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746B1 - 차량 기동 기구 - Google Patents

차량 기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746B1
KR102361746B1 KR1020200077236A KR20200077236A KR102361746B1 KR 102361746 B1 KR102361746 B1 KR 102361746B1 KR 1020200077236 A KR1020200077236 A KR 1020200077236A KR 20200077236 A KR20200077236 A KR 20200077236A KR 102361746 B1 KR102361746 B1 KR 102361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witch
state
power switch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998A (ko
Inventor
유치 야마노우치
마사키 시타라
료 핫토리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10001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03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02Locking of control actuating or transmitting means
    • B60R25/003Locking of control actuating or transmitting means locking of control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prop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7Details of the switching means in starting circuits, e.g. relays or electronic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53Details concerning the inlet box or bowl in the vehicle car body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8Axially displaceable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5Autonomous dr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9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at the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0Driver interactions by driver ident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20Drive modes; Transition between modes
    • B60L2260/22Standstill, e.g. zero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20Drive modes; Transition between modes
    • B60L2260/26Transition between different drive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20Drive modes; Transition between modes
    • B60L2260/32Auto pilot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400/00Control systems adapted for specific engine types; Special features of engin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ower supply, connectors or cabling for engine control systems
    • F02D2400/08Redundant elements, e.g. two sensors for measuring the sam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03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 F02N11/0807Remote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실 내에 승객을 탑승시켜 주행하도록 구성된 차량 (10) 에 설치된 차량 기동 기구는, 차량 (10) 을 기동 상태와 휴지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 (30) 와, 차량 (10) 의 외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 (30) 를 갖는 스위치 박스 (40) 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10) 은, 자동 운전 기능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 기동 기구{VEHICLE START-UP MECHANISM}
본 명세서에서는 차량을 기동 상태와 휴지 (休止) 상태로 전환하는 차량 기동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차량을 기동 상태와 휴지 상태로 전환하는 기구로서 이그니션 스위치나 파워 스위치로 불리는 차량 기동 스위치가 차량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차량에서는, 운전석 주변에 차량 기동 스위치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구동원이 내연 기관인 경우에는, 차량 기동 스위치 (이그니션 스위치) 가 눌러짐으로써 정지 상태인 내연 기관이 기동되어 (처음 점화되어) 차량은 기동 상태가 된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35549호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이, 차량의 구동원으로서 회전 전기가 탑재된, 이른바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 자동차에서는, 차량 기동 스위치 (파워 스위치) 가 눌러짐으로써, 차재 배터리와 회전 전기를 잇는 고압 배선이 차단 상태에서 접속 상태가 된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200790호에서는, 예를 들어 빌딩 등의 경비 대상 시설 내를 자율 주행하는 자율 주행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이 차량은 섀시의 상방에 비상 정지 버튼이 설치된다.
그런데, 차량의 자동 운전 양태에 따라서는 운전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 운행 상태를 상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자동차 기술회 (SAE) 에 따른 기준에서는, 자동 운전 레벨 5 의 정의로서 운전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 완전 자동 운전이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운전 레벨 5 에서는, 버스 등의 승합형 차량이나 화물 차량에 있어서 운전자 부재인 상태에서의 차량 주행이 상정된다.
이와 같은 완전 자동 운전을 위해서 차량을 기동시킬 때 및 기동 후의 차량을 휴지시킬 때에, 그 운행 담당자가, 차 밖에서 본래 들어갈 필요가 없는 차실로 들어가 차량 기동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이 번잡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자동 운전 레벨 0 ∼ 레벨 4 에서는, 차량 운행의 일부 양태로 자동 운전이 실시되기는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운전자의 조작을 필요로 한다. 요컨대, 운전자가 차실로 들어가 차량을 조작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자동 운전 기능을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그 자동 운전의 레벨에 따른 차량의 기동 조작 및 휴지 조작을 하도록 구성된 차량 기동 기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차량 기동 기구이다. 상기 차량 기동 기구는, 차실 내에 승객을 탑승시켜 주행하도록 구성된 차량에 설치된다. 상기 차량 기동 기구는, 차량을 기동 상태와 휴지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와, 차량의 외표면에 설치되고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를 갖는 스위치 박스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은, 자동 운전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양태에 따르면, 차량 운행을 관리하는 운행 담당자는,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를 차 밖에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동 운전의 레벨이, 운전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 레벨 5 일 때에, 운행 담당자는 차실 내에 들어가지 않고, 차량의 기동 및 휴지의 전환 조작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차량 기동 기구는, 차량을 기동 상태와 휴지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제 2 차량 기동 스위치와 제어부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제어부는,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 및 제 2 차량 기동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와 오프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 신호 또는 상기 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기동 및 휴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어부는,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가 온 조작된 후에, 제 2 차량 기동 스위치가 온 조작된 것으로 휴지 상태인 차량을 기동 상태로 하게 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차량을 기동 상태와 휴지 상태로 전환할 때에, 차 밖의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의 조작에 더하여 제 2 차량 기동 스위치의 조작을 요구함으로써, 예를 들어 차량 운행에 운전자를 필요로 하는 자동 운전 레벨 0 ∼ 레벨 4 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적절한 차량의 기동 조작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제 2 차량 기동 스위치는 차실 내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운전자가 차 안에 들어간 후 차량 기동 및 차량 휴지가 가능해진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스위치 박스에는,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를 외부에 대하여 노출된 상태 및 피복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덮개 부재가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가 비와 눈에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스위치 박스에는, 덮개 부재에 대한 잠금/잠금 해제 유닛이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운행 담당자 등의 권한자 이외의 무권한자에 의한 장난에 따른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의 조작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스위치 박스는, 외부 충전용 충전 포트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외부의 충전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충전 인렛이,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와 함께 스위치 박스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외부 충전 기구와 차량 기동 기구를 단일 박스 내에 통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스위치 박스는 급유구 유닛을 겸하고 있어도 된다. 외부의 급유 노즐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퓨엘 인렛 파이프의 급유구가,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와 함께 스위치 박스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연료 급유 기구와 차량 기동 기구를 단일 박스 내에 통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스위치 박스는 차량의 배면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차량의 진행 방향과는 반대측에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가 배치되므로, 상기 스위치의 조작자의 안전이 도모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스위치 박스는 승강 도어의 개폐 영역을 회피한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승강 도어의 개폐에 영향 받지 않고,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스위치 박스는, 외부 충전용 충전 포트를 겸하고 있어도 되고, 외부의 충전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충전 인렛이,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와 함께 스위치 박스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차량 운행을 관리하는 운행 담당자는,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를 차 밖에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동 운전의 레벨이, 운전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 레벨 5 일 때에, 운행 담당자는 차실 내에 들어가지 않고, 차량의 기동 및 휴지의 전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구성에 따르면, 외부 충전 기구와 차량 기동 기구를 단일 박스 내에 통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그 자동 운전의 레벨에 따른 차량의 기동 조작 및 휴지 조작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특징들, 장점들, 그리고 기술적 및 산업적 중요성은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고, 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낸다.
도 1 은, 차량의 외관으로, 차량의 앞면 및 좌측면을 외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 는, 차량의 외관으로, 차량의 배면 및 우측면을 외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은, 차실 내 중앙에서 차량 전방을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스위치 박스가 충전 포트를 겸할 때의 스위치 박스의 내부 구성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기동 기구의, 특히 리드의 잠금 해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은, 스위치 박스가 급유구 유닛을 겸할 때의, 스위치 박스의 내부 구성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스위치 박스가 급유구 유닛을 겸할 때의, 리드의 잠금 해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 은, 차외 스위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차내 스위치, 차외 스위치, 제어부 및 회전 전기를 포함하는, 차량의 기동과 휴지 제어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 은, 차량의 기동 제어 플로를 예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1 은, 차량의 휴지 제어 플로를 예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기동 기구를 탑재한 차량 (10) 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도 1 ∼ 도 8 에 있어서, 차체 전후 방향이 기호 FR 로 표시되는 축으로 나타내어지고, 차 폭 방향이 기호 LH (LeftHand) 로 표시되는 축으로 나타내어지고, 차 높이 방향이 기호 UP 로 표시되는 축으로 나타내어진다. 차체 전후 축 FR 은 차체 전방 방향을 정방향으로 한다. 차 폭 축 LH 는 차 폭 방향 좌측을 정방향으로 한다. 또한 차 높이 축 UP 는 상방향을 정방향으로 한다. 이들 3 축은 서로 직교한다.
또 이하에서는, 특히 주석이 필요한 경우 등을 제외하고, 차체 전후 방향의 전방은 간단히 전방으로 기재되고, 차체 전후 방향의 후방은 간단히 후방으로 기재된다. 또한 차 높이 방향의 상방은 간단히 상방으로 기재되고, 차 높이 방향의 하방은 간단히 하방으로 기재된다.
<전체 구성>
우선, 도 1 ∼ 도 3 을 참조하여, 차량 (10) 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도 1, 도 2 에는, 차량 (10) 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예시되어 있다. 도 1 에서는, 차량 (10) 의 앞면 (프론트) 및 차량 좌측면이 표시된 사시도가 예시되어 있다. 도 2 에서는, 차량 (10) 의 배면 (리어) 및 차량 우측면이 표시된 사시도가 예시되어 있다.
이 차량 (10) 은, 자동 운전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미국의 자동차 기술회 (SAE) 에 따른 기준에 의거하여, 차량 (10) 은, 레벨 0 (운전자가 모든 조작을 실행한다) 부터 레벨 5 (완전 운전 자동화) 까지 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레벨 0 부터 레벨 3 까지는, 적어도 일부에서 운전자의 조작이 필요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레벨 4 (고도 자동 운전) 에서는, 한정 에어리어 내에서는 완전 자동 운전이 실행되지만, 한정 에어리어 밖에서는 운전자가 필요해진다. 또한 레벨 5 에서는, 어느 상황에서도 운전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 운전 (완전 자동 운전) 이 실행된다.
차량 (10) 은, 예를 들어 특정한 부지 내에서 규정된 루트를 따라 자동 운전으로 주행하면서, 차실 내에 승객을 탑승시켜 주행하는 합승 버스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당해 차량 (10) 에서는, 비교적 고빈도로 정차와 발진이 반복된다. 또한 당해 차량 (10) 에서는, 비교적 고빈도로 승객의 승강을 위해서 승강 도어 (12) 가 개폐된다. 또한, 이 차량 (10) 은, 비교적 저속 (예를 들어 30 km/h 이하) 으로 주행한다.
단,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차량 (10) 의 이용 형태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당해 차량 (10) 을, 이동 가능한 비즈니스 스페이스로서 이용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차량 (10) 은, 각종 상품을 진열 판매하는 소매점이나, 음식물을 조리해서 제공하는 음식점 등의 점포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다른 형태로서 차량 (10) 은, 사무 작업이나 고객과의 타협 등을 하기 위한 오피스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차량 (10) 은, 고객이나 화물을 수송하는 택시나 버스, 운송용 차량으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차량 (10) 의 이용 씬은, 비즈니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량 (10) 은, 개인의 이동 수단으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차량 (10) 의 주행 패턴이나 주행 속도도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이 차량 (10) 은, 예를 들어 구동 모터를 원동기로서 갖는 전기 자동차이다. 차량 (10) 에는, 이 구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배터리 (21) (도 2 참조) 가 탑재된다. 또, 차량 (10) 은, 전기 자동차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식의 자동차여도 된다. 예를 들어, 차량 (10) 은, 엔진 (내연 기관) 을 원동기로서 탑재한 엔진 자동차여도 되고, 엔진 및 구동 모터를 원동기로서 탑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여도 된다. 또한, 차량 (10) 은, 연료 전지로 발전 (發電) 시킨 전력으로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는 연료 전지 자동차여도 된다.
차량 (10) 은,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전후 대칭의 외관을 갖고 있다. 또한 차량 (10) 은, 보닛 및 트렁크를 갖고 있지 않으며, 전단면 및 후단면이 거의 연직으로 세워 형성되는 대략 박스 형상 (직방체 형상) 의 외형을 갖고 있다. 이 차량 (10) 의 전단 근방에는 1 쌍의 전륜 (25) 이 설치되고, 후단 근방에는 1 쌍의 후륜 (27) 이 설치되어 있다.
도 1 을 참조하여, 차량 (10) 의 좌측면에는 창인 사이드 유리 (14, 14)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량 (10) 의 좌측면 중앙에 승강 도어 (12, 12) 가 설치된다. 또 이 차량 (10) 은, 좌측 통행용 차량으로 되어 있다.
승강 도어 (12, 12) 는, 예를 들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개폐되는 양방 열림 슬라이드 타입의 도어이다. 또한, 승강 도어 (12, 12) 는 그 대부분이 유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차량 (10) 의 측면은 그 대부분이 유리로 덮여 있고, 나머지 부분에 외판 패널인 사이드 아우터 패널 (20) 이 설치된다.
도 1 을 참조하여, 차량 (10) 의 전단면에는, 윈도우 실드로서 기능하는 프론트 유리 (18) 가 설치된다. 또한 프론트 유리 (18) 의 하방에는, 외판 패널인 프론트 아우터 패널 (29) 이 설치된다. 프론트 아우터 패널 (29) 에는 1 쌍의 헤드 램프 (23, 23) (전조등) 가 설치된다.
도 2 를 참조하여, 차량 (10) 의 배면에는 그 상방에 리어 글래스 (16) 가 설치되고, 그 하방에는 외판 패널인 리어 아우터 패널 (22) 이 설치된다. 리어 아우터 패널 (22) 에는, 1 쌍의 테일 램프 (24, 24) (후조등) 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기동 기구의 일부인 스위치 박스 (40) 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리어 아우터 패널 (22) 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그 개구에 끼워 넣어지도록 하여 테일 램프 (24, 24) 및 스위치 박스 (40) 가 설치된다. 스위치 박스 (40) 는 사람의 액세스가 가능해지도록, 예를 들어 지상에서부터 50 cm 이상 2 m 이하의 범위에 설치된다. 스위치 박스 (40) 의 상세함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 에는, 차량 (10) 의 차실 내로, 차량 중앙에서 차량 전방을 보았을 때의 사시도가 예시되어 있다. 차실 앞부에는, 프론트 유리 (18) 의 좌하단에 미터 패널 (26) 이 설치된다. 미터 패널 (26) 에는 차량 속도나 순행 루트 등이 표시된다. 또한, 차실 전방 좌측에는, 조작 패널 (28) 이 설치된다. 조작 패널 (28) 은, 운전자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운전 레벨로 레벨 0 부터 레벨 4 까지의 어느 운전 레벨이 차량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운전자가 차량 (10) 에 탑승하여 운전을 실시한다.
또한, 자동 운전 레벨로 레벨 5 인, 본래 운전자가 필요하지 않은 자동 운전 레벨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여도, 차실 내의 감시나, 레벨 0 부터 레벨 4 까지의 운전 레벨로의 전환이 가능해지도록, 차 안에 운전자가 대기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차실 내의 조작 스페이스, 요컨대 조작 패널 (28) 및 미터 패널 (26) 의 주변에는, 차내 파워 스위치 (32) (제 2 차량 기동 스위치) 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조작 패널 (28) 이 설치된 조작 탁상에 차내 파워 스위치 (32) 가 설치된다.
차내 파워 스위치 (32) (제 2 차량 기동 스위치) 는, 도 4 에 예시된 차외 파워 스위치 (30) 와 마찬가지로, 차량 (10) 을 주행할 수 있는 상태 (기동 상태) 와 주행할 수 없는 상태 (휴지 상태) 로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치이다.
예를 들어 차량 (10) 의 구동원이 엔진 (내연 기관) 인 경우에는, 차량이 주행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휴지 중에, 차외 파워 스위치 (30) 및 차내 파워 스위치 (32) 의 어느 한쪽이 눌러짐으로써, 휴지 상태인 내연 기관이 기동되어 (처음 점화되어), 차량은 주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차량 (10) 의 구동원으로서 회전 전기가 탑재된, 이른바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 자동차에서는, 차량의 휴지 중에 차외 파워 스위치 (30) 및 차내 파워 스위치 (32) 의 어느 한쪽이 눌러짐으로써, 메인 배터리 (21) (도 2 참조) 와 회전 전기를 잇는 고압 배선이 차단 상태에서 접속 상태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차량 (10) 이 주행 가능한 상태, 요컨대 기동 상태에 있을 때에는, 조작 패널 (28) 에는 「READY」의 문자가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차외 파워 스위치 (30) 및 차내 파워 스위치 (32) 의 어느 한쪽이 눌러지면, 조작 패널 (28) 로부터 「READY」의 문자가 없어져 차량 (10) 이 주행 불가능한 상태, 요컨대 휴지 상태가 된다.
차외 파워 스위치 (30) 및 차내 파워 스위치 (32) 와 같은 물리 스위치가 차량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 등으로 원격으로 차량의 기동을 도모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예를 들어 후자가 통신 환경 등에 좌우된다는 점에서 확실하게 차량을 기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차량 기동의 트리거를 차외 파워 스위치 (30) 및 차내 파워 스위치 (32) 의 양자로 좁힘으로써, 예를 들어 다수의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차량 (10) 의 기동이 가능해지는 경우와 비교해서, 오조작에 의한 차량의 기동/휴지의 전환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4 및 도 6 에서는, 차외 파워 스위치 (30) 를, 이른바 푸시식 스위치로 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외 파워 스위치 (30) 가 키 실린더식 스위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차외 파워 스위치 (30) 에는, 메카니컬 키가 삽입되는 열쇠 구멍 (31) 이 형성된다. 열쇠 구멍 (31) 에, 당해 열쇠 구멍의 형상에 적합한 메카니컬 키가 삽입되면, 열쇠 구멍 (31) 및 이를 구비하는 실린더 기구가 회전 운동 가능해진다. 실린더 기구를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당해 실린더 기구를 오프 위치와 온 위치로 회전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실린더 기구를 오프 위치에서 온 위치로 회전 운동시키도록 메카니컬 키를 비틀음으로써, 차량 (10) 이 주행 불가능한 상태 (휴지 상태) 에서 주행 가능한 상태 (기동 상태) 로 기동된다.
이와 같이 차외 파워 스위치 (30) 를, 키 실린더식 스위치로 함으로써, 차량의 기동에 메카니컬 키가 필요해지고, 관리자나 운행 담당자 (책임자) 이외의 무권한자에 의한 차외 파워 스위치 (30) 에 의한 차량 기동/휴지가 억제된다.
<차량 기동 기구의 구성>
도 4 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기동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 기동 기구는, 스위치 박스 (4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위치 박스 (40) 에는 차외 파워 스위치 (30)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 가 설치된다.
도 2 를 참조하여, 스위치 박스 (40) 는 차량 외표면을 구성하는 리어 아우터 패널 (22) 에 장착된다. 또한, 이것 대신에 스위치 박스 (40) 가, 사이드 아우터 패널 (20) 에 장착되어도 된다. 스위치 박스 (40) 가, 차량의 배면 또는 측면, 요컨대 차량의 진행 방향을 회피하여 설치됨으로써, 차외 파워 스위치 (30) 의 조작자의 안전이 도모된다.
또, 특히 차량의 좌측면 (도 1 참조) 에 스위치 박스 (40) 를 설치할 때에는, 승강 도어 (12, 12) 의 개폐에 영향 받지 않고 차외 파워 스위치 (30) 의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스위치 박스 (40) 는 승강 도어 (12, 12) 의 개폐 영역을 회피한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승강 도어 (12, 12) 의 개폐 영역이란, 승강 도어 (12, 12) 의 개방시에 차지하는 영역과, 폐지시에 차지하는 영역과, 개방시와 폐지시로 이행될 때에 차지하는 영역이 포함된다.
도 4 로 되돌아와, 스위치 박스 (40) 는, 차 폭 방향 내측에 움푹패인 트레이 부재인 리드 박스 (42) 와, 덮개 부재인 리드 (44) 를 구비한다. 리드 박스 (42) 및 리드 (44) 는, 예를 들어 리어 아우터 패널 (22) 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된다.
리드 (44) 는 힌지 기구 (49) 를 개재하여 리드 박스 (42) 에 장착된다. 리드 (44) 는 힌지 기구 (49) 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드 (44) 는, 차외 파워 스위치 (30) 를 외부에 대하여 노출시키는 개방 상태 (도 4 의 상태) 와, 차외 파워 스위치 (30) 를 외부에 대하여 피복 (차폐) 하는 폐지 상태 (도 2 의 상태) 로 회전 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힌지 기구 (49) 는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등의 탄성 지지 수단을 갖고 있고, 이로써 리드 (44) 는 열림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폐지 상태에 있어서, 리드 (44) 는 후술하는 로크 핀 (45) 에 걸어 맞춰져 있고, 당해 걸어 맞춤시에는 리드 (44) 의 열림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리드 (44) 에 의해 차외 파워 스위치 (30) 가 피복됨으로써, 차외 파워 스위치 (30) 가 비와 눈에 노출되지 않는다.
리드 (44) 는 외측 부재인 리드 아우터 (46) 와 내측 부재인 리드 이너 (48) 를 구비한다. 리드 이너 (48) 의 일부는 리드 아우터 (46) 에 대하여 똑바로 굽혀져 걸림부 (50) 가 된다. 걸림부 (50) 는, 로크 핀 (45) 이 삽입되는 걸림 구멍 (52) 과, 로크 핀 (45) 의 선단을 받는 스토퍼 (54) 를 구비한다. 리드 (44) 가 리드 박스 (42) 를 덮도록 폐지되고, 걸림부 (50) 의 걸림 구멍 (52) 에 로크 핀 (45) 이 삽입되면, 스위치 박스 (40) 는 잠금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리드 (44) 가 폐지되어 잠금 상태가 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차외 파워 스위치 (30) 의 액세스가 금지된다. 이로써, 관리자나 운행 담당자 (책임자) 이외의 무권한자에 의한 차외 파워 스위치 (30) 에 대한 액세스가 억제된다.
덮개 부재인 리드 (44) 에 대한 잠금/잠금 해제 유닛으로서 로크 핀 (45) 및 로크 기구 (47) 가 설치된다. 로크 핀 (45) 은, 리드 박스 (42) 의 힌지 기구 (49) 와는 대향하는 측면 (42A) 에 설치된다. 로크 핀 (45) 은, 그 길이 방향 을 따라 진퇴할 수 있게 있고, 스프링 등의 탄성 지지 부재에 의해 신장 (伸長) 상태로 탄성 지지된다. 또한, 로크 핀 (45) 은 로크 기구 (47) 와 접속된다. 로크 기구 (47) 가 작동하면, 탄성 지지 부재에 저항하여, 로크 핀 (45) 이 신장 상태에서 축퇴 (縮退) 상태로 되돌려진다. 이로써 로크 핀 (45) 이 걸림 구멍 (52) 으로부터 빠져나와 잠금 해제 상태가 되어, 리드 (44) 가 해방된다.
또, 도 4 의 형태에서는, 스위치 박스 (40) 는 충전 포트도 겸하고 있다. 즉, 스위치 박스 (40) 에는, 차외 파워 스위치 (30) 와 함께 충전 인렛 (60) 이 설치된다. 충전 인렛 (60) 은, 외부의 충전 커넥터 (도시하지 않음) 를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 형태에서는, 리드 박스 (42) 의 판면에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고, 각 개구에 차외 파워 스위치 (30) 및 충전 인렛 (60) 이 끼워 넣어진다. 또, 도시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도 4 에서는 충전 인렛 (60) 에 장착되는 인렛 커버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충전 인렛 (60) 과 차외 파워 스위치 (30)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 가 단일 박스 내에 수용됨으로써, 따로 따로 박스를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차량의 부품 점수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4 에서는, 단일 충전 인렛 (60) 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급속 충전용 충전 인렛과 통상 충전용 충전 인렛의 2 종류의 충전 인렛 (60) 이 리드 박스 (42) 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당해 2 종류의 충전 인렛 (60) 에 더하여 차외 파워 스위치 (30) 가 스위치 박스 (40) 에 설치된다.
도 5 에는, 리드 (44) 의 잠금 해제 시스템이 예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운전자, 운행 담당자, 관리자 등의 차량 (10) 운전의 권한자가 소유하는 스마트 키 (80) 를 사용하여, 리드 (44) 가 잠금 해제된다. 이 잠금 해제 시스템은, 스마트 키 (80), 통신 ECU (82), 인증 ECU (84), 충전 ECU (86) 및 스위치 박스 (4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마트 키 (80) 는, 승강 도어 (12) 나 리드 (44) 의 잠금 해제 및 잠금을, 원격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고)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이다. 스마트 키 (80) 에는, 승강 도어 (12) 에 대한 도어 잠금 스위치 (80A) 및 도어 잠금 해제 스위치 (80B) 가 설치된다. 또한 스마트 키 (80) 에는, 스위치 박스 (40) 의 리드 (44) 에 대한 로크 해제 스위치 (80C) 가 설치된다. 이들 스위치가 눌러지면 스마트 키 (80) 는 전파를 발신한다. 예를 들어 이들 스위치가 눌러지면, 스마트 키 (80) 로부터 각 스위치에 대응되는 동작 지령 (리드 잠금 해제 지령 등) 과, 스마트 키 (80) 의 식별 신호 (키 ID) 가 포함되는 전파가 발신된다.
통신 ECU (82), 인증 ECU (84) 및 충전 ECU (86) 는 모두 차량 (10) 의 전자 컨트롤 유닛으로, 차량 (10) 에 탑재된다. 이들 ECU 는 모두 예를 들어 컴퓨터로 구성된다. 도 5 를 참조하여, 통신 ECU (82), 인증 ECU (84) 및 충전 ECU (86) 는, CPU (1), ROM (2), RAM (3)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 (4) 를 구비하며, 이것들이 내부 버스 (7) 에 접속된다. 또한 이들 ECU 는, 외부 기기와의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입출력 컨트롤러 (6) 를 구비하며, 이것도 내부 버스 (7) 에 접속된다.
통신 ECU (82) 는 수신한 신호를 기타 ECU 에 할당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인증 ECU (84) 는, 통신 ECU (82) 가 수신한 키 ID 가, 차량 (10) 에 대한 관리 권한이 부여된 식별 기호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충전 ECU (86) 는, 차량 (10) 의 외부 충전을 관리하는 기능을 갖는다. 게다가 충전 ECU (86) 는, 충전 포트를 겸하는 스위치 박스 (40) (도 4 참조) 의, 리드 (44) 와 로크 핀 (45) 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지령을, 로크 기구 (47) 에 출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스마트 키 (80) 의 로크 해제 스위치 (80C) 가 눌러지면, 스마트 키 (80) 로부터 키 ID 와 리드 잠금 해제 지령이 송신된다. 송신된 신호는 통신 ECU (82) 에 수신된다. 통신 ECU (82) 는 리드 잠금 해제 지령을 충전 ECU (86) 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 ECU (82) 는 키 ID 를 인증 ECU (84)에 송신한다.
인증 ECU (84) 는 키 ID 의 인증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인증 ECU (84) 의 HDD (4) 에는, 차량 (10) 에 대한 관리 권한이 부여된 키 ID 가 기억된다. 인증 ECU (84) 는, 수신한 키 ID 와 기억된 키 ID 를 비교해서, 수신한 키 ID 는 관리 권한이 부여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한 키 ID 가 관리 권한이 부여된 것임이 확인되면, 인증 ECU (84) 는 인증이 완료된 신호를 충전 ECU (86) 에 송신한다. 충전 ECU (86) 는, 인증이 완료된 신호 및 리드 잠금 해제 지령을 받고, 로크 기구 (47) (도 4 참조) 를 작동시킨다. 이로써 스위치 박스 (40) 의 로크 핀 (45) 이 신장 상태에서 축퇴 상태로 변위되고, 걸림 구멍 (52) 으로부터 로크 핀 (45) 이 빠진다. 이로써 리드 (44) 가 개방 상태가 되어, 차외 파워 스위치 (30) 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액세스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차 밖에 파워 스위치가 설치됨으로써, 예를 들어 차량 (10) 의 자동 운전 레벨로서 운전자가 부재여도 차량 운행이 가능한 레벨 5 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 운행 담당자나 관리자가 차실 내에 들어가 차량 (10) 의 기동/휴지의 전환 제어를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 차량 (10) 주행 중에는 차외 파워 스위치 (30) 의 조작을 금지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충전 ECU (86) 는, 인증이 완료된 신호 및 리드 잠금 해제 지령을 받고도,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로크 기구 (47) 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충전 ECU (86) 는 도시되지 않은 차속 센서와 접속되어, 차속이 소정 속도 이상 (예를 들어 시속 15 km 이상) 일 때에는, 충전 ECU (86) 는 로크 기구 (47) 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만일 스마트 키 (80) 의 전원이 끊긴 경우를 상정하고, 리드 (44) 에 로크 핀 (45) 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기 위한 열쇠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열쇠 구멍에 메카니컬 키를 삽입하여 당해 키를 돌림으로써, 로크 핀 (45) 이 축퇴되어 리드 (44) 가 해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의 외표면으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차외 파워 스위치 (30) 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운전자가 불필요해지는 자동 운전 실시시에, 차실 내에 들어가 파워 스위치를 조작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차외 파워 스위치 (30) 가 리드 (44) 에 의해 폐지되고, 또한 리드 (44) 및 로크 핀 (45) 에 의해 잠금되어 있으므로, 무권한자의 차외 파워 스위치 (30) 에 대한 액세스가 제한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리드 (44) 의 잠금 해제 조작이 스마트 키 (80) 로 실행되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운행 담당자나 관리자가 소유하는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을 사용하여, 리드 (44) 의 잠금 해제 조작이 실행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의 표시 화면에, 스마트 키 (80) 의 도어 잠금 스위치 (80A), 도어 잠금 해제 스위치 (80B) 및 로크 해제 스위치 (80C) 와 동일 기능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로크 해제 스위치 (80C) 의 아이콘이 탭되면, 휴대 단말로부터 키 ID 및 리드 잠금 해제 지령이 송신되고, 통신 ECU (82) 에 수신된다.
<본 실시형태의 차량 기동 기구의 다른 예>
도 6 에는, 도 4 와는 다른 실시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도 4 와의 차이점으로서, 도 6 에서는 스위치 박스 (40) 가 급유 유닛을 겸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충전 인렛 (60) 대신에, 외부의 급유 노즐을 삽입할 수 있는 퓨엘 인렛 파이프 (70) 가 스위치 박스 (40) 에 설치된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적절히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도 7 에는, 도 5 와는 다른 실시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도 5 와의 차이점으로서, 도 7 에서는 충전 ECU (86) 대신에 급유 ECU (88) 가 설치된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적절히 설명이 생략된다.
도 6, 도 7 의 예에서는, 차량 (10) 은 엔진 (내연 기관) 이 원동기로서 탑재된 엔진 자동차여도 된다.
도 6 을 참조하여, 스위치 박스 (40) 에는, 퓨엘 인렛 파이프 (70) 의 급유구 (72) 가, 차외 파워 스위치 (30) 와 함께 스위치 박스 (40) 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 박스 (40) 의 리드 박스 (42) 에는, 퓨엘 인렛 파이프 (70) 가 장착된다. 예를 들어 리드 박스 (42) 에 형성된 개구에 퓨엘 인렛 파이프 (70) 가 끼워 넣어진다. 리드 (44) 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퓨엘 인렛 파이프 (70) 의 단부인 급유구 (72) 의, 외부로부터의 액세스가 가능해진다. 또 도 6 에서는, 도시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퓨엘 캡이 생략된다.
도 7 을 참조하여, 급유 ECU (88) 는, 차량 (10) 의 전자 컨트롤 유닛으로서, 차량 (10) 에 탑재된다. 급유 ECU (88) 는, 예를 들어 컴퓨터로 구성되고, 기타 ECU 와 마찬가지로 CPU (1), ROM (2), RAM (3),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 (4) 및 입출력 컨트롤러 (6) 를 구비하며, 이것들이 내부 버스 (7) 에 접속된다.
스마트 키 (80) (또는 운행 담당자나 관리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 로부터 로크 해제 스위치 (80C) 가 눌러지면, 통신 ECU (82) 를 통해서 리드 잠금 해제 지령이 급유 ECU (88) 에 보내진다. 또한 급유 ECU (88) 에는 인증 ECU (84) 로부터 인증이 완료된 신호가 보내진다.
급유 ECU (88) 는, 인증이 완료된 신호 및 리드 잠금 해제 지령을 받고, 로크 기구 (47) (도 6 참조) 를 작동시킨다. 이로써 스위치 박스 (40) 의 로크 핀 (45) 이 신장 상태에서 축퇴 상태로 변위되고, 걸림 구멍 (52) 으로부터 로크 핀 (45) 이 빠진다. 이로써 리드 (44) 가 개방 상태가 되어, 차외 파워 스위치 (30) 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액세스가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차량 기동 기구의 또 다른 예>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차외 파워 스위치 (30) 및 차내 파워 스위치 (32) 의 어느 한쪽이 눌러짐으로써 차량의 기동 및 휴지의 전환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차외 파워 스위치 (30) 및 차내 파워 스위치 (32) 의 양방이 눌러짐으로써, 차량 (10) 의 기동 및 휴지의 전환이 가능하게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차량 (10) 의 자동 운전 레벨이 레벨 0 ∼ 레벨 4 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운전자를 필요로 하는 부분적인 자동 운전이 실행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차실 내에 운전자가 탑승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승합형 차량 (10) 에서는, 장난 등의 목적으로 관리자나 운행 담당자 (책임자) 이외의 무권한자에 의해 차내 파워 스위치 (32) 가 조작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운전자의 동승이 필요한 기능이 선택될 때에, 운전자에 의한 기동/휴지 조작을 요구하고, 또한, 무권한자에 의한 차량 기동/휴지를 억제시킬 목적으로, 차외 파워 스위치 (30) 에 더하여 차내 파워 스위치 (32) 의 양방이 눌러지지 않으면, 차량 (10) 의 기동 및 휴지의 전환을 할 수 없는 제어를 실행해도 된다.
도 9 를 참조하여, 차량 (10) 에는 제어부 (90) 가 설치된다. 제어부 (90) 는, 차외 파워 스위치 (30) 및 차내 파워 스위치 (32) 의 온/오프 신호를 수신함과 함께, 차량의 기동 (주행 불가능한 상태에서 주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것) 및 휴지 (주행 가능한 상태에서 주행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것) 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9 에는, 차량 (10) 이, 구동원으로서 회전 전기가 탑재된 전기 자동차인 경우의 제어부 (90) 주위의 블록도가 예시되어 있다. 제어부 (90) 는, 예를 들어 도 5 의 통신 ECU (82), 인증 ECU (84) 및 충전 ECU (86) 와 동일하게 하여, CPU (1), ROM (2), RAM (3),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 (4) 및 입출력 컨트롤러 (6) 등의 회로 기판이 내부 버스 (7) 에 접속된, 컴퓨터로 구성된다.
이 제어부 (90) 에는, 차량의 기동/휴지의 전환시에, 스위치 조작 설정부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스위치 조작 설정부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4) 의 기억 영역 일부가 할당된다. 이 스위치 조작 설정부에서는, 차외 파워 스위치 (30) 및 차내 파워 스위치 (32) 의 일방의 온 조작으로 당해 전환 제어를 실행할지, 또는 상기 전환 제어의 실행에는 차외 파워 스위치 (30) 및 차내 파워 스위치 (32) 의 양자의 온 조작을 필요로 할지, 스위치 조작의 설정이 기억된다.
예를 들어, 조작 패널 (28) 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 조작 설정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차량 (10) 의 자동 운전 제어로서 레벨 0 ∼ 레벨 4 중 어느 것이 선택된 경우에는, 차량의 기동/휴지의 전환 제어에 있어서, 차외 파워 스위치 (30) 및 차내 파워 스위치 (32) 의 양자의 온 조작을 필요로 하는 설정 (설정 2) 으로 스위치 조작 설정이 정해진다. 또한, 자동 운전 제어로서 레벨 5 가 선택된 경우에는, 차량의 기동/휴지의 전환 제어에 있어서, 차외 파워 스위치 (30) 및 차내 파워 스위치 (32) 의 일방의 온 조작으로 완료되는 설정 (설정 1) 으로 정해진다.
또는, 자동 운전의 레벨에 관계 없이 스위치 조작 설정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운전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 레벨 5 여도, 예를 들어 차량 (10) 의 시운전시에는, 운전자의 동승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자동 운전의 레벨에 관계 없이 차량의 기동/휴지의 전환 제어에 있어서, 차외 파워 스위치 (30) 및 차내 파워 스위치 (32) 의 양자의 온 조작을 필요로 하는 설정 (설정 2) 으로 스위치 조작 설정이 정해진다.
설정 2 와 같이 차량의 기동/휴지의 전환 제어에 있어서, 차외 파워 스위치 (30) 및 차내 파워 스위치 (32) 의 양자의 온 조작을 필요로 하는 설정으로 스위치 조작 설정이 정해진다. 이 때, 운전자, 관리자 또는 운행 담당자 (책임자) 등의 권한자에 의해, 상기 서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드 (44) (도 8 참조) 와 로크 핀 (45) 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지령이, 로크 기구 (47) 에 출력된다. 리드 (44) 가 개방되면, 상기 권한자는, 지참한 메카니컬 키를 차외 파워 스위치 (30) 의 열쇠 구멍 (31) 에 꽂아 ON 위치로 돌린다. 예를 들어 메카니컬 키를 열쇠 구멍 (31) 에 꽂은 상태에서 당해 키를 90 도 시계 방향으로 비튼다. 이로써 차외 파워 스위치 (30) 로부터 제어부 (90) 에 온 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메카니컬 키가 ON 위치로 돌려진 상태에서 리드 (44) 가 폐지된다.
또한 상기 권한자는 차 안에 들어가, 차내 파워 스위치 (32) 를 누른다. 두 스위치가 온 조작됨으로써, 차내 파워 스위치 (32) 로부터 제어부 (90) 에 온 신호가 송신된다. 제어부 (90) 는 이것을 받고, 차량 (10) 을 주행 불가능한 상태에서 주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한다 (기동시킨다). 이 전환에 따라, 조작 패널 (28) 에는 「READY」의 문자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차량 (10) 을 주행 불가능한 상태에서 주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때에, 메인 배터리 (21) 와 회전 전기 (106) 를 잇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 (SMR) 가, 제어부 (90) 에 의해 차단 상태에서 접속 상태로 전환된다. 이로써 메인 배터리 (21) 의 전력이, 승강압 DC/DC 컨버터 (102) 및 인버터 (104) 를 통해서 구동원인 회전 전기 (106) 에 보내진다. 또한 회전 전기 (106) 에 의한 구동력이 차륜 (108) (예를 들어 후륜) 에 전달된다.
또한, 주행 가능한 상태인 차량을 주행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휴지시에는, 상기 권한자는, 먼저 차내 파워 스위치 (32) 를 누른다. 이로써 차내 파워 스위치 (32) 로부터 제어부 (90) 에 오프 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권한자는 차 밖으로 나와, 로크 기구 (47) 에 대하여 잠금 해제 지령을 출력한다. 잠금 해제 지령에 따라 리드 (44) 가 개방되면, 상기 권한자는, 열쇠 구멍 (31) 에 꽂아진 메카니컬 키를 돌려 열쇠 구멍 (31) 을 OFF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 때, 차외 파워 스위치 (30) 로부터 제어부 (90) 에 오프 신호가 송신된다.
이와 같이 차내 파워 스위치 (32) 및 차외 파워 스위치 (30) 가 오프 조작됨으로써, 제어부 (90) 는, 차량 (10) 을 주행 가능한 상태에서 주행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한다. 이 전환에 따라, 조작 패널 (28) 로부터 「READY」의 문자가 없어져 차량 (10) 이 주행 불가능한 상태, 요컨대 휴지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차량 (10) 을 주행 가능한 상태에서 주행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때에, 메인 배터리 (21) 와 회전 전기 (106) 를 잇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 (SMR) 가, 제어부 (90) 에 의해 접속 상태에서 차단 상태로 전환된다.
도 10 에는, 제어부 (90) 에 의한 차량의 기동 제어 플로가 기재되어 있다. 도 9, 도 10 을 참조하여, 제어부 (90) 는, 차외 파워 스위치 (30) 가 온 조작되었을 때, 예를 들어 열쇠 구멍 (31) 이 온 위치로 회전 운동되었을 때에, 차외 파워 스위치 (30) 로부터 온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90) 는 스위치 조작 설정부 (도시하지 않음) 를 참조한다.
또한 제어부 (90) 는, 스위치 조작 설정부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것이, 차량의 기동/휴지의 전환 제어에 있어서, 차외 파워 스위치 (30) 및 차내 파워 스위치 (32) 의 일방의 온 조작으로 완료되는 설정 (설정 1) 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0).
스위치 조작 설정부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것이 설정 1 인 경우에, 제어부 (90) 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 (SMR) 를, 차단 상태에서 접속 상태로 전환한다. 이로써 차량 (10) 이 주행 불가능한 상태에서 주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S14).
한편, 스위치 조작 설정부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것이 설정 2 인 경우에, 제어부 (90) 는, 차외 파워 스위치 (30) 가 온 조작된 후에, 차내 파워 스위치 (32) 가 온 조작되어 있는지 (눌러져 있는지) 의 여부를 판정한다 (S12). 차내 파워 스위치 (32) 가 눌러져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 (90) 는 차량 (10) 의 기동을 유보한다.
스텝 S12 에서 차내 파워 스위치 (32) 가 눌러져 있는 경우, 요컨대 차내 파워 스위치 (32) 로부터 온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 (90) 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 (SMR) 를, 차단 상태에서 접속 상태로 전환한다. 이로써 차량 (10) 이 주행 불가능한 상태에서 주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S14). 바꿔 말하면, 제어부 (90) 에 의해 휴지 상태인 차량 (10) 이 주행 가능한 상태로 기동된다.
도 11 에는, 제어부 (90) 에 의한 차량의 휴지 제어 플로가 기재되어 있다. 도 9, 도 11 을 참조하여, 제어부 (90) 는, 차내 파워 스위치 (32) 가 오프 조작되었을 때, 차내 파워 스위치 (32) 로부터 오프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90) 는 스위치 조작 설정부 (도시하지 않음) 를 참조한다. 또한 제어부 (90) 는, 스위치 조작 설정부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것이, 차량의 기동/휴지의 전환 제어에 있어서, 차외 파워 스위치 (30) 및 차내 파워 스위치 (32) 의 일방의 온 조작으로 완료되는 설정 (설정 1) 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20).
스위치 조작 설정부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것이 설정 1 인 경우에, 제어부 (90) 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 (SMR) 를, 접속 상태에서 차단 상태로 전환한다. 이로써 차량 (10) 이 주행 가능한 상태에서 주행 불가능한 상태 (휴지 상태) 로 전환된다 (S24).
한편, 스위치 조작 설정부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것이 설정 2 인 경우에, 제어부 (90) 는, 차내 파워 스위치 (32) 가 오프 조작된 후에, 차외 파워 스위치 (30) 가 오프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22). 차외 파워 스위치 (30) 가 오프 조작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 (90) 는 차량 (10) 의 휴지를 유보하고, 차량 (10) 의 주행 가능 상태를 유지한다.
스텝 S22 에서 차외 파워 스위치 (30) 가 오프 조작된 경우, 제어부 (90) 는, 차외 파워 스위치 (30) 로부터 오프 신호를 수신한다. 이것을 받고 제어부 (90) 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 (SMR) 를, 접속 상태에서 차단 상태로 전환한다. 이로써 차량 (10) 이 주행 가능한 상태에서 주행 불가능한 상태 (휴지 상태) 로 전환된다 (S24).
<파워 스위치의 다른 예>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10) 의 기동/휴지를 전환하는 파워 스위치로서 차외 파워 스위치 (30) 및 차내 파워 스위치 (32) 가 설치되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내 파워 스위치 (32) 대신에, 리모트 컨트롤러나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에, 차량 (10) 의 기동/휴지를 전환하는 파워 스위치 기능 (제 2 차량 기동 스위치) 을 지니게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차량 (10) 으로부터 떨어진 영역에 설치된 기지국으로부터 차량 (10) 에 대하여 차량 (10) 의 기동/휴지를 전환하는 지령을 송신해도 된다. 또한, 운전자, 관리자, 운행 담당자 (책임자) 등의 권한자가 휴대하는 스마트 폰으로부터 차량 (10) 의 기동/휴지를 전환하는 지령을 송신해도 된다.

Claims (10)

  1. 차실 내에 승객을 탑승시켜 주행하도록 구성된 차량 (10) 에 설치되는, 차량 기동 기구로서,
    차량 (10) 을 기동 상태와 휴지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 (30) 로서, 상기 차량 (10) 은 자동 운전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상기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 (30) ;
    차량 (10) 의 외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 (30) 를 갖는 스위치 박스 (40) 로서, 외부 충전용 충전 포트를 겸하고 있는, 상기 스위치 박스 (40) ; 및
    외부의 충전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충전 인렛 (60) 으로서, 상기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 (30) 와 함께 상기 스위치 박스 (40) 에 설치되는, 상기 충전 인렛 (60)
    을 포함하는, 차량 기동 기구.
  2. 차실 내에 승객을 탑승시켜 주행하도록 구성된 차량 (10) 에 설치되는, 차량 기동 기구로서,
    차량 (10) 을 기동 상태와 휴지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 (30) 로서, 상기 차량 (10) 은 자동 운전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상기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 (30) ;
    차량 (10) 의 외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 (30) 를 갖는 스위치 박스 (40) 로서, 급유구 유닛을 겸하고 있는, 상기 스위치 박스 (40) ; 및
    외부의 급유 노즐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퓨엘 인렛 파이프 (70) 의 급유구 (72) 로서, 상기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 (30) 와 함께 상기 스위치 박스 (40) 에 설치되는, 상기 퓨엘 인렛 파이프 (70) 의 급유구 (72)
    를 포함하는, 차량 기동 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차량 (10) 을 기동 상태와 휴지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제 2 차량 기동 스위치 (32) ; 및
    제어부 (9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 (90) 는,
    상기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 (30) 및 상기 제 2 차량 기동 스위치 (32) 로부터 온 신호와 오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온 신호 또는 상기 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10) 의 기동 및 휴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 (30) 가 온 조작된 후에, 상기 제 2 차량 기동 스위치 (32) 가 온 조작된 것으로 휴지 상태인 차량 (10) 을 기동 상태로 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기동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량 기동 스위치 (32) 는 차실 내에 설치되는, 차량 기동 기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박스 (40) 에는, 상기 제 1 차량 기동 스위치 (30) 를 외부에 대하여 노출된 상태 및 피복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덮개 부재 (44) 가 설치되는, 차량 기동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박스 (40) 에는, 상기 덮개 부재 (44) 에 대한 잠금/잠금 해제 유닛 (45 ; 47) 이 설치되는, 차량 기동 기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박스 (40) 는, 차량 (10) 의 배면에 설치되는, 차량 기동 기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박스 (40) 는, 승강 도어 (12) 의 개폐 영역을 회피한 위치에 설치되는, 차량 기동 기구.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77236A 2019-06-28 2020-06-24 차량 기동 기구 KR102361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21478A JP7238641B2 (ja) 2019-06-28 2019-06-28 車両起動機構
JPJP-P-2019-121478 2019-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998A KR20210001998A (ko) 2021-01-06
KR102361746B1 true KR102361746B1 (ko) 2022-02-10

Family

ID=7157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236A KR102361746B1 (ko) 2019-06-28 2020-06-24 차량 기동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51865B2 (ko)
EP (1) EP3760857A1 (ko)
JP (1) JP7238641B2 (ko)
KR (1) KR102361746B1 (ko)
CN (1) CN112145329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9719A (ja) 2000-03-07 2001-09-14 Atex Co Ltd 作業車の走行制御装置
JP2010222108A (ja) * 2009-03-24 2010-10-07 Honda Motor Co Ltd 作業用車輌
JP2015056134A (ja) 2013-09-13 2015-03-23 日立建機株式会社 自律走行制御システム
US20170057520A1 (en) 2015-08-31 2017-03-02 Uber Technologies, Inc. Control system for autonomous-capable vehicles
US20190061688A1 (en) 2017-08-25 2019-02-2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driverless transport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7933A (en) * 1997-08-07 1998-11-17 Fligelman; Kenneth H. Corrosion proof kill switch
JP4130368B2 (ja) 2003-01-23 2008-08-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
JP4680813B2 (ja) * 2006-03-28 2011-05-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艇
CN201802537U (zh) * 2010-07-26 2011-04-20 浙江吉利汽车有限公司 启动机控制电路
JP5100804B2 (ja) * 2010-09-13 2012-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始動制御ユニット、及びそれに対する始動指令信号発生装置
CN103081246B (zh) * 2010-09-29 2015-09-09 铃木株式会社 充电连接器
JP5467533B2 (ja) * 2011-02-17 2014-04-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始動システム
JP5660022B2 (ja) 2011-12-27 2015-0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ケーブルロック制御システム、車載装置、および、給電装置
JP2014135870A (ja) * 2013-01-11 2014-07-24 Tokai Rika Co Ltd 車載システム
CN203685449U (zh) * 2014-01-24 2014-07-02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室外启停控制系统
JP6527335B2 (ja) * 2015-01-14 2019-06-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運転車両
JP6515764B2 (ja) * 2015-09-28 2019-05-22 株式会社デンソー 対話装置及び対話方法
CN205131149U (zh) * 2015-10-22 2016-04-06 安徽华菱汽车有限公司 一种车辆及启动熄火控制系统
JP2017151703A (ja) * 2016-02-24 2017-08-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運転装置
GB2548581B (en) * 2016-03-22 2019-06-26 Jaguar Land Rover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information display
JP2017200790A (ja) 2016-05-02 2017-11-09 シャープ株式会社 自律走行車両
JP6493311B2 (ja) * 2016-06-07 2019-04-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装置、及び車両用システム
JP6721864B2 (ja) * 2016-08-16 2020-07-1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の充電システム
JP6428732B2 (ja) * 2016-08-30 2018-1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US10753763B2 (en) * 2017-04-10 2020-08-25 Chian Chiu Li Autonomous driving under user instructions
JP6866811B2 (ja) * 2017-09-14 2021-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運転車両
GB2567154B (en) * 2017-10-02 2020-03-04 Jaguar Land Rover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in the maintenance of a vehicle speed within a speed range,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n apparatus
US11242067B2 (en) * 2019-05-14 2022-02-08 Liebherr Mining Equipment Newport News Co. Interlock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9719A (ja) 2000-03-07 2001-09-14 Atex Co Ltd 作業車の走行制御装置
JP2010222108A (ja) * 2009-03-24 2010-10-07 Honda Motor Co Ltd 作業用車輌
JP2015056134A (ja) 2013-09-13 2015-03-23 日立建機株式会社 自律走行制御システム
US20170057520A1 (en) 2015-08-31 2017-03-02 Uber Technologies, Inc. Control system for autonomous-capable vehicles
US20190061688A1 (en) 2017-08-25 2019-02-2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driverless transportation system
JP2019038420A (ja) 2017-08-25 2019-03-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運転車両及びドライバレス輸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145329A (zh) 2020-12-29
KR20210001998A (ko) 2021-01-06
EP3760857A1 (en) 2021-01-06
CN112145329B (zh) 2022-11-15
US20200406756A1 (en) 2020-12-31
JP7238641B2 (ja) 2023-03-14
US11351865B2 (en) 2022-06-07
JP2021008145A (ja)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19905B (zh) 具有被动进入-被动启动功能的车辆的控制
CN103010154B (zh) 车辆的远程启动系统及其控制方法
CN104420740B (zh) 用于提供安全的存储隔室的系统和装置
EP1574385B1 (en) Passive entry system
US853863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movement capability and/or a closure device
US10112580B2 (en) Vehicle key control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vehicle key control method
CN104097607A (zh) 控制汽车中央闭锁装置的方法
JP2010076509A (ja) 電源監視装置
KR102361746B1 (ko) 차량 기동 기구
CN108216115B (zh) 用于控制车辆门锁系统的系统和方法
CN112829711B (zh) 一种车门控制方法、系统及车辆
CN110949401A (zh) 车辆控制系统和方法
US10147253B1 (en) Systems amd methods for accessing a vehicle using a single, exterior control
JP2000115901A (ja) 電気自動車
US11370450B2 (en) Vehicle starting mechanism
CN105459910B (zh) 车辆及车辆脚踏板翻转控制方法及系统
JP5652215B2 (ja) 給油口外蓋施錠装置、給油口外蓋施錠方法、プログラム及び媒体
KR20120105946A (ko) 자동차용 듀얼 보안 키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90054596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208347495U (zh) 发动机罩锁及汽车
AU2021221769A1 (en) Automotive and marine locking system
KR20240079143A (ko) 도어 잠금 또는 해제를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5158219A (zh) 基于蓝牙技术的汽车拉手开关锁控制方法及系统
CN116176460A (zh) 一种车载行李管理系统和汽车
JPH04244456A (ja) 車両用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