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621B1 - 광경화성 조성물, 점착 시트, 점착 시트 적층체, 경화물,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경화성 조성물, 점착 시트, 점착 시트 적층체, 경화물,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621B1
KR102407621B1 KR1020197018916A KR20197018916A KR102407621B1 KR 102407621 B1 KR102407621 B1 KR 102407621B1 KR 1020197018916 A KR1020197018916 A KR 1020197018916A KR 20197018916 A KR20197018916 A KR 20197018916A KR 102407621 B1 KR102407621 B1 KR 102407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photocurable composition
adhesive sheet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049A (ko
Inventor
가호루 이시이
마코토 이네나가
에리 마스다
준이치 나카무라
히로코 시나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89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reformed graft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4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08C or C08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핫멜트 가능한 온도로 가열하면, 맞붙임면의 요철부에 추종하여 구석구석까지 충전할 수 있고, 광경화 후에는, 피착물끼리 보다 더 강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는 새로운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매크로 모노머를 공중합성 성분으로 하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 가교제 (B) 및 가교 개시제 (C)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로서,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 X1(nm-1)이 0.05<X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안한다.

Description

광경화성 조성물, 점착 시트, 점착 시트 적층체, 경화물,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매크로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함유하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이용한 광경화성 조성물과, 그것을 이용한 점착 시트, 점착 시트 적층체, 경화물,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크로 모노머는, 결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고분자량 모노머이다. 매크로 모노머는, 다른 모노머와 부가 또는 공중합하는 것에 의해,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그리고 매크로 모노머를 이용하여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합성하면, 물성이 다른 수지를 가지 성분과 줄기 성분에 각각 따로 따로, 또한 간편하게 고순도로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점접착제 분야에 있어서도, 이런 종류의 매크로 모노머를 이용한 점착제 조성물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택, 접착력, 응집력 등의 점착 물성이 양호한 점착제용 수지 조성물로서, 수평균 분자량이 1000~100000이고 유리 전이 온도가 -20℃ 이하인 매크로 모노머, 히드록실기 또는 카복실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 및 다른 단량체를 라디칼 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며, 줄기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가 가지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점착제용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고온·고습 조건에 있어서의 내구성과 재박리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이고 수평균 분자량이 2000~20000인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매크로 모노머 0.2~3질량부와,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57~98.8질량부와, 관능기 함유 모노머 1~20질량부와, 적어도 당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 0~20질량부와의 공중합체(중량 평균 분자량 50만~200만)를 이용한 접착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다양한 피착체에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고, 접합 후에 경화시켜 접착제 수준의 접착력을 발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절단 가공했을 때의 절단면으로부터의 점접착제의 밀려나옴이나 절단면끼리의 접착이 발생하기 어려운 점접착제 조성물로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전체 모노머 성분 중 1~30질량%를 차지하는 수평균 분자량 Mn이 1000~200000, 유리 전이점 Tg가 30~150℃인 매크로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점착성 폴리머와, 광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과, 광 양이온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경화형 점접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점착 테이프의 점착층에, 고함유량으로 충전제가 함유된 경우여도, 점착성이 우수하여 고온에 노출된 경우여도 점착성을 유지하는 감압 접착제로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줄기 폴리머로 하고, (메트)아크릴계 매크로 모노머를 가지 폴리머로 하는 (메트)아크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와 가교제와 충전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접착제가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5에는, 통상의 상태, 즉, 실온 상태에서는, 박리 가능할 정도의 접착성("택성"이라고 한다)을 구비할 수 있음과 함께, 핫멜트 가능한 온도로 가열하면 유동성을 갖게 되며, 맞붙임면의 단차부에 추종하여 구석구석까지 충전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는 피착물끼리 강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는 점착제 수지 조성물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A) 100질량부와, 가교제 (B) 0.5~20질량부와, 가교 개시제 (C) 0.1~5질량부를 함유하는 점착제 수지 조성물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A)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104~5.0×105인 그래프트 공중합체이며, 당해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줄기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유래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고, 당해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가지 성분으로서 수평균 분자량 5.0×102 이상 6.0×103 미만의 매크로 모노머 유래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며, 또한 당해 매크로 모노머 유래의 반복 단위를 아크릴계 공중합체 (A) 중에 0.1~3mol%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6에는, 수량 평균 분자량이 500 이상 6000 미만인 매크로 모노머 (a) 및 비닐 단량체 (b)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만~100만인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과, 이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7에는, 실온 상태에서는, 시트형의 형상을 보지(保持)할 수 있고, 박리 가능할 정도의 첩착(貼着)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핫멜트에 의해 유동성을 갖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가교되어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끼리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는 새로운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8에는, 인쇄 은폐부 등 광이 닿기 어려운 개소가 있어도 광경화시킬 수 있고,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는 점착 시트여도 시트 전체를 경화시킬 수 있는, 광경화성의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9에는, 투명 점착재를 통하여, 2개의 광학 장치 구성용 부재를 일단 맞붙여 이루어지는 광학 장치 구성용 적층체로부터, 2개의 광학 장치 구성용 부재를 떼어 놓아, 광학 장치 구성용 부재를 리사이클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0에는,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의 맞붙임에 있어서, 점착층과 이형층의 계면에 있어서의 이물 혼입이나, 점착층으로의 이형제의 이행 전사를 억제할 수 있고, 맞붙임 후의 내구성도 우수한, 점착 시트 적층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2034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0909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5845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195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05296호 국제공개 제2015/080244A1 국제공개 제2015/137178A1 국제공개 제2016/024618A1 국제공개 제2016/002763A1 국제공개 제2016/088697A1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은 종래 개시되어 있던 광경화성 조성물, 즉, 매크로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함유하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가교제를 갖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추가로 개량하는 것에 의해, 핫멜트 가능한 온도로 가열하면, 맞붙임면의 요철부에 추종하여 구석구석까지 충전할 수 있고, 광경화 후에는, 피착물끼리 보다 더 강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는 새로운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매크로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함유하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 가교제 (B) 및 가교 개시제 (C)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로서,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 X1(nm-1)이 0.05<X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안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에 의하면, 실온 상태에서 시트형을 보지하면서 자착성("택성"이라고 한다)을 나타낼 수 있고, 미가교 상태에 있어서 가열하면 연화 내지 유동하며, 예를 들면 매크로 모노머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연화 내지 유동하여, 맞붙임면의 요철부에 추종하여 구석구석까지 충전할 수 있다. 또, 광경화하는 것에 의해, 우수한 응집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피착물끼리 강고하게 첩착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하기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광경화성 조성물]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한 조성물(「본 광경화성 조성물」이라고 한다)은, 매크로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함유하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 가교제 (B) 및 가교 개시제 (C)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로서,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 X1(nm-1)이 0.05<X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이다.
상기 「매크로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함유한다」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공중합체 성분으로서 매크로 모노머를 포함하는 경우 외에,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부가 결합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경우 등, 당해 공중합체 성분 이외의 구성 단위로서 함유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광경화성 조성물은, 적어도 가교제 (B) 및 가교 개시제 (C) 중 어느 하나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가교제 (B) 및 가교 개시제 (C) 중 어느 하나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에 결합되어 있으면, 결합한 가교제 (B)나 가교 개시제 (C)의 블리드 아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적어도 가교제 (B) 및 가교 개시제 (C) 중 어느 하나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에 결합됨으로써, 광가교 반응의 반응 효율이 촉진되는 점에서, 보다 응집력이 높은 광경화물을 얻을 수 있다.
또, 적어도 가교제 (B) 및 가교 개시제 (C) 중 어느 하나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에 결합되어 있으면,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가 가교되는 개소를 의도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여기에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에 결합되어 있다」란, 가교제 (B) 또는 가교 개시제 (C)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가 공유 결합, 이온 결합 및 금속 결합을 포함하는 화학 결합으로 결합한 상태를 가리킨다.
본 광경화성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 X1(nm-1)이 0.05<X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각 X선 산란 측정이란, 산란각이 수 도 이하(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0° 이하)인 산란 X선을 관찰하는 것에 의해, 나노 스케일(1~100nm)의 구조 정보를 얻는 수법이다.
따라서,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이 관측 가능한 조성물이라는 것은,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이 관측되지 않는 상태의 조성물이 아닌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이 관측 가능하다면, 본 광경화성 조성물의 형상이나 상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광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는, 매크로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일반적으로 매크로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 하는 공중합체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한다. 매크로 모노머의 중합성기가 1개인 경우에는 통상, 다른 모노머와의 부가, 축합 또는 공중합에 의해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된다. 또, 매크로 모노머의 중합성기가 2개인 경우에는 통상, 다른 모노머와의 부가, 축합 또는 공중합에 의해 블록 공중합체가 된다. 일반적으로, 그래프트 공중합체나 블록 공중합체는, (미크로)상분리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광경화성 조성물에 대한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의 규정은, 상기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형성하는 (미크로)상분리 구조의 "상분리 상태"의 척도로서 생각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그래프트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줄기 성분과 가지 성분, 또는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개개의 블록 성분은, 다른 "상"으로서 미크로로 분리한 상태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이 큰(넓은) 경우에는, 피크가 브로드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값폭이 작은 경우와 비교해, 상분리되어 있는 각 상의 밀도차가 작은 경우나 상분리 구조가 불균일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
한편, 반값폭이 작을(좁을)수록, 피크가 샤프한 것을 의미하며, 반값폭이 큰 경우와 비교해, 상분리된 각 상의 밀도차가 보다 명확한 경우나 상분리 구조가 보다 균일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본 광경화성 조성물에서는, 상기 반값폭을 특정의 범위 내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미크로로 상분리된 각각의 상이, 다른 점착 특성을 개별적으로 담당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하여, 일반적으로는 양립시키는 것이 곤란한 특성을 겸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가지 성분」, 「줄기 성분」이라는 단어를 이용하여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예로 설명하는 경우가 있지만,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이것을 「각 블록 성분」(예를 들면 「블록 성분 A」, 「블록 성분 B」)이라고 대체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본 광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 X1은, 매크로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머에 있어서, 매크로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가지 성분과, 줄기 성분이 이루는 (미크로)상분리 구조가, 처방하는 가교제나 광개시제에 의해 변화된 후의 상태의 지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광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 0.05<X1<0.30인 것에 의해,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은 종래 개시되어 있던 광경화성 조성물, 즉, 매크로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가교제를 갖는 종래의 광경화성 조성물에 비해, 배반(背反) 물성인 점착성과 형상 안정성을 보다 높은 수준으로 양립할 수 있어, 핸들링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광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 X1은 0.05<X1<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06<X1 또는 X1<0.27, 그 중에서도 0.08<X1 또는 X1<0.25, 또한 그 중에서도 0.11<X1 또는 X1≤0.23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상으로부터, 상기 반값폭 X1은, 0.05<X1<0.30, 0.05<X1<0.27, 0.05<X1<0.25 또는 0.05<X1≤0.23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06<X1<0.30, 0.06<X1<0.27, 0.06<X1<0.25 또는 0.06<X1≤0.23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0.08<X1<0.30, 0.08<X1<0.27, 0.08<X1<0.25 또는 0.08<X1≤0.23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또한 그 중에서도 0.11<X1<0.30, 0.11<X1<0.27, 0.11<X1<0.25 또는 0.11<X1≤0.23 중 어느 하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광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 X1을 조정하기 위한 주된 수단으로서, 베이스 폴리머인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구조나 조성, 분자량 등을 조정함과 함께, 가교제 (B)나 가교 개시제 (C)의 종류와 양을 조정하거나 선택하는 수단을 들 수 있다. 단, 이러한 수단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베이스 폴리머」란, 광경화성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주성분을 말하며, 또, 「주성분」이란, 광경화성 조성물의 40질량%를 넘어 포함되는 성분을 말한다.
여기에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구조의 선택으로서는, 예를 들면 그래프트 공중합체인지 블록 공중합체인지의 선택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조성의 조정으로서는, 줄기 성분과 가지 성분(블록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각 블록 성분)의 조성의 조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가지 성분에 근거한 상 및 줄기 성분에 근거한 상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조정하거나, 가지 성분 및 줄기 성분의 상용성 파라미터의 밸런스를 최적화하거나, 가지 성분 및 줄기 성분의 친수성·소수성의 밸런스를 최적화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기 반값폭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지 성분으로 Tg가 높은 상을, 줄기 성분으로 Tg가 낮은 상을 형성하여, 상기 반값폭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그래프트 폴리머를 사용하고, 가지 성분과 줄기 성분의 상용성의 밸런스를 최적화함으로써 반값폭을 제어하여 최적의 상분리 상태를 형성하여, 택성과 핫멜트성을 겸비할 수 있다.
가교제 (B)나 가교 개시제 (C)의 종류의 조정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를 구성하는 친수성 성분과의 상용성을 조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가교제 (B)나 가교 개시제 (C)를,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가 이루는 줄기 성분과 가지 성분(블록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각 블록 성분)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상에 대한 상용성이 높은 성분으로 하거나, 첨가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가 이루는 줄기 성분과 가지 성분(블록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각 블록 성분)의 상용성을 조정하여, 상분리 상태, 즉,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을 제어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광경화성 조성물의 상기 반값폭 X1의 조정 방법으로서는, 후술하듯이, 줄기 성분과 가지 성분을 구성하는 모노머가 갖는 관능기의 종류나 함유 비율의 최적화나, 가지 성분의 분자량의 최적화 등으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를 최적화함과 함께, 가교제 (B)나 가교 개시제 (C)의 종류와 양의 조정을 행하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본 광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반값폭 X1을 바람직한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자세하게는 후술하듯이, 예를 들면 (1)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주가 되는 공중합 성분(줄기 성분)으로서, 탄소수가 5 이상, 그 중에서도 8 이상, 그 중에서도 9 이상, 특히 10 이상인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비닐 모노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의 줄기 성분이 함유하는 모노머의 예시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2a)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비닐 모노머 이외의 상기 공중합성 성분(줄기 성분)으로서, 친수성 성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의 줄기 성분이 함유하는 친수성 모노머의 예시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b) 당해 친수성 성분을, 상기 공중합 성분(줄기 성분) 100에 대해서 0.1~20의 질량 비율로 함유시켜 줄기 성분의 친수성을 높이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3a)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가지 성분으로서, 탄소수 4 이하의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비닐 모노머 성분을, 줄기 성분 100에 대해서 1~100의 질량 비율이 되도록 배합시켜, 줄기 성분의 상과 가지 성분의 상이 이루는 미크로 상분리 상태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3b)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가지 성분으로서,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비닐 모노머 성분을, 줄기 성분 100에 대해서 1~100의 질량 비율이 되도록 배합시켜, 줄기 성분의 상과 가지 성분의 상이 이루는 미크로 상분리 상태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4a) 가교제 (B)로서 친수성 성분과의 상용성이 높은 수산기 함유 화합물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가교제 (B)의 예시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4b) 상기 가교제 (B)를,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0.05~30질량부 첨가시켜, 줄기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상의 극성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상기 (1)~(4b)를 각각 독립적으로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줄기 성분과 가지 성분이 이루는 상분리 구조를 조정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1)~(4b) 방법 중, (1)과 (2a) 및/또는 (2b)를 조합하는 것이나, (1)과 (3a) 및/또는 (3b)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과 (3a) 및/또는 (3b)와 (4a) 및/또는 (4b)를 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b)의 모든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이 방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그래프트 폴리머를 사용하고, 가지 성분과 줄기 성분의 상용성의 밸런스를 최적화하는 것에 의해, 최적의 상분리 상태를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이외에도 예를 들면, 상기 공중합체 (A)의 주가 되는 공중합성 성분(줄기 성분)으로서 소수성 성분을 이용하고, 또한 상기 공중합체 (B)의 가지 성분으로서 친수성 성분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반값폭 X1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광경화성 조성물은, 적산 광조사량으로서 4000mJ/m2의 광을 조사했을 때의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 X2(nm-1)가 0.05<X2<0.25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본 광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 적산 광조사량으로서 4000mJ/m2의 광을 조사했을 때의 당해 1차원 산란 프로파일, 즉 광을 조사한 후의 본 광경화성 조성물의 당해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 X2(nm-1)가 0.05<X2<0.25인 것에 의해, X1이 소정 범위에 있는 경우의 효과에 더해, 추가로 광경화 후의 조성물에 있어서 높은 응집력을 얻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조사광의 파장은, 후술하는 가교 개시제 (C)가 감응하는 파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광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 적산 광조사량으로서 4000mJ/m2의 광을 조사했을 때의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 X2(nm-1)는 0.05<X2<0.25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06<X2 또는 X2<0.24, 그 중에서도 0.08<X2 또는 X2<0.22, 또한 그 중에서도 0.10<X2 또는 X2<0.2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상으로부터, 상기 반값폭 X2는, 0.05<X2<0.25, 0.05<X2<0.24, 0.05<X2<0.22 또는 0.05<X2<0.20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06<X2<0.25, 0.06<X2<0.24, 0.06<X2<0.22 또는 0.06<X2<0.20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0.08<X2<0.25, 0.08<X2<0.24, 0.08<X2<0.22 또는 0.08<X2<0.20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또한 그 중에서도 0.10<X2<0.25, 0.10<X2<0.24, 0.10<X2<0.22 또는 0.10<X2<0.20 중 어느 하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광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 적산 광조사량으로서 4000mJ/m2의 광을 조사했을 때의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 X2(nm-1)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반값폭 X1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과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베이스 폴리머인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구조나 조성, 분자량 등을 조정함과 함께, 가교제 (B)나 가교 개시제 (C)의 종류와 양을 조정하거나 선택하는 수단을 들 수 있다. 단, 이러한 수단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광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반값폭 X2를 바람직한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자세하게는 후술하듯이, (1)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주가 되는 공중합 성분(줄기 성분)으로서, 탄소수가 5 이상, 그 중에서도 8 이상, 그 중에서도 9 이상, 특히 10 이상인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비닐 모노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의 줄기 성분이 함유하는 모노머의 예시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2a)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비닐 모노머 이외의 상기 공중합 성분(줄기 성분)으로서, 친수성 성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의 줄기 성분이 함유하는 친수성 모노머의 예시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b) 당해 친수성 성분을, 상기 공중합 성분(줄기 성분) 100에 대해서 0.1~20의 질량 비율로 함유시켜 줄기 성분의 친수성을 높이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3a)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가지 성분으로서, 탄소수 4 이하의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비닐 모노머 성분을, 줄기 성분 100에 대해서 1~100의 질량 비율이 되도록 배합시켜, 줄기 성분의 상과 가지 성분의 상이 이루는 미크로 상분리 상태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3b)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가지 성분으로서,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비닐 모노머 성분을, 줄기 성분 100에 대해서 1~100의 질량 비율이 되도록 배합시켜, 줄기 성분의 상과 가지 성분의 상이 이루는 미크로 상분리 상태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4a) 가교제 (B)로서 친수성 성분과의 상용성이 높은 수산기 함유 화합물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가교제 (B)의 예시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4b) 상기 가교제 (B)를,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0.05~30질량부 첨가시켜, 줄기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상의 극성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상기 (1)~(4b)를 각각 독립적으로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줄기 성분과 가지 성분이 이루는 상분리 구조를 조정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1)~(4b) 방법 중, (1)과 (2a) 및/또는 (2b)를 조합하는 것이나, (1)과 (3a) 및/또는 (3b)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과 (3a) 및/또는 (3b)와 (4a) 및/또는 (4b)를 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b)의 모든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이 방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그래프트 폴리머를 사용하고, 가지 성분과 줄기 성분의 상용성의 밸런스를 최적화하는 것에 의해, 최적의 상분리 상태를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이외에도 예를 들면, 상기 공중합체 (A)의 주가 되는 공중합성 성분(줄기 성분)으로서 소수성 성분을 이용하고, 또한 상기 공중합체 (B)의 가지 성분으로서 친수성 성분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반값폭 X2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광경화성 조성물의 형상이나 상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4000mJ/m2의 광이 광경화성 조성물에 대해서 균일하게 조사되지 않는 경우에는, 당해 광경화성 조성물을 두께 150μm의 시트형으로 성형한 것을 기준(측정 대상)으로 하여 판단하면 된다.
본 광경화성 조성물은, 20℃에 있어서 점착성을 나타내고, 또한, 50~100℃에 있어서 연화 또는 유동화하는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광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 후술하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베이스 수지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
매크로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서, 가지 성분으로서 매크로 모노머를 구비한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본 광경화성 조성물은, 가교제 (B) 및 가교 개시제 (C)의 작용에 의해 가교되기 때문에, 그 효율의 점에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베이스 수지로 하여 본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작하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즉, 당해 반값폭을 범위 내로 하는 달성 수단의 일 양태이다. 이로 인하여, 본 광경화성 조성물은, 실온 상태에서 소정의 형상, 예를 들면 시트형을 보지하면서 자착성(자기 점착성)을 나타낼 수 있고, 미가교 상태에 있어서 가열하면 연화 내지 유동하는 핫멜트성을 가지며, 나아가서는 광경화시킬 수 있고, 광경화 후에는 우수한 응집력을 발휘시켜 접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광경화성 조성물의 베이스 폴리머로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사용하면, 미가교 상태에서도, 실온(20℃)에 있어서 점착성을 나타내고, 또한 50~9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또는 8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면 연화 내지 유동화하는 성질을 구비할 수 있다.
(줄기 성분)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의 줄기 성분을 구성하는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7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줄기 성분을 구성하는 (공)중합체 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의 줄기 성분을 조성하는 모노머 성분만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공)중합체 각 성분의 호모폴리머로부터 얻어지는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와 구성 비율로부터, Fox의 계산식에 의해 산출되는 값을 의미한다. 또한, 줄기 성분만으로 이루어지는 폴리머는, 단독 중합체(호모폴리머),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인 경우도 있다.
또한, Fox의 계산식이란 이하의 식으로, 폴리머 핸드북〔PolymerHandBook, J. Brandrup, Interscience, 1989〕에 기재되어 있는 값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1/(273+Tg)=Σ(Wi/(273+Tgi))
[식 중, Wi는 모노머 i의 중량분율, Tgi는 모노머 i의 호모폴리머의 Tg(℃)를 나타낸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의 줄기 성분을 구성하는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실온 상태에서의 본 광경화성 조성물의 유연성이나, 피착체에 대한 본 광경화성 조성물의 습윤성, 즉 접착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본 광경화성 조성물이 실온 상태에서 적당한 접착성(택성)을 얻기 위해서는, 당해 유리 전이 온도는, -70℃~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65℃ 이상 또는 -5℃ 이하, 그 중에서도 -60℃ 이상 또는 -1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단, 당해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같은 온도였다고 해도, 분자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점탄성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줄기 성분의 분자량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보다 유연화시킬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의 줄기 성분이 함유하는 모노머로서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들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세틸(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베헤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아크릴레이트, p-쿠밀페놀에틸렌옥시드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것들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에 친수기를 결합한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메트)아크릴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말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말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석신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석신산, 크로톤산, 푸마르산, 말레산, 이타콘산, 말레산 모노메틸, 이타콘산 모노메틸 등의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α-에틸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 3,4-에폭시부틸 등의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염화 메틸염, (메트)아크릴아미드, N-t-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다이아세톤(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 말레산 아미드, 말레이미드 등의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비닐피롤리돈, 비닐피리딘, 비닐카르바졸 등의 복소환계 염기성 모노머; 2-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메트)아크릴산 2-(0-[1'-메틸프로필리덴아미노]카르복시아미노)에틸, 2-[(3,5-디메틸피라졸릴)카르보닐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2-[2-히드록시-5-[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등의 자외선 흡수성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아크릴모노머나 메타크릴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스티렌, t-부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닐,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알킬비닐에테르, 히드록시알킬비닐에테르, 알킬비닐 모노머 등의 각종 비닐 모노머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또,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의 줄기 성분은, 소수성의 모노머와, 친수성의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의 줄기 성분이 소수성 모노머만으로 구성되면, 습열 백화되는 경향이 확인되기 때문에, 친수성 모노머도 줄기 성분에 도입하여 습열 백화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의 줄기 성분으로서, 소수성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친수성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매크로 모노머의 말단의 중합성 관능기가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성분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의 소수성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세틸(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베헤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또, 소수성의 비닐 모노머로서는 아세트산 비닐 등의 알킬비닐에스테르, 스티렌, t-부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알킬비닐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후술하는 가지 성분이 이루는 상과 적절한 상분리 구조를 형성하기 쉬운 점과, 본 광경화성 조성물에 적절한 접착성(택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탄소수가 5 이상, 그 중에서도 8 이상, 그 중에서도 9 이상, 특히 10 이상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본 광경화성 조성물이 이용되는 경우, 터치 검출 감도의 변화를 흡수하여 검출 신호의 노이즈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비유전율이 낮은 광경화성 조성물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본 광경화성 조성물 및/또는 본 광경화성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이루어지는 경화물의 비유전율을 낮게 조정하는 관점에서, 소수성 모노머로서 탄소수가 5 이상, 그 중에서도 8 이상, 그 중에서도 9 이상, 특히 10 이상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탄소수 8 이상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세틸(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베헤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친수성의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나,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나, (메트)아크릴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말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말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석신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석신산, 크로톤산, 푸마르산, 말레산, 이타콘산, 말레산 모노메틸, 이타콘산 모노메틸 등의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α-에틸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 3,4-에폭시부틸 등의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외에, (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페닐(메트)아크릴아미드, N-t-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다이아세톤(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메트)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본 광경화성 조성물의 습열 백화를 방지하면서,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상기의 친수성의 모노머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나,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 산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메트)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광경화성 조성물이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등의 부식성을 갖는 부재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본 광경화성 조성물 및/또는 본 광경화성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이루어지는 경화물에 의한 피착체의 부식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산성도가 높은 카복실기나 산무수물을 함유하지 않는 친수성 성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상기의 친수성의 모노머로서, 예를 들면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나, (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페닐(메트)아크릴아미드, N-t-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다이아세톤(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메트)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지 성분: 매크로 모노머)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은,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가지 성분으로서, 매크로 모노머를 도입하여, 매크로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크로 모노머란, 말단의 중합성 관능기와 고분자량 골격 성분을 갖는 고분자 단량체이다.
매크로 모노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구성하는 공중합체 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매크로 모노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본 광경화성 조성물의 가열 용융 온도(핫멜트 온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30℃~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40℃ 이상 또는 110℃ 이하, 그 중에서도 50℃ 이상 또는 1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매크로 모노머가 이러한 유리 전이 온도(Tg)이면, 분자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우수한 가공성이나 보관 안정성을 보지할 수 있음과 함께, 50℃에서 80℃ 부근에서 핫멜트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매크로 모노머의 유리 전이 온도란, 당해 매크로 모노머 자체의 유리 전이 온도를 의미하며, 시차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할 수 있다.
또, 실온 상태에서는, 가지 성분끼리가 서로 끌어당겨 점착제 조성물로서 물리적 가교를 한 것과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적절한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상기 물리적 가교가 해제되어 유동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매크로 모노머의 분자량이나 함유량을 조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매크로 모노머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1) 중에 5질량%~30질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6질량% 이상 또는 25질량% 이하, 그 중에서도 8질량% 이상 또는 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매크로 모노머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1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80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800 이상 또는 7500 미만, 그 중에서도 1000 이상 또는 70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매크로 모노머는, 일반적으로 제조되고 있는 것(예를 들면, 토아 가세이사(TOAGOSEI CO., LTD.)제 매크로 모노머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매크로 모노머의 고분자량 골격 성분은, 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비닐계 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크로 모노머의 고분자량 골격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세틸(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베헤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아크릴레이트, p-쿠밀페놀에틸렌옥시드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알콕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알콕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나, 스티렌, t-부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알킬비닐 모노머, 알킬비닐에스테르, 알킬비닐에테르, 히드록시알킬비닐에테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아미드,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각종 비닐 모노머를 들 수 있으며, 이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매크로 모노머는, 라디칼 중합성기, 또는 히드록실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에폭시기, 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티올기 등의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것이다. 매크로 모노머로서는, 다른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기는 1개 또는 2개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그 중에서도 1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매크로 모노머가 관능기를 갖는 경우도 관능기는 1개 또는 2개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그 중에서도 1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라디칼 중합성기와 관능기는 어느 하나만 함유해도 되고, 모두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라디칼 중합성기와 관능기를 모두 함유하는 경우에는, 다른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중합물 유닛과의 부가하는 관능기, 또는 다른 모노머와 공중합하는 라디칼 중합성기 이외의 관능기, 또는 라디칼 중합성기는 2개 이상이어도 된다.
따라서, 상기 매크로 모노머의 말단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등의 라디칼성 중합기 외에, 히드록실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에폭시기, 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티올기 등의 관능기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매크로 모노머의 말단 관능기로서는, 다른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당해 라디칼 중합성기는 1개 또는 2개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그 중에서도 1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매크로 모노머가 관능기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도, 관능기는 1개 또는 2개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그 중에서도 1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라디칼 중합성기와 관능기는, 어느 하나만 함유해도 되고, 모두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라디칼 중합성기와 관능기를 모두 함유하는 경우에는, 다른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중합물 유닛과의 부가하는 관능기, 또는 다른 모노머와 공중합하는 라디칼 중합성기 이외의 관능기, 또는 라디칼 중합성기는 2개 이상이어도 된다.
매크로 모노머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매크로 모노머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발트 연쇄 이동제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 α-메틸스티렌다이머 등의 α 치환 불포화 화합물을 연쇄 이동제로서 이용하는 방법, 중합성기를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방법, 및 열분해에 의한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매크로 모노머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제조 공정수가 적고, 연쇄 이동 상수가 높은 촉매를 사용하는 점에서 코발트 연쇄 이동제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은, 예를 들면 특정의 매크로 모노머 (a)를 비닐 단량체 (b)로 이루어지는 중합물에 부가하여 얻을 수도 있고, 또, 특정의 매크로 모노머 (a)와 비닐 단량체 (b)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얻을 수도 있다.
<가교제 (B)>
본 광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가교제 (B)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형성하는 (미크로)상분리 구조의 제어제, 바꾸어 말하면, 본 광경화성 조성물의 유연성과 응집력을 조정하는 제어제로서의 역할을 갖고 있다.
가교제 (B)로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로일기,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카복실기, 히드록실기, 카보디이미드기, 옥사졸린기, 아지리딘기, 비닐기, 아미노기, 이미노기, 아미드기,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기, 알콕시실릴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가교제를 들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탈보호 가능한 보호기로 보호되어 있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가교 반응의 제어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글리시딜에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폴리에톡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폴리알콕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F 폴리알콕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글리콜의 ε-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콕시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자외선 경화형의 다관능 모노머류 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아크릴올리고머류 외에, 다관능 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 든 예 중에서도,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이나 습열 백화 억제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 중에서도, 수산기나 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등의 극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다관능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수산기 또는 아미드기를 갖는 다관능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열 백화를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1), 즉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줄기 성분으로서, 소수성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친수성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가교제 (B)로서 수산기를 갖는 다관능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밀착성이나 내습열성, 내열성 등의 효과를 조정하기 위해서, 가교제 (B)와 반응하는, 단관능 또는 다관능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추가로 첨가해도 된다.
또, 2종 이상의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α-에틸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 3,4-에폭시부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나, 2-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메트)아크릴산 2-(0-[1'-메틸프로필리덴아미노]카르복시아미노)에틸, 2-[(3,5-디메틸피라졸릴)카르보닐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외에,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각종 실란 커플링제를 들 수 있다.
2종 이상의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가교제는, 한쪽의 가교성 관능기를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반응시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에 결합되는 구조를 취해도 된다.
가교제 (B)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에 결합됨으로써, 가교제 (B)의 블리드 아웃이나 점착제 조성물의 예기치 못한 가소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가교제 (B)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에 결합됨으로써, 광가교 반응의 반응 효율이 촉진되기 때문에, 보다 응집력이 높은 경화물을 얻을 수 있다.
가교제 (B)의 함유량은,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을 적정 범위로 조정하여 적절한 상분리 구조를 유지하고, 본 광경화성 조성물의 유연성과 응집력의 밸런스를 맞추는 관점에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 100질량부에 대해서, 0.05질량부 또는 3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1질량부 또는 2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0.5질량부 이상 또는 15질량부 이하, 특히 1질량부 이상 또는 13질량부 이하의 비율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광경화성 조성물은, 가교제 (B)의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하는 단관능 모노머를 추가로 함유해도 된다. 단관능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에 의해, 본 광경화성 조성물의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 X1의 값을 증대시키거나, 핫멜트시의 유동성을 높이는 것 외에,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 향상이나, 습열 백화 억제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단관능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외에,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말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말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석신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석신산, 크로톤산, 푸마르산, 말레산, 이타콘산, 말레산 모노메틸, 이타콘산 모노메틸 등의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테르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페닐(메트)아크릴아미드, N-t-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다이아세톤(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메트)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이나 습열 백화 억제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나, (메트)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 개시제 (C)>
본 광경화성 조성물에 이용되는 가교 개시제 (C)는, 가교제 (B)의 가교 반응에 있어서의 반응 개시 조제(助劑)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가교 개시제는, 현재 공지의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파장 380nm 이하의 자외선에 감응하는 광중합 개시제가, 가교 반응의 제어 용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파장 380nm보다 장파장의 광에 감응하는 광중합 개시제는, 높은 광반응성을 얻을 수 있는 점, 및 감응하는 광이, 본 광경화성 조성물을 시트형으로 부형(賦形)한 경우에, 시트의 심부(深部)까지 도달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는, 라디칼 발생 기구에 따라 크게 2개로 분류되며, 광중합 개시제 자신의 단결합을 개열(開裂) 분해하여 라디칼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개열형 광중합 개시제와, 광 여기한 개시제와 계 중의 수소 공여체가 여기 착체를 형성하여, 수소 공여체의 수소를 전이시킬 수 있는 수소 인발형(引拔型) 광중합 개시제로 대별된다.
이 중 개열형 광중합 개시제는, 광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할 때에 분해되어 다른 화합물이 되며, 한 번 여기되면 가교 개시제로서의 기능도 잃게 된다. 이로 인하여, 가교 반응이 종료된 후의 점착재 중에 활성종으로서 잔존하지 않고, 점착재에 예기치 못한 광열화 등을 초래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수소 인발형 광중합 개시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라디칼 발생 반응시에, 개열형 광중합 개시제와 같은 분해물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반응 종료후에 휘발 성분이 되기 어렵고, 피착체에 대한 데미지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하다.
상기 개열형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2-히드록시-1-[4-{4-(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온), 페닐글리옥실산 메틸,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4-메틸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디메틸아미노)-2-[(4-메틸페닐)메틸]-1-[4-(4-모르폴리닐)페닐]-1-부탄온, 1,2-옥탄디온, 1-(4-(페닐티오), 2-(o-벤조일옥심)), 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에탄온1-(O-아세틸옥심),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 에톡시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나, 그것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소 인발형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4-메틸-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4-페닐벤조페논,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벤조페논, 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벤조페논, 4-(메트)아크릴로일옥시-4'-메톡시벤조페논, 2-벤조일벤조산 메틸, 벤조일포름산 메틸, 비스(2­페닐-2-옥소아세트산)옥시비스에틸렌, 4-(1,3-아크릴로일-1,4,7,10,13-펜타옥소트리데실)벤조페논,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3-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안트라퀴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er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캄퍼퀴논이나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단, 광중합 개시제로서 상기에 예로 든 물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 예로 든 광중합 개시제 중 어느 일종 또는 그 유도체를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이 중에서도, 광에 대한 감응성이 높고, 또한 반응 후에 분해물이 되어 소색(消色)되는 점에서는,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 에톡시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등의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또, 반응 제어의 용이성, 및 가지 성분으로서 매크로 모노머를 구비한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와의 상성으로부터는, 가교 개시제 (C)로서 벤조페논, 4-메틸-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4-페닐벤조페논,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벤조페논, 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벤조페논, 4-(메트)아크릴로일옥시-4'-메톡시벤조페논, 2-벤조일벤조산 메틸, 벤조일포름산 메틸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 개시제 (C)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준으로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 100질량부에 대해서 0.1~10질량부, 그 중에서도 0.5질량부 이상 또는 5질량부 이하, 그 중에서도 1질량부 이상 또는 3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 개시제 (C)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활성 에너지선에 대한 적당한 반응 감도를 얻을 수 있다.
추가로 가교 개시제 (C) 성분에 더해 증감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증감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광중합 개시제에 이용되는 증감제라면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족 아민이나 안트라센 유도체, 안트라퀴논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티오크산톤 유도체,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등이나, 벤조페논, 잔톤, 티오크산톤, 미힐러케톤, 9,10-페난트라퀴논 등의 방향족 케톤 및 이것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성분>
본 광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이외의 성분으로서, 통상의 점착 조성물에 배합되어 있는 공지의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점착 부여 수지나, 산화 방지제, 광 안정화제, 금속 불활성화제, 방청제, 노화 방지제, 흡습제, 가수분해 방지제, 대전 방지제, 소포제, 무기 입자 등의 각종의 첨가제를 적절히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필요에 따라 반응 촉매(3급 아민계 화합물, 4급 암모늄계 화합물, 라우르산 주석 화합물 등)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함유해도 된다.
<본 점착 시트>
본 광경화성 조성물로 점착 시트(「본 점착 시트」라고 한다)를 제작할 수 있다.
본 점착 시트는,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여도 되고, 2층 이상이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다층 시트여도 된다.
본 점착 시트를 3층 이상의 점착 시트로 하는 경우 예를 들면, 중간층과 최외층을 구비한 적층 구성의 점착 시트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최외층을, 본 광경화성 조성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점착 시트를 중간층과 최외층을 구비한 적층 구성의 점착 시트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각 최외층의 두께와 중간층의 두께의 비율은 1:1~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2~1:1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중간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이면, 적층체에 있어서의 점착재층의 두께의 기여가 너무 커지지 않고, 너무 유연하여 재단이나 처리에 관한 작업성이 뒤떨어지는 일이 없어 바람직하다.
또, 최외층이 상기 범위이면, 요철이나 굴곡된 면에 대한 추종성이 뒤떨어지지 않아, 피착체에 대한 접착력이나 젖음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점착 시트의 두께)
본 점착 시트의 두께에 대해서는, 시트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박육화(薄肉化)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한편, 시트 두께를 너무 얇게 하면, 예를 들어 피착면에 요철부가 있는 경우에 충분히 요철에 추종할 수 없기도 하고,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점착 시트의 두께는 20μm~50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5μm 이상 또는 350μm 이하, 그 중에서도 50μm 이상 또는 250μ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점착 시트의 점착력)
본 점착 시트는, 유리에 첩착하고, 적산 광조사량으로서 4000mJ/m2의 광을 조사했을 때의, 유리에 대한 180° 박리 강도, 즉 광을 조사한 후의 본 점착 시트의 당해 180° 박리 강도가 3N/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에 대한 당해 180° 박리 강도가 3N/cm 이상이면, 우수한 응집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피착물끼리 강고하게 첩착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화상 표시 구성 부재끼리 보다 강고하게 첩착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점착 시트는, 상기와 같이 광조사했을 때의 유리에 대한 180° 박리 강도가 3N/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5N/cm 이상, 그 중에서도 10N/c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점착 시트의 사용 방법)
본 점착 시트는 그대로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부재와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점착 시트 적층체>
본 점착 시트 적층체는, 본 점착 시트를 층구성에 포함하는 적층체라면 그 구성은 임의이다. 예를 들면, 본 점착 시트의 일측 또는 양측에 이형 필름을 적층하여 점착 시트 적층체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형 필름으로서는, 현재 공지의 것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형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예를 들면 가공성 및 핸들링성의 관점에서는, 25μm~50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38μm 이상 또는 250μm 이하, 그 중에서도 50μm 이상 또는 200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경화물>
상기 본 광경화성 조성물을,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광경화」라고 한다) 것에 의해,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 X3(nm-1)이 0.05<X3<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물(「본 경화물」이라고 한다)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경화물이란, 본 광경화성 조성물에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것을 의미하며, 그 형태는 임의이다. 따라서 시트형이어도 되고, 시트형이 아니어도 된다.
본 경화물에 있어서,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 X3(nm-1)이 0.05<X3<0.25인 것에 의해, 고응집력으로 신뢰성이 높은 경화물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경화물에 있어서,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 X3(nm-1)은, 상기 본 광경화성 조성물과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0.05<X3<0.25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06<X3 또는 X3<0.24, 그 중에서도 0.08<X3 또는 X3<0.22, 또한 그 중에서도 0.10<X3 또는 X3<0.2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상으로부터, 상기 반값폭 X3은, 0.05<X3<0.25, 0.05<X3<0.24, 0.05<X3<0.22 또는 0.05<X3<0.20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06<X3<0.25, 0.06<X3<0.24, 0.06<X3<0.22 또는 0.06<X3<0.20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0.08<X3<0.25, 0.08<X3<0.24, 0.08<X3<0.22 또는 0.08<X3<0.20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또한 그 중에서도 0.10<X3<0.25, 0.10<X3<0.24, 0.10<X3<0.22 또는 0.10<X3<0.20 중 어느 하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경화물에 있어서 상기 반값폭 X3을 조정하기 위한 주된 수단으로서는, 상기 반값폭 X1(nm-1)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과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베이스 폴리머인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구조나 조성, 분자량 등을 조정함과 함께, 가교제 (B)나 가교 개시제 (C)의 종류와 양을 조정하거나 선택하는 수단을 들 수 있다. 단, 이러한 수단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경화물에 있어서, 상기 반값폭 X3을 바람직한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자세하게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1)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주가 되는 공중합 성분(줄기 성분)으로서, 탄소수가 5 이상, 그 중에서도 8 이상, 그 중에서도 9 이상, 특히 10 이상인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비닐 모노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앞서 설명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의 줄기 성분이 함유하는 모노머의 예시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2a)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비닐 모노머 이외의 상기 공중합성 성분(줄기 성분)으로서, 친수성 성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의 줄기 성분이 함유하는 친수성 모노머의 예시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b) 당해 친수성 성분을, 상기 공중합 성분(줄기 성분) 100에 대해서 0.1~20의 질량 비율로 함유시켜 줄기 성분의 친수성을 높이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3)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가지 성분으로서, 탄소수 4 이하의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비닐 모노머 성분을, 줄기 성분 100에 대해서 1~100의 질량 비율이 되도록 배합시켜, 줄기 성분의 상과 가지 성분의 상이 이루는 미크로 상분리 상태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3b)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가지 성분으로서,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비닐 모노머 성분을, 줄기 성분 100에 대해서 1~100의 질량 비율이 되도록 배합시켜, 줄기 성분의 상과 가지 성분의 상이 이루는 미크로 상분리 상태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4a) 가교제 (B)로서 친수성 성분과의 상용성이 높은 수산기 함유 화합물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앞서 설명한 가교제 (B)의 예시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4b) 상기 가교제 (B)를,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0.05~30질량부 함유시켜 줄기 성분의 극성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상기 (1)~(4)를 각각 독립적으로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줄기 성분과 가지 성분이 이루는 상분리 구조를 조정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1)~(4b) 방법 중, (1)과 (2a) 및/또는 (2b)를 조합하는 것이나, (1)과 (3a) 및/또는 (3b)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과 (3a) 및/또는 (3b)와 (4a) 및/또는 (4b)를 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b)의 모든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이 방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그래프트 폴리머를 사용하고, 가지 성분과 줄기 성분의 상용성의 밸런스를 최적화하는 것에 의해, 최적의 상분리 상태를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이외에도 예를 들면, 상기 공중합체 (A)의 주가 되는 공중합성 성분(줄기 성분)으로서 소수성 성분을 이용하고, 또한 상기 공중합체 (B)의 가지 성분으로서 친수성 성분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반값폭 X3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2개의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를, 상기 본 광경화성 조성물 또는 상기 본 점착 시트 또는 상기 본 경화물을 통하여 적층하여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라고 한다)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2개의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터치 센서, 화상 표시 패널, 표면 보호 패널 및 편광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류 이상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이형 시트/본 광경화성 조성물 또는 상기 본 점착 시트 또는 상기 본 경화물/터치 패널, 이형 시트/본 광경화성 조성물 또는 상기 본 점착 시트 또는 상기 본 경화물/보호 패널, 이형 시트/본 광경화성 조성물 또는 상기 본 점착 시트 또는 상기 본 경화물/화상 표시 패널, 화상 표시 패널/본 광경화성 조성물 또는 상기 본 점착 시트 또는 상기 본 경화물/터치 패널, 화상 표시 패널/본 광경화성 조성물 또는 상기 본 점착 시트 또는 상기 본 경화물/보호 패널, 화상 표시 패널/본 광경화성 조성물 또는 상기 본 점착 시트 또는 상기 본 경화물/터치 패널/본 광경화성 조성물 또는 상기 본 점착 시트 또는 상기 본 경화물/보호 패널, 편광 필름/본 광경화성 조성물 또는 상기 본 점착 시트 또는 상기 본 경화물/터치 패널, 편광 필름/본 광경화성 조성물 또는 상기 본 점착 시트 또는 상기 본 경화물/터치 패널/본 광경화성 조성물 또는 상기 본 점착 시트 또는 상기 본 경화물/보호 패널 등의 구성을 들 수 있다. 단, 이러한 적층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터치 패널은, 보호 패널에 터치 패널 기능을 내재시킨 구조체나, 화상 표시 패널에 터치 패널 기능을 내재시킨 구조체도 포함한다.
<본 화상 표시 장치>
상기와 같은 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를 이용하여, 화상 표시 장치(「본 화상 표시 장치」라고 한다)를 구성할 수 있다.
본 화상 표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디스플레이, 무기 EL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마이크로 일렉트로니컬 시스템(MEMS)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어구의 설명>
본 명세서에 있어서 「X~Y」(X, Y는 임의의 숫자)라고 표현하는 경우,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X 이상 Y 이하」의 뜻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X보다 크다」 또는 「바람직하게는 Y보다 작다」의 뜻도 포함한다.
또, 「X 이상」 또는 「X≤」(X는 임의의 숫자)라고 표현한 경우, 「X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도도 포함한다.
또, 「Y 이하」 또는 「Y≥」(Y는 임의의 숫자)라고 표현한 경우, 「Y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도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시트와 필름의 경계는 확실하지 않고, 본 발명에 있어서 문언상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에도 「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에도 「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서, 수평균 분자량 2500의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매크로 모노머 15질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81질량부, 및 아크릴산 4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1, 질량 평균 분자량: 20만) 1kg에 대해서, 가교제 (B)로서, 프로폭시화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화학사(Shin-Nakamura Chemical Co.,Ltd.)제, NK에스테르 ATM-4PL) (B-1) 50g, 광개시제 (C)로서, 에자큐어 TZT(IGM사제) (C-1) 15g을 첨가하고 균일 혼합하여, 광경화성 조성물 1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을, 표면이 박리 처리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 수지사(Mitsubishi Plastics, Inc.)제, 다이아 호일 MRV, 두께 100μm) 상에, 두께 150μm가 되도록 시트형으로 성형한 후, 표면이 박리 처리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 수지사제, 다이아 호일 MRQ, 두께 75μm)을 피복하여, 점착 시트 적층체 1을 제작했다.
[실시예 2]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서, 말단 관능기가 메타크릴로일기인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매크로 모노머(수평균 분자량 3000)를 15질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81질량부, 및 아크릴산 4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2, 질량 평균 분자량: 15만) 1kg에 대해서, 가교제 (B)로서, 프로폭시화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화학사제, NK에스테르 ATM-4PL) (B-1) 110g, 광개시제 (C)로서, 에자큐어 TZT(IGM사제) (C-1) 15g을 첨가하고 균일 혼합하여, 광경화성 조성물 2를 얻었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점착 시트 적층체 2를 제작했다.
[실시예 3]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서, 말단 관능기가 메타크릴로일기인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매크로 모노머(수평균 분자량 6700)를 15질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81질량부, 및 아크릴산 4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3, 질량 평균 분자량: 4.6만) 1kg에 대해서, 가교제 (B)로서, 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오사카 유기 공업사(OSAKA ORGANIC CHEMICAL INDUSTRY LTD)제, 비스코트 260) (B-2) 5g, 광개시제 (C)로서, 에자큐어 TZT(IGM사제) (C-1) 15g을 첨가하고 균일 혼합하여, 광경화성 조성물 3을 얻었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3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점착 시트 적층체 3을 제작했다.
[실시예 4]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서, 말단 관능기가 메타크릴로일기인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매크로 모노머(수평균 분자량 2500)를 30질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66질량부, 및 아크릴산 4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4, 질량 평균 분자량: 11만) 1kg에 대해서, 가교제 (B)로서, 2-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쇼와 덴코사(Showa Denko K.K.)제, 카렌즈 MOI) (B-3)을 27g 혼합했다. 80℃에서 4시간 가열하여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4)의 카복실기와 가교제 (B-3)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반응시켰다. 그 후, 광개시제 (C)로서, 에자큐어 TZT(IGM사제) (C-1) 15g 및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를 100g 첨가하고 균일 혼합하여, 광경화성 조성물 4를 얻었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4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점착 시트 적층체 4를 제작했다.
[실시예 5]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서, 실시예 2에서 이용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A-2, 질량 평균 분자량: 15만) 1kg에 대해서, 가교제 (B)로서, 2-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쇼와 덴코사제, 카렌즈 MOI) (B-3)을 36g 혼합했다. 80℃에서 4시간 가열하여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2)의 카복실기와 가교제 (B-3)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반응시켰다. 그 후, 광개시제 (C)로서, 에자큐어 KTO46(IGM사제) (C-2) 15g을 첨가하고 균일 혼합하여, 광경화성 조성물 5를 얻었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5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점착 시트 적층체 5를 제작했다.
[실시예 6]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서, 수평균 분자량 2500의 말단 관능기가 메타크릴로일기인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매크로 모노머(수평균 분자량 2500)를 11질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86질량부, 및 아크릴산 3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5, 질량 평균 분자량: 7.4만) 1kg에 대해서, 가교제 (B)로서, 프로폭시화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화학사제, NK에스테르 ATM-4PL) (B-1) 90g, 광개시제 (C)로서, 에자큐어 TZT(IGM사제) (C-1) 15g을 첨가하고 균일 혼합하여, 광경화성 조성물 6을 얻었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6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점착 시트 적층체 6을 제작했다.
[실시예 7]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서,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메틸=1:1로 이루어지는, 말단 관능기가 메타크릴로일기인 매크로 모노머(수평균 분자량 3000)를 13.5질량부, 라우릴아크릴레이트를 43.7질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40질량부, 및 아크릴아미드 2.8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A-6, 질량 평균 분자량: 16만) 1kg에 대해서, 가교제 (B)로서, 프로폭시화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화학사제, NK에스테르 ATM-4PL) (B-1) 50g, 광개시제 (C)로서, 메틸벤조일포르메이트(Lambson사제, 스피드 큐어 MBF) (C-3) 15g을 첨가하고 균일 혼합하여, 광경화성 조성물 7을 얻었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7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점착 시트 적층체 7을 제작했다.
[실시예 8]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서,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메틸=1:1로 이루어지는, 말단 관능기가 메타크릴로일기인 매크로 모노머(수평균 분자량 3000)를 30질량부, 라우릴아크릴레이트를 33질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34질량부, 및 아크릴아미드 3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A-7, 질량 평균 분자량: 7.9만) 1kg에 대해서, 가교제 (B)로서,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화학사제, DCP) (B-4) 200g, 광개시제 (C)로서, 에자큐어 TZT(IGM사제) (C-1) 15g을 첨가하고 균일 혼합하여, 광경화성 조성물 8을 얻었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8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점착 시트 적층체 8을 제작했다.
[실시예 9]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서,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메틸=1:1로 이루어지는, 말단 관능기가 메타크릴로일기인 매크로 모노머(수평균 분자량 8800)를 13.5질량부, 라우릴아크릴레이트를 43.7질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40질량부, 및 아크릴아미드 2.8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A-8, 질량 평균 분자량: 11만) 1kg에 대해서, 가교제 (B)로서, 프로폭시화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화학사제, NK에스테르 ATM-4PL) (B-1) 90g, 광개시제 (C)로서, 에자큐어 TZT(IGM사제) (C-1) 15g을 첨가하고 균일 혼합하여, 광경화성 조성물 9를 얻었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9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점착 시트 적층체 9를 제작했다.
[비교예 1]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서, 부틸아크릴레이트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MMA-BA-MMA 트리블록형 공중합체(쿠라레사(KURARAY CO., LTD.)제, 쿠라리티 LA2140e) (A-9, 질량 평균 분자량: 7.4만) 1kg에 대해서, 가교제 (B)로서, 프로폭시화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화학사제, NK에스테르 ATM-4PL) (B-1) 110g, 광개시제 (C)로서, 에자큐어 TZT(IGM사제) (C-1) 15g을 첨가하고 균일 혼합하여, 광경화성 조성물 10을 얻었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점착 시트 적층체 10을 제작했다.
[비교예 2]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4질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74질량부, 및 아크릴산 2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10, 질량 평균 분자량: 50만) 1kg에 대해서, 가교제 (B)로서, 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오사카 유기 공업사제, 비스코트 260) (B-2) 5.5g, 광가교 개시제 (C)로서, 에자큐어 TZT(C-1)(IGM사제) 9.5g을 첨가하고 균일 혼합하여, 광경화성 조성물 11을 얻었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10)은 매크로 모노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공중합체이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1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점착 시트 적층체 11을 제작했다.
[비교예 3]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서,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메틸=1:1로 이루어지는, 말단 관능기가 메타크릴로일기인 매크로 모노머(수평균 분자량 3000)를 13.5질량부, 라우릴아크릴레이트를 43.7질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40질량부, 및 아크릴아미드 2.8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A-11, 질량 평균 분자량: 4.9만) 1kg에 대해서, 가교제 (B)로서, 프로폭시화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화학사제, NK에스테르 ATM-4PL) (B-1) 90g, 광개시제 (C)로서, 에자큐어 TZT(C-1)(IGM사제) 15g을 첨가하고 균일 혼합하여, 광경화성 조성물 12를 얻었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점착 시트 적층체 12를 제작했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A-11)은 분자량이 낮고 유동성이 높기 때문에, 광경화성 조성물 12는 실온에 있어서 점조(粘稠) 액체상이 되었다.
<평가>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광경화성 조성물, 점착 시트 또는 점착 시트 적층체에 대한 평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소각 X선 산란]
소각 X선 산란 측정은 대형 방사광 시설인 SPring-8의 BL03XU(프론티어 소프트 매터 개발 산학 연합 빔 라인)로 행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점착 시트 적층체, 즉 광경화 전의 광경화성 조성물에 대해서, 양면의 이형 필름을 벗겨 점착 시트를 시료용 지그에 설치했다.
X선의 빔 형상은 세로 길이를 120μm로 하고 가로 길이를 120μm로 조정했다. X선 파장은 1Å으로 하고, 검출기는 CCD(Hamamatsu Photonics V7739P+ORCA R2)를 이용했다. 카메라 길이는 약 4m로 세팅하고, 표준 시료(콜라겐)를 이용하여 보정을 행했다. 어테뉴에이터(감쇠판)의 종류나 두께, 노광 시간을 조정하여, 강력한 X선으로 검출기가 손상되지 않도록 설정한 후, 샘플에 X선을 조사하여 샘플의 2차원 산란상을 얻었다.
상기의 순서로 얻어진 샘플의 2차원 산란상으로부터 백그라운드의 보정을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샘플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순서와 같은 조작을 행한 백그라운드의 2차원 산란상을 취득하고, 화상 처리 소프트(Image-J)를 이용하여 샘플의 2차원 산란상으로부터 백그라운드의 2차원 산란상을 제하여, 해석용 2차원 산란상을 얻었다. 해석용 2차원 산란상에는 링 형상의 산란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해석용 2차원 산란상으로부터 1차원 산란 프로파일로 변환했다. 구체적으로는, 해석용 2차원 산란상을 X선 데이터 처리 소프트(Fit2d)로 읽어들여, 전방위각에 걸쳐, 또한 q=0.04~0.4의 범위에 있어서 적분함으로써 가로축을 q[nm-1], 세로축을 산란 강도로 한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을 얻었다.
얻어진 1차원 산란 프로파일로부터, 피크의 반값폭 X나 피크 위치 Y를 구했다. 1차원 산란 프로파일에는 q=0.1 부근에서 극소값을 취해 원점을 향해 산란 강도가 높아지는 경우와, q=0.1 부근에서 변곡점을 거친 뒤 원점을 향해 산란 강도가 작아지는 경우가 있었다. q=0.1 부근에서 극소값을 취해 원점을 향해 산란 강도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극소값의 q보다 큰 영역을 해석 대상으로 했다. 또 q=0.1 부근에서 변곡점을 거친 뒤 원점을 향해 산란 강도가 작아지는 경우에는, 변곡점의 q보다 큰 영역을 해석 대상으로 했다. 다음으로 베이스라인 보정으로서, 해석 대상 영역의 산란 강도의 최소값을 구하고, 전영역에 걸쳐 최소값을 빼 베이스라인 보정을 행했다. 얻어진 보정 후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을 가우스 함수와 로렌츠 함수로 피팅을 행하여, 얻어진 합성 함수의 반값폭을 X1, 피크 위치를 Y1로 했다. 피팅에는 파형 분리 소프트(Fityk)를 이용했다.
또, 본 광경화성 조성물이 이루는 상분리 구조의 도메인간 거리 Z1을, Z1=2π/Y1로서 산출했다. 또한, 얻어진 1차원 산란 프로파일로부터 피크가 검출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표중에 (ND)로 표기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점착 시트 적층체에 대해서, 한쪽의 이형 필름측으로부터,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파장 365nm의 적산광량이 4000mJ/cm2가 되도록 광조사하여, 광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했다. 광경화 후의 광경화성 조성물, 즉 경화물에 대해서, 상기 설명한 광경화 전의 광경화성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하여,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피크 반값폭(X2) 및 피크 위치(Y2)를 구해 피크 위치(Y2)로부터 도메인간 거리(Z2)를 산출했다.
[보지력]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점착 시트 적층체를 40mm×50mm로 재단하여 한 면의 이형 필름을 벗기고, 배접용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 수지제 다이아 호일 S-100, 두께 38μm)을 핸드 롤러로 배접한 후, 이것을 폭 25mm×길이 100mm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재단하여 시험편으로 했다.
다음으로, 남는 이형 필름을 벗겨, SUS판(120mm×50mm×두께 1.2mm)에 대해서, 첩착 면적이 25mm×20mm가 되도록 핸드 롤러로 첩착했다.
그 후, 시험편을 40℃의 분위기하에서 15분 양생시킨 후, 시험편에 500gf(4.9N)의 추를 수직 방향으로 장착하여 걸어 정치(靜置)한 후, 추의 낙하 시간(분)을 측정했다. 30분 이내에 낙하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SUS와 시험편의 첩착 위치가 하방으로 어긋난 길이(mm), 즉 어긋남량을 측정했다.
또한, 표 중의 「<0.2mm」는 어긋남량이 0.2mm 미만으로, 거의 어긋남이 없는 상태라는 의미이다.
[유리 접착력]
<경화 전 접착력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점착 시트 적층체에 대해서, 한쪽의 이형 필름을 벗기고, 배접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요보사(Toyobo Co., Ltd.)제; 상품명 「코스모샤인 A4300」, 두께 100μm)을 핸드 롤러로 롤 압착했다. 이것을 10mm 폭×100mm 길이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재단하고, 남는 이형 필름을 벗겨 노출된 점착면을, 소다 라임 유리에 핸드 롤러를 이용하여 롤 첩착했다. 오토클레이브 처리(70℃, 게이지압 0.2MPa, 20분)를 실시하여 마무리 첩착하여, 광경화 전의 유리 접착력 측정 샘플을 제작했다. 배접 필름을 180°를 이루는 각도로 박리 속도 60mm/분으로 잡아 당기면서 유리로부터 점착 시트를 박리하고, 로드 셀로 인장 강도를 측정하여, 광경화 전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유리에 대한 180° 박리 강도(N/cm)를 측정했다.
<경화 후 접착력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점착 시트 적층체에 대해서, 한쪽의 이형 필름을 벗겨, 배접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요보사제; 상품명 「코스모샤인 A4300」, 두께 100μm)을 핸드 롤러로 롤 압착했다. 이것을 10mm 폭×100mm 길이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재단하고, 남는 이형 필름을 벗겨 노출된 점착면을, 소다 라임 유리에 핸드 롤러를 이용하여 롤 첩착했다. 오토클레이브 처리(70℃, 게이지압 0.2MPa, 20분)를 실시하여 마무리 첩착한 후, 배접 필름측으로부터,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파장 365nm의 적산광량이 4000mJ/cm2가 되도록 점착 시트에 광조사하여, 광경화 후의 유리 접착력 측정 샘플을 제작했다. 배접 필름을 180°를 이루는 각도로 박리 속도 60mm/분으로 잡아 당기면서 유리로부터 점착 시트를 박리하고, 로드 셀로 인장 강도를 측정하여, 광경화 후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유리에 대한 180° 박리 강도(N/cm)를 측정했다.
또한, 표 중의 「<0.5」는, 박리 강도가 너무 작아 측정 불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비유전율]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점착 시트 적층체에 대해서, 한쪽의 이형 필름측으로부터,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파장 365nm의 적산광량이 4000mJ/cm2가 되도록 광조사하여, 광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했다. 그 후, 이형 필름을 순차 벗겨, 전극(키컴사(KEYCOM Corporatio)제, DPT-009)에 첩착했다. LCR 미터(아질렌트 테크놀로지사(Agilent Technologies, Inc.)제, E4980A)로 JIS K6911에 준거하여 23℃50%RH, 주파수 100kHz에 있어서의 비유전율을 측정했다.
주파수 100kHz에 있어서의 비유전율이 3.5 이상인 경우를 「×(poor)」라고 평가하고, 3.5 미만인 경우를 「○(good)」라고 평가했다.
[내금속부식성]
유리 기판(60mm×45mm) 상에, 선폭 70μm, 선 길이 46mm, 선 간격 30μm로 10.5 왕복하도록, 두께 100~150Å의 산화 인듐(ITO)의 왕복선을 5개 형성함과 함께, 당해 왕복선의 양말단에 ITO로 이루어지는 한 변 2mm의 정사각형을 형성하여 ITO 패턴(길이 약 97cm)을 형성하고, 내금속부식성 평가용 ITO 유리 기판을 제작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점착 시트의 한쪽의 이형 필름을 벗겨, 그 노출면에 PET 필름(도요보제, 코스모샤인 A4100, 125μm)을 핸드 롤러로 첩착했다. 다음으로, 상기 점착 시트를 52mm×45mm로 자른 후, 남는 이형 필름을 벗겨, ITO의 5개의 왕복선을 피복하도록, 내금속부식성 평가용 ITO 유리 기판에 점착 시트를 핸드 롤러로 첩착했다. 오토클레이브 처리(70℃, 게이지압 0.2MPa, 20분)를 실시하여 마무리 첩착한 후, PET 필름측으로부터,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파장 365nm의 적산광량이 4000mJ/cm2가 되도록 점착 시트에 광조사하여, 내금속부식성 평가용 샘플(점착 시트 부착 ITO 배선)을 제작했다.
이 내금속부식 신뢰성 평가용 샘플(점착 시트 부착 ITO 배선)에 있어서의 5개의 ITO 배선에 대해서 각각, 실온에서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초기의 배선 저항값의 평균값(Ω0)를 구했다.
당해 내부식 신뢰성 평가용 샘플(점착 시트 부착 ITO 배선)을, 65℃ 90%RH 환경하에서 800시간 보관했다. 보관 후, 내금속부식성 평가용 샘플(점착 시트 부착 ITO 배선)에 있어서의 ITO 배선의 저항값을 마찬가지로 측정하여, 환경 시험 후의 배선 저항값의 평균값(Ω)을 구했다.
그리고 ITO 저항값 즉 선말단간 저항값의 변화율(%)[((Ω/Ω0)-1)×100]을 산출하여, 표에 「저항값 변화」로서 나타냈다.
저항값의 변화가 5% 미만인 것을 「◎(very good)」, 5% 이상 10% 미만을 「○(good)」, 10% 이상인 것을 「×(poor)」로 판정했다.
[형상 안정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점착 시트 적층체에 대해서, 한쪽의 이형 필름(미쓰비시 수지사제, 다이아 호일 MRQ, 두께 75μm) 측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이형 필름(미쓰비시 수지사제, 다이아 호일 MRV, 두께 100μm)을 관통하지 않도록, 점착 시트를 30mm×30mm의 정사각형 형상으로 하프 컷했다.
재단된 한쪽의 이형 필름(미쓰비시 수지사제, 다이아 호일 MRQ, 두께 75μm)을 박리하여, 노출된 점착면에,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 수지사제, 다이아 호일 MRT, 두께 50μm)을 피복했다. 양측의 박리 필름을 50mm×50mm로 재단하고, 광경화 전의 형상 안정성 평가용 샘플을 제작했다.
상기 형상 안정성 평가용 샘플을 온도 40℃, 습도 90%의 환경하에서 300시간 양생하여, 양생 후의 점착 시트의 단면의 점착재의 밀려나옴량을 관찰했다. 점착재의 밀려나옴량은, 재단한 양생 후의 점착 시트에 대해서, 각변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점착재의 밀려나옴 거리를 측정하여, 4변의 평균 거리를 점착재의 밀려나옴량(mm)으로 했다.
양생 후에 점착 시트가 찌그러져, 점착재의 밀려나옴량이 2mm 이상인 것을 「×(poor)」, 점착재의 밀려나옴이 보였지만, 1mm 이상 2mm 미만인 것을 「○(good)」, 1mm 미만인 것을 「◎(very good)」로 판정했다.
또한, 표 중의 「<0.1mm」는, 점착재의 밀려나옴량이 0.1mm 미만으로, 거의 점착재의 밀려나옴이 없는 상태라는 의미이며, 「>2.0mm」는 점착재의 밀려나옴이 보다 현저해, 밀려나옴량이 2.0mm보다 컸던 상태를 가리킨다.
[단차 흡수성]
58mm×110mm×두께 0.8mm의 유리의 주연부(장변측 3mm, 단변측 15mm)에, 두께 40~50μm의 인쇄를 실시하여, 중앙의 오목부가 52mm×80mm인 인쇄 단차 구비 유리판을 준비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점착 시트 적층체의 한쪽의 이형 필름을 벗겨, 소다 라임 유리(54mm×82mm×두께 0.5mm)의 전체면에 롤 맞붙임했다. 남는 이형 필름을 벗겨, 상기 인쇄 단차 구비 유리판의 액자형의 인쇄 단차에, 점착 시트가 걸리도록 하고 진공 프레스를 이용하여 프레스 압착(절대압 5kPa, 온도 70℃, 프레스압 0.04MPa)하여 평가 샘플을 제작했다.
상기 평가 샘플의 단차 흡수성에 대해서, 60℃, 0.3MPa의 조건하에서 30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실시한 후, 맞붙임한 평가 샘플의 외관을 확인하여, 인쇄 단차 근방에 기포가 보인 것을 「×(poor)」, 기포가 보이지 않은 것을 「○(good)」로 판정했다.
[내발포 신뢰성]
54mm×82mm×두께 0.5mm의 소다 라임 유리에, 점착층 부착 편광판(산리츠사(SANRITZ CORPORATION)제, VLC2-1518AGD2SF4, 치수 54mm×82mm)을 핸드 롤러로 첩착하고, 오토클레이브 처리(25℃, 게이지압 0.2MPa, 20분)를 실시하여, 편광판 기재를 제작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점착 시트 적층체의 한 면의 이형 필름을 벗겨, 그 노출면에 54mm×82mm×두께 0.5mm의 소다 라임 유리를 핸드 롤러로 첩착했다. 다음으로, 점착 시트 적층체가 남는 이형 필름을 벗겨, 그 노출면에 상기 설명한 편광판 기재의 편광 판면을 핸드 롤로 첩착했다. 오토클레이브 처리(온도 60℃, 기압 0.4MPa, 30분)를 실시하여 마무리 첩착한 후, 소다 라임 유리면으로부터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파장 365nm의 적산광량이 4000mJ/cm2가 되도록 점착 시트에 광조사하여, 내발포 신뢰성 평가 샘플을 제작했다.
상기 평가 샘플을 95℃ 환경하에서 100시간 양생하여, 발포 등이 없고 외관에 변화가 보이지 않은 것을 「○(good)」, 발포나 박리가 보인 것을 「×(poor)」로 판정했다.
Figure 112019066725268-pct00001
실시예에서 제작한 광경화성 조성물은, 소각 X선 산란 측정으로 산출되는 광경화성 조성물의 반값폭이 소정의 범위에 있는 점에서, 적절한 응집력과 점착성을 양립하고 있어, 보관 안정성이나 맞붙임 신뢰성도 우수한 것이었다.
광경화 전후의 광경화성 조성물의 반값폭이 0.08 이상인 것에 대해서는, 특히 보지력이 높은 결과가 되었다.
또,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주가 되는 공중합 성분으로서, 탄소수 5 이상의 소수성 모노머를 이용하고 있는 광경화성 조성물 6~9에 대해서는, 주파수 100kHz에 있어서의 비유전율이 3.5 이하로 낮아, 터치 센서에 대해서, 보다 적합하게 이용되는 것이었다.
또, 광경화성 조성물 7~9에 대해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공중합 성분으로서, 산성도가 높은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나 산무수물기 함유 모노머를 이용하지 않고, 친수성 성분으로서 아크릴아미드를 이용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광경화성 조성물 7~9는 내금속부식성이 특히 우수하여, 금속 및 금속 산화물 등의 부식성을 갖는 피착체에도 적합하게 이용되는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 1에서 제작한 광경화성 조성물은, 소각 X선 산란 측정으로 산출되는 광경화성 조성물의 반값폭 X1이 0.05 미만으로 본 발명의 규정 외이기 때문에, 응집력이 너무 강해 점착성이 부족하여, 단차 흡수성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2에서 제작한 광경화성 조성물은,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의한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이 관측되지 않았다. 이로 인하여 광경화성 조성물은 응집력이 부족하고, 광경화 전에 있어서의 보관 안정성이나, 맞붙임 후의 내발포 신뢰성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3에서 제작한 광경화성 조성물은, 매크로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이용하고 있지만, 실온에 있어서 점조 액체상이 되어, 광경화성 조성물은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이 관측되지 않았다. 이로 인하여 광경화성 조성물은 응집력이 부족하고, 광경화 전에 있어서의 보관 안정성이나 맞붙임 후의 내발포 신뢰성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Claims (15)

  1. 매크로 모노머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5 이상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함유하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 가교제 (B), 및 가교 개시제 (C)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로서,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 X1(nm-1)이 0.05<X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적산 광조사량으로서 4000mJ/m2의 광을 조사했을 때의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 X2(nm-1)가 0.05<X2<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는, 매크로 모노머 (a), 알킬기의 탄소수가 5 이상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비닐 단량체 (b)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진 것인 광경화성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매크로 모노머 (a)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10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가교제 (B) 및 가교 개시제 (C) 중 어느 하나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20℃에 있어서 점착성을 나타내고, 또한, 50~100℃에 있어서 연화 또는 유동화하는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7. 제1항에 기재된 광경화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점착 시트를 유리에 첩착하고, 적산 광조사량으로서 4000mJ/m2의 광을 조사했을 때의, 유리에 대한 180° 박리 강도가 3N/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9. 제7항에 기재된 점착 시트와 이형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점착 시트 적층체.
  10. 제1항에 기재된 광경화성 조성물이, 2개의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의 사이에 개재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11. 매크로 모노머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5 이상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함유하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 가교제 (B), 및 가교 개시제 (C)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이루어지는 경화물로서,
    소각 X선 산란 측정에 있어서의 1차원 산란 프로파일의 반값폭 X3(nm-1)이 0.05<X3<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물.
  12. 제11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는, 매크로 모노머 (a), 알킬기의 탄소수가 5 이상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비닐 단량체 (b)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진 것인 경화물.
  13. 제11항에 기재된 경화물이, 2개의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의 사이에 개재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14. 제10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가, 터치 센서, 화상 표시 패널, 표면 보호 패널 및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의 어느 하나나 2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15. 제10항 또는 제13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KR1020197018916A 2016-12-02 2017-11-28 광경화성 조성물, 점착 시트, 점착 시트 적층체, 경화물,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407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34672 2016-12-02
JP2016234672 2016-12-02
PCT/JP2017/042596 WO2018101252A1 (ja) 2016-12-02 2017-11-28 光硬化性組成物、粘着シート、粘着シート積層体、硬化物、画像表示装置構成用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049A KR20190089049A (ko) 2019-07-29
KR102407621B1 true KR102407621B1 (ko) 2022-06-10

Family

ID=6224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916A KR102407621B1 (ko) 2016-12-02 2017-11-28 광경화성 조성물, 점착 시트, 점착 시트 적층체, 경화물,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7024726B2 (ko)
KR (1) KR102407621B1 (ko)
CN (2) CN114410231A (ko)
TW (1) TWI752127B (ko)
WO (1) WO2018101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971B1 (ko) * 2017-08-08 2023-08-14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2020012098A (ja) * 2018-07-10 2020-01-23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剤、偏光板用粘着剤、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KR102664294B1 (ko) * 2018-08-06 2024-05-10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점착 시트 적층체,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JP6590269B1 (ja) * 2018-09-27 2019-10-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有機el素子封止用紫外線硬化性樹脂組成物、有機el発光装置の製造方法、有機el発光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
US20200213139A1 (en) * 2018-12-28 2020-07-02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Classifying comparators based on comparator offsets
WO2020262340A1 (ja) * 2019-06-28 2020-12-3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
KR20220069928A (ko) 2019-10-01 2022-05-27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점착성 편광 적층 필름, 점착 시트, 적층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473023B1 (ko) * 2019-11-01 2022-12-01 코제노벨머티얼리스코리아 주식회사 점착 필름
CN115109524A (zh) * 2021-03-18 2022-09-27 安佐化学有限公司 一种隐形车衣用光固化粘着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30142B1 (ko) 2021-04-02 2023-05-10 솔루스첨단소재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3645A (ja) * 1985-06-10 1986-12-13 Canon Inc 活性エネルギ−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H0686505B2 (ja) * 1986-03-10 1994-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H01203412A (ja) 1988-02-08 1989-08-16 Toagosei Chem Ind Co Ltd 粘着剤用樹脂組成物
JPH0527432A (ja) * 1991-07-08 1993-02-05 Canon Inc 光重合性組成物
AU670292B2 (en) * 1992-05-01 1996-07-1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eparing crosslinkable polymers employing macromonomer chain transfer agents
TW287192B (ko) * 1994-01-21 1996-10-01 Ei Du Pont De Nemours Amd Co
JP3557429B2 (ja) 1995-02-06 2004-08-25 綜研化学株式会社 液晶素子用感圧接着剤および液晶素子
JPH10204326A (ja) * 1997-01-21 1998-08-04 Kansai Paint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使用した被膜形成方法
JPH11158450A (ja) 1997-11-27 1999-06-15 Sekisui Chem Co Ltd 硬化型粘接着剤組成物及び硬化型粘接着シート
JP2003002934A (ja) * 2001-06-25 2003-01-08 Toagosei Co Ltd 水性樹脂分散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5513225B2 (ja) 2010-04-07 2014-06-04 株式会社日本触媒 感圧接着剤
TWI717315B (zh) 2013-11-29 2021-02-01 日商三菱化學股份有限公司 黏著劑組成物及黏著片
JP6361121B2 (ja) * 2013-11-29 2018-07-25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粘着剤樹脂組成物
JP6388023B2 (ja) * 2014-03-10 2018-09-12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構成用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60134681A (ko) * 2014-03-18 2016-11-23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시트 및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JP6351385B2 (ja) * 2014-06-03 2018-07-04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CN106463077B (zh) * 2014-07-01 2019-05-17 三菱化学株式会社 光学构件的再利用方法和光学层叠体的再加工性评价方法
TWI666286B (zh) * 2014-08-12 2019-07-21 日商三菱化學股份有限公司 Transparent adhesive sheet
JP6772837B2 (ja) * 2014-12-03 2020-10-2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構成部材積層体
US10479855B2 (en) * 2015-06-02 2019-11-19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eth)acrylic copolymer,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containing same, and coating material and coated product using same
JP6737585B2 (ja) * 2015-11-27 2020-08-12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8101460A1 (ja) * 2016-12-02 2018-06-0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粘着剤用樹脂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24726B2 (ja) 2022-02-24
TW201833283A (zh) 2018-09-16
KR20190089049A (ko) 2019-07-29
CN114410231A (zh) 2022-04-29
CN110023357A (zh) 2019-07-16
JP7259916B2 (ja) 2023-04-18
WO2018101252A1 (ja) 2018-06-07
TWI752127B (zh) 2022-01-11
JP2022033767A (ja) 2022-03-02
JPWO2018101252A1 (ja)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621B1 (ko) 광경화성 조성물, 점착 시트, 점착 시트 적층체, 경화물,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JP6977761B2 (ja) 粘着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TWI726883B (zh) 光硬化型黏著片材、黏著片材及圖像顯示裝置
KR101888984B1 (ko)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2021050342A (ja) 透明両面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積層体
JP6904448B2 (ja) 光硬化型粘着シート、粘着シート及び画像表示装置
CN110997845B (zh) 图像显示面板层叠体和图像显示面板层叠体的制造方法
JP2021119234A (ja) 光硬化型粘着シート
JP6866881B2 (ja) 光硬化性粘着シート積層体、光硬化性粘着シ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パネル積層体の製造方法
JP6866880B2 (ja) 光硬化性粘着シート
JP2020026529A (ja) 光硬化性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6885247B2 (ja) 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