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756B1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756B1
KR102482756B1 KR1020170074883A KR20170074883A KR102482756B1 KR 102482756 B1 KR102482756 B1 KR 102482756B1 KR 1020170074883 A KR1020170074883 A KR 1020170074883A KR 20170074883 A KR20170074883 A KR 20170074883A KR 102482756 B1 KR102482756 B1 KR 102482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unted display
display device
head mounted
w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6222A (ko
Inventor
박정훈
권태형
김정수
박중경
신원호
이영건
이진철
최형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4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756B1/ko
Priority to US15/975,277 priority patent/US11256099B2/en
Priority to EP18176072.9A priority patent/EP3415975A1/en
Priority to CN201810605899.8A priority patent/CN109085698B/zh
Publication of KR20180136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involving arrangement aiming to get lighter or better balanced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by headgear

Abstract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1 면이 사용자의 안면과 대면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안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머리 일부분을 둘러싸는 띠의 형태로 마련된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면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이마와 대면하는 전방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이마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된다.
최근 들어, 신체에 직접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의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신체의 일부분 예를 들어, 손목, 발목, 목, 허리, 또는 머리 등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성(mobility) 및 휴대성(portability)이 향상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일 예로서,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이하 HMD라 한다)는 머리에 장착될 수 있도록 착용부(예: 밴드(band))를 구비할 수 있다.
HMD의 착용부는 HMD의 본체가 착용자의 안면(facial side)에 고정될 수 있도록 착용자의 머리 일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머리에 조여질 수 있다. 일 예로, HMD의 착용부는 이마부터 후두부까지 정수리를 가로지르는 형태(이하, 탑 밴드(top band) 형태라 한다)로 착용자의 머리 상부에 위치하여 조여짐으로써, 적어도 머리 상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HMD의 착용부는 이마부터 후두부까지 측두부를 가로지르는 형태(이하, 사이드 밴드(side band) 형태라 한다)로 착용자의 머리 측부에 위치하여 조여짐으로써, 적어도 이마 및 후두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HMD의 착용부는 상술한 2가지의 형태를 모두 구비할 수도 있다. 예컨대, HMD의 착용부는 탑 밴드와 사이드 밴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HMD의 착용부가 탑 밴드의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HMD의 본체가 안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므로 안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여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안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기 위해 탑 밴드를 느슨하게 고정시키게 되면, HMD의 본체가 안면 하단으로 처지게 되어 HMD의 본체가 광대 부분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무게감이 증가할 수 있으며, 머리가 움직일 때 HMD의 본체가 흔들려 안정감이 떨어질 수 있다.
HMD의 착용부가 사이드 밴드의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머리가 움직일 때 HMD의 본체 무게로 인해 HMD의 본체가 하단으로 흘러내려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HMD의 본체 무게를 견디기 위해 사이드 밴드를 세게 조이게 되면, 이마와 후두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여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HMD의 착용부가 탑 밴드와 사이드 밴드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안면에 가해지는 압력은 HMD의 착용부가 탑 밴드의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와 유사하게 작용할 수 있어,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것은 마찬가지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이마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이중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면이 사용자의 안면과 대면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안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머리 일부분을 둘러싸는 띠의 형태로 마련된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면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이마와 대면하는 전방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이마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이마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이중으로 지지함으로써, 광대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시켜 착용자가 느끼는 압박감과 무게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HMD의 본체가 착용자의 이마에 밀착됨으로써, 머리가 움직이더라도 HMD의 본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착용감이 증가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방향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방향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3 방향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면에 가해지는 압력의 위치 및 압력의 인지 정도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가 안면에 접촉되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회전 운동(rotary movement) 및 수평 운동(horizontal movement)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회전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위치 및 개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착용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용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2의 길이 조절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방향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방향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3 방향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HMD라 한다)(100)는 본체(110)(또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 연결부(130), 및 착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사용자의 얼굴 중 적어도 일부(예: 안면)에 착용될 수 있고, 다양한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10)는 사용자가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가벼운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본체(110)에 외부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가 체결되는 경우, 본체(110)는 사용자가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가벼우면서도 외부 전자 장치를 지지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HMD(100)를 보호하기 위한 재료를 본체(110)에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HMD(100)를 보호하기 위한 재료는 강도 또는 미관을 위하여 다양한 재료, 예를 들어 유리, 플라스틱(예: ABS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세라믹, 금속(예: 알루미늄), 또는 금속 합금(예: 강철, 스테인레스강, 티타늄, 또는 마그네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10)는 입력부, 디스플레이 위치 조정부, 또는 렌즈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전면에 외부 전자 장치를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이나 구조를 포함하는 전면 케이스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는 HMD(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장치 또는 사용자 입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는 본체(110)의 일면(예: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터치 패드, 물리적 키, 물리적 버튼, 터치 키, 조이스틱, 또는 휠(wheel)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는 HMD(100)의 기능 또는 외부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설정에 대한 GUI는 HMD(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음량을 조절할 수 있고, 영상 재생에 관한 GUI는 HMD(100)의 디스플레이 또는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위치 조정부는 휠(wheel) 또는 다이얼(dial)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위치 조정부로 구현된 휠 또는 다이얼을 돌리면, HMD(100)의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장치 또는 외부 전자 장치가 이동되어 HMD(100)의 디스플레이 또는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자는 자신의 시력에 적합하거나 최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위치 조정부를 조작하면, HMD(100)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장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사용자 쪽에 가깝게 이동시키거나 사용자에 멀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정부의 조작에 따라 전면 케이스가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렌즈 고정부는 렌즈(113)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 고정부에는 디스플레이 또는 투명/반투명 렌즈(113)가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눈 사이에 렌즈 조립체가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면 케이스는 외부 전자 장치의 외형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 케이스는 탄성 소재 또는 플렉서블한 재료를 포함하여 크기를 변형시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외부 전자 장치를 수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10)는 체결된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커넥터(connec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넥터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전기 접속부, 예를 들어, USB 포트에 접속될 수 있는 USB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USB 커넥터의 전기 접속부를 통해 입력부가 제공하는 GUI의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는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외부 전자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전자 장치는 HMD(100)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응답하여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는 수신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응답하여 음량을 조절하거나 영상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HMD(100)는 본체(110)에 외부 전자 장치를 체결한 상태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본체(110)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본체(110)에 후크와 같은 형태로 물리적인 결합을 할 수 있고, 자석이나 전자석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커버는 외부 전자 장치가 본체(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고, 본체(110)의 외관을 구성하면서 심미감을 높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10)는 전면에 윈도우(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윈도우(111)는 다양한 형태의 재질 및 컬러 등을 통해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윈도우(111)는 PC 또는 아크릴과 같은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유리, 사파이어, 또는 투명 세라믹과 같은 세라믹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고, 알루미늄 또는 SUS 등의 메탈 재질로도 제작될 수 있다. 상술한 재료 중 투명한 재료의 경우에는 유색 컬러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투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10)는 추가로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는 본체(110)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본체(110)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체(110)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의 온도를 낮춰 본체(110)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통해 본체(110)의 중량을 가볍게 하여 전체적인 무게를 줄여 경량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10)는 본체(110)의 후면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지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70)는 본체(110)의 후면 테두리 일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지지부(170)는 본체(110)의 후면의 상측 테두리로부터 연장되는 제1 부분, 본체(110)의 후면의 좌측 테두리 일부(예: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본체(110)의 후면의 우측 테두리 일부(예: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70)의 제1 부분은 본체(110)의 후면의 상측 테두리와 제1 각도를 형성하면서 본체(110)의 후면의 상측 테두리로부터 제1 길이만큼 연장되고, 제1 지지부(170)의 제2 부분은 본체(110)의 후면의 좌측 테두리와 제2 각도를 형성하면서 본체(110)의 후면의 좌측 테두리 일부로부터 제2 길이만큼 연장되며, 제1 지지부(170)의 제3 부분은 본체(110)의 후면의 우측 테두리와 제3 각도를 형성하면서 본체(110)의 후면의 우측 테두리 일부로부터 제3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각도와 제3 각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또는 상기 제3 부분)이 각각 본체(110)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 지정된 각도(예: 직각)를 이룰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지지부(170)는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될 수 있다. 한 예로, 제1 지지부(170)는 이마의 하단부로부터 관자놀이까지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부(170)는 본체(110)와 머리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지지부(170)는 이마의 하단부로부터 관자놀이까지 이어지는 형태의 폼(foam)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70)는 이마의 하단부 및 관자놀이를 일부 덮는 형태로 접촉함으로써, 본체(110)를 이마의 하단부 및 관자놀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10)는 본체(110)의 후면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빛 차단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빛 차단부(117)는 본체(110)의 후면 테두리 중 제1 지지부(170)가 연장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예로, 빛 차단부(117)는 본체(110)의 후면의 좌측 테두리 하부 및 본체(110)의 후면의 우측 테두리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빛 차단부(117)가 본체(110)의 후면 일부로부터 연장된 길이는 제1 지지부(170)가 본체(110)의 후면 일부로부터 연장된 길이(예: 상기 제1 길이, 상기 제2 길이, 또는 상기 제3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부(170)가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될 때, 빛 차단부(117)는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빛 차단부(117)가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지 않는 것은 본체(110)의 후면이 사용자의 광대 부위에 접촉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체(110)의 후면이 사용자의 광대 부위에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는 압박감과 무게감을 덜 느낄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빛 차단부(117)는 빛 차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의 안면 예컨대, 광대 부위에 접촉될 수 있다. 그러나, 빛 차단부(117)가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된다 하더라도 제1 지지부(170)보다 연장된 길이가 작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면에 가해지는 압력은 지정된 크기 이하 즉, 미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에 가해지는 압력은 최소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압박감과 무게감이 해소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부(170)의 일부는 빛 차단부(117)의 일부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한 예로, 제1 지지부(170)의 제2 부분 중 최하단부 및 제3 부분 중 최하단부는 빛 차단부(117)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지지부(170) 및 빛 차단부(117) 중 적어도 하나는 본체(110)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70) 및 빛 차단부(117)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은 접착부재가 위치할 수 있고, 접착부재를 통해 본체(110)와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접착부재는 벨크로(velcro), 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이 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부재는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HMD(100)를 여러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본인에 맞는(예를 들어, 안면 윤곽이 다른 어른과 아이 각각에 맞는) 제1 지지부(170) 및 빛 차단부(117)를 사용할 수 있고, 제1 지지부(170) 및 빛 차단부(117)의 표면이 오염(예를 들어, 화장품에 의해 오염)되거나, 잦은 사용에 따라 제1 지지부(170) 및 빛 차단부(117)가 파기될 경우, 제1 지지부(170) 및 빛 차단부(117)를 교체하여 HMD(100)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제1 지지부(170) 및 빛 차단부(117)에 의해 HMD(100)의 본체(110)는 사용자의 안면에 용이하게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170) 및 빛 차단부(117)를 포함하는 본체(110)의 모양이나 구조는 사용자의 눈을 덮은 외형이되, 사용자의 코가 위치할 수 있도록 코 형상의 홈(nose recess)(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10)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두 눈에 대면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113)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HMD(100)를 착용할 때, 사용자의 눈으로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볼 수 있도록 본체(110)의 후면 방향으로 렌즈(113)의 적어도 일 면이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부(150)는 사용자가 HMD(100)를 착용할 수 있도록 연결부(130)를 통해 본체(110)의 일부에 결합되어 본체(110)가 사용자의 안면에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부(150)는 사용자의 머리 일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머리에 조여질 수 있다. 한 예로, 착용부(150)는 띠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이마부터 후두부까지 측두부를 가로지르도록 머리에 조여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부(150)는 이마의 상단부에 접촉하는 제2 지지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57)는 HMD(100)를 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착용부(150)의 전방부(155)에 형성될 수 있고, 착용부(150)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착용부(150)의 전방부(155) 내주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제2 지지부(157)는 띠 형태 마련된 착용부(150)의 내주면을 따라서 착용부(150)의 중심 방향으로 오목하게 휘어질 수 있다. HMD(100)는 본체(11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지지부(170)가 이마의 하단부에 지지되고, 착용부(150)의 전방부(155) 내주면 일부에 형성된 제2 지지부(157)가 이마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이중 지지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부(150)는 사용자의 후두부에 접촉하는 제3 지지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부(153)는 HMD(100)를 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착용부(150)의 후방부(151)에 형성될 수 있고, 착용부(150)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착용부(150)의 후방부(151) 내주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제3 지지부(153)가 착용부(150)의 좌측 후방부 및 우측 후방부에 각각 하나씩 총 2개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지지부(153)는 좌측 후방부로부터 우측 후방부까지 길게 이어지도록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부(157) 및 제3 지지부(153) 중 적어도 하나는 장시간의 착용을 고려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고자 스폰지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쿠션(cushion)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부(150)의 후방부(151)는 지정된 크기 이하의 탄성력을 가지는 경질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착용부(150)의 후방부(1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후방부(151)와 우측 후방부(151)로 분리될 수 있고, 좌측 후방부(151)와 우측 후방부(151) 사이에 지정된 크기 이상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 부재(158)가 배치되어 좌측 후방부(151)와 우측 후방부(151)를 연결할 수 있다. 좌측 후방부(151)와 우측 후방부(151)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 부재(158)는 상기 탄성력으로 인해 길이가 늘어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춰 착용부(15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부(150)는 지정된 크기 미만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 예컨대, 경질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착용부(150)는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맞춰지도록 착용부(1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159)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착용부(150)는 길이 조절부(159)를 통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어 본체(110)가 사용자 안면의 눈 주위로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길이 조절부(159)는 기어, 벨크로, 또는 자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부(130)는 본체(110)와 착용부(150)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130)는 본체(110)의 일면(예: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2개의 연결부(130)가 각각 본체(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부(130)는 본체(110)의 중심점(예: 무게 중심점)과 본체(110)의 후면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지정된 각도를 형성하면서 본체(110)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110)의 측면 하단부가 지면에 닿도록 하여 본체(110)를 지면에 놓았을 때, 연결부(130)는 지면과 지정된 각도를 형성하도록 본체(110)의 일면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30)의 구조는 도 7 내지 도 9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면에 가해지는 압력의 위치 및 압력의 인지 정도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가 안면에 접촉되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압력 인지 정도에 대한 그래프(49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사용자(400)의 눈썹(450) 위쪽에 해당하는 이마 부위(410)는 눈(470) 밑 광대 부위(430)에 비해 압력에 대한 민감도가 낮을 수 있다. 즉, 사용자(400)는 어떠한 물체가 사용자(400)의 안면에 지지될 때에 이마 부위(410)에서 느끼는 압박감이 광대 부위(430)에서 느끼는 압박감에 비해 더 적게 느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HMD(100)가 사용자(400)의 안면에 지지될 때에, 사용자(400)의 광대 부위(430)보다는 이마 부위(41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HMD(100)는 본체(11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지지부(170)가 이마(410)의 하단부(413)에 지지되고, 착용부(150)의 전방부(155) 내주면 일부에 형성된 제2 지지부(157)가 이마(410)의 상단부(411)에 지지되는 이중 지지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지지부(170)는 본체(110)의 일면(예: 후면)으로부터 연장되기 때문에, 본체(110)를 직접 지지해줄 수 있어 사용자(400)의 머리가 움직이더라도 본체(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170)는 이마(410)의 하단부(413)로부터 관자놀이까지 좌우로 이어지는 형태의 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폼은 이마(410)의 하단부(413) 및 관자놀이를 일부 덮는 형태로 접촉하고 본체(110)와 머리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지지부(170)는 본체(110)의 일면(예: 후면) 일부로부터 연장되고, 다른 부분에는 빛 차단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지지부(170)는 본체(110)의 후면 상측 테두리로부터 연장되는 제1 부분, 본체(110)의 후면 좌측 테두리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본체(110)의 후면 우측 테두리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본체(110)의 좌우측 테두리 하부에 각각 빛 차단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빛 차단부(117)는 사용자(400)가 HMD(110)를 착용했을 때, 외부의 빛이 본체(110) 내부 즉, 렌즈(113)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빛 차단부(117)는 제1 지지부(170)가 연장된 길이보다 작은 크기로 본체(11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기 때문에, 사용자(400)의 안면에는 접촉되지 않을 수 있어 단순히 외부로부터의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빛 차단부(117)가 광대 부위(430)에 하중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400)가 느끼는 압박감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피로도가 경감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지지부(157)는 착용부(150)의 전방부(155) 내주면 일부에 형성되고, 이마(410)의 상단부(411)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157)는 착용부(150)의 중심 방향으로 오목하게 휘어짐으로써, 이마(410)의 상단부(411)에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400)는 보다 안정적인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부(150)는 사용자(400)의 후두부(480)에 접촉하는 제3 지지부(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부(153)는 착용부(150)의 후방부(151) 내주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부(157) 및 제3 지지부(153) 중 적어도 하나는 장시간의 착용을 고려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고자 스폰지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쿠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지지부(170) 및 빛 차단부(117)에 의해 HMD(100)의 본체(110)는 사용자의 안면에 용이하게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170) 및 빛 차단부(117)를 포함하는 본체(110)의 모양이나 구조는 사용자(400)의 눈(470)을 덮은 외형이되, 사용자(400)의 코가 위치할 수 있도록 코 형상의 홈(1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회전 운동(rotary movement) 및 수평 운동(horizontal movement)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회전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부(130)는 본체(110)와 착용부(150)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130)는 본체(110)의 일면(예: 측면)에 배치되고, 본체(110)와 착용부(150)를 지면과 수평이 아닌 지정된 각도(a)(810)를 형성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130)는 본체(110)의 측면 하단부가 지면에 닿도록 하여 본체(110)를 지면에 놓았을 때, 지면과 지정된 각도(810)를 형성하도록 본체(110)의 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각도(810)는 예를 들어, 10도 내지 50도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부(130)는 체결부(131) 및 이동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31)는 본체(110)의 일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부(131)는 본체(110)의 일면에 형성된 축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관통홀(13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39)은 체결부(131)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중심부(138)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131)의 일측에 고리 형상으로 회전중심부(138)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리의 중심에 관통홀(139)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131)는 상기 관통홀(139)에 본체(110)의 일면에 형성된 축이 끼워지면, 상기 회전중심부(138)(또는 상기 축)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830)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체결부(131)가 회전할 수 있는 각도는 10도 내지 50도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부(131)는 지정된 크기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지정된 각도(810)로 본체(110)의 일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찰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체결부(131)는 회전 운동(830)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부(132)는 체결부(131)의 내측(134)에 삽입될 수 있으며, 체결부(131)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33)을 따라서 수평 운동(137)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부(132)는 체결부(131)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33)을 따라서 체결부(131)의 내측(134)으로 삽입될 수 있고, 가이드 레일(133)을 따라서 상기 지정된 각도(810)로 좌우로 이동(137)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부(132)는 체결부(131)와 탄성 부재(13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 부재(135)는 일단이 체결부(131)의 내측(134)에 형성된 제1 고정부(136a)에 고정되고, 타단이 이동부(132)의 일측에 형성된 제2 고정부(136b)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132)가 가이드 레일(133)을 따라서 이동될 때, 탄성 부재(135)에 의해 이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135)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고, 이동부(132)는 가이드 레일(133)을 따라서 체결부(131)의 외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132)가 체결부(1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135)가 가지는 탄성력으로 인해, 사용자(400)는 보다 손쉽게 이동부(132)를 수평 이동(137)시켜 HMD(100)를 착용할 수 있고, HMD(100)는 안정적으로 머리에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결부(130)의 경사진 각도(810) 및 상기 탄성력은 본체(110)를 들어올려 본체(110)가 안정적으로 사용자(400)의 이마(410)에 접촉되도록 하고, 본체(110)의 무게감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력이 착용부(150)를 잡아당기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착용부(150)가 사용자(400)의 머리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부(130)는 체결부(131)가 회전할 수 있는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체결부(131)는 스토퍼(910)에 의해 회전 운동(830)이 지정된 각도의 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각도의 범위는 예를 들어, 10도 내지 50도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스토퍼(910)는 회전중심부(138)의 내주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예로, 스토퍼(910)는 회전중심부(138)의 내주면 중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910)는 체결부(131)가 회전중심부(138)(또는 상기 축)를 중심으로 하단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10)가 하단 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대 부위(430)에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마 부위(410)에 하중을 더해 사용자(400)가 느끼는 안정감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400)가 HMD(100)를 착용할 때 머리와의 간섭을 줄여주어 사용성을 높여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토퍼(910)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위치 및 개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부(130)는 본체(110)의 적어도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부(130)는 본체(110)의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부(130)는 본체(110)의 우측면에 연결되고, 제2 연결부(130)는 본체(110)의 좌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130) 및 제2 연결부(130)가 모두 본체(110)의 상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130)의 개수 및 연결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부(130)는 하나가 본체(110)에 연결될 수도 있고, 세 개 이상이 본체(1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 예로, 제1 연결부(130)는 본체(110)의 좌측면에 연결되고, 제2 연결부(130)는 본체(110)의 우측면에 연결되며, 제3 연결부(130)는 본체(110)의 상측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부(150)는 사용자(400)의 측두부에 접촉하는 제4 지지부(10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지지부(1010)는 HMD(100)를 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착용부(150)의 측방부에 형성될 수 있고, 착용부(150)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착용부(150)의 측방부 내주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제4 지지부(1010)가 착용부(150)의 우측방부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4 지지부(1010)는 착용부(150)의 좌측방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두 개의 제4 지지부(1010)가 좌측방부와 우측방부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지지부(1010)는 스폰지와 같은 쿠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부(150)는 사용자(400)의 머리 둘레에 맞춰지도록 착용부(1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물(10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1030)(예: 길이 조절부(159))은 예를 들어, 착용부(15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1030)은 예를 들어, 기어, 벨크로, 또는 자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구조물(1030)이 착용부(150)의 후방부(151)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구조물(1030)은 착용부(150)의 전방부(155)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부(150)는 사용자(400)의 후두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제5 지지부(10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제5 지지부(1050)는 착용부(150)의 후방부(151) 일부로부터 착용부(15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5 지지부(1050)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5 지지부(1050)는 사용자(400)의 후두부와 접촉되는 상기 접촉면이 지정된 크기 이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400)의 후두부와 접촉되는 영역이 넓게 형성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착용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용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착용부(150)는 착용부(1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159)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조절부(159)는 착용부(150)의 일부에 배치되어, 착용부(15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1에서와 같이, 길이 조절부(159)는 착용부(150)의 전방부(155)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예로, 길이 조절부(159)는 착용부(150)의 전방부(155)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길이 조절부(159)가 착용부(150)의 전방부(155)에 배치되는 경우, 착용부(150)의 후방부(151)는 좌측 후방부(151)와 우측 후방부(151)로 분리될 수도 있고, 좌측 후방부(151)와 우측 후방부(151) 사이에 지정된 크기 이상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 부재(158)가 배치되어 좌측 후방부(151)와 우측 후방부(151)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정된 크기 이하의 탄성력을 가지는 경질 재질로 마련된 착용부(150)는 별도의 가이드가 없더라도 착용부(15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착용부(150)의 후방부(151)에 탄성 부재(158)를 배치함으로써, 착용부(150)가 사용자(400)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감싸도록 할 수 있고, 미세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400)의 머리 둘레와 상관없이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2에서와 같이, 길이 조절부(159)는 착용부(150)의 후방부(151)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예로, 길이 조절부(159)는 착용부(150)의 후방부(151)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2의 길이 조절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착용부(150)는 길이 조절부(159)에 의해 사용자(400)의 머리 둘레에 맞춰지도록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부(150)는 양쪽 끝단이 서로 분리된 긴 띠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부(150)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중앙 부분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150a)과 중앙 부분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15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착용부(150)의 제1 부분(150a)과 제2 부분(150b)은 착용부(150)의 후방부(151)(또는 전방부(155))에서 서로 교차될 수 있다. 또한, 착용부(150)의 제1 부분(150a)과 제2 부분(150b)은 교차되는 부분에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예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50a)과 제2 부분(150b)을 연결하는 구조로 랙(rack) 장치(1310)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부분(150a)과 제2 부분(150b)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은 서로 다른 랙 기어(rack gear)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로 다른 랙 기어들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 예로, 제1 부분(150a)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랙 기어와 제2 부분(150b)의 일단에 형성된 제2 랙 기어가 서로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pinion gear)의 형태로 마련된 길이 조절부(159)가 상기 제1 랙 기어와 상기 제2 랙 기어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얼(회전식 손잡이)로 동작하는 길이 조절부(159)를 잡고 돌리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린 상기 제1 랙 기어 및 상기 제2 랙 기어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착용부(150)의 길이는 좌우 방향(1350)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한 예로, 길이 조절부(159)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린 상기 제1 랙 기어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랙 기어는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착용부(150)의 제1 부분(150a)은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 부분(150b)은 좌측으로 이동되어 착용부(15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길이 조절부(159)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린 상기 제1 랙 기어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랙 기어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착용부(150)의 제1 부분(150a)은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2 부분(150b)은 우측으로 이동되어 착용부(150)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랙 장치(1310)는 상기 피니언 기어가 지정된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회전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걸림 부재(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예: HMD(100))는 제1 면이 사용자의 안면과 대면하도록 형성된 본체(예: 본체(110)),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예: 연결부(13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안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머리 일부분을 둘러싸는 띠의 형태로 마련된 착용부(예: 착용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면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지지부(예: 제1 지지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이마와 대면하는 전방부(예: 전방부(155)) 내주면에 형성된 제2 지지부(예: 제2 지지부(157))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이마에 지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면의 상측 테두리로부터 연장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면의 좌측 테두리 일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면의 우측 테두리 일부로부터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면의 테두리 중 상기 제1 지지부가 연장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빛 차단부(예: 빛 차단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빛 차단부가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1 지지부가 연장된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이마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중심점과 상기 제1 면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지정된 각도(예: 지정된 각도(810))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각도는 10도 내지 50도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가상의 선과 상기 지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진 방향으로 수평 운동(예: 수평 운동(137))하도록 지정된 크기 이상의 탄성력을 가진 탄성 부재(예: 탄성 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축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관통홀(예: 관통홀(139))을 포함하고,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예: 회전 운동(830))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회전 운동을 지정된 각도의 범위 내로 제한하는 스토퍼(예: 스토퍼(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제2 면에 연결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면의 반대 방향에 위한 제3 면에 연결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제2 면에 연결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부는 지정된 크기 미만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부는 후두부와 대면하는 후방부(예: 후방부(151)) 내주면에 형성된 제3 지지부(예: 제3 지지부(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부는 후두부와 대면하는 후방부(예: 후방부(151))에 지정된 크기 이상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 부재(예: 탄성 부재(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부는 상기 착용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 조절부(예: 길이 조절부(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길이 조절부는 후두부와 대면하는 상기 착용부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길이 조절부는 기어, 벨크로, 및 자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400) 내의 전자 장치(1401)의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환경(1400)에서 전자 장치(1401)(예: HMD(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1498)을 통하여 전자 장치(1402)와 통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1499)를 통하여 전자 장치(1404) 또는 서버(14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401)는 서버(1408)을 통하여 전자 장치(14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401)는 버스(1410), 프로세서(1420), 메모리(1430), 입력 장치(1450)(예: 마이크 또는 마우스), 표시 장치(1460), 오디오 모듈(1470), 센서 모듈(1476), 인터페이스(1477), 햅틱 모듈(1479), 카메라 모듈(1480), 전력 관리 모듈(1488), 및 배터리(1489), 통신 모듈(1490), 및 가입자 식별 모듈(1496)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4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460) 또는 카메라 모듈(148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410)는, 구성요소들(1420-149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신호(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카메라의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20)는 SoC(system on chip) 또는 SiP(system in package)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42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4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4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2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통신 모듈(149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432)에 로드 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 휘발성 메모리(143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30)는, 휘발성 메모리(1432)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1434)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1432)는,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예: DRAM, SRAM, 또는 SDRAM)로 구성될 수 있다. 비 휘발성 메모리(1434)는, 예를 들면,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OTPROM(one time PROM), EPROM(erasable PROM), EEPROM(electrically 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 휘발성 메모리(1434)는, 전자 장치(1401)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그 안에 배치된 내장 메모리(1436), 또는 필요 시에만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스탠드-얼론(stand-alone) 형태의 외장 메모리(1438)로 구성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438)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438)는 유선(예: 케이블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무선(예: Bluetooth)을 통하여 전자 장치(1401)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4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4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예를 들어, 프로그램(1440)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40)은, 예를 들면, 커널(1441), 라이브러리(1443),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4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interchangeably "어플리케이션")(1447)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450)는,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키보드는 물리적인 키보드로 연결되거나, 표시 장치(1460)를 통해 가상 키보드로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장치(1460)는,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연하게, 투명하게, 또는 착용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감지할 수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interchangeably "forc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회로 또는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와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4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470)은, 예를 들면,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470)은, 입력 장치(1450)(예: 마이크)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401)에 포함된 출력 장치(미 도시)(예: 스피커 또는 리시버), 또는 전자 장치(1401)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402)(예: 무선 스피커 또는 무선 헤드폰) 또는 전자 장치(1406)(예: 유선 스피커 또는 유선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476)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4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고도, 습도, 또는 밝기)를 계측 또는 감지하여, 그 계측 또는 감지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4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color) 센서(예: RGB(red, green, blue)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예: 홍채 센서, 지문 센서, 또는 HRM(heartbeat rate monitoring) 센서, 후각(electronic nose) 센서, EMG(electromyography) 센서, EEG(Electroencephalogram) 센서, ECG(Electrocardiogram)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또는 UV(ultra violet)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476)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401)는 프로세서(1420) 또는 프로세서(1420)와는 별도의 프로세서(예: 센서 허브)를 이용하여, 센서 모듈(1476)을 제어할 수 있다. 별도의 프로세서(예: 센서 허브)를 이용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1401)는 프로세서(142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프로세서(1420)를 깨우지 않고 별도의 프로세서의 작동에 의하여 센서 모듈(1476)의 동작 또는 상태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477)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D-sub(D-subminiature),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478)는 전자 장치(1401)와 전자 장치(1406)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478)는, 예를 들면,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479)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햅틱 모듈(1479)은 사용자에게 촉각 또는 운동 감각과 관련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햅틱 모듈(14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480)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480)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렌즈(예: 광각 렌즈 및 망원 렌즈, 또는 전면 렌즈 및 후면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예: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488)은 전자 장치(1401)의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489)는, 예를 들면, 1차 전지,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하여 외부 전원에 의해 재충전되어, 상기 전자 장치(14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통신 모듈(149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401)와 외부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1402), 제2 외부 전자 장치(1404), 또는 서버(1408)) 간의 통신 채널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490)은 무선 통신 모듈(1492) 또는 유선 통신 모듈(1494)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498)(예: Bluetooth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499)(예: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492)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GNSS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셀룰러 통신은,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Li-Fi(light fidelity), 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RF(radio frequency), 또는 BAN(body area network)을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1492)은,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1496)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4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492)은 프로세서(1420)(예: AP)와 별개인 C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CP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1420)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프로세서(1420)를 대신하여, 또는 프로세서(1420)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동안 프로세서(1420)과 함께, 전자 장치(1401)의 구성요소들(1410-1496)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와 관련된 기능들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492)은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방식만을 지원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494)은, 예를 들면, LAN(local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1498)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4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1402)간의 무선으로 직접 연결을 통해 명령 또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Wi-Fi 다이렉트 또는 Bluetooth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1499)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40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1404)간의 명령 또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예: LAN(local area network)나 WAN(wide area network)와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또는 텔레폰(telephone)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명령 또는 상기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14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40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14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1402, 1404) 각각은 전자 장치(14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4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402, 1404), 또는 서버(1408))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4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4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402, 1404), 또는 서버(1408))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402, 1404), 또는 서버(1408))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4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4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설정된(adapted to or 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또는 구성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예: 메모리 14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로 구성된 유닛(unit)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143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4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1 면이 사용자의 안면과 대면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안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머리 일부분을 둘러싸는 띠의 형태로 마련된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면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마와 대면하는 전방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마에 지지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착용부에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 지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부; 및
    양 단부가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이동부에 각각 고정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체결부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상대적인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지정된 경로를 따라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본체를 상기 사용자의 이마를 향해 당기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면의 상측 테두리로부터 연장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면의 좌측 테두리 일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면의 우측 테두리 일부로부터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의 테두리 중 상기 제1 지지부가 연장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빛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빛 차단부가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1 지지부가 연장된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이마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는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중심점과 상기 제1 면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지정된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각도는,
    10도 내지 50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상의 선과 상기 지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진 방향으로 수평 운동하도록 지정된 크기 이상의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축에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회전 운동을 지정된 각도의 범위 내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제2 면에 연결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면의 반대 방향에 위한 제3 면에 연결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제2 면에 연결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지정된 크기 미만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후두부와 대면하는 후방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3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후두부와 대면하는 후방부에 지정된 크기 이상의 탄성력을 가지는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착용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전방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후두부와 대면하는 상기 착용부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기어, 벨크로, 및 자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074883A 2017-06-14 2017-06-14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2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883A KR102482756B1 (ko) 2017-06-14 2017-06-14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US15/975,277 US11256099B2 (en) 2017-06-14 2018-05-09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EP18176072.9A EP3415975A1 (en) 2017-06-14 2018-06-05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CN201810605899.8A CN109085698B (zh) 2017-06-14 2018-06-13 头戴式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883A KR102482756B1 (ko) 2017-06-14 2017-06-14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222A KR20180136222A (ko) 2018-12-24
KR102482756B1 true KR102482756B1 (ko) 2022-12-30

Family

ID=6256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883A KR102482756B1 (ko) 2017-06-14 2017-06-14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56099B2 (ko)
EP (1) EP3415975A1 (ko)
KR (1) KR102482756B1 (ko)
CN (1) CN1090856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0694B2 (en) * 2017-05-23 2021-10-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it system using collapsible beams for wearable articles
TWI626473B (zh) * 2017-07-25 2018-06-1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頭戴式顯示設備
US10905186B2 (en) * 2018-05-03 2021-02-02 Htc Corporation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11029729B1 (en) * 2018-05-07 2021-06-08 Facebook Technologies, Llc Adjustable strap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 head-mounted displays
CN109581665A (zh) * 2019-01-02 2019-04-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头戴式虚拟显示设备
WO2020179946A1 (ko) * 2019-03-05 2020-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Vr ar mr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
TWI695996B (zh) * 2019-04-15 2020-06-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擴增實境裝置
US11768538B1 (en) * 2019-04-26 2023-09-26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physical interface
KR20190106926A (ko) * 2019-08-30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KR102353037B1 (ko) * 2019-11-20 2022-01-19 김재근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US11262589B2 (en) 2020-03-27 2022-03-01 ResMed Pty Ltd Positioning and stabilising structure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JP7387468B2 (ja) 2020-01-30 2023-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CN116338956A (zh) * 2020-03-27 2023-06-27 瑞思迈私人有限公司 头戴式显示系统
US11686948B2 (en) * 2020-03-27 2023-06-27 ResMed Pty Ltd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US11169384B2 (en) * 2020-03-27 2021-11-09 ResMed Pty Ltd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US11598967B2 (en) 2020-03-27 2023-03-07 ResMed Pty Ltd Positioning and stabilising structure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US11531371B2 (en) * 2021-05-07 2022-12-20 Boyd Entertainment Group, LLC Harness apparatus for head-mounted display devices
US11669127B2 (en) * 2021-06-30 2023-06-06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Extended reality headset positioning and stabilization
CN113566100B (zh) * 2021-07-26 2023-08-08 歌尔科技有限公司 穿戴设备和智能设备
TW202349065A (zh) * 2022-02-22 2023-12-16 澳大利亞商瑞思邁私人股份有限公司 頭戴式顯示系統以及定位和穩定結構
WO2023212097A1 (en) * 2022-04-27 2023-11-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securement strap
WO2024003757A1 (en) * 2022-06-28 2024-01-04 Niantic, Inc. Compact head-mounted augmented reality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165A1 (ja) 2014-03-14 2015-09-1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20160299346A1 (en) 2015-04-07 2016-10-13 Facebook, Inc. Strap Systems for Head-Mounted Displays
JP2017017565A (ja) * 2015-07-01 2017-01-19 フォーブ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7928A (en) * 1955-09-29 1959-05-26 Morgan L Misuraca Binocular stroboscope
GB2107173B (en) * 1981-09-24 1985-04-17 Pilkington Perkin Elmer Ltd Apparatus for mounting equipment on the wearers head
TW275590B (en) 1994-12-09 1996-05-11 Sega Enterprises Kk Head mounted display and system for use therefor
JPH09159965A (ja) * 1995-12-14 1997-06-20 Olympus Optical Co Ltd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JPH10333084A (ja) * 1997-05-27 1998-12-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頭部搭載型ディスプレイ装置
US6931668B2 (en) 2001-12-21 2005-08-23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Headmount apparatus for attaching and supporting devices
GB2412290B (en) 2003-01-03 2006-08-09 Norotos Inc Facemask assembly for night vision goggles
US7484646B1 (en) * 2004-09-23 2009-02-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ive mask index bracket
KR20140066258A (ko) * 2011-09-26 2014-05-30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투시 근안 디스플레이에 대한 센서 입력에 기초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수정
KR102230076B1 (ko) * 2014-09-01 2021-03-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US9366871B2 (en) * 2014-10-24 2016-06-14 Emagin Corporation Microdisplay based immersive headset
US9810911B2 (en) 2015-06-15 2017-11-07 Oculus Vr, Llc Adjustable strap system for head-mounted displays
JP2017011436A (ja) 2015-06-19 2017-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17010712A (ja) * 2015-06-19 2017-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CN105182533B (zh) 2015-08-28 2018-04-06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头戴显示器
CN105661735B (zh) 2015-12-31 2019-06-04 北京小鸟看看科技有限公司 一种佩戴头带及具有该佩戴头带的可穿戴设备
CN106019602B (zh) * 2016-08-03 2018-03-30 深圳酷酷科技有限公司 头戴式显示设备
CN205958848U (zh) 2016-08-03 2017-02-15 深圳酷酷科技有限公司 佩戴头带模组及头戴式显示设备
EP3531187B1 (en) * 2016-10-18 2022-11-23 LG Electronics Inc. Head-mounted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165A1 (ja) 2014-03-14 2015-09-1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20160299346A1 (en) 2015-04-07 2016-10-13 Facebook, Inc. Strap Systems for Head-Mounted Displays
JP2017017565A (ja) * 2015-07-01 2017-01-19 フォーブ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85698B (zh) 2022-06-07
EP3415975A1 (en) 2018-12-19
US11256099B2 (en) 2022-02-22
KR20180136222A (ko) 2018-12-24
US20180364491A1 (en) 2018-12-20
CN109085698A (zh) 201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2756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8772B1 (ko)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US10095275B2 (en) Band connecting device and head mounted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10261579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US10261542B1 (en) Distributed augmented reality system
US10175753B2 (en) Second screen devices utilizing data from ear worn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2230076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US20200201053A1 (en) Ear horn assembly for headworn computer
EP3134825B1 (en) Head-worn computing systems
KR102574490B1 (ko) 머리 장착형 전자 장치
US9025252B2 (en) Adjustment of a mixed reality display for inter-pupillary distance alignment
ES2858520T3 (es) Interacciones multitáctiles en elementos oculares
KR10229710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5579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JP2022518213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顔インタフェース
US11029524B2 (en) Display device
KR200478490Y1 (ko) 헤드 마운트 장치
KR20170109297A (ko) 전방위 영상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145219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TW201543333A (zh) 可穿戴式裝置及其操作方法
US20170227774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same
JP6638325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18008764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102061425B1 (ko) 뷰기능이 개선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80387A (ko) 사용자 렌즈가 삽입되는 렌즈 클립 및 렌즈 클립에 사용자 렌즈의 삽입 여부를 검출하는 머리 장착형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