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553B1 - 야채수를 이용한 야채스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야채수를 이용한 야채스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553B1
KR102416553B1 KR1020190067235A KR20190067235A KR102416553B1 KR 102416553 B1 KR102416553 B1 KR 102416553B1 KR 1020190067235 A KR1020190067235 A KR 1020190067235A KR 20190067235 A KR20190067235 A KR 20190067235A KR 102416553 B1 KR102416553 B1 KR 102416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
minutes
water
prepared
prep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958A (ko
Inventor
최예인
Original Assignee
최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예인 filed Critical 최예인
Priority to KR1020190067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553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9/00Cheese; Cheese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9/06Treating cheese curd after whey separation; Products obtained thereby
    • A23C19/068Particular types of cheese
    • A23C19/072Cheddar type or similar hard cheeses without ey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05Sweet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2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of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05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from liliaceae, e.g. onions, gar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채수를 이용한 야채스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야채수를 제조하는 단계; (b) 올리브 오일에 야채를 넣고 볶는 단계; (c) 제조된 야채수에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제조된 야채 베이스에 우유를 넣고 가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야채수를 이용한 야채스프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VEGETABLE SOUP CONTAINING VEGETABLE JUICE}
본 발명은 야채수를 이용한 야채스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정제수 대신 유기농 야채수를 사용함으로써 영양분의 체내 흡수율을 높이고 비타민의 효능을 극대화하여 면역력 향상, 혈액순환 개선 등에 도움을 주는 야채스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달하면서 현대인들은 수많은 스트레스와 환경공해로 인해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로인해 현대인들은 건강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지만 바쁜 생활속에서 충분히 건강을 돌볼 여유가 없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잘못된 식문화를 바꿈으로써 건강을 되찾으려는 노력을 다방면으로 하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가 육류대신 채소를, 더 나아가 일반 채소 대신 유기농 채소를 이용하여 식문화를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일본의 예방의화학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는 다테이시 가즈 박사가 저술한 "몸에 좋은 야채수프 건강법"에서는 무, 당근, 우엉, 무청, 표고버섯을 물에 배합하여 물에 끓여 마시면 몸이 따뜻해져 세포나 혈액 속에 굳어 있는 노폐물과 독기가 배출되어 피가 맑아지고 우리 몸속에 여러가지 이로운 물질이 형성되어 신체기능이 향상된다는 연구결과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무, 우엉, 당근의 경우 양기식물로 몸을 따뜻하게 하며, 이에 반해 무청, 표고버섯은 음기식물로 알려져 있으나 무청과 표고버섯을 햇볕에 말릴경우 양기를 띄게 된다. 이렇게 무, 우엉, 당근 및 말린 무청 및 표고버섯을 달여 마시면 몸을 따뜻하게 하고 몸을 보하게 된다는 동양의학에서 나온 원리라 할 수 있다.
무, 당근, 우엉, 무청의 경우 근채류(뿌리, 줄기를 식용하는 야채의 총칭)에 해당하는 것으로, 각각 여러가지 효능으로인해 약재로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무의 경우 동의보감에 따르면, "무는 성질이 따듯하고 맛은 맵고 달면서 독이 없는 약재로 그 효능은 먹은 것을 소화시키고 담벽을 제거하며 소갈을 그치게 하는가 하면, 관절을 이롭게 하고 오장에 있는 나쁜 기운을 씻어내며 폐위로 피를 토하는 것과 허로로 인해 마르는 증세와 기침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쓴다." 라고 무의 효능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당근은 카로틴 함유량이 당근 100g당 무려 7300mg이나 들어있어 일반 녹황색 채소 평균 함유량 600mg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풍부한 카로틴을 포함하고 있다. 당근을 매일 섭취할 경우 폐암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카로틴 성분으로 인해 폐암 발생위험이 절반으로 떨어진다는 미국암연구소의 연구발표도 있다.
우엉은 중국에서 약재로만 이용하는 것과 달리 한국과 일본에서만 식용으로 이용하고 있는 채소로, 아르기닌, 철분, 탄닌성분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아르기닌성분의 경우 성호르몬의 분비를 돕고 강정효과가 있으며, 철분의 경우 조혈하는 능력 및 미용에 효과적인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또한 탄닌의 경우 소염작용 및 통증을 멈추는 작용을 하며 예로부터 피부염, 습진, 두드러기를 위한 약재로 많이 이용되었다.
무청의 경우, 농촌진흥청의 식품성분데이터에 따르면 무청 100g당 비타민 A가 무려 8,710μ, 칼슘은 229mg이 들어있어 배추나 무보다 더 많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한국식품연구원 김영진 박사팀의 2004년도 연구결과에 의하면 무청이 간암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실험결과도 이미 나와있다.
표고버섯의 경우 버섯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표고버섯 100g 당 비타민 B1이 123mg, B2는 10.5mg으로 일반 야채의 2배를 함유하고 있으며,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 및 혈압강하작용, 항바이러스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표고버섯에 들어 있는 렌티난이라는 다당체는 항종양 효과를 나타낸다고 이미 임상실험결과 밝혀졌다.
한편, 야채스프는 토마토, 브로컬리, 호박, 버섯, 시금치, 아스파라거스, 컬리플라워, 당근 등 체내 흡수율이 높고 비타민이 풍부한 식재료 위주로 만들어지는 음식인데, 과일로 구성되어 당분이 과다한 주스와는 달리, 당분이 높지 않은 야채로만 구성되어 혈당량을 낮출 수 있고 현대인들이 놓치기 쉬운 여러 비타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든 사람에게 이상적인 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야채스프가 제품화되거나 수제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지만, 일반 물이나 정제수에 상기 토마토, 브로컬리 등의 야채를 넣고 끓여서 제조되는 야채스프가 대다수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야채스프의 경우 제조과정에서 상당량의 영양소들이 파괴될 뿐만 아니라 야채 원재료의 향이 제거되어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야채스프의 경우 역겨운 냄새로 인해 일반 대중이 음용하기 꺼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31815호 한국 등록특허 제10-0515293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정제수 대신 야채수를 이용하여 야채스프를 제조함으로써 야채가 제공하는 영양분의 체내 흡수율을 높이고 야채가 함유하고 있는 비타민의 효능을 극대화시키는 야채스프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 야채원료에 따라 구체적인 조리법을 달리하여 제조과정에서 원재료의 영양소가 파괴되는 것을 막고 원재료 본연의 향을 유지시키며 야채의 역겨운 냄새를 최소화시키는 야채스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a) 야채수를 제조하는 단계;
(b) 올리브 오일에 야채를 넣고 볶는 단계;
(c) 제조된 야채수에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제조된 야채 베이스에 우유를 넣고 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야채스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반 정제수 대신 야채수를 이용하여 야채스프를 제조함으로써 야채가 제공하는 영양분의 체내 흡수율을 높이고 야채가 함유하고 있는 비타민의 효능을 극대화시키는 야채스프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 야채원료에 따라 구체적인 조리법을 달리하여 제조과정에서 원재료의 영양소가 파괴되는 것을 막고 원재료 본연의 향을 유지시키며 야채의 역겨운 냄새를 최소화시키는 야채스프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야채수를 이용한 야채스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야채가 제공하는 영양분의 체내 흡수율을 높이고 야채가 함유하고 있는 비타민의 효능을 극대화시키며 원재료의 영양소가 파괴되는 것을 막고 원재료 본연의 향을 유지시키며 야채의 역겨운 냄새를 최소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야채스프 제조방법은,
(a) 야채수를 제조하는 단계;
(b) 올리브 오일에 야채를 넣고 볶는 단계;
(c) 제조된 야채수에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 소금을 넣고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제조된 야채 베이스에 우유를 넣고 가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각 구성 성분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야채수를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야채수는 크게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a-1) 재료준비단계
먼저, 무청은 늦가을에 수확한 것을 사용하도록하며 한겨울에 응달에서 10일간 자연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며 표고버섯은 반드시 낮에 자연 햇빛으로 11-12시간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표고버섯 건조시에는 반드시 자연건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인공건조시에는 비타민 D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무, 당근, 우엉은 껍질이 손상되지 않을 정도로 겉의 이물질을 공기방울 세척기로 씻어내고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2-4℃에서 24시간 저온후숙시키도록 한다. 2℃미만의 온도에서 24시간 후숙시킬 경우에는 거의 후숙이 진행되지 않으며, 4℃가 넘는 온도에서 후숙시킬 경우 후숙과정 이후 자연건조시 쉽게 말라비틀어지는 문제점이 생겼다. 따라서 후숙온도와 시간은 반드시 지켜주어 야채수의 맛과 향을 최대한 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온후숙된 무, 당근, 우엉 중 무와 당근은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3-4일간 자연건조시킨다. 상기 5가지 재료를 혼합가열시 맛과 향이 잘 우러나오도록 준비하기 위해, 건조된 무와 당근은 1.5-2cm 두께로 4등분, 표고버섯은 2등분하여 세절하고, 우엉과 무청은 10-15cm 길이로 절단하도록 한다.
(a-2) 혼합가열 및 숙성단계
자연건조시킨 무와 당근을 진공가열기에 넣어 0.3기압(228mmHg)하에서 교반하여 7-9분 볶아주도록 한다. 여기에 상기에서 준비한 우엉, 무청, 표고버섯을 투입하여 물을 부어 120℃에서 35-40분간 진공가열하도록 한다. 혼합 비율은 물 300 중량부에 대해 무 65-70 중량부, 당근 23-30 중량부, 우엉 30-35 중량부, 표고버섯 10-13 중량부, 무청 9-13 중량부가 되도록 한다.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야채수의 경우 통상적으로 100℃에서 약 1시간 정도 가열하는 방식이며, 이렇게 제조된 야채수를 냉장보관시 유통기한이 3-5일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120℃에서 35-40분간 진공가열함으로써 야채수의 유통기한을 15-20일까지 가도록 하였다.
가열이 끝나면 90℃에서 10분간만 숙성을 시키도록 한다. 가열 후 이 90℃에서 각 재료의 고유한 맛과 향이 우러나오는 단계이므로 온도를 정확히 지켜주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숙성온도와 시간을 과도하게 높게 잡을 경우 추출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영양파괴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숙성시간을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3) 여과단계
숙성단계를 마친 야채혼합물을 진공가열기에 연결된 유리배관을 통해 이동하도록하여 60-80mesh 기공의 바스켓 필터로 1차여과를 행하고, 다시 3-5㎛기공을 가지면서 5겹으로 이루어진 부직포 필터를 사용하여 2차 여과를 실시하여 맑은 야채수를 얻도록 한다.
(b) 올리브 오일에 야채를 넣고 볶는 단계
본 발명은 냄비 또는 팬에 올리브 오일 및 야채를 넣고 볶는 단계를 포함한다.
올리브 오일은 올리브나무(감람나무)의 열매에 함유된 30~70%의 기름으로서, 압착법 또는 추출법으로 채유한다. 지방산의 주성분은 불포화산인 올레산(oleic acid)으로, 함량은 65~85% 정도이며, 포화지방산으로는 팔미트산이 주성분이다. 올리브 오일은 소화기능을 돕고, 신체기관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동물성 기름은 물론 다른 식물성 기름보다도 불포화 지방산의 함유량이 높아서 심장 질환의 원인이 되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데 도움을 준다. 게다가 항산화물질을 많이 가지고 있어서, 동물성 기름이나 여타 식물성 기름처럼 건강에 해로운 유독가스를 배출하지 않고도 200℃이상까지 견뎌낸다. 올리브유 가운데 항심장병 물질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고 효과도 좋은 것은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extra virgin olive oil)이다. 이러한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은 자연산성도가 1.0% 미만으로 맛과 향 모두가 최고품질을 갖고 올리브 자체를 최초로 압착해서 얻어낸 올리브 오일으로서, 맛이 담백하고 깔끔하다.
본 단계에서 사용되는 야채는 고구마, 단호박, 당근, 양파, 렌틸콩, 브로컬리, 시금치, 아스파라거스, 양송이 버섯, 컬리플라워, 토마토 등에 해당한다.
토마토는 다량의 비타민과 무기질 공급원,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뇌졸중, 심근경색, 혈당 저하, 암 예방에 효과적이다. 토마토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에는 구연산, 사과산, 호박산, 아미노산, 루틴, 단백질, 당질, 회분, 칼슘, 철, 인,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 식이섬유 등이다. 비타민 C의 경우 토마토 한 개에 하루 섭취 권장량의 절반가량이 들어 있다. 토마토가 건강식품으로 주목받는 가장 큰 이유는 '라이코펜' 때문이다. 토마토의 붉은색을 만드는 라이코펜은 노화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배출시켜 세포의 젊음을 유지시킨다. 또한 라이코펜은 남성의 전립선암, 여성의 유방암, 소화기계통의 암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다. 토마토는 비타민 K가 많아 칼슘이 빠져 나가는 것을 막아주고 골다공증이나 노인성 치매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토마토에 함유된 비타민 C는 피부에 탄력을 줘 잔주름을 예방하고 멜라닌 색소가 생기는 것을 막아 기미 예방에도 효과가 뛰어나다. 아울러 토마토에 들어 있는 칼륨은 체내 염분을 몸 밖으로 배출시켜 우리나라 사람들의 짜게 먹는 식습관에서 비롯된 고혈압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브로컬리는 비타민, 미네랄 및 강력한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암예방과 염증 감소에 효과적인 식재료이다. 산화방지와 혈당조절에 효과적인 작용을 하여 심장건강에 도움을 주며 노화를 늦추는데 도움을 준다. 미국 영양학회지에는 브로콜리의 설포라판이 유방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대장암을 예방해 준다는 사실을 입증하였으며, 인돌 3 카비놀은 유방암의 발생원인 중 하나인 에스트로겐 분비를 억제한다고 보고되었다. 루테올린은 브로콜리, 샐러리, 양배추, 시금치, 콜리플라워에 들어 있으며, 정상세포와 암세포의 신호전달체계를 선택적으로 조절해 암세포만을 사멸시킨다는 다수의 보고가 있다.
호박은 칼로리가 적으면서도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다. 호박에는 항산화 물질인 알파 카로틴, 베타 카로틴, 베타-크립토 산틴(bet-cryptoxanthin) 등이 포함되어 있어 세포를 보호할 수 있다. 호박은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있는 비타민 A와 C가 풍부하다. 비타민 E, 철분 및 엽산의 공급은 면역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호박의 높은 비타민 A, 루테인 및 제아잔틴 함유량은 눈의 시력을 보호해 줄 수 있다. 호박은 한 컵(245그램) 당 50 칼로리 이하로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며 식욕을 억제 할 수있는 좋은 섬유소가 많이 들어있다. 호박은 산화 방지제로 작용하는 카로티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 화합물은 위암, 인후 암, 췌장암 및 유방암 발생률을 낮춰준다. 호박은 심장 건강에 도움이되는 칼륨, 비타민 C, 섬유 및 항산화 물질의 좋은 공급원이다.
양송이 버섯은 칼로리가 매우 적지만, 필수 단백질 및 아미노산, 충분한 수준의 미네랄, 비타민 및 섬유를 제공한다. 양송이 버섯에 많은 비타민 D는 뼈의 성장과 칼슘 대사에 필수적인 지용성 비타민이며 풍부한 양의 셀레늄, 구리, 인, 아연 및 칼륨을 함유하고 있다. 양송이 버섯은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B-6, 판토텐산과 같은 비타민 B 복합체가 풍부하며 혈액세포생산에 필요한 구리, 간과심장 세포에 도움을주고 항산화작용을 하는 셀레늄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시금치는 많은 비타민과 미네랄의 훌륭한 공급원이며, 암발생을 예방하는 비타민 A와 카로티노이드, 피부 건강과 면역 기능을 촉진시키는 강력한 항산화제인 비타민 C, 혈액 응고에 필수적인 비타민 K1, 정상적인 세포 기능과 조직 성장에 필수적이며 임산부에게는 매우 중요한 엽산, 몸의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는 헤모글로빈 생성을 도와주는 철분, 뼈 건강에 필수적이며 신경계, 심장 및 근육에 중요한 신호 분자인 칼슘을 함유한다.
아스파라거스는 필수 비타민과 미네랄, 특히 엽산과 비타민 A, C 및 K의 훌륭한 공급원인 저칼로리 야채이다. 아스파라거스는 비타민 C와 E,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 페놀 등 항산화 물질의 좋은 공급원이다. 좋은 섬유 원료인 아스파라거스는 규칙성 및 소화 건강을 증진시키며 심장병, 고혈압 및 당뇨병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아스파라거스에는 임신 중에 신경관 결함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영양소인 엽산(비타민 B9)의 함량이 높다. 아스파라거스에는 고혈압을 낮추는데 도움이되는 칼륨이 들어 있다. 또한, 동물 연구에 따르면 아스파 라 거스가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추는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컬리플라워에는 비타민이 풍부하여 피로회복과 미용증진에 효과적이다. 특히, 컬리플라워 100g에 하루 권장량의 비타민C가 포함돼 있을 정도로 비타민C의 함유량이 많다. 일반적인 비타민C는 가열하면 쉽게 파괴되지만 컬리플라워의 비타민C는 가열해도 쉽게 손실되지 않는다. 컬리플라워는 100g당 약 25kcal로 저칼로리 음식이면서 속이 든든한 느낌을 줘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이다. 특히 컬리플라워에는 글루코시놀레이트와 설포라판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다. 글루코시놀레이트와 설포라판은 강력한 항암작용과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암을 예방하고 암 세포의 증식을 막는데 유용하다.
'비타민 A의 황제'라고 불리는 당근은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고, 녹황색 채소 중 베타카로틴의 함량이 가장 높습니다. 이 베타카로틴은 체내 흡수되면 비타민 A로 전환되는데 이는 특히 눈 건강에 좋으며, 이외에도 항산화 작용으로 노화 방지 및 암 예방에 도움을 준다. 당근에는 루테인, 리코펜 성분이 풍부하여 눈 건강과 시력 형성에 효과가 있으며, 면역력 향상, 고혈압,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c) 제조된 야채수에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 소금을 넣고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은 냄비에 기 제조된 야채수,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 소금을 넣고 끓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히말라야 핑크소금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최상급의 염분으로서 천연 미네랄성분이 84종이상 포함되어 있으며 오랜 세월 동안 지층이나 암석으로 퇴적되어 만들어진 100% 순수한 자연암염으로 오염되지 않은 순수하고 깨끗한 소금이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플라스틱 문제와도 관련이 없으며 인위적인 정제과정을 거치지 않아 간수가 없고 나트륨 함량이 낮은 건강한 소금이다.
(d) 제조된 야채 베이스에 우유를 넣고 가는 단계
본 발명은 그라인더 기기에 제조된 야채 베이스, 우유, 크림 및/또는 체다를 넣고 가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 야채수 제조
무 1kg, 당근 350g, 우엉 200g, 건조된 무청 100g 및 건조된 표고버섯 100g을 준비한 뒤, (1) 무, 당근, 우엉을 공기방울 세척기에 넣어 겉의 이물질만 제거할 정도로만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3℃ 냉장실에서 하루동안 보관하여 후숙시키도록 한다. 후숙을 마친 무, 당근, 우엉 중 무와 당근은 3일간 그늘에서 자연건조시킨다. (2) 무와 당근은 2cm 두께로 4등분 깍둑썰기로, 표고버섯은 2등분으로 세절하며, 우엉과 무청은 10cm 길이로 절단한다. (3) 스테인레스 재질의 진공가열기에 무와 당근을 넣고 0.3기압(228mmHg)하에서 8분동안 교반하면서 볶아준다. 여기에 우엉, 무청, 표고버섯을 넣고 천연암반수를 부어 120℃에서 40분간 진공가열하고 다시 90℃에서 10분간 가열하면서 숙성시간을 갖도록 한다. 이때 외부와의 밀폐를 유지하여 안에서 생성된 자체 고유의 향이 밖으로 새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숙성된 야채혼합물을 진공가열기에 연결된 유리배관을 통해 여과기로 이동하도록 하여 60mesh 기공의 바스켓 필터로 1차여과를 행하고 다시 3-5㎛기공을 가지면서 5겹으로 이루어진 부직포 필터를 사용하여 2차 여과를 실시하여 무, 당근, 우엉, 무청, 표고버섯 자체 고유한 향이 우러나는 맑은 야채수를 얻게 된다.
<실시예 2> - 고구마 야채스프
삶은 고구마 1800g, 양파 300g, 올리브 오일 1.5 티스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야채수 400ml, 히말라야 핑크소금 1.5 티스푼 및 우유 150ml을 준비한 뒤, (1) 팬에 올리브 오일과 양파를 넣고 5분 동안 볶는다. (2) 삶은 고구마의 껍질을 벗긴 후 으깨고, 팬에 으깨진 고구마와 볶인 양파를 넣고 5분 동안 볶는다. (3) 냄비에 야채수, 볶인 야채(고구마 및 양파 포함)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냄비의 뚜껑을 연 채 10분 동안 끓여 야채 베이스(고구마 베이스)를 제조한다. (4) 그라인더에 고구마 베이스 200ml 및 우유를 넣고 3,000rpm의 칼날 회전속도로 1분 동안 가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고구마 야채스프를 얻게 된다.
<실시예 3> - 단호박 야채스프
단호박 1200g, 당근 300g, 올리브 오일 1 티스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야채수 1000ml, 히말라야 핑크소금 1 티스푼 및 우유 100ml을 준비한 뒤, (1) 팬에 올리브 오일, 당근 및 단호박을 넣고 15분 동안 볶는다. (2) 냄비에 야채수, 볶인 야채(당근 및 단호박 포함)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냄비의 뚜껑을 닫은 채 30분 동안 끓여 야채 베이스(단호박 베이스)를 제조한다. (3) 그라인더에 단호박 베이스 200ml 및 우유를 넣고 3,000rpm의 칼날 회전속도로 1분 동안 가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단호박 야채스프를 얻게 된다.
<실시예 4> - 당근 야채스프
당근 1200g, 단호박 100g, 올리브 오일 1 티스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야채수 450ml, 히말라야 핑크소금 1 티스푼 및 우유 100ml을 준비한 뒤, (1) 팬에 올리브 오일, 당근 및 단호박을 넣고 15분 동안 볶는다. (2) 냄비에 야채수, 볶인 야채(당근 및 단호박 포함)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냄비의 뚜껑을 닫은 채 30분 동안 끓여 야채 베이스(당근 베이스)를 제조한다. (3) 그라인더에 당근 베이스 200ml 및 우유를 넣고 3,000rpm의 칼날 회전속도로 1분 동안 가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당근 야채스프를 얻게 된다.
<실시예 5> - 렌틸콩 야채스프
렌틸콩 450g, 당근 300g, 감자 300g, 양파 300g, 다진마늘 1.5 티스푼, 토마토 페이스트 150g, 올리브 오일 1 티스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야채수 1000ml, 히말라야 핑크소금 2 티스푼, 우유 50ml 및 크림 50g을 준비한 뒤, (1) 렌틸콩을 물에 헹군 뒤 체에 담아 물기를 뺀다. (2) 당근, 감자 및 양파를 깍둑썰기로 썬다. (3) 팬에 올리브 오일, 양파, 감자 및 당근을 넣고 5분 동안 볶는다. (4) 팬의 뚜껑을 닫고 약불에서 볶인 양파, 감자 및 당근을 5분 동안 뜸을 들인다. (5) 팬에 렌틸콩 및 토마토 페이스트를 추가로 넣고 5분 동안 볶는다. (6) 냄비에 야채수, 볶인 야채(양파, 감자, 당근, 렌틸콩 및 토마토 페이스트 포함)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냄비의 뚜껑을 닫은 채 중불에서 40분 동안 끓여 야채 베이스(렌틸콩 베이스)를 제조한다. (7) 그라인더에 렌틸콩 베이스 200ml, 크림 및 우유를 넣고 500rpm의 칼날 회전속도로 7초 동안 가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렌틸콩 야채스프를 얻게 된다.
<실시예 6> - 브로콜리 야채스프
브로콜리 1050g, 양파 600g, 감자 450g, 올리브 오일 1 티스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야채수 450ml, 히말라야 핑크소금 1 티스푼, 체다 20g 및 우유 100ml을 준비한 뒤, (1) 팬에 올리브 오일 및 양파를 넣고 5분 동안 볶는다. (2) 팬에 볶인 양파 및 감자를 넣고 10분 동안 볶는다. (3) 냄비에 야채수, 볶인 야채(양파 및 감자 포함), 히말라야 핑크소금 및 브로콜리를 넣고 냄비의 뚜껑을 닫은 채 중불에서 15분 동안 끓여 야채 베이스(브로콜리 베이스)를 제조한다. (4) 그라인더에 브로콜리 베이스 200ml, 체다 및 우유를 넣고 500rpm의 칼날 회전속도로 5초 동안 가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브로콜리 야채스프를 얻게 된다.
<실시예 7> - 시금치 야채스프
시금치 1200g, 양파 600g, 쪽파 180g, 샐러리 250g, 감자 600g, 올리브 오일 1 티스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야채수 1000ml, 히말라야 핑크소금 1.5 티스푼 및 크림 70g을 준비한 뒤, (1) 시금치의 뿌리를 자르고 5등분으로 자른다. (2) 쪽파와 샐러리를 슬라이스썰기로 썬다. (3) 팬에 올리브 오일 및 양파를 넣고 5분 동안 볶는다. (4) 팬에 볶인 양파 및 쪽파를 넣고 5분 동안 볶는다. (5) 팬에 샐러리 및 감자를 추가로 넣고 5분 동안 볶는다. (6) 냄비에 야채수, 볶인 야채(양파, 쪽파, 샐러리 및 감자 포함)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냄비의 뚜껑을 닫은 채 일정 시간마다 저어주면서 약중불에서 10분 동안 끓인다. (6) 냄비에 시금치를 추가로 넣고 15분 동안 끓여 야채 베이스(시금치 베이스)를 제조한다. (7) 그라인더에 시금치 베이스 200ml 및 크림를 넣고 500rpm의 칼날 회전속도로 7초 동안 가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시금치 야채스프를 얻게 된다.
<실시예 8> - 아스파라거스 야채스프
아스파라거스 1050g, 양파 200g, 다진마늘 2 티스푼, 시금치 360g, 올리브 오일 1 티스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야채수 1000ml, 히말라야 핑크소금 1.5 티스푼 및 크림 30g을 준비한 뒤, (1) 아스파라거스의 밑둥 3센치미터 자른다. (2) 팬에 올리브 오일 및 양파를 넣고 5분 동안 볶는다. (3) 팬에 볶인 양파 및 마늘를 넣고 5분 동안 볶는다. (4) 팬에 아스파라거스를 추가로 넣고 5분 동안 볶는다. (5) 냄비에 야채수, 볶인 야채(양파, 마늘 및 아스파라거스 포함), 히말라야 핑크소금 및 시금치를 넣고 냄비의 뚜껑을 닫은 채 중불에서 20분 동안 끓여 야채 베이스(아스파라거스 베이스)를 제조한다. (6) 그라인더에 아스파라거스 베이스 200ml 및 크림을 넣고 500rpm의 칼날 회전속도로 7초 동안 가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아스파라거스 야채스프를 얻게 된다.
<실시예 9> - 양송이 야채스프
양송이 버섯 800g, 양파 300g, 다진마늘 1 티스푼, 올리브 오일 1 티스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야채수 400ml, 히말라야 핑크소금 1.5 티스푼 및 우유 100g을 준비한 뒤, (1) 팬에 올리브 오일, 양파 및 마늘을 넣고 5분 동안 볶는다. (2) 팬에 깍둑썰기로 썰린 양송이를 추가로 넣고 5분 동안 볶는다. (3) 냄비에 야채수, 볶인 야채(양파, 마늘 및 양송이 포함)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냄비의 뚜껑을 닫은 채 15분 동안 끓여 야채 베이스(양송이 베이스)를 제조한다. (4) 그라인더에 양송이 베이스 200ml 및 우유을 넣고 500rpm의 칼날 회전속도로 10초 동안 가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양송이 야채스프를 얻게 된다.
<실시예 10> - 컬리플라워 야채스프
컬리플라워 1350g, 감자 300g, 양파 300g, 올리브 오일 1 티스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야채수 1000ml, 히말라야 핑크소금 1 티스푼, 체다 20g 및 우유 100g을 준비한 뒤, (1) 팬에 올리브 오일 및 양파를 넣고 5분 동안 볶는다. (2) 팬에 볶인 양파 및 감자를 넣고 5분 동안 볶는다. (3) 냄비에 야채수, 볶인 야채(양파 및 감자 포함), 히말라야 핑크소금 및 컬리플라워을 넣고 냄비의 뚜껑을 닫은 채 30분 동안 끓여 야채 베이스(컬리플라워 베이스)를 제조한다. (4) 그라인더에 컬리플라워 베이스 200ml, 체다 및 우유을 넣고 500rpm의 칼날 회전속도로 7초 동안 가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컬리플라워 야채스프를 얻게 된다.
<비교예 1> - 정제수 제조
일반 생수에서 용해된 이온, 고체입자, 미생물, 유기물 및 용해된 기체류 등 모든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제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내지 10>
상기 실시예 2 내지 10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야채스프에서 야채수만을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정제수로 대체하여 비교예 2 내지 10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관능평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야채스프에 대한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관능평가는 일반인 50명을 대상으로 각 항목에 대해서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값으로 5점은 “매우 좋다”, 4점은 “좋다”, 3점은 “보통이다”, 2점은 “나쁘다”, 1점은 “매우 나쁘다”로 수행하였고, 각 항목에 대한 평가는 합산하여 평균한 값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표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19058254514-pat00001
Figure 112019058254514-pat00002
관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야채수를 이용한 야채스프가 일반 정제수를 이용한 야채스프보다 우수한 풍미를 가져 관능성이 우수하고, 이미 및 이취가 개선되어 야채스프 특유의 냄새를 잡아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을 이용한 방법을 통하여 라디칼 소거 효과를 측정하였다. DPPH 4mg을 메탄올 100ml에 녹여 DPPH 용액을 만들었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야채스프를 에탄올에 희석하여 적당한 농도로 만들었다. 시료 또는 대조군 1ml와 DPPH 용액 1ml을 잘 섞은 후 37 ℃에서 30분 정치한 후 516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품으로는 BHT(Butylated Hydroxytoluene)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DPPH 법에 의한 항산화력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하였다.
Figure 112019058254514-pat00003
Figure 112019058254514-pat00004
DPPH법에 의한 라디칼 소거력을 통한 항산화력을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2 야채스프의 항산화력이 비교예 2의 야채스프 및 표준품인 BHT에 비하여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0.0001%의 농도에서도 약간의 항산화력을 보였다. 비록,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야채스프에 대해서만 본 실험을 실시하였지만, 나머지 실시예들에도 항산화 작용을 하는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실험에서와 동일한 결과가 도출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실험예 3> - 랫드 혈청 내에서의 항산화 효과
체중량이 180g 내외인 6주령의 랫드를 이용하여 1주간에 걸쳐 실시예 2의 야채스프를 강제 경구 투여한 후 혈액을 채취하여 그 혈청을 이용하여 실험예 2에서처럼 DPPH를 이용한 자유 라티칼 소거력에 의한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체중량이 180g 내외인 6주령 랫드에 대하여 각각 5마리씩 실험군, 제1 대조군 및 제2 대조군으로 군분류를 하였다. 실시예 2의 야채스프는 0.5% CMC-Na 용액에 용해시켜 각각 200mg/kg, 100mg/kg이 되도록 10mL씩 존대를 이용하여 강제 경구 투여하였다. 제1 대조군으로는 비교예 2의 야채스프를 0.5% CMC-Na 용액에 용해시켜 각각 200mg/kg, 100mg/kg이 되도록 10mL씩 존대를 이용하여 강제 경구 투여하였다. 제2 대조군으로는 0.5% CMC-Na 용액을 투여하였다.
각 군의 랫드는 실험 시작 전과 시료 복용 1주일 후에 혈액을 500㎕씩을 채취하여 2500rpm에서 원심분리 한 후 상층액만을 취하여 각 군의 혈액 시료로 사용하였다. DPPH를 이용한 혈청 내 항산화력은 실험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각 시료와 DPPH 용액은 50㎕를 사용하였으며 96 well plate 내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58254514-pat00005
랫드에 1주일 간 실시예 2의 야채스프를 강제 투여한 후 그 혈액의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2의 야채스프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실시예 2의 야채스프를 많이 투여할수록 더 높은 항산화력을 보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 실시예 2의 야채스프는 자유 라디칼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매우 우수하여 뛰어난 항산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라디칼에 의해 발생하는 주름 형성, 피부암, 류마티스성 관절염 예방 및 개선에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야채스프에 대해서만 본 실험을 실시하였지만, 나머지 실시예들에도 항산화 작용을 하는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실험에서와 동일한 결과가 도출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실험예 4> -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실시예 2의 야채스프 및 비교예 2의 야채스프의 섭취 전후에 실험 대상자들의 혈장 지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대상자는 나이 45세~55세의 갱년기 여성 20명씩으로 하였고, 상기 실험 대상자에게 실시예 2의 야채스프 및 비교예 2의 야채스프를 1주일간 1일 2회 경구 투여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2의 야채스프 섭취군은 총콜레스테롤(TC)이 평균 183.9±10.5mg/dL에서 평균 167.5±8.4mg/dL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비교예 2의 야채스프 섭취군은 총콜레스테롤(TC)이 평균 185.7±10.5mg/dL에서 평균 178.8±8.4mg/dL으로 다소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야채스프가 혈중 총콜레스테롤 감소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야채수를 사용함으로써 총콜레스테롤 감소 효과가 증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야채스프에 대해서만 본 실험을 실시하였지만, 나머지 실시예들도 올리브 오일을 함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실험에서와 동일한 결과가 도출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a) 야채수를 제조하는 단계;
    (b) 올리브 오일에 야채를 넣고 볶는 단계;
    (c) 제조된 야채수에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제조된 야채 베이스에 우유를 넣고 가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a-1) 재료준비단계; (a-2) 혼합가열 및 숙성단계; 및 (a-3) 여과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1) 단계는,
    자연건조 된 무청 100g, 자연건조 된 표고버섯 100g, 3℃에서 저온후숙 된 우엉 200g, 3℃에서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무 1kg 및 3℃에서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당근 350g을 마련하는 단계이고,
    상기 (a-2) 단계는,
    상기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무 및 당근을 진공가열기에 넣어 0.3 기압 하에서 8분 동안 교반하여 볶은 뒤, 상기 진공가열기에 상기 무청, 표고버섯, 우엉 및 천연암반수를 더 투입하여 상기 무, 당근, 무청, 표고버섯, 우엉 및 물을 포함하는 야채혼합물을 120℃에서 40분 간 진공가열한 후, 다시 90℃에서 10분 간 상기 야채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a-3) 단계는,
    상기 숙성된 야채혼합물을 상기 진공가열기에 연결된 유리배관을 통해 이동하도록하여 60mesh 기공의 바스켓 필터로 1차 여과한 후, 다시 3-5㎛기공을 가지면서 5겹으로 이루어진 부직포 필터를 사용하여 2차 여과하여 상기 야채수를 제조하며,
    상기 (b) 단계는,
    (b-1) 팬에 올리브 오일 및 양파 300g을 넣고 5분 동안 볶는 단계; 및
    (b-2) 삶은 고구마 1800g의 껍질을 벗긴 후 으깨고, 팬에 으깨진 고구마와 볶인 양파를 넣고 5분 동안 볶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냄비에 상기 제조된 야채수 400ml,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뚜껑을 연 채 10분 동안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이고,
    상기 (d) 단계는,
    그라인더에 상기 제조된 야채 베이스 200ml 및 우유 150ml를 넣고 3,000rpm의 칼날 회전속도로 1분 동안 가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스프 제조방법.
  2. (a) 야채수를 제조하는 단계;
    (b) 올리브 오일에 야채를 넣고 볶는 단계;
    (c) 제조된 야채수에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제조된 야채 베이스에 우유를 넣고 가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a-1) 재료준비단계; (a-2) 혼합가열 및 숙성단계; 및 (a-3) 여과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1) 단계는,
    자연건조 된 무청 100g, 자연건조 된 표고버섯 100g, 3℃에서 저온후숙 된 우엉 200g, 3℃에서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무 1kg 및 3℃에서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당근 350g을 마련하는 단계이고,
    상기 (a-2) 단계는,
    상기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무 및 당근을 진공가열기에 넣어 0.3 기압 하에서 8분 동안 교반하여 볶은 뒤, 상기 진공가열기에 상기 무청, 표고버섯, 우엉 및 천연암반수를 더 투입하여 상기 무, 당근, 무청, 표고버섯, 우엉 및 물을 포함하는 야채혼합물을 120℃에서 40분 간 진공가열한 후, 다시 90℃에서 10분 간 상기 야채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a-3) 단계는,
    상기 숙성된 야채혼합물을 상기 진공가열기에 연결된 유리배관을 통해 이동하도록하여 60mesh 기공의 바스켓 필터로 1차 여과한 후, 다시 3-5㎛기공을 가지면서 5겹으로 이루어진 부직포 필터를 사용하여 2차 여과하여 상기 야채수를 제조하며,
    상기 (b) 단계는,
    팬에 올리브 오일, 당근 300g 및 단호박 1200g을 넣고 15분 동안 볶는 단계이고,
    상기 (c) 단계는,
    냄비에 상기 제조된 야채수 1000ml,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뚜껑을 닫은 채 30분 동안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이고,
    상기 (d) 단계는,
    그라인더에 상기 제조된 야채 베이스 200ml 및 우유 100ml를 넣고 3,000rpm의 칼날 회전속도로 1분 동안 가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스프 제조방법.
  3. (a) 야채수를 제조하는 단계;
    (b) 올리브 오일에 야채를 넣고 볶는 단계;
    (c) 제조된 야채수에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제조된 야채 베이스에 우유를 넣고 가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a-1) 재료준비단계; (a-2) 혼합가열 및 숙성단계; 및 (a-3) 여과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1) 단계는,
    자연건조 된 무청 100g, 자연건조 된 표고버섯 100g, 3℃에서 저온후숙 된 우엉 200g, 3℃에서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무 1kg 및 3℃에서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당근 350g을 마련하는 단계이고,
    상기 (a-2) 단계는,
    상기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무 및 당근을 진공가열기에 넣어 0.3 기압 하에서 8분 동안 교반하여 볶은 뒤, 상기 진공가열기에 상기 무청, 표고버섯, 우엉 및 천연암반수를 더 투입하여 상기 무, 당근, 무청, 표고버섯, 우엉 및 물을 포함하는 야채혼합물을 120℃에서 40분 간 진공가열한 후, 다시 90℃에서 10분 간 상기 야채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a-3) 단계는,
    상기 숙성된 야채혼합물을 상기 진공가열기에 연결된 유리배관을 통해 이동하도록하여 60mesh 기공의 바스켓 필터로 1차 여과한 후, 다시 3-5㎛기공을 가지면서 5겹으로 이루어진 부직포 필터를 사용하여 2차 여과하여 상기 야채수를 제조하며,
    상기 (b) 단계는,
    팬에 올리브 오일, 당근 1200g 및 단호박 100g을 넣고 15분 동안 볶는 단계이고,
    상기 (c) 단계는,
    냄비에 상기 제조된 야채수 450ml,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뚜껑을 닫은 채 30분 동안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이고,
    상기 (d) 단계는,
    그라인더에 상기 제조된 야채 베이스 200ml 및 우유 100ml를 넣고 3,000rpm의 칼날 회전속도로 1분 동안 가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스프 제조방법.
  4. (a) 야채수를 제조하는 단계;
    (b) 올리브 오일에 야채를 넣고 볶는 단계;
    (c) 제조된 야채수에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제조된 야채 베이스에 우유를 넣고 가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a-1) 재료준비단계; (a-2) 혼합가열 및 숙성단계; 및 (a-3) 여과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1) 단계는,
    자연건조 된 무청 100g, 자연건조 된 표고버섯 100g, 3℃에서 저온후숙 된 우엉 200g, 3℃에서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무 1kg 및 3℃에서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당근 350g을 마련하는 단계이고,
    상기 (a-2) 단계는,
    상기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무 및 당근을 진공가열기에 넣어 0.3 기압 하에서 8분 동안 교반하여 볶은 뒤, 상기 진공가열기에 상기 무청, 표고버섯, 우엉 및 천연암반수를 더 투입하여 상기 무, 당근, 무청, 표고버섯, 우엉 및 물을 포함하는 야채혼합물을 120℃에서 40분 간 진공가열한 후, 다시 90℃에서 10분 간 상기 야채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a-3) 단계는,
    상기 숙성된 야채혼합물을 상기 진공가열기에 연결된 유리배관을 통해 이동하도록하여 60mesh 기공의 바스켓 필터로 1차 여과한 후, 다시 3-5㎛기공을 가지면서 5겹으로 이루어진 부직포 필터를 사용하여 2차 여과하여 상기 야채수를 제조하며,
    상기 (b) 단계는,
    (b-1) 팬에 올리브 오일, 양파 300g, 감자 300g 및 당근 300g을 넣고 5분 동안 볶는 단계;
    (b-2) 팬의 뚜껑을 닫고 약불에서 볶인 양파, 감자 및 당근을 5분 동안 뜸을 들이는 단계; 및
    (b-3) 팬에 렌틸콩 450g 및 토마토 페이스트 150g을 추가로 넣어 5분 동안 볶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냄비에 상기 제조된 야채수 1000ml,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뚜껑을 닫은 채 중불에서 40분 동안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이고,
    상기 (d) 단계는,
    그라인더에 상기 제조된 야채 베이스 200ml, 우유 50ml 및 크림 50g을 넣고 500rpm의 칼날 회전속도로 7초 동안 가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스프 제조방법.
  5. (a) 야채수를 제조하는 단계;
    (b) 올리브 오일에 야채를 넣고 볶는 단계;
    (c) 제조된 야채수에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제조된 야채 베이스에 우유를 넣고 가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a-1) 재료준비단계; (a-2) 혼합가열 및 숙성단계; 및 (a-3) 여과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1) 단계는,
    자연건조 된 무청 100g, 자연건조 된 표고버섯 100g, 3℃에서 저온후숙 된 우엉 200g, 3℃에서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무 1kg 및 3℃에서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당근 350g을 마련하는 단계이고,
    상기 (a-2) 단계는,
    상기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무 및 당근을 진공가열기에 넣어 0.3 기압 하에서 8분 동안 교반하여 볶은 뒤, 상기 진공가열기에 상기 무청, 표고버섯, 우엉 및 천연암반수를 더 투입하여 상기 무, 당근, 무청, 표고버섯, 우엉 및 물을 포함하는 야채혼합물을 120℃에서 40분 간 진공가열한 후, 다시 90℃에서 10분 간 상기 야채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a-3) 단계는,
    상기 숙성된 야채혼합물을 상기 진공가열기에 연결된 유리배관을 통해 이동하도록하여 60mesh 기공의 바스켓 필터로 1차 여과한 후, 다시 3-5㎛기공을 가지면서 5겹으로 이루어진 부직포 필터를 사용하여 2차 여과하여 상기 야채수를 제조하며,
    상기 (b) 단계는,
    (b-1) 팬에 올리브 오일 및 양파 600g을 넣고 5분 동안 볶는 단계; 및
    (b-2) 팬에 볶인 양파 및 감자 450g을 넣고 10분 동안 볶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냄비에 상기 제조된 야채수 450ml, 볶인 야채, 히말라야 핑크소금 및 브로콜리 1050g을 넣고 뚜껑을 닫은 채 중불에서 15분 동안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이고,
    상기 (d) 단계는,
    그라인더에 상기 제조된 야채 베이스 200ml, 우유 100ml 및 체다 20g을 넣고 500rpm의 칼날 회전속도로 7초 동안 가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스프 제조방법.
  6. (a) 야채수를 제조하는 단계;
    (b) 올리브 오일에 야채를 넣고 볶는 단계;
    (c) 제조된 야채수에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제조된 야채 베이스에 우유를 넣고 가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a-1) 재료준비단계; (a-2) 혼합가열 및 숙성단계; 및 (a-3) 여과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1) 단계는,
    자연건조 된 무청 100g, 자연건조 된 표고버섯 100g, 3℃에서 저온후숙 된 우엉 200g, 3℃에서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무 1kg 및 3℃에서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당근 350g을 마련하는 단계이고,
    상기 (a-2) 단계는,
    상기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무 및 당근을 진공가열기에 넣어 0.3 기압 하에서 8분 동안 교반하여 볶은 뒤, 상기 진공가열기에 상기 무청, 표고버섯, 우엉 및 천연암반수를 더 투입하여 상기 무, 당근, 무청, 표고버섯, 우엉 및 물을 포함하는 야채혼합물을 120℃에서 40분 간 진공가열한 후, 다시 90℃에서 10분 간 상기 야채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a-3) 단계는,
    상기 숙성된 야채혼합물을 상기 진공가열기에 연결된 유리배관을 통해 이동하도록하여 60mesh 기공의 바스켓 필터로 1차 여과한 후, 다시 3-5㎛기공을 가지면서 5겹으로 이루어진 부직포 필터를 사용하여 2차 여과하여 상기 야채수를 제조하며,
    상기 (b) 단계는,
    (b-1) 팬에 올리브 오일 및 양파 600g을 넣고 5분 동안 볶는 단계;
    (b-2) 팬에 볶인 양파 및 쪽파 180g을 넣고 5분 동안 볶는 단계; 및
    (b-3) 팬에 샐러리 250g 및 감자 600g을 추가로 넣고 5분 동안 볶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c-1) 냄비에 상기 제조된 야채수 1000ml,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뚜껑을 닫은 채 일정 시간마다 저어주면서 약중불에서 10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c-2) 냄비에 뿌리가 잘리고 4 내지 5등분으로 잘린 시금치 1200g을 추가로 넣고 15분 동안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그라인더에 크림 70g 및 상기 제조된 야채 베이스 200ml를 넣어 500rpm의 칼날 회전속도로 7초 동안 가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스프 제조방법.
  7. (a) 야채수를 제조하는 단계;
    (b) 올리브 오일에 야채를 넣고 볶는 단계;
    (c) 제조된 야채수에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제조된 야채 베이스에 우유를 넣고 가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a-1) 재료준비단계; (a-2) 혼합가열 및 숙성단계; 및 (a-3) 여과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1) 단계는,
    자연건조 된 무청 100g, 자연건조 된 표고버섯 100g, 3℃에서 저온후숙 된 우엉 200g, 3℃에서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무 1kg 및 3℃에서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당근 350g 을 마련하는 단계이고,
    상기 (a-2) 단계는,
    상기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무 및 당근을 진공가열기에 넣어 0.3 기압 하에서 8분 동안 교반하여 볶은 뒤, 상기 진공가열기에 상기 무청, 표고버섯, 우엉 및 천연암반수를 더 투입하여 상기 무, 당근, 무청, 표고버섯, 우엉 및 물을 포함하는 야채혼합물을 120℃에서 40분 간 진공가열한 후, 다시 90℃에서 10분 간 상기 야채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a-3) 단계는,
    상기 숙성된 야채혼합물을 상기 진공가열기에 연결된 유리배관을 통해 이동하도록하여 60mesh 기공의 바스켓 필터로 1차 여과한 후, 다시 3-5㎛기공을 가지면서 5겹으로 이루어진 부직포 필터를 사용하여 2차 여과하여 상기 야채수를 제조하며,
    상기 (b) 단계는,
    (b-1) 팬에 올리브 오일 및 양파 200g 을 넣고 5분 동안 볶는 단계;
    (b-2) 팬에 볶인 양파 및 마늘을 넣고 5분 동안 볶는 단계; 및
    (b-3) 팬에 밑둥이 잘리고 5등분으로 잘린 아스파라거스 1050g을 추가로 넣고 5분 동안 볶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냄비에 상기 제조된 야채수 1000ml, 볶인 야채, 히말라야 핑크소금 및 시금치 360g을 넣고 뚜껑을 닫은 채 중불에서 20분 동안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이고,
    상기 (d) 단계는,
    그라인더에 크림 30g 및 상기 제조된 야채 베이스 200ml를 넣어 500rpm의 칼날 회전속도로 7초 동안 가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스프 제조방법.
  8. (a) 야채수를 제조하는 단계;
    (b) 올리브 오일에 야채를 넣고 볶는 단계;
    (c) 제조된 야채수에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제조된 야채 베이스에 우유를 넣고 가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a-1) 재료준비단계; (a-2) 혼합가열 및 숙성단계; 및 (a-3) 여과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1) 단계는,
    자연건조 된 무청 100g, 자연건조 된 표고버섯 100g, 3℃에서 저온후숙 된 우엉 200g, 3℃에서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무 1kg 및 3℃에서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당근 350g을 마련하는 단계이고,
    상기 (a-2) 단계는,
    상기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무 및 당근을 진공가열기에 넣어 0.3 기압 하에서 8분 동안 교반하여 볶은 뒤, 상기 진공가열기에 상기 무청, 표고버섯, 우엉 및 천연암반수를 더 투입하여 상기 무, 당근, 무청, 표고버섯, 우엉 및 물을 포함하는 야채혼합물을 120℃에서 40분 간 진공가열한 후, 다시 90℃에서 10분 간 상기 야채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a-3) 단계는,
    상기 숙성된 야채혼합물을 상기 진공가열기에 연결된 유리배관을 통해 이동하도록하여 60mesh 기공의 바스켓 필터로 1차 여과한 후, 다시 3-5㎛기공을 가지면서 5겹으로 이루어진 부직포 필터를 사용하여 2차 여과하여 상기 야채수를 제조하며,
    상기 (b) 단계는,
    (b-1) 팬에 올리브 오일, 양파 300g 및 마늘을 넣고 5분 동안 볶는 단계; 및
    (b-2) 팬에 양송이 버섯 800g을 추가로 넣고 5분 동안 볶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냄비에 상기 제조된 야채수 400ml,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뚜껑을 닫은 채 15분 동안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이고,
    상기 (d) 단계는,
    그라인더에 상기 제조된 야채 베이스 200ml 및 우유 100g을 넣어 500rpm의 칼날 회전속도로 10초 동안 가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스프 제조방법.
  9. (a) 야채수를 제조하는 단계;
    (b) 올리브 오일에 야채를 넣고 볶는 단계;
    (c) 제조된 야채수에 볶인 야채 및 히말라야 핑크소금을 넣고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제조된 야채 베이스에 우유를 넣고 가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a-1) 재료준비단계; (a-2) 혼합가열 및 숙성단계; 및 (a-3) 여과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1) 단계는,
    자연건조 된 무청 100g, 자연건조 된 표고버섯 100g, 3℃에서 저온후숙 된 우엉 200g, 3℃에서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무 1kg 및 3℃에서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당근 350g 을 마련하는 단계이고,
    상기 (a-2) 단계는,
    상기 저온후숙 된 후 자연건조 된 무 및 당근을 진공가열기에 넣어 0.3 기압 하에서 8분 동안 교반하여 볶은 뒤, 상기 진공가열기에 상기 무청, 표고버섯, 우엉 및 천연암반수를 더 투입하여 상기 무, 당근, 무청, 표고버섯, 우엉 및 물을 포함하는 야채혼합물을 120℃에서 40분 간 진공가열한 후, 다시 90℃에서 10분 간 상기 야채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a-3) 단계는,
    상기 숙성된 야채혼합물을 상기 진공가열기에 연결된 유리배관을 통해 이동하도록하여 60mesh 기공의 바스켓 필터로 1차 여과한 후, 다시 3-5㎛기공을 가지면서 5겹으로 이루어진 부직포 필터를 사용하여 2차 여과하여 상기 야채수를 제조하며,
    상기 (b) 단계는,
    (b-1) 냄비에 올리브 오일 및 양파 300g을 넣고 5분 동안 볶는 단계; 및
    (b-2) 팬에 볶인 양파 및 감자 300g을 넣고 5분 동안 볶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냄비에 상기 제조된 야채수 1000ml, 볶인 야채, 히말라야 핑크소금 및 컬리플라워 1350g을 넣고 뚜껑을 닫은 채 30분 동안 끓여 야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이고,
    상기 (d) 단계는,
    그라인더에 상기 제조된 야채 베이스 200ml, 우유 100g 및 체다 20g을 넣고 500rpm의 칼날 회전속도로 7초 동안 가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스프 제조방법.
KR1020190067235A 2019-06-07 2019-06-07 야채수를 이용한 야채스프 제조방법 KR102416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235A KR102416553B1 (ko) 2019-06-07 2019-06-07 야채수를 이용한 야채스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235A KR102416553B1 (ko) 2019-06-07 2019-06-07 야채수를 이용한 야채스프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958A KR20200140958A (ko) 2020-12-17
KR102416553B1 true KR102416553B1 (ko) 2022-07-04

Family

ID=7408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235A KR102416553B1 (ko) 2019-06-07 2019-06-07 야채수를 이용한 야채스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5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38B1 (ko) * 2010-01-11 2010-09-06 심재근 야채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338295B1 (ko) * 2013-06-17 2013-12-09 농업회사법인 하늘빛 주식회사 음용하기 좋은 야채스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293B1 (ko) 2003-04-29 2005-09-15 (주)바이오뉴트리젠 항비만용 야채분말믹스 조성물, 야채스프분말 조성물,야채소스 조성물
KR100504708B1 (ko) * 2003-01-14 2005-08-03 매일유업주식회사 액상 스프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160031815A (ko) 2014-09-15 2016-03-23 고우판 티백용 야채스프 제조방법
KR20170122956A (ko) * 2016-04-28 2017-11-07 주식회사 푸르름 영양죽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38B1 (ko) * 2010-01-11 2010-09-06 심재근 야채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338295B1 (ko) * 2013-06-17 2013-12-09 농업회사법인 하늘빛 주식회사 음용하기 좋은 야채스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958A (ko)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52041B (zh) 一种菊芋香辣酱及其制备方法
KR100976354B1 (ko) 오리 훈연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리 훈연제품
CN103919231A (zh) 一种富含维生素c的复合猕猴桃果粉的制备方法
KR101791206B1 (ko) 뽕잎 추출액을 함유한 양파즙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8802B1 (ko) 기능성 김치 양념 제조방법
KR101423194B1 (ko)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KR101299113B1 (ko) 양파 자몽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KR101733484B1 (ko) 맛 간장 및 그 제조방법
KR102503979B1 (ko) 닭갈비 소스 및 그 제조방법
CN109567074A (zh) 一种酸菜鱼配方
KR102416553B1 (ko) 야채수를 이용한 야채스프 제조방법
CN109287958A (zh) 卤面及其制备工艺
KR102387524B1 (ko) 인삼, 맥문동, 오미자 추출물 및 사과즙과 금산인삼1뿌리를 포함하는 고영양 잡곡밥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0686A (ko) 달콤한 향미의 미세(微細)한 후코이단을 함유하는 마른김(海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90006650A (ko) 양념 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KR102267942B1 (ko) 항균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36432A (ko) 잔대를 이용한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311902B1 (ko) 호박과 고구마로 조성된 황금색 된장의 제조방법
KR20110113709A (ko) 바나듐이 함유된 생선회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바나듐이 함유된 생선회 음료 조성물
KR101813496B1 (ko) 생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죽
KR102279035B1 (ko) 한방 명태 양념구이의 제조방법
KR102090966B1 (ko) 무말랭이를 포함한 고들빼기 김치 제조방법
KR102621081B1 (ko) 조개 및 해산물류의 양념소스 제조방법
KR102612052B1 (ko) 닭가슴살 분말을 이용한 떡 제조 방법
KR102609869B1 (ko) 조리용 양념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조리용 양념 분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