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643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643A
KR20180087643A KR1020170011924A KR20170011924A KR20180087643A KR 20180087643 A KR20180087643 A KR 20180087643A KR 1020170011924 A KR1020170011924 A KR 1020170011924A KR 20170011924 A KR20170011924 A KR 20170011924A KR 20180087643 A KR20180087643 A KR 20180087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isplay
area displayed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경
이혜진
임은영
박주희
유선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1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7643A/ko
Priority to US16/475,316 priority patent/US11054644B2/en
Priority to PCT/KR2018/000542 priority patent/WO2018139786A1/ko
Publication of KR2018008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field of vie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피커, 통신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스피커,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 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재생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는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영상 중 표시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하여 상기 수신한 음성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고 오디오를 출력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와 같은 웨어러블 영상 표시 장치의 상용화가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360도 화각을 가지는 영상과 같은 콘텐츠가 증가하고 있다.
나아가, 360도 화각을 가지는 영상을 다수의 인원이 이격 된 위치에서 동시에 시청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다수의 인원이 실제 하나의 공간에서 360도 영상을 시청하는 것과 같은 최적화된 운용 환경이 요구되고 있다.
360도 화각을 가지는 영상을 다수의 인원이 이격 된 위치에서 동시에 시청하면서, 사용자들은 전자 장치에 연결되거나 포함된 마이크,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대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영역을 보는 경우에도 항상 상대방의 음성이 동일하게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현장감을 느끼기 어렵다.
본 개시에서는 360도 영상 중 표시하는 영역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가 음성의 출력을 다르게 조정하여 사용자에게 현장감을 제공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피커, 통신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스피커,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 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재생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는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영상 중 표시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하여 상기 수신한 음성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재생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는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영상 중 표시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 된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조정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는 상기 전자 장치가 재생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는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영상 중 표시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 된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조정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재생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는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에 기반하여 수신 된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조정하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들이 동일한 영상을 이격 된 위치에서 시청하더라도, 가상의 공간에 모여서 동일한 영상을 시청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표시 영역과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역의 차이에 기반하여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360도 이미지를 재생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HMD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가 줌 동작에 기반하여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동일한 영상을 재생할 때 영상 내에서의 위치가 변하는 경우에 기반하여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역에 기반하여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 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표시 영역과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역의 차이에 기반하여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a는 360도 이미지가 생성되고 전자 장치에 표시되기 위해 조정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360도 영상(또는, 360도 이미지(10))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거울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의 (a)를 참조하면, 360도 영상(10)은, 360도 화각(angle of view)을 가지는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360도 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60도 방향으로 촬영 된 복수의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은 구(sphere)에 맵핑 될 수 있으며, 맵핑 된 이미지들의 접점들이 연결(스티칭(stiching))되어, 구(sphere) 형식의 360도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구(sphere) 형식의 360도 영상은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거나 저장하기 위해 도 1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식의 360도 영상 (10)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1a의 (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평면 형식의 360도 영상(10)에 그래픽 처리를 하여 평면 형식의 360도 영상(10)을 구 형식의 360도 영상(20)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평면 형식의 360도 영상(10)을 구(sphere)에 맵핑하여, 구 형식의 360도 영상(20)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a의 (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구 형식의 360도 영상(20) 중 일부 영역(25)을 선택하고, 선택된 일부 영역(25)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영역(25)에 대응하는 영상에 화질 처리를 수행하여, 화질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와 일체형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와 별개로 구성되어 유/무선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는 리모컨 또는 스마트 폰 등과 같이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적외선(infrared)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구비된 키(버튼을 포함), 터치 패드(touch pad), 사용자 음성의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미도시), 및 제어 장치의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미도시), 또는 다른 전자 장치(예: 스마트 워치, 스마트 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재생하는 영상은 360도 영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파노라마(panorama)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파노라마 영상은,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 방향을 변경하며 촬영 된 복수의 영상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영상일 수 있다. 파노라마 영상은 상술한 360도 영상과 유사한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으나, 촬영 화각이 30도, 90도, 180도 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고정된 촬영 화각을 가지는 평면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360도 영상을 재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들이 동일한 360도 영상을 재생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b의 (a)는 구 형식의 360도 영상(30) 중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들이 표시하는 영역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b의 (a) 및 도 1b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와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360도 영상(30) 중 일부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360도 영상(30) 중 A 영역을 표시하고,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는 B 영역을 표시하고, 그리고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C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의 사용자, 그리고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의 사용자는 360도 영상(30)의 중심점(31)에서 각각의 표시 영역들(A 영역, B 영역, C 영역)을 시청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와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동일한 360도 영상(30)을 대략적으로 동시에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를 이용하여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미도시) 등과 같은 타 전자 장치를 더 포함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서버 등과 같은 타 전자 장치로부터 360도 영상(30)을 대략적으로 동시에 전송 받아서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스트리밍(streaming) 형태로 360도 영상(30)을 다운받아서 재생할 수도 있다. 360도 영상은, 예를 들면, 촬영 된 정지 영상일 수 있고, 서버에 포함되거나 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 된 360도 카메라(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동영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통해 생성하고 있는 영상을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서버로부터 수신 받아서 재생하고 있는 360도 영상(30)을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에 재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가 동일한 영상을 대략적으로 동시에 재생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가 동일한 네트워크로 설정된 별도의 서버로부터 360도 영상(30)을 수신 받아서 재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예를 들면, 360도 영상(30) 중 일부 영역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영역은, 예를 들면, 360도 영상(30) 중 가로 방향으로 대략 90도의 화각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영역의 크기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가 서버로부터 360도 영상(30)을 수신 받아 재생하는 경우, 동일한 영역을 표시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영역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60도 영상(30)이 재생될 때 항상 처음으로 표시할 영역(또는, 처음으로 표시할 지점)이 A 영역인 경우,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모두 A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360도 영상(30)이 재생될 때 항상 처음으로 표시할 영역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재생할 360도 영상(30) 중 특징점이 있는 영역을 중심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360도 영상(30) 중 얼굴이 많이 포함된 영역,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보고 있는 영역, 또는 엣지 성분이 많은 영역 등을 중심으로 하여 처음으로 표시할 영역을 선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영상을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로 전송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가 현재 표시하고 있는 영역을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가 동일하게 처음 시작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전자 장치(100)에서 지정 된 소정의 영역을 시작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는 전자 장치(100)가 표시하는 A 영역의 가로 방향 제 1 끝단(예: 좌측 끝단)의 바깥쪽 영역을 표시하고,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전자 장치(100)가 표시하는 영역의 가로 방향 제 2 끝단(예: 우측 끝단)의 바깥쪽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입력 장치(예: 마이크)와 음향 출력 장치(예: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술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들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전송 받은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는 사용자의 음성을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의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 후,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의 사용자들은 지리적으로 이격 된 위치에 있더라도 동일한 360도 영상(30)을 시청하면서 상호간에 음성 대화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나아가,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표시하는 영역의 차이에 기반하여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영역과 B 영역 간의 거리는 A 영역과 C 영역 간이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따라서, A 영역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100)는 C 영역을 표시하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에서 생성 되어 수신된 음성 보다, B 영역을 표시하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에서 생성 되어 수신된 음성을 출력을 높혀서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스피커(미도시)와 제 2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피커는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가 표시하는 영역과 인접할 수 있고, 제 2 스피커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가 표시하는 영역과 인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에서 생성 되어 수신 된 음성에 대하여 전자 장치(100)는 제 1 스피커의 출력을 제 2 스피커의 출력보다 높게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에서 생성 되어 수신 된 음성에 대하여 전자 장치(100)는 제 2 스피커의 출력을 제 1 스피커의 출력보다 높게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내용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의 사용자들은 지리적으로 이격 된 위치에 있더라도, 가상으로 설정된 하나의 공간 안에 모여서 동일한 360도 영상(30)을 함께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들이 표시하는 영역을 변경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표시 영역이 변경되면, 360도 영상(30)의 중심점에서 각각의 표시 영역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점이 변경 된 것으로 설정하여 시점 변경에 따라서 다른 전자 장치에서 생성되어 수신 된 스피커의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1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표시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회전 하거나 이동하여 표시 영역을 변경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예: 터치 앤 드래그 입력, 물리 키 입력 등)에 기반하여 현재 표시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인식하거나, 이동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 자세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상술한 회전 또는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c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제 1 축(11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이동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회전 또는 이동을 감지하여 종래 표시하는 영역의 오른쪽에 위치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전자 장치(100)가 제 1 축(111)을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이동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회전 또는 이동을 감지하여 종래 표시하는 영역의 왼쪽에 위치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제 2 축(112)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101)가 아래로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이동하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회전 또는 이동을 감지하여 종래 표시하는 영역의 위쪽에 위치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전자 장치(100)가 제 2 축(112)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101)가 위로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이동하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회전 또는 이동을 감지하여 종래 표시하는 영역의 아래쪽에 위치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회전하거나 이동하는 기준 축은 제 1 축(111), 제 2 축(112)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c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회전 또는 이동에 의한 위치 변화를 좌표를 이용하여 매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준축(120)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 이동하는 것을 1 유닛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30도 이동을 1 유닛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1 유닛에 해당하는 각도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A 영역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100)의 좌표는 기준축(120)에 있으므로 (0,0)일 수 있다. A 영역에서 기준축(120)을 기준으로 제 1 방향(예: 좌우 평면 방향(121))으로 90도 이동한 A 영역의 좌표는 (3,0)일 수 있다. 또한 기준축(120)을 기준으로 제 2 방향(예: 상하 방향(122))으로 60도 이동한 A 영역의 좌표는 (0,2)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360도 영상(30)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구분 된 영역을 표시하는 것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가 표시하는 영역의 변경을 확인할 수 있다. 표시 영역이 변경되면, 전자 장치(100)는 360도 영상(30)의 중심점에서 표시 영역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점이 변경 된 것으로 설정하고,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시점과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b의 180, 190)가 제공하는 시점의 차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b의 180, 190)로부터 수신 된 음성에 대한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c의 (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영역(131)을 표시하다가, 제 2 영역(132)을 거쳐서 제 3 영역(133)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360도 영상(30)의 중심점에서 제 1 영역(131)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점이 제 3 영역(133)을 바라보는 것으로 설정하여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시점과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b의 180, 190)가 제공하는 시점의 차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b의 180, 190)에서 생성되어 수신 된 스피커의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예: 터치 앤 드래그 입력, 물리 키 입력 등)에 기반하여 표시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360도 영상(30)의 중심점에서 표시 영역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점이 변경 된 것으로 설정하고,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시점과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b의 180, 190)가 제공하는 시점의 차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b의 180, 190)로부터 수신 된 음성에 대한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들이 표시 영역의 변경에 기반하여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d의 (a)는 360도 영상(30) 중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들(180, 190)이 표시하는 영역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d의 (a) 및 도 1d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와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360도 이미지 중 일부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A 영역을 표시하고,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는 B 영역을 표시하고, 그리고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C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도 1c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또는 회전하여 표시 영역을 변경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도 1c의 (a)와 유사하게 제 1 축(11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도 1c의 (b)와 같이, 도 1b의 (a)에서의 위치에서 기준축(120)을 기준으로 제 1 방향(121)으로 30도 이동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의 좌표는 (3,0)에서 (4,0)으로 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도 1c의 (b)와 같이, 제 1 영역(131)을 표시하다가, 제 2 영역(132)을 거쳐서 제 3 영역(133)을 표시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가 표시하던 제 1 영역(131)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이동한 것으로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표시 영역을 변경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의 표시 영역 변경 상태를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전자 장치(100)의 표시 영역 변경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는 이에 기반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100)에서 생성되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도 1d와 같은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에서 생성되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낮추도록 조정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가 향하는 방향이 전자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과 멀어지는 경우,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에서 생성되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낮추도록 조절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복수 개의 스피커(예: 제 1 스피커(105), 제 2 스피커(106))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스피커의 출력을 차등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의 출력은 0부터 10 단계까지 조정이 가능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스피커(105)는 5단계, 제 2 스피커(106)는 7단계의 출력으로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태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가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에 기반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의 회전 방향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한 제 2 스피커(106)의 출력은 6단계로 조정하고,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의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에 위치한 제 1 스피커(105)의 출력은 3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는 스테레오 이어폰(또는 헤드폰, 블루투스 이어폰 등)을 이용하여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 2 외부 전자 장치(100)가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는 스테레오 이어폰 중 사용자의 오른쪽 귀에 착용하도록 설정된 이어폰의 출력과 사용자의 왼쪽 귀에 착용하도록 설정된 이어폰의 출력을 차등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전자 장치들(100, 180, 190)은 360도 영상(30)에 대하여 보는 방향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여 사용자들이 가상 공간에서 함께 360도 영상(30)을 시청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210), 프로세서(220), 통신 모듈(230), 및 스피커(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100)는 도 2에 개시된 구성들 보다 많은 구성들을 가지거나, 또는 그 보다 적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예: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등) 또는 전원 공급부 등의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21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10)는 프로세서(220)의 제어에 기반하여 360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2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통신 모듈(230)을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는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고 있는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한 표시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스피커(240)의 출력을 조정하여 획득한 음성 데이터의 출력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RF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프로세서(220)의 제어에 기반하여 외부의 타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30)은 프로세서(220)의 제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가 재생하는 영상 중 현재 표시하고 있는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30)는 프로세서(220)의 제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가 재생하는 영상 중 현재 표시하고 있는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스피커(24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에서 생성된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스피커(240)는, 예를 들면, 오디오 모듈(미도시)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피커(240)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240)는 프로세서(220)의 제어에 기반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360도 이미지를 재생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와 체결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HMD 장치(300)는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메인 프레임(main frame)(310), 메인 프레임(310)에 연결되어 메인 프레임(310)을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장착부(320)을 포함할 수 있다. HMD 장치(300)는 메인 프레임(310)과 전자 장치(100)가 합쳐져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10)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모듈(311),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와 연결되는 제 1 인터페이스부(312), 표시 위치 조정부(313), 근접 센서(314), 및 외부 전력 공급 장치(350) 또는 다른 외부 입력 장치와 연결되는 제 2 인터페이스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 모듈(311)은 물리적 키, 물리적 버튼, 터치 키, 조이스틱, 휠(wheel)키 또는 터치 패드 등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모듈(311)이 터치 패드인 경우, 터치 패드는 메인 프레임(3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드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 또는 HMD 장치(300)의 기능을 나타내는 제어 객체(예: 음향 또는 영상을 제어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부(312)는 HMD 장치(300)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와 통신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부(312)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의 인터페이스부(예: USB 포트)에 접속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 모듈(311)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인터페이스부(312)는 사용자 입력 모듈(311)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예: 터치 입력)를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상기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음량을 조절하거나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근접 센서(314)는 물체가 근접한 것을 비 접촉으로 감지하여 그 물체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314)는 정해진 감지거리 이내에 물체(예: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를 HMD 장치(300)의 메인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근접 센서(314)는 정해진 감지거리 이내에 아무런 물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메인 제어부에 아무런 신호도 보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근접 센서(314)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HMD 장치(300)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314)는 HMD 장치(300)의 착용 여부를 용이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HMD 장치(300)의 착용 시 사용자의 이마에 근접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310)의 안쪽 윗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근접 센서로 기재하고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 HMD 장치(300)의 착용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다른 센서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310)에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 제스처 센서 및 생체 센서, 터치 센서, 조도 센서, 또는 그립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
제 2 인터페이스부(315)는 외부 전력 공급 장치(350) 또는 다른 외부 입력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터페이스부(315)가 외부 전력 공급 장치 (350)에 연결된 경우, HMD 장치(300)는 외부 전력 공급 장치(35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전력은 HMD 장치(300)의 동작 전력으로 사용되거나,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에 전달되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동작 전력으로 사용되거나,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제 2 인터페이스부(315)가 외부 입력 장치와 연결된 경우, HMD 장치(300)는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 받아, HMD 장치(300)의 메인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10)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와 같은 외부 장치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310)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나 구조, 또는 공동(cavity)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10)의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은 탄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10)의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은 상기 공간에 수납되는 다양한 크기의 장치에 따라 상기 공간의 크기나 부피가 변형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 부분이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10)의 후면(안쪽면)은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안면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10)의 후면(안쪽면)은 안면 접촉부 일부에 사용자의 두 눈에 대면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가 삽입될 수 있다. 렌즈 조립체는 디스플레이 또는 투명/반투명 렌즈가 상기 안면 접촉부에 대하여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렌즈 조립체는 상기 안면 접촉부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안면 접촉부의 일부분은 사용자의 코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코 홈(Nose Reces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프레임(310)은 사용자가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고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를 지지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메인 프레임(310)은, 강도 또는 미관을 위하여, 유리, 세라믹, 금속(예: 알루미늄) 또는 금속 합금(예: 강철, 스테인레스강, 티타늄 또는 마그네슘 합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32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될 수 있다. 장착부(320)는 탄성 소재의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장착부(320)는 안경 다리(Eyeglass Temples), 헬멧(Helmets) 또는 스트랩(Strap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HMD 장치와 전자 장치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HMD 장치(300)는 메인 프레임(310)과 결합되는 전자 장치(100)을 고정하기 위한 커버(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330)는 메인 프레임(310)에 후크와 같은 형태로 물리적인 결합을 할 수 있고, 또는 자석이나 전자석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커버(33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메인 프레임(3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자 장치(10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10)과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는 마주보도록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인 프레임(310)의 제 1 인터페이스부(312)에 전자 장치(100)를 결합한 후, 커버(330)를 끼워 HMD 장치(300)와 전자 장치(100)를 결합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HMD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와 결합되고 커버(330)가 씌워진 HMD 장치(300)를 착용한 경우, 사용자는 HMD 장치(300)를 통해 전자 장치 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의 화면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디스플레이에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출력하고, HMD 장치(300)는 메인 프레임(310)의 안면 접촉부에 구현된 렌즈 조립체를 통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의 영상들을 가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가공된 영상, 예를 들어 씨 스루 기능을 통한 증강 현실이나 씨 클로즈드 기능을 이용한 가상 현실을 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HMD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그대로 사용하는 Untethered VR 방식에 과 HMD 장치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있는 Tethered VR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와 HMD 장치(300)의 구동 방법은 Untethered VR 방식에 기반한 구동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300)는 Tethered VR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Tethered VR 방식에 따른 HMD 장치(300)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Tethered VR 방식에 따른 HMD 장치(300)는 상술한 전자 장치(100)과 기구적으로 결합하지 않아도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Tethered VR 방식에 따른 HMD 장치(300)는 전자 장치(100)이 생성한 고화질 영상 데이터를 커넥터를 통해 전달 받아, 자체 디스플레이로 영상을 출력(예: 미러링(mirroring))할 수 있다.
Tethered VR 방식에 따른 HMD 장치(300)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은 다양한 영상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는 HDMI 인터페이스,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DisplayPort 인터페이스, USB Audio Video 장치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영상 통신 인터페이스 표준을 따를 수 있고, 각 제조사에서 자체적으로 작성한 표준을 따를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커넥터를 통행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type C 커넥터의 rx, tx 등의 데이터 단자를 영상 데이터 전달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HMD 장치(300) 및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가 사용하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및 커넥터의 종류를 어느 한 종류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가 줌 동작에 기반하여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의 (a)는 360도 영상(30) 중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들이 표시하는 영역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6a의 (a) 및 도 6a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와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360도 영상(30) 중 일부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A 영역을 표시하고,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는 B 영역을 표시하고, 그리고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C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의 사용자, 그리고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의 사용자는 360도 영상(30)의 중심점(31)에서 각각의 표시 영역들을 시청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표시 영역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을 확대하는 것은 사용자가 현재 표시되는 영상보다 더 뒤에서 영상을 시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표시 영역을 축소하는 것은 사용자가 현재 표시되는 영상보다 더 앞에서 영상을 시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b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가 C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표시 영역 확대 신호 입력에 기반하여, C 영역을 확대하여 C 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C 영역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입력 된 음성을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의 사용자가 화각을 넓히기 위해 중심점(31)에서 표시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한 것으로 설정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에서 생성되어 수신된 음성을 재생하는 스피커의 출력이 높아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사용자의 표시 영역 축소 신호 입력에 기반하여 C 영역을 축소하여 C 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C 영역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입력 된 음성을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의 사용자가 화각을 좁히기 위해 중심점(31)에서 표시 영역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 한 것으로 설정하여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에서 생성되어 수신된 음성을 재생하는 스피커의 출력이 낮아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동일한 영상을 재생할 때 표시하는 영역이 변하는 경우에 기반하여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는 위치를 이동하면서 촬영한 360도 영상, 또은 위치 이동이 가능한 360도 컨텐츠 영상 (예: 애니메이션, 게임 등)을 대략적으로 동시에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의 (a)는 복수 개의 공간들로 이루어진 집(710)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360도 영상(예: 도 1의 360도 영상(30))은 집(710)에 포함된 복수 개의 공간들을 이동하면서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또는, 360도 영상(예: 도 1의 360도 영상(30))은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일 수 있다.
360도 영상(예: 도 1의 360도 영상(30))은 서버(미도시)를 통해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로 전송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360도 영상(예: 도 1의 360도 영상(30))을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a의 (a) 및 도 7a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360도 영상 중 일부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1 공간(711)에 포함 된 A 지점에서 보이는 보이는 영역을 표시할 수 있고,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는 제 2 공간(712)에 포함 된 C 지점에서 보이는 영역을 표시할 수 있고, 그리고,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제 1 공간(711)에 포함 된 B 지점에서 보이는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의 사용자들은 지리적으로 이격 된 상태에서도 각각의 전자 장치들(100, 180, 190)에 표시되는 360도 영상(예: 도 1의 360도 영상(30))을 이용하여 실제 현장에서 집(710) 내부를 보는 것과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360도 영상(예: 도 1의 360도 영상(30))은 촬영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현재 표시하고 있는 영역에 기반하여 서로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C)에서 상술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각 전자 장치가 향하는 방향과 움직임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상술한 상대적인 거리와 각 전자 장치들이 향하는 방향에 기반하여 각 전자 장치들로부터 생성되어 수신된 음성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7b의 (a)를 참조하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360도 영상(예: 도 1의 360도 영상(30))에서 표시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도 7b의 (a) 및 도 7b의 (b)를 참조하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360도 영상 내에서 새로운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0)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가 전자 장치(100)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가 표시하는 공간과 거리가 멀어진 다른 공간을 표시하고 있다는 정보를 회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에서 생성된 음성을 재생할 때 거리가 멀어진 것에 기반하여 스피커(미도시)의 출력을 낮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전자 장치들에 포함된 스피커의 출력은 0 단계부터 10 단계까지 조정이 가능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가 제 1 영역(711)에 있을 때, 전자 장치(100)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가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에서 수신된 음성을 7단계의 출력으로 재생하고 있었다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의 표시 영역 변경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에서 수신된 음성을 6단계의 출력으로 조정하여 재생할 수 있다.
도 7c의 (a) 및 도 7c의 (b)를 참조하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360도 영상 내에서 새로운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0)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가 전자 장치(100)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가 표시하는 공간과 거리가 더 멀어진 제 3 공간(713)을 표시하고 있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에서 생성된 음성을 재생할 때 거리가 멀어진 것에 기반하여 스피커(미도시)의 출력을 더 낮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가 제 1 영역(711)에 인접하여 있을 때, 전자 장치(100)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가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에서 수신된 음성을 6단계의 출력으로 재생하고 있었다면,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의 표시 영역 변경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 및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는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에서 수신된 음성을 2단계의 출력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360도 영상(예: 도 1의 360도 영상(30))에서 표시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고, 표시 영역의 변경에 기반하여 각각의 전자 장치에서 수신되는 음성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물리적으로 이격 된 위치에서 360도 영상을 시청하더라도 한 공간에서 동시에 영상을 보고 있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역에 기반하여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동작 8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재생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는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360도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100)는 360도 영상 중 일부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 영역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360도 영상 중 표시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전자 장치는 표시하는 영역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터치 신호 입력 또는 물리 키 입력에 기반하여 표시하는 영역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전자 장치는 변경된 표시 영역에 기반하여 움직임이 발생한 것으로 매칭할 수도 있다.
즉,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표시하는 영역을 변경하면,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전자 장치의 사용자들은 360도 영상의 중심점에서 360도 영상(30)을 함께 시청하다가, 시청하는 시점이 변경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동작 82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음성을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동작 83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이 변경되면, 이에 대응하여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전자 장치(100)가 표시하는 영역 사이의 거리 차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의 변경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가 향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획득한 외부 전자 장치와의 표시 영역의 차이 및 외부 전자 장치가 향하는 방향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가 멀어지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자 장치(100)는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낮게 조정하고, 외부 전자 장치가 가까워지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자 장치(100)는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높게 조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2100) 내의 전자 장치(21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2101)는 버스(2110), 프로세서(2120), 메모리(2130), 입출력 인터페이스(2150), 디스플레이(2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2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101)는 도 1 의 전자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2110)는 구성요소들(2110-2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20)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2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21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2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1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21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2140)은, 예를 들면, 커널(2141), 미들웨어(2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21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2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2141), 미들웨어(2143), 또는 API(2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21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2143), API(2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1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2110), 프로세서(2120), 또는 메모리(2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2141)은 미들웨어(2143), API(2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147)에서 전자 장치(2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2143)는, 예를 들면, API(2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147)이 커널(2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2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1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2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1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2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2110), 프로세서(2120), 또는 메모리(2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API(2145)는 어플리케이션(2147)이 커널(2141) 또는 미들웨어(21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2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21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2101)와 외부 장치(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2102), 제 2 외부 전자 장치(2104), 또는 서버(2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21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2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2104) 또는 서버(2106))와 통신할 수 있다. 제 1 외부 전자 장치(2102)는 도 1의 제 1 외부 전자 장치(180)에 대응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전자 장치(2104)는 도 1의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에 대응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162)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2102, 2104) 각각은 전자 장치(2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102,2104), 또는 서버(21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2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2102, 2104), 또는 서버(21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102, 2104), 또는 서버(21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2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2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201)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2201)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전자 장치(2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2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2210), 통신 모듈(2220), (가입자 식별 모듈(2224), 메모리(2230), 센서 모듈(2240), 입력 장치(2250), 디스플레이(2260), 인터페이스(2270), 오디오 모듈(2280), 카메라 모듈(2291), 전력 관리 모듈(2295), 배터리(2296), 인디케이터(2297), 및 모터(2298)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2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10)는 도 1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22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10) 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20)(예: 통신 인터페이스(21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22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2221), WiFi 모듈(2223), 블루투스 모듈(2225), GNSS 모듈(2227), NFC 모듈(2228) 및 RF 모듈(2229)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22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22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2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21)은 프로세서(22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21), WiFi 모듈(2223), 블루투스 모듈(2225), GNSS 모듈(2227) 또는 NFC 모듈(22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2229)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2229)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21), WiFi 모듈(2223), 블루투스 모듈(2225), GNSS 모듈(2227) 또는 NFC 모듈(22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2224)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또는 임베디드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30)(예: 메모리(21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2232) 또는 외장 메모리(22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22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2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2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2201)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22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22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22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2240A), 자이로 센서(2240B), 기압 센서(2240C), 마그네틱 센서(2240D), 가속도 센서(2240E), 그립 센서(2240F), 근접 센서(2240G), 컬러(color) 센서(22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2240I), 온/습도 센서(2240J), 조도 센서(22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22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2240)은, 예를 들면, 후각(e-nose) 센서, 일렉트로마이오그라피(EMG) 센서, 일렉트로엔씨팔로그램(EEG) 센서, 일렉트로카디오그램(ECG) 센서,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2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201)는 프로세서(22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2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22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22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22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2252), (디지털) 펜 센서(2254), 키(2256), 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22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2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22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22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22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22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2258)는 마이크(예: 마이크(22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60)(예: 디스플레이(2160))는 패널(2262), 홀로그램 장치(2264), 프로젝터(2266), 및/또는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22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 투명하게, 또는 착용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패널(2262)은 터치 패널(2252)과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2262)은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또는 포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터치 패널(2252)과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터치 패널(2252)과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22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22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2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270)는, 예를 들면, HDMI(2272), USB(22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2276), 또는 D-sub(D-subminiature)(227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270)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217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22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280)은, 예를 들면,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22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9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5)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280)은, 예를 들면, 스피커(2282), 리시버(2284), 이어폰(2286), 또는 마이크(22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또는 플래시(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2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2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2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22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22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 및/또는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297)는 전자 장치(2201)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22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22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 또는 햅틱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201)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 TV 지원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201))는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1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2310)(예: 프로그램(214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101))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 및/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147))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프로그램 모듈(2310)은 커널(2320)(예: 커널(2141)), 미들웨어(2330)(예: 미들웨어(2143)), (API(2360)(예: API(21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237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147))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231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 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102, 2104), 서버(2106) 등)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하다.
커널(2320)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2321) 및/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2323)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2321)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2321)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232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2330)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23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23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API(2360)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23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2330) 는 런타임 라이브러리(23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341), 윈도우 매니저(2342), 멀티미디어 매니저(2343), 리소스 매니저(2344), 파워 매니저(23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346), 패키지 매니저(2347), 연결 매니저(2348), 통지 매니저(2349), 위치 매니저(2350), 그래픽 매니저(2351), 또는 보안 매니저(23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233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23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2335)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34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2370)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2342)는 화면에서 사용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2343)는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2344)는 어플리케이션(2370)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2345)는, 예를 들면, 배터리의 용량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2345)는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346)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2370)에서 사용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2347)는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2348)는, 예를 들면,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통지 매니저(2349)는, 예를 들면,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위치 매니저(235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235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2352)는, 예를 들면,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23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telephony) 매니저 또는 전술된 구성요소들의 기능들의 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하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2330)는 운영 체제의 종류 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23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API(2360)는,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2370)은, 예를 들면, 홈(2371), 다이얼러(2372), SMS/MMS(2373), IM(instant message)(2374), 브라우저(2375), 카메라(2376), 알람(2377), 컨택트(2378), 음성 다이얼(2379), 이메일(2380), 달력(2381), 미디어 플레이어(2382), 앨범(2383), 시계(2384), 헬스 케어(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2370)은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삭제, 또는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2370)은 외부 전자 장치의 속성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모바일 의료 기기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2370)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231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예: 프로세서(2210)),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예: 실행)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또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213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9)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피커;
    통신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스피커,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 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재생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는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영상 중 표시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스피커의 출력을 조정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가 증가하면, 상기 스피커의 출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가 감소하면, 상기 스피커의 출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센서 모듈 또는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 또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값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장치는 터치 패널, 펜 센서, 키, 초음파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피커는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스피커와 상기 제 2 스피커의 출력을 차등하여 조정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 중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경우, 확대 된 비율에 기반하여 상기 스피커의 출력이 높아지도록 조정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 중 일부를 축소하여 표시하는 경우, 축소 된 비율에 기반하여 상기 스피커의 출력이 낮아지도록 조정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와 체결되어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중 표시하는 영역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재생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는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영상 중 표시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 된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조정하여 재생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 된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조정하여 재생하는 동작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가 증가하면 상기 수신 된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높이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 된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조정하여 재생하는 동작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가 감소하면 상기 수신 된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낮추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센서 모듈 또는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센서 모듈 또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값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을 변경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장치는 터치 패널, 펜 센서, 키, 초음파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 된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조정하여 재생하는 동작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스피커와 상기 제 2 스피커의 출력을 차등하여 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 된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조정하여 재생하는 동작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 중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경우, 확대 된 비율에 기반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의 출력이 높아지도록 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 된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조정하여 재생하는 동작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 중 일부를 축소하여 표시하는 경우, 축소 된 비율에 기반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의 출력이 낮아지도록 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와 체결되어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중 표시하는 영역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재생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는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영상 중 표시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역의 거리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 된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조정하여 재생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

KR1020170011924A 2017-01-25 2017-01-25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20180087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924A KR20180087643A (ko) 2017-01-25 2017-01-25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US16/475,316 US11054644B2 (en) 2017-01-25 2018-01-10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PCT/KR2018/000542 WO2018139786A1 (ko) 2017-01-25 2018-01-11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924A KR20180087643A (ko) 2017-01-25 2017-01-25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643A true KR20180087643A (ko) 2018-08-02

Family

ID=6297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924A KR20180087643A (ko) 2017-01-25 2017-01-25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54644B2 (ko)
KR (1) KR20180087643A (ko)
WO (1) WO20181397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47227A (ja) * 2019-09-17 2021-03-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3602A1 (en) * 2002-06-04 2003-12-04 Elbit Systems Ltd. Method and system for audio imaging
US6845338B1 (en) 2003-02-25 2005-01-18 Symbol Technologies, Inc. Telemetric contextually based spatial audio system integrated into a mobile terminal wireless system
US8831255B2 (en) 2012-03-08 2014-09-09 Disney Enterprises, Inc. Augmented reality (AR) audio with position and action triggered virtual sound effects
KR101989893B1 (ko) 2012-10-29 201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TW201426529A (zh) * 2012-12-26 2014-07-01 Hon Hai Prec Ind Co Ltd 通訊設備及其播放方法
KR20160013853A (ko) 2013-04-30 2016-02-05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증강현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
EP3007452A4 (en) 2013-05-30 2016-11-23 Sony Corp DISPLAY CONTROL,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381396B1 (ko) 2013-09-12 2014-04-04 하수호 입체음향 조절기를 내포한 멀티 뷰어 영상 및 3d 입체음향 플레이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54190A (ko) * 2013-11-11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971316B2 (ja) 2013-12-25 2016-08-17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54528B1 (ko) * 2014-02-03 2020-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99981A (ko) 2015-02-13 2016-08-23 자동차부품연구원 패턴을 가지는 입체표식기를 이용한 복수 사용자를 포함하는 쌍방향 인식이 가능한 가상현실 장치
KR101595831B1 (ko) 2015-05-21 2016-02-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내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의 다른 모바일단말기 사용자들과 음성으로 공개 대화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9530426B1 (en) * 2015-06-24 2016-12-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iltering sounds for conferencing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9786A1 (ko) 2018-08-02
US20210072541A1 (en) 2021-03-11
US11054644B2 (en)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3577A1 (en)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serv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CN105900051B (zh) 电子装置以及在虚拟现实模式下的事件显示方法
US10380716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omnidirectional image and method thereof
US1027500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KR20180028796A (ko) 이미지 표시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20180074369A (ko) 3차원 컨텐츠의 썸네일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0934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공유 방법
KR2016009411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영역 처리 방법
US10916049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ndering image
KR20160059765A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18007101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20150142282A (ko)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36464B1 (ko) 알림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0886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KR2018009444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180091381A (ko) 다면체에 기반한 vr 이미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이미지의 제공 방법
WO2021103990A1 (zh) 显示方法、电子设备及系统
KR2016003996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80092163A (ko) 비디오 재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서버
KR20180046543A (ko) 전방위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5768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컨텐츠 표시 방법
KR20160027627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065203A (ko)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08764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2018011310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