(S1)에 삽입되고 수용되도록, 통형체(220)가 부착체(210)에 대해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200)는, 낚싯줄 가이드(131, 132)를 통과 슬릿(211)을 통해 노출시키면서, 통형체(220)에 의해 낚싯줄 가이드(133, 134, 135)를 수용하고 덮는다. 낚싯줄 가이드(134)보다 큰 크기를 갖지만 낚싯줄 가이드(132)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낚싯줄 가이드(133)는, 팽출부(224)의 아래에 위치하고 팽출부(224)에 의해 덮힌다. 즉, 팽출부(224)는 간체에 부착되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 중 하나를 덮는다. 최전방 간체(111)에 부착되며 동일한 사이즈의 가이드 링을 갖는 낚싯줄 가이드(134)가 수용 공간(S1)에 수용된다. 낚싯줄 가이드(134)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133)가 통형체(220)에 의해 덮힌다. 그러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200)는, 동일한 사이즈의 가이드 링을 갖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가 최전방 간체에 배치되는 낚싯대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통형체(220)는 부착체(210)에 전후 방향(FR)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형체(220)는, 원통부(223)가 부착체의 지지부(213)에 의해 부분적으로 감싸진 상태에서 전후 방향(FR)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체(210)에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형체의 원통부(223)가 부착체의 지지부(21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춤된다. 원통부(223)가 부착체(210)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므로, 통형체(220)의 부착체(210)에 대한 전후 방향(FR)에서의 위치가 가변된다.
통형체(220)는 부착체(210)에 면 접촉을 통해 끼워맞춤될 수 있고, 접촉되는 면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부착체(210)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의 통형체(220)는, 부착체의 내주면(2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되는 외주면(225)을 갖는다. 원통부(223)의 외주면이 통형체의 외주면(225)이 될 수 있다. 통형체(220)는 외주면(225)에서 부착체(210)의 내주면(212)에 전후 방향(FR)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다. 통형체의 외주면(225)은, 상기 통과 슬릿으로 인해 부착체(210)의 내주면(212)에 의해 부분적으로 감싸진다. 통형체(220)는, 부착체의 내주면(212)과 통형체의 외주면(225) 간의 슬라이드 가능한 면 접촉을 통해, 전후 방향(FR)으로 부착체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다.
부착체(210)에 형성된 한 쌍의 엣지부(216)가 통형체(220)의 외주면(225)에 걸림결합된다. 통형체(220)는 외주면(225)에, 부착체(210)의 한 쌍의 엣지부(216)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단차부(226)를 갖는다. 일 예로, 단차부(226)는 원통부(223)와 팽출부(224) 간의 경계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부착체(210)의 한 쌍의 엣지부(216)가 통형체(220)의 한 쌍의 단차부(226)에 각각 걸림결합된다. 엣지부(216)와 단차부(226)가 전후 방향(FR)으로 배치되고 상하로 서로 걸림결합되므로, 부착체(210)의 내주면(212)과 통형체(220)의 외주면(225)이 접촉된 상태에서, 통형체(220)는 부착체(210)를 따라 전후 방향(FR)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통형체(220)의 외주면(225)이 부착체(210)의 내주면(212)에 면 접촉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통형체(220)가 부착체(210)에 대해 전후 방향(FR)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며, 통형체(220)의 위치가 전후 방향(FR)으로 가변된다. 통형체(220)의 부착체(210)로부터의 상방 이동은, 상하로 걸림결합된 한 쌍의 엣지부(216)와 한 쌍의 단차부(226)에 의해 구속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는, 통형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하고 통형체의 슬라이드 범위를 규제할 수 있는 요소를 통형체와 부착체에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과 도 9를 참조하면, 통형체(220)는, 한 쌍의 슬라이드 돌기(227)를 가질 수 있고, 부착체(210)는, 한 쌍의 슬라이드 돌기(227)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각각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슬릿(218)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드 돌기(227)는, 통형체의 원통부(223)의 각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 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슬라이드 슬릿(218)은, 부착체의 지지부(213)를 관통해 있으며, 간체의 길이방향(또는, 전후 방향(FR))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체(220)가 부착체(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돌기(227)가 슬라이드 슬릿(218)에 끼워맞춤된다. 통형체(220)가 부착체(210)에 대해 슬라이드함에 따라, 슬라이드 돌기(227)가 슬라이드 슬릿(218)을 따라 슬라이드한다. 슬라이드 슬릿(218)에 슬라이드 돌기(227)가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통형체(220)가 부착체(210)에 대해 슬라이드하므로, 통형체(220)의 슬라이드 이동이 슬라이드 슬릿(218)과 슬라이드 돌기(227)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돌기(227)와 슬라이드 슬릿(218)이 통형체(220)의 슬라이드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슬라이드 돌기(227)가 슬라이드 슬릿(218)의 전단 또는 후단에 맞닿으면, 전후 방향(FR)에서의 통형체(220)의 슬라이드 이동이 규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형체(220)는 하나의 슬라이드 돌기(227)를 가질 수도 있고, 부착체(210)는 하나의 슬라이드 돌기(227)에 대응하는 하나의 슬라이드 슬릿(218)을 가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슬라이드 슬릿(218)은 지지부(213)를 관통하지 않고 홈으로서 지지부(213)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드 돌기(227)는 그러한 홈 형태의 슬라이드 슬릿에 끼워맞춤될 수도 있다.
통형체가 부착체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므로, 부착체에 대한 통형체의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가 가변되며, 통형체의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는 낚시인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부착체에 대한 통형체의 슬라이드 이동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과 도 11은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의 통형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도시하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가 낚싯대의 수축된 간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통형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체(220)는 부착체(210)에 대해 전후 방향(FR)으로(예컨대, 화살표(SD)의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통형체(220)의 외주면과 부착체(210)의 내주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통형체(220)는 슬라이드할 수 있고, 슬라이드 돌기(227)가 슬라이드 슬릿(218)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체(210)에 대한 통형체(220)의 전후 방향(FR)에서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즉, 통형체(220)의 전단(221)과 부착체(210)의 전단(215) 간의 거리가 전방 방향(FD)으로 커지거나 후방 방향(RD)으로 작아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부착체(210)의 지지부(213)로부터 전방 방향(FR)으로 돌출하는 통형체(220)의 돌출 위치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통형체(220)가 지지부(213)로부터 크게 돌출하도록 위치하는 경우, 보호구(200)는 복수의 간체의 수축 길이가 긴 낚싯대에 적용될 수 있다. 통형체(220)가 지지부(213)로부터 작게 돌출하도록 위치하는 경우, 보호구(200)는 복수의 간체의 수축 길이가 짧은 낚싯대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는, 복수의 간체의 수축 길이가 다양한 여러 낚싯대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통형체(220)의 전후 방향(FR)에서의 슬라이드 범위(SR)는, 10mm 내지 60mm일 수 있다. 슬라이드 범위(SR)는,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에서 최전방 간체에 배치되는 낚싯줄 가이드의 수, 또는 원대(도 1과 도 4에 도시하는 최후방 간체(113))의 직경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통형체(220)가 10mm 내지 60mm의 슬라이드 범위(SR)를 가지는 경우, 보호구(200)는,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에서 3개 내지 6개의 낚싯줄 가이드가 최전방 간체에 배치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통형체(220)가 10mm 내지 60mm의 슬라이드 범위(SR)를 가지는 경우, 상기 원대의 직경에 맞추어서 보호구(200)의 사이즈를 다양하게 할 수 있고, 다양한 사이즈 별로 슬라이드 범위가 다르도록 보호구가 설계될 수 있다.
통형체(220)의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가 가변되므로, 낚시인은, 통형체(220)의 전단(221)이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에서의 대끝부에 근접하도록, 통형체(220)의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는, 복수의 간체의 수축 길이가 서로 다른 다양한 낚싯대에 대끝부를 보호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200)는, 통형체(220)의 전단에서의 내면과 대끝부와의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여유 공간을 해소할 수 있고, 통형체(220) 내부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를 더욱 신뢰성 높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한다. 통형체의 전단(221)이 부착체의 전단(215)으로부터 전방 방향(FD)으로 상당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즉, 통형체의 전단(221)이 대끝부(141)의 낚싯줄 가이드(135)보다 상당한 거리만큼 전방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보호구(200)가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단(221)에서의 통형체(220)의 내면과 대끝부(141)의 낚싯줄 가이드(135)의 사이에는, 여유 공간(S2)이 전후 방향(FR)으로(간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여유 공간(S2)이 해소되지 않으면, 대끝부(141)가 통형체의 전단(221)을 향해 이동할 수 있고, 대끝부(141)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135, 134)는 진동으로 인해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통형체(220)가 부착체(210)에 대해 후방 방향(RD)으로 슬라이드함에 따라, 여유 공간(S2)이 해소될 수 있다. 여유 공간(S2)이 해소되므로, 대끝부(141)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134, 135)는, 통형체(220)에 내에서 이동함이 없이 고정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를 도시하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한다. 도 13과 도 14는 각각,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15-15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부착체(210)는, 지지부(213)를 관통해 전후 방향(FR)으로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드 슬릿(218L, 218R)을 갖는다. 통형체(220)는, 원통부(223)의 일 측면에 전술한 슬라이드 돌기(227)를 갖는다. 슬라이드 돌기(227)는 한 쌍의 슬라이드 슬릿 중 하나의 슬라이드 슬릿(218R)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춤된다. 또한, 통형체(220)는, 슬라이드 돌기(227)의 반대 측의 위치에 배치되는 암나사(241)를 갖는다. 암나사(241)는 슬라이드 돌기(227)에 대향하도록 원통부(223)에 매립될 수 있다. 암나사(241)는, 한 쌍의 슬라이드 슬릿 중 다른 하나의 슬라이드 슬릿(218L)에 면하도록 형성된다. 보호구(200)는, 수나사의 형태를 갖는 고정 나사(242)를 포함하며, 고정 나사(242)는 암나사(241)에 나사 체결을 통해 결합된다. 고정 나사(242)는 슬라이드 슬릿(218L)을 통해 암나사(241)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나사(242)가 암나사(241)에 결함됨에 따라, 고정 나사(242)의 나사 헤드가 슬라이드 슬릿(218L)이 형성된 부착체(210)의 부분을 통형체(220)로 압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형체(220)는 부착체(21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낚시인이 통형체(220)의 전후 위치를 복수의 간체의 수축 길이에 적합하도록 조절한 상태에서, 통형체(220)가 고정 나사(242)에 의해 부착체(2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를 도시한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 도 18 및 도 19는 각각, 도 16에 도시하는 보호구의 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20과 도 21은 각각, 도 16에 도시하는 보호구가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일부 측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는, 통형체에 낚싯줄 슬릿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의 보호구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통형체(220)는, 전단(221)으로부터 후단(222)에 걸쳐 통형체에 절결되어 있는 낚싯줄 슬릿(228)을 갖는다. 낚싯줄 슬릿(228)은, 통형체(220)를 통형체의 폭 방향에서 이등분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통형체(220)를 관통해 형성되어 있다. 낚싯줄 슬릿(228)은 통형체(220)의 전단(221)(원통부의 전단)과 통형체(220)의 후단(222)(원통부 및 팽출부의 후단)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낚싯줄 슬릿(228)은 통형체(220)의 수용 공간(S1)과 통형체(220)의 외부를 서로 통하게 한다. 따라서, 낚싯줄 슬릿(228)은, 낚싯줄 가이드를 통과하고 있는 낚싯줄이 통형체(220)를 통형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0과 도 21을 참조한다. 일 실시예의 낚싯대는 진출식 낚싯대이며, 낚싯대의 복수의 간체(110)는 신장 및 수축 가능하다. 낚싯줄(151)은 릴(미도시)로부터 연장한다. 낚시구(152)가 낚싯줄(151)의 끝에 연결되며, 낚시구(152)는 낚싯바늘, 가짜미끼와 같은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릴로부터 낚시구(152)까지 이어지는 낚싯줄(151)은, 낚싯줄 가이드(131, 132, 133, 134, 135)의 가이드 링(136)들을 통과한다. 보호구(200)는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110)에 부착된다. 예컨대, 낚싯줄(151)이 낚싯줄 슬릿(228)을 통과하고 낚시구(152)에 인접한 낚싯줄의 일부가 밴드(230)에 의해 최후방 간체(113)에 부착되는 상태로, 보호구(200)가 복수의 간체(110)에 부착될 수 있다.
낚싯줄(151)이 낚싯줄 가이드(131, 132, 133, 134, 135)의 가이드 링(136)들을 통과하고 있는 상태에서, 낚싯대의 휴대를 위해 복수의 간체(110)가 후방 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낚시인은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에 보호구를 부착시킨다. 또한, 낚시인은,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의 대끝부(141)가 통형체(220)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여유 공간을 해소하도록, 통형체(220)를 후방 방향으로 이동시켜 통형체(220)의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여유 공간의 해소를 위해 통형체(220)가 후방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낚싯줄(151)의 일부가 통형체의 전단(221)과 대끝부의 낚싯줄 가이드(135)의 사이에서 통형체(220)에 의해 굴곡될 수 있다. 낚싯줄(151)이 굴곡된 상태로 소정 기간 방치되면, 굴곡 상태를 유지하는 경향이 낚싯줄(151)에 생긴다. 이러한 낚싯줄(151)은 낚시 도중 낚싯줄의 얽힘 또는 절단과 같은 트러블을 일으키기 쉽다.
그러나, 낚싯줄 슬릿(228)이 통형체(220)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구(200)가 수축 상태에 있는 복수의 간체에 부착되고 통형체(220)의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가 조절되면, 낚싯줄(151)이 낚싯줄 가이드(135)로부터 낚싯줄 슬릿(228)을 통해 통형체(220)의 외부로 통과하는 상태로, 통형체(220)가 대끝부(141)를 수용할 수 있다. 즉, 통형체(220)의 전단과 대끝부(141)와의 사이에 여유 공간이 없도록 통형체(220)의 위치가 조절되어도, 낚싯줄(151)은 낚싯줄 가이드(135)의 전방에서 굴곡됨이 없이, 낚싯줄 슬릿(228)을 통해 통형체(220)를 통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호구(200)가 간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낚싯줄(151)이 통형체(220) 내에서 굴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낚싯대, 110: 복수의 간체, 111: 최전방 간체, 131: 낚싯줄 가이드, 132: 낚싯줄 가이드, 133: 낚싯줄 가이드, 134: 낚싯줄 가이드, 135: 낚싯줄 가이드, 137: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부, 151: 낚싯줄, 200: 낚싯대끝 보호구, 210: 부착체, 211: 통과 슬릿, 212: 부착체의 내주면, 216: 엣지부, 218: 슬라이드 슬릿, 218L: 슬라이드 슬릿, 218R: 슬라이드 슬릿, 220: 통형체, 221: 통형체의 전단, 222: 통형체의 후단, 225: 통형체의 외주면, 226: 단차부, 227: 슬라이드 돌기, 228: 낚싯줄 슬릿, 230: 밴드, 241: 암나사, 242: 고정 나사, SR: 슬라이드 범위, FD: 전방 방향, RD: 후방 방향, FR: 전후 방향, CD: 통형체의 둘레 방향

Claims (10)

  1. 전방 방향으로 신장 및 후방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연결되고 낚싯줄 가이드가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간체에 부착 가능한 낚싯대끝 보호구이며,
    상기 후방 방향(RD)으로 수축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간체(110)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부착체(210)와,
    상기 복수의 간체(110)의 적어도 최전방 간체(111)의 전방 부분 및 상기 최전방 간체에 부착되어 있는 낚싯줄 가이드(134, 135)를 수용하고 덮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착체(210)에 전후 방향(FR)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통형체(220)와,
    상기 부착체(210)에 고정되고 상기 부착체(210)를 상기 복수의 간체(110) 중 하나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밴드(230)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체(210)는, 상기 최전방 간체(111)에 부착된 상기 낚싯줄 가이드의 후방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131, 132, 133)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상기 전후 방향(FR)으로 절결되어 있는 통과 슬릿(211)을 갖고,
    상기 통형체(220)의 상기 전후 방향(FR)에서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상기 통형체(220)가 상기 부착체(210)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부착체(210)는 상기 통형체(220)의 일부를 상기 통형체의 둘레 방향(CD)으로 감싸는 내주면(212)을 갖고,
    상기 통형체(220)는 상기 내주면(2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되는 외주면(225)을 가지며,
    상기 통형체(220)는 상기 외주면(225)에서 상기 부착체(210)에 상기 전후 방향(FR)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낚싯대끝 보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체(220)는, 상기 낚싯줄 가이드의 상기 간체에의 부착을 위한 부착부(137)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낚싯대끝 보호구.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체(210)는, 상기 통과 슬릿(211)을 한정하도록 상기 부착체(210)의 내측으로 구부러진 한 쌍의 엣지부(216)를 갖고,
    상기 통형체(220)는 상기 외주면(225)에, 상기 한 쌍의 엣지부(216)가 각각 걸림결합되는 한 쌍의 단차부(226)를 갖는,
    낚싯대끝 보호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체(210)는 상기 전후 방향(FR)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슬릿(218)을 갖고,
    상기 통형체(220)는, 상기 슬라이드 슬릿(218)에 끼워맞춤되며 상기 슬라이드 슬릿(218)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돌기(227)를 갖는,
    낚싯대끝 보호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체(220)의 상기 전후 방향(FR)에서의 슬라이드 범위(SR)는 10mm 내지 60mm인,
    낚싯대끝 보호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체(210)는 상기 전후 방향(FR)으로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드 슬릿(218L, 218R)을 갖고,
    상기 통형체(220)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슬릿 중 하나의 슬라이드 슬릿(218R)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슬라이드 돌기(227)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슬릿 중 다른 하나의 슬라이드 슬릿(218L)에 면하는 암나사(241)를 갖고,
    상기 통형체(220)는, 상기 다른 하나의 슬라이드 슬릿(218L)을 통해 상기 암나사(241)에 결합되는 고정 나사(242)에 의해 상기 부착체(210)에 고정 가능한,
    낚싯대끝 보호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체(220)는, 상기 통형체의 전단(221)으로부터 상기 통형체의 후단(222)에 걸쳐 절결되어 있고 또한 낚싯줄이 상기 통형체(220)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낚싯줄 슬릿(228)을 갖는,
    낚싯대끝 보호구.
  10. 전방 방향(FD)으로 신장 및 후방 방향(RD)으로 수축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간체(110)와,
    상기 복수의 간체(110)에 부착된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131, 132, 133, 134, 135)와,
    상기 후방 방향(RD)으로 수축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간체(110)에 부착 가능한, 제1항, 제2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낚싯대끝 보호구(200)를 포함하는
    낚싯대.
KR1020210082025A 2021-02-22 2021-06-24 낚싯대끝 보호구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KR102424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06496A JP7197227B2 (ja) 2021-02-22 2022-01-19 釣竿先保護具及び釣竿
CN202210113403.1A CN114946787B (zh) 2021-02-22 2022-01-30 钓竿头保护器及包括钓竿头保护器的钓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293 2021-02-22
KR20210023293 2021-0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632B1 true KR102424632B1 (ko) 2022-07-27

Family

ID=82701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025A KR102424632B1 (ko) 2021-02-22 2021-06-24 낚싯대끝 보호구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97227B2 (ko)
KR (1) KR102424632B1 (ko)
CN (1) CN114946787B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7970B2 (ja) 1978-11-17 1984-11-22 日本ウエ−ブロツク株式会社 基布に合成樹脂を被覆する方法
JPH10155395A (ja) * 1996-12-03 1998-06-16 Shimano Inc 振出式中通し竿用トップカバー
JPH11127737A (ja) * 1997-10-28 1999-05-18 Ryobi Ltd 釣竿保護具
JPH11235138A (ja) * 1997-12-20 1999-08-31 Silver Star Co Ltd 釣竿ガイドの保護カバー
JP2008199987A (ja) * 2007-02-22 2008-09-04 Fuji Kogyo Co Ltd ガイド付き振り出し竿の竿先保護カバー
JP2010233554A (ja) * 2009-03-31 2010-10-21 Globeride Inc 釣竿の保護カバー
CN102907398A (zh) * 2011-08-03 2013-02-06 富士工业株式会社 带引导器的甩竿的竿头保护套
JP2013074860A (ja) * 2011-09-30 2013-04-25 Globeride Inc 竿先保護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1129A (en) 1979-11-15 1981-04-14 Fuji Kogyo Co., Ltd. Guide protector for a telescopic fishing rod
JP3026535B2 (ja) * 1993-09-01 2000-03-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通し釣竿
JP2916400B2 (ja) * 1995-10-24 1999-07-05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導糸環
JP2001275521A (ja) 2000-04-03 2001-10-09 Mamiya Op Co Ltd 穂先折防止用補助具
JP2007061050A (ja) * 2005-09-01 2007-03-15 Shosuke Takahashi 釣部品の取付具及び取付具を備えた釣部品
JP4804330B2 (ja) * 2006-12-21 2011-11-0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KR100952432B1 (ko) * 2007-12-29 2010-04-14 기간산업 주식회사 낚시대용 낚시줄 안내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6860U (ko) * 2008-01-02 2009-07-07 주식회사 바낙스 낚싯대 가이드 커버
JP5506161B2 (ja) * 2008-04-01 2014-05-28 株式会社シマノ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り竿
US8813415B2 (en) * 2010-03-31 2014-08-26 Globeride, Inc. Fishing line gui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ishing line guide
JP2012070637A (ja) * 2010-09-27 2012-04-12 Globeride Inc 釣竿用のガイドプロテクタ
KR101584931B1 (ko) 2015-01-23 2016-01-13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대용 선단 보호구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JP6553455B2 (ja) * 2015-09-02 2019-07-31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釣竿、及び、ガイドフレーム
JP2018148812A (ja) 2017-03-10 2018-09-27 株式会社シマノ 穂先保持具及び釣竿保護具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7970B2 (ja) 1978-11-17 1984-11-22 日本ウエ−ブロツク株式会社 基布に合成樹脂を被覆する方法
JPH10155395A (ja) * 1996-12-03 1998-06-16 Shimano Inc 振出式中通し竿用トップカバー
JPH11127737A (ja) * 1997-10-28 1999-05-18 Ryobi Ltd 釣竿保護具
JPH11235138A (ja) * 1997-12-20 1999-08-31 Silver Star Co Ltd 釣竿ガイドの保護カバー
JP2008199987A (ja) * 2007-02-22 2008-09-04 Fuji Kogyo Co Ltd ガイド付き振り出し竿の竿先保護カバー
JP2010233554A (ja) * 2009-03-31 2010-10-21 Globeride Inc 釣竿の保護カバー
CN102907398A (zh) * 2011-08-03 2013-02-06 富士工业株式会社 带引导器的甩竿的竿头保护套
JP2013074860A (ja) * 2011-09-30 2013-04-25 Globeride Inc 竿先保護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46787B (zh) 2023-08-08
JP2022128407A (ja) 2022-09-01
CN114946787A (zh) 2022-08-30
JP7197227B2 (ja)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4632B1 (ko) 낚싯대끝 보호구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US6154998A (en) Inter-line fishing rod with improved fishline lead-in portion
JP5947970B1 (ja) 釣竿用竿先保護具及びこれを備える釣竿
KR200470112Y1 (ko) 공기주머니가 구비된 낚시찌
US5199206A (en) Fishing rod with line drag and recovery device
JP4327775B2 (ja) 防鳥糸展張装置
KR20170061617A (ko) 낚싯대
JP2008173021A (ja) 釣り竿及びそのトップカバー
JP4023642B2 (ja) 釣竿
EP0832559A2 (en) Telescopic type interline fishing rod
KR200491527Y1 (ko) 반려 동물 가변 안전 리드줄
JP4587241B2 (ja) 釣竿
CN114514913A (zh) 振出竿
JP7011355B2 (ja) 釣用掛け具及びこれを含む釣竿
US11375701B1 (en) Weed guard for fishing hook
JP4824602B2 (ja) ガイド付き振り出し竿の竿先保護カバー
JP3911170B2 (ja) 釣竿
JP3232831U (ja) 釣り竿のトップガイド保護具
JP4270995B2 (ja) 釣竿
EP0893055B1 (en) Fishing rod
JP4420366B2 (ja) 中通し竿
JP4919346B2 (ja) 伸縮式振出竿
KR20160003987U (ko) 낚시용 보조 장치
JP2007195484A (ja) 中通し式釣竿
CN116193986A (zh) 鱼竿导向环用鱼线配置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