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037B1 -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037B1
KR102353037B1 KR1020190149606A KR20190149606A KR102353037B1 KR 102353037 B1 KR102353037 B1 KR 102353037B1 KR 1020190149606 A KR1020190149606 A KR 1020190149606A KR 20190149606 A KR20190149606 A KR 20190149606A KR 102353037 B1 KR102353037 B1 KR 102353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length adjustment
augmented reality
reality device
fore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1727A (ko
Inventor
김재근
Original Assignee
김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근 filed Critical 김재근
Priority to KR1020190149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03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기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고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영상을 보며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머리에 착용 되는 증강현실 기기의 무게에 따른 압박감과 착용부위 자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스마트폰의 영상을 전달받도록 구성된 본체와 그 본체의 하중이 착용자의 이마로 전달되도록 하는 이마의지수단과 길이 조절되는 길이조절밴드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Augmented Reality Device Stationary Smart Phone}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기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고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영상을 보며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머리에 착용 되는 증강현실 기기의 무게에 따른 압박감과 착용부위 자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은 사용자가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영상을 겹쳐 보여주는 기술로서, 현실세계에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 가상의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증강현실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에서 GPS 수신기를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휴대용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입력 영상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증강현실 기능은 상기 휴대용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가상의 정보가 상기 휴대용 단말의 입력 영상과 관련되지 않은 정보일 수도 있다.
물론,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에서 입력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 후, 서버로부터 그 결과를 다운로드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인쇄서적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 후, 서버로부터 상기 인쇄서적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기술 혹은 제품에 대한 외형, 이미지 및 가격 등을 서버로 전송한 후, 서버로부터 상기 제품에 대한 정보를 다운로드 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최근에 제공된 기술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9-0046516호의 "휴대용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이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상부가 개폐되며,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100);
상기 박스의 상부에 놓여 증강현실 체험 서비스의 배경이 되는 배경 플레이트(200);
상기 박스에 거치되어 증강현실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300); 및
상기 박스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 클립(4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은 양손 모두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과 행동을 자유롭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9-0046516호(2019.05.07) (선행문헌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9-0087972호(2019.07.25) (선행문헌3)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8-0058895호(2018.06.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방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고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영상을 보며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머리에 착용 되는 증강현실 기기의 무게에 따른 압박감과 착용부위 자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최전방에 스마트폰의 하부 일부를 긴밀히 수용하도록 형성된 스마트폰수용부(111)의 하단 양측에 스마트폰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스마트폰유동제어구(112)가 상호 마주보며 위치조절 홀(113)을 따라 위치 조절되게 설치하여 된 스마트폰거치수단(110)이 마련되고, 상기 스마트폰거치수단의 후방 밀폐된 공간(S)의 전방에는 스마트폰의 화면 영상이 통과되는 통과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통과부의 후방에는 상기 공간의 상부 전방에서 후방 하부로 40-50° 하향 기울어지는 반사미러(130)가 설치되고, 상기 반사미러의 하부에는 프리넬볼록렌즈(140)가 설치되며, 상기 프리넬볼록렌즈의 하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기울어지는 전반사미러(150)가 설치되고, 상기 전반사미러에는 빛 차단렌즈(160)가 설치되며, 후방 양측에는 머리의 양측에 지지되는 지지구(170)를 각각 형성시켜 된 본체(100)와,
상기 각 지지구의 후단부에 회동부재(21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에는 착용자의 이마 상부를 감싸며 이마에 의지 되는 의지부재(220)를 설치하여 된 이마의지수단(200)과,
상기 이마의지수단의 양 후단부와 전방이 관절부재(310)를 매개로 각도 전환되게 설치되고, 후방에는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320)를 설치하여 된 머리의 후방을 감싸는 길이조절밴드(300)로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폰거치수단, 반사미러, 프리넬볼록렌즈가 설치된 본체가 착용자의 시선 즉 눈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착용자가 상기 본체의 하중으로 인한 압박감과 착용 자국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기기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고 머리에 작용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영상을 보며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또 머리에 착용한 증강현실 기기의 무게에 따른 압박감과 착용부위 자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에서 스마트폰거치수단 발췌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에서 의지부재 발췌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에서 길이조절부재의 발췌 분해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에서 길이조절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기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고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영상을 보며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머리에 착용 되는 증강현실 기기의 무게에 따른 압박감과 착용부위 자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아래의 설명에서 증상현실(Augmented Reality) 기기의 구성 및 기능은 이미 잘 알려진 것으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인 스마트폰의 영상이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구성 및 증상현실(Augmented Reality) 기기를 착용하고 사용함에 있어 그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과 그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는, 도 2 내지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전방에 스마트폰의 하부 일부를 긴밀히 수용하도록 형성된 스마트폰수용부(111)의 하단 양측에 스마트폰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스마트폰유동제어구(112)가 상호 마주보며 위치조절 홀(113)을 따라 위치 조절되게 설치하여 된 스마트폰거치수단(110)이 마련되고, 상기 스마트폰거치수단의 후방 밀폐된 공간(S)의 전방에는 스마트폰의 화면 영상이 통과되는 통과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통과부의 후방에는 상기 공간의 상부 전방에서 후방 하부로 40-50° 하향 기울어지는 반사미러(130)가 설치되고, 상기 반사미러의 하부에는 프리넬볼록렌즈(140)가 설치되며, 상기 프리넬볼록렌즈의 하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기울어지는 전반사미러(150)가 설치되고, 상기 전반사미러에는 빛 차단렌즈(160)가 설치되며, 후방 양측에는 머리의 양측에 지지되는 지지구(170)를 각각 형성시켜 된 본체(100)와,
상기 각 지지구의 후단부에 회동부재(21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에는 착용자의 이마 상부를 감싸며 이마에 의지 되는 의지부재(220)를 설치하여 된 이마의지수단(200)과,
상기 이마의지수단의 양 후단부와 전방이 관절부재(310)를 매개로 각도 전환되게 설치되고, 후방에는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320)를 설치하여 된 머리의 후방을 감싸는 길이조절밴드(300)로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폰거치수단, 반사미러, 프리넬볼록렌즈가 설치된 본체가 착용자의 시선 즉 눈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착용자가 상기 본체의 하중으로 인한 압박감과 착용 자국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구성에서 최전방에 스마트폰거치수단(110)을 형성시킨 이유는, 스마트폰(P)을 상기 스마트폰거치수단(110)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거치시켜 이동중에도 스마트폰(P)이 스마트폰거치수단(110)으로부터 움직이지 않고 안전하게 고정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스마트폰거치수단(110)의 후방 밀폐된 공간(S)의 전방에 스마트폰(P)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상을 통과시키는 통과부(120)는, 스마트폰의 화면과 준하거나 그보다 큰 관통 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통과부(120)의 후방에는 상기 공간(S)의 상부 전방에서 후방 하부로 40-50°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반사미러(130)가 설치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스마트폰(P)의 영상이 통과부(120)를 통과하며 반사미러(130)로 조사되면 그 조사되는 영상을 하방으로 반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P)의 영상을 하방으로 반사하는 반사미러(130)의 가장 바람직한 설치각도는 45°이다. 그 이유는 통과부(120)를 통과하며 반사미러(130)로 조사되는 영상을 하방 수직으로 반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반사미러(130)의 하부에는 프리넬볼록렌즈(140)가 설치되는데, 그 프리넬볼록렌즈(140)를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반사미러(130)에서 반사되는 영상을 아래에서 설명되는 전반사미러(150)로 확대하여 전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전반사미러(150)는, 전반사미러 소재를 코팅하여 된 것으로, 이와 같은 전반사미러(150)는, 증강현실기기를 착용한 착용자의 시선과 준하는 전방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이와 같은 전반사미러(150)는 그 전반사미러의 중앙부와 상기 본 발명의 기기를 착용한 착용자의 시선 즉 눈이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치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반사미러재가 코팅된 전반사미러(15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기울어지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본 발명의 기기를 착용한 착용자가 편안하고 선명하게 목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전반사미러재가 코팅된 전반사미러(150)는, 빛 차단렌즈(160)에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그 빛 차단렌즈(160)를 설치하는 이유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여 상기 전반사미러에서 구현되는 영상을 선명하게 목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거치수단(110)은, 스마트폰(P)의 하부 일부를 긴밀히 수용하는 스마트폰수용부(111)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되고, 그 마트폰수용부(111)의 하단 양측에는 스마트폰의 유동을 제어하는 스마트폰유동제어구(112)가 위치조절 홀(113)을 따라 위치 조절되게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에서 스마트폰의 유동을 제어하는 스마트폰유동제어구(11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폰수용부(111)의 양측에 각각의 스마트폰유동제어구(112)를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하고,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스마트폰유동제어구(112)는, 위치조절 홀(113)을 따라 위치 이동함으로써 스마트폰의 크기에 따라 스마트폰유동제어구(112)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스마트폰유동제어구(112)가 스마트폰의 양단부를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유동을 제어한다.
상기 스마트폰유동제어구(112)의 일실시 예는, 각 스마트폰유동제어구(112) 간에는 탄성스프링을 설치하여 각 스마트폰유동제어구(112)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당김력이 발생되게 함으로서 스마트폰의 양단부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스마트폰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고, 그 외에도 스마트폰의 양단부분을 견고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가능하다.
또 상기 본체(100)의 후방 양측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리의 양측에 지지되는 지지구(170)가 설치되고, 그 지지구(170)에는 상기 이마의지수단(200)을 연결 설치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스마트폰거치수단(110), 반사미러(130), 프리넬볼록렌즈(140)가 설치된 본체(100)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자의 시선 즉 눈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그들의 구성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착용자의 이마 상부에서 받도록 하여 본 발명의 증강현실기기를 착용한 착용자의 앞면에 상기 본체의 하중으로 인한 압박감과 착용 자국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상기 본체(100)의 하중이 착용자의 이마 상부에서 받도록 하여 착용자의 앞면에 압박감과 착용 자국 발생을 최소화하는 구성은, 착용자의 이마 상부를 감싸며 이마에 의지 되는 의지부재(220)로써, 그 의지부재(220)의 일실시 예 구성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자의 이마 상부를 감싸며 이마에 얹어져 의지 되는 의지구(221)가 형성되고, 그 의지구(221)의 내면에는 이마와의 접촉감을 향상시키는 탄성부재(222)가 설치된다.
상기의 의지부재(220) 구성에서 의지구(221)는 착용자의 이마 상부를 감싸는 경질의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띠의 내면에는 쿠션력을 갖는 탄성부재(222)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222)의 표면에는 이마와의 접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드러운 융과 같은 섬유를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의지부재(220)는, 이마의 상부에 지지되어 스마트폰거치수단(110), 반사미러(130), 프리넬볼록렌즈(140)가 설치된 본체(100)의 하중이 이마의 상부에 미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의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구(170)에 회동부재(21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의지부재(220)가 설치되고, 그 의지부재(220)는 착용자의 이마 상부를 감싸며 이마에 의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거치수단(110), 반사미러(130), 프리넬볼록렌즈(140)가 설치된 본체(100)의 하중이 이마의 상부에 미침으로 본체(100)의 하중으로 인한 착용자의 앞면 압박감과 착용 자국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각 지지구(170)의 후단부에는 의지부재(220)의 후방과 회동부재(21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본 발명의 기기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영상을 볼 때에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반사미러(150)와 시선이 일치되도록 본체(100)를 회동시키고, 외부의 환경을 직접 볼 때에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0)를 시선 밖으로 회동시켜 눈으로 외부의 환경을 직접 볼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본체(100)를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준다.
단 상기의 회동부재(210)는, 다양하게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체(100)가 회동 완료 후에 그 회동 완료된 위치로부터 정역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함이 좋다.
또 본 발명의 관절부재(3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조절밴드(300)의 선단부와 이마의지수단(200) 후단부 간에 각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상기 길이조절밴드(300)의 선단부와 이마의지수단(200) 후단부 일부를 중첩시킨 후 그 중첩된 부분을 관절부재(310)인 회전 핀을 관통하며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길이조절밴드(300)의 선단부와 이마의지수단(200) 후단부 간의 각도 조절은 상기 관절부재(310)인 회전 핀을 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길이조절부재(32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 홀(321a)이 형성되고 하부에 길이조절밴드(300)가 이동하는 가이드 홀(321b)이 형성된 한 쌍의 덮개(321c)로 구성되는 몸체(321)와, 상기 가이드 홀(321b)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에 기어(322a)가 형성되고 일 측에 결합부(322b)를 형성시켜 된 길이조절밴드작동구(322)가 설치되고, 그 길이조절밴드작동구의 일 측에는 후방 외주 연에 복수 개의 돌기(323a)가 형성되고 전방에 상기 결합부(322b)와 결합되는 결합구(323b)를 형성시켜 된 동력전달구(323)가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구의 일 측에는 상기 몸체(321)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내주 면에 상기 돌기(323a)가 결합되는 돌기 홈(324a)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동력전달구(323)와 길이조절밴드작동구(322)를 관통하며 설치되는 축(324b)을 설치하여 된 회전레버(324)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회전레버(324)에 형성된 축(324b)은, 동력전달구(323)와 길이조절밴드작동구(322)를 관통하며 결합되어 일 측의 덮개와 끼워 결합되는 것이다.
또 상기 가이드 홀(321b)에는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의 길이조절밴드(300) 후방 일부가 상호 방향을 달리하며 관통하고, 그 관통된 양측의 길이조절밴드(300) 후방 일부에 형성된 각각의 장홀(330)은 상기 기어(322a)를 수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길이조절밴드(300)를 조절하고자 회전레버(324)를 일 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일 측의 장 홀 상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상부기어(330a)는 길이조절밴드작동구(322)의 상부에 위치한 기어(322a)와 결합되고, 타 측의 장 홀 하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하부기어(330b)는 길이조절밴드작동구(322)의 하부에 위치한 기어(322a)와 결합 되므로 상기 회전레버(324)를 일 측으로 회전시키면 각 길이조절밴드(300)의 이동방향을 서로 달리하며 길이조절밴드(300)의 길이를 짧게 하고, 또 상기 회전레버(324)를 타 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길이조절밴드(300)를 짧게 하는 작동과 역 작동되어 길이조절밴드(300)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음으로 상기 길이조절밴드(300)를 원하는 만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돌기(323a)와 돌기 홈(324a)을 형성시켜 돌기(323a)가 돌기 홈(324a)에 결합되게 하는 이유는, 길이조절밴드(300)를 원하는 만큼 조절시키고자 회전레버(324)를 회전시킬 때에 상기 동력전달구(323)와 회전레버(324)가 공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기기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고 머리에 작용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영상을 보며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또 머리에 착용한 증강현실 기기의 무게에 따른 압박감과 착용부위 자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본체 110 : 스마트폰거치수단
111 : 스마트폰수용부 112 : 스마트폰유동제어구
120 : 통과부 130 : 반사미러
140 : 프리넬볼록렌즈 150 : 전반사미러
160 : 빛 차단렌즈 170 : 지지구
200 : 이마의지수단 210 : 회동부재
220 : 의지부재 221 : 의지구
222 : 탄성부재 300 : 길이조절밴드
310 : 관절부재
320 : 길이조절부재 321 : 몸체
321a : 관통 홀 321b : 가이드 홀
321c : 덮개 322 : 길이조절밴드작동구
322a : 기어 322b : 결합부
323 : 동력전달구 323a : 돌기
323b : 결합부 324 : 회전레버
324a : 돌기 홈 324b : 축

Claims (6)

  1. 최전방에 스마트폰의 하부 일부를 긴밀히 수용하도록 형성된 스마트폰수용부(111)의 하단 양측에 스마트폰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스마트폰유동제어구(112)가 상호 마주보며 위치조절 홀(113)을 따라 위치 조절되게 설치하여 된 스마트폰거치수단(110)이 마련되고, 상기 스마트폰거치수단의 후방 밀폐된 공간(S)의 전방에는 스마트폰의 화면 영상이 통과되는 통과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통과부의 후방에는 상기 공간의 상부 전방에서 후방 하부로 40-50° 하향 기울어지는 반사미러(130)가 설치되고, 상기 반사미러의 하부에는 프리넬볼록렌즈(140)가 설치되며, 상기 프리넬볼록렌즈의 하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기울어지는 전반사미러(150)가 설치되고, 상기 전반사미러에는 빛 차단렌즈(160)가 설치되며, 후방 양측에는 머리의 양측에 지지되는 지지구(170)를 각각 형성시켜 된 본체(100)와,
    상기 각 지지구의 후단부에 회동부재(21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에는 착용자의 이마 상부를 감싸며 이마에 의지 되는 의지부재(220)를 설치하여 된 이마의지수단(200)과,
    상기 이마의지수단의 양 후단부와 전방이 관절부재(310)를 매개로 각도 전환되게 설치되고, 후방에는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320)를 설치하여 된 머리의 후방을 감싸는 길이조절밴드(300)로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폰거치수단, 반사미러, 프리넬볼록렌즈가 설치된 본체가 착용자의 시선 즉 눈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착용자가 상기 본체의 하중으로 인한 압박감과 착용 자국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거치수단(110), 반사미러(130), 프리넬볼록렌즈(140)가 설치되는 본체(100) 부분은, 증강현실기기를 착용한 착용자의 눈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본체의 하중을 착용자의 이마 상부에서 받도록 구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재(320)는, 중앙에 관통 홀(321a)이 형성되고 하부에 길이조절밴드(300)가 이동하는 가이드 홀(321b)이 형성된 한 쌍의 덮개(321c)로 구성되는 몸체(321)와, 상기 가이드 홀(321b)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에 기어(322a)가 형성되고 일 측에 결합부(322b)를 형성시켜 된 길이조절밴드작동구(322)가 설치되며, 그 길이조절밴드작동구의 일 측에는 후방 외주 연에 복수 개의 돌기(323a)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상기 결합부(322b)와 결합되는 결합구(323b)를 형성시켜 된 동력전달구(323)가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구의 일 측에는 상기 몸체(321)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내주 면에 상기 돌기(323a)가 결합되는 돌기 홈(324a)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동력전달구(323)와 길이조절밴드작동구(322)를 관통하며 일 측의 덮개에 끼워 고정되는 축(324b)을 형성시켜 된 회전레버(3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재(320)에 형성된 가이드 홀(321b)에는, 양측의 길이조절밴드(300) 후방 일부가 상호 방향을 달리하며 관통 설치되고, 그 관통 설치된 상기 양측의 길이조절밴드 후방에는 각각의 장홀(330)이 형성되며, 상기 각 장홀 중 어느 한쪽의 장홀 상부 길이 방향으로는 길이조절밴드작동구(322)에 형성된 기어(322a)와 결합되는 상부기어(330a)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장홀 하부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기어(322a)와 결합되는 하부기어(330b)를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KR1020190149606A 2019-11-20 2019-11-20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KR102353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606A KR102353037B1 (ko) 2019-11-20 2019-11-20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606A KR102353037B1 (ko) 2019-11-20 2019-11-20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727A KR20210061727A (ko) 2021-05-28
KR102353037B1 true KR102353037B1 (ko) 2022-01-19

Family

ID=7614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606A KR102353037B1 (ko) 2019-11-20 2019-11-20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0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29692A (ja) * 2017-02-08 2018-08-16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頭部装着型表示装置及び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5908A (ko) * 2015-11-12 2017-05-22 최해용 모자형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영상시스템
KR101835874B1 (ko) * 2015-12-15 2018-03-13 박석봉 휴대용 단말기 헤드마운트 장치
WO2018074657A1 (ko) * 2016-10-18 2018-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KR102075383B1 (ko) 2016-11-24 2020-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증간현실 구현 방법
KR102482756B1 (ko) * 2017-06-14 2022-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CN107656382B (zh) 2017-10-19 2019-12-27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增强现实眼镜
KR102001546B1 (ko) 2017-10-26 2019-07-17 주식회사 미디어프론트 휴대용 증강현실 체험 시스템
KR20190087061A (ko) *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씨에스위모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29692A (ja) * 2017-02-08 2018-08-16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頭部装着型表示装置及び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727A (ko) 202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7364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用連節式ノーズブリッジ
US10324295B2 (en) Eyeglass-type display apparatus
US20040252077A1 (en) Display
US10732418B2 (en) Wearable device
EP2066119A1 (en) Head-mount type display unit, and image display unit
JP2001522064A (ja) 眼鏡又はその他の頭部装着のアイウェアのための軽量で,コンパクトな再装着自由の電子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JP2017068045A (ja) ウェアラブル装置
CN105629467A (zh) 图像显示装置
KR102078491B1 (ko)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3037B1 (ko)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KR101875313B1 (ko) 렌즈 조절기를 구비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CN107024770A (zh) 可穿戴设备
KR101835874B1 (ko) 휴대용 단말기 헤드마운트 장치
CN113568169A (zh) 虚拟实境头戴式显示装置
KR20150039316A (ko) 의료용 루페
US11022807B2 (en) Electronic eye wear viewing device
KR102578214B1 (ko) 원-버튼 자동 길이 조절 기능을 갖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CN108076195B (zh) 实现视频透视的增强现实手机盒
JP4258950B2 (ja) 映像表示装置
CN114967157A (zh) 一种多功能可调节的ar眼镜
KR20220077000A (ko) 교육용 증강현실 기기
JP6421558B2 (ja) 画像表示装置
JP6613646B2 (ja) 画像表示装置
US11044960B2 (en) Wearable display device
KR102216587B1 (ko) 고스트 이미지 차단 기능을 갖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