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860U - 낚싯대 가이드 커버 - Google Patents

낚싯대 가이드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860U
KR20090006860U KR2020080000029U KR20080000029U KR20090006860U KR 20090006860 U KR20090006860 U KR 20090006860U KR 2020080000029 U KR2020080000029 U KR 2020080000029U KR 20080000029 U KR20080000029 U KR 20080000029U KR 20090006860 U KR20090006860 U KR 200900068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ishing rod
protective cap
tip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to KR2020080000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860U/ko
Publication of KR200900068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86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8Containers f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단 인입된 낚싯대의 선단 가이드를 보호하기 위한 낚싯대 가이드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낚싯대 가이드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인 완충수단을 제공하고, 쉽게 제작이 가능한 낚싯대 가이드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낚싯대 가이드 커버는, 낚싯대의 선단 가이드가 수납되어 보호되는 보호캡과, 보호캡의 후단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낚시대의 본대가 밀착 지지되는 받침대, 및 낚시대의 본대를 감아서 받침대에 고정하는 고정밴드로 구성된 낚싯대 가이드 커버에 있어서, 또는, 여기에 보호캡 선단 내측에 고정되고 낚싯대의 가이드를 관통하는 낚싯줄안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낚싯대 가이드 커버에 있어서, 보호캡의 선단 내측에 고정되는 완충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낚싯대, 가이드, 보호캡, 낚싯줄안내부, 받침대, 고정밴드

Description

낚싯대 가이드 커버 {The cover of fishig rod guide}
본 고안은 다단 인입된 낚싯대의 선단 가이드를 보호하기 위한 낚싯대 가이드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싯대의 선단 가이드가 보호캡에 수납된 상태에서, 가이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낚싯대 가이드의 파손을 방지하는 낚싯대 가이드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릴 낚싯대는 본대, 중간대 및 초릿대의 각 대롱으로 구성되며, 각 대롱에는 가이드가 고정된다. 각 가이드는 대롱의 선단에 돌출 고정되기 때문에 운반시 충격에 의해 파손되기 쉽다. 또한, 각 대롱은 다단 인입될 수 있도록 지름을 달리하는데, 초릿대는 아주 가늘기 때문에 초릿대나 그 선단에 고정되는 톱가이드는 충격에 특히 취약하다.
다단 인입된 낚싯대 선단 가이드의 보호를 위한 수단으로, 낚싯대의 선단 가이드가 수납되어 보호되는 보호캡과, 보호캡의 후단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낚시대의 본대가 밀착 지지되는 받침대, 및 낚시대의 본대를 감아서 받침대에 고정하는 고정밴드로 구성된 낚싯대 가이드 커버를 사용하거나, 여기에, 보호캡 선단 내측에 고정되고 낚싯대의 가이드를 관통하는 낚싯줄안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낚싯대 가이드 커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커버는 외부 충격에 의한 가이드의 보호캡 선단 쪽으로의 쏠림 현상에 대해 그 완충수단을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초릿대 또는 톱가이드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다.
가이드의 쏠림이 있는 경우에 그 완충수단으로, 종래에는 보호캡 선단 내측에 고정 부착되는 고무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가이드의 쏠림 자체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 수단으로는, 보호캡 내측에 완충밴드를 구비하는 것이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보호캡 후단에서 선단까지 이어지는 완충밴드를 보호캡 내측 저부에 내설하고, 그 완충밴드의 선단은 굽힘률을 갖는 만곡형의 자유단을 형성하며, 완충밴드의 선단에 구멍을 내어 여기에 낚싯줄안내부를 끼움 고정하고, 낚싯줄안내부를 가이드에 관통시킨 채 당겨서 고정함으로써 가이드의 쏠림을 방지하는 것과, 또 다른 수단으로, 보호캡 내측 저부에 수개의 지지돌기를 형성하고, 각 지지돌기는 낚싯대 각 대롱의 선단 마디에서 대롱을 지지하게 함으로써 가이드의 쏠림을 방지하는 것이 있다.
낚싯대 가이드 커버에 있어서, 다단 인입된 낚싯대에 가이드 커버를 씌워 고정한 상태에서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대비하여, 그 완충수단으로 제시하는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완충수단으로 보호캡 선단 내측에 부착 고정되는 고무판에 의하는 종래기술은, 첫째, 고무판은 그 무름성에 한계가 있어서 충분한 완충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둘째, 완충판의 끝단은 톱가이드와 일정한 거리를 둔 상태에서 가이드의 쏠림에 대비하게 되므로, 가이드의 쏠림이 시작되어 톱가이드가 고무판에 닿기까지 시간적, 공간적 여유가 있게 되고, 이로 인해 가이드에 가해지는 충격이 증가하여 완충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셋째, 고무판은 끝단이 가이드의 쏠림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므로 가이드의 굽힘에 대한 완충기능을 발휘할 수 없고, 넷째, 보호캡은 후단의 개구부가 좁은 통형으로, 보호캡의 선단으로 갈수록 더 좁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보호캡의 선단 내측에 완충판을 견고하게 부착 고정하는 작업이 수월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다음, 완충수단으로 완충밴드에 의하는 종래 기술은, 완충밴드의 제작에 따른 비용부담의 증가가 문제되며, 완충수단으로 보호캡 내측 저부에 지지돌기를 형성하는 종래 기술도, 지지돌기가 보호캡 소재와 동일하게 플래스틱 소재로 이루어 지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충격 완화효과가 있기보다는, 단지 대롱의 간격을 유지시켜 정렬하는 것에 불과하다. 더불어, 완충밴드나 지지돌기에 의하는 상기 양 수단은 공히, 가이드의 굽힘에 대한 완충효과를 기대하기 힘든 점, 그리고 낚싯대 가이드 커버의 구조가 매우 복잡해서 그 제작이 쉽지 않은 점이 문제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가이드의 쏠림 및 굽힘에 대비한 완충수단을 제공하고, 또한 그 제작 및 비용부담면에서 보다 유리한 낚싯대 가이드 커버와 관련된다.
전술한 종래의 완충수단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낚싯대의 선단 가이드가 수납되어 보호되는 보호캡과, 보호캡의 후단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낚시대의 본대가 밀착 지지되는 받침대, 및 낚시대의 본대를 감아서 받침대에 고정하는 고정밴드로 구성된 낚싯대 가이드 커버에 있어서, 또는, 여기에, 보호캡 선단 내측에 고정되고 낚싯대의 가이드를 관통하는 낚싯줄 안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낚싯대 가이드 커버에 있어서, 보호캡의 선단 내측에 고정되는 완충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이 제공하는 완충수단인 완충 스프링은, 종래 고무판과 비교하여 우월한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더 나은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완충스프링은 낚싯대의 커버에의 수납시점부터 가이드를 밀착 지지하게 되므로, 가이드의 쏠림이 시작되어 완충스프링이 완충기능을 시작하기까지 시간적, 공간적 여유가 발생치 않아서, 가이드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되며, 완충스프링의 후단은 자유단을 이루어서 충격에 대한 유동폭을 가지기 때문에 가이드의 쏠림 뿐 아니라 가이드의 굽힘에 대해서도 완충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효과의 귀결로서,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낚싯대 가이드를 보호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낚싯대 가이드 커버의 제작에 있어서도, 완충스프링을 낚싯줄 안내부의 선단에 형성된 스프링체결부에 끼움 고정하는 단순 작업이 요구될 뿐이어서, 쉽게, 그리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낚싯대 가이드 커버는, 낚싯대의 선단 가이드가 수납되어 보호되는 보호캡과, 보호캡의 후단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낚시대의 본대가 밀착 지지되는 받침대, 및 낚시대의 본대를 감아서 받침대에 고정하는 고정밴드로 구성된 낚싯대 가이드 커버에 있어서, 또는, 여기에 보호캡 선단 내측에 고정되고 낚싯대의 가이드를 관통하는 낚싯줄안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낚싯대 가이드 커버에 있어서, 보호캡의 선단 내측에 고정되는 완충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 도면에는 상기 낚싯줄안내부(20)를 포함하는 낚싯대 가이드 커버(1)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보호캡(10)은 다단 인입된 낚싯대(6)의 가이드부가 수납되도록 통형의 형상을 갖으며,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호캡(10) 선단의 외주면에는 완충기능을 보강하기 위한 완충캡(4)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단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캡(10)의 선단 내측에는, 낚싯줄안내부(20) 및/또는 완충스프링(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보호캡(10)의 선단 내측에 끼움홈 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거나, 그 외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낚싯줄안내부(20)의 쉬운 고정을 위해서 보호캡(10)의 선단에 끼움공(1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끼움공(11)은 낚싯줄안내부(20)의 견고한 끼움 고정을 위해 원기둥 형상에서 보호캡(10)의 선단 내측으로 지름이 보다 작은 단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첨부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보호캡(10)의 선단 내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가 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낚싯줄안내부(20)는, 봉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봉(23)이 구비되고, 가이드봉(23)은 다단 인입되어 수납된 낚싯대의 가이드(5)를 관통하여, 가이드(5)의 정렬 유지를 돕게 되며, 또한, 낚싯줄안내부(20)의 끝단에는 낚싯줄끼움공(24)이 형성되어, 여기에 낚싯줄을 끼운 상태에서 낚싯대 가이드 커버(1)를 이탈시키면 쉽게 가이드에 낚싯줄을 관통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낚싯줄안내부(20)가 보호캡(10)의 선단 내측에 쉽고,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서는, 전술한 끼움공(11)이 구비된 보호캡(10)의 선단에 끼움 고정되게 하되, 맞춤 끼움이 되도록, 낚싯줄안내부(20)의 선단에 끼움부(21)를 형성하며, 그 형상은 끼움공(11)과 서로 암수의 형상이 되도록 전술한 끼움공(11)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끼움부(21)에는, 완충스프링(30)이 쉽게 보호캡(10) 선단 내측에서 고정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끼움부(21)에서 돌출 형성되고 완충스프링(30)이 끼움 고정되는 스프링체결부(2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스프링(30)은, 가이드봉(23)에 의해 관통되어 스프링체결부(22)에 끼움 고정됨으로써, 낚싯대 가이드 커버의 보다 수월한 제작을 돕게 된다.
완충스프링(30)의 후단은, 후술하는 완충판이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낚싯대의 톱가이드(7)를 지지하게 되고, 가이드의 굽힘에 대해서도 완충기능을 하도록 자유단을 형성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봉(23)은, 완충스프링(30) 및 가이드의 굽힘에 적응하고, 또한 낚싯대 축에서 높이를 달리하는 가이드(5)를 관통할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완충스프링(30)의 후단에는, 가이드의 쏠림이 있는 경우에 완충스프링(30)보다 선행하여 추가적인 완충기능을 수행하도록 완충판(31)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완충판(31)은 완충스프링(30)의 후단에 끼움 고정되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가이드봉(23)에 의해 관통되어 가이드봉(23)과 마찰없이 낚싯대 축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봉(23)보다 대경의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단 인입된 낚싯대가 가이드 커버에 수납되면, 완충판(31)은 완충스프링(30) 후단에 고정되어 낚싯대의 톱가이드(7)를 면접촉하여 지지하게 되는데, 그 접부에서는 톱가이드(7)의 유동이 없도록 마찰력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완충판(31)이 부가적인 완충수단이 되는 점에서, 완충판(31)은 고무와 같은 완충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가이드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낚싯대 가이드 커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낚싯대 가이드 커버의 보호캡의 단면도,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낚싯대 가이드 커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낚싯대 가이드 커버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낚싯대 가이드 커버 2 : 받침대
3 : 고정밴드 4 : 완충캡
5 : 가이드 6 : 다단 인입된 낚싯대
7 : 톱가이드 10 : 보호캡
11 : 끼움공 20 : 낚싯줄안내부
21 : 끼움부 22 : 스프링체결부
23 : 가이드봉 24 : 낚싯줄끼움공
30 : 완충스프링 31 : 완충판

Claims (7)

  1. 낚싯대의 선단 가이드가 수납되어 보호되는 보호캡과, 상기 보호캡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낚싯대의 본대가 밀착 지지되는 받침대, 및 낚싯대의 본대를 감아서 상기 받침대에 고정하는 고정밴드로 이루어진 낚싯대 가이드 커버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선단 내측에 고정되는 완충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가이드 커버.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선단 내측에 고정되고 낚싯대의 가이드를 관통하는 봉형의 낚싯줄안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스프링은 상기 낚싯줄안내부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보호캡 선단 내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가이드 커버.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선단에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낚싯줄안내부는 상기 끼움공에 끼움 고정되도록 상기 낚싯줄안내부의 선단에 끼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가이드 커버.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끼움공은 암형의 끼움공이 되도록 원기둥 형상에서 보호캡 선단 내측방향으로 보다 소경의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는 수형의 끼움부가 되도록 상기 끼움공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가이드 커버.
  5.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끼움공은 암형의 끼움공이 되도록 보호캡 선단 내측방향으로 보다 소경의 테이퍼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는 수형의 끼움부가 되도록 상기 끼움공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가이드 커버.
  6.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스프링체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완충스프링은 상기 스프링체결부에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가이드 커버.
  7. 청구항 2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스프링의 후단에 부착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봉이 관통하는 관통공 이 형성되는 완충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가이드 커버.
KR2020080000029U 2008-01-02 2008-01-02 낚싯대 가이드 커버 KR200900068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029U KR20090006860U (ko) 2008-01-02 2008-01-02 낚싯대 가이드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029U KR20090006860U (ko) 2008-01-02 2008-01-02 낚싯대 가이드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860U true KR20090006860U (ko) 2009-07-07

Family

ID=4133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029U KR20090006860U (ko) 2008-01-02 2008-01-02 낚싯대 가이드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86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715U (ko) 2016-12-01 2018-06-11 이몽용 꽂이식 릴 낚시대용 선단커버
US20220000090A1 (en) * 2018-11-16 2022-01-06 Edward Pierson Impact Resistant Fishing Rod Case
JP2022128407A (ja) * 2021-02-22 2022-09-01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先保護具及び釣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715U (ko) 2016-12-01 2018-06-11 이몽용 꽂이식 릴 낚시대용 선단커버
US20220000090A1 (en) * 2018-11-16 2022-01-06 Edward Pierson Impact Resistant Fishing Rod Case
JP2022128407A (ja) * 2021-02-22 2022-09-01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先保護具及び釣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3272B2 (en) Clip
JP6702679B2 (ja) 長円形物体の振動遮断性取り付けのためのプラスチック製ホルダ
JP2022000243A5 (ko)
US20150296761A1 (en) Fishing rod
KR20090006860U (ko) 낚싯대 가이드 커버
US10094491B1 (en) Organizing device for cable and wire
JP2916431B2 (ja) 釣竿用導糸環
CN113040105A (zh) 钓竿及抽出式的钓竿套件
US11033085B1 (en) Detachable sunshade umbrella rib
ES2309526T3 (es) Muelle de platillo protegido contra desplazamiento axial sobre una superficie cilindrica circular de un cuerpo receptor.
KR101572645B1 (ko) 길이 가변 폴
JP2916430B2 (ja) 釣竿用導糸環
JP2010233554A (ja) 釣竿の保護カバー
US20030196406A1 (en) Portable flag holding pole
JP4094488B2 (ja) 釣竿用トップカバー
KR200468466Y1 (ko) 낚시대용 줄감개
JP2006263004A (ja) チップ係止具
KR200309234Y1 (ko) 낚시대 줄감기
CN210681735U (zh) 一种防支脚弯折的二极管
CN211513340U (zh) 一种球和拍一体式新型乒乓球拍
KR101410537B1 (ko) 휴대용 이어폰 수납구
WO2018038747A1 (en) Portable flag pole
JP3795403B2 (ja) 釣竿収納アダプタ
JP3188180B2 (ja) 釣り竿
US20050209028A1 (en) Badminton net re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