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275B1 - 보호 필름, 점착층 부착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 - Google Patents

보호 필름, 점착층 부착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275B1
KR102385275B1 KR1020190144942A KR20190144942A KR102385275B1 KR 102385275 B1 KR102385275 B1 KR 102385275B1 KR 1020190144942 A KR1020190144942 A KR 1020190144942A KR 20190144942 A KR20190144942 A KR 20190144942A KR 102385275 B1 KR102385275 B1 KR 102385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transparent film
film
cyclic olefin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0128A (ko
Inventor
미치히토 오이시
나오미 가도와키
Original Assignee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0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5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f the release l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10Polymer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8Copolymers of 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의 안티 블로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당해 투명 필름에 적층된 상태에서 투명 필름의 외관 검사를 가능하게 하는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에 적층되어, 상기 투명 필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박리 가능한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보호 필름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투명 필름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표면 조도 Ra 가 7 ㎚ 이상이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투명 필름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표면 조도 Rz 가 47 ㎚ 이상이고,
상기 보호 필름은, 헤이즈가 10 % 이하인, 보호 필름.

Description

보호 필름, 점착층 부착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PROTECTIVE FILM, PROTECTIVE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TRANSPARENT FILM WITH 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보호 필름, 점착층 부착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종 광학 용도에는, 여러 가지 광학 필름이 사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나 EL 표시 장치 등 화상 표시 장치에는, 액정 기판, 편광 필름 등으로서, 광학 투명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투명 수지 기재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이와 같은 투명 수지 기재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특정한 구조를 갖는 반응성 실릴기를 함유하는 고리형 올레핀계 부가 중합체를 함유하는 광학 투명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12927호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같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은, 우수한 투명성과 내열성을 겸비하고 있어, 광학 필름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은, 롤상으로 권취 (卷取) 하여, 제조, 유통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이 롤상으로 권취되면, 투명 필름끼리가 밀착하여, 롤로부터의 권출 (卷出) 이 어렵다 (즉, 안티 블로킹성이 떨어진다) 는 문제가 있다.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의 안티 블로킹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법으로는, 예를 들어, 투명 필름에 표면 처리를 실시하거나, 보호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안티 블로킹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투명 필름에 표면 처리를 실시하면, 광학 필름 등으로서 요구되는 각종 광학 특성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또한, 투명 필름의 제조 공정이나, 권출 공정에 있어서는, 외관 검사 등이 실시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에 적층하여 안티 블로킹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보호 필름이 투명 필름에 적층된 상태에서 외관 검사를 실시할 수 있으면,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이나, 나아가서는 이것을 사용한 제품의 생산 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와 같은 상황하, 본 발명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의 안티 블로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당해 투명 필름에 적층된 상태에서 투명 필름의 외관 검사를 가능하게 하는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해 보호 필름을 사용한, 점착층 부착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에 적층되어, 상기 투명 필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박리 가능한 보호 필름으로서,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투명 필름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표면 조도 Ra, Rz 를 각각 소정값 이상으로 설정한 후, 추가로 헤이즈를 소정값 미만으로 설정함으로써,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의 안티 블로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당해 투명 필름에 적층된 상태에서 투명 필름의 외관 검사가 가능해지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검토를 거듭하여 완성한 발명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에 게재하는 양태의 발명을 제공한다.
항 1.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에 적층되어, 상기 투명 필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박리 가능한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보호 필름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투명 필름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표면 조도 Ra 가 7 ㎚ 이상이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투명 필름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표면 조도 Rz 가 47 ㎚ 이상이고,
상기 보호 필름은, 헤이즈가 10 % 이하인, 보호 필름.
항 2. 상기 보호 필름에 함유되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20 질량% 미만인, 항 1 에 기재된 보호 필름.
항 3. 상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스티렌 함유량이 15 질량% 이상인, 항 1 또는 2 에 기재된 보호 필름.
항 4. 항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호 필름의 상기 투명 필름측의 표면에, 적어도 점착층이 적층되어 있는, 점착층 부착 보호 필름.
항 5. 항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호 필름의 상기 투명 필름측의 표면에, 적어도 점착층과,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
본 발명에 의하면,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의 안티 블로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당해 투명 필름에 적층된 상태에서 투명 필름의 외관 검사를 가능하게 하는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당해 보호 필름을 사용한, 점착층 부착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 은, 보호 필름의 모식도이다.
도 2 는, 점착층 부착 보호 필름의 모식도이다.
도 3 은,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 (이하, 간단히「투명 필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에 적층되어, 상기 투명 필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으로부터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한다. 또,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투명 필름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표면 조도 Ra 가 7 ㎚ 이상이고, 또한, 투명 필름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표면 조도 Rz 가 47 ㎚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헤이즈가 10 % 이하이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이들 구성을 충족하고 있음으로써,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의 안티 블로킹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의 안티 블로킹성) 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당해 투명 필름에 적층된 상태에서 투명 필름의 외관 검사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 필름의 제조 공정이나, 권출 공정에 있어서는, 외관 검사 등이 실시된다. 이 때문에,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에 적층하여 안티 블로킹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보호 필름이 투명 필름에 적층된 상태에서 외관 검사를 실시할 수 있으면,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이나, 나아가서는 이것을 사용한 제품의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투명 필름에 적층된 상태에서 투명 필름의 외관 검사가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 필름의 생산성, 나아가서는 당해 투명 필름을 사용한 제품의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보호 필름, 점착층 부착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로 연결된 수치는,「∼」의 전후의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복수의 하한값과 복수의 상한값이 별개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 임의의 하한값과 상한값을 선택하여,「∼」로 묶을 수 있는 것으로 한다.
1. 보호 필름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에 적층되어, 투명 필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박리 가능한 보호 필름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의 제조, 유통 과정 등에 있어서, 투명 필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고, 투명 필름을 광학 필름 등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투명 필름으로부터 박리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점착층을 개재하여 투명 필름에 적층되고, 점착층과 함께 투명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도록 사용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에 함유되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각각 1 종류여도 되고, 2 종류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에 적층되어, 투명 필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점에서,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할 필요가 있다. 보호 필름에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가 함유됨으로써,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과 적층된 적층체에 있어서, 보호 필름과 투명 필름의 열수축률 등의 물성이 동일해져, 제조시의 문제 (예를 들어, 열수축률차에서 기인하는 컬 등) 의 발생이 억제된다.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는, 주사슬이 탄소-탄소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주사슬의 적어도 일부에 고리형 탄화수소 구조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이 고리형 탄화수소 구조는, 노르보르넨이나 테트라시클로도데센으로 대표되는, 고리형 탄화수소 구조 중에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 (고리형 올레핀) 을 단량체로서 사용함으로써 도입된다.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는, 그 제조 방법으로부터, 고리형 올레핀의 부가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고리형 올레핀과 α-올레핀의 부가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이 있다.
고리형 올레핀으로는,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시클로옥텐, 시클로펜타디엔, 1,3-시클로헥사디엔 등의 1 고리의 고리형 올레핀이나 그 밖의 다고리의 고리형 올레핀을 들 수 있고, 각각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비시클로[2.2.1]헵타-2-엔 (관용명 : 노르보르넨) 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형 올레핀과 공중합 가능한 α-올레핀의 구체예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등의 탄소수 2 ∼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 8 의 에틸렌 또는 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은, 각각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에틸렌의 단독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중에서, 고리형 올레핀과 α-올레핀의 부가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이, 특성과 비용의 밸런스가 잡혀져 있다. 그 중에서도 노르보르넨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인 고리형 올레핀 수지는, 노르보르넨과 에틸렌 비율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그 비율에 의해 유리 전이점 (Tg) 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에는, 그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단량체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또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 수지, 무기 혹은 유기 충전제, 각종 배합제 등을 함유해도 된다.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고리형 올레핀과 α-올레핀을 함유하는 모노머 조성물을 반응기에 도입하고, 거기에 중합 촉매나 중합 용매를 첨가하고, 소정의 반응 온도, 반응 압력에서 반응시켜 중합 용액으로 하고, 그 후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반응 온도나 반응 압력은, 고리형 올레핀과 α-올레핀의 수지 중의 함유 비율이 원하는 범위가 되도록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로는, TOPAS (폴리플라스틱스사 제조), 아펠 (미츠이 화학사 제조), 제오넥스 (닛폰 제온사 제조), 제오노아 (닛폰 제온사 제조), 아톤 (닛폰 합성 고무사 제조) 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리 전이점 (Tg) 이 170 ℃ 이상인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로는, TOPAS6017S-04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스티렌과 부타디엔 혹은 이소프렌 등의 공액 디엔의 공중합체, 및/또는, 그 수소 첨가물이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스티렌을 하드 세그먼트, 공액 디엔을 소프트 세그먼트로 한 블록 공중합체이며, 가황 공정이 불필요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수소 첨가를 한 것은 열안정성이 높아 더욱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EPS), 스티렌-이소프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IBS), 스티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SEEPS)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와의 굴절률의 차가 작은 것이 투명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굴절률의 차가 ±0.02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5 이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에 있어서는, 전술한 안티 블로킹성 및 외관 검사의 관점에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중의 스티렌 함유량이, 1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에 있어서는, 전술한 안티 블로킹성 및 외관 검사의 관점에서, 보호 필름 중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당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은, 20 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에 있어서는, 특히, 스티렌 함유량이 15 질량% 이상, 나아가서는 30 질량% 이상, 나아가서는 50 질량% 이상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이들 함유량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에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에 더하여, 그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각종 배합제를 첨가할 수 있다. 각종 배합제로는, 광학 필름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가소제, 활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염료나 안료 등의 착색제, 근적외선 흡수제, 형광 증백제 등의 배합제, 충전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헤이즈가 10 % 이하이고, 외관 검사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으면, 무색 투명이어도 되고 착색 투명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헤이즈가 10 % 이하이다. 전술한 안티 블로킹성 및 외관 검사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의 헤이즈는, 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의 헤이즈는, JIS K 7136 의 규정에 준거하여 측정되며, 구체적인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 필름의 헤이즈는, 예를 들어, 보호 필름에 함유되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상기의 종류나 함유량 등에 따라 조정한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전술한 안티 블로킹성 및 외관 검사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다. 보호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은, JIS K 7361-1 의 규정에 준거하여 측정되며, 구체적인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어, 보호 필름에 함유되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상기의 종류나 함유량 등에 따라 조정한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투명 필름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표면 조도 Ra (산술 평균 높이) 는, 전술한 안티 블로킹성 및 외관 검사의 관점에서, 당해 표면 조도 Ra 는, 바람직하게는 7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 이하이다. 보호 필름의 표면 조도 Ra 는, JIS R 1683 의 규정에 준거하여 측정되며, 구체적인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 필름의 표면 조도 Ra 는, 예를 들어, 보호 필름에 함유되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상기의 종류나 함유량 등에 따라 조정한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투명 필름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표면 조도 Rz (최대 높이) 는, 전술한 안티 블로킹성 및 외관 검사의 관점에서, 당해 표면 조도 Rz 는, 바람직하게는 47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 ㎚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2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 ㎚ 이하이다. 보호 필름의 표면 조도 Rz 는, JIS R 1683 의 규정에 준거하여 측정되며, 구체적인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 필름의 표면 조도 Rz 는, 예를 들어, 보호 필름에 함유되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상기의 종류나 함유량 등에 따라 조정한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슬립성의 관점에서, 투명 필름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정마찰 계수가,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보호 필름의 정마찰 계수는, ASTM-D-1894 의 규정에 준거하여 측정되며, 구체적인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 필름의 정마찰 계수는, 예를 들어, 보호 필름에 함유되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상기의 종류나 함유량 등에 따라 조정한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의 두께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전술한 안티 블로킹성 및 외관 검사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20 ∼ 300 ㎛ 가 바람직하고, 30 ∼ 20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의 중합 용액과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혼합하고, 고온, 감압 조건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용융 상태의 혼합물을 얻는다. 이 혼합물을 압출하여 펠릿을 제조한다. 그리고, 이 펠릿을 사용하여, T 다이법이나 캘린더법에 의해 소정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20 ∼ 300 ㎛ 의 보호 필름을 성형할 수 있다. 단, 제조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고리형 올레핀 수지에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용융 혼련하여 첨가하고 나서 펠릿을 제조해도 된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당해 수지 조성물의 2 축 연신에 의해 형성된다. 2 축 연신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미연신의 상기 수지 조성물의 필름을 MD (기계 흐름 방향) 및 TD (MD 에 직교하는 방향) 로 연신함으로써 형성된다. 2 축 연신함으로써, 미연신의 보호 필름과 비교하여, 인성이 높아 필름 단체에서의 균열을 억제할 수 있다.
2. 점착층 부착 보호 필름
본 발명의 점착층 부착 보호 필름은, 도 2 의 모식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보호 필름 (1) 의 투명 필름측 (즉, 투명 필름과 적층되는 측) 의 표면에, 적어도 점착층 (2) 이 적층된 적층체이다. 보호 필름의 상세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점착층은, 투명성을 갖는 점착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점착제는, 보호 필름을 투명 필름으로부터 박리 가능하도록, 이들을 밀착시키는 층이다. 점착제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비닐에테르,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코폴리머, 변성 폴리올레핀, 에폭시계, 불소계,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등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젖음성, 응집성 및 접착성 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고,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도 우수하다는 점에서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점착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박리 라이너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 후, 보호 필름에 전사하는 방법 (전사법), 보호 필름에, 직접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 건조시키는 방법 (직사법) 이나 공압출에 의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제, 가소제, 충전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실란 커플링제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도 있다.
점착층의 두께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 ∼ 1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5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35 ㎛ 이다.
3.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
본 발명의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은, 도 3 의 모식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보호 필름 (1) 의 투명 필름측 (즉, 투명 필름과 적층되는 측) 의 표면에, 적어도 점착층 (2) 과,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 (3) 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이다. 보호 필름 및 점착층의 상세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EL 표시 장치,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 등으로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공지된 점착층과 함께, 공지된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에 적용되어, 당해 투명 필름을 보호할 수 있다.
투명 필름에 함유되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술한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또, 투명 필름에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에 더하여, 전술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추가로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투명 필름의 두께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 ∼ 1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 5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 40 ㎛ 이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에 있어서, 보호 필름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의 제조, 유통 과정 등에 있어서, 투명 필름을 보호하기 위해 점착층과 함께 적층되어 있고, 투명 필름을 광학 필름 등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점착층과 함께 투명 필름으로부터 박리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2
<보호 필름의 제조>
φ32 ㎜ 단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로서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폴리플라스틱스 주식회사 제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서 셉톤 시리즈 (주식회사 쿠라레 제조) 를,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 및 스티렌 엘라스토머 중의 스티렌 함유량이, 각각 표 1 의 값이 되도록 하여 혼련 (스크루 회전수 150 rpm) 하면서, 코트 행거 다이 (300 ㎜ 폭, 갭 1.3 ㎜) 로부터 압출 (압출 온도 310 ℃, 토출량 20 ㎏/hr) 하고, 롤에 권취하여, 두께가 80 ㎛ 인 각 보호 필름을 얻었다.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의 제조>
얻어진 각 보호 필름의 편면 (표면 조도 Ra, Rz, 및 정마찰 계수를 측정한 면과 반대측의 면) 에, 하기 아크릴계 점착제 (아크릴 점착 : 닛폰 합성 화학 공업 제조 아크릴계 점착제 코포닐 N-4900 을 100 중량부에 대해, 에폭시계 가교제 (미츠비시 가스 화학 제조「테트래드 C」) 1 중량부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로 하였다) 를 건조 후의 두께가 25 ㎛ 가 되도록 도공기로 도포하고, 건조시켜 점착층 부착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의 점착층 부착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층측과, 시클로올레핀계 투명 필름 (닛폰 제온사 제조의 상품명 ZF-14, 두께 50 ㎛) 을, 닙 롤을 사용하여 적층하여,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을 얻었다.
<전광선 투과율>
상기에서 얻어진 각 보호 필름을 시험편으로 하고, JIS K 7361-1 의 규정에 준거하여, 보호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전광선 투과율의 측정에는, 헤이즈미터 NDH5000 (닛폰 전색 공업 (주) 제조) 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헤이즈>
상기에서 얻어진 각 보호 필름을 시험편으로 하고, JIS K 7136 의 규정에 준거하여, 보호 필름의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헤이즈의 측정에는, 헤이즈미터 NDH5000 (닛폰 전색 공업 (주) 제조) 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표면 조도 Ra, Rz>
상기에서 얻어진 각 보호 필름을 시험편으로 하고, JIS R 1683 의 규정에 준거하여, 표면 조도 Ra (산술 평균 높이) 및 표면 조도 Rz (최대 높이) 를 각각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표면 조도 Ra, Rz 의 측정에는, 각각 주사형 프로브 현미경 SPM-9600 (시마즈 제작소) 을 사용하여, 보호 필름의 측정 대상으로 하는 표면에 대해, 50 ㎛ × 50 ㎛ 의 영역 내에서의 산술 평균 높이, 최대 높이를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정마찰 계수>
상기에서 얻어진 각 보호 필름을 시험편으로 하고, ASTM-D-1894 의 규정에 준거하여 정마찰 계수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정마찰 계수의 측정에는, 표면성 측정기 트라이보 기어 HEIDON14FW (신토 과학 (주) 제조) 를 사용하였다. 시험편을 이동 테이블에 고정시키고, 보호 필름의 대면끼리를 미끄러지게 하였을 때의 시험력 (하중) 을 계측하고, 하기 식으로부터 마찰 계수를 산출하였다. 측정 조건은, 평판 압자 63.5 × 63.5 ㎜, 하중 200 gf, 표면 압력 0.49 ㎪, 속도 5.0 ㎜/sec, 이동 거리 50 ㎜ 로 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정마찰 계수 : μs = 피크 시험력/추 동마찰 계수 : μk = 평균 시험력/추
<안티 블로킹성의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각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을 준비하고, 보호 필름측과 투명 필름측을 겹쳐 유리판 위에 설치하여 시험 샘플로 하였다 (투명 필름측을 유리판측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시험 샘플을 보호 필름 위에서부터 손가락으로 누르고, 손가락을 뗀 직후의 보호 필름과 투명 필름 계면의 워터 마크의 발현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시험 샘플에 있어서는, 중첩한 계면에 에어 갭 (클리어런스) 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안티 블로킹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판정 기준)
A : 육안으로 판별 가능한 크기의 워터 마크가 발현되지 않았다.
B : 육안으로 판별 가능한 크기의 워터 마크가 발현되지만, 10 초 이내에 소실되었다.
C : 육안으로 판별 가능한 크기의 워터 마크가 발현되었다.
<외관 검사>
상기에서 얻어진 각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을 사용하여, 투명 필름의 외관 검사를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하여, 보호 필름이 적층된 상태에서 투명 필름의 외관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판정 기준은 이하와 같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검사 방법)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을 삼파장 형광등 투과광하에서 외관 검사를 실시하였다.
(판정 기준)
A : 상기 검사 방법으로 투명 필름의 0.1 ㎟ 의 이물질, 흠집, 오염 등의 외관 결점을 검사할 수 있는 것.
C : 상기 검사 방법으로 투명 필름의 0.1 ㎟ 의 이물질, 흠집, 오염 등의 외관 결점을 검사할 수 없는 것.
Figure 112019116397797-pat00001
1 : 보호 필름
2 : 점착층
3 : 투명 필름
20 : 점착층 부착 보호 필름
30 :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

Claims (5)

  1.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에 적층되어, 상기 투명 필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박리 가능한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보호 필름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투명 필름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표면 조도 Ra 가 7 ㎚ 이상 50 ㎚ 이하이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투명 필름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표면 조도 Rz 가 47 ㎚ 이상 250 ㎚ 이하이고,
    상기 보호 필름은, 헤이즈가 10 % 이하인, 보호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에 함유되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20 질량% 미만인, 보호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스티렌 함유량이 15 질량% 이상인, 보호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호 필름의 상기 투명 필름측의 표면에, 적어도 점착층이 적층되어 있는, 점착층 부착 보호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호 필름의 상기 투명 필름측의 표면에, 적어도 점착층과,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
KR1020190144942A 2018-12-26 2019-11-13 보호 필름, 점착층 부착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 KR102385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43546A JP6553800B1 (ja) 2018-12-26 2018-12-26 保護フィルム、粘着層付き保護フィルム、及び保護フィルム付き透明フィルム
JPJP-P-2018-243546 2018-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128A KR20200080128A (ko) 2020-07-06
KR102385275B1 true KR102385275B1 (ko) 2022-04-08

Family

ID=67473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942A KR102385275B1 (ko) 2018-12-26 2019-11-13 보호 필름, 점착층 부착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53800B1 (ko)
KR (1) KR102385275B1 (ko)
CN (1) CN111381298A (ko)
TW (1) TWI748289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6048A (ja) * 2004-02-09 2004-06-03 Polyplastics Co 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フィルム
JP2004162048A (ja) 2002-10-25 2004-06-10 Mitsubishi Chemicals Corp 離型剤および離型シート
WO2006035684A1 (ja) 2004-09-29 2006-04-06 Toray Industries, Inc. 積層フィルム
JP2013029792A (ja) 2011-07-29 2013-02-07 Fujifilm Corp 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7022786A1 (ja) * 2015-08-06 2017-02-09 東レ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および粘着フィルムロ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2927A (ja) 2002-01-24 2003-07-30 Jsr Corp 光学透明材料およびその用途
JP4701750B2 (ja) * 2005-03-02 2011-06-15 東レ株式会社 偏光板保護用積層フィルム
JP2008221560A (ja) * 2007-03-12 2008-09-25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
JP5615675B2 (ja) * 2010-11-19 2014-10-29 グンゼ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GB201104565D0 (en) * 2011-03-17 2011-05-04 Dupont Teijin Films Us Ltd Polyester films
CN103245981B (zh) * 2012-02-14 2017-03-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层叠体、偏振片和图像显示装置
JP2015055796A (ja) * 2013-09-12 2015-03-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EP3088178A4 (en) * 2013-12-25 2017-08-09 Zeon Corporation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film
JP6424033B2 (ja) * 2014-07-15 2018-11-14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フィルム
TWI581039B (zh) * 2016-06-03 2017-05-0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膜片組及防止黏片的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2048A (ja) 2002-10-25 2004-06-10 Mitsubishi Chemicals Corp 離型剤および離型シート
JP2004156048A (ja) * 2004-02-09 2004-06-03 Polyplastics Co 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フィルム
WO2006035684A1 (ja) 2004-09-29 2006-04-06 Toray Industries, Inc. 積層フィルム
JP2013029792A (ja) 2011-07-29 2013-02-07 Fujifilm Corp 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7022786A1 (ja) * 2015-08-06 2017-02-09 東レ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および粘着フィルムロ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128A (ko) 2020-07-06
JP6553800B1 (ja) 2019-07-31
TW202023822A (zh) 2020-07-01
CN111381298A (zh) 2020-07-07
TWI748289B (zh) 2021-12-01
JP2020105285A (ja)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0368B (zh) 表面保護膜
TWI431329B (zh) A surface protective film and an optical film with a surface protective film
KR102116225B1 (ko)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7014089A1 (ja) 透明な粘着剤層を有する透明導電層付カバー部材
KR101775193B1 (ko) 성형용 필름 및 성형 전사박
JP6251111B2 (ja) 両面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画面用の保護部材
TWI614119B (zh) 熱收縮性膜
KR20130000358A (ko) 광학용 양면 감압 점착 시트
KR20130002288A (ko) 광학용 양면 감압 점착 시트, 광학 부재, 터치 패널, 화상 표시 장치, 및 분리 방법
TW201734517A (zh) 光學用黏著片材、附黏著劑層之偏光膜及液晶顯示裝置
KR101332315B1 (ko) 고점착성 메탈로센 보호 필름
JP6743377B2 (ja) 離型フィルム付粘着物品の製造方法、及び光学装置構成用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20087841A (ko) 이형 필름 접합 양면 점착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JP4855093B2 (ja) 表面保護用フィルム基材、ならびに、表面保護用粘着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28985B2 (ja) 画像表示装置用シート、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329641B1 (ko) 이형성이 개선된 자기점착성 보호필름 및 이를 부착한 물품
KR102385275B1 (ko) 보호 필름, 점착층 부착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 부착 투명 필름
JP2017137469A (ja) 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型転写箔
WO2020067220A1 (ja) 透明粘着フィルム
JP2020105479A (ja) 保護フィルム、粘着層付き保護フィルム、及び保護フィルム付き透明フィルム
JP2007169466A (ja) 剥離ライナー
TWI782064B (zh) 保護膜層合體及機能性薄膜
CN111548749B (zh) 透明导电性膜和触摸面板
JP5937910B2 (ja) 粘着シート基材用樹脂フィルム及び粘着シート
KR20190063778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자기점착 보호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