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061A -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061A
KR20190087061A KR1020180005380A KR20180005380A KR20190087061A KR 20190087061 A KR20190087061 A KR 20190087061A KR 1020180005380 A KR1020180005380 A KR 1020180005380A KR 20180005380 A KR20180005380 A KR 20180005380A KR 20190087061 A KR20190087061 A KR 20190087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martphone
phone
hea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석
고재건
조갑래
백경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위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위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위모
Priority to KR1020180005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7061A/ko
Publication of KR2019008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027/0192Supplementary details
    • G02B2027/0196Supplementary details having transparent supporting structure for display mounting, e.g. to a window or a windshie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렌즈(30)가 시야의 맞은편에 있음과 더불어 반사브래킷(20)이 이마를 등지고 있으면서 화면(P1)이 이마를 향하도록 스마트폰(P)을 폰브래킷(10)으로 장착하여 반사브래킷(20)에 의해 광학렌즈(30)를 통해 반사된 스마트폰(P)의 영상을 시청 가능케 하여[광학렌즈(30)를 통해 스마트폰(P)의 영상을 정방향으로 시청 가능케 하여] 화면(P1) 상의 각종 아이콘들을 전방에 두고 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학렌즈(30)를 통해 영상을 바르게 보는 것과 더불어 스마트폰(P)의 조작까지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HEAD MOUNTED DISPLAY DEVICE FOR A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학렌즈가 시야의 맞은편에 있음과 더불어 반사브래킷이 이마를 등지고 있으면서 화면이 이마를 향하도록 스마트폰을 폰브래킷으로 장착하여 광학렌즈를 통해 반사브래킷에 의해 반사된 스마트폰의 영상을 시청 가능케 하여[광학렌즈를 통해 스마트폰의 영상을 정방향으로 시청 가능케 하여] 화면 상의 각종 아이콘들을 전방에 두고 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학렌즈를 통해 영상을 바르게 보는 것과 더불어 스마트폰의 조작까지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의 발전과 더불어 3D 영상, 가상현실 컨텐츠,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혼합현실 컨텐츠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고, 이러한 컨텐츠 영상을 보다 사실적으로 볼 수 있도록 여러 기기들이 다채롭게 보급되고 있다.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컴퓨터시스템으로 생성한 3차원 그래픽 가상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기술이고,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은 현실세계와 가상세계를 결합한 기술로서 실제환경에 가상사물을 겹쳐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술이며, 혼합현실(MR; Mixed Reality)은 증강현실에 공간인식 및 물체인식 기능을 더하여 현실감을 더욱 증가시킨 기술이다.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기기는 현실과 차단된 상태에서 앞을 볼 수 없는 형태로 제작되지만, 증강현실이나 혼합현실을 구현하는 기기는 그 특성상 현실을 볼 수 있는 형태로 투명 광학계로 제작되고 있다.
그리고,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기로 구현하는 방식이 있고, 자체 운영체제 및 CPU를 구비한 스마트 글라스 방식이나 스마트 고글 방식 등이 있으며, 모바일 기기 방식은 광학렌즈를 활용하지 않고 화면을 확대 없이 보는 방식과, 광학렌즈를 이용하여 화면을 확대하여 보는, 즉 대화면으로 보는 방식이 있다.
이때, 증강현실의 구현 기기로서 스마트 글라스 방식 및 스마트 고글 방식 등은 자체 운영체제와 CPU, 소형 디스플레이 부품 등의 사용으로 고가인 단점을 안고 있다.
나아가,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기 방식은 손에 들고 화면을 봐야 하므로 장시간 사용시 팔이 아프거나 다른 한 손에 대한 사용자의 행동이 제약되는 문제가 있으며, 볼 수 있는 화면 영역도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한정된 한계를 안고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45291호)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반사 광학 표면이 수반된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반사 광학 표면이 수반된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105)에 안경처럼 프레임(107)이 착용되고, 프레임(107)의 끝중단에는 사용자의 이마를 등지고 영상을 표출하는 영상표시시스템(110)이 구비되며, 프레임(107)의 끝단에는 영상표시시스템(110)으로 표출된 영상을 반사시켜 사용자의 눈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반사시키는 반사광학표면(120)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은 영상표시시스템(110)으로부터 표출된 영상을 반사광학표면(120)을 통해 눈으로 시청할 수는 있으나, 영상표시시스템(110)이 이마를 등지고 있어 영상 시청 중 영상표시시스템(110)을 조작하고자 할 때 손으로 터치하기가 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영상표시시스템(110)이 밀폐된 구조여서 손가락으로 화면을 볼 수 없어 영상시청 중 화면을 조작하고자 할 때 그 터치가 극히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45291호(2014.04.16)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을 보는 것과 동시에 스마트폰의 조작까지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렌즈가 시야의 맞은편에 있음과 더불어 반사브래킷이 이마를 등지고 있으면서 화면이 이마를 향하도록 스마트폰을 폰브래킷으로 장착하여 광학렌즈를 통해 반사브래킷에 의해 반사된 스마트폰의 영상을 시청 가능케 하여[광학렌즈를 통해 스마트폰의 영상을 정방향으로 시청 가능케 하여] 화면 상의 각종 아이콘들을 전방에 두고 터치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렌즈를 통해 영상을 바르게 보는 것과 더불어 스마트폰의 조작까지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폰브래킷 및 반사브래킷 사이에 확보된 옆트임공간을 통해 손가락을 깊숙하게 넣을 수 있게 되어 화면의 어느 위치에 있는 아이콘일지라도 자유롭게 터치하여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밴드브래킷이 이마에 맞닿도록 헤드밴드가 장착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표출된 영상을 반사시키는 반사브래킷을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폰브래킷으로의 스마트폰의 장착을 탄성적으로 보장하면서도 뒷트임공간에 의한 스마트폰의 착탈동작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보여주는 영상모듈과, 헤드에 씌워지면서 상기 영상모듈을 이마에 착용토록 하는 헤드밴드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모듈은
상기 화면이 이마를 향하도록 상기 스마트폰을 장착시키는 폰브래킷과,
상기 폰브래킷의 상단에 연결되어 이마를 등지면서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표출된 영상을 반사시키는 반사브래킷과,
상기 폰브래킷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반사브래킷으로부터 반사된 영상을 반사시키는 광학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학렌즈가 시야의 맞은편에 있음과 더불어 반사브래킷이 이마를 등지고 있으면서 화면이 이마를 향하도록 스마트폰을 폰브래킷으로 장착하여 광학렌즈를 통해 반사브래킷에 의해 반사된 스마트폰의 영상을 시청 가능케 하여[광학렌즈를 통해 스마트폰의 영상을 정방향으로 시청 가능케 하여] 화면 상의 각종 아이콘들을 전방에 두고 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학렌즈를 통해 영상을 바르게 보는 것과 더불어 스마트폰의 조작까지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폰브래킷 및 반사브래킷 사이에 확보된 옆트임공간을 통해 손가락을 깊숙하게 넣을 수 있게 되어 화면의 어느 위치에 있는 아이콘일지라도 자유롭게 터치하여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밴드브래킷이 이마에 맞닿도록 헤드밴드가 장착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표출된 영상을 반사시키는 반사브래킷을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무게를 브릿지브래킷에 고정된 수직밴드의 인장력으로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스마트폰의 영상을 시청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전방 무게와 무게추에 의한 후방 무게가 서로 균형을 이루어 스마트폰이 전방으로 처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40∼60%의 투과로서 전방에 투시되는 현실세계와 40∼60%의 반사에 의한 스마트폰의 가상세계를 결합시킨 증강현실 나아가 공간인식 및 물체인식 기능을 더한 혼합현실까지 시청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폰브래킷을 비롯한 브릿지브래킷, 반사프레임 그리고 밴드브래킷을 일거에 사출 성형한 후 리플렉터를 반사프레임에 부착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히 제작케 할 수 있어 생산성까지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 폰받침에 받쳐지면서 폰프레임에 지지되어 윈도우를 통해 화면을 노출시킴과 동시에 폰서포터로 밀어주어 폰브래킷으로의 스마트폰의 장착을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이동 중에서도 안전하게 영상을 시청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폰브래킷으로의 스마트폰의 장착을 탄성적으로 보장하면서도 뒷트임공간에 의한 스마트폰의 착탈동작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윈도우와 스마트폰의 크기가 서로 맞지 않더라도 화면틀로서 유연하게 보완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반사 광학 표면이 수반된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에 스마트폰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에 적용된 영상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에 스마트폰(P)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는 도 2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P)의 화면(P1)을 통해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보여주는 영상모듈(M)과, 헤드에 씌워지면서 영상모듈(M)을 이마에 착용토록 하는 헤드밴드(B)를 포함한다.
스마트폰(P)은 화면(P1)을 통해 다양한 장르의 영상을 보여주면서도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가상현실,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 등과 같은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고, 나아가 영상을 보면서도 정전용량센싱 또는 압력센싱 등과 같은 기술을 접목시켜 터치에 의한 운영체계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즉 화면(P1)에 나타난 아이콘의 터치로서 다양한 운영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영상모듈(M)은 스마트폰(P)의 기능을 십분 활용하여 영상을 더욱 사실감 있게 시청할 수 있도록 머리에 착용되는데, 지금까지의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는 선행기술문헌에서와 같이 영상표시시스템의 화면, 즉 스마트폰의 화면이 이마를 등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손으로 조작하기가 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터치할 수 있는 공간 역시 턱없이 부족하여 오직 시청 위주의 제품으로만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현상을 감안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모듈(M)은 화면(P1)이 이마를 향하도록 스마트폰(P)을 장착시키는 폰브래킷(10)과, 폰브래킷(10)의 상단에 연결되어 이마를 등지면서 스마트폰(P)으로부터 표출된 영상을 반사시키는 반사브래킷(20)과, 폰브래킷(10)의 하단에 연결되어 반사브래킷(20)으로부터 반사된 영상을 반사시키는 광학렌즈(30)를 포함한 것을 핵심 특징으로 한다.
광학렌즈(30)가 시야의 맞은편에 있음과 더불어 반사브래킷(20)이 이마를 등지고 있으면서 화면(P1)이 이마를 향하도록 스마트폰(P)을 폰브래킷(10)으로 장착하여 광학렌즈(30)를 통해 반사브래킷(20)에 의해 반사된 스마트폰(P)의 영상을 시청 가능케 하여[광학렌즈(30)를 통해 스마트폰(P)의 영상을 정방향으로 시청 가능케 하여] 화면(P1) 상의 각종 아이콘들을 전방에 두고 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학렌즈(30)를 통해 영상을 바르게 보는 것과 더불어 스마트폰(P)의 조작까지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이때, 영상모듈(M)은 폰브래킷(10) 및 반사브래킷(20)의 양측 사이로 옆트임공간(S1)을 마련하여[예를 들면, 폰브래킷(10) 및 반사브래킷(20)을 대략 알파벳의 역브이자(∧) 형상으로 제작하여 옆트임공간(S1)을 확보하여] 그 옆트임공간(S1)을 통해 손가락을 넣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면(P1)의 어느 위치에 있는 아이콘일지라도 자유롭게 터치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영상모듈(M)은 폰브래킷(10) 및 반사브래킷(20)의 상단을 연결시켜 옆트임공간(S1)을 확보해 주는 브릿지브래킷(Bridge Bracket; 40)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브릿지브래킷(40)에 의해 폰브래킷(10) 및 반사브래킷(20) 사이에 충분히 확보된 옆트임공간(S1)을 통해 손가락을 더욱 깊숙하게 넣을 수 있게 되어 화면(P1)의 어느 위치에 있는 아이콘일지라도 자유롭게 터치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영상모듈(M)은 반사브래킷(20)의 후방에 세워져 이마에 맞닿으면서 헤드밴드(B)가 장착되는 밴드브래킷(50)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브래킷(50)과 더불어 헤드밴드(B)가 머리에 씌워져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특히 밴드브래킷(50)이 이마에 맞닿도록 헤드밴드(B)가 장착됨으로써 스마트폰(P)으로부터 표출된 영상을 반사시키는 반사브래킷(20)을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나아가, 헤드밴드(B)는 밴드브래킷(50)에 고정되어 머리에 횡방향으로 씌워지는 수평밴드(61)와, 브릿지브래킷(40)에 고정되어 머리에 종방향으로 씌워지는 수직밴드(62)를 포함하여, 수평밴드(61)에 의한 횡방으로의 착용감과 수직밴드(62)에 의한 종방향으로의 착용감을 보장하면서도, 특히 스마트폰(P)의 무게를 브릿지브래킷(40)에 고정된 수직밴드(62)의 인장력으로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스마트폰(P)의 영상을 시청케 할 수 있다.
이때, 헤드밴드(B)는 수평밴드(61) 및 수직밴드(62)가 교차되는 머리의 뒤쪽 부분에 무게추(63)를 더 구비하여, 스마트폰(P)의 전방 무게와 무게추(63)에 의한 후방 무게가 서로 균형을 이루어 스마트폰(P)이 전방으로 처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케 한다.
한편, 광학렌즈(30)는 구면거울, 비구면거울, 자유곡면거울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밖이 보일 수 있도록 반사 40∼60% 및 투과 40∼60%의 비율로 코팅을 하여, 40∼60%의 투과로서 전방에 투시되는 현실세계와 40∼60%의 반사에 의한 스마트폰(P)의 가상세계를 결합시킨 증강현실 나아가 공간인식 및 물체인식 기능을 더한 혼합현실까지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브래킷(20)은 브릿지브래킷(40) 및 밴드브래킷(50) 사이에 마련된 반사프레임(21)과, 반사프레임(21)에 부착되어 스마트폰(P)으로부터 표출된 영상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22; 평면거울, 구면거울, 비구면거울, 자유곡면거울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로 이루어져, 폰브래킷(10)을 비롯한 브릿지브래킷(40), 반사프레임(21) 그리고 밴드브래킷(50)을 일거에 사출 성형한 후 리플렉터(22)를 반사프레임(21)에 부착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히 제작케 할 수 있어 생산성까지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에 적용된 영상모듈(M)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폰브래킷(10)은 도 2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P)의 화면(P1)이 이마를 향하도록 지지하는 윈도우(11a)를 지닌 폰프레임(11)과, 폰프레임(11)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스마트폰(P)의 하단을 받쳐주는 폰받침(12)과, 폰받침(12)에 놓인 스마트폰(P)을 폰프레임(11)에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폰서포터(13)를 포함한다.
스마트폰(P)이 폰받침(12)에 받쳐지면서 폰프레임(11)에 지지되어 윈도우(11a)를 통해 화면(P1)을 노출시킴과 동시에 폰서포터(13)로 밀어주어 폰브래킷(10)으로의 스마트폰(P)의 장착을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이동 중에서도 보다 안전하게 영상을 시청케 할 수 있다.
특히, 폰서포터(13)는 폰받침(12)으로부터 상승되면서 점점 폭이 작아짐과 동시에 스마트폰(P)을 향하여 휘어져 뒷트임공간(S2)을 마련하는 탄성윙(Elastic Wing; 13a)을 포함하여, 폰브래킷(10)으로의 스마트폰(P)의 장착을 탄성적으로 보장하면서도 뒷트임공간(S2)에 의한 스마트폰(P)의 착탈동작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P)의 화면(P1) 크기에 대응하여 윈도우(11a)에 걸쳐지는 화면틀(70)을 더 구비하여 윈도우(11a)와 스마트폰(P)의 크기가 서로 맞지 않더라도 화면틀(70)로서 유연하게 보완케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산업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P : 스마트폰 P1 : 화면
M : 영상모듈 B : 헤드밴드
10 : 폰브래킷 11 : 폰프레임
11a : 윈도우 12 : 폰받침
13 : 폰서포터 13a : 탄성윙
20 : 반사브래킷 21 : 반사프레임
22 : 리플렉터 30 : 광학렌즈
40 : 브릿지브래킷 50 : 밴드브래킷
61 : 수평밴드 62 : 수직밴드
63 : 무게추 70 : 화면틀
S1 : 옆트임공간 S2: 뒷트임공간

Claims (11)

  1. 스마트폰(P)의 화면(P1)을 통해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보여주는 영상모듈(M)과, 헤드에 씌워지면서 상기 영상모듈(M)을 이마에 착용토록 하는 헤드밴드(B)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모듈(M)은
    상기 화면(P1)이 이마를 향하도록 상기 스마트폰(P)을 장착시키는 폰브래킷(10)과,
    상기 폰브래킷(10)의 상단에 연결되어 이마를 등지면서 상기 스마트폰(P)으로부터 표출된 영상을 반사시키는 반사브래킷(20)과,
    상기 폰브래킷(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반사브래킷(20)으로부터 반사된 영상을 반사시키는 광학렌즈(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모듈(M)은 상기 폰브래킷(10) 및 반사브래킷(20)의 양측 사이로 옆트임공간(S1)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모듈(M)은 상기 폰브래킷(10) 및 반사브래킷(20)의 상단을 연결시켜 상기 옆트임공간(S1)을 확보해 주는 브릿지브래킷(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모듈(M)은 상기 반사브래킷(20)의 후방에 세워져 이마에 맞닿으면서 상기 헤드밴드(B)가 장착되는 밴드브래킷(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밴드(B)는
    상기 밴드브래킷(50)에 고정되어 머리에 횡방향으로 씌워지는 수평밴드(61)와,
    상기 브릿지브래킷(40)에 고정되어 머리에 종방향으로 씌워지는 수직밴드(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밴드(B)는 상기 수평밴드(61) 및 수직밴드(62)가 교차되는 머리의 뒤쪽 부분에 무게추(6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렌즈(30)는 반사 40∼60% 및 투과 40∼60%의 비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브래킷(20)은
    상기 브릿지브래킷(40) 및 밴드브래킷(50) 사이에 마련된 반사프레임(21)과,
    상기 반사프레임(21)에 부착되어 상기 스마트폰(P)으로부터 표출된 영상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폰브래킷(10)은
    상기 스마트폰(P)의 화면(P1)이 이마를 향하도록 지지하는 윈도우(11a)를 지닌 폰프레임(11)과,
    상기 폰프레임(11)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마트폰(P)의 하단을 받쳐주는 폰받침(12)과,
    상기 폰받침(12)에 놓인 상기 스마트폰(P)을 상기 폰프레임(11)에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폰서포터(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폰서포터(13)는 상기 폰받침(12)으로부터 상승되면서 점점 폭이 작아짐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P)을 향하여 휘어져 뒷트임공간(S2)을 마련하는 탄성윙(13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P)의 화면(P1)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윈도우(11a)에 걸쳐지는 화면틀(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KR1020180005380A 2018-01-16 2018-01-16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KR20190087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380A KR20190087061A (ko) 2018-01-16 2018-01-16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380A KR20190087061A (ko) 2018-01-16 2018-01-16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061A true KR20190087061A (ko) 2019-07-24

Family

ID=6748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380A KR20190087061A (ko) 2018-01-16 2018-01-16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70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727A (ko) * 2019-11-20 2021-05-28 김재근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291A (ko) 2010-12-28 2014-04-16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하나 이상의 반사 광학 표면이 수반된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291A (ko) 2010-12-28 2014-04-16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하나 이상의 반사 광학 표면이 수반된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727A (ko) * 2019-11-20 2021-05-28 김재근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5415B2 (ja) 入力及び出力構造を有する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JP6083880B2 (ja) 入出力機構を有する着用可能な装置
KR101977433B1 (ko) 입력 및 출력 구조들을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US9429772B1 (en) Eyeglass frame with input and output functionality
US2018036549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wearable computing device
US20170017088A1 (en) Head Mounted Display With Lens
KR101879601B1 (ko) 입력 및 출력 구조들을 구비한 착용가능한 디바이스
CN111492298A (zh) 可配置用于各种移动装置尺寸的hmd的系统和方法
US10108013B2 (en) Indirect-view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
CN206497255U (zh) 增强现实显示系统
US20130141360A1 (en) Head Mounted Display For Viewing Three Dimensional Images
JP2013510491A (ja) ビデオ信号源が組み込まれた自由水平線双眼鏡型表示装置
JP2015523583A (ja) 拡張現実光ガイドの表示
US2015009178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KR102269833B1 (ko) 스마트 안경
KR102218210B1 (ko) 가상 오브젝트의 처리가 가능한 스마트 안경
CN203849501U (zh) 头戴式电子显示装置
KR102218207B1 (ko) 가상 오브젝트의 처리가 가능한 스마트 안경
WO2018149267A1 (zh) 一种基于增强现实的显示方法及设备
CN108427193A (zh) 增强现实显示系统
US12093085B2 (en) Anti-glare computing system
KR20190087061A (ko) 스마트폰용 헤드 마운트형 영상장치
CN107111143B (zh) 视觉系统及观片器
US20210072545A1 (en) Head Mounted Display With Remote Control
CN207440400U (zh) 近眼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