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194B1 -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3194B1 KR101423194B1 KR1020130060691A KR20130060691A KR101423194B1 KR 101423194 B1 KR101423194 B1 KR 101423194B1 KR 1020130060691 A KR1020130060691 A KR 1020130060691A KR 20130060691 A KR20130060691 A KR 20130060691A KR 101423194 B1 KR101423194 B1 KR 1014231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y sauce
- broth
- mixture
- present
- sau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05035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40000004678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2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2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1
- 240000008866 Ziziphus nummularia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15197 apple juice Nutrition 0.000 claims 1
- 241001247821 Ziziphu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40000007119 Malus pumil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21016 apple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5192 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abstract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abstract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3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5000021110 pick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41000234314 Zingiber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5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JDLKFOPOAOFWQN-VIFPVBQESA-N Allicin Natural products C=CCS[S@](=O)CC=C JDLKFOPOAOFWQN-VIFPVBQESA-N 0.000 description 4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1209 fruit so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700 vitamin C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41000703121 Campanula rotund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8384 Capsicum annuum var.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2853 Nelumbo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508 Nelumbo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3670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47700 Vomi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54 pick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547 stew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IKGXIBQEEMLURG-JFNZIVIESA-N 2-(3,4-dihydroxyphenyl)-5,7-dihydroxy-3-[(2S,3R,4S,5S,6R)-3,4,5-trihydroxy-6-[[(2S,3R,4R,5R,6S)-3,4,5-trihydroxy-6-methyloxan-2-yl]oxymethyl]oxan-2-yl]oxychromen-4-on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C@@H]1OC[C@@H]1[C@@H](O)[C@H](O)[C@@H](O)[C@H](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IKGXIBQEEMLURG-JFNZIVIE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733 Citrus auran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9233 Headach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14 Rib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450 Tilia cord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941 Tilia x europ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 alcohol ketone aldehyd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081 allic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27 cell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188 collage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23 cooked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1000008286 diarrhe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96 gastric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102465 ginger root Drug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76 glycan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1 li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841 zingiber officina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KBPHJBAIARWVSC-RGZFRNHPSA-N (1R)-4-[(1E,3E,5E,7E,9E,11E,13E,15E,17E)-18-[(1R,4R)-4-hydroxy-2,6,6-trimethylcyclohex-2-en-1-yl]-3,7,12,16-tetramethyloctadeca-1,3,5,7,9,11,13,15,17-nonaenyl]-3,5,5-trimethylcyclohex-3-en-1-ol Chemical compound C([C@H](O)CC=1C)C(C)(C)C=1\C=C\C(\C)=C\C=C\C(\C)=C\C=C\C=C(/C)\C=C\C=C(/C)\C=C\[C@H]1C(C)=C[C@H](O)CC1(C)C KBPHJBAIARWVSC-RGZFRNHPSA-N 0.000 description 1
- DBTMGCOVALSLOR-DEVYUCJPSA-N (2S,3R,4S,5R,6R)-4-[(2S,3R,4S,5R,6R)-3,5-dihydroxy-6-(hydroxymethyl)-4-[(2S,3R,4S,5S,6R)-3,4,5-trihydroxy-6-(hydroxymethyl)oxan-2-yl]oxyoxan-2-yl]oxy-6-(hydroxymethyl)oxane-2,3,5-triol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O)[C@H](O[C@H]2[C@@H]([C@@H](CO)O[C@H](O)[C@@H]2O)O)O[C@H](CO)[C@H]1O DBTMGCOVALSLOR-DEVYUCJPSA-N 0.000 description 1
- ZHEHPTDHYQQKJR-DRZSPHRISA-N (2S,3S,4S)-5-(7,8-dimethyl-2,4-dioxobenzo[g]pteridin-10-yl)-2,3,4-trihydroxypen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ZHEHPTDHYQQKJR-DRZSPHRI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998 Abdomin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XJKJWTWGDGIQRH-BFIDDRIFSA-N Alginic acid Chemical compound O1[C@@H](C(O)=O)[C@@H](OC)[C@H](O)[C@H](O)[C@@H]1O[C@@H]1[C@@H](C(O)=O)O[C@@H](C)[C@@H](O)[C@H]1O XJKJWTWGDGIQRH-BFIDDRIF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2091 Anaesthe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502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8909 Bored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36 Capillari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BVKZGUZCCUSVTD-UHFFFAOYSA-N Carb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801 Carthamus tinc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55 Carthamus tinctor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1 Cell Wa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10 Cerebral Cortex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1605888 Chaenomeles japo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2822 Chewing G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730 Chondrichthy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798 Convallaria maj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046 Convallaria maj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980 Cucurbita pep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2 Cucurbita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428 Decreased appetit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256 Fatigu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952 Food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10 Foot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94 Foreli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89 Glutam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2437 Insom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43 Lamina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7 Lamina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435 Li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375 Lutein Drugs 0.000 description 1
- GVALZJMUIHGIMD-UHFFFAOYSA-H Magnesium phosphate tribasic Chemical compound [Mg+2].[Mg+2].[Mg+2].[O-]P([O-])([O-])=O.[O-]P([O-])([O-])=O GVALZJMUIHGIMD-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BJEPYKJPYRNKOW-UHFFFAOYSA-N M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O)CC(O)=O BJEPYKJPYRNK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UMBMVFBXHLACL-UHFFFAOYSA-N Melanin Chemical compound O=C1C(=O)C(C2=CNC3=C(C(C(=O)C4=C32)=O)C)=C2C4=CNC2=C1C XUMBMVFBXHLAC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39 Muste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72 Ovar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9919 Phaeophy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6790 Productive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4961 Protein Precurs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8762 Protein Precurs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72736 Rheumat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015177 Saccharina japo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02 Sput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1
- NBIIXXVUZAFLBC-UHFFFAOYSA-K [O-]P([O-])([O-])=O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8 adul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005 anaesthesi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84 anatom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96 anti-anti-diur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29 anti-fatigu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3 anti-fung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96 appetite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33 brot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576 calcium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36 caram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7 cardia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73 carote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46 carot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18 chewing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04 chlorophyl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TNHDLDRLWWWCB-AENOIHSZSA-M chlorophyll a Chemical compound C1([C@@H](C(=O)OC)C(=O)C2=C3C)=C2N2C3=CC(C(CC)=C3C)=[N+]4C3=CC3=C(C=C)C(C)=C5N3[Mg-2]42[N+]2=C1[C@@H](CCC(=O)OC\C=C(/C)CCC[C@H](C)CCC[C@H](C)CCCC(C)C)[C@H](C)C2=C5 ATNHDLDRLWWWCB-AENOIHSZSA-M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875 chlorophyll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510 cook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9 co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7 degradation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06 derm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0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34 diur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5 enzyma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10 gonad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84 green leafy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47 heart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632 homeosta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421 hyperglyc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18 hypoglycaem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7 hypotens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37 immun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30 iod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NDPGZBMCMUPRI-UHFFFAOYSA-N iodine Chemical compound II PNDPGZBMCMUP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07 kidne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66 loss of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99 lung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680 lu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137 magnes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261 magnesium phosph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57 magnes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94 magnes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30 ma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9690 ma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90 ma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1710031899 moo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73 pickled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ZAIFHULBGXAKX-UHFFFAOYSA-N precursor Substances N#CC(C)(C)N=NC(C)(C)C#N OZAIFHULBGXA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43 protein 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71 reti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KEAYESYHFKHZAL-UHFFFAOYSA-N sodium Chemical compound [Na] KEAYESYHFKHZA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4 spic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616 trans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80 weight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0000000019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0 xanthophyl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20—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간장소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핏물이 제거된 소뼈를 고아 우려내어 사골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사과 및 대추를 달여 과일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마늘, 다시마, 양파, 인삼 및 생강을 달여 야채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간장에 상기에서 제조된 사골국물, 과일국물, 야채국물을 넣고, 요리당을 혼합하여 간장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간장혼합물을 끓인 후 식힌 다음, 밀봉하여 서늘한 곳에서 숙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 시킨 간장혼합물에 식초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골국물, 과일국물 및 야채국물을 이용하여 풍부한 맛과 풍미를 가진 간장소스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장소스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식품인 간장은 현대에서도 우리 식생활에 필수부가결한 식재료이다. 간장은 음식의 맛과 간, 그리고 향을 맞춰주는 조미료일 뿐만 아니라, 각종 필수 아미노산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고 건강에 유익한 특수 성분들을 포함하는 대두 발효식품으로서 간장의 영양과 효능은 이미 학계에서 수많이 연구된 바 있다.
간장을 만드는 방법에는 크게 구분하여 재래식과 개량식이 있다. 재래식이란 일반 가정에서 만드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12월경에 콩으로 메주를 쑤어 자연 발효시킨 후, 다음 해 24월경에 식염수에 메주를 담가 12개월 숙성시킨다. 그런 후에 메주를 뜨고 간장을 달이면서 맛과 수분을 조절한다. 재래식 메주는 여러 종류의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하여 메주콩을 가수분해하므로, 좋지 않은 맛과 냄새가 나는 물질이 배설물로 생성되어 간장의 맛이 별로 좋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는 미생물학의 발달로 인하여 단백질과 녹말을 가수분해시키는 강력한 힘을 가진, 황곡에서 분리한 누룩곰팡이를 배양하여, 이것으로 만든 누룩을 삶은 콩에 접종발효시킨 메주를 건조시키는 일이 기업화되어 시중에서 판매된다. 이 개량메주로 재래식과 같은 방법에 의해 간장을 담그면 순수한 단맛이 나는 양질의 간장이 된다. 개량식 간장은 황곡에 의하여 생성된 아미노산맥아당 포도당 등과, 그 밖에 효모와 젖산균에 의하여 생성된 알코올과 젖산이 함유되어 있어 좋은 향미를 가지고 있다.
간장의 소금 농도는 보통 1820%이며, 간장이 갈색을 띠는 것은 아미노산의 분해산물인 멜라닌과 멜라노이딘에 의하는데, 속성간장인 시판품에는 캐러멜(물엿류)로 착색한 것도 있다. 간장의 냄새는 알코올케톤알데히드휘발성산에스테르페놀 등이 혼합된 것이며, 간장의 고유한 맛은 -메틸 메르캅토프로필 알코올(-methyl mercaptopropyl alcohol)에 의한다.
한편, 간장소스는 간장을 주재료로 각종 첨가재가 첨가된 소스로서, 양념장, 불고기, 갈비, 조림장, 장아찌, 장어구이 소스, 데리야키 소스 등에 많이 사용되며 첨가되는 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간장소스 중 각종 장아찌의 제조에 사용되는 간장소스는 종래의 경우, 간장소스를 2 내지 3일 간격으로 끓이고 식히기를 반복하는 과정을 필요로 해 그 제조과정이 매우 번거로웠으며, 결과적으로 장아찌 제조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의 간장소스와 차별화된 독특한 맛과 풍미를 가진 간장소스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장아찌용 간장소스와 같이 2 내지 3일 간격으로 끓이고 식히기를 반복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장이찌용으로 곧바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간장소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장소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핏물이 제거된 소뼈를 고아 우려내어 사골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사과 및 대추를 달여 과일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마늘, 다시마, 양파, 인삼 및 생강을 달여 야채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간장에 상기에서 제조된 사골국물, 과일국물, 야채국물을 넣고, 요리당을 혼합하여 간장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간장혼합물을 끓인 후 식힌 다음, 밀봉하여 서늘한 곳에서 숙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 시킨 간장혼합물에 식초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간장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특별히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간장혼합물 전체 부피 중 간장 50 내지 60부피%, 사골국물 30 내지 40부피%, 과일국물 0.3 내지 0.8부피%, 야채국물 7 내지 9.5부피%, 요리당 0.2 내지 0.7부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간장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는 간장혼합물을 끓인 후 식힌 다음, 밀봉하여 서늘한 곳에서 5 내지 9일 동안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초를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숙성시킨 간장혼합물의 부피 대비 식초 15 내지 25 부피%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간장소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간장소스는 양파, 마늘, 도라지, 연근, 깻잎, 풋마늘, 풋고추 등을 주재료로 장아찌를 제조함에 있어 장아찌용 간장소스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그 외에도 샤브 샤브, 생선회, 초밥, 튀김, 익힌 소고기, 익힌 돼지고기 등을 찍어 먹을 수 있는 소스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의 간장소스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장아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골국물, 과일국물, 야채국물을 간장소스 제조에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간장소스와 차별화된 독특한 맛과 풍미를 가진 간장소스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장아찌용 간장소스와 같이 2 내지 3일 간격으로 끓이고 식히기를 반복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장이찌용으로 곧바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간장소스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간장소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핏물이 제거된 소뼈를 고아 우려내어 사골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사과 및 대추를 달여 과일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마늘, 다시마, 양파, 인삼 및 생강을 달여 야채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간장에 상기에서 제조된 사골국물, 과일국물, 야채국물을 넣고, 요리당을 혼합하여 간장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간장혼합물을 끓인 후 식힌 다음, 밀봉하여 서늘한 곳에서 숙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 시킨 간장혼합물에 식초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뼈의 종류에는 머리뼈, 등뼈, 사골, 도가니, 갈비뼈, 꼬리뼈, 족뼈가 있다. 인체의 구성 단백질을 이루고 있는 아미노산들은 20가지가 있는데, 소의 뼈나 고기의 아미노산 종류도 20가지이며, 이중 9가지는 필수 아미노산이다. 필수 아미노산은 인간 체내에서 합성되지 못하기 때문에, 꼭 외부로부터 섭취해야만 되는 아미노산을 말한다. 따라서 체내에서 합성하지 못하는 이 필수 아미노산들은 우리가 섭취하는 식품들의 영양성분에 꼭 존재하여야만 하며, 소뼈에서 우러나오는 영양은 우리 몸에 면역기능을 향상시켜 잔병을 없애주고 원기회복에 효과적인 영양소를 가지고 있다. 주성분은 콜라겐 성분이고 칼슘 무기질과 단백질, 양질의 우수한 칼슘의 공급원으로서, 성장기 아이들이나 임산부, 수유부, 허약한 사람에게 여름철엔 더위를 이기는 식품으로, 추운 겨울철엔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보신 전통식품으로 각광받아 오고 있다.
사골의 해부학적 구조를 살펴보면, 소의 품종별로 한우, 젖소, 육우, 수입사골 잡뼈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성별로는 암소, 황소(수소), 거세소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사골의 길이나 굵기는 소의 몸집과 비례하여, 몸집이 상대적으로 작은 한우, 그 중에서도 암소의 앞다리에 해당하는 앞사골이 가장 작다.
뼈의 이화학적 조성은 세포, 교원섬유 및 점액단백질성 기질로서 구성되어 있는데, 기질(基質)내에 있는 각종 칼슘염류(cacium salts)의 침전에 의하여 석회화(calcify)되고, 그 속에 많은 비석회화 교원섬유가 독특한 형태로 배열되어 있어 골조직을 매우 강하고 단단하게 만든다. 뼈의 기질(基質)은 소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대체로 1/3이 유기질이고, 2/3가 무기질로 구성되어 있다. 황소 뼈를 예를 들면, 젤라틴(33%), 탄산석회(3.85%), 기타염류(3.45%), 인산석회(57.35%), 인산마그네슘(2.05%)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뼈를 물에 담궈 40시간 이상 물을 3 내지 4회 갈아 주면서 핏물을 제거한 후에 사골국물을 우려내며, 핏물을 제거한 소뼈를 물이 담겨져 있는 솥에 넣고 열을 가하여 소뼈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성분들이 최대한 우러나오도록 충분히 고아 우려낸 후, 냉각시켜 부상한 기름기를 걷어내어 사골 국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과일국물은 간장소스에 단맛을 가미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단맛의 가미 효과를 극대화 하기위하여 여러 과일 중 사과와 대추를 달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과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생산 및 소비되는 가을 과일로 인기가 높은 식품이다. 사과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주성분은 탄수화물이며 단백질과 지방이 비교적 적고 비타민 C와 칼륨, 나트륨, 칼슘 등의 무기질이 풍부하다. 사과에 다량 함유된 비타민 C는 피부미용에 좋고 칼륨은 몸속의 염분을 내보내는 작용을 하여 고혈압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주며, 섬유질이 많아서 장을 깨끗이 하고 위액분비를 활발하게 하여 소화를 도와주며 철분 흡수율도 높여 준다. 한방에서 사과는 긴장을 풀어주는 진정작용을 하여 불면증에 좋고 빈혈 및 두통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또한, 상기 대추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대추나무의 열매이며, 유럽 및 아시아 동남부가 원산지이다. 주성분은 탄수화물(43%)이며 철분 과 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14가지의 아미노산과 6가지의 당류 비타민A, B2, C. P, 칼슘, 인, 철분, 마그네슘, 칼륨 등 36가지의 무기질, 유기산이나 사과산 등 많은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성분들이 다 혈액순환을 용이 하게 하고 마음을 진정해준다고 한다. 또한, 대추에는 특히 비타민 C와 P가 풍부한데 비타민 P는 비타민 C의 작용을 도와 노화를 막고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해줘 고혈압과 동맥경화 등 성인병을 예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과와 대추를 끓는 물에 넣어 충분히 달인 후 건더기를 걷어내어 과일국물을 제조한다. 상기 사과는 껍질째 그대로 달이든, 껍질을 벗긴 후 달이든 어떠한 경우라도 무방하나, 사과의 껍질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성분까지 과일국물에 배어들게 하기 위해서는 사과의 껍질째 그대로 달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과를 껍질째 그대로 달이는 경우에는 사과의 껍질에 포함되어 있는 농약 등 인체유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식초가 첨가된 물에 상기 사과를 담가 소독을 한 후에 달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추는 생대추를 사용할 수도 있고, 말린 대추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한의학적 효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말린 대추를 사용하근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추를 껍질째 그대로 달이든, 껍질을 벗긴 것을 달이든 어떠한 경우라도 무방하다. 하지만, 대추의 껍질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성분까지 과일국물에 배어들게 하기 위해서는 대추의 껍질째 그대로 달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대추를 껍질째 그대로 달이는 경우에는 대추의 껍질에 포함되어 있는 농약 등 인체유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식초가 첨가된 물에 상기 대추를 담가 소독을 한 후에 달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야채국물은 각종 야채들을 달여서 국물로 우려내어 제조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간장소스만의 특유의 풍부한 맛과 영양을 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야채로서 마늘, 다시마, 양파, 인삼, 생강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늘은 백합과의 allium속에 속하는 작물로 그 원산지가 중앙아시아 등지로 전해지며 우리의 건국신화에도 마늘이 등장하였듯이 식품 및 의약품에 널리 애용되었고,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sauce, 육가공 및 향신료와 약용으로 그 수요가 점차 증가되고 있다. 고대 인도에서는 마늘이 피부염, 류마티즘, 복토, 식욕감퇴, 체중감소 등의 치료를 위하여 사용되었고, 히포크라테스(Hipocrates)도 의약품으로서 마늘의 중요성을 인정하여 이뇨제와 화농성 상처의 치료목적으로 사용하였다. 마늘의 생리활성은 식물체내에서는 불활성인 전구체로부터 세포가 파괴되면서 효소적으로 생산된 allicin 때문이며 이 allicin은 항균작용, 항진균작용, 항암작용, 저혈당작용, 혈압강하작용, 동맥경화예방 등 각종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상기 다시마는 갈조식물문(Phaeophyta) 다시마과(Laminaria Japonica)에 속하는 갈조류로서, 다시마의 주요 성분은 대체로 수분 16%, 단백질 7%, 지방 1.5%, 탄수화물 49%, 무기염류 26.5% 정도로 이루어지며, 다시마성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탄수화물의 경우 20%는 섬유소이고 나머지는 탄소동화작용으로 만들어지는 저장성 다당류인 라미나린(Laminarin)과 세포벽의 성분인 알긴산(Alginic acid) 등 다당류인 것으로 알려진다. 상기 다시마에는 카로틴(Carotene)류크산토필(Xanthophyll)류엽록소 등의 여러 가지 색소가 함유되어 있고, 요오드, 칼륨, 칼슘 등 무기염류와 비타민 B2 및 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무기염류의 공급을 위하여 다시마를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이 좋다고 알려지고 있으며, 특히 다시마에 함유되어 있는 라미닌(Laminin)이라는 염기성 아미노산은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양파는 백합과에 속하는 채소로 약용성분이 많고 향신료로서 독특한 향과 매운맛으로 예부터 조리 시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독특한 매운 맛을 내는 함황화합물과 함께 항균성, 항산화성, 혈압강하, 혈전용해능, 항통풍성 및 중금속 제거능 등 다양한 생리기능적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상기 인삼은 일반적으로 두릅나무과의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뿌리로서 가는 뿌리와 코르크 층을 제거한 것을 말한다. 상기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폐기능을 도우며 진액을 생성하고 안신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 준다. 인삼의 약리작용은 대뇌피질흥분과 억제, 평형, 항피로, 항노화, 면역증강, 심장수축, 성선촉진, 고혈당억제, 단백질합성촉진, 항상성유지, 항암, 해독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
상기 생강은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의 뿌리줄기를 의미하며, 상기 생강은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두통, 구토, 해수, 가래를 치료하며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설사, 복만에도 효과가 있고, 약리작용으로 위액분비촉진, 소화력 증진, 심장흥분 작용, 혈액순환촉진, 억균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늘, 다시마, 양파, 인삼, 생강을 깨끗한 물로 이물질들을 제거한 후 끓는 물에 넣어 충분히 달인 다음, 부유 중인 건더기를 걷어내어 야채 국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간장 혼합물은 간장에 상기 사골국물, 과일국물, 야채국물과 요리당을 첨가하여 제조하며, 상기 간장 혼합물에서 각각의 재료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적인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 따른 간장소스 특유의 차별화된 맛과 풍미를 발현하기 위하여 간장혼합물 전체 부피 중 간장 50 내지 60부피%, 사골국물 30 내지 40부피%, 과일국물 0.3 내지 0.8부피%, 야채국물 7 내지 9.5부피%, 요리당 0.2 내지 0.7부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간장 55 내지 58부피%, 사골국물 32 내지 35부피%, 과일국물 0.5 내지 0.8부피%, 야채국물 8내지 9.5부피%, 요리당 0.4 내지 0.7부피% 혼합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간장소스의 풍부하고 독특한 맛과 풍미를 극대화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함량은 간장 57부피%, 사골국물 33부피%, 과일국물 0.6부피%, 야채국물 9 부피%, 요리당 0.4 부피%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간장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에서는 간장혼합물을 끓인 후 식힌 다음, 밀봉하여 서늘한 곳에서 숙성한다. 상기 숙성 기간은 특별히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 따른 간장소스의 독특하고 차별화된 맛과 풍미를 발현하기 위하여 5 내지 9일 동안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일간 숙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장소스를 제조하기 위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숙성시킨 간장 혼합물에 식초를 혼합한다. 상기 식초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적인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이 목적하는 맛과 풍미를 내기 위해서는 상기 숙성시킨 간장혼합물의 부피 대비 식초 15 내지 25 부피%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숙성시킨 간장혼합물의 부피 대비 식초 20 부피%를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간장소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장소스는 특히 양파, 마늘, 도라지, 연근, 깻잎, 풋마늘, 풋고추 등을 주재료로 장아찌를 제조함에 있어 장아찌용 간장소스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종래의 장아찌용 간장소스는 2 내지 3일 간격으로 끓이고 식히기를 반복하여 생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간장소스는 종래와 같은 번거로운 과정 없이 곧바로 장아찌용 간장소스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발명에 따른 간장소스를 장이찌용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특별히 정해진 것은 아니나, 간장소스의 염도를 16 내지 18%로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7.5%로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장소스는 그 풍부하고 독특한 맛과 풍미로 인해 샤브 샤브, 생선회, 초밥, 튀김, 익힌 소고기, 익힌 돼지고기 등을 찍어 먹을 수 있는 소스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간장소스의 염도는 특별히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13 내지 15% 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도가 14.5 내지 15%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장소스의 염도는 천일염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의 간장소스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장아찌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아찌의 제조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간장소스는 염도가 16 내지 18%로 조절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장아찌는 예를 들면, 양파, 마늘, 도라지, 연근, 깻잎, 풋마늘, 풋고추 등을 주재료로 하는 장아찌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준비단계
소뼈를 물에 담근 후, 48시간 동안 3 내지 4회 물을 갈아 주면서 소뼈의 핏물을 제거 한 다음, 상기 핏물이 제거된 소뼈를 물이 담겨져 있는 솥에 넣고 적당한 온도로 약 24시간 이상 충분히 고아 우려낸 후, 냉각시켜 부상한 기름기를 걷어내어 사골 국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사과와 대추를 끓는 물에 넣어 충분히 달인 후 부유 중인 건더기를 모두 걷어내어 과일 국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마늘, 다시마, 양파, 인삼, 생강을 끓는 물에 넣어 충분히 달인 후 부유 중인 건더기를 모두 걷어내어 야채 국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간장소스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간장소스를 제조하기 위하여, 간장 430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사골국물 250, 과일국물 5.5, 야채국물 70와 요리당 4.5를 혼합하여 간장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제조된 간장 혼합물을 가마솥에 넣고 2시간 30분 동안 끓인 후 서서히 식힌 다음, 밀봉하여 7일 동안 서늘한 곳에서 두어 숙성시켰다.
상기와 같이 숙성 시킨 간장 혼합물에 식초 150를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장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간장소스는 기존의 간장소스와 차별화된 독특한 맛과 풍미를 가진 것이 특징이며, 종래의 장아찌용 간장소스와 같이 2 내지 3일 간격으로 끓이고 식히기를 반복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장이찌용으로 곧바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3: 장아찌의 제조 - 양파
깨끗한 물에 양파를 씻은 후, 상기 양파를 여러 조각으로 썬 다음 용기에 담았다. 상기 양파 조각이 담겨져 있는 용기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간장소스를 부어 밀봉한 다음, 7일간 숙성 시켜 본 발명에 따른 간장소스를 이용한 양파 장아찌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양파 장아찌는 새콤달콤하면서 깊고 풍부한 맛이 있으며, 기존 장아찌에 비해 독특하고 차별화된 맛과 풍미를 가지고 있어 현대인의 입맛에 꼭 맞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 핏물이 제거된 소뼈를 고아 우려내어 사골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사과 및 대추를 달여 과일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마늘, 다시마, 양파, 인삼 및 생강을 달여 야채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간장에 상기에서 제조된 사골국물, 과일국물, 야채국물을 넣고, 요리당을 혼합하여 간장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간장혼합물을 끓인 후 식힌 다음, 밀봉하여 서늘한 곳에서 숙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시킨 간장혼합물에 식초를 상기 숙성시킨 간장혼합물의 부피 대비 식초 15 내지 25 부피%의 함량으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장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간장혼합물 전체 부피 중 간장 50 내지 60부피%, 사골국물 30 내지 40부피%, 과일국물 0.3 내지 0.8부피%, 야채국물 7 내지 9.5부피%, 요리당 0.2 내지 0.7부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장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는 간장혼합물을 끓인 후 식힌 다음, 밀봉하여 서늘한 곳에서 5 내지 9일 동안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 삭제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간장소스.
- 제 5항의 간장소스에 대해 염도를 16 내지 18%로 조절한 것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장아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0691A KR101423194B1 (ko) | 2013-05-28 | 2013-05-28 |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0691A KR101423194B1 (ko) | 2013-05-28 | 2013-05-28 |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23194B1 true KR101423194B1 (ko) | 2014-07-28 |
Family
ID=51743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0691A KR101423194B1 (ko) | 2013-05-28 | 2013-05-28 |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3194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549682A (zh) * | 2017-09-28 | 2018-01-09 | 句容市武杭传动机械制造有限公司 | 一款发酵海参制品的加工方法 |
KR101931610B1 (ko) | 2018-09-18 | 2019-03-13 | (주)더동쪽 바다가는길 | 붉은대게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붉은대게 간장 소스 |
KR102183579B1 (ko) * | 2020-02-05 | 2020-11-26 | 유한회사 지민 | 초밥용 간장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253345B1 (ko) * | 2020-06-24 | 2021-05-17 | 김은진 | 다시마 야채 육수를 이용한 양배추 장아찌 제조 방법 |
KR102258362B1 (ko) | 2020-10-19 | 2021-06-01 | 권용문 | 문경약돌을 먹인 한우의 사골농축액을 이용한 다용도 간장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1586A (ko) * | 1998-06-12 | 2000-01-15 | 이영은 | 육수간장 제조공법 |
KR20110050019A (ko) * | 2009-11-06 | 2011-05-13 | 윤영웅 | 비빔면 전용 소스 및 그 제조방법 |
KR20130038469A (ko) * | 2011-10-10 | 2013-04-18 | 이경자 | 간장 절임 장아찌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3
- 2013-05-28 KR KR1020130060691A patent/KR10142319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1586A (ko) * | 1998-06-12 | 2000-01-15 | 이영은 | 육수간장 제조공법 |
KR20110050019A (ko) * | 2009-11-06 | 2011-05-13 | 윤영웅 | 비빔면 전용 소스 및 그 제조방법 |
KR20130038469A (ko) * | 2011-10-10 | 2013-04-18 | 이경자 | 간장 절임 장아찌 및 이의 제조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549682A (zh) * | 2017-09-28 | 2018-01-09 | 句容市武杭传动机械制造有限公司 | 一款发酵海参制品的加工方法 |
KR101931610B1 (ko) | 2018-09-18 | 2019-03-13 | (주)더동쪽 바다가는길 | 붉은대게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붉은대게 간장 소스 |
KR102183579B1 (ko) * | 2020-02-05 | 2020-11-26 | 유한회사 지민 | 초밥용 간장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253345B1 (ko) * | 2020-06-24 | 2021-05-17 | 김은진 | 다시마 야채 육수를 이용한 양배추 장아찌 제조 방법 |
KR102258362B1 (ko) | 2020-10-19 | 2021-06-01 | 권용문 | 문경약돌을 먹인 한우의 사골농축액을 이용한 다용도 간장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76354B1 (ko) | 오리 훈연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리 훈연제품 | |
KR101423194B1 (ko) |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 |
KR101011177B1 (ko) | 뽕잎 장아찌 제조방법 | |
KR20110044371A (ko) | 양념 소스를 이용한 양고기 조리방법, 그 조리방법에 의해 제조된 양고기, 및 양고기 포장육 제조방법 | |
KR101121738B1 (ko) | 김치의 제조 방법 | |
KR20160107929A (ko) | 유산균 발효에 의한 저염 브로콜리 잎 김치의 제조 방법 | |
CN103461415B (zh) | 一种泥螺面包及其加工方法 | |
KR101518412B1 (ko) | 명태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명태찜 | |
KR100515973B1 (ko) | 식품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 |
KR100766808B1 (ko) | 기능성 젓갈의 제조방법 | |
KR101173889B1 (ko) | 건조해산물 식해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건조해산물 식해 | |
CN104059835A (zh) | 一种南瓜酒 | |
CN104726320B (zh) | 一种无花果蜜醋及制作方法 | |
KR102131362B1 (ko) | 아로니아 효소가 함유된 된장 제조방법 | |
KR100219300B1 (ko) | 죽순발효식품의 제조방법 | |
KR20100101327A (ko) | 홍삼김치의 제조방법 | |
KR20130131564A (ko) | 누에젓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 |
KR102277356B1 (ko) | 전복 내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소스 | |
CN106689855A (zh) | 一种芹菜营养酱菜及其制备方法 | |
CN106616385A (zh) | 一种裹蒸菜及其制作方法 | |
KR101931610B1 (ko) | 붉은대게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붉은대게 간장 소스 | |
KR102000842B1 (ko) | 대나무통 숙성 모링가 장아찌와 이의 제조방법 | |
CN106387818A (zh) | 一种芝麻酱拌面酱的制备方法 | |
KR101883464B1 (ko) | 홍화, 모시잎, 초란액을 혼합한 혼합 고칼슘 즉석가공 음료수에 고구마 줄기 가루를 재료로 한 고칼슘 장 원료액 제조방법 | |
KR20080018618A (ko) | 소고기 김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