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641Y1 - 반사형 프레넬 렌즈를 이용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반사형 프레넬 렌즈를 이용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641Y1
KR0136641Y1 KR2019930010706U KR930010706U KR0136641Y1 KR 0136641 Y1 KR0136641 Y1 KR 0136641Y1 KR 2019930010706 U KR2019930010706 U KR 2019930010706U KR 930010706 U KR930010706 U KR 930010706U KR 0136641 Y1 KR0136641 Y1 KR 0136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snel lens
display device
light
reflective
mount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024U (ko
Inventor
나만호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2019930010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641Y1/ko
Publication of KR9500020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0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6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사형 프레넬 렌즈를 이용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원(21)에서 출사되는 빛을 화상으로 변환하기 위한 엘씨디)22_의 하부에 빛의 경로 변경 및 화상을 확대하기 위한 반사수단이 구비된 프레넬 렌즈(23)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넬 렌즈(23)의 피치 형성면 반대편에 편광판(24)이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종래 광학계의 구조 보다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고, 외광에 의한 콘크라스ㅌ(contrast)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구면 수차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반사형 프레넬 렌즈를 이용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제1도는 종래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구성도.
제2도의 (a)는 종래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구성도.
(b)는 (a)의 요부 구성도.
제3도 내지 제8도는 본 고안에 의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작용 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작용 설명도.
제4도는 제3도의 요부인 프레넬 렌즈의 사시도.
제5도는 구면경에 대한 프레넬 렌즈 설명도.
제6도는 초점거리(포물면경)에 대한 프레넬 렌즈 설명도.
제7도 (a)(b)는 반사면이 프레넬 렌즈 배면에 형성된 구조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광원 22 : 엘씨디
23 : 프레넬 렌즈 24 : 반사형 편광판
본 고안은 반사형 프레넬 렌즈를 이용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넬 렌즈와 반사형 편광판에 의하여 외광이 화상광의 경로로 흐름을 약화시키고, 구면수차를 감소시키며, 프레넬 렌즈를 렌지의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전방투시기능을 향상시킨 방사상 프레넬 렌즈를 이용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두부(頭部)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실시형태는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4-241894호에 알려지고 있다.
이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자와 같은 지지체(1)에 광원(2), 엘씨디(LCD)(3), 프레넬 렌즈(Fresnel lens)(4) 및 하프 미러(half mirror)(5)가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광원(2)은 가시광 영역의 빛을 방사하고, 엘씨디(3)는 광원(2)으로 부터 조사된 빛을 조절하여 화상을 형성시킨다. 프레넬 렌즈(4)는 초점거리 보다 짧은 거리에 엘씨디(3)를 놓으므로써 엘씨디(3) 화면의 허상을 구현한다. 하프 미러(5)는 상기 화상이 사용자의 눈앞에 보이도록, 광선이 경로를 꺽어주는 수단이다.
또,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는 미국 특허 제 5,162,828호에 알려 지고 있으며, 이 실시형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과 같은 지지체(10)에 광원(11), 유리 프레임(12), 엘씨디(13) 및 오목거울(14)이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오목거울(14)의 기능은 엘씨디(13)의 화상을 확대된 허상으로 구현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도의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프 미러(5)의 기능이 빛을 반은 반사시키고, 반은 투과시키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에는 전방의 시야와 엘씨디(3)에 의한 화상이 겹쳐져 화상이 집중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프레넬 렌즈(4)와 엘씨디(3) 사이에 일정한 거리가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광학계가 화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광학계를 보다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제2도의 실시형태와 같이 오목거울을 사용할 경우에는 구면에 의한 구면 수차가 발생하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작용 설명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21), 엘씨디(22), 프레넬 렌즈(23)로 구성되며, 이들은 모자에 구비되는 지지체 또는 안경형 지지체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넬 렌즈(23)는 회전축(2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광원(21)은 가시광 영역의 빛을 방사하고, 엘씨디(3)는 광원(21)으로부터 조사된 빛의 세기를 각 화소별로 조절하여 화상을 구현한다.
상기 프레넬 렌즈(23)는 엘씨디(3)에서 구현된 화상을 확대된 허상으로 만드는 수단이다.
본 고안의 특징은 프레넬 렌즈(23)에 반사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반사수단은 프레넬 렌즈(23)의 일체로 형성되는 반사층으로 구성되거나, 프레넬 렌즈(23)의 배면에 부착되는 반사형 편광판(24)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사형 평광판(24)은 제3도와 같이 화상 정보를 갖는 빛(ℓ)은 대부분 반시시키고, 프레넬 렌즈 피치면으로 입사된 외광의 빛(ℓ1)은 약 30~40%만을 선형 편광된 상태로 반사시키며, 하부에서 입사된 외광의 빛(ℓ2)은 대부분 반사시킨다.
상기 프레넬 렌즈(23)는 엘씨디(3)에 화대된 화면을 구현하면서 빛의 경로를 바꾸는 오목렌즈와 같은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넬 렌즈(23)는 회전축(2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투시 기능을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넬 렌즈(23)는 피치 기울기(θ1)를 임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구면수차 등의 수차요쇼를 최화할 수 있도록 피치 기울기(θ1)를 조절하여 제작한다.
제5도 내지 제8도에서 O는 초점거리를 보인 것이고, R은 반사면을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레넬 렌즈(23)의 경사각이 θ/2가 되도록 제작하게 되면 구면수차를 줄일 수 있으며, 이때의 θ=tan-1(r/f)가 된다. 여기서, r은 프레넬 렌즈(23)의 중심(O)으로 피치까지의 거리이고(제8도 참조), r=0일 때 즉, 프레넬 렌즈(23)의 중심(O)에서의 피치의 경사각은 0으로 설계된다.
반사면이 프레넬 렌즈(23)의 배면에 형성될 경우에는 프레넬 렌즈(23)의 중심으로 부터 r만큼 떨어진 표면에서의 피치의 경사각은 다음과 같다.
sin(θ0+ θ1) = nsinθ1
θ0= tan-1r/f
여기서, θ1은 r에서의 피치의 경사각.
그리고, 반사수단을 구성하는 방법으로는 코팅(coationg)에 의한 하프 미러, IR/UV만을 반사시키고 가시광 영역의 전부 혹은 일부(P파 혹은 S파)만을 투과시키는 다이크로의 코팅(dichroic coating) 방법이 있으며, 반사면에 반사형 편광판을 접촉시키는 방법이 있다.
반사형 편광판은 입사된 빛 중 방향성을 갖는 선형 편광판 선택된 빛만을 반사시키고 나머지의 빛을 흡수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종래 광학계의 구조 보다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고, 외광에 의한 콘크라스트(contrast)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구면 수차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광원에서 출사되는 빛을 화상으로 변환하기 위한 엘씨디의 하부에 빛의 경로 변경 및 화상을 확대하기 위한 반사수단이 구비된 프레넬 렌즈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프레넬 렌즈를 이용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은 프레넬 렌즈의 피치 형성면에 형성된 반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프레넬 렌즈를 이용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은 프레넬 렌즈의 피치 형성된 반대면에 부착된 반사형 편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프레넬 렌즈를 이용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프레넬 렌즈를 이용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930010706U 1993-06-17 1993-06-17 반사형 프레넬 렌즈를 이용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KR0136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706U KR0136641Y1 (ko) 1993-06-17 1993-06-17 반사형 프레넬 렌즈를 이용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706U KR0136641Y1 (ko) 1993-06-17 1993-06-17 반사형 프레넬 렌즈를 이용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024U KR950002024U (ko) 1995-01-04
KR0136641Y1 true KR0136641Y1 (ko) 1999-02-01

Family

ID=19357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706U KR0136641Y1 (ko) 1993-06-17 1993-06-17 반사형 프레넬 렌즈를 이용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6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760B1 (ko) * 1994-12-09 2004-03-31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장치및이장치에이용되는디스플레이용광학계
KR20200121723A (ko) * 2019-04-15 2020-10-26 페가트론 코포레이션 증강현실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760B1 (ko) * 1994-12-09 2004-03-31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장치및이장치에이용되는디스플레이용광학계
KR20200121723A (ko) * 2019-04-15 2020-10-26 페가트론 코포레이션 증강현실 장치
US11500214B2 (en) 2019-04-15 2022-11-15 Pegatron Corporation Augmented realit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024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819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광학 시스템
US6999232B2 (en) Rear projection display system
US61444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ghost images with a tilted cholesteric liquid crystal panel
US5552934A (en) Background reflection-reducing plano-beam splitter for use in real image projecting system
EP0834760B1 (en) Head mounted projector
US4298246A (en) Reflection type screen
US5537171A (en) Liquid crystal projection display
JP2001522477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S59205887A (ja) 背面投射式テレビジヨン表示装置
JP2002116410A (ja) 頭部装着用ディスプレー用光学システム
JPH06235883A (ja) 映像プロジェクタ装置
KR100292356B1 (ko) 배면투사형액정프로젝트장치
US4766684A (en) Lenticular screen for outdoor display
KR0136641Y1 (ko) 반사형 프레넬 렌즈를 이용한 두부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JPS59205878A (ja) 背面投射式テレビジョン表示装置
EP067547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149493B2 (ja) フレネル光学素子、表示スクリーン及び投写型表示装置
JPH08129138A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US5617152A (en) Projector system for video and computer generated information
CN112034620A (zh) 标靶反射式扩散片抬头显示设备
KR100354149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광학 시스템
EP0631434A1 (en) Projector
JP3515972B2 (ja) 投影装置
WO1996003670A1 (en)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JPH05241096A (ja) 投写レンズと投写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