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574B1 - 대나무 유효 성분이 함유된 천일염을 이용한 숯불닭구이와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나무 유효 성분이 함유된 천일염을 이용한 숯불닭구이와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574B1
KR102526574B1 KR1020220084935A KR20220084935A KR102526574B1 KR 102526574 B1 KR102526574 B1 KR 102526574B1 KR 1020220084935 A KR1020220084935 A KR 1020220084935A KR 20220084935 A KR20220084935 A KR 20220084935A KR 102526574 B1 KR102526574 B1 KR 102526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cken
bamboo
frame
sal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희용
우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화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화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화계
Priority to KR1020220084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8Addition of flavours, spices, colours, amino acids or their salts, peptides, vitamins, yeast extract or autolysate, nucleic acid or derivatives, organic acidifying agents or their salts or acidogens, sweeteners, e.g. sugars or sugar alcohols; Addition of alcohol-containing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3Addition of vegetable fats or oils; Addition of non-meat animal fats or oils; Addition of fatty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70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1/00Preparation of wine or sparkling w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8Fractio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 유효 성분이 함량된 천일염을 이용한 숯불닭구이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나무 유효 성분이 함유된 천일염을 이용한 숯불닭구이와 이의 제조방법{CHARCOAL-GRILLED CHICKEN USING SEA SALT CONTAINING BAMBOO ACTIVE INGREDIENTS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나무 유효 성분이 함유된 천일염을 이용한 숯불닭구이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일염을 생산하기 위한 염전은 크게 저수지, 증발지, 결정지로 구성된다. 저수지는 바닷물을 저장하는 공간이고, 증발지는 햇볕과 바람을 통해 바닷물의 염도를 높여 함수를 만드는 곳이며, 결정지는 함수를 더욱 농축시켜 소금결정체를 얻는 곳이다.
천일염은 정제염과 달리 유기물을 포함하고 있는데, 전남지역 천일염은 성분면에서 외국산에 비해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고 마그네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전남보건환경연구원보, 2007년).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염 규격 기준에 따르면 천일염은 염화나트륨 70.0% 이상, 총염소 40.0% 이상, 수분 15.0% 이하 등 11개 항목에 적합하여야만 식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식품의 유형으로는 천일염, 재제소금(재제조소금), 태움·용융소금, 정제소금, 가공소금으로 구분하고 있다.
한편, 태움·용융소금은 원료 소금을 태움·용융 등의 방법으로 그 원형을 변형한 소금을 말하는데, 대표적으로 죽염이 있다.
죽염은 대나무 통(이하, "대통"이라 한다)에 천일염을 다져 넣은 다음 황토로 대통의 입구를 막고 가마에서 고온으로 가열하여 죽력을 비롯한 대나무의 유효성분이 천일염에 스며들도록 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제조하게 된다.
현재 용융염 및 태움염을 제조할 때는 가열처리에 의해 발생 가능한 다이옥신등 유해물질의 안전관리를 위해 800℃ 이상 처리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고열처리에 따른 비용부담 및 적정온도에서 벗어나 가열할 경우 오히려 또 다른 유해물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게 된다.
천일염 생산 공정과 가열처리에 의한 유해물질 생성 여부 및 물질 구명(PJ00746502, 김진효) 연구자료에 의하면, 열처리 온도별(250℃, 400℃, 550℃, 700℃) 천일염의 Naphthalene 생성변화를 분석한 결과, 400℃에서 가장 높은 생성량을 나타내었으며, 처리온도가 높아질수록 천일염 중 잔류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낮은 온도에서는 Naphthalene 생성량이 적고, 높은 온도에서는 생성량은 많아지나 기화과정 등에 의해 소금시료에서 제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밝히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닭고기는 돼지고기, 소고기 등과 함께 소비자들이 가장 보편적으로 구입하여 섭취하고 있는 육류로서, 특히 여름철에는 삼계탕, 영계백숙 등 닭고기를 이용한 보양 음식으로 널리 섭취되고 있으며, 최근 닭고기의 풍미를 살리기 위해 숯불을 이용헌 직화 닭구이가 유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만약, 유해물질이 제거되며 대나무 유효 성분을 더한 천일염에 염지된 닭으로 숯불닭구이가 조리된다면 취식자의 건강에 이로운 동시에 닭고기의 풍미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나무 유효 성분이 함유된 천일염을 이용한 숯불닭구이와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숯불닭구이의 제조방법은 닭을 준비하여 손질하고 염지하는 제 1 단계; 허브 양념을 제조하여 상기 닭에 첨가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허브 양념이 첨가된 닭을 올리브 오일 및 백포도주의 혼합물에 30~40분 동안 재워두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닭을 숯불에 굽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허브 양념은 닭 20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생로즈마리 40~60 중량부, 생다임 20~40 중량부, 생바질잎 10~30 중량부, 생마늘 40~60 중량부 및 통후추 3~8 중량부를 다져서 혼합하여 제조되고, 상기 올리브 오일 및 백포도주의 혼합물은 닭 20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올리브 오일 40~60 중량부 및 백포도주 5~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닭의 염지에 사용하는 소금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천일염을 세척하는 세척공정; 세척한 천일염을 망체에 받쳐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공정; 물기가 제거된 천일염과 생대나무재인 대나무편을 번갈아 적층하여 저장하고 상온에서 5~10일 정도 방치시켜 천일염이 상기 대나무편으로부터 대나무 성분을 흡수하도록 하여 숙성시키는 숙성공정; 상기 숙성공정에서 얻은 천일염에 대나무 진액을 투입 및 혼합하여 대나무 성분 함유를 높이는 혼합공정; 상기 혼합공정에서 얻은 천일염을 생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쪼개 만든 대나무 불판에서 150~250℃ 조건에서 5~10분간 볶아 상기 대나무 불판으로부터 나온 대나무 수액이 볶는 과정에서 천일염에 흡수되도록 하여 대나무 성분 함유를 더 높이는 볶음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대나무 진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나무 분말 1~5중량부를 넣고 끓여 물의 부피가 전체 대비 10~30% 줄 때까지 졸이고, 이를 식힌 상태에서 상등액만을 취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숯불닭구이는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조미료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 대나무 유효 성분이 함유된 천일염과 천연 생허브를 이용하여 닭고기의 풍미를 살리는 동시에 취식자의 건강도 증진시키는 숯불닭구이와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숯불닭구이의 염지에 이용되는 천일염의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숯불닭구이의 염지에 이용되는 천일염의 제조방법의 또 다른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šG불닭구이의 염지 시 사용되는 천일염의 대나무 진액을 제조하는 혼합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šG불닭구이의 타공 시 사용되는 타공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숯불닭구이를 제조하기 위하여, 제 1 단계로 닭을 준비하여 손질하고 염지한다. 먼저, 닭의 염지에 사용하는 소금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천일염을 세척하는 세척공정(S1), 세척한 천일염을 망체에 받쳐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공정(S2), 물기가 제거된 천일염을 생대나무재와 같이 저장하여 숙성시키는 숙성공정(S3), 숙성공정에서 얻은 천일염에 대나무 진액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혼합공정(S4), 혼합공정에서 얻은 천일염에 열을 가하여 볶는 볶음공정(S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세척공정(S1)은 세척통에 천일염을 담고 천일염이 충분히 잠길 정도로 물을 부은 다음 휘저어 세척한다. 이로써 천일염의 간수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물기제거공정(S2)은 세척한 천일염으로부터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한 천일염을 3~10시간 정도 바구니 등 망체에 받쳐 물기를 충분히 제거한다. 물론 대나무 볶음 소금을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한 시설에서는 탈수장치를 사용하여 탈수시간을 더 줄일 수 있다.
숙성공정(S3)은 천일염과 생대나무재를 같이 저장하여 천일염이 생대나무재로부터 대나무 성분을 흡수하도록 한다. 이로써 천일염에 대나무 성분을 함유시킬 수 있고 숙성을 통해 천일염의 짜거나 쓴맛을 보다 부드럽게 할 수 있다.
혼합공정(S4)은 숙성된 천일염에 대나무 진액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으로, 이때 천일염이 대나무 진액을 흡수함으로써 천일염의 대나무 성분 함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볶음공정(S5)은 혼합공정에서 얻은 천일염에 열을 가하여 볶게 되는데, 볶음공정을 통해 천일염의 살균처리가 이루어지고 연소로 대나무 가루 등 잔존하는 이물질이 제거되며 소금 알갱이 속 수분이 배출(기화)되어 천일염의 맛을 더욱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물론 대나무 볶음 소금을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한 시설에서는 볶음 장치를 사용하여 천일염을 저어가면서 볶게 된다.
이후, 상기의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천일염은 일정 수분함량(5.5%) 이하로 건조처리되고(S6) 유리병이나 폴리에틸렌 재질의 포장지에 담겨 유통 및 보관된다(S7).
다음은 전술한 각 공정 및 설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의 숙성공정(S3)은 천일염과 생대나무재인 대나무편을 번갈아 적층하고 상온에서 5~10일 정도 방치시켜 천일염이 대나무편으로부터 대나무 성분을 흡수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숙성시킨다.
여기서, 대나무편은 생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쪼개고 이를 소정 크기로 절단한 것으로, 바닥에 대나무편을 깔고 그 위에 천일염을 2~10㎝ 두께로 덮고, 이를 반복하여 대나무편과 천일염을 번갈아 적층하게 된다.
이로써, 천일염은 대나무편으로부터 대나무 성분을 흡수하여 함유할 수 있게 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숙성되게 된다.
상기의 혼합공정(S4)은 숙성된 천일염 100중량부에 대나무 진액 1~5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천일염에 대나무 진액을 첨가하여 혼합할 때 대나무 진액이 천일염에 충분히 스며들도록 한다. 이로써, 천일염이 대나무 진액으로부터 대나무 성분을 흡수함으로써 천일염의 대나무 성분 함량을 높일 수 있게된다.
한편, 본 발명이 기계식 자동 볶음 공정에 적용되는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볶음공정(S5)은 150~250℃ 조건에서 5~10분간 수행하되 중간에 혼합공정에서 투입한 대나무 진액의 10~30%중량부를 더 투입하여 볶아 내도록 한다.
즉, 볶음공정(S5)은 천일염을 투입하여 천일염을 휘저어 가면서 볶을 수 있는 공지의 볶음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이로써, 150~250℃의 조건에서 볶음공정이 이루어져 불완전한 고온 가열시 천일염 성분의 생성변화로 인한 유해물질의 발생을 억제하고, 천일염의 살균처리와 연소에 의해 대나무 가루 등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대나무 진액의 추가 투입으로 천일염의 대나무 성분 함량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소금 알갱이 속 수분의 배출(기화)로 천일염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의 볶음공정(S5)은 생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쪼개 만든 대나무 불판에서 천일염을 볶아 천일염이 대나무 불판으로부터 대나무 성분을 흡수하도록 한다. 이로써, 천일염의 대나무 성분 함량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대나무 불판을 사용한 볶음공정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150~250℃에서 5~10분간 수행하되, 바람직하게는 대나무 불판 가열시 대나무 불판 내측 표면으로부터 김이 나고 불이 닿는 겉 표면이 검게 타기 전까지 수행한다. 이로써, 대나무 불판으로부터 대나무 수액이 나와 천일염을 볶는 과정에서 대나무 성분을 흡수함으로써 천일염의 대나무 성분 함량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위 공정들로부터 제조되는 대나무 볶음 천일렴으로 닭을 염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저온(150~250℃)에서 볶음 공정을 통해 천일염을 가공함으로써 불완전한 고온에서 가열할 때보다 유해물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숙성공정(S3)에서 천일염이 생대나무재로부터 대나무 유효성분을 1차 흡수하게 되고, 혼합공정(S4)에서 천일염이 대나무 진액으로부터 대나무 유효성분을 2차 흡수하게 되고, 볶음공정(S5)에서 천일염이 대나무 불판으로부터 대나무 유효성분을 3차 흡수하게 되어 천일염에 함유되는 대나무 유효 성분의 함량을 더욱 높일 수 있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다음, 제 2 단계로 상기 제 1 단계에서 준비된 닭에 첨가할 허브 양념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허브 양념의 제조는 닭 20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생로즈마리 40~60 중량부, 생다임 20~40 중량부, 생바질잎 10~30 중량부, 생마늘 40~60 중량부 및 통후추 3~8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상기 모든 재료는 다져서 첨가하여야 닭에 허브의 맛과 향이 골고루 배어들게 된다.
상기에서 첨가되는 허브는 각각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데, 우선 상기 생로즈마리는 항균 및 소독 작용을 하며, 피부 트러블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인체에서 항산화 및 항암 작용도 한다. 또한, 상기 생다임은 항균 및 거담 작용을 하며, 특히 여성의 자궁에 매우 효과적인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상기 생바질은 항균 작용뿐만 아니라 소화 촉진 작용을 하며, 두통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
다음, 제 3 단계로 상기 제 2 단계에서 허브 양념이 첨가된 닭을 올리브 오일 및 백포도주의 혼합물에 일정 시간 동안 재워둔다. 이때, 상기 올리브 오일 및 백포도주의 혼합물은 닭 20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올리브 오일 40~60 중량부 및 백포도주 5~15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닭을 재워두는 시간은 30~4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닭을 재워두면 닭을 구워 섭취할 시에 보다 부드러운 맛을 느낄 수 있으며, 닭이 가지고 있은 특유의 비린내 등도 완전히 제거되어 섭취시 거부감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올리브 오일이 가지고 있는 효능인 성인병 예방, 변비 및 당뇨 예방, 간 기능개선 및 피부보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동시에 백포도주의 효능인 해독 작용 및 면역 증강, 호르몬 조절 등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다음, 제 4 단계로 상기 제 3 단계를 거친 닭을 숯불에 굽는다. 그릴에 구울 시에는 한꺼번에 많은 양을 굽지말고, 조금씩 구워서 섭취하는 것이 닭 구이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으며, 숯불에 굽게 되면 닭 구이의 맛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단계에서 구워진 닭을 섭취할 시에는 섭취하기 직전에 소량(닭 20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브랜디 3~8 중량부)의 브랜디를 첨가할 수도 있는데, 브랜디를 첨가함으로써 혹시 닭에 함유되어 있을지도 모를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살균작용도 하여 보다 안전하게 닭 구이를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닭 구이를 섭취할 시에 닭 구이와 어울리는 새송이버섯, 팽이버섯, 양파 등을 함께 구워 섭취하면 닭 구이의 맛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새송이버섯, 팽이버섯, 양파 등이 가지고 있는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으며, 취식자의 기호에 따라 닭 구이를 상추나 깻잎 등의 쌈 종류에 싸먹어도 더욱 맛있는 닭 구이를 즐길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대나무 진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혼합기(20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물-대나무 분말 혼합물(이하, 혼합재료라 호칭함)을 혼합기(2000)에 의해 가열하며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대나무 진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나무 분말 1~5중량부를 넣은 혼합물을 가열하여 물의 부피가 전체 대비 10~30% 줄 때까지 졸이고, 이를 식힌 상태에서 상등액만을 취하여 얻는다.
즉, 대나무 또는 대나무와 댓잎을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이를 물에 넣고 끓여 졸임으로써 대나무 유효 성분을 다량으로 추출할 수 있고, 식힌 상태에서 대나무 분말이 가라앉으면 대나무 분말이 혼입되지 않게 상등액만을 취하여 대나무 진액을 얻게 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혼합기(2000)는 혼합재료가 담지되는 챔버(2100)와, 챔버(2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챔버(2100)의 하면을 가열하는 버너(2200)와, 챔버(2100)에 담지된 혼합재료의 수위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와, 챔버(2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챔버(2100)에 담지된 혼합재료를 교반하는 교반기(2300)와, 교반기(2300)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강시키는 액추에이터(2400)와, 센서로부터 센싱값을 전달받아 버너(2200)와 교반기(2300)와 액추에이터(2400)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교반기(2300)는 회전모터(2310)와, 회전모터(2310)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2320)와, 샤프트(2320)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제1임펠러(2330)와, 샤프트(2320)에서 제1임펠러(23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임펠러(2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임펠러(2330)는 리본 헬리칼(Ribbon helical) 형태의 임펠러일 수 있고, 제2임펠러(2340)는 플랫 터빈(Flat turbine) 형태의 임펠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기(2000)는 3단계로 작동될 수 있으며, 먼저, 혼합재료가 챔버(2100)에 담지된 후 작동초기의 제1단계에서는 혼합재료의 온도가 혼합재료가 가열되어 대나무 진액이 열수추출되기 위한 적정온도인 제1온도(일 예로, 95~100℃)보다 낮은 제2온도(일 예로, 65∼75℃) 미만일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은 센서로부터 혼합재료의 온도를 전달받아 제1단계 작동을 개시하며 제1단계에서 전자 제어 유닛은 버너(2200)를 작동시켜 가열을 시작할 수 있으며, 센서로부터 혼합재료의 수위를 전달받아 교반기(2300)의 제1임펠러(2330)와 제2임펠러(2340)가 모두 혼합재료의 수위보다 높은 위상에 위치하도록 액추에이터(2400)를 제어하여 교반기(2300)를 승강시킬 수 있고, 교반기(2300)의 회전모터(2310)를 미작동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그 다음, 작동중기의 제2단계에서는 혼합재료의 온도가 제2온도 이상이며 제1온도 미만일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은 센서로부터 혼합재료의 온도를 전달받아 제2단계 작동을 개시하며 제2단계에서 전자 제어 유닛은 버너(2200)의 작동을 유지하며, 센서로부터 혼합재료의 수위를 전달받아 교반기(2300)의 제1임펠러(2330)가 혼합재료의 수위보다 낮은 위상에 위치하고 제2임펠러(2340)가 혼합재료의 수위보다 높은 위상에 위치하도록 액추에이터(2400)를 제어하여 교반기(2300)를 하강시킬 수 있고, 교반기(2300)의 회전모터(2310)를 작동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그 다음, 작동말기의 제3단계에서는 혼합재료의 온도가 제1온도 이상일 수 있다. 제3단계에서 전자 제어 유닛은 버너(2200)의 작동을 유지시키며 센서로부터 혼합재료의 수위를 전달받아 교반기(2300)의 제1임펠러(2330)와 제2임펠러(2340)가 모두 혼합재료의 수위보다 낮은 위상에 위치하도록 액추에이터(2400)를 제어하여 교반기(2300)를 하강시킬 수 있고, 교반기(2300)의 회전모터(2310)를 작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다음, 휴지기인 제4단계에서는 혼합재료의 온도가 제2온도 미만일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은 센서로부터 혼합재료의 수위를 전달받아 제1단계의 수위에서 적정 수위(일 예로, 제1단계의 수위의 85%)로 낮아진 경우 제4단계 휴지기 작동을 시작하고, 이 경우, 전자 제어 유닛은 회전모터(231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액추에이터(2400)를 제어하여 교반기(2300)의 제1임펠러(2330)와 제2임펠러(2340)가 모두 혼합재료의 수위보다 높은 위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혼합기(2000)는 제1단계(가열에만 집중하는 단계)에서는 적정 온도가 될 때까지 가열만을 진행하여 가열과 교반을 동시에 진행함에 따라 대나무 분말이 너무 낮은 온도에서 열수추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단계(균등한 가열에 집중하는 단계)에서는 가열과 제1임펠러(2330)에 의한 중간단계의 교반을 진행하여 적정 온도가 될 때까지(제3단계의 제1온도)에서 제1임펠러(2330)로서 상측 유동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리본 헬리칼(Ribbon helical) 형태의 임펠러를 선택함으로써 혼합재료가 균등한 온도로 가열되어 제3단계의 열수추출을 준비할 수 있는 동시에 적정 온도가 되기까지 적극적인 열수추출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3단계(적극적으로 가열과 교반을 진행하여 열수추출을 진행하는 단계)에서는 가열을 유지시키고 제1임펠러(2330)와 제2임펠러(2340)에 의해 교반을 극대화함으로써 가열과 교반을 동시에 진행하여 적정 온도에서의 열수추출을 진행할 수 있다. 제3단계에서는 제2임펠러(2340)로서 하측에 난류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플랫 터빈(Flat turbine) 형태의 임펠러를 선택함으로써 혼합재료의 하부에서의 상측 유동과 혼합재료의 상부에서의 하측 난류가 저촉으로 인한 다양한 유동성에 의해 교반효과를 극대화하며 열수추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 다음, 제4단계(가열과 교반을 중지하는 단계)에서는 열수추출이 적절하게 진행된 것을 감지하여 가열과 교반을 중지시키고 식혀 상등액만을 취하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례에서는 닭을 준비하여 손질하고 염지하는 제1단계 전에 염지와 양념이 닭에 잘 스며들게 하기 위한, 닭에 타공(복수의 타공홀을 형성)을 진행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이하, 닭에 타공을 진행하는 단계에 사용되는 타공기(300)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타공기(300)는 제1프레임(310)과 제2프레임(320)과 제1액추에이터(330)와 제2액추에이터(340)와 복수의 제1타공핀(350)과 복수의 제2타공핀(3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310)과 제2프레임(320)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으며 제1프레임(310)은 상측에 제2프레임(320)은 하측에 배치되어 제1프레임(310)의 하면이 제2프레임(320)의 상면과 대향할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330)는 타공 시 제1프레임(310)의 하강시키며 타공 완료 후 제1프레임(310)을 승강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재귀)시킬 수 있다. 제2액추에이터(340)는 타공 시 제2프레임(320)을 승강시키며 타공 완료 후 제2프레임(320)을 하강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재귀)시킬 수 있다. 한편, 닭은 제1프레임(310)과 제2프레임(320)의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어 타공이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제1타공핀(350)은 제1프레임(31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성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2타공핀(360)은 제2프레임(32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성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타공핀(350)과 복수의 제2타공핀(360)은 상호 수직 방향(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오버랩(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타공핀(350)에 의해 상면에서 아래로 형성된 미세 타공홀과 복수의 제2타공핀(360)에 의해 하면에서 위로 형성된 미세 타공홀은 수직 방향(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염지와 양념이 잘 스며들게 하는 동시에 닭의 육질을 해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미세 타공홀은 닭의 표면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제1타공핀(350) 각각의 하단부에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제2타공핀(360) 각각의 상단부에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프레임(310)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하강하고, 제2프레임(320)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승강할 때, 닭은 복수의 제1타공핀(350)과 복수의 제2타공핀(360)의 경사부에 의해 땡겨져 닭의 표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미세 타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1타공핀(350)의 경사부와 복수의 제2타공핀(350)의 경사부는 닭의 표면을 향하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의 제1타공핀(350)에 의해 형성된 미세 타공홀은 닭을 일측으로 잡아당기고, 복수의 제2타공핀(360)에 의해 형성된 미세 타공홀은 닭을 일측과 반대인 타측으로 잡아당겨 보상함으로써, 닭은 전체적으로 균등한 밀도를 나타낼 수 있다(균등한 식감을 위함).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닭을 준비하여 손질하고 염지하는 제 1 단계;
    허브 양념을 제조하여 상기 닭에 첨가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허브 양념이 첨가된 닭을 올리브 오일 및 백포도주의 혼합물에 30~40분 동안 재워두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닭을 숯불에 굽는 제 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계 전에 타공기를 이용하여 닭에 타공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공기(300)는 제1프레임(310)과 제2프레임(320)과 제1액추에이터(330)와 제2액추에이터(340)와 복수의 제1타공핀(350)과 복수의 제2타공핀(360)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310)과 상기 제2프레임(320)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이고,
    상기 제1프레임(310)은 상측에 상기 제2프레임(320)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프레임(310)의 하면이 상기 제2프레임(320)의 상면과 대향하고,
    상기 제1액추에이터(330)는 타공 시 상기 제1프레임(310)의 하강시키며 타공 완료 후 상기 제1프레임(310)을 승강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제2액추에이터(340)는 타공 시 상기 제2프레임(320)을 승강시키며 타공 완료 후 상기 제2프레임(320)을 하강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닭은 상기 제1프레임(310)과 상기 제2프레임(320)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타공이 진행되고,
    상기 복수의 제1타공핀(350)은 상기 제1프레임(31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성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타공핀(360)은 상기 제2프레임(32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성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타공핀(350)과 상기 복수의 제2타공핀(360)은 상호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타공핀(350) 각각의 하단부에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타공핀(360) 각각의 상단부에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타공핀(350)의 경사부와 상기 복수의 제2타공핀(350)의 경사부는 닭의 표면을 향하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닭구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양념은 닭 20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생로즈마리 40~60 중량부, 생다임 20~40 중량부, 생바질잎 10~30 중량부, 생마늘 40~60 중량부 및 통후추 3~8 중량부를 다져서 혼합하여 제조되고,
    상기 올리브 오일 및 백포도주의 혼합물은 닭 20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올리브 오일 40~60 중량부 및 백포도주 5~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닭구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닭의 염지에 사용하는 소금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천일염을 세척하는 세척공정;
    세척한 천일염을 망체에 받쳐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공정;
    물기가 제거된 천일염과 생대나무재인 대나무편을 번갈아 적층하여 저장하고 상온에서 5~10일 정도 방치시켜 천일염이 상기 대나무편으로부터 대나무 성분을 흡수하도록 하여 숙성시키는 숙성공정;
    상기 숙성공정에서 얻은 천일염에 대나무 진액을 투입 및 혼합하여 대나무 성분 함유를 높이는 혼합공정; 및
    상기 혼합공정에서 얻은 천일염을 생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쪼개 만든 대나무 불판에서 150~250℃ 조건에서 5~10분간 볶아 상기 대나무 불판으로부터 나온 대나무 수액이 볶는 과정에서 천일염에 흡수되도록 하여 대나무 성분 함유를 더 높이는 볶음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닭구이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진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나무 분말 1~5중량부를 넣고 끓여 물의 부피가 전체 대비 10~30% 줄 때까지 졸이고, 이를 식힌 상태에서 상등액만을 취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닭구이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닭구이.
KR1020220084935A 2022-07-11 2022-07-11 대나무 유효 성분이 함유된 천일염을 이용한 숯불닭구이와 이의 제조방법 KR102526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935A KR102526574B1 (ko) 2022-07-11 2022-07-11 대나무 유효 성분이 함유된 천일염을 이용한 숯불닭구이와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935A KR102526574B1 (ko) 2022-07-11 2022-07-11 대나무 유효 성분이 함유된 천일염을 이용한 숯불닭구이와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574B1 true KR102526574B1 (ko) 2023-04-27

Family

ID=8610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935A KR102526574B1 (ko) 2022-07-11 2022-07-11 대나무 유효 성분이 함유된 천일염을 이용한 숯불닭구이와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5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1144A (ko) * 2009-08-25 2011-03-04 송수익 허브를 함유하는 닭 구이 제조방법
KR101579242B1 (ko) * 2015-04-30 2015-12-21 주식회사 계림원에프앤비 누룽지 통닭구이의 조리방법
KR101692192B1 (ko) * 2016-08-17 2017-01-02 이성아 양념 닭발 구이 및 그 제조방법
KR102402738B1 (ko) * 2021-04-23 2022-05-30 이유연 대나무 볶음 소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1144A (ko) * 2009-08-25 2011-03-04 송수익 허브를 함유하는 닭 구이 제조방법
KR101579242B1 (ko) * 2015-04-30 2015-12-21 주식회사 계림원에프앤비 누룽지 통닭구이의 조리방법
KR101692192B1 (ko) * 2016-08-17 2017-01-02 이성아 양념 닭발 구이 및 그 제조방법
KR102402738B1 (ko) * 2021-04-23 2022-05-30 이유연 대나무 볶음 소금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05099B (zh) 一种用于卤制蛋品的卤料及卤制蛋品的方法
KR101725730B1 (ko) 안전 양식 민물장어탕 및 그 제조방법
CN108669466A (zh) 一种休闲酱卤牛肉干的制作方法
KR101816822B1 (ko) 피쉬 소스를 이용한 갈비탕의 제조방법
CN107594475A (zh) 一种牛肉酱及其制备方法
CN102823881B (zh) 以三穗鸭制作血浆鸭的方法
KR101788627B1 (ko) 딱새우 떡어묵 제조방법
KR102526574B1 (ko) 대나무 유효 성분이 함유된 천일염을 이용한 숯불닭구이와 이의 제조방법
CN102835673B (zh) 以三穗鸭制作黄焖鸭的方法
CN104643028A (zh) 一种鱼肉豆豉酱及其制备方法
KR102033139B1 (ko) 주꾸미 또는 오징어 양념용 짜장소스 제조방법
CN107259410A (zh) 一种即食泥鳅的加工方法
KR101418803B1 (ko) 메기의 가공방법 및 가공된 메기를 이용한 조리방법
KR102526576B1 (ko) 파프리카가 함유된 양념으로 풍미가 증대된 양념숯불닭구이와 이의 제조방법
CN112617115A (zh) 一种袋装豆制品食品及其卤制工艺
CN1164351A (zh) 多味汁调料
KR101008435B1 (ko) 오리 구이방법
KR101008474B1 (ko) 닭 구이방법
CN110859289A (zh) 一种辣椒酥及其制备方法
CN109892581A (zh) 一种蟹香味的高钙鱼肉松及其制备方法
CN109123449A (zh) 盐焗乳鸽肉丁的制作方法
CN107836657A (zh) 一种酒制茶香的板鸭制作工艺
KR102277488B1 (ko) 무 분말이 포함된 소금 제조방법
KR101946899B1 (ko) 복어 및 돌미역을 포함하는 조미료의 제조 방법
KR100817354B1 (ko) 물 없이 대파만을 이용하여 고기 삶는 방법 및 이 방법에의해 제조된 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