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459B1 - 증강현실 장치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5459B1 KR102335459B1 KR1020200026294A KR20200026294A KR102335459B1 KR 102335459 B1 KR102335459 B1 KR 102335459B1 KR 1020200026294 A KR1020200026294 A KR 1020200026294A KR 20200026294 A KR20200026294 A KR 20200026294A KR 102335459 B1 KR102335459 B1 KR 1023354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sceptor
- pivot connection
- lens module
- connection part
- projecto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VJBCNMFKFZIXHC-UHFFFAOYSA-N azanium;2-(4-methyl-5-oxo-4-propan-2-yl-1h-imidazol-2-yl)quinoline-3-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N.N1C(=O)C(C(C)C)(C)N=C1C1=NC2=CC=CC=C2C=C1C(O)=O VJBCNMFKFZIXHC-UHFFFAOYSA-N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involving arrangement aiming to get less bulky devi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02B2027/0156—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with optionally usable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지지부재 및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장치를 제공한다. 본체는 서셉터, 프로젝터 및 제1 피봇 연결부를 포함한다. 프로젝터는 제1 피봇 연결부를 제1 회전축으로 하여 서셉터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피봇 연결부에 의해 서셉터에 피봇 연결된다. 지지부재는 서셉터의 제1 단부에 피봇 연결되어 사용자 머리에 착용되도록 하고, 렌즈 모듈은 서셉터의 제1 단부와 대향되는 제2 단부에 피봇 연결되며 서셉터에 대해 회전하고 서셉터의 하면에 중첩될 수 있다. 회전 폴딩 가능한 수납형 구조에 따르면, 수납 후의 전체 부피를 더욱 소형화시키고, 휴대 및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증강현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딩 가능한 증강현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술의 발전 및 적용이 많아짐에 따라, 관련 기기 또는 장치에 대한 다양한 개선도 시작되었다. 증강현실은 주로 투영 또는 카메라와의 결합에 의해 가상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투사시킨다. 예를 들면, 포켓몬스터의 AR 포착 모드가 바로 카메라를 통해 현실 환경 영상을 스크린에 표시하고, 포켓몬과 현실 환경을 결합시켜 사용자에게 마치 가상 포켓몬 캐릭터가 현실 환경에 진짜로 나타난 것과 같은 허실 혼합 체험을 주는 것이다.
더욱 복잡한 게임에 적용하거나 또는 슈팅 게임, 서바이벌 게임 등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현재 안경형 증강현실 장치가 출시되어 있으나, 가상 영상이 현실 영상과 서로 결합되도록 투영 장치를 통해 영상을 안경 렌즈에 투사해야 하므로, 안경형 증강현실 장치는 부피가 크고, 휴대형으로 폴딩될 수 없는 형태인 경우가 많다.
본문 내에 포함되어 있음.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체, 지지부재 및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장치를 제공한다. 본체는 서셉터, 프로젝터 및 제1 피봇 연결부를 포함한다. 프로젝터는 제1 피봇 연결부를 제1 회전축으로 하여 서셉터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피봇 연결부에 의해 서셉터에 피봇 연결된다. 지지부재는 서셉터의 제1 단부에 피봇 연결되어 사용자 머리에 착용되도록 한다. 렌즈 모듈은 서셉터의 제1 단부와 대향되는 제2 단부에 피봇 연결되며, 서셉터에 대해 회전하고 서셉터의 하면에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터, 지지부재 및 렌즈 모듈을 모두 회전 폴딩 가능한 수납형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증강현실 장치 수납 후의 전체 부피를 더욱 소형화시키고, 휴대 및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체는 제2 피봇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지지부재는 제2 피봇 연결부에 의해 서셉터의 제1 단부에 피봇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재는 제2 피봇 연결부를 제2 회전축으로 하여 서셉터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제2 회전축의 축방향은 제1 회전축의 축방향에 수직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체는 제3 피봇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렌즈 모듈은 제3 피봇 연결부에 의해 서셉터의 제2 단부에 피봇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 모듈은 제3 피봇 연결부를 제3 회전축으로 하여 서셉터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제3 회전축의 축방향은 제1 회전축의 축방향에 평행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증강현실 장치는 서셉터에 설치되고 제1 피봇 연결부와 제3 피봇 연결부를 연결시키는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듈은 프로젝터와 렌즈 모듈이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피봇 연결부 및 제3 피봇 연결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프로젝터와 렌즈 모듈은 각각 수동으로 원하는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또는, 구동 모듈을 통해 프로젝터와 렌즈 모듈을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개별적 또는 함께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증강현실 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렌즈 모듈 및 프로젝터를 각각 제어하고 조정할 수 있으며, 또는 렌즈 모듈만 조정함으로써 프로젝터를 동시에 해당 사용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은 제어기, 모터 및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 모터 및 기어는 서셉터에 설치된다. 제어기는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모터는 기어에 연결되며, 기어는 제1 피봇 연결부 및 제3 피봇 연결부에 연결된다. 제어기는 제어 신호를 수신받으면 모터를 제어하여 기어를 구동시키고 제1 피봇 연결부 및 제3 피봇 연결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프로젝터와 렌즈 모듈이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구동하는 방식으로 렌즈 모듈과 프로젝터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은 제1 피봇 연결부 및 제3 피봇 연결부에 연결되는 기어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피봇 연결부가 회전하면 기어 세트를 구동시키고, 기어 세트가 제1 피봇 연결부를 움직여 회전시킴으로써 프로젝터와 렌즈 모듈이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조정하는 방식으로 렌즈 모듈을 조정함으로써, 프로젝터를 동시에 해당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젝터와 렌즈 모듈이 사용 위치로 회전하면, 프로젝터는 렌즈 모듈의 렌즈에 수직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젝터의 영상을 렌즈 모듈의 렌즈에 확실하게 투영시켜 영상이 더욱 뚜렷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렌즈 모듈이 사용 위치에 있을 경우 렌즈 모듈의 렌즈와 본체의 서셉터 사이의 협각은 90도보다 작다. 렌즈 모듈의 렌즈와 본체의 서셉터 사이의 협각은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렌즈 모듈이 여전히 콧대에 안착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눈으로 렌즈에 투영된 영상을 뚜렷하게 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젝터와 렌즈 모듈이 수납 위치로 회전하면 프로젝터가 서셉터에 수납하게 되고, 렌즈 모듈이 서셉터의 하면에 중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납 위치의 상태에서 프로젝터는 본체의 서셉터에 수납하게 되고, 렌즈 모듈은 본체의 서셉터의 하면에 중첩하게 되며, 증강현실 장치 전체의 부피가 본체의 서셉터의 크기 정도로 수납될 수 있고, 이처럼 구조 공간을 잘 이용함으로써 전체 부피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 장치는 렌즈 모듈, 지지부재 및 프로젝터를 모두 회전 폴딩 가능한 수납형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증강현실 장치 수납 후의 전체 부피를 소형화시키고, 휴대 및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상세한 특징 및 장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그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 내에 포함되어 있음.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의 사용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가 사용 위치에 있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가 수납 위치에 있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가 사용 위치에 있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가 사용 위치에 있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가 수납 위치에 있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가 사용 위치에 있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의 사용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가 사용 위치에 있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가 수납 위치에 있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100)는 본체(10), 지지부재(20) 및 렌즈 모듈(3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서셉터(11), 프로젝터(12) 및 제1 피봇 연결부(13)를 포함한다.
프로젝터(12)는 제1 피봇 연결부(13)를 제1 회전축(C1)으로 하여 서셉터(1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피봇 연결부(13)에 의해 서셉터(11)에 피봇 연결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회전축(C1)은 서셉터(11)의 길이 방향 축방향에 평행된다. 프로젝터(12)는 제1 회전축(C1)을 축심으로 하여 서셉터(11)(미도시)에 완전히 수납되도록 회전하거나, 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회전축(C1)을 축심으로 하여 서셉터(11) 외부로 돌출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20)는 서셉터(11)의 제1 단부(111)에 피봇 연결되고 사용자 머리에 착용되도록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셉터(11)의 제1 단부(111) 및 제2 단부(112)는 각각 서셉터(11)의 폭 방향 양단부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0)는 서셉터(11)의 서로 평행한 두개의 폭 방향측에 각각 설치되는 두개의 제1 단부(111)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재(20)는 서셉터(11)에 대해 도 2에 나타낸 사용 위치 또는 도 3에 나타낸 수납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렌즈 모듈(30)은 서셉터(11)의 제1 단부(111)와 대향하는 제2 단부(112)에 피봇 연결되고, 서셉터(11)에 대해 상기 서셉터(11)(도 2의 사용 위치)보다 돌출되도록 회전하거나 서셉터(11) 하면(도 3의 수납 위치)에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 모듈(30), 지지부재(20) 및 프로젝터(12)를 모두 회전 폴딩 가능한 수납형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증강현실 장치(100) 수납 후의 전체 부피를 더욱 소형화시키고, 휴대 및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는 각각 서셉터(11)의 제1 단부(111) 및 제2 단부(112)에 설치되는 제2 피봇 연결부(14) 및 제3 피봇 연결부(15)를 더 포함한다. 제2 피봇 연결부(14)는 서셉터(11)와 지지부재(20)가 서로 연결되는 곳에 설치되고, 지지부재(20)는 제2 피봇 연결부(14)에 의해 서셉터(11)의 제1 단부(111)에 피봇 연결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20)는 제2 피봇 연결부(14)를 제2 회전축(C2)으로 하여 서셉터(11)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제2 회전축(C2)의 축방향은 제1 회전축(C1)의 축방향에 수직된다. 본 실시예에서, 두개의 지지부재(20)가 서셉터(11) 양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두개의 지지부재(20)가 모두 제2 회전축(C2)을 축심으로 하여 서셉터(1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서셉터(11)의 길이 방향 양측의 제1 단부(111)에 두개의 제2 피봇 연결부(1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20)가 제2 회전축(C2)을 축심으로 하여 서셉터(11)에 대해 회전 작동함으로써, 지지부재(20)를 사용 위치(도 2 참조) 또는 수납 위치(도 3 참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3 피봇 연결부(15)는 서셉터(11)와 렌즈 모듈(30)이 서로 연결되는 곳에 설치되고, 렌즈 모듈(30)은 제3 피봇 연결부(15)에 의해 서셉터(11)의 제2 단부(112)에 피봇 연결됨으로써, 렌즈 모듈(30)이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회전되도록 제3 피봇 연결부(15)를 제3 회전축(C3)으로 하여 서셉터(11)에 대해 렌즈 모듈(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 중, 제3 회전축(C3)의 축방향은 제1 회전축(C1)의 축방향에 평행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회전축(C3)의 축방향은 또한 서셉터(11)의 길이 방향 축방향에 평행되고, 제3 회전축(C3)은 또한 제2 회전축(C2)과 서로 수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전자 소자, 예를 들어 프로세서, 회로기판, 구동 구조, 전선, 전지 등을 모두 본체(10)의 서셉터(11)에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전지 등을 지지부재(20)에 설치함으로써 서셉터(11) 또는 지지부재(20) 등의 구조를 적절하게 소형화시키거나 전체 중량 분포를 균일화시켜 착용 시 더욱 편안하거나 수납 후 더욱 소형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프로젝터(12)와 렌즈 모듈(30)은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함께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링크 또는 엑츄에이터 등의 구동 구조에 의해 프로젝터(12)와 렌즈 모듈(30)을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증강현실 장치를 사용하거나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렌즈 모듈(30)만을 조정함으로써 프로젝터(12)를 함께 원하는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스위치 버튼을 설치하고, 사용자가 스위치 버튼을 조작하기만 하면, 프로젝터(12)와 렌즈 모듈(30)을 동시에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젝터와 렌즈 모듈은 각각 수동으로 원하는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또는, 구동 모듈을 통해 프로젝터와 렌즈 모듈을 각각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증강현실 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렌즈 모듈 및 프로젝터를 각각 제어하고 조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100)는 서셉터(11)에 설치되고 제1 피봇 연결부(13)와 제3 피봇 연결부(15)를 연결시키는 구동 모듈(40)을 더 포함한다. 구동 모듈(40)은 프로젝터(12)와 렌즈 모듈(30)이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도 3 참조)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피봇 연결부(13) 및 제3 피봇 연결부(15)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40)은 제어기(41), 모터(42) 및 기어(43)를 포함하고, 제어기(41), 모터(42) 및 기어(43)는 서셉터(11)에 설치된다. 제어기(41)는 모터(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모터(42)는 기어(43)에 연결되며, 기어(43)는 제1 피봇 연결부(13) 및 제3 피봇 연결부(15)에 연결된다. 제어기(41)는 제어 신호를 수신받으면 모터(42)를 제어하여 기어(43)를 구동시키고 제1 피봇 연결부(13) 및 제3 피봇 연결부(15)를 회전시킴으로써, 프로젝터(12)와 렌즈 모듈(30)이 구동 모듈(40)의 작동에 의해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도 2에서 일측의 제1 피봇 연결부(13) 및 제3 피봇 연결부(15)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대되는 다른 폭 방향측에도 다른 렌즈 위치에 대응되는 프로젝터(12), 및 프로젝터(12)를 서셉터(11)에 피봇 연결시키는 제1 피봇 연결부(13)를 설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다른 기어(43)를 설치하여 제1 피봇 연결부(13)에 연결시키고 링크 등을 통해 다른 기어(43)를 모터(42)에 연결시킴으로써, 제어기(41)가 모터(42)를 제어하여 양측의 기어(43)를 동시에 구동시키고 양측의 제1 피봇 연결부(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 모듈(30)은 하나의 제3 피봇 연결부(15)에 의해 서셉터(11)에 피봇 연결될 수 있고, 두개의 제3 피봇 연결부(15)를 사용하여 렌즈 모듈(3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다른 기어(43)를 사용하여 타측의 제3 피봇 연결부(15)를 구동시켜 양측의 제3 피봇 연결부(15)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예시적인 구조에 따르면,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구동하는 방식으로 렌즈 모듈(30)과 프로젝터(12)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젝터(12)와 렌즈 모듈(30)이 사용 위치로 회전하면, 프로젝터(12)는 렌즈 모듈(30)의 렌즈(31)에 수직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젝터(12)의 영상을 렌즈 모듈(30)의 렌즈(31)에 확실하게 투사시켜 영상이 더욱 뚜렷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모듈(30)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사용 위치에 있을 경우, 렌즈 모듈(30)의 렌즈(31)와 본체(10)의 서셉터(11) 사이의 협각(θ)은 90도보다 작을 수 있다. 렌즈 모듈(30)의 렌즈(31)와 본체(10)의 서셉터(11) 사이의 협각(θ)은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렌즈 모듈(30)이 여전히 콧대에 안착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눈으로 렌즈(31)에 투영된 영상을 뚜렷하게 볼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젝터(12)가 수납 위치로 회전하면, 프로젝터(12)는 본체(10)의 서셉터(11)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렌즈 모듈(30)이 수납 위치로 회전하면 렌즈 모듈(30)은 본체(10)의 서셉터(11)의 하면에 중첩되고, 지지부재(20)가 수납 위치로 회전하면 지지부재(20)는 본체(10)의 서셉터(11)의 측면에 중첩된다. 이에 따라, 증강현실 장치(100) 전체의 부피가 약 본체(10)의 서셉터(11) 크기 정도로 수납되고, 구조 공간을 잘 이용함으로써 전체 부피를 효과적으로 소형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 장치(100)는 렌즈 모듈(30), 지지부재(20) 및 프로젝터(12)를 모두 회전 폴딩 가능한 수납형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증강현실 장치(100) 수납 후의 전체 부피를 소형화시키고, 휴대 및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가 사용 위치에 있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소자 및 구조에 대해 동일한 부호로 설명하고,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 비해, 본 실시예는 구동 모듈(50)이 기어 세트이고 제1 피봇 연결부(13) 및 제3 피봇 연결부(15)에 연결되며, 제3 피봇 연결부(15)가 회전하면 기어 세트를 회전시키고 기어 세트가 제1 피봇 연결부(13)를 움직여 회전시킴으로써 프로젝터(12)와 렌즈 모듈(30)을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함께 회전시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 세트는 예를 들어 3개의 기어(51, 52, 53)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기어(51)는 제1 피봇 연결부(13)에 조립되고, 제2 기어(52)는 제3 피봇 연결부(15)에 조립되며, 제3 기어(53)는 각각 제1 기어(51) 및 제2 기어(52)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기어(51)를 움직여 회전시키면 제2 기어(52)가 동일한 축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되고, 제2 기어(52)를 움직여 회전시키면 제1 기어(51)가 동일한 축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3 피봇 연결부(15)가 회전하면 제2 기어(52)를 움직여 회전시키고, 제2 기어(52)는 제3 기어(53)를 움직여 회전시키면서 제1 기어(51)를 움직여 회전시킴으로써, 제1 피봇 연결부(13)와 제3 피봇 연결부(15)를 동일한 축방향으로 함께 회전시켜 프로젝터(12)와 렌즈 모듈(30)이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서셉터(11)의 다른 폭 방향측에 다른 제1 피봇 연결부(13) 및 제3 피봇 연결부(15)가 설치되어 있으면, 기어 세트를 대응하게 설치하여 다른 제1 피봇 연결부(13) 및 제3 피봇 연결부(15)를 함께 구동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약간의 변경 및 수정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허 보호 범위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 서셉터, 프로젝터, 제1 피봇 연결부 및 제3 피봇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제1 피봇 연결부를 제1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서셉터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피봇 연결부에 의해 상기 서셉터에 피봇 연결되는 본체;
상기 서셉터의 제1 단부에 피봇 연결되어 사용자 머리에 착용되도록 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제3 피봇 연결부에 의해 상기 서셉터의 제2 단부에 피봇 연결되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와 대향되고, 상기 제3 피봇 연결부에 의해 상기 서셉터에 대해 회전하고 상기 서셉터의 하면에 중첩될 수 있는 렌즈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서셉터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피봇 연결부와 상기 제3 피봇 연결부를 연결시키는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프로젝터와 상기 렌즈 모듈이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피봇 연결부 및 상기 제3 피봇 연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2 피봇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 피봇 연결부를 제2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서셉터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피봇 연결부에 의해 상기 서셉터의 상기 제1 단부에 피봇 연결되며, 상기 제2 회전축의 축방향은 상기 제1 회전축의 축방향에 수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제3 피봇 연결부를 제3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서셉터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회전축의 축방향은 상기 제1 회전축의 축방향에 평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제어기, 모터 및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상기 모터 및 상기 기어는 상기 서셉터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기어는 상기 제1 피봇 연결부 및 상기 제3 피봇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는 제어 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기어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1 피봇 연결부 및 상기 제3 피봇 연결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프로젝터와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사용 위치 또는 상기 수납 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제1 피봇 연결부 및 상기 제3 피봇 연결부에 연결되는 기어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피봇 연결부가 회전하면 상기 기어 세트를 회전시키고, 상기 기어 세트가 상기 제1 피봇 연결부를 움직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프로젝터와 상기 렌즈 모듈을 상기 사용 위치 또는 상기 수납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와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사용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렌즈 모듈의 렌즈에 수직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사용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렌즈 모듈의 렌즈와 상기 서셉터 사이의 협각은 90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사용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렌즈와 상기 서셉터 사이의 협각은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와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수납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서셉터에 수납하게 되고,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서셉터의 상기 하면에 중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08113113 | 2019-04-15 | ||
TW108113113A TWI695996B (zh) | 2019-04-15 | 2019-04-15 | 擴增實境裝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1723A KR20200121723A (ko) | 2020-10-26 |
KR102335459B1 true KR102335459B1 (ko) | 2021-12-06 |
Family
ID=6996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6294A KR102335459B1 (ko) | 2019-04-15 | 2020-03-03 | 증강현실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500214B2 (ko) |
EP (1) | EP3726278B1 (ko) |
JP (1) | JP6844048B2 (ko) |
KR (1) | KR102335459B1 (ko) |
CN (1) | CN111830708B (ko) |
TW (1) | TWI69599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256898A (zh) * | 2023-01-31 | 2023-06-13 |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 Ar眼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79883A (ja) * | 2002-03-21 | 2003-10-02 | 良彰 ▲秦▼ | 表示装置付き帽子 |
JP2006146000A (ja) | 2004-11-22 | 2006-06-08 | Olympus Corp | 虚像表示型情報表示システム |
CN207133510U (zh) | 2017-07-12 | 2018-03-23 | 杨明海 | 一种头戴显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817721A1 (de) | 1968-03-06 | 1970-02-19 | Bell Aerospace Corp | Flugzeugnavigationsverfahren |
US5003300A (en) | 1987-07-27 | 1991-03-26 | Reflection Technology, Inc. | Head mounted display for miniature video display system |
GB2238627B (en) * | 1989-11-29 | 1994-04-06 | Yazaki Corp | Display apparatus |
KR0136641Y1 (ko) * | 1993-06-17 | 1999-02-01 | 이헌조 | 반사형 프레넬 렌즈를 이용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
US5815126A (en) * | 1993-10-22 | 1998-09-29 | Kopin Corporation | Monocular portable communication and display system |
JP3976869B2 (ja) * | 1998-01-09 | 2007-09-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
JP2005113335A (ja) * | 2003-10-09 | 2005-04-28 | Canon Inc | 頭部装着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
JP2006139113A (ja) * | 2004-11-12 | 2006-06-01 |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
US20070064311A1 (en) * | 2005-08-05 | 2007-03-22 | Park Brian V | Head mounted projector display for flat and immersive media |
US7425100B2 (en) * | 2005-10-06 | 2008-09-16 | Motorola, Inc. | Integrated selectively angled camera for clam style products |
JP2007259395A (ja) * | 2006-03-27 | 2007-10-04 | Nikon Corp | 携帯表示装置 |
JP4887951B2 (ja) * | 2006-07-13 | 2012-02-29 | 株式会社ニコン | アイグラスディスプレイ |
JP4999408B2 (ja) * | 2006-09-11 | 2012-08-15 | スカラ株式会社 | ヘッドマウント型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
US20100149073A1 (en) * | 2008-11-02 | 2010-06-17 | David Chaum | Near to Eye Display System and Appliance |
JP5290091B2 (ja) | 2009-08-31 | 2013-09-18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眼鏡型画像表示装置 |
JP5434848B2 (ja) * | 2010-08-18 | 2014-03-05 | ソニー株式会社 | 表示装置 |
JP5953985B2 (ja) * | 2012-06-29 | 2016-07-20 |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 車両用表示装置 |
TWI490544B (zh) * | 2013-08-23 | 2015-07-01 | Shinyoptics Corp | 帽子型抬頭顯示器 |
JP6093313B2 (ja) | 2014-01-22 | 2017-03-08 |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CN203786391U (zh) * | 2014-01-24 | 2014-08-20 | 成都理想境界科技有限公司 | 帽型头戴显示设备 |
JP5886896B2 (ja) * | 2014-05-20 | 2016-03-16 | 株式会社東芝 | 表示装置 |
JP6550885B2 (ja) | 2015-04-21 | 2019-07-31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6545799B2 (ja) * | 2015-06-16 | 2019-07-17 | マクセル株式会社 |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
JP5951860B1 (ja) * | 2015-07-07 | 2016-07-13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メンテナンス支援システムおよびメンテナンス支援情報処理方法 |
CN205080328U (zh) | 2015-09-26 | 2016-03-09 | 王傲立 | 镜片可转动的增强现实智能眼镜 |
WO2017169345A1 (ja) * | 2016-03-28 | 2017-10-05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映像投影機能付き眼鏡 |
US10139644B2 (en) * | 2016-07-01 | 2018-11-27 | Tilt Five, Inc | Head mounted projection display with multilayer beam splitter and color correction |
CN205880374U (zh) * | 2016-07-18 | 2017-01-11 | 深圳智眸科技有限公司 | Hud成像屏及车载hud智能终端 |
KR102482756B1 (ko) * | 2017-06-14 | 2022-12-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
-
2019
- 2019-04-15 TW TW108113113A patent/TWI695996B/zh active
-
2020
- 2020-01-17 CN CN202010052604.6A patent/CN111830708B/zh active Active
- 2020-02-27 JP JP2020031647A patent/JP6844048B2/ja active Active
- 2020-03-03 KR KR1020200026294A patent/KR10233545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03-04 US US16/808,477 patent/US11500214B2/en active Active
- 2020-03-26 EP EP20165892.9A patent/EP372627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79883A (ja) * | 2002-03-21 | 2003-10-02 | 良彰 ▲秦▼ | 表示装置付き帽子 |
JP2006146000A (ja) | 2004-11-22 | 2006-06-08 | Olympus Corp | 虚像表示型情報表示システム |
CN207133510U (zh) | 2017-07-12 | 2018-03-23 | 杨明海 | 一种头戴显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695996B (zh) | 2020-06-11 |
KR20200121723A (ko) | 2020-10-26 |
US11500214B2 (en) | 2022-11-15 |
TW202040213A (zh) | 2020-11-01 |
EP3726278A1 (en) | 2020-10-21 |
US20200326552A1 (en) | 2020-10-15 |
JP6844048B2 (ja) | 2021-03-17 |
EP3726278B1 (en) | 2023-08-16 |
JP2020178339A (ja) | 2020-10-29 |
CN111830708A (zh) | 2020-10-27 |
CN111830708B (zh) | 2022-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21502A1 (en) | Portable folding type cradle | |
JP2019526065A (ja) | 手持式スタビライザー | |
WO2017152666A1 (en) | Portable auxiliary stabilizer for image pickup and video shooting | |
WO2019153293A1 (zh) | 云台及其控制方法、无人机 | |
JP2004064575A (ja) |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通信端末 | |
CN110410629A (zh) | 云台组件及手持云台 | |
KR102335459B1 (ko) | 증강현실 장치 | |
JPH10164414A (ja) | カメラ内蔵ノート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 |
JP2005148556A (ja) | プロジェクタ | |
KR20170068114A (ko) | 소형 카메라 짐벌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 |
WO2022193214A1 (zh) | 手持云台、拍摄装置、及可移动平台 | |
WO2023061168A1 (zh) | 一种手持电子稳定器 | |
JP2001136254A (ja) | 携帯無線通信装置 | |
WO2023087828A1 (zh) | 摄像装置及电子设备 | |
JP2004120727A (ja) | 携帯電話機 | |
CN110785726A (zh) | 云台的控制方法及手持云台、手持设备 | |
CN208509001U (zh) | 终端设备 | |
JP2004199219A (ja) | 携帯型電子機器 | |
CN215722395U (zh) | 一种屏幕折叠装置及具有其的云台 | |
CN107957650A (zh) | 一种电子设备及拍照方法 | |
KR100771328B1 (ko) |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 |
CN215294503U (zh) | 云台相机 | |
WO2022217511A1 (zh) | 手持云台及云台相机 | |
WO2022036948A1 (zh) | 两轴手持云台 | |
JPH05167899A (ja) | 画像入出力装置およびテレビ電話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