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758B1 - 결함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결함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758B1
KR102369758B1 KR1020217010535A KR20217010535A KR102369758B1 KR 102369758 B1 KR102369758 B1 KR 102369758B1 KR 1020217010535 A KR1020217010535 A KR 1020217010535A KR 20217010535 A KR20217010535 A KR 20217010535A KR 102369758 B1 KR102369758 B1 KR 102369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efect inspection
cover
defect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3007A (ko
Inventor
료코 스에마츠
게이타 이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3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6Optical defects in or on transparent materials, e.g. distortion, surface flaws in conveyed flat sheet or 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14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2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결함 검사 시스템은, 긴 띠 형상의 필름을 반송하는 반송 라인과, 반송 라인에 의해 반송되는 필름의 결함 검사를 행하는 결함 검사 장치와, 결함 검사 결과에 기초한 결함 정보를 반송 라인에 의해 반송되는 필름(F105)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13)를 포함하고, 기록 장치(13)는, 필름(F105)의 단부 가장자리부를 따른 기록 영역(S)에 잉크(i)를 토출시킴으로써 결함 정보를 인자하는 인자 헤드(13a)와, 필름(F105)에 있어서의 적어도 기록 영역(S)보다 내측의 영역에 잉크(i)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30)를 갖는다.

Description

결함 검사 시스템{DEFECT INSPECTION SYSTEM}
본 발명은 결함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3년 6월 12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3-124040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예컨대,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은, 이물 결함이나 요철 결함 등의 결함 검사를 행한 후, 심재 둘레에 권취된다. 결함의 위치나 종류에 관한 정보(이하, 결함 정보라고 함)는, 광학 필름의 단부에 바코드를 인자(印字)하거나, 결함 부위에 마킹을 실시함으로써, 광학 필름에 기록된다. 심재에 권취된 광학 필름은, 권취량이 일정량에 도달하면, 상류측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분리되어, 원반(原反)롤로서 출하된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광학 필름의 반송 라인 상에, 결함 검사 장치와, 결함 정보를 필름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를 구비한 결함 검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제2011-7779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결함 검사 시스템에서는, 결함 정보를 광학 필름에 기록할 때에, 인자 헤드로부터 토출된 잉크가 주위로 비산함으로써, 광학 필름을 오염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 광학 필름의 오염은, 광학 필름의 수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의 하나로 되어 있다.
결함 검사 시스템에서는, 광학 필름과 인자 헤드 사이의 거리가 넓어질수록 잉크의 비산에 의한 영향이 크다. 그러나, 광학 필름과 인자 헤드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것은, 인자 사이즈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거리를 안이하게 조정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양태는,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결함 정보를 필름에 기록할 때의 잉크의 비산에 의한 필름의 오염을 방지한 결함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결함 검사 시스템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다.
(1)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결함 검사 시스템은, 긴 띠 형상의 필름을 반송하는 반송 라인과, 상기 반송 라인에 의해 반송되는 필름의 결함 검사를 행하는 결함 검사 장치와, 상기 결함 검사 결과에 기초한 결함 정보를 상기 반송 라인에 의해 반송되는 필름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필름의 단부 가장자리부를 따른 기록 영역에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결함 정보를 인자하는 인자 헤드와, 상기 필름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기록 영역보다 내측의 영역에 잉크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2) 상기 (1)의 양태에서는, 상기 커버는, 상기 필름과 상기 인자 헤드가 대향하는 공간 중, 적어도 상기 필름의 내측에 면하는 측을 덮는 제1 측판부를 가져도 좋다.
(3) 상기 (2)의 양태에서는, 상기 커버는, 상기 공간 중, 상기 필름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면하는 측을 덮는 제2 측판부와, 상기 필름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면하는 측을 덮는 제3 측판부를 가져도 좋다.
(4) 상기 (3)의 양태에서는, 상기 커버는, 상기 공간 중, 상기 필름의 외측에 면하는 측을 덮는 제4 측판부를 가져도 좋다.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일 항의 양태에서는, 상기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필름과 대향하는 면과, 상기 필름의 표면 사이의 간격이 1 ㎜ 이하여도 좋다.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일 항의 양태에서는, 상기 커버는, 상기 인자 헤드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도 좋다.
(7) 상기 (1)의 양태에서는, 상기 커버는 상기 필름에 근접한 상태로 상기 필름에 대향하여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기록 영역에 면한 위치에 창부를 가져도 좋다.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일 항의 양태에서는, 결함 검사 시스템은, 상기 필름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기록 장치보다 상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필름의 표면을 제전(除電)하는 정전기 제거 장치를 구비해도 좋다.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결함 정보를 필름에 기록할 때의 잉크의 비산에 의한 필름의 오염을 방지한 결함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액정 표시 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에 도시한 액정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광학 필름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필름 제조 장치 및 결함 검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a는 필름의 상방측에서 커버의 일례를 본 평면도이다.
도 5b는 필름의 상류측에서 커버의 일례를 본 측면도이다.
도 5c는 필름의 외측에서 커버의 일례를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커버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a는 커버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b는 커버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a는 커버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b는 커버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학 표시 디바이스의 생산 시스템으로서, 그 일부를 구성하는 필름 제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필름 제조 장치는, 예컨대 액정 표시 패널이나 유기 EL 표시 패널 등과 같은 패널형의 광학 표시 부품(광학 표시 패널)에 접합된다, 예컨대 편광 필름이나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과 같은 필름형의 광학 부재(광학 필름)를 제조하는 장치이다. 필름 제조 장치는, 이러한 광학 표시 부품이나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디바이스를 생산하는 생산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학 표시 디바이스로서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백라이트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을 액정 표시 패널의 이면측으로부터 입사하고, 액정 표시 패널에 의해 변조된 광을 액정 표시 패널의 표면측으로부터 출사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학 표시 디바이스)
먼저, 광학 표시 디바이스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액정 표시 패널(P)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액정 표시 패널(P)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에 나타낸 절단선 A-A에 의한 액정 표시 패널(P)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 2에서는, 단면을 나타내는 해칭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액정 표시 패널(P)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P1)과, 제1 기판(P1)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기판(P2)과, 제1 기판(P1)과 제2 기판(P2)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P3)을 구비하고 있다.
제1 기판(P1)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투명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제2 기판(P2)은, 제1 기판(P1)보다 비교적 소형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투명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제1 기판(P1)과 제2 기판(P2) 사이의, 액정층(P3) 주위는 시일재(도시하지 않음)로 밀봉되어 있다. 액정층(P3)은, 시일재에 의해 둘러싸인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액정 표시 패널(P)에서는, 평면에서 보아 액정층(P3)의 외주의 내측에 들어가는 영역을 표시 영역(P4)으로 하고, 이 표시 영역(P4)의 주위를 둘러싸는 외측의 영역을 액자부(G)로 한다.
액정 표시 패널(P)의 이면(백라이트측)에는, 편광 필름으로서의 제1 광학 필름(F11)이 접합되어 있다. 액정 표시 패널(P)의 표면(표시면측)에는, 편광 필름으로서의 제2 광학 필름(F12)과, 이 제2 광학 필름(F12)에 겹쳐져 휘도 향상 필름으로서의 제3 광학 필름(F13)이 접합되어 있다. 이하, 제1, 제2 및 제3 광학 필름(F11, F12, F13)을 광학 필름(F1X)이라고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
(광학 필름)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광학 필름(F1X)을 구성하는 광학 시트(FX)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광학 시트(FX)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한편, 도 3에서는, 단면을 나타내는 해칭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광학 필름(F1X)은, 도 3에 도시된 긴 띠 형상의 광학 시트(FX)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의 시트편을 잘라냄으로써 얻어진다. 구체적으로, 이 광학 시트(FX)는, 기재(基材) 시트(F4)와, 기재 시트(F4)의 한쪽 면(도 3 중의 상면)에 형성된 점착층(F5)과, 점착층(F5)을 통해 기재 시트(F4)의 한쪽 면에 형성된 세퍼레이터 시트(F6)와, 기재 시트(F4)의 다른쪽 면(도 3 중의 하면)에 형성된 표면 보호 시트(F7)를 갖는다.
기재 시트(F4)는, 예컨대 편광 필름의 경우, 편광자(F4a)를 한 쌍의 보호 필름(F4b, F4c) 사이에 끼고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점착층(F5)은, 기재 시트(F4)를 액정 표시 패널(P)에 접착하기 위한 층이다. 세퍼레이터 시트(F6)는, 점착층(F5)을 보호하기 위한 시트이다. 세퍼레이터 시트(F6)는, 광학 시트(FX)로부터 시트편[광학 필름(F1X)]을 잘라낼 때에 점착층(F5)으로부터 박리된다. 이하, 광학 필름(F1X)으로부터 세퍼레이터 시트(F6)를 제외한 부분[광학 필름(F1X)이 되는 부분]을 접합 시트(F8)라고 한다. 표면 보호 시트(F7)는, 기재 시트(F4)의 표면을 보호하는 시트이다. 표면 보호 시트(F7)는, 기재 시트(F4)가 액정 표시 패널(P)에 접착된 후에, 기재 시트(F4)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된다.
한편, 기재 시트(F4)에 대해서는, 한 쌍의 보호 필름(F4b, F4c) 중 어느 한쪽을 생략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컨대, 점착층(F5)측의 보호 필름(F4b)을 생략하여, 편광자(F4a)에 점착층(F5)이 직접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표면 보호 시트(F7)측의 보호 필름(F4c)에는, 예컨대, 액정 표시 패널(P)의 최외면을 보호하는 하드 코트 처리나, 방현(防眩) 효과가 얻어지는 안티글레어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기재 시트(F4)에 대해서는, 전술한 적층 구조의 것에 한하지 않고, 단층 구조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표면 보호 시트(F7)에 대해서는,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름 제조 장치)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필름 제조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필름 제조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필름 제조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편광 필름이 되는 긴 띠 형상의 제1 필름(F101)의 한쪽 면에, 표면 보호 필름이 되는 긴 띠 형상의 제2 필름(F102)을 접합한 후, 제1 필름(F101)의 다른쪽 면에 표면 보호 필름이 되는 긴 띠 형상의 제3 필름(F103)을 접합함으로써, 제1 필름(F101)의 양면에 제2 필름(F102) 및 제3 필름(F103)이 접합된 광학 필름(F10X)를 제조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이 필름 제조 장치(100)는, 제1 반송 라인(101)과, 제2 반송 라인(102)과, 제3 반송 라인(103)과, 제4 반송 라인(104)과, 제5 반송 라인(105)과, 권취부(10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반송 라인(101)은, 제1 필름(F101)을 반송하는 반송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제2 반송 라인(102)은, 제1 원반롤(R1)로부터 풀어진 제2 필름(F102)을 반송하는 반송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제3 반송 라인(103)은, 제1 필름(F101)의 한쪽 면에 제2 필름(F102)이 접합된 편면(片面) 접합 필름(F104)을 반송하는 반송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제4 반송 라인(104)은, 제2 원반롤(R2)로부터 풀어진 제3 필름(F103)을 반송하는 반송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제5 반송 라인(105)은, 편면 접합 필름(F104)의 제1 필름(F101)측의 면[제1 필름(F101)의 다른쪽 면]에 제3 필름(F103)이 접합된 양면 접합 필름(F105)[광학 필름(F10X)]을 반송하는 반송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제조된 광학 필름(F10X)은, 권취부(106)에 있어서, 제3 원반롤(R3)로서 심재에 권취된다.
제1 반송 라인(101)은, 예컨대, PVA(Polyvinyl Alcohol) 등의 편광자의 기재가 되는 필름에 대해, 염색 처리나 가교 처리, 연신 처리 등을 실시한 후, 그 양면에 TAC(Triacetylcellulose) 등의 보호 필름을 접합함으로써 얻어진 긴 띠 형상의 제1 필름(F101)을 제3 반송 라인(103)을 향해 반송시키는 라인이다.
구체적으로, 이 제1 반송 라인(101)에는, 제3 반송 라인(103)의 상류측을 사이에 둔 한쪽측으로부터 제3 반송 라인(103)을 향해, 한 쌍의 제1 닙롤(111a, 111b)과, 복수의 제1 댄서롤(112a, 112b)을 포함하는 제1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112)와, 제1 가이드롤(113)이, 수평 방향으로 순차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닙롤(111a, 111b)은, 그 사이에 제1 필름(F101)을 끼고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4 중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우측 방향)으로 제1 필름(F101)을 인출하는 롤이다.
제1 어큐뮬레이터(112)는, 제1 필름(F101)의 이송량의 변동에 의한 차를 흡수하고, 제1 필름(F101)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동을 저감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이 제1 어큐뮬레이터(112)는, 제1 닙롤(111a, 111b)과 제1 가이드롤(113) 사이에서, 상부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댄서롤(112a)과, 하부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댄서롤(112b)이 교대로 나란히 배치된 구성을 갖고 있다.
제1 어큐뮬레이터(112)에서는, 상부측의 제1 댄서롤(112a)과 하부측의 제1 댄서롤(112b)에 제1 필름(F101)이 번갈아 걸쳐진 상태로, 제1 필름(F101)을 반송시키면서, 상부측의 제1 댄서롤(112a)과 하부측의 제1 댄서롤(112b)을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승강 동작시킨다. 이에 의해, 제1 반송 라인(101)을 정지하지 않고, 제1 필름(F101)을 축적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예컨대, 제1 어큐뮬레이터(112)에서는, 상부측의 제1 댄서롤(112a)과 하부측의 제1 댄서롤(112b) 사이의 거리를 넓힘으로써, 제1 필름(F101)의 축적량을 늘릴 수 있다. 한편, 제1 어큐뮬레이터(112)에서는, 상부측의 제1 댄서롤(112a)과 하부측의 제1 댄서롤(112b) 사이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제1 필름(F101)의 축적량을 줄일 수 있다. 제1 어큐뮬레이터(112)는, 예컨대, 원반롤(R1∼R3)의 심재를 교환한 후의 스플라이싱(splicing) 등의 작업시에 가동된다.
제1 가이드롤(113)은, 회전하면서, 제1 닙롤(111a, 111b)에 의해 인출된 제1 필름(F101)을 제3 반송 라인(103)의 상류측을 향해 안내하는 롤이다. 한편, 제1 가이드롤(113)은, 하나만 배치된 구성에 한하지 않고 복수 배치된 구성이어도 좋다.
제2 반송 라인(102)은, 예컨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표면 보호 필름이 되는 긴 띠 형상의 제2 필름(F102)을 제1 원반롤(R1)로부터 풀어내면서, 제3 반송 라인(103)을 향해 반송시키는 라인이다.
구체적으로, 이 제2 반송 라인(102)에는, 제3 반송 라인(103)의 상류측을 사이에 둔 다른쪽측으로부터 제3 반송 라인(103)을 향해, 한 쌍의 제2 닙롤(121a, 121b)과, 복수의 제2 댄서롤(122a, 122b)을 포함하는 제2 어큐뮬레이터(122)와, 복수의 제2 가이드롤(123a, 123b)이, 수평 방향으로 순차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닙롤(121a, 121b)은, 그 사이에 제2 필름(F102)을 끼고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4 중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좌측 방향)으로 제2 필름(F102)을 인출하는 롤이다.
제2 어큐뮬레이터(122)는, 제2 필름(F102)의 이송량의 변동에 의한 차를 흡수하고, 제2 필름(F102)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동을 저감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이 제2 어큐뮬레이터(122)는, 제2 닙롤(121a, 121b)과 제2 가이드롤(123a) 사이에서, 상부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댄서롤(122a)과, 하부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댄서롤(122b)이 교대로 나란히 배치된 구성을 갖고 있다.
제2 어큐뮬레이터(122)에서는, 상부측의 제2 댄서롤(122a)과 하부측의 제2 댄서롤(122b)에 제2 필름(F102)이 번갈아 걸쳐진 상태로, 제2 필름(F102)을 반송시키면서, 상부측의 제2 댄서롤(122a)과 하부측의 제2 댄서롤(122b)을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승강 동작시킨다. 이에 의해, 제2 반송 라인(102)을 정지하지 않고, 제2 필름(F102)을 축적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예컨대, 제2 어큐뮬레이터(122)에서는, 상부측의 제2 댄서롤(122a)과 하부측의 제2 댄서롤(122b) 사이의 거리를 넓힘으로써, 제2 필름(F102)의 축적량을 늘릴 수 있다. 한편, 제2 어큐뮬레이터(122)에서는, 상부측의 제2 댄서롤(122a)과 하부측의 제2 댄서롤(122b) 사이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제2 필름(F102)의 축적량을 줄일 수 있다. 제2 어큐뮬레이터(122)는, 예컨대, 원반롤(R1∼R3)의 심재를 교환한 후의 스플라이싱 등의 작업시에 가동된다.
복수의 제2 가이드롤(123a, 123b)은, 각각 회전하면서 제2 닙롤(121a, 121b)에 의해 인출된 제2 필름(F102)을 제3 반송 라인(103)의 상류측을 향해 안내하는 롤이다. 한편, 제2 가이드롤(123a, 123b)은, 복수 배치된 구성에 한하지 않고 하나만 배치된 구성이어도 좋다.
제3 반송 라인(103)은, 제1 필름(F101)의 한쪽 면에 제2 필름(F102)을 접합한 긴 띠 형상의 편면 접합 필름(F104)을 제5 반송 라인(105)을 향해 반송시키는 라인이다.
구체적으로, 이 제3 반송 라인(103)에는, 한 쌍의 제3 닙롤(131a, 131b)이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3 닙롤(131a, 131b)은, 제1 반송 라인(101)의 하류측과 제2 반송 라인(102)의 하류측의 합류점에 위치한다. 한 쌍의 제3 닙롤(131a, 131b)은, 그 사이에 제1 필름(F101) 및 제2 필름(F102)을 끼고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필름(F101)과 제2 필름(F102)을 접합한다. 한 쌍의 제3 닙롤(131a, 131b)은, 제1 필름(F101)과 제2 필름(F102)이 접합된 편면 접합 필름(F104)을 도 4 중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하측 방향)으로 인출한다.
제4 반송 라인(104)은, 예컨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표면 보호 필름이 되는 긴 띠 형상의 제3 필름(F103)을 제2 원반롤(R2)로부터 풀어내면서, 제5 반송 라인(105)을 향해 반송시키는 라인이다.
구체적으로, 이 제4 반송 라인(104)에는, 제3 반송 라인(103)의 하류측을 사이에 둔 한쪽측으로부터 제3 반송 라인(103)을 향해, 한 쌍의 제4 닙롤(141a, 141b)과, 복수의 제3 댄서롤(142a, 142b)을 포함하는 제3 어큐뮬레이터(142)와, 복수의 제4 가이드롤(143a, 143b)이, 수평 방향으로 순차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4 닙롤(141a, 141b)은, 그 사이에 제3 필름(F103)을 끼고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4 중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우측 방향)으로 제3 필름(F103)을 인출하는 롤이다.
제3 어큐뮬레이터(142)는, 제3 필름(F103)의 이송량의 변동에 의한 차를 흡수하고, 제3 필름(F103)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동을 저감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이 제3 어큐뮬레이터(142)는, 제4 닙롤(141a, 141b)과 제4 가이드롤(143a) 사이에서, 상부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3 댄서롤(142a)과, 하부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3 댄서롤(142b)이 교대로 나란히 배치된 구성을 갖고 있다.
제3 어큐뮬레이터(142)에서는, 상부측의 제3 댄서롤(142a)과 하부측의 제3 댄서롤(142b)에 제3 필름(F103)이 번갈아 걸쳐진 상태로, 제3 필름(F103)을 반송시키면서, 상부측의 제3 댄서롤(142a)과 하부측의 제3 댄서롤(142b)을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승강 동작시킨다. 이에 의해, 제4 반송 라인(104)을 정지하지 않고, 제3 필름(F103)을 축적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예컨대, 제3 어큐뮬레이터(142)에서는, 상부측의 제3 댄서롤(142a)과 하부측의 제3 댄서롤(142b) 사이의 거리를 넓힘으로써, 제3 필름(F103)의 축적량을 늘릴 수 있다. 한편, 제3 어큐뮬레이터(142)에서는, 상부측의 제3 댄서롤(142a)과 하부측의 제3 댄서롤(142b) 사이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제3 필름(F103)의 축적량을 줄일 수 있다. 제3 어큐뮬레이터(142)는, 예컨대, 원반롤(R1∼R3)의 심재를 교환한 후의 스플라이싱 등의 작업시에 가동된다.
복수의 제4 가이드롤(143a, 143b)은, 각각 회전하면서 제4 닙롤(141a, 141b)에 의해 인출된 제3 필름(F103)을 제3 반송 라인(103)의 하류측[제5 반송 라인(105)의 상류측]을 향해 안내하는 롤이다. 한편, 제4 가이드롤(143a, 143b)은, 복수 배치된 구성에 한하지 않고 하나만 배치된 구성이어도 좋다.
제5 반송 라인(105)은, 편면 접합 필름(F104)의 제1 필름(F101)측의 면[제1 필름(F101)의 다른쪽 면]에 제3 필름(F103)을 접합한 긴 띠 형상의 양면 접합 필름(F105)[광학 필름(F10X)]을 제3 원반롤(R3)을 향해 반송시키는 라인이다.
구체적으로, 이 제5 반송 라인(105)에는, 제3 반송 라인(103)의 하류측을 사이에 둔 다른쪽측으로부터 제3 원반롤(R3)을 향해, 한 쌍의 제5 닙롤(151a, 151b)과, 제5 가이드롤(153a)과, 한 쌍의 제6 닙롤(151c, 151d)과, 복수의 제4 댄서롤(152a, 152b)을 포함하는 제4 어큐뮬레이터(152)와, 제6 가이드롤(153b)이, 수평 방향으로 순차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5 닙롤(151a, 151b)은, 제3 반송 라인(103)의 하류측과 제5 반송 라인(105)의 상류측의 합류점에 위치한다. 한 쌍의 제5 닙롤(151a, 151b)은, 그 사이에 편면 접합 필름(F104) 및 제3 필름(F103)을 끼고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편면 접합 필름(F104)과 제3 필름(F103)을 접합한다. 한 쌍의 제5 닙롤(151a, 151b)은, 편면 접합 필름(F104)과 제3 필름(F103)이 접합된 양면 접합 필름(F105)을 도 4 중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하측 방향)으로 인출한다.
제5 가이드롤(153a)은, 회전하면서, 제5 닙롤(151a, 151b)에 의해 인출된 양면 접합 필름(F105)을 제4 어큐뮬레이터(152)를 향해 안내하는 롤이다. 한편, 제5 가이드롤(153a)은, 하나만 배치된 구성에 한하지 않고 복수 배치된 구성이어도 좋다.
한 쌍의 제6 닙롤(151c, 151d)은, 그 사이에 양면 접합 필름(F105)을 끼고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4 중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우측 방향)으로 양면 접합 필름(F105)을 인출하는 롤이다.
제4 어큐뮬레이터(152)에서는, 상부측의 제4 댄서롤(152a)과 하부측의 제4 댄서롤(152b)에 양면 접합 필름(F105)이 번갈아 걸쳐진 상태로, 양면 접합 필름(F105)을 반송시키면서, 상부측의 제4 댄서롤(152a)과 하부측의 제4 댄서롤(152b)을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승강 동작시킨다. 이에 의해, 제5 반송 라인(105)을 정지하지 않고, 양면 접합 필름(F105)을 축적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예컨대, 제4 어큐뮬레이터(152)에서는, 상부측의 제4 댄서롤(152a)과 하부측의 제4 댄서롤(152b) 사이의 거리를 넓힘으로써, 양면 접합 필름(F105)의 축적량을 늘릴 수 있다. 한편, 제4 어큐뮬레이터(152)에서는, 상부측의 제4 댄서롤(152a)과 하부측의 제4 댄서롤(152b) 사이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양면 접합 필름(F105)의 축적량을 줄일 수 있다. 제4 어큐뮬레이터(152)는, 예컨대, 원반롤(R1∼R3)의 심재를 교환한 후의 스플라이싱 등의 작업시에 가동된다.
제6 가이드롤(153b)은, 양면 접합 필름(F105)을 제3 원반롤(R3)을 향해 안내하는 롤이다. 한편, 제6 가이드롤(153b)은, 하나만 배치된 구성에 한하지 않고 복수 배치된 구성이어도 좋다.
양면 접합 필름(F105)은, 권취부(106)에 있어서, 광학 필름(F10X)의 제3 원반롤(R3)로서 심재에 권취된 후, 다음 공정으로 보내진다.
(결함 검사 시스템)
다음으로, 상기 필름 제조 장치(100)가 구비하는 결함 검사 시스템(10)에 대해 설명한다.
결함 검사 시스템(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라인(L)과, 제1 결함 검사 장치(11) 및 제2 결함 검사 장치(12)와, 기록 장치(13)와, 제1 측장기(測長器; 14) 및 제2 측장기(15)와, 제어 장치(1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반송 라인(L)은, 검사 대상이 되는 필름을 반송하는 반송 경로를 형성하는 라인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반송 라인(101), 제3 반송 라인(103) 및 제5 반송 라인(105)에 의해 반송 라인(L)이 구성되어 있다.
제1 결함 검사 장치(11)는, 제2 필름(F102) 및 제3 필름(F103)이 접합되기 전의 제1 필름(F101)의 결함 검사를 행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이 제1 결함 검사 장치(11)는, 제1 필름(F101)을 제조할 때나, 제1 필름(F101)을 반송할 때에 생긴 이물 결함, 요철 결함, 휘점(輝点) 결함 등의 각종 결함을 검출한다. 제1 결함 검사 장치(11)는, 제1 반송 라인(101)에 의해 반송되는 제1 필름(F101)에 대해, 예컨대, 반사 검사, 투과 검사, 경사 투과 검사, 크로스 니콜 투과 검사 등의 검사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제1 필름(F101)의 결함을 검출한다.
제1 결함 검사 장치(11)는, 제1 반송 라인(101)에 있어서, 제1 닙롤(111a, 111b)보다 상류측에, 제1 필름(F101)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조명부(21a, 22a, 23a)와, 제1 필름(F101)을 투과한 광(투과광) 또는 제1 필름(F101)에서 반사된 광(반사광)을 검출하는 복수의 광검출부(21b, 22b, 23b)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과광을 검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1 필름(F101)의 반송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조명부(21a, 22a, 23a)와 광검출부(21b, 22b, 23b)가, 각각 제1 필름(F10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결함 검사 장치(11)에서는, 이러한 투과광을 검출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반사광을 검출하는 구성, 혹은 투과광 및 반사광을 검출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조명부(21a, 22a, 23a)는, 결함 검사의 종류에 따라 광 강도나 파장, 편광 상태 등이 조정된 조명광을 제1 필름(F101)에 조사한다. 광검출부(21b, 22b, 23b)는, CCD 등의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제1 필름(F101)의 조명광이 조사된 위치의 화상을 촬상한다. 광검출부(21b, 22b, 23b)에 의해 촬상된 화상(결함 검사 결과)은, 제어 장치(16)에 출력된다.
제2 결함 검사 장치(12)는, 제2 필름(F102) 및 제3 필름(F103)이 접합된 후의 제1 필름(F101), 즉 양면 접합 필름(F105)의 결함 검사를 행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이 제2 결함 검사 장치(12)는, 제1 필름(F101)에 제2 필름(F102) 및 제3 필름(F103)을 접합할 때나, 편면 접합 필름(F104) 및 양면 접합 필름(F105)을 반송할 때에 생긴 이물 결함, 요철 결함, 휘점 결함 등의 각종 결함을 검출한다. 제2 결함 검사 장치(12)는, 제5 반송 라인(105)에 의해 반송되는 양면 접합 필름(F105)에 대해, 예컨대, 반사 검사, 투과 검사, 경사 투과 검사, 크로스 니콜 투과 검사 등의 검사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양면 접합 필름(F105)의 결함을 검출한다.
제2 결함 검사 장치(12)는, 제5 반송 라인(105)에 있어서, 제6 닙롤(151c, 151d)보다 상류측에, 양면 접합 필름(F105)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조명부(24a, 25a)와, 양면 접합 필름(F105)을 투과한 광(투과광) 또는 양면 접합 필름(F105)에서 반사된 광(반사광)을 검출하는 복수의 광검출부(24b, 25b)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과광을 검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양면 접합 필름(F105)의 반송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조명부(24a, 25a)와 광검출부(24b, 25b)가, 각각 양면 접합 필름(F105)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결함 검사 장치(12)에서는, 이러한 투과광을 검출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반사광을 검출하는 구성, 혹은 투과광 및 반사광을 검출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조명부(24a, 25a)는, 결함 검사의 종류에 따라 광 강도나 파장, 편광 상태 등이 조정된 조명광을 양면 접합 필름(F105)에 조사한다. 광검출부(24b, 25b)는, CCD 등의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양면 접합 필름(F105)의 조명광이 조사된 위치의 화상을 촬상한다. 광검출부(24b, 25b)에 의해 촬상된 화상(결함 검사 결과)은, 제어 장치(16)에 출력된다.
기록 장치(13)는, 제1 결함 검사 장치(11) 및 제2 결함 검사 장치(12)의 결함 검사 결과에 기초한 결함 정보를 양면 접합 필름(F105)에 기록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결함 정보는, 결함의 위치나 종류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예컨대, 일차원 바코드, 이차원 바코드, QR 코드(등록 상표) 등의 식별 코드로서 기록된다. 식별 코드에는, 예컨대, 제1 결함 검사 장치(11) 및 제2 결함 검사 장치(12)에 의해 검출된 결함이, 식별 코드가 인자된 위치로부터 필름 폭 방향을 따라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결함의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식별 코드에는, 검출된 결함의 종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기록 장치(13)는, 제5 반송 라인(105)에 있어서, 제2 결함 검사 장치(12)보다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기록 장치(13)는, 예컨대 잉크젯 방식을 채용한 인자 헤드(13a)를 갖고 있다. 이 인자 헤드(13a)는, 양면 접합 필름(F105)의 폭 방향의 단부 가장자리부를 따른 위치(기록 영역)에 잉크를 토출하여, 상기 결함 정보의 인자를 행한다.
또한, 기록 장치(13)는, 양면 접합 필름(F105)의 결함 부위에, 결함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크기의 도트형, 라인형 또는 프레임형의 마크를 인자(마킹)함으로써, 결함 부위에 직접 기록을 행해도 좋다. 이때, 마크 외에도 결함의 종류를 나타내는 기호나 모양을 결함 부위에 인자함으로써, 결함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기록해도 좋다.
제1 측장기(14) 및 제2 측장기(15)는, 제1 필름(F101)의 반송량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반송 라인(101)에 있어서, 제1 어큐뮬레이터(112)보다 상류측에 있는 제1 닙롤(111a)에 제1 측장기(14)를 구성하는 로터리 인코더가 배치되고, 제1 어큐뮬레이터(112)보다 하류측에 있는 제3 닙롤(131a)에 제2 측장기(15)를 구성하는 로터리 인코더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측장기(14) 및 제2 측장기(15)는, 제1 필름(F101)에 접하여 회전하는 제1 닙롤(111a) 및 제3 닙롤(131a)의 회전 변위량에 따라, 로터리 인코더가 제1 필름(F101)의 반송량을 측정한다. 제1 측장기(14) 및 제2 측장기(15)의 측정 결과는, 제어 장치(16)에 출력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결함 검사 장치(11)와 기록 장치(13) 사이에, 어큐뮬레이터가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 어큐뮬레이터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측장기가 하나씩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1 결함 검사 장치(11)와 기록 장치(13) 사이에 어큐뮬레이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가장 상류측에 있는 어큐뮬레이터의 상류측과, 가장 하류측에 있는 어큐뮬레이터의 하류측에 측장기가 하나씩 배치된 구성으로 하면 된다.
제어 장치(16)는, 필름 제조 장치(100)의 각부를 통괄 제어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이 제어 장치(16)는, 전자 제어 장치로서의 컴퓨터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CPU 등의 연산 처리부와,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 등의 정보 기억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16)의 정보 기억부에는,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이나, 연산 처리부에 필름 제조 장치(100)의 각부에 각종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등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16)는, 필름 제조 장치(100)의 각부의 제어에 요하는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ASIC 등의 논리 회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제어 장치(16)는, 컴퓨터 시스템의 외부 장치와의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 인터페이스에는, 예컨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나,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 통신 장치 등이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 장치(16)는, 광검출부(21b, 22b, 23b) 및 광검출부(24b, 25b)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해석하여, 결함의 유무(위치)나 종류 등을 판별한다. 제어 장치(16)는, 제1 필름(F101)이나 양면 접합 필름(F105)에 결함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기록 장치(13)를 제어하여 양면 접합 필름(F105)에 결함 정보를 기록한다.
결함 검사 시스템(10)에서는, 양면 접합 필름(F105)의 결함 검사 위치와, 결함 정보의 정보 기록 위치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함 검사 후에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서 결함 정보의 기록을 행한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결함 검사 장치(11) 또는 제2 결함 검사 장치(12)에 의한 결함 검사가 행해진 시각 이후에, 반송 라인(L) 상에서 반송되는 필름의 반송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반송량이 오프셋 거리와 일치했을 때에, 기록 장치(13)에 의해 기록이 행해진다.
여기서, 오프셋 거리는, 제1 결함 검사 장치(11) 및 제2 결함 검사 장치(12)와, 기록 장치(13) 사이의 필름의 반송 거리를 말한다. 엄밀하게는, 오프셋 거리는, 제1 결함 검사 장치(11) 및 제2 결함 검사 장치(12)에 의해 결함 검사가 행해지는 위치(결함 검사 위치)와, 기록 장치(13)에 의해 결함 정보의 기록이 행해지는 위치(정보 기록 위치) 사이의 필름의 반송 거리로서 정의된다. 또한, 오프셋 거리는, 제1 어큐뮬레이터(112)를 가동시키면 변동한다.
제1 어큐뮬레이터(112)의 비가동시에 있어서의 오프셋 거리(이하, 제1 오프셋 거리라고 함)는, 미리 제어 장치(16)의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함 검사 장치(11) 및 제2 결함 검사 장치(12)에는, 복수의 광검출부(21b, 22b, 23b) 및 광검출부(24b, 25b)가 존재하고, 광검출부(21b, 22b, 23b, 24b, 25b)마다 결함 검사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제어 장치(16)의 정보 기억부에는, 광검출부(21b, 22b, 23b, 24b, 25b)마다 제1 오프셋 거리가 기억되어 있다.
제1 어큐뮬레이터(112)의 가동에 의해 오프셋 거리가 변동하는 경우에는, 제1 어큐뮬레이터(112)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제1 필름(F101)의 반송량의 차에 기초하여, 오프셋 거리의 보정값을 산출한다. 즉, 제어 장치(16)에서는, 제1 측장기(14) 및 제2 측장기(15)의 측정 결과로부터, 제1 어큐뮬레이터(112)에 의한 제1 필름(F101)의 축적량을 산출하고, 이 제1 필름(F101)의 축적량에 기초하여 오프셋 거리의 보정값을 산출한다.
결함 검사 시스템(10)에서는, 제1 어큐뮬레이터(112)의 가동시에, 오프셋 거리의 보정값에 기초하여, 기록 장치(13)가 결함 정보를 기록하는 타이밍을 보정한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측장기(14) 및 제2 측장기(15)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오프셋 거리의 보정값을 산출한다. 제어 장치(16)는, 이 보정값 및 제1 오프셋 거리에 기초하여, 제1 어큐뮬레이터(112)의 가동시에 있어서의 오프셋 거리(이하, 제2 오프셋 거리라고 함)를 산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측장기(14) 또는 제2 측장기(15)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1 결함 검사 장치(11) 및 제2 결함 검사 장치(12)에 의한 결함 검사가 행해진 시각 이후에, 반송 라인(L) 상에서 반송되는 필름의 반송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반송량이 제2 오프셋 거리와 일치했을 때에, 기록 장치(13)에 의해 기록이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어큐뮬레이터(112)의 가동시에, 결함 정보와는 별도로, 제1 어큐뮬레이터(112)가 가동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어큐뮬레이터 가동 정보라고 함)를 양면 접합 필름(F105)에 기록해도 좋다. 어큐뮬레이터 가동 정보를 기록한 경우에는, 어큐뮬레이터 가동 정보가 부여된 부분의 결함 부위를 오퍼레이터가 꼼꼼히 검사함으로써, 기록 위치의 어긋남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양품 부분을 잘못해서 결함 부위라고 판정할 가능성이 적어져, 수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의 기록 장치(13)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접합 필름(F105)의 적어도 기록 영역(S)보다 내측의 영역에 잉크(i)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5a는 커버(30)를 양면 접합 필름(F105)의 상방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b는 커버(30)를 양면 접합 필름(F105)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5c는 커버(30)를 양면 접합 필름(F105)의 외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이 커버(30)는, 양면 접합 필름(F105)과 인자 헤드(13a)가 대향하는 공간(K) 중, 양면 접합 필름(F105)의 내측에 면하는 측을 덮는 제1 측판부(30a)와, 양면 접합 필름(F105)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면하는 측을 덮는 제2 측판부(30b)와, 양면 접합 필름(F105)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면하는 측을 덮는 제3 측판부(30c)를 갖고 있다.
커버(30)는, 나사 고정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인자 헤드(13a)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커버(30)는, 공간(K) 중, 양면 접합 필름(F105)의 외측에 면하는 측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인자 헤드(13a)에 대한 착탈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커버(30)의, 양면 접합 필름(F105)과 대향하는 면과, 양면 접합 필름(F105)의 표면 사이의 간격(T)은 1 ㎜ 이하로 할 수 있다. 이 간격(T)을 1 ㎜ 이하로 함으로써, 인자 헤드(13a)로부터 토출된 잉크(i)가 주위로 비산했을 때에, 이 잉크(i)의 비산물이 커버(30)의 외측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수치는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잉크(i)의 비산물로서는, 인자 헤드(13a)로부터 토출된 잉크(i) 중, 예컨대 정보 기록 위치로부터 벗어나 주위로 비산한 잉크(i)나, 양면 접합 필름(F105)에 부착된 후에 주위로 비산한 잉크(i) 등이 있다.
기록 영역(S)은, 양면 접합 필름(F105)을 상기 액정 표시 패널(P)에 접합했을 때에, 이 액정 표시 패널(P)의 표시 영역(P4)과 겹쳐지는 영역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기록 영역(S)은, 상기 액정 표시 패널(P)에 접합하기 전 또는 접합한 후에 절단되어 제거되는 영역이다.
커버(30)를 구성하는 3개의 측판부(30a, 30b, 30c) 중, 제1 측판부(30a)는, 양면 접합 필름(F105)의 표시 영역(P4)과 겹쳐지는 영역에 잉크(i)의 비산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제2 측판부(30b)는, 양면 접합 필름(F105)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잉크(i)의 비산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제3 측판부(30c)는, 양면 접합 필름(F105)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잉크(i)의 비산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잉크(i)의 비산물은, 커버(30)의 내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커버(30)는, 인자 헤드(13a)로부터 정기적으로 떼어내어, 세정을 행한 후, 다시 인자 헤드(13a)에 부착하여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필름 제조 장치(100)는, 양면 접합 필름(F105)의 표면을 제전하는 정전기 제거 장치(40)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정전기 제거 장치(40)는, 이오나이저(ionizer)라고 불리는 것이며, 양면 접합 필름(F105)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기록 장치(13)[인자 헤드(13a)]보다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정전기 제거 장치(40)는, 양면 접합 필름(F105)의 폭 방향의 전역에 걸쳐 이온화된 기체를 내뿜음으로써, 양면 접합 필름(F105)의 표면에 발생한 정전기를 제거한다.
이에 의해, 필름 제조 장치(100)에서는, 잉크(i)의 비산물이 정전기에 의해 양면 접합 필름(F105)의 표면으로 끌어 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필름 제조 장치(100)에서는, 전술한 커버(30)와 정전기 제거 장치(40)를 조합함으로써, 잉크(i)의 비산물이 양면 접합 필름(F105)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결함 검사 시스템(10)에서는, 결함 정보를 양면 접합 필름(F105)에 기록할 때의 잉크(i)의 비산에 의한 양면 접합 필름(F105)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30)에 대해서는, 상기 3개의 측판부(30a, 30b, 30c) 중, 적어도 제1 측판부(30a)를 배치한 구성이면 된다. 이에 의해, 양면 접합 필름(F105)의 표시 영역(P4)과 겹쳐지는 영역에 잉크(i)의 비산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30)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개의 측판부(30a, 30b, 30c) 외에, 양면 접합 필름(F105)의 외측에 면하는 측을 덮는 제4 측판부(30d)를 배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록 장치(13)에 대해서는, 예컨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자 헤드(13a)가 가이드롤(41)에 대향하여 배치된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인자 헤드(13a)에 부착된 커버(31)의 하단부에 대해서는, 가이드롤(41)의 외형을 따른 형상으로 한다. 이에 의해, 양면 접합 필름(F105)의 표면과의 사이의 간격(T)을 1 ㎜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는, 예컨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버(32)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커버(32)는, 평행 평판형의 판재(板材)로 이루어지며, 양면 접합 필름(F105)에 근접한 상태로 양면 접합 필름(F105)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32)의 기록 영역(S)에 면한 위치에는, 창부(개구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기록 영역(S) 이외의 영역을 커버(32)가 덮음으로써, 결함 정보를 양면 접합 필름(F105)에 기록할 때의 잉크(i)의 비산에 의한 양면 접합 필름(F105)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커버(32)에는, 전술한 측판부(30a, 30b, 30c, 30d)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 커버(32)가 상기 커버(30)의 바닥면을 덮는 바닥판부를 구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기록 장치(13)는, 제2 결함 검사 장치(12)의 하류측에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제1 결함 검사 장치(11)의 하류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결함 검사 장치(11)에 의한 결함 검사를 행한 후에, 기록 장치(13)에 의한 결함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록 장치(13)에 대해서는, 전술한 결함 검사 후에 결함 정보를 기록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장거리의 반송 라인에서는, 기록 장치를 복수 배치하고, 일정 거리마다 거리 정보의 기록을 행하며, 이 기록된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거리의 보정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거리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기록 장치에 대해서는, 예컨대, 제1 결함 검사 장치(11)의 상류측 등에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거리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기록 장치에 대해서도, 이 기록 장치가 구비하는 인자 헤드에 상기 커버(30, 31, 32)와 동일한 커버를 설치하여, 기록시의 잉크의 비산에 의한 필름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적용되는 필름에 대해서는, 전술한 편광 필름이나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과 같은 광학 필름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록 장치(13)에 의한 기록이 행해지는 필름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폭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필름 제조 장치 101: 제1 반송 라인
102: 제2 반송 라인 103: 제3 반송 라인
104: 제4 반송 라인 105: 제5 반송 라인
106: 권취부 111a, 111b: 제1 닙롤
112: 제1 어큐뮬레이터 112a, 112b: 제1 댄서롤
113: 제1 가이드롤 121a, 121b: 제2 닙롤
122: 제2 어큐뮬레이터 122a, 122b: 제2 댄서롤
123a, 123b: 제2 가이드롤 131a, 131b: 제3 닙롤
141a, 141b: 제4 닙롤 142: 제3 어큐뮬레이터
142a, 142b: 제3 댄서롤 143a, 143b: 제4 가이드롤
151a, 151b: 제5 닙롤 152: 제4 어큐뮬레이터
152a, 152b: 제4 댄서롤 153a: 제5 가이드롤
153b: 제6 가이드롤 10: 결함 검사 시스템
11: 제1 결함 검사 장치 12: 제2 결함 검사 장치
13: 기록 장치 13a: 인자 헤드
14: 제1 측장기 15: 제2 측장기
16: 제어 장치 21a, 22a, 23a, 24a, 25a: 조명부
21b, 22b, 23b, 24b, 25b: 광검출부
30: 커버 30a: 제1 측판부
30b: 제2 측판부 30c: 제3 측판부
30d: 제4 측판부 31: 커버
32: 커버 32a: 창부
40: 정전기 제거 장치 P: 액정 표시 패널(광학 표시 디바이스)
F1X: 광학 필름 F10X: 광학 필름
F101: 제1 필름 F102: 제2 필름
F103: 제3 필름 F104: 편면 접합 필름
F105: 양면 접합 필름

Claims (8)

  1. 긴 띠 형상의 필름을 반송하는 반송 라인과,
    상기 반송 라인에 의해 반송되는 필름의 결함 검사를 행하는 결함 검사 장치와,
    상기 결함 검사의 결과에 기초한 결함 정보를 상기 반송 라인에 의해 반송되는 필름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필름의 단 가장자리부를 따른 기록 영역에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결함 정보를 인자하는 인자 헤드와,
    상기 필름의 적어도 상기 기록 영역보다 내측의 영역에 잉크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인자 헤드가 가이드롤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커버의 하단부는, 상기 가이드롤의 외경을 따른 형상인 것인 결함 검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필름과 상기 인자 헤드가 대향하는 공간 중, 적어도 상기 필름의 내측에 면하는 쪽을 덮는 제1 측판부를 갖는 결함 검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공간 중, 상기 필름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면하는 쪽을 덮는 제2 측판부와, 상기 필름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면하는 쪽을 덮는 제3 측판부를 갖는 결함 검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공간 중, 상기 필름의 외측에 면하는 쪽을 덮는 제4 측판부를 갖는 결함 검사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필름과 대향하는 면과, 상기 필름의 표면 사이의 간격이 1 mm 이하인 결함 검사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인자 헤드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결함 검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필름에 근접한 상태에서 상기 필름에 대향하여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기록 영역을 향한 위치에 창부를 갖는 결함 검사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기록 장치보다 상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필름의 표면을 제전(除電)하는 정전기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결함 검사 시스템.
KR1020217010535A 2013-06-12 2014-06-09 결함 검사 시스템 KR102369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24040 2013-06-12
JP2013124040A JP6177017B2 (ja) 2013-06-12 2013-06-12 欠陥検査システム
PCT/JP2014/065231 WO2014199952A1 (ja) 2013-06-12 2014-06-09 欠陥検査システム
KR1020157034307A KR20160018510A (ko) 2013-06-12 2014-06-09 결함 검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307A Division KR20160018510A (ko) 2013-06-12 2014-06-09 결함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007A KR20210043007A (ko) 2021-04-20
KR102369758B1 true KR102369758B1 (ko) 2022-03-03

Family

ID=520222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307A KR20160018510A (ko) 2013-06-12 2014-06-09 결함 검사 시스템
KR1020217010535A KR102369758B1 (ko) 2013-06-12 2014-06-09 결함 검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307A KR20160018510A (ko) 2013-06-12 2014-06-09 결함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177017B2 (ko)
KR (2) KR20160018510A (ko)
CN (1) CN105247351B (ko)
TW (1) TWI626439B (ko)
WO (1) WO2014199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1093B2 (ja) * 2015-03-20 2020-02-05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積層光学フィルムの欠陥検査方法
JP6704230B2 (ja) * 2015-09-30 2020-06-03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偏光子の検査方法、検査システムおよび製造方法
KR101748208B1 (ko) * 2016-03-07 2017-06-1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시트상 제품 검사 시스템 및 방법
JP6774803B2 (ja) * 2016-07-14 2020-10-2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液滴吐出装置及び吐出検査方法
KR102438892B1 (ko) * 2017-03-03 2022-08-3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결함 검사 시스템, 필름 제조 장치, 필름 제조 방법, 인자 장치 및 인자 방법
JP6991721B2 (ja) * 2017-03-03 2022-01-12 住友化学株式会社 マーキング装置、欠陥検査システム及びフィルム製造方法
KR102469408B1 (ko) * 2017-03-03 2022-11-2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결함 검사 시스템, 필름 제조 장치, 필름 제조 방법, 인자 장치 및 인자 방법
JP6934733B2 (ja) * 2017-03-03 2021-09-15 住友化学株式会社 マーキング装置、欠陥検査システム及びフィルム製造方法
KR102475056B1 (ko) * 2017-03-03 2022-12-06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결함 마킹 방법 및 결함 마킹 장치, 원반의 제조 방법 및 원반, 그리고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시트
JP6978842B2 (ja) * 2017-03-03 2021-12-08 住友化学株式会社 マーキング装置、欠陥検査システム及びフィルム製造方法
JP6408654B1 (ja) * 2017-06-16 2018-10-17 株式会社オプトン 検査装置
KR102603009B1 (ko) * 2017-09-05 2023-11-1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결함 기록 시스템 및 필름 제조 시스템, 그리고 필름의 제조 방법
CN107703152A (zh) * 2017-10-27 2018-02-16 深圳精创视觉科技有限公司 光学膜缺点自动标示装置
JP7044583B2 (ja) 2018-02-22 2022-03-30 住友化学株式会社 フィルムの製造方法、フィルム捲回装置
CN108982530A (zh) * 2018-05-24 2018-12-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卷料的检测系统
JP2019215371A (ja) * 2019-08-26 2019-12-19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積層光学フィルムの欠陥検査方法
CN112874163A (zh) * 2021-01-14 2021-06-01 恒美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膜缺点喷印装置
CN113466256B (zh) * 2021-06-29 2022-04-15 深圳市楠轩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薄膜缺陷批量式检测设备
US11867639B2 (en) * 2021-09-15 2024-01-09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flattening and imaging a printed thin film product
CN113978139B (zh) * 2021-11-23 2023-01-10 深圳市盛波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薄膜缺陷喷码补喷处理方法及处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821A (ja) * 1999-08-24 2001-03-06 Fuji Photo Film Co Ltd 表面検査方法及び装置
JP2007064989A (ja) 2006-12-11 2007-03-15 Nitto Denko Corp シート状成形体の検査結果記録方法及び検査結果記録システム及びロール状成形体
JP2009244064A (ja) * 2008-03-31 2009-10-22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フィルムの検査方法
JP2011167941A (ja) * 2010-02-18 2011-09-01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ヘッド、液体噴射ヘッドユニット及び液体噴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166A (ja) * 1998-08-18 2000-02-29 Dainippon Screen Mfg Co Ltd 描画ヘッド装置
JP2002292853A (ja) * 2001-03-29 2002-10-09 Tomoegawa Paper Co Ltd マーキングシステム、マーキング方法およびマーキング装置
KR20050013491A (ko) * 2003-07-28 2005-02-0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시트형상 제품의 검사 방법 및 검사 시스템
DE112005001823T5 (de) * 2004-07-30 2007-06-06 Sumitomo Chemical Co., Ltd. Polymerverbindung, Polymer-Dünnfilm und Polymer-Dünnfilm-Vorrichtung unter deren Verwendung
JP4671773B2 (ja) * 2005-06-10 2011-04-20 株式会社Isowa 印刷装置
JP2008093849A (ja) * 2006-10-06 2008-04-24 Canon Inc 液滴吐出ヘッド及び液滴吐出装置
JP2010030768A (ja) * 2008-07-30 2010-02-12 Seiko Epson Corp 給送装置及び記録装置
JP2010262265A (ja) * 2009-04-10 2010-11-18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ロール原反、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588223B2 (ja) 2009-05-26 2014-09-10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ワイヤグリッド偏光フィルム用欠陥マーキング装置及び欠陥マーキング方法
JP2011218712A (ja) * 2010-04-13 2011-11-04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JP2013016398A (ja) * 2011-07-05 2013-01-24 Sumitomo Chemical Co Ltd 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821A (ja) * 1999-08-24 2001-03-06 Fuji Photo Film Co Ltd 表面検査方法及び装置
JP2007064989A (ja) 2006-12-11 2007-03-15 Nitto Denko Corp シート状成形体の検査結果記録方法及び検査結果記録システム及びロール状成形体
JP2009244064A (ja) * 2008-03-31 2009-10-22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フィルムの検査方法
JP2011167941A (ja) * 2010-02-18 2011-09-01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ヘッド、液体噴射ヘッドユニット及び液体噴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26439B (zh) 2018-06-11
CN105247351B (zh) 2019-12-24
JP6177017B2 (ja) 2017-08-09
KR20210043007A (ko) 2021-04-20
JP2014240816A (ja) 2014-12-25
CN105247351A (zh) 2016-01-13
TW201502495A (zh) 2015-01-16
KR20160018510A (ko) 2016-02-17
WO2014199952A1 (ja)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758B1 (ko) 결함 검사 시스템
US8277587B2 (en) Continuous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liquid-crystal display elements
US8414993B2 (en) Roll of continuous web of optical film laminate with predefined slit lines,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016965B2 (en) Information storing, readout and calculation system for use in a system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liquid-crystal display element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978963B2 (ja) 欠陥マーキング方法及び欠陥マーキング装置、原反の製造方法及び原反、並びに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シート
KR102469408B1 (ko) 결함 검사 시스템, 필름 제조 장치, 필름 제조 방법, 인자 장치 및 인자 방법
KR102241700B1 (ko) 결함 검사 시스템 및 필름 제조 장치
KR102476511B1 (ko) 마킹 장치, 결함 검사 시스템 및 필름 제조 방법
KR20160045727A (ko) 광학 부재 접합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478804B1 (ko) 마킹 장치, 결함 검사 시스템 및 필름 제조 방법
KR102438892B1 (ko) 결함 검사 시스템, 필름 제조 장치, 필름 제조 방법, 인자 장치 및 인자 방법
KR102447149B1 (ko) 마킹 장치, 결함 검사 시스템 및 필름 제조 방법
JP7195042B2 (ja) 欠陥情報読取方法、欠陥情報読取システム及びフィルム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