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738B1 - 대나무 볶음 소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나무 볶음 소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738B1
KR102402738B1 KR1020210053321A KR20210053321A KR102402738B1 KR 102402738 B1 KR102402738 B1 KR 102402738B1 KR 1020210053321 A KR1020210053321 A KR 1020210053321A KR 20210053321 A KR20210053321 A KR 20210053321A KR 102402738 B1 KR102402738 B1 KR 102402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sea salt
salt
stir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연
최성희
Original Assignee
이유연
최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연, 최성희 filed Critical 이유연
Priority to KR1020210053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33Renewable energy sources, e.g. sunl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Seasoning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 유효 성분의 함량을 더욱 높이고 볶음공정의 채택으로 불완전한 고온처리에 의해 또 다른 유해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나무 볶음 소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천일염을 세척하는 세척공정, 세척한 천일염을 망체에 받쳐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공정, 물기가 제거된 천일염을 생대나무재와 같이 저장하여 숙성시키는 숙성공정, 숙성공정에서 얻은 천일염에 대나무 진액을 혼합하는 혼합공정, 혼합공정에서 얻은 천일염에 열을 가하여 볶는 볶음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일염에 함유되는 대나무 유효 성분의 함량을 더욱 높일 수 있어 다양한 기능성 식품 제조에 활용할 수 있고, 가글용으로 사용할 경우 청량감과 구취제거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볶음공정 채택으로 불완전한 고온처리에 의해 또 다른 유해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식품으로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나무 볶음 소금 및 그 제조방법{Bamboo stir-fried sal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대나무 볶음 소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나무 유효 성분의 함량을 높일 수 있고 볶음공정의 채택으로 불완전한 고온처리에 의해 유해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나무 볶음 소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일염을 생산하기 위한 염전은 크게 저수지, 증발지, 결정지로 구성된다.
저수지는 바닷물을 저장하는 공간이고, 증발지는 햇볕과 바람을 통해 바닷물의 염도를 높여 함수를 만드는 곳이며, 결정지는 함수를 더욱 농축시켜 소금결정체를 얻는 곳이다.
천일염은 정제염과 달리 유기물을 포함하고 있는데, 전남지역 천일염은 성분면에서 외국산에 비해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고 마그네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전남보건환경연구원보, 2007년).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염 규격 기준에 따르면 천일염은 염화나트륨 70.0% 이상, 총염소 40.0% 이상, 수분 15.0% 이하 등 11개 항목에 적합하여야만 식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식품의 유형으로는 천일염, 재제소금(재제조소금), 태움·용융소금, 정제소금, 가공소금으로 구분하고 있다.
한편, 태움·용융소금은 원료 소금을 태움·용융 등의 방법으로 그 원형을 변형한 소금을 말하는데, 대표적으로 죽염이 있다.
죽염은 대나무 통(이하, "대통"이라 한다)에 천일염을 다져 넣은 다음 황토로 대통의 입구를 막고 가마에서 고온으로 가열하여 죽력을 비롯한 대나무의 유효성분이 천일염에 스며들도록 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제조하게 된다.
현재 용융염 및 태움염을 제조할 때는 가열처리에 의해 발생 가능한 다이옥신등 유해물질의 안전관리를 위해 800℃ 이상 처리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고열처리에 따른 비용부담 및 적정온도에서 벗어나 가열할 경우 오히려 또 다른 유해물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게 된다.
천일염 생산 공정과 가열처리에 의한 유해물질 생성 여부 및 물질 구명(PJ00746502, 김진효) 연구자료에 의하면, 열처리 온도별(250℃, 400℃, 550℃, 700℃) 천일염의 Naphthalene 생성변화를 분석한 결과, 400℃에서 가장 높은 생성량을 나타내었으며, 처리온도가 높아질수록 천일염 중 잔류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낮은 온도에서는 Naphthalene 생성량이 적고, 높은 온도에서는 생성량은 많아지나 기화과정 등에 의해 소금시료에서 제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밝히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0364898 B1
본 발명은 대나무 유효 성분의 함량을 더욱 높일 수 있고 볶음공정의 채택으로 불완전한 고온처리에 의해 또 다른 유해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나무 볶음 소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천일염을 세척하는 세척공정, 세척한 천일염을 망체에 받쳐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공정, 물기가 제거된 천일염과 생대나무재인 대나무편을 번갈아 적층하여 저장하고 상온에서 5~10일 정도 방치시켜 천일염이 대나무편으로부터 대나무 성분을 흡수하도록 하여 숙성시키는 숙성공정, 숙성공정에서 얻은 천일염에 대나무 진액을 투입 및 혼합하여 대나무 성분 함량을 높이는 혼합공정, 혼합공정에서 얻은 천일염을 생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쪼개 만든 대나무 불판에서 150~250℃ 조건에서 5~10분간 볶아 대나무 불판으로부터 나온 대나무 수액이 볶는 과정에서 천일염에 흡수되도록 하여 대나무 성분의 함량을 더 높이는 볶음공정을 포함한다.
삭제
상기의 대나무 진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나무 분말 1~5중량부를 넣고 끓여 물의 부피가 전체 대비 10~30% 줄 때까지 졸이고, 이를 식힌 상태에서 상등액만을 취하여 얻은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의 혼합공정은 숙성된 천일염 100중량부에 대나무 진액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천일염이 대나무 진액으로부터 대나무 성분을 흡수하도록 한다.
삭제
삭제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공정들로부터 제조되는 대나무 소금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일염에 함유되는 대나무 유효 성분의 함량을 더욱 높일 수 있어 다양한 기능성 식품 제조에 활용할 수 있고, 가글용으로 사용할 경우 청량감과 구취제거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볶음공정의 채택으로 불완전한 고온처리에 의해 또 다른 유해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식품으로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볶음 소금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볶음 소금 제조방법의 또 다른 공정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볶음 소금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천일염을 세척하는 세척공정(S1), 세척한 천일염을 망체에 받쳐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공정(S2), 물기가 제거된 천일염을 생대나무재와 같이 저장하여 숙성시키는 숙성공정(S3), 숙성공정에서 얻은 천일염에 대나무 진액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혼합공정(S4), 혼합공정에서 얻은 천일염에 열을 가하여 볶는 볶음공정(S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세척공정(S1)은 세척통에 천일염을 담고 천일염이 충분히 잠길 정도로 물을 부은 다음 휘저어 세척한다. 이로써 천일염의 간수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물기제거공정(S2)은 세척한 천일염으로부터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한 천일염을 3~10시간 정도 바구니 등 망체에 받쳐 물기를 충분히 제거한다. 물론 대나무 볶음 소금을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한 시설에서는 탈수장치를 사용하여 탈수시간을 더 줄일 수 있다.
숙성공정(S3)은 천일염과 생대나무재를 같이 저장하여 천일염이 생대나무재로부터 대나무 성분을 흡수하도록 한다. 이로써 천일염에 대나무 성분을 함유시킬 수 있고 숙성을 통해 천일염의 짜거나 쓴맛을 보다 부드럽게 할 수 있다.
혼합공정(S4)은 숙성된 천일염에 대나무 진액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으로, 이때 천일염이 대나무 진액을 흡수함으로써 천일염의 대나무 성분 함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볶음공정(S5)은 혼합공정에서 얻은 천일염에 열을 가하여 볶게 되는데, 볶음공정을 통해 천일염의 살균처리가 이루어지고 연소로 대나무 가루 등 잔존하는 이물질이 제거되며 소금 알갱이 속 수분이 배출(기화)되어 천일염의 맛을 더욱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물론 대나무 볶음 소금을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한 시설에서는 볶음 장치를 사용하여 천일염을 저어가면서 볶게 된다.
이후, 상기의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천일염은 일정 수분함량(5.5%) 이하로 건조처리되고(S6) 유리병이나 폴리에틸렌 재질의 포장지에 담겨 유통 및 보관된다(S7).
다음은 전술한 각 공정 및 설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의 숙성공정(S3)은 천일염과 생대나무재인 대나무편을 번갈아 적층하고 상온에서 5~10일 정도 방치시켜 천일염이 대나무편으로부터 대나무 성분을 흡수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숙성시킨다.
여기서, 대나무편은 생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쪼개고 이를 소정 크기로 절단한 것으로, 바닥에 대나무편을 깔고 그 위에 천일염을 2~10㎝ 두께로 덮고, 이를 반복하여 대나무편과 천일염을 번갈아 적층하게 된다.
이로써, 천일염은 대나무편으로부터 대나무 성분을 흡수하여 함유할 수 있게 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숙성되게 된다.
상기의 대나무 진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나무 분말 1~5중량부를 넣고 끓여 물의 부피가 전체 대비 10~30% 줄 때까지 졸이고, 이를 식힌 상태에서 상등액만을 취하여 얻는다.
즉, 대나무 또는 대나무와 댓잎을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이를 물에 넣고 끓여 졸임으로써 대나무 유효 성분을 다량으로 추출할 수 있고, 식힌 상태에서 대나무 분말이 가라앉으면 대나무 분말이 혼입되지 않게 상등액만을 취하여 대나무 진액을 얻게 된다.
상기의 혼합공정(S4)은 숙성된 천일염 100중량부에 대나무 진액 1~5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천일염에 대나무 진액을 첨가하여 혼합할 때 대나무 진액이 천일염에 충분히 스며들도록 한다.
이로써, 천일염이 대나무 진액으로부터 대나무 성분을 흡수함으로써 천일염의 대나무 성분 함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이 기계식 자동 볶음 공정에 적용되는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볶음공정(S5)은 150~250℃ 조건에서 5~10분간 수행하되 중간에 혼합공정에서 투입한 대나무 진액의 10~30%중량부를 더 투입하여 볶아 내도록 한다.
즉, 볶음공정(S5)은 천일염을 투입하여 천일염을 휘저어 가면서 볶을 수 있는 공지의 볶음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이로써, 150~250℃의 조건에서 볶음공정이 이루어져 불완전한 고온 가열시 천일염 성분의 생성변화로 인한 유해물질의 발생을 억제하고, 천일염의 살균처리와 연소에 의해 대나무 가루 등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대나무 진액의 추가 투입으로 천일염의 대나무 성분 함량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소금 알갱이 속 수분의 배출(기화)로 천일염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의 볶음공정(S5)은 생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쪼개 만든 대나무 불판에서 천일염을 볶아 천일염이 대나무 불판으로부터 대나무 성분을 흡수하도록 한다. 이로써, 천일염의 대나무 성분 함량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대나무 불판을 사용한 볶음공정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150~250℃에서 5~10분간 수행하되, 바람직하게는 대나무 불판 가열시 대나무 불판 내측 표면으로부터 김이 나고 불이 닿는 겉 표면이 검게 타기 전까지 수행한다. 이로써, 대나무 불판으로부터 대나무 수액이 나와 천일염을 볶는 과정에서 대나무 성분을 흡수함으로써 천일염의 대나무 성분 함량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위 공정들로부터 제조되는 대나무 볶음 소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저온(150~250℃)에서 볶음 공정을 통해 천일염을 가공함으로써 불완전한 고온에서 가열할 때보다 유해물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숙성공정(S3)에서 천일염이 생대나무재로부터 대나무 유효성분을 1차 흡수하게 되고, 혼합공정(S4)에서 천일염이 대나무 진액으로부터 대나무 유효성분을 2차 흡수하게 되고, 볶음공정(S5)에서 천일염이 대나무 불판으로부터 대나무 유효성분을 3차 흡수하게 되어 천일염에 함유되는 대나무 유효 성분의 함량을 더욱 높일 수 있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천일염을 세척하는 세척공정,
    세척한 천일염을 망체에 받쳐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공정,
    물기가 제거된 천일염과 생대나무재인 대나무편을 번갈아 적층하여 저장하고 상온에서 5~10일 정도 방치시켜 천일염이 상기 대나무편으로부터 대나무 성분을 흡수하도록 하여 숙성시키는 숙성공정,
    상기 숙성공정에서 얻은 천일염에 대나무 진액을 투입 및 혼합하여 대나무 성분 함량을 높이는 혼합공정,
    상기 혼합공정에서 얻은 천일염을 생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쪼개 만든 대나무 불판에서 150~250℃ 조건에서 5~10분간 볶아 상기 대나무 불판으로부터 나온 대나무 수액이 볶는 과정에서 천일염에 흡수되도록 하여 대나무 성분 함량을 더 높이는 볶음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볶음 소금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진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나무 분말 1~5중량부를 넣고 끓여 물의 부피가 전체 대비 10~30% 줄 때까지 졸이고, 이를 식힌 상태에서 상등액만을 취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볶음 소금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공정은 숙성된 천일염 100중량부에 상기 대나무 진액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천일염이 상기 대나무 진액으로부터 대나무 성분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볶음 소금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볶음 소금.
KR1020210053321A 2021-04-23 2021-04-23 대나무 볶음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2402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321A KR102402738B1 (ko) 2021-04-23 2021-04-23 대나무 볶음 소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321A KR102402738B1 (ko) 2021-04-23 2021-04-23 대나무 볶음 소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738B1 true KR102402738B1 (ko) 2022-05-30

Family

ID=8179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321A KR102402738B1 (ko) 2021-04-23 2021-04-23 대나무 볶음 소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7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576B1 (ko) * 2022-07-11 2023-04-27 주식회사 은화계 파프리카가 함유된 양념으로 풍미가 증대된 양념숯불닭구이와 이의 제조방법
KR102526574B1 (ko) * 2022-07-11 2023-04-27 주식회사 은화계 대나무 유효 성분이 함유된 천일염을 이용한 숯불닭구이와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330A (ko) * 1993-10-08 1995-05-15 김춘섭 죽염(竹鹽)의 제조방법
KR100364898B1 (ko) 2000-04-04 2002-12-16 이상헌 대나무 초액을 이용한 죽염 제조방법 및 그 죽염
KR20120000465A (ko) * 2010-06-25 2012-01-02 (주)죽력원 죽력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죽력 소금
KR101452338B1 (ko) * 2013-05-29 2014-10-22 담양군 대나무 부산물을 이용한 소금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소금
KR20160035522A (ko) * 2014-09-19 2016-03-31 주식회사 삼보죽염 건강 기능성 칼륨생활죽염의 제조방법
KR20160133215A (ko) * 2015-05-12 2016-11-22 최선표 죽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죽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330A (ko) * 1993-10-08 1995-05-15 김춘섭 죽염(竹鹽)의 제조방법
KR100364898B1 (ko) 2000-04-04 2002-12-16 이상헌 대나무 초액을 이용한 죽염 제조방법 및 그 죽염
KR20120000465A (ko) * 2010-06-25 2012-01-02 (주)죽력원 죽력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죽력 소금
KR101452338B1 (ko) * 2013-05-29 2014-10-22 담양군 대나무 부산물을 이용한 소금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소금
KR20160035522A (ko) * 2014-09-19 2016-03-31 주식회사 삼보죽염 건강 기능성 칼륨생활죽염의 제조방법
KR20160133215A (ko) * 2015-05-12 2016-11-22 최선표 죽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죽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576B1 (ko) * 2022-07-11 2023-04-27 주식회사 은화계 파프리카가 함유된 양념으로 풍미가 증대된 양념숯불닭구이와 이의 제조방법
KR102526574B1 (ko) * 2022-07-11 2023-04-27 주식회사 은화계 대나무 유효 성분이 함유된 천일염을 이용한 숯불닭구이와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738B1 (ko) 대나무 볶음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8155A (ko) 기능성 소금 및 그 제조방법
CN103494170A (zh) 一种含有中草药的牛肉酱
KR20140007993A (ko) 기능성 커피 원두와 그 제조 방법
Mulana et al. Activ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aste coffee grounds as bio-sorbent
KR101226528B1 (ko) 식물 성분이 함유된 천연 소금의 제조 방법
JP2006034125A (ja) 乾燥ひじきの製造方法
KR101789747B1 (ko) 솔잎 소금의 제조방법
KR101195322B1 (ko) 마늘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12174A (ko) 청양고추 소금 및 그 제조 방법
JP6862156B2 (ja) 魚節の製造方法
KR870001615B1 (ko) 은행잎, 감잎 및 솔잎을 주재로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2526574B1 (ko) 대나무 유효 성분이 함유된 천일염을 이용한 숯불닭구이와 이의 제조방법
JP2006238825A (ja) カジメまたはアラメまたはヒジキを材料とする食材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食品
JP2009019080A (ja) 導電性炭化バイオマス製造方法、樹枝状炭化バイオマス製造方法、導電性又は樹枝状炭化バイオマスを用いた複合機能材料の製造方法、導電性又は樹枝状炭化バイオマスを用いた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80067746A (ko) 황토지장수를 이용한 지장죽염수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593449B1 (ko) 토굴 젓갈용 인삼소금 제조방법 및 그 인삼소금
KR20180085620A (ko) 복사열을 이용한 간접가열 방식의 구운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9932A (ko) 구운 소금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구운 소금
KR102065334B1 (ko) 게르마늄 참나무 구운 소금 및 그 제조 방법
KR102662891B1 (ko)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
KR20110080766A (ko)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KR20200098234A (ko) 유리가마를 이용한 용융 소금제조방법
CN107932669A (zh) 一种实木砧板防止滋生霉菌的处理方法
RU2653014C1 (ru) Мед с фитодобавк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