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196B1 - 수처리용 다공성 막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다공성 막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196B1
KR102364196B1 KR1020197019030A KR20197019030A KR102364196B1 KR 102364196 B1 KR102364196 B1 KR 102364196B1 KR 1020197019030 A KR1020197019030 A KR 1020197019030A KR 20197019030 A KR20197019030 A KR 20197019030A KR 102364196 B1 KR102364196 B1 KR 102364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membrane
water treatment
molecular weight
water
high mole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0153A (ko
Inventor
알렉스 청
레이 슝
Original Assignee
상하이 에너지 뉴 머티리얼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에너지 뉴 머티리얼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에너지 뉴 머티리얼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70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23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 B01D67/0025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mechanical treatment, e.g. pore-stretching
    • B01D67/0027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mechanical treatment, e.g. pore-stretching by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6Polyalk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1Casting solutions therefor
    • B01D67/00111Polymer pretreatment in the casting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1Casting solutions therefor
    • B01D67/00113Pretreatment of the casting solutions, e.g. thermal treatment or ag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3Cast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23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 B01D67/0025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mechanical treatment, e.g. pore-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23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 B01D67/003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selective elimination of components, e.g. by le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3Therm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08Polysacchar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08Polysaccharides
    • B01D71/12Cellulose deriva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6Polyalkenes
    • B01D71/261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8Polyalkenylalcohols; Polyalkenylesters; Polyalkenylethers; Polyalkenylaldehydes; Polyalkenylketones; Polyalkenylacetals; Polyalkenylketals
    • B01D71/381Polyvinyl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4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salts, amides, imides, nitriles, anhydrides, esters
    • B01D71/401Polymers based on the polymerisation of acrylic acid, e.g. poly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4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salts, amides, imides, nitriles, anhydrides, esters
    • B01D71/403Polymers based on the polymerisation of male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44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26-B01D71/42
    • B01D71/441Polyvinylpyrrolid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2Polyethers
    • B01D71/521Aliphatic polyethers
    • B01D71/5211Polyethylene glycol or polyethylene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4Natural macromolecular material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01M50/406Moulding; Embossin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Acrylic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3Polyamide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H01M50/4295Natural cotton, cellulose or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2Hydrophil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8Specific temperatures applied
    • B01D2323/081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5Use of additives
    • B01D2323/18Pore-control agents or pore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5Use of additives
    • B01D2323/218Additive materials
    • B01D2323/2181Inorganic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5Use of additives
    • B01D2323/218Additive materials
    • B01D2323/2182Organic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1Pore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Microfluidic por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B01D2325/028321-10 n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B01D2325/02833Pore size more than 10 and up to 100 n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4Characteristic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4Molecular weight or degree of polyme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6Hydrophilic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8Polyalkenylalcohols; Polyalkenylesters; Polyalkenylethers; Polyalkenylaldehydes; Polyalkenylketones; Polyalkenylacetals; Polyalkenylk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44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26-B01D71/4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수용성 폴리머 및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제공하며,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평균 분자량이 1.0×105 내지 10.0×106이며, 밀도가 0.940 내지 0.976 g/cm3이며,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5 내지 50 중량부이며, 상기 항산화제는 0.1 내지 10 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수처리용 다공성 막은 5 내지 30 μm의 두께를 가지며, 10 내지 100 nm의 공극 크기를 가지며, 20 내지 60%의 다공도를 가지며, 30° 내지 95°의 표면 접촉각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막은 내구성이 우수하며, 제조 공정이 간단하며,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며, 공극 크기 분포가 균일하며, 공극 크기가 작고, 친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여과 및 흡착 효과가 양호하다.

Description

수처리용 다공성 막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폴리머성 다공성 막과 관련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처리용 다공성 막 및 그 제조 방법과 관련된 것이다.
미세 공극 분포(micropore distribution)를 가지는 특수 필름으로서의 다공성 막은 통상적으로 공기의 여과 및 정제, 수처리 및 정수, 또는 배터리용 특수 세퍼레이터 등으로 사용된다. 다공성 막은 일축 장력, 2방향 장력 또는 상 전환 및 기타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막은 통상적으로 다공성 막을 형성하는 관통 홀을 가진다. 다공성 막의 여과 및 흡착 메커니즘은 스크린 이론(screening theory)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으며, 막의 공극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가진 응집(aggregate) 입자 또는 분자는 막의 공극을 통과할 수 있으며, 막의 공극과 동등한 입자 크기의 응집 입자 또는 분자는 막의 공극을 막을 수 있으며, 막의 공극보다 큰 입자 크기를 가진 응집 입자 또는 분자는 막 몸체에 유지(retained)된다. 게다가 하전된 이온이 막의 표면 및 막 공극에 흡착 및 유지되며, 막 공극 크기보다 작은 입자는 공극 구멍에서 브릿지로 유지되어(bridging retention), 이로 인해서도 특정한 유지 효과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다공성 막의 공극 크기 및 다공도는 여과 및 흡착의 최종 효과를 직접적으로 결정한다. 또한 막이 얇을수록 투과도가 향상되며, 여과 및 흡착 효율도 높아진다.
수처리용 다공성 필름과 관련하여, 필름의 표면이 양호한 친수성을 가져서, 막 표면과 공극 내부가 습윤성을 가지기 쉽게 하여, 물에 대한 침투성을 강화하도록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종래의 수처리용 다공성 막과 관련하여, 막의 친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막의 표면에 특정한 친수성 코팅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친수성 코팅은 통상 두께가 얇고, 내구성이 약하며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자주 교체해야 되므로, 내구성이 좋지 못하다. 게다가, 친수성 코팅이 도포된 다공성 막은 두꺼워지며, 공극 크기 분포의 균일도가 낮으며, 상대적으로 큰 공극 크기와 낮은 친수성 효과 때문에 다공성 막의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낮은 내구성 및 수처리용 다공성 막의 복잡한 제조 방법을 극복하여, 아주 얇은 두께를 가지며, 양호한 공극 크기 분포 및 공극 크기, 양호한 친수성을 가지는 수처리용 다공성 막 및 그 제조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수처리용 다공성 막의 낮은 내구성 문제, 복잡한 제조 공정 문제, 막이 두꺼워지는 문제, 공극 크기가 커지는 문제, 낮은 친수성 문제 등을 해결한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기타 관련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제공하며, 상기 수처리용 다공성 막은,
적어도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수용성 폴리머 및 항산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평균 분자량이 1.0×105 내지 10.0×106이며, 밀도가 0.940 내지 0.976 g/cm3이며,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5 내지 50 중량부이며, 상기 항산화제는 0.1 내지 10 중량부이다.
상기 수처리용 다공성 막은 5 μm 내지 30 μm의 두께를 가지며, 10 nm 내지 100 nm의 공극 크기를 가지며, 20 내지 60%의 다공도를 가지며, 30° 내지 95°의 표면 접촉각(surface contact angle)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카르복시메틸 전분(carboxymethyl starch), 전분 아세테이트(starch acetate), 하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hydroxymethyl cellulose),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가수분해된 폴리아크릴아미드(hydrolyzed polyacrylamide),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폴리말레산 무수물(polymaleic anhydrid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및 폴리에틸엔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산화제는 4,4-티오비스(6-tert-부틸-m-크레졸),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dibutylhydroxytoluene), 포스파이트 에스테르(phosphite ester), tert-부틸 하이드로퀴논, n-옥타데실 β-(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tert-부틸페닐) 부탄, 2-tert-부틸-6-메틸페놀, N,N'-비스(β-나프틸) p-페닐렌디아민,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lauryl thiodipropionate), 트리노닐페닐 포스파이트(trinonylphenyl phosphite) 및 트리페닐 포스파이트(triphenyl phosphi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처리용 다공성 막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다공성 막은 하기 방법으로 제공되며, 하기 방법은 아래를 포함한다.
1)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수용성 폴리머, 공극 형성제 및 항산화제를 혼합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여기에서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평균 분자량이 1.0×105 내지 10.0×106이며, 밀도가 0.940 내지 0.976 g/cm3이며;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5 내지 50 중량부이며, 상기 공극 형성제는 100 내지 500 중량부이며, 상기 항산화제는 0.1 내지 10 중량부임
2)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상기 항산화제 및 상기 수용성 폴리머를 일정 온도에서 공극 형성제에 용해시켜서 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트윈-스크류(twin-screw) 압출 공정에 의해 압출시키는 단계,
3) 상기 혼합물을 스트립으로 캐스팅하는 단계,
4) 상기 스트립에 포함된 공극 형성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립을 추출(extract)하고, 상기 스트립을 필름으로 연신시키고, 상기 필름에 대하여 제2 추출을 적용하고, 세척하는 단계,
5) 상기 필름을 열 고정하고, 코일링하여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상기 수용성 폴리머, 상기 공극 형성제 및 상기 항산화제를 연속 혼합 및 충전 케틀(continuous mixing and charging kettle)에 첨가하고, 혼합하고, 45~55 rpm의 속도로 균일하게 교반하여 상기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2)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상기 항산화제 및 상기 수용성 폴리머를 170℃ 내지 230℃의 온도에서 공극 형성제에 용해시켜서 상기 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150 내지 250 rpm의 속도로 연속적으로 압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3)의 상기 혼합물을 스트립으로 캐스팅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압출된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슬릿 다이(slit die)에 도입하고, 상기 슬릿 다이를 통하여 냉각 캐스트 롤러로 압출하고,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스트립으로 캐스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4)에 있어서, 추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을 사용하여 상기 스트립을 추출하여 상기 스트립에 포함된 공극 형성제를 제거하며, 상기 스트립은 2방향 연신기에 의하여 115℃ 내지 125℃의 온도에서 연신하여 필름을 제조하며, 상기 필름에 대하여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제2 추출을 적용하고,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5)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115℃ 내지 125℃의 온도에서 15 내지 20 min 동안 열 고정되며, 20 내지 50 m/min의 속도로 코일링하여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카르복시메틸 전분, 전분 아세테이트, 하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아미드, 가수분해된 폴리아크릴아미드, 에틸 셀룰로오스, 폴리말레산 무수물,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에틸엔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극 형성제는 천연 미네랄 오일, C6-15 알칸(alkanes), C8-15 지방족 카르복시산, C1-4 알킬 C8-15 지방족 카르복실레이트, C2-6 할로겐화 알칸, 프탈레이트(phthalates), 트리멜리테이트(trimellitates), 아디페이트(adipates), 세바케이트(sebacates), 말레에이트(maleates), 벤조에이트(benzoates), 에폭시화 식물성 오일(epoxidized vegetable oils), 벤젠술폰아미드(benzenesulfonamides), 포스포트리에스테르(phosphotriesters), 글리콜 에테르(glycol ethers),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라이드(acetylated monoglyceride), 시트르산 에스테르(citrate esters) 및 디이소노닐 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레이트(diisononyl cyclohexane-1,2-dicarbox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산화제는 4,4-티오비스(6-tert-부틸-m-크레졸),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포스파이트 에스테르, tert-부틸 하이드로퀴논, n-옥타데실 β-(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tert-부틸페닐) 부탄, 2-tert-부틸-6-메틸페놀, N,N'-비스(β-나프틸) p-페닐렌디아민,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트리노닐페닐 포스파이트 및 트리페닐 포스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극 형성제는, 40℃에서의 동점성 계수(kinematic viscosity)가 10 내지 100 mm2/s이며, 초기 비등점이 1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방법으로 제조된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제공한다. 상기 수처리용 다공성 막은 5 내지 30 μm의 두께를 가지며, 10 내지 100 nm의 공극 크기를 가지며, 20 내지 60%의 다공도를 가지며, 30° 내지 95°의 표면 접촉각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다공성 막 및 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바람직한 효과를 가진다.
1. 본 발명은 수용성 폴리머를 첨가함으로써 다공성 막을 제조하며, 이에 의해 다공성 막의 제조 공정의 복잡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조 단가를 절약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다공성 막은, 그 안에 수용성 폴리머를 직접 혼합함으로써, 친수성 코팅을 적용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의해 다공성 막의 내구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다공성 막의 두께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게다가 이러한 다공성 막은 표면 접촉각이 작고, 친수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며; 이러한 다공성 막은 공극 크기가 작고, 공극 크기 분포가 양호하며, 여과 및 흡착 효과가 크게 개선되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다공성 막은 배터리,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에 사용될 수 있어서, 리튬-이온 배터리의 성능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구현예
본 발명의 구현예가 한정적인 실시예를 통해 아래와 같이 기재되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기타 장점 및 효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기타 상이한 특정 구현예로 실현 내지는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구체적인 내용은, 상이한 관점 및 적용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도시적인 방법으로 나타내는 것임이 주지되어야 하며, 그러므로 이러한 도면은 실제 실현되는 구성 요소의 숫자,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도시된 것이 아니라, 본 발명과 관련된 구성 요소를 단지 보여주기 위한 것일 뿐이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각 구성 요소의 형태, 숫자 및 비율이 임의로 변경될 수 있으며, 구성 요소의 배열 및 형태는 보다 복잡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수용성 폴리머 및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제공하며,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평균 분자량이 1.0×105 내지 10.0×106이며, 밀도가 0.940 내지 0.976 g/cm3이며;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5 내지 50 중량부이며, 상기 항산화제는 0.1 내지 10 중량부이다.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단일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2개 이상의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이 될 수도 있음이 주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분자량은 평균 분자량으로 계산된다.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평균 분자량이 1.0×105 내지 5.0×106인 것이 바람직하며, 1.0×105 내지 2.0×10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40 내지 0.966 g/cm3인 것이 바람직하며, 0.950 내지 0.976 g/cm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머는 10 내지 40 중량부이며, 공극 형성제는 200 내지 500 중량부이며, 항산화제는 0.5 내지 8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머는 20 내지 30 중량부이며, 공극 형성제는 200 내지 400 중량부이며, 항산화제는 1 내지 6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다공성 막은 5 내지 30 μm의 두께를 가지며, 10 내지 100 nm의 공극 크기를 가지며, 20 내지 60%의 다공도를 가지며, 30° 내지 95°의 표면 접촉각을 가진다.
예시로써, 수용성 폴리머는 카르복시메틸 전분, 전분 아세테이트, 하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아미드, 가수분해된 폴리아크릴아미드, 에틸 셀룰로오스, 폴리말레산 무수물,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에틸엔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시로서, 항산화제는 4,4-티오비스(6-tert-부틸-m-크레졸),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포스파이트 에스테르, tert-부틸 하이드로퀴논, n-옥타데실 β-(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tert-부틸페닐) 부탄, 2-tert-부틸-6-메틸페놀, N,N'-비스(β-나프틸) p-페닐렌디아민,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트리노닐페닐 포스파이트 및 트리페닐 포스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수처리용 다공성 막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언급한 수처리용 다공성 막은 아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아래 방법은 최소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함:
S1: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수용성 폴리머, 공극 형성제 및 항산화제를 혼합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여기에서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평균 분자량이 1.0×105 내지 10.0×106이며, 밀도가 0.940 내지 0.976 g/cm3이며;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5 내지 50 중량부이며, 상기 공극 형성제는 100 내지 500 중량부이며, 상기 항산화제는 0.1 내지 10 중량부임;
S2: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상기 항산화제 및 상기 수용성 폴리머를 일정 온도에서 공극 형성제에 용해시켜서 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트윈-스크류 압출 공정에 의해 압출시키는 단계;
S3: 상기 혼합물을 스트립으로 캐스팅하는 단계;
S4: 상기 스트립에 포함된 공극 형성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립을 추출(extract)하고, 상기 스트립을 필름으로 연신시키고, 상기 필름에 대하여 제2 추출을 적용하고, 세척하는 단계;
S5: 상기 필름을 열 고정하고, 권취(winding)하여,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수득하는 단계.
예시로서, 상기 단계 S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상기 수용성 폴리머, 상기 공극 형성제 및 상기 항산화제를 연속 혼합 및 충전 케틀에 첨가하고, 혼합하고, 45~55 rpm의 속도로 균일하게 교반하여 혼합물을 생성한다. 또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10 내지 40 중량부이며, 상기 공극 형성제는 200 내지 500 중량부이며, 상기 항산화제는 0.5 내지 8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20 내지 30 중량부이며, 상기 공극 형성제는 200 내지 400 중량부이며, 상기 항산화제는 1 내지 6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시로서, 상기 단계 S2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상기 항산화제 및 상기 수용성 폴리머를 170℃ 내지 230℃ 의 온도에서 상기 공극 형성제에 용해시켜서 혼합물을 생성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150 내지 250 rpm의 속도로 연속적으로 압출시킨다.
예시로서, 상기 단계 S3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스트립으로 캐스팅하는 단계가, 상기 단계 S2로부터의 압출된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슬릿 다이에 도입하고, 상기 슬릿 다이를 통하여 냉각 캐스트 롤러로 압출하고,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스트립으로 캐스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시로서, 상기 단계 S4에 있어서, 추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상기 스트립을 추출하여 상기 스트립에 포함된 상기 공극 형성제를 제거하며, 상기 스트립은 2방향 연신기에 의하여 115℃ 내지 125℃의 온도에서 연신하여 필름을 제조하며, 상기 필름에 대하여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제2 추출을 적용하고,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세척한다.
예시로서, 상기 단계 S5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115℃ 내지 125℃의 온도에서 15 내지 20분 동안 열 고정하며, 20 내지 50 m/min의 속도로 코일링하여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얻는다.
예시로서,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카르복시메틸 전분, 전분 아세테이트, 하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아미드, 가수분해된 폴리아크릴아미드, 에틸 셀룰로오스, 폴리말레산 무수물,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에틸엔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예시로서, 상기 공극 형성제는 천연 미네랄 오일, C6-15 알칸, C8-15 지방족 카르복시산, C1-4 알킬 C8-15 지방족 카르복실레이트, C2-6 할로겐화 알칸, 프탈레이트, 트리멜리테이트, 아디페이트, 세바케이트, 말레에이트, 벤조에이트, 에폭시화 식물성 오일, 벤젠술폰아미드, 포스포트리에스테르, 글리콜 에테르,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라이드, 시트르산 에스테르 및 디이소노닐 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예시로서, 상기 항산화제는 4,4-티오비스(6-tert-부틸-m-크레졸),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포스파이트 에스테르, tert-부틸 하이드로퀴논, n-옥타데실 β-(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tert-부틸페닐) 부탄, 2-tert-부틸-6-메틸페놀, N,N'-비스(β-나프틸) p-페닐렌디아민,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트리노닐페닐 포스파이트 및 트리페닐 포스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예시로서, 상기 공극 형성제는, 40℃에서의 동점성 계수가 10 내지 100 mm2/s이며, 초기 비등점이 110℃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막은 리튬-이온 배터리, 특히 고출력 리튬-이온 배터리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특정한 실시예와 조합하여 본 발명을 추가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례를 통해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님이 주지되어야 한다. 아래 실시예의 실험 방법에서의 특정 조건이 명시되지 않은 경우, 통상적인 조건이나 제조 업자에 의해 추천되는 조건으로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모든 퍼센트, 비율, 분율, 부분(parts)은 중량 기준이다. 본 발명에서의 부피 퍼센트에 대한 중량 단위는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용액 100 ml에서의 용질의 중량을 예로 들 수 있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전문 용어 및 기술 용어는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의미와 동일하다. 게다가, 아래에서 기재되는 것과 유사 또는 동등한 어떠한 방법 및 재료도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하기 바람직한 구현 방법 및 재료는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한 것일 뿐이다.
아래 실시예의 표에서의 파라미터(parameter)는 다음 방법으로 측정된다.
1. 두께
두께는, Germany Marr 필름 두께 게이지 1216을 사용하여 GB/T6672-2001에 따라서 플라스틱 필름 및 시트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된다
2. 다공도
다공도는 PMI AAQ-3K-A-1 공극 측정기(porometer)에 의해 측정된다.
3. 공극 크기
공극 크기는 PMI AAQ-3K-A-1 공극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다.
4. 접촉각
본 명세서에서, “접촉각”은 필름층 상의 물 또는 수용액의 접촉각을 의미하며, 실온에서 Kruss DSA25 접촉각 측정기를 사용하여 탈이온수로 측정된다.
실시예 1
밀도가 0.957 g/cm3이며, 평균 분자량이 5.0×105인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g과,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산화제) 0.5g과,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5g과, 미네랄 오일 250g을 연속 혼합 및 충전 케틀에 첨가하고, 50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180℃의 트윈-스크류 압출기에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산화제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미네랄 오일에 연속적으로 용해시키고, 200 rpm의 속도로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압출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슬릿 다이에 도입하고, 슬릿 다이를 통하여 냉각 캐스트 롤러로 압출하고, 80℃에서 스트립(strip)으로 캐스트하였다.
스트립으로부터 미네랄 오일을 제거하는 추출 작업을 위하여, 수득된 스트립을 디클로로메탄을 포함하는 추출 탱크에 위치시켰다. 추출된 스트립을 120℃에서 2방향 연신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필름으로 연신시키고, 이어서 제조된 필름 재료를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는 제2 추출에 적용하고, 제조된 필름을 탈이온수로 세척하였다. 그 후, 필름을 120℃에서 15분 동안 열 고정시키고, 20 m/min의 속도로 코일링하여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직접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성능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9067176472-pct00001
실시예 2
밀도가 0.957 g/cm3이며, 평균 분자량이 5.0×105인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g과,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산화제) 0.5g과,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10g과, 미네랄 오일 250g을 연속 혼합 및 충전 케틀 첨가하고, 50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180℃의 트윈-스크류 압출기에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산화제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미네랄 오일에 연속적으로 용해시키고, 200 rpm의 속도로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압출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슬릿 다이에 도입하고, 슬릿 다이를 통하여 냉각 캐스트 롤러로 압출하고, 80℃에서 스트립으로 캐스트하였다.
스트립으로부터 미네랄 오일을 제거하는 추출 작업을 위하여, 제조된 스트립을 디클로로메탄을 포함하는 추출 탱크에 위치시켰다. 추출된 스트립을 120℃에서 2방향 연신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필름으로 연신시키고, 이어서 제조된 필름 재료를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는 제2 추출에 적용하고, 제조된 필름을 탈이온수로 세척하였다. 제조된 필름을 120℃에서 15분 동안 열 고정시키고, 20 m/min의 속도로 코일링하여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직접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성능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9067176472-pct00002
실시예 3
밀도가 0.957 g/cm3이며, 평균 분자량이 5.0×105인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g과,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산화제) 0.5g과,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15g과, 미네랄 오일 250g을 연속 혼합 및 충전 케틀에 첨가하고, 50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180℃의 트윈-스크류 압출기에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산화제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미네랄 오일에 연속적으로 용해시키고, 200 rpm의 속도로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압출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슬릿 다이에 도입하고, 슬릿 다이를 통하여 냉각 캐스트 롤러로 압출하고, 80℃에서 스트립으로 캐스트하였다.
스트립으로부터 미네랄 오일을 제거하는 추출 작업을 위하여, 제조된 스트립을 디클로로메탄을 포함하는 추출 탱크에 위치시켰다. 추출된 스트립을 120℃에서 2방향 연신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필름으로 연신시키고, 이어서 제조된 필름 재료를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는 제2 추출에 적용하고, 제조된 필름을 탈이온수로 세척하였다. 제조된 필름을 120℃에서 15분 동안 열 고정시키고, 20 m/min의 속도로 코일링하여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직접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성능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19067176472-pct00003
실시예 4
밀도가 0.957 g/cm3이며, 평균 분자량이 5.0×105인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g과,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산화제) 0.5g과,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25g과, 미네랄 오일 250g을 연속 혼합 및 충전 케틀에 첨가하고, 50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180℃의 트윈-스크류 압출기에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산화제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미네랄 오일에 연속적으로 용해시키고, 200 rpm의 속도로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압출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슬릿 다이에 도입하고, 슬릿 다이를 통하여 냉각 캐스트 롤러로 압출하고, 80℃에서 스트립으로 캐스트하였다.
스트립으로부터 미네랄 오일을 제거하는 추출 작업을 위하여, 제조된 스트립을 디클로로메탄을 포함하는 추출 탱크에 위치시켰다. 추출된 스트립을 120℃에서 2방향 연신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필름으로 연신시키고, 이어서 제조된 필름 재료를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는 제2 추출에 적용하고, 제조된 필름을 탈이온수로 세척하였다. 제조된 필름을 120℃에서 15분 동안 열 고정시키고, 20 m/min의 속도로 코일링하여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직접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성능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19067176472-pct00004
실시예 5
밀도가 0.957 g/cm3이며, 평균 분자량이 5.0×105인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g과,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산화제) 0.5g과,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20g과, 폴리비닐피롤리돈 5g과, 미네랄 오일 250g을 연속 혼합 및 충전 케틀에 첨가하고, 50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180℃의 트윈-스크류 압출기에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산화제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미네랄 오일에 연속적으로 용해시키고, 200 rpm의 속도로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압출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슬릿 다이에 도입하고, 슬릿 다이를 통하여 냉각 캐스트 롤러로 압출하고, 80℃에서 스트립으로 캐스트하였다.
스트립으로부터 미네랄 오일을 제거하는 추출 작업을 위하여, 제조된 스트립을 디클로로메탄을 포함하는 추출 탱크에 위치시켰다. 추출된 스트립을 120℃에서 2방향 연신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필름으로 연신시키고, 이어서 제조된 필름 재료를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는 제2 추출에 적용하고, 제조된 필름을 탈이온수로 세척하였다. 제조된 필름을 120℃에서 15분 동안 열 고정시키고, 20 m/min의 속도로 코일링하여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직접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성능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9067176472-pct00005
비교예
밀도가 0.957 g/cm3이며, 평균 분자량이 5.0×105인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g과,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산화제) 0.5g과, 미네랄 오일 250g을 연속 혼합 및 충전 케틀에 첨가하고, 50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180℃의 트윈-스크류 압출기에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산화제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미네랄 오일에 연속적으로 용해시키고, 200 rpm의 속도로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압출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슬릿 다이에 도입하고, 슬릿 다이를 통하여 냉각 캐스트 롤러로 압출하고, 80℃에서 스트립으로 캐스트하였다.
스트립으로부터 미네랄 오일을 제거하는 추출 작업을 위하여, 제조된 스트립을 디클로로메탄을 포함하는 추출 탱크에 위치시켰다. 추출된 스트립을 120℃에서 2방향 연신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필름으로 연신시키고, 이어서 제조된 필름 재료를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는 제2 추출에 적용하고, 제조된 필름을 탈이온수로 세척하였다. 제조된 필름을 120℃에서 15분 동안 열 고정시키고, 20 m/min의 속도로 코일링하여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직접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성능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112019067176472-pct00006
실시예 6
밀도가 0.957 g/cm3이며, 평균 분자량이 5.0×105인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g과,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산화제) 0.5g과,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30g과, 미네랄 오일 250g을 연속 혼합 및 충전 케틀에 첨가하고, 50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180℃의 트윈-스크류 압출기에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산화제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미네랄 오일에 연속적으로 용해시키고, 200 rpm의 속도로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압출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슬릿 다이에 도입하고, 슬릿 다이를 통하여 냉각 캐스트 롤러로 압출하고, 80℃에서 스트립으로 캐스트하였다.
스트립으로부터 미네랄 오일을 제거하는 추출 작업을 위하여, 제조된 스트립을 디클로로메탄을 포함하는 추출 탱크에 위치시켰다. 추출된 스트립을 120℃에서 2방향 연신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필름으로 연신시키고, 이어서 제조된 필름 재료를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는 제2 추출에 적용하고, 제조된 필름을 탈이온수로 세척하였다. 제조된 필름을 120℃에서 15분 동안 열 고정시키고, 20 m/min의 속도로 코일링하여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직접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성능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
Figure 112019067176472-pct00007
실시예 7
밀도가 0.957 g/cm3이며, 평균 분자량이 5.0×105인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g과,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산화제) 0.5g과,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40g과, 미네랄 오일 250g을 연속 혼합 및 충전 케틀에 첨가하고, 50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180℃의 트윈-스크류 압출기에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산화제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미네랄 오일에 연속적으로 용해시키고, 200 rpm의 속도로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압출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슬릿 다이에 도입하고, 슬릿 다이를 통하여 냉각 캐스트 롤러로 압출하고, 80℃에서 스트립으로 캐스트하였다.
스트립으로부터 미네랄 오일을 제거하는 추출 작업을 위하여, 제조된 스트립을 디클로로메탄을 포함하는 추출 탱크에 위치시켰다. 추출된 스트립을 120℃에서 2방향 연신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필름으로 연신시키고, 이어서 제조된 필름 재료를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는 제2 추출에 적용하고, 제조된 필름을 탈이온수로 세척하였다. 제조된 필름을 120℃에서 15분 동안 열 고정시키고, 20 m/min의 속도로 코일링하여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직접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성능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112019067176472-pct00008
실시예 8
밀도가 0.957 g/cm3이며, 평균 분자량이 5.0×105인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g과,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산화제) 0.5g과,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50g과, 미네랄 오일 250g을 연속 혼합 및 충전 케틀에 첨가하고, 50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180℃의 트윈-스크류 압출기에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산화제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미네랄 오일에 연속적으로 용해시키고, 200 rpm의 속도로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압출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슬릿 다이에 도입하고, 슬릿 다이를 통하여 냉각 캐스트 롤러로 압출하고, 80℃에서 스트립으로 캐스트하였다.
스트립으로부터 미네랄 오일을 제거하는 추출 작업을 위하여, 제조된 스트립을 디클로로메탄을 포함하는 추출 탱크에 위치시켰다. 추출된 스트립을 120℃에서 2방향 연신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필름으로 연신시키고, 이어서 제조된 필름 재료를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는 제2 추출에 적용하고, 제조된 필름을 탈이온수로 세척하였다. 제조된 필름을 120℃에서 15분 동안 열 고정시키고, 20 m/min의 속도로 코일링하여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직접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성능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Figure 112019067176472-pct00009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수용성 폴리머를 첨가한 실시예 1 내지 8에서 얻어진 다공성 막은, 비교예에서 얻어진 다공성 막에 비하여 접촉각이 상당히 낮음을 알 수 있으며; 특정 중량 범위에 있어서, 첨가되는 수용성 폴리머의 양이 증가할 경우, 다공성 막의 접촉각이 추가적으로 낮아지며(실시예 1 내지 5 참고); 게다가 첨가되는 수용성 폴리머의 양이 25 중량부일 경우 접촉각이 최저가 되며(실시예 4 및 5 참고); 이러한 결과는 수용성 폴리머의 첨가로 인하여 다공성 막의 표면 친수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게다가, 실시예 6 내지 8로부터, 첨가되는 수용성 폴리머의 양이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다공성 막의 접촉각이 현저하게 증가하기 시작함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수용성 폴리머의 첨가량이 특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 친수성을 개선하기에 효과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실시예 4 및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4는 수용성 폴리머가 단일 성분이며, 실시예 5는 수용성 폴리머가 2가지 성분의 혼합물인 것을 제외하면, 첨가되는 수용성 폴리머의 중량은 동일하다. 이러한 결과는, 2가지 상이한 수용성 폴리머의 상승적 사용이 다공성 막 표면의 접촉각을 낮게 유지하면서 공극 크기를 가능한 많이 감소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며, 이것은 수용성 폴리머 및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사이에서 물리적인 얽힘 포인트(physical entanglement point)가 더 많이 형성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내용 및 특징을 상술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다공성 막의 구성 성분은 본 발명에서 언급된 소재로만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 언급된 조성으로만도 제한되지 않으며,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기타 소재 및 조성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동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대체예 및 변형예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에 개시된 내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대체예 및 변형예를 포함하며, 첨부되는 청구항에 의하여 범위가 정해질 것이다.
S1 ~ S5 : 단계

Claims (16)

  1. 수처리용 다공성 막으로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수용성 폴리머 및 항산화제로 구성되고,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평균 분자량이 1.0×105 내지 10.0×106이며, 밀도가 0.940 내지 0.976 g/cm3이고,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5 내지 30 중량부이며, 상기 항산화제는 0.1 내지 10 중량부이고,
    상기 수처리용 다공성 막은 5 내지 30 μm의 두께, 10 내지 50 nm의 공극 크기, 20 내지 60%의 다공도 및 30° 내지 95°의 표면 접촉각을 가지는, 수처리용 다공성 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카르복시메틸 전분, 전분 아세테이트, 하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아미드, 가수분해된(hydrolyzed) 폴리아크릴아미드, 에틸 셀룰로오스, 폴리말레산 무수물,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에틸엔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수처리용 다공성 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4,4-티오비스(6-tert-부틸-m-크레졸),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포스파이트 에스테르, tert-부틸 하이드로퀴논, n-옥타데실 β-(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tert-부틸페닐) 부탄, 2-tert-부틸-6-메틸페놀, N,N'-비스(β-나프틸) p-페닐렌디아민,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트리노닐페닐 포스파이트 및 트리페닐 포스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수처리용 다공성 막.
  4. 제1항의 수처리용 다공성 막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1)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수용성 폴리머, 공극 형성제 및 항산화제를 혼합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에서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평균 분자량이 1.0×105 내지 10.0×106이고, 밀도가 0.940 내지 0.976 g/cm3이며;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5 내지 30 중량부이고, 상기 공극 형성제는 100 내지 500 중량부이며, 상기 항산화제는 0.1 내지 10 중량부인, 단계;
    2)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상기 항산화제 및 상기 수용성 폴리머를 일정 온도에서 공극 형성제에 용해시켜서 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트윈-스크류(twin-screw) 압출 공정에 의해 압출시키는 단계;
    3) 상기 혼합물을 스트립으로 캐스팅하는 단계;
    4) 상기 스트립에 포함된 공극 형성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립을 추출(extract)하고, 상기 스트립을 필름으로 연신시키고, 상기 필름에 대하여 제2 추출을 적용하고, 세척하는 단계; 및
    5) 상기 필름을 열 고정하고, 코일링하여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다공성 막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상기 수용성 폴리머, 상기 공극 형성제 및 상기 항산화제를 연속 혼합 및 충전 케틀(kettle)에 첨가하고, 혼합하고, 45~55 rpm의 속도로 균일하게 교반하여 상기 혼합물을 형성하는, 수처리용 다공성 막의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상기 항산화제 및 상기 수용성 폴리머를 170-230℃의 온도에서 상기 공극 형성제에 용해시켜서 혼합물을 형성한 후, 상기 혼합물을 150~250 rpm의 속도로 연속적으로 압출시키는, 수처리용 다공성 막의 제조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스트립으로 캐스팅하는 단계가, 상기 단계 2)에서 압출된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슬릿 다이(slit die)에 도입하고, 상기 슬릿 다이를 통하여 냉각 캐스트 롤러로 압출하고,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스트립으로 캐스트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처리용 다공성 막의 제조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 있어서, 추출제로서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상기 스트립을 추출하여 상기 스트립에 포함된 상기 공극 형성제를 제거하고, 상기 스트립은 2방향 연신기에 의하여 115 내지 125℃의 온도에서 연신하여 필름을 형성하며, 상기 필름에 대하여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제2 추출을 적용하고, 탈이온수로 세척하는, 수처리용 다공성 막의 제조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115 내지 125℃의 온도에서 15 내지 20분 동안 열 고정하며, 20 내지 50 m/min의 속도로 코일링하여 수처리용 다공성 막을 얻는, 수처리용 다공성 막의 제조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카르복시메틸 전분, 전분 아세테이트, 하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아미드, 가수분해된 폴리아크릴아미드, 에틸 셀룰로오스, 폴리말레산 무수물,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에틸엔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수처리용 다공성 막의 제조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 형성제는 천연 미네랄 오일, C6-15 알칸, C8-15 지방족 카르복시산, C1-4 알킬 C8-15 지방족 카르복실레이트, C2-6 할로겐화 알칸, 프탈레이트, 트리멜리테이트, 아디페이트, 세바케이트, 말레에이트, 벤조에이트, 에폭시화 식물성 오일, 벤젠술폰아미드, 포스포트리에스테르, 글리콜 에테르,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라이드, 시트르산 에스테르 및 디이소노닐 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수처리용 다공성 막의 제조 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4,4-티오비스(6-tert-부틸-m-크레졸),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포스파이트 에스테르, tert-부틸 하이드로퀴논, n-옥타데실 β-(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tert-부틸페닐) 부탄, 2-tert-부틸-6-메틸페놀, N,N'-비스(β-나프틸) p-페닐렌디아민,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트리노닐페닐 포스파이트 및 트리페닐 포스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수처리용 다공성 막의 제조 방법.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 형성제는 40℃에서의 동점성 계수가 10 내지 100 mm2/s이며, 초기 비등점이 110℃ 이상인, 수처리용 다공성 막의 제조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97019030A 2018-05-04 2018-05-21 수처리용 다공성 막 및 그 제조 방법 KR102364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418279.3 2018-05-04
CN201810418279.3A CN108619923A (zh) 2018-05-04 2018-05-04 水处理多孔膜及其制备方法
PCT/CN2018/087669 WO2019210535A1 (zh) 2018-05-04 2018-05-21 水处理多孔膜及其制备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153A KR20200070153A (ko) 2020-06-17
KR102364196B1 true KR102364196B1 (ko) 2022-02-16

Family

ID=6369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030A KR102364196B1 (ko) 2018-05-04 2018-05-21 수처리용 다공성 막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25074B2 (ko)
EP (1) EP3789105A4 (ko)
JP (1) JP7046956B2 (ko)
KR (1) KR102364196B1 (ko)
CN (1) CN108619923A (ko)
WO (1) WO20192105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0834A (zh) * 2018-10-16 2019-01-15 上海恩捷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亲水性聚烯烃微孔膜及其制备方法
CN109499392A (zh) * 2018-10-16 2019-03-22 上海恩捷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亲水性聚乙烯微孔膜及其制备方法
CN109244336B (zh) * 2018-11-01 2022-03-11 上海恩捷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湿法共混锂离子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CN111804151B (zh) * 2020-07-27 2021-08-27 上海恩捷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生活污水处理的mbr平板滤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2233A1 (en) * 2008-12-22 2010-07-01 Lydall Solutech B.V Hydrophilic porous polymer blend membrane
JP2013091059A (ja) * 2011-10-06 2013-05-16 Mitsubishi Rayon Co Ltd ポリオレフィン多孔質中空糸膜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17373A (en) * 1952-03-04 1954-10-27 Tudor Ab Electric secondary cell and separator for same
JPH11302433A (ja) 1998-04-24 1999-11-02 Tonen Kagaku Kk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の製造方法
US6602593B1 (en) * 1999-08-30 2003-08-05 Celgard Inc. Battery separators with reduced splitting propensity
TWI315591B (en) * 2000-06-14 2009-10-01 Sumitomo Chemical Co Porous film and separator for battery using the same
JP2005193201A (ja) 2004-01-09 2005-07-21 Kuraray Co Ltd 親水性中空糸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02455B2 (ja) * 2006-08-01 2012-03-21 東レ東燃機能膜合同会社 ポリオレフィン多層微多孔膜、その製造方法、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電池
KR20080044738A (ko) * 2006-11-16 2008-05-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계 전해질 조성물과 이로부터 얻어지는 전해질층을구비한 밀폐형 필름 일차전지
US20100316902A1 (en) 2007-12-31 2010-12-16 Kotaro Takita Microporous Multilayer Membrane, System And Process For Producing Such Membrane, And The Use Of Such Membrane
JP4985454B2 (ja) * 2008-02-15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セパレータ、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非水電解質電池
CN105964150B (zh) 2008-11-17 2019-05-28 东丽株式会社 微孔膜及该膜的制备方法及使用方法
CN101618295B (zh) 2009-07-31 2011-08-10 山东爱地高分子材料有限公司 超高分子量聚乙烯多孔膜的冻胶连续生产方法
US20110223486A1 (en) * 2010-03-12 2011-09-15 Xiaomin Zhang Biaxially oriented porous membranes, composit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KR101285718B1 (ko) * 2011-10-05 2013-07-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기공성 필름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되는 나노기공성 필름 및 그를 이용한 수처리용 나노여과막
KR102040192B1 (ko) * 2013-10-18 2019-11-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코팅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JP2015193697A (ja) 2014-03-31 2015-11-05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KR101963063B1 (ko) * 2014-11-20 2019-03-27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그래프팅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미세다공성 막
WO2016104790A1 (ja) * 2014-12-26 2016-06-30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その製造方法及び電池用セパレータ
KR20170100018A (ko) 2014-12-26 2017-09-01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폴리올레핀 미세 다공막의 제조 방법
CN107452919B (zh) 2016-06-01 2020-08-28 上海恩捷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浸润性隔离膜及其制备方法和用途
EP3490044B1 (en) * 2016-07-25 2024-04-17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Electrolyte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7008166B (zh) * 2017-03-22 2020-07-07 同济大学 一种纳米复合透湿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7200901A (zh) * 2017-05-15 2017-09-26 上海恩捷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形成电池隔离膜的聚合物组合物、电池隔离膜及制备方法
EP3704524A4 (en) * 2017-10-30 2021-09-15 Commscope Technologies LLC UNIVERSAL CABLE ANCHOR FOR PLUG-IN CONNECT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2233A1 (en) * 2008-12-22 2010-07-01 Lydall Solutech B.V Hydrophilic porous polymer blend membrane
JP2013091059A (ja) * 2011-10-06 2013-05-16 Mitsubishi Rayon Co Ltd ポリオレフィン多孔質中空糸膜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19923A (zh) 2018-10-09
JP7046956B2 (ja) 2022-04-04
WO2019210535A1 (zh) 2019-11-07
EP3789105A4 (en) 2022-02-23
JP2021505358A (ja) 2021-02-18
US11325074B2 (en) 2022-05-10
KR20200070153A (ko) 2020-06-17
US20210331119A1 (en) 2021-10-28
EP3789105A1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196B1 (ko) 수처리용 다공성 막 및 그 제조 방법
JPS6190705A (ja) 中空糸膜の製造方法
EP3467904A1 (en) High-wettability separat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JP2013508483A5 (ko)
TW200815096A (en) Porous membrane made of polyvinylidene fluorid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17152731A1 (zh) 一种锂离子电池隔膜的制备方法
JPH03215535A (ja) ポリフツ化ビニリデン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419066A (zh) 用于制备聚丙烯微孔膜的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4557317B2 (ja) ポリエチレン樹脂製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327351B (zh) 一种微孔聚乙烯膜
CN109200834A (zh) 一种亲水性聚烯烃微孔膜及其制备方法
CN110218358B (zh) 一种纤维素/ZnAl水滑石复合膜的制备方法及其用途
CN101695634A (zh) 超高分子量聚乙烯/无机粒子杂化中空纤维膜制备方法
CN107073411A (zh) 微孔聚偏二氟乙烯平膜
CN110538636A (zh) 多孔金属有机框架凝胶、其制备方法及应用
JP3965954B2 (ja) 多孔性フィルム
CN103432917A (zh) 双抗聚四氟乙烯微孔膜及其制备方法
WO2024046493A1 (zh) 一种聚四氟乙烯拉伸膜制备方法与应用
WO2018120879A1 (zh) 一种电池隔离膜
DE112019001856T5 (de) Verfahren zur Formung einer aktiven Schicht auf Kohlenstoffbasis für eine Anode einer Bleikohlenstoffbatterie und die daraus gebildete aktive Schicht
CN104607061B (zh) 制备乙烯-四氟乙烯共聚物膜的方法
CN107234802B (zh) 偏二氯乙烯系树脂膜的制造方法以及用于该制造方法的注入液的再生方法
CN108636131A (zh) 亲水性多孔膜及其制备方法
KR20230063283A (ko) 폴리올레핀 미세 다공막 및 그 제조 방법
JP2008062227A (ja) 製膜原液、多孔膜及び多孔膜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