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133B1 - 장미 색소 화합물의 신규 용도 - Google Patents

장미 색소 화합물의 신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133B1
KR102312133B1 KR1020167035395A KR20167035395A KR102312133B1 KR 102312133 B1 KR102312133 B1 KR 102312133B1 KR 1020167035395 A KR1020167035395 A KR 1020167035395A KR 20167035395 A KR20167035395 A KR 20167035395A KR 102312133 B1 KR102312133 B1 KR 102312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group
rosadelphin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812A (ko
Inventor
유코 후쿠이
유코 요시모토
다츠오 마츠오카
사유리 기타가와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7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1/00Dyes of natural origin prepared from natural sources, e.g. vegetable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8Metal complex; Coordination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장미과 식물로부터 추출하여 얻어지는 색소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엘라스타제 저해제, MMP-1 산생 억제제, 및 콜라겐 합성 촉진제, 그리고 그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또는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엘라스타제 저해제, MMP-1 산생 억제제, 및 콜라겐 합성 촉진제,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장미 색소 화합물의 신규 용도{NOVEL USE OF ROSE DYE COMPOUND}
본 발명은, 장미과 식물, 특히 청계 혹은 연보라색계의 장미, 또는 플라보노이드 3',5'-수산화 효소 유전자를 코드하는 유전자를 갖는 장미과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페놀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엘라스타제 저해제, MMP-1 산생 억제제, 콜라겐 합성 촉진제,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또는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엘라스타제 저해제, MMP-1 산생 억제제, 콜라겐 합성 촉진제,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에 관한 것이다.
가령 (加齡) 이나 스트레스 등의 영향에 의해, 피부의 신진 대사나 피지선 기능이 쇠약해지면, 피부는 자극을 받기 쉬운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예를 들어, 건조에 의해 가려워지기 쉽다는 증상을 나타낸다. 또, 자외선의 영향에 의해 피부의 섬유 성분이 위축되면, 주름이 생기는 등의 증상도 나타낸다.
피부의 주름 형성이나 피부의 탄력성 저하 등의 노화의 원인으로는,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진피 매트릭스의 섬유 감소, 변성이나 퇴축 등의 여러 가지 원인이 생각된다.
피부의 진피·표피는, 표피 세포, 선유아세포 및 이들 세포의 밖에 있고 피부 구조를 지지하는 엘라스틴, 콜라겐 등의 세포외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피부 조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젊은 피부에 있어서는 이들 피부 조직의 상호 작용이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수분 유지, 유연성, 탄력성 등이 확보되고, 피부는 외관적으로도 탄력이나 윤기가 있어 생기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런데, 자외선, 공기의 현저한 건조, 과도한 피부 세정, 스트레스 등의 외적 인자나 가령의 영향에 의해, 세포외 매트릭스의 주요 구성 성분인 엘라스틴은 분해·변질을 일으키고, 또 콜라겐은 산생량이 감소함과 함께 가교에 의한 탄성 저하를 일으킨다. 그 결과, 피부는 보습 기능이나 탄력성이 저하되고, 각질은 이상 박리를 시작하기 때문에, 피부는 탄력이나 윤기를 잃고, 거칠어지고, 주름, 칙칙함 등의 증상을 나타내게 된다.
장미과 식물은 매우 종류가 많으며, 그 중에서도 장미과 장미속으로 분류되어 있고 화훼로서 이용되고 있는 장미는, 그 품종수는 3000 종이라고도 일컬어지며, 그 대부분이 교배 등으로 작출 (作出) 된 원예 품종이다. 이 교배한 원예 품종은, 큰 분류로서 올드 가든 로즈와 모던 로즈의 2 종류로 분류된다 (특허문헌 1).
장미의 색소는 상세하게 조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안토시아닌계 색소로는, 시아니딘3,5-디글루코시드, 펠라르고니딘3,5-디글루코시드, 시아니딘3-글루코시드, 펠라르고니딘3-글루코시드, 페오니딘3,5-디글루코시드, 페오니딘3-글루코시드가 알려져 있다. 또, 황색을 띠는 많은 카로티노이드 화합물도 알려져 있다. 이들 색소가 꽃잎에 동시에 축적되어 적색 ∼ 황색을 나타낸다.
연보라색계 장미 품종 「마담 비오레」 에는, 청색 색소 화합물인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I ∼ III) 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 또한, 장미 품종 「어플로즈 (등록상표)」 (또는 「산토리 블루 로즈 어플로즈 (상표)」) 에는, 로자델핀류 (화합물 IV ∼ VI) 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3). 당해 화합물의 구조나, 색조 및 각종 스펙트럼 데이터는 밝혀져 있지만, 생리 활성이나 기능성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장미과 식물 성분의 작용으로는, 항알레르기 작용, 미백 작용 (멜라닌 산생 억제 작용,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작용), 보습 작용, 항산화 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4) 에는, 무코다당 단편화 억제제로서, 장미 및 나니와이바라 등의 추출물이 유효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5) 에는, 민감기용 화장료로서, 장미과의 에센스가 유효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6) 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로서 로사·센티폴리아 (Rosa Centifolia) 의 추출물이 유효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장미과 식물 유래 성분의 효과에 주목하여, 로사·센티폴리아 (Rosa Centifolia), 로사·다마스케나 (Rosa Damascena), 로사·갈리카 (Rosa Gallica) 등의 올드 가든 로즈 (별명 세이요우바라, seiyoubara) 로 불리는 장미의 추출물이나 꽃잎이, 화장품 등의 피부외 용제나 목욕용제, 음식품의 향료 등에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화훼 이외의 용도에 이용되어 온 품종의 장미는, 어느 것도 전술한 로자시아닌류나 로자델핀류를 포함하고 있지 않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36147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01372 WO 2010/110382 A1 일본 특허공보 제3532244호 일본 특허공보 제3487739호 일본 특허공보 제4233734호
본 발명은, 장미과 식물로부터 추출하여 얻어지는 타닌 등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엘라스타제 저해제, MMP-1 산생 억제제, 및 콜라겐 합성 촉진제, 그리고 그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연보라색계 장미 꽃잎으로부터 발견된 색소인 로자시아닌류나, 플라보노이드 3',5'-수산화 효소 유전자 (3',5'-하이드록시라제) 를 갖는 장미에 있어서 합성되는 색소인 로자델핀류가, 강한 히알루로니다제 저해 활성,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 MMP-1 산생 억제 활성, 및 콜라겐 합성 촉진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로자시아닌류나 로자델핀류를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은, 로자시아닌류나 로자델핀류를 포함하지 않는 종래의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과 비교하여, 강한 히알루로니다제 저해 활성,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 및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것에 관한 것이다.
[1] 이하:
하기 일반식 (I)
[화학식 1]
Figure 112016123809374-pct00001
[식 중, R1 및 R2 는 하나가 되어 -O- 를 형성하거나;혹은, R1 은, 하기의 기 (a):
[화학식 2]
Figure 112016123809374-pct00002
{단, 기 (a) 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의 1 위치의 수산기의 배위 (파선) 는 α 체와 β 체의 호변 이성인 것을 나타낸다.}
또는, 하기의 기 (b):
[화학식 3]
Figure 112016123809374-pct00003
이고, 그리고
R2 는 -OH 이다]
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로자시아닌류 화합물;및
하기 일반식 (II)
[화학식 4]
Figure 112016123809374-pct00004
{식 중, R1 은, 하기의 기 (a):
[화학식 5]
Figure 112016123809374-pct00005
{단, 기 (a) 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의 1 위치의 수산기의 배위 (파선) 는 α 체와 β 체의 호변 이성인 것을 나타낸다.} 이고, 또한, R2 는 -OH 이거나, 또는 R1 과 R2 는 하나가 되어 -O- 를 형성하거나, 또는 R1 은, 하기의 기 (b):
[화학식 6]
Figure 112016123809374-pct00006
이고, 또한, R2 는 -OH 이다.} 로 나타내는 로자델핀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2] 이하:
하기 일반식 (I)
[화학식 7]
Figure 112016123809374-pct00007
[식 중, R1 및 R2 는 하나가 되어 -O- 를 형성하거나;혹은, R1 은, 하기의 기 (a):
[화학식 8]
Figure 112016123809374-pct00008
{단, 기 (a) 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의 1 위치의 수산기의 배위 (파선) 는 α 체와 β 체의 호변 이성인 것을 나타낸다.}
또는, 하기의 기 (b):
[화학식 9]
Figure 112016123809374-pct00009
이고, 그리고
R2 는 -OH 이다]
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로자시아닌류 화합물;및
하기 일반식 (II)
[화학식 10]
Figure 112016123809374-pct00010
{식 중, R1 은, 하기의 기 (a):
[화학식 11]
Figure 112016123809374-pct00011
{단, 기 (a) 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의 1 위치의 수산기의 배위 (파선) 는 α 체와 β 체의 호변 이성인 것을 나타낸다.} 이고, 또한, R2 는 -OH 이거나, 또는 R1 과 R2 는 하나가 되어 -O- 를 형성하거나, 또는 R1 은, 하기의 기 (b):
[화학식 12]
Figure 112016123809374-pct00012
이고, 또한, R2 는 -OH 이다.} 로 나타내는 로자델핀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콜라게나제 저해제.
[3] 이하:
하기 일반식 (I)
[화학식 13]
Figure 112016123809374-pct00013
[식 중, R1 및 R2 는 하나가 되어 -O- 를 형성하거나;혹은, R1 은, 하기의 기 (a):
[화학식 14]
Figure 112016123809374-pct00014
{단, 기 (a) 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의 1 위치의 수산기의 배위 (파선) 는 α 체와 β 체의 호변 이성인 것을 나타낸다.}
또는, 하기의 기 (b):
[화학식 15]
Figure 112016123809374-pct00015
이고, 그리고
R2 는 -OH 이다]
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로자시아닌류 화합물;및
하기 일반식 (II)
[화학식 16]
Figure 112016123809374-pct00016
{식 중, R1 은, 하기의 기 (a):
[화학식 17]
Figure 112016123809374-pct00017
{단, 기 (a) 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의 1 위치의 수산기의 배위 (파선) 는 α 체와 β 체의 호변 이성인 것을 나타낸다.} 이고, 또한, R2 는 -OH 이거나, 또는 R1 과 R2 는 하나가 되어 -O- 를 형성하거나, 또는 R1 은, 하기의 기 (b):
[화학식 18]
Figure 112016123809374-pct00018
이고, 또한, R2 는 -OH 이다.} 로 나타내는 로자델핀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엘라스타제 저해제.
[4] 상기 로자시아닌류 화합물이, 이하: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로자시아닌 A1
[화학식 19]
Figure 112016123809374-pct00019
{단, 식 중, 글루코오스의 1 위치의 수산기의 배위 (파선) 는 α 체와 β 체의 호변 이성인 것을 나타낸다},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로자시아닌 A2,
[화학식 20]
Figure 112016123809374-pct00020
및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로자시아닌 B,
[화학식 21]
Figure 112016123809374-pct00021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인,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또는 엘라스타제 저해제.
[5] 상기 로자시아닌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또는 엘라스타제 저해제.
[6] 상기 로자시아닌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이 마담 비오레, 퍼플 레인, 라반데, 맨하탄 블루, 샹티 레이스, 블루 문, 타소가레, 샤를 르 드골, 바이올렛 돌리, 블루 리본, 아오조라, 레이디 엑스, 블루 바유, 및 스털링 실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장미과 식물인, [5] 에 기재된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또는 엘라스타제 저해제.
[7] 상기 로자델핀류 화합물이, 이하: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로자델핀 A1
[화학식 22]
Figure 112016123809374-pct00022
{단, 식 중, 글루코오스의 1 위치의 수산기의 배위 (파선) 는 α 체와 β 체의 호변 이성인 것을 나타낸다},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로자델핀 A2,
[화학식 23]
Figure 112016123809374-pct00023
및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로자델핀 B
[화학식 24]
Figure 112016123809374-pct0002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인,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또는 엘라스타제 저해제.
[8] 상기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또는 엘라스타제 저해제.
[9] 상기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이, 플라보노이드 3',5'-수산화 효소 유전자를 갖는 장미과 식물인, [8] 에 기재된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또는 엘라스타제 저해제.
[10] 상기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이, 어플로즈 (등록상표) 인, [9] 에 기재된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또는 엘라스타제 저해제.
[11] 상기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이, 산토리 블루 로즈 어플로즈 (상표) 인, [9] 에 기재된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또는 엘라스타제 저해제.
[12]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또는 엘라스타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13]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또는 엘라스타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
[14]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또는 엘라스타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의약 부외품.
[15] [1] ∼ [4] 및 [7]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 또는 [5], [6] 및 [8] ∼ [11]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16] [1] ∼ [4] 및 [7]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 또는 [5], [6] 및 [8] ∼ [11]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
[17] [1] ∼ [4] 및 [7]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 또는 [5], [6] 및 [8] ∼ [11]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의약 부외품.
[18] [1] ∼ [4] 및 [7]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 또는 [5], [6] 및 [8] ∼ [11]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MMP-1 산생 억제제.
[19] [1] ∼ [4] 및 [7]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 또는 [5], [6] 및 [8] ∼ [11]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제.
본 발명은, 연보라색계 또는 청계 장미과 식물에 존재하는 색소 화합물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I ∼ III), 및 플라보노이드 3',5'-수산화 효소 유전자 (3',5'-하이드록시라제) 를 갖는 장미과 식물에 존재하는 색소 화합물 로자델핀류 (화합물 IV ∼ VI) 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장미과 식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 그 추출물의 색소 함유 분획물, 그리고 정제한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I ∼ III)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 IV ∼ VI) 는, 놀랍게도, 종래 알려져 있던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 및 추출물에 포함되는 타닌류와 비교하여, 약 4 배의 히알루로니다제 저해 활성, 폴리페놀량당에서는 약 2 배의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고,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에 있어서는, 로자시아닌 A1 과 로자델핀 A1 은 강한 활성을 나타냈지만, 텔리마그란딘 1 (TG1) 은 거의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즉, 본 발명은, 우수한 활성을 갖는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및 엘라스타제 저해제를 제공한다. 또, 당해 추출물, 분획물,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은, 우수한 MMP-1 산생 억제 효과 및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특히 I 형 콜라겐 합성의 촉진) 도 발휘하고, MMP-1 산생 억제제 및 콜라겐 합성 촉진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은, 상기 색소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함으로써, 피부 조직의 수분 유지, 그리고 유연성 및 탄력성의 유지 개선에 기여하기 때문에, 피부의 건조, 주름, 및 늘어짐의 방지 및 개선을 위해서 유효하다. 화장품 등에 배합할 수 있는 원료의 양은, 안정성 때문에 한정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에 사용하는 색소 화합물은,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또는 의약 부외품에 배합 가능한 용량으로, 높은 유효성이 얻어진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해, 로자시아닌류 및 로자델핀류의 구조식에 대해서는 밝혀져 있었지만, 이들 색소의 장미 식물 이외를 대상으로 한 생리적 기능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본 발명에 의해, 이들 색소 화합물군의 기능성이 새롭게 발견됨으로써, 피부의 건조, 주름, 및 늘어짐의 방지 및 개선을 위해서 사용하여, 사람들의 QOL 향상에 공헌할 수 있다.
도 1 은, 로자델핀 A1 의 정제에 있어서의, 폴리머 (Polymer) C18 칼럼의 정제물의 분석 결과 (A560 ㎚) 를 나타낸다.
도 2 는, I 형 콜라겐 합성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또는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엘라스타제 저해제, MMP-1 산생 억제제, 콜라겐 합성 촉진제,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에 관한 것이다.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로자시아닌류 화합물은, 상기 서술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되지만, 특히 로자시아닌 A1, 로자시아닌 A2, 및 로자시아닌 B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로자시아닌류 화합물은, 청계 또는 연보라색계의 색조를 띠는 장미과 식물, 예를 들어 마담 비오레, 퍼플 레인, 라반데, 맨하탄 블루, 샹티 레이스, 블루 문, 타소가레, 샤를 르 드골, 바이올렛 돌리, 블루 리본, 아오조라, 레이디 엑스, 블루 바유, 및 스털링 실버 등의 품종의 장미로부터,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01372 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
(로자델핀류 화합물)
로자델핀류 화합물은, 상기 서술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되지만, 특히 로자델핀 A1, 로자델핀 A2, 및 로자델핀 B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로자델핀류 화합물은, 야생종 장미에는 존재하지 않고, 플라보노이드 3',5'-수산화 효소 유전자를 유전자 재조합 등의 수법으로 도입한 장미나, 유전자 재조합 장미를 부모로 하여 얻어지는 플라보노이드 3',5'-수산화 효소 유전자를 갖는 장미에 있어서 청색 색소인 델피니딘이 합성되고, 이것에 갈레이트나 텔리마그란딘류가 결합하여 생성되는 화합물이다.
로자델핀류 화합물은, 플라보노이드 3',5'-수산화 효소 유전자를 유전자 재조합 등의 수법으로 도입한 장미나, 유전자 재조합 장미를 부모로 하여 얻어지는 플라보노이드 3',5'-수산화 효소 유전자를 갖는 장미로부터, 예를 들어 WO2010/110382 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또는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
본 발명은, 일 양태로서,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또는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엘라스타제 저해제, MMP-1 산생 억제제, 콜라겐 합성 촉진제,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에 관한 것이다. 이들은, 로자시아닌류 화합물이나 로자델핀류 화합물과 당해 추출물을 포함해도 된다. 로자시아닌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로자시아닌 A1, 로자시아닌 A2, 및 로자시아닌 B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이다. 또, 로자델핀류 화합물은, 로자델핀 A1, 로자델핀 A2, 및 로자델핀 B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당해 추출물은, 로자델핀 A1, 로자델핀 A2, 및 로자델핀 B 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로자시아닌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은, 청계 또는 연보라색계의 색조를 띠는 장미과 식물, 예를 들어 마담 비오레, 퍼플 레인, 라반데, 맨하탄 블루, 샹티 레이스, 블루 문, 타소가레, 샤를 르 드골, 바이올렛 돌리, 블루 리본, 아오조라, 레이디 엑스, 블루 바유, 및 스털링 실버 등 품종의 장미과 식물로부터, 당업자에게 주지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사용하는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 3',5'-수산화 효소 유전자를 유전자 재조합 등의 수법으로 도입한 장미나, 유전자 재조합 장미를 부모로 하여 얻어지는 플라보노이드 3',5'-수산화 효소 유전자를 갖는 장미, 예를 들어 어플로즈 (등록상표) 등 품종의 장미과 식물로부터, 당업자에게 주지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어플로즈 (등록상표)」 는 「산토리 블루 로즈 어플로즈 (상표)」 와 동일한 품종을 가리키며, 이것은 산토리 플라워즈 주식회사 (일본, 토쿄도) 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또는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은,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의 장미의 꽃잎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꽃잎 외에 꽃받침이나 화분이 포함되어도 상관없다. 상기의 장미의 꽃 부분의 추출물을 본 발명에 사용할 수도 있다. 줄기로부터 잘라낸 채의 상태인 꽃 또는 꽃잎을 그대로 추출에 사용해도 되고, 동결된 상태의 꽃 또는 꽃잎을 사용해도 되고, 건조된 상태의 꽃 또는 꽃잎을 사용해도 된다.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꽃 또는 꽃잎을 적절히 분쇄하고, 추출물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의 장미의 꽃 또는 꽃잎을 추출 용매 중에 침지하는 방법, 꽃 또는 꽃잎에 추출 용매를 가열 환류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꽃 또는 꽃잎을 추출 용매 중에 침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추출 용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꽃 또는 꽃잎의 습중량에 대하여 1 ∼ 30 배 중량의 추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침지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0.25 ∼ 72 시간으로 할 수 있다. 침지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 ∼ 100 ℃ 로 할 수 있다. 추출 용매로는 물, 저급 알코올, 저급 알코올 수용액이 바람직하다. 저급 알코올로는, 탄소수가 1 ∼ 5 인, 1 가 알코올, 2 가 알콜, 3 가 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펜틸알코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펜틸렌글리콜 등의 공지된 저급 알코올류를 사용할 수 있다. 저급 알코올의 농도는 한정되지 않고, 수용액 전체량에 대하여 5 ∼ 90 중량% 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추출 용매로는, 전체량에 대하여 5 ∼ 90 중량% 의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에탄올 수용액, 또는 아세토니트릴 수용액 또는 1,3-부틸렌글리콜 수용액을 들 수 있다. 또, 색소 화합물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산성 조건으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성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pH 1 ∼ 6, 산으로는, 화장품 제조에 인정받고 있는 의약 부외품 원료 규격에 기재된 시트르산, 염산, 인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식품 첨가물의 아세트산, 황산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미의 꽃 또는 꽃잎에 추출 용매를 가열 환류시키는 방법에 의해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추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추출 후에, 여과나 원심 분리 등의 임의의 수단에 의해 꽃 또는 꽃잎의 잔류물과 추출물을 분리한다.
얻어진 추출물은, 그대로, 혹은 추출 용매를 적절히 제거한 농축물로서, 또한 이들을 희석한 희석물로서, 본 발명의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얻어진 추출물의 산을 제거하고, pH 를 중성으로 되돌리기 위해서, 다이아이온 (상표) HP-20 (미츠비시 화학 주식회사) 이나 다이아이온 (상표) HP2MG (미츠비시 화학 주식회사) 와 같은 흡착 수지에 흡착시켜, 물 세정에 의해 산을 씻어 없애고, 용매로 필요한 획분을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얻어진 추출물을 정법에 따라서 정제한 조 (粗) 정제물 또는 정제물도,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또는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로서, 본 발명의 용도에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그 농축물, 희석물은, 액체상의 형태로 사용해도 되고, 분무 건조, 동결 건조, 진공 건조 등의 방법에 의해 건조시킨 것을 그대로, 혹은 분말화, 과립화한 형태로 사용해도 된다.
추출물 중에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또는 로자델핀류 화합물이 포함되는 것은, 실시예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엘라스타제 저해제, MMP-1 산생 억제제, 및 콜라겐 합성 촉진제)
본 발명의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엘라스타제 저해제, MMP-1 산생 억제제, 또는 콜라겐 합성 촉진제는,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또는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엘라스타제 저해제, MMP-1 산생 억제제, 또는 콜라겐 합성 촉진제는,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로자시아닌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그대로 본 발명의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엘라스타제 저해제, MMP-1 산생 억제제, 및 콜라겐 합성 촉진제로서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엘라스타제 저해제, MMP-1 산생 억제제, 또는 콜라겐 합성 촉진제는,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 그리고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또한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나 첨가물을 포함하여 제제화된 것이어도 된다. 담체의 예로는, 물, 생리 식염수,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첨가물의 예로는, 포도당, 자당, 유당,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또, 제제화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유화제, 긴장화제 (등장화제), 완충제, 용해 보조제, 방부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도 있다.
제제화된 본 발명의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엘라스타제 저해제, MMP-1 산생 억제제, 또는 콜라겐 합성 촉진제는, 액체상, 페이스트상, 겔상, 분말상, 과립상 등의 임의의 제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엘라스타제 저해제, MMP-1 산생 억제제, 또는 콜라겐 합성 촉진제의 유효 성분인 로자델핀류 화합물,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로자시아닌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의 함량은, 효과면을 고려하여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의약 부외품)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은,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또는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의 건조, 주름 및 늘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은,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로자델핀류 화합물, 그리고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은, 로자시아닌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에는, 또한 통상적으로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수성 용매, 알코올, 유지류, 납류 (蠟類) 등의 담체나, 부형제, 유화제, 긴장화제 (등장화제), 완충제, 희석제, 용해 보조제, 방부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등의 첨가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의 제형은, 예를 들어 분말상, 액상, 유액상, 페이스트상, 크림상, 겔상, 무스장, 연고상, 시트상 등의 임의의 제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로는, 예를 들어 파우더, 로션, 유액제, 크림제, 젤제, 연고, 팩제, 고형 비누, 액상 비누, 샴푸, 린스, 입욕제 등의 형태의 것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로는, 예를 들어 로션, 화장수, 미용액, 유액, 미용 오일, 미용 크림, 미용 젤, 팩제, 파우더 파운데이션,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스틱 파운데이션, BB 크림, 미용 비누, 보디 소프, 세안료, 클렌징 로션, 클렌징 유액, 클렌징 크림, 클렌징 오일,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헤어토닉, 육모제, 입욕제, 제한제 (制汗劑) 등의 형태의 것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의약 부외품이란, 특정한 효능, 효과가 인정되는 제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완화된 제품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의약 부외품으로는, 약용 화장품, 약용 비누, 약용 샴푸, 약용 린스, 약용 입욕제, 약용 베이비 파우더, 약용 베이비 로션, 약용 육모제 등의 형태의 것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은, 히알루로니다제 저해 효과, 콜라게나제 저해 효과, 엘라스타제 저해 효과, MMP-1 산생 억제 효과, 및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갖는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로자델핀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기 때문에, 피부에 촉촉함을 부여하여, 피부의 건조, 주름 및 늘어짐, 피부 거칠어짐, 살갗 틈, 살갗 갈라짐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개선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건성 피부, 민감 피부, 지성 피부 등의 피부 상태를 방지 또는 개선하고, 주름, 늘어짐, 팔자 주름 등의 가령에 의한 피부 노화의 방지 또는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엘라스타제 저해제, MMP-1 산생 억제제, 콜라겐 합성 촉진제,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의 유효 성분인 로자델핀류 화합물,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로자시아닌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의 함량은, 효과면을 고려하여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엘라스타제 저해제, MMP-1 산생 억제제, 콜라겐 합성 촉진제, 피부 외용제, 또는 피부 화장료 중에, 로자델핀류 화합물,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로자시아닌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이, 합해서 0.000001 ∼ 99.9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005 ∼ 5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001 ∼ 1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을 여러 가지 변경, 수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로자시아닌류의 단리)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01372 의 방법에 따라서, 장미 품종 「마담 비오레」 의 꽃잎으로부터 이하:로자시아닌 A1, 로자시아닌 A2, 및 로자시아닌 B 의 로자시아닌류를 얻었다.
실시예 2
(로자델핀류를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꽃잎으로부터의 추출물의 제조)
―80 ℃ 에서 냉동된 장미 품종 「어플로즈」 의 꽃잎 110 g 을, 비닐 봉지 중에서 나무망치를 사용하여 동결 상태인 채로 분쇄하였다. 70 % 에탄올 1.5 ℓ 를 첨가하고, 초음파 세척기를 사용하여, 20 분간 소닉하에서 추출하였다. 추출 처리 후, 12.5 ㎝ 의 부흐너 깔때기를 사용하고, No. 2 여과지 (Toyo Roshi Kaisha, Ltd) 를 사용하여 흡인 여과하고, 여과액을 로터리 이배퍼레이터로 약 1/5 의 체적까지 감압 농축하고, 에탄올을 증류 제거한 후, 동결 건조하였다. 건조 중량 8.33 g (생 (生) 꽃잎로부터의 수율:7.57 %) 의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3
(로자델핀류를 포함하는 분획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의 정제)
<재료와 방법>
장미 품종 「어플로즈」 의 꽃잎 1100 g 을, 엑셀 오토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액체 질소 중에서 동결 분쇄하고, 0.5 % TFA 를 포함하는 50 % 아세토니트릴이 되도록 5.5 ℓ 의 아세토니트릴, 4.4 ℓ 의 밀리 Q 수 (水), 55 ㎖ 의 TFA 를 혼합한 용액 (꽃잎의 수분을 포함하여 11 ℓ) 에 더하여 하룻밤 침지하였다. 하이플로 슈퍼 셀 (규조토) 50 g 을 프리코트한 18 ㎝φ 의 부흐너 깔때기로 흡인 여과 (x 3 회) 한 여과액을 로터리 이배퍼레이터로 연속 농축하고, 약 1/2 이하의 체적까지 농축하였다.
이 농축액을 물로 평형화한 흡착 수지 HP-20 (미츠비시 화학 주식회사) 2.2 ℓ 에 부하 (負荷) 하였다. 2.2 ℓ 의 수세 후, 하룻밤 두고, 추가로 4.4 ℓ 의 수세 (합계 3 CV) 후, 6.6 ℓ 의 0.1 % TFA 를 포함하는 20 % 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고, 500 ㎖ 씩 13 획분으로 나누었다. 1 ∼ 4 Fra 는 용출물이 없었기 때문에, 수세액과 함께 폐기하였다. 5 ∼ 13 Fra 는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였다. 또한, 칼럼에 남은 청색 색소류는 6.6 ℓ 의 0.1 % TFA 를 포함하는 60 % 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여 9 Fra 로 나누어, 감압 농축, 동결 건조를 실시하였다. 7 ∼ 9 Fra 는 합병하였다. 60 %-4 획분 전후에 청색 색소 (로자델핀 A1) 를 포함하는 획분이 용출하였다.
60 %-4 획분 및 60 %-5 획분을, 이하의 분취 HPLC 로 정제하였다. 칼럼은 디벨로실-ODS-HG (노무라 화학사 제조 5 ㎝φ x 50 ㎝), 이동상은 A : 0.5 % TFA/물, 0.5 % TFA/B : 50 %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유속 : 30 ㎖/분으로, 그래디언트 용출을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B 30 % (30 분 유지), B 30 → B 100 % 의 리니어 그래디언트 (50 분), B 100 % 를 20 분간 유지하였다. 검출은 A260 ㎚ 에서 실시하였다. 67-82 분에 용출한 청색 색소를 포함하는 획분을 모아 동결 건조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는 60 %-4 Fra. 에 대해 6 회, 60 %-5 Fra. 에 대해 2 회 반복하였다.
동결 건조품을 50 % 아세토니트릴로 평형화한 Sephadex LH-20 칼럼 (파르마시아, 200 ㎖) 에 5 회로 나누어 부하하였다. 50 % 아세토니트릴로 용출을 실시하고, 육안으로 청색 색소를 포함하는 획분을 모아 동결 건조하였다.
얻어진 동결 건조품을 하기의 HPLC 로 재차 분취를 실시하였다.
칼럼은 YMC 펙 폴리머 C18 (와이엠씨 주식회사, 2 ㎝φ x 30 ㎝), 이동상은 A : 0.5 % TFA/물, B : 0.5 % TFA/아세토니트릴, 유속 : 6 ㎖/분, 이하의 그래디언트 용출을 실시하였다. B 32.5 % (30 분 유지), B 32.5 → B 45 % 의 리니어 그래디언트 (50 분), B 45 % 를 30 분간 유지하고, 검출은 PDA 검출기로 250-650 ㎚ 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A260 ㎚ 및 A560 ㎚ 의 크로마토그램에 의해 피크를 모았다. 80-94 분에 용출한 청색 색소 (로자델핀 A1) 를 모아 동결 건조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는 합계 5 회 반복하였다.
성분의 분석은 하기의 HPLC-TOF-MS 로 실시하였다.
<HPLC 분석 조건>
칼럼:SHODEX ODP-40-2D (2 ㎜φ 150 ㎜ x. 쇼와 전공 주식회사)
이동상:A:1 % HCOOH/H2O, B:0.1 % HCOOH/CH3CN
용출 조건:B conc. 10 % → 60 % (15 분), B conc. 60 % iso (5 분) → 10 % (1 분), B conc. 10 % (15 분)
칼럼 온도;40 ℃
유속:0.2 ㎖/분
검출 파장:PDA (250-600 ㎚), A270 ㎚ & A560 ㎚
주입량:3 ㎕
<MS 조건>
MS 는, Q-TOF 프리미어 (Premier) (마이크로메스사 제조) 로 이온원에 Z 스프레이 이온 소스를 부착한 ESI 를 사용하여, 포지티브, V 모드로 측정하였다. 로크 스프레이에 의한 질량 보정을 실시하고, 레퍼런스에는 류신 엔케팔린 (m/z 556.2771 [M+H]+) 을 사용하였다.
TOF-디텍터 전압:2000 V, 캐필러리:2.7 KV, Cone:50 V, Source Temp:150 ℃, 탈용매화 온도 (Desolvation Temp):250 ℃
이론값으로서, 각각, 로자델핀 A1 은, m/z 1221.1268 [M]+, 로자델핀 B 는 m/z 435.0352 [M]+, 로자델핀 A2 는, m/z 1373.1378 [M]+ 의 분자 이온을 주어, 각각의 분자식은, C56H37O32, C22H11O10, C63H41O36 이다. 이 분자 이온의 매스 크로마토그램을 바탕으로 로자델핀류를 확인하면서 정제하였다.
<결과>
(1) HP-20 칼럼의 분획물
HP-20 칼럼의 분획물은 표 1 과 같이, 정리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Figure 112016123809374-pct00025
60 % 아세토니트릴 용출물은 가수 분해성 타닌, 청색 색소류 (델피니딘과 타닌의 결합물) 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60 %-3 ∼ 5 Fra 는 로자델핀 A1 및 A2 를 함유하고 있다.
(2) 5 ㎝ 의 ODS-HPLC 에 의한 분획 결과
5 회로 나누어 분취 HPLC 를 실시하고, 로자델핀 A1 을 포함하는 획분과 전후의 색소 획분을 모아 동결 건조하였다. 11.27 g 을 부하하여, 2.49 g 의 색소 획분을 얻었다 (수율:22.1 %). 로자델핀 A1 을 포함하는 획분의 수율은 5.6 % 였다.
(3) LH-20 칼럼 분획 결과
LH-20 에 의한 분획은, 육안으로 프랙션을 나누었다. 샘플은, ODS-HG 칼럼 분획물로 상기 (2) 에서 얻어진 동결 건조 분말로, 5 회로 나누어 부하하였다. 또 50 % 아세토니트릴의 후 80 % 아세톤으로 용출해도 영구 흡착되어 있는 보라색 성분이 있었으므로, 칼럼에서 수지를 꺼내어 1N-HCl (0.2 ㎖)/EtOH (30 ㎖) 로 색소를 용출하고, 회수하였다. 이 색소는 로자델핀 B 주성분이었다.
5 회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순도 20-70 % 의 로자델핀 A1 을 포함하는 획분을 얻었다.
(4) 2 ㎝ 의 폴리머 C18 칼럼에 의한 분획 결과
폴리머 C18 칼럼으로 정제한 후의 로자델핀 A1 의 크로마토그램 (A560 ㎚) 을 도 1 에 나타낸다.
(5) LC-MS 분석 결과
로자델핀류는 분석시에 LC-TOF-MS 로 로자델핀 A1, m/z 1221.14 의 매스 크로마토그램으로 확인하면서, 분획을 진행하였다.
정제 결과, 순도 90 % 를 초과한 로자델핀 A1 은 3.9 ㎎ 얻어졌다.
실시예 4
(히알루로니다제 저해 시험)
<재료와 방법>
실시예 2 에서 제조한 추출물 (이후,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 이라고 기재한다),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의 HP-20 칼럼 분획물 (60 % 아세토니트릴 획분), 및 로자델핀 A1 의 히알루로니다제 저해 시험은, 마에다 유미에 등, 식품 위생학 잡지 31 (3), 233-237 (1990) 방법을 개변하고,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로니다제에 의해 N-아세틸헥소사민으로 분해된다. 환원 말단의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p-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 (와코 쥰야쿠 공업 주식회사 제조, 이하, p-DAB 라고 약기한다) 표지에 의한 발색에 의해 흡광도로 정량함으로써, 히알루로니다제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10 % DMSO 에 용해한 시료 용액 40 ㎕ 에, 0.1 M 아세트산 완충액 (pH 4.0) 에 용해한 1000 U/㎖ 히알루로니다제 (시그마사 제조) 를 20 ㎕ 혼합하고, 37 ℃ 에서 20 분간 예비 가온하였다. 동 (同) 완충액에 용해한 0.5 mg/㎖ 컴파운드 (Compound) 48/80 (시그마사 제조) 을 40 ㎕ 첨가하고, 37 ℃ 에서 20 분간 정치하여 히알루로니다제를 활성화시켰다. 이 용액에 최종 농도 0.4 mg/㎖ 가 되도록 0.8 mg/㎖ 히알루론산칼륨 용액 100 ㎕ 를 첨가하고, 37 ℃ 에서 40 분간 반응시킨 후, 0.4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40 ㎕ 를 첨가하고, 빙랭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6 N NaOH 로 pH 9.1 로 조정한 0.8 M 붕산 용액을 40 ㎕ 반응액에 첨가하고, 100 ℃ 에서 3 분간 자비 (煮沸) 하였다. 빙중에서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이것에, 차광한 10 mg/㎖ p-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 (p-DAB) 용액을 1.2 ㎖ 첨가하고, 37 ℃ 에서 20 분간 반응시킨 후, 585 ㎚ 의 흡광도 (A585) 를 측정하였다. 시료의 히알루로니다제 저해 활성은 다음 식으로부터 구해지는 저해율로 나타내었다.
저해율 (%) = {1 ― (a ― b)/(c ― d)} × 100
a:효소를 첨가한 시료 용액의 A585
b:효소를 첨가하고 있지 않은 시료 용액의 A585
c:효소를 첨가한 대조 용액의 A585
d:효소를 첨가하고 있지 않은 대조 용액의 A585
또, 양성 대조에는, 시료 용액 대신에 800 ㎍/㎖ (몰 농도 1.56 mM) 의 크로모글리크산나트륨 (시그마사 제조, 이하, DSCG 라고 약기한다) 을 40 ㎕ 첨가하여, 시험 농도 160 ㎍/㎖ 의 DSCG 를 사용하였다.
<결과>
(1) 60 % 아세토니트릴 획분의 히알루로니다제 저해 시험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을 HP-20 칼럼 분획하여 얻어진 60 % 아세토니트릴 획분에 대해, 시험 농도 10, 20 ㎍/㎖ 에 있어서의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율 (%) 을 측정한 결과,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었다. 3-5 Fra. 는 파랑 장미 특유의 색소 성분 로자델핀 A1 을 포함하고, 그 중 4 Fra. 와 5 Fra 의 함유율이 많은 것을 TOF-MS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3-6 Fra. 는,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의 2 분의 1 의 시험 농도에 있어서,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보다 강한 히알루로니다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고, 로자델핀 A1 의 함유율이 가장 높은 4 Fra. 가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부터, 3-5 Fra. 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 로자델핀 A1 이,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 중의 히알루로니다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활성 성분일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Figure 112016123809374-pct00026
(3) 로자델핀 A1 및 유연 (類緣) 화합물의 히알루로니다제 저해 시험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로부터 정제한 청색 색소 성분 로자델핀 A1 에 대해, 시험 농도 20, 40, 80 ㎍/㎖ 에 있어서의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율 (%) 을 측정한 결과,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었다. 로자델핀 A1 이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 중의 활성 성분인 것이 밝혀졌다. 농도 의존적으로 강한 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로자델핀 A1 의 용량 반응성도 확인하였다.
또, 로자델핀 A1 의 구조의 구성 성분인, 텔리마그란딘 1, 숙주주 (宿主株) 의 청색 색소 성분인 로자시아닌 A1 의 활성을 동시에 측정하고, 활성 강도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로자시아닌 A1 은, 로자델핀 A1 과 동등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어플로즈에도 포함되어 있고, 장미과 식물에도 존재하는 가수 분해성 타닌, 텔리마그란딘 1 은, 로자델핀 A1 보다 낮지만 활성을 나타내었다.
시판되고 있는 장미 꽃잎 추출 소재 중 하나에, 토요 발효사 제조의 ROSE CRYSTA-70 (상표) 이 있다. 이 소재는, 가수 분해성 타닌의 1 종인 오이게니인이 포함되어 있고, 총 페놀량 70 % 가 규격되어 있는 소재이다.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은, ROSE CRYSTA-70 (상표) 보다, 강한 히알루로니다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점에서도 (표 4), 로자델핀 A1 을 포함하는 청색 색소군은, 가수 분해성 타닌류보다 활성이 강한 것을 뒷받침하는 데이터가 얻어졌다.
각 화합물의 히알루로니다제 저해 활성은, 로자시아닌 A1, 로자델핀 A1 >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 > 텔리마그란딘 1 의 순서로 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로자델핀 A1 이 텔리마그란딘 1 과 비교하여, 보다 강한 활성을 갖는 것이 분명해지고, 종래 사용되어 온 장미 추출 소재에 우수한 보습 작용 효과를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112016123809374-pct00027
Figure 112016123809374-pct00028
이상과 같이,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 그 중에서도 청색 색소 로자델핀류를 포함하는 획분, 로자델핀 A1, 및 비재조합체의 청색 색소 로자시아닌 A1 은 강한 히알루로니다제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5
(콜라게나제 저해 시험)
<재료와 방법>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의 칼럼 처리물 (60 % 아세토니트릴 획분), 로자델핀 A1, 로자시아닌 A1 및 텔리마그란딘 1 의 콜라게나제 저해 시험은, 문헌 (Wunsch 등, Hoppe Seylers Z Physiol Chem., 333, 149-51 (1963)) 의 방법을 개변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효소 용액은, 100 ㎍/㎖ (55.1 유닛/㎖) 의 농도가 되도록, 콜라게나제 타입 IV (시그마사 제조) 10 ㎎ 을 증류수 1 ㎖ 에 용해하고, 사용시에 50 배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기질 용액에는, PZ-펩티드 (4-페닐아조-벤질옥시카르보닐-Pro-Leu-Gly-Pro-D-Arg-OH) (Pz-Pro-Leu-Gly-Pro-D-Arg-OH, 시그마사 제조) 의 농도가 0.5 ㎍/㎖ 가 되도록 20 n㏖/ℓ 의 염화칼슘을 함유하는 트리스염산 완충액 (pH 7.1) 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10 % DMSO 에 용해한 시료 용액 20 ㎕ 에, 효소 용액 20 ㎕ 및 기질 용액 160 ㎕ 를 혼합하고, 37 ℃ 에서 30 분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25 mM 시트르산 용액 400 ㎕ 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반응액 중의 Pz-Pro-Leu 를 아세트산에틸 2 ㎖ 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아세트산에틸층의 파장 320 ㎚ 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아세트산에틸을 대조로 하여 측정하였다. 또, 각 시료의 저해 활성은, 다음 식으로 구해지는 저해율로 산출하였다.
콜라게나제 저해율 (%) = {1 ― (a ― b)/(c ― d)} × 100
a:시료 첨가시 반응 30 분 후의 흡광도
b:시료 첨가시 반응 0 분 후의 흡광도
c:시료 무첨가 반응 30 분 후의 흡광도
d:시료 무첨가 반응 0 분 후의 흡광도
상기 식에 있어서, 콜라게나제의 활성이 완전하게 저해된 경우에는, 콜라게나제 저해율 (%) 은 100 % 가 된다. 높은 「저해율 (%)」 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저해제로서의 활성이 보다 높다고 말할 수 있다.
콜라게나제 저해 시험에 있어서는, 양성 대조에는 시료 용액 대신에, 800 ㎍/㎖ (몰 농도 0.176 mM) 의 이소아밀포스포닐-글리실-L-프롤리-L-알라닌, 디칼륨 염;C15H26K2N3O6P (Elastin Products Company, Inc. 제조, 이하, IP304 라고 약기한다) 를 20 ㎕ 첨가 (반응시의 농도는 80 ㎍/㎖) 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1) 60 % 아세토니트릴 획분의 콜라게나제 저해 시험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을 HP-20 칼럼 분획하여 얻어진 60 % 아세토니트릴 획분에 대해, 시험 농도 40, 80 ㎍/㎖ 에 있어서의 콜라게나제 저해율 (%) 을 측정한 결과, 표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었다. 3-5 Fra. 는, 플라보노이드 3',5'-수산화 효소 유전자를 갖는 장미 특유의 색소 성분 로자델핀 A1 을 포함하고, 그 중 4 Fra. 와 5 Fra 의 함유율이 많은 것을, TOF-MS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3-5 Fra. 는,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의 2 분의 1 의 시험 농도에 있어서, 또, 1, 2, 6 Fra. 는,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과 동일한 시험 농도에 있어서,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보다 강한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부터, 3-5 Fra. 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 로자델핀 A1 이,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 중의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활성 성분인 것이 시사되었다. 또, 로자델핀 A1 을 포함하는 3-5 fra. 에 한정되지 않고, 60 % 아세토니트릴 획분의 모든 Fra. 가, 비교적 높은 활성을 가졌기 때문에, 청색 색소 화합물군 전반이 활성을 갖는 것이 밝혀졌다.
Figure 112016123809374-pct00029
(2) 로자델핀 A1 및 그 유연체의 콜라게나제 저해 시험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로부터 정제한 청색 색소 성분, 로자델핀 A1 에 대해, 시험 농도 40 ㎍/㎖ 에 있어서의 콜라게나제 저해율 (%) 을 측정한 결과, 표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었다. 로자델핀 A1 이,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 중의 활성 성분인 것이 밝혀졌다.
또, 로자델핀 A1 구조의 구성 성분인, 텔리마그란딘 1, 숙주주의 청색 색소 성분인 로자시아닌 A1 의 활성을 동시에 측정하고, 활성 강도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각 화합물의 40 ㎍/㎖ 에 있어서의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에 대해서는, 로자시아닌 A1, 텔리마그란딘 1, 로자델핀 A1 은 모두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을 상회하는 활성이었다.
Figure 112016123809374-pct00030
실시예 6
(엘라스타제 저해 시험)
<재료와 방법>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의 칼럼 처리물 (60 % 아세토니트릴 획분), 로자델핀 A1, 로자시아닌 A1 및 텔리마그란딘 1 의 엘라스타제 저해 시험은,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효소 용액은, 0.05 유닛/㎖ 의 농도가 되도록, 엘라스타제 (시그마사 제조) 0.1 ㎖ 를 pH 8.0 의 0.2 M 트리스 완충액 (이하, 트리스 완충액이라고 기재) 을 사용하여, 사용시에 100 배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기질 용액은, N-숙시닐-Ala-Ala-Ala-p-니트로아닐리드 (시그마사 제조) 의 농도가 4 mM 이 되도록 트리스 완충액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10 % DMSO 에 용해시킨 각 시료 용액 50 ㎕, 및 효소 용액 50 ㎕ 를 첨가하여, 플레이트 쉐이커로 혼합하고, 25 ℃ 에서 10 분간 예비 가온하였다. 이어서 기질 용액 100 ㎕ 를 첨가하여 플레이트 쉐이커로 혼합하고, 25 ℃ 에서 30 분간 반응시킨 후에 신속하게 p-니트로아닐린의 유리 (遊離) 를 파장 405 ㎚ 의 흡광도 (이하, A405) 로 측정하였다. 블랭크의 A405 는, 기질 용액 대신에 트리스 완충액을 첨가하여 측정하고, 대조 용액의 A405 는, 시료 용액 대신에 10 % DMSO 를 첨가하여 측정하였다. 또, 각 시료의 저해 활성은, 다음의 식으로 구해지는 저해율로 산출하였다.
엘라스타제 저해율 (%) = [(f ― e) ― {(b ― a) ― (d ― c)}]/(f ― e) × 100
a:시료 용액의 기질 반응용의 A405 (0 분)
b:시료 용액의 기질 반응용의 A405 (30 분)
c:시료 용액의 블랭크의 A405 (0 분)
d:시료 용액의 블랭크의 A405 (30 분)
e:대조 용액의 A405 (0 분)
f:대조 용액의 A405 (30 분)
상기 식에 있어서, 엘라스타제의 활성이 완전하게 저해된 경우에는, 엘라스타제 저해율 (%) 은 100 % 가 된다. 높은 「저해율 (%)」 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저해제로서의 활성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엘라스타제 저해 시험에 있어서는, 양성 대조에는 시료 용액 대신에, 320 ㎍/㎖ (몰 농도 1.84 mM) 의 페닐메탄술포닐 플루오라이드 (Phenylmethanesulfonyl fluoride);C7H7FO2S (시그마사 제조, 이하, PMSF 라고 약기한다) 를 50 ㎕ 첨가 (반응시의 농도는 80 ㎍/㎖) 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1) 60 % 아세토니트릴 획분의 엘라스타제 저해 시험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을 HP-20 칼럼 분획하여 얻어진 60 % 아세토니트릴 획분에 대해, 시험 농도 40, 80, 160 ㎍/㎖ 에 있어서의 엘라스타제 저해율 (%) 을 측정한 결과, 표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었다. 3-5 Fra. 는 파랑 장미 특유의 색소 성분 로자델핀 A1 을 포함하고, 그 중 4 Fra. 와 5 Fra 의 함유율이 많은 것을, TOF-MS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60 % 아세토니트릴 획분 4-9 Fra. 는, HP-20 칼럼 분획 전의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보다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60 % 아세토니트릴 획분 6-9 Fra. 가 강한 활성을 가졌기 때문에, 로자델핀류 뿐만 아니라 청색 색소 화합물군 전반이 강한 활성을 갖는 것이 밝혀졌다.
Figure 112016123809374-pct00031
(2) 로자델핀 A1 의 엘라스타제 저해 시험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로부터 정제한 청색 색소 성분 로자델핀 A1 에 대해, 시험 농도 40, 80, 160 ㎍/㎖ 에 있어서의 엘라스타제 저해율 (%) 을 측정한 결과, 표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었다. 로자델핀 A1 이, 농도 의존적으로 강한 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로자델핀 A1 의 용량 반응성도 확인하였다.
또, 로자델핀 A1 구조의 구성 성분인, 텔리마그란딘 1, 숙주주의 청색 색소 성분인 로자시아닌 A1 의 활성을 동시에 측정하고, 활성 강도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로자델핀 A1 은, 로자시아닌 A1 과 동등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장미과 식물에 포함되는 가수 분해성 타닌의 1 종인 텔리마그란딘 1 은 약한 활성을 나타내는 데 반해, 로자델핀 A1 및 로자시아닌 A1 이 강한 활성을 나타낸 점에서, 청색 색소 화합물군이 포함됨에 따라, 청계의 장미 꽃잎 유래 추출물은, 시판되는 장미 엑기스보다 강한 활성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112016123809374-pct00032
실시예 7
(콜라겐 합성 촉진 시험)
<재료와 방법>
정상 인간 선유아세포를, 0.5 % 송아지 혈청 함유 둘베코 변법 MEM (0.5 % FBS-DMEM) 을 이용하여 2.0 × 104 세포/웰의 세포 밀도로 96 구멍 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 파종 24 시간 후에, 0.5 % FBS-DMEM 을, 세포 장애성이 없는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 농도를 최고 농도로 하여, 이것을 희석한,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0.5 % FBS-DMEM 과 교환하였다. 또한 양성 컨트롤로서 25 μM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염 (VC-PMg) 을 사용하였다.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의 칼럼 처리물 함유 배지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배양 상청액을 회수하여 ELISA 에 제공하였다. 세포는 0.5 % 트리톤X-100 용액으로 용해한 후, BCA 법으로 단백질량을 정량하였다.
배지 및 검량선용의 I 형 콜라겐 용액을 고흡착형 ELISA 플레이트에 넣고, 4 ℃ 에서 일주야 코팅한 후, 1 % 우혈청 알부민 (BSA) 용액을 사용하여 37 ℃ 에서 1 시간 블로킹하였다. 1 차 항체 반응은, 항-인간 콜라겐 타입 I 항체 (Anti-Human Collagen Type I antibody) (래빗) 를 0.3 % BSA 용액으로 희석한 것을 첨가하고, 37 ℃ 에서 1.5 시간 반응시켰다. 2 차 항체 반응은, 히스토파인 MAX-PO (R) (래빗) 을 인산 완충액으로 희석한 것을 첨가하고, 37 ℃ 에서 1.5 시간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0.3 mg/㎖ 의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술폰산)디암모늄염 (ABTS) 및 0.03 % 의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인산-시트르산 완충액 (0.1 M, pH 4.0) 을 첨가하여 30 분간 반응시키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로 405 ㎚ 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배지 중의 I 형 콜라겐량은, 동일한 ELISA 플레이트로 측정한 검량선으로부터 산출하였다. 전체 세포의 단백질량으로 배지 중의 I 형 콜라겐량을 나눔으로써 단위 단백질량당 I 형 콜라겐 합성량을 산출하였다. 각각의 I 형 콜라겐 합성량은 스튜던트 t (Student t) 검정을 이용하여 유의차 검정을 실시하고, 컨트롤과 비교하였다.
<결과>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의 I 형 콜라겐 합성량을 도 2 에 나타내었다. 시험 시료의 첨가에 의해, I 형 콜라겐 합성량의 유의한 증가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8
(MMP-1 산생 억제 시험)
MMP-1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1) (영어 :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은, 간질 콜라게나제라고도 불리며, 콜라겐의 분해에 관련된 메타프로테아제 (활성 중심에 금속 이온이 배좌하고 있는 단백질 분해 효소) 의 하나이다. MMP-1 의 산생을 저해함으로써, 콜라겐의 분해가 억제된다.
MMP-1 산생의 억제에 있어서의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의 효과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신생아 유래 정상 인간 피부 선유아세포 (NHDF-NB, 쿠라보 주식회사로부터 구입) 를 진피 선유아세포로서 사용하여, MMP-1 의 산생량을 지표로 하여 검토를 실시하였다.
24 웰 플레이트에 진피 선유아세포를 파종하고, 37 ℃, 이산화탄소 농도 5 vol % 중에서 콘플루언트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DMSO 에 용해한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을 0, 5, 10, 20 mg/㎖ 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DMSO 는 최종 농도가 0.1 % 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24 시간 배양한 후, IL-1β 를 최종 농도 100 pg/㎖ 로 배지에 첨가하였다. DMSO 용액만을 첨가한 웰의 일부에는 IL-1β 를 첨가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이것을 컨트롤로 하였다. 48 시간 배양 후, 배양 상청액을 회수하고, 배지 중에 분비된 proMMP-1 을 정량하여, MMP-1 의 산생량으로 하였다. proMMP-1 의 정량은, 정량 ELISA 키트 (R&D 시스템즈사 제조) 를 사용하고, 첨부된 설명서에 따라서 실시하였다. 정량 결과는, 컨트롤에 대한 MMP-1 의 산생량을 100 % 로 하는 상대값 (%) 으로서 나타내었다 (표 9).
Figure 112016123809374-pct00033
진피 선유아세포에 IL-1β 만을 첨가하면, MMP-1 의 산생량은, 컨트롤의 대략 4 배가 되었다. 그리고,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로 세포를 처리한 경우, 어느 농도에 있어서도 IL-1β 에 의한 MMP-1 의 산생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파랑 장미 꽃잎 추출물은, 우수한 MMP-1 산생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이 나타났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 콜라게나제 저해제, 엘라스타제 저해제는,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또는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함으로써, 건조, 주름, 및 늘어짐의 방지 및 개선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보습용 및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및 의약 부외품의 개발 및 제조를 위해서 유용하다.

Claims (19)

  1. 이하:
    하기 일반식 (I)
    [화학식 1]
    Figure 112021034014706-pct00060

    [식 중, R1 및 R2 는 하나가 되어 -O- 를 형성하거나;혹은, R1 은 하기의 기 (a):
    [화학식 2]
    Figure 112021034014706-pct00061

    {단, 기 (a) 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의 1 위치의 수산기의 배위 (파선) 는 α 체와 β 체의 호변 이성인 것을 나타낸다.}
    또는, 하기의 기 (b):
    [화학식 3]
    Figure 112021034014706-pct00062

    이고, 그리고
    R2 는 -OH 이다]
    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로자시아닌류 화합물;및
    하기 일반식 (II)
    [화학식 4]
    Figure 112021034014706-pct00063

    {식 중, R1 은 하기의 기 (a):
    [화학식 5]
    Figure 112021034014706-pct00064

    {단, 기 (a) 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의 1 위치의 수산기의 배위 (파선) 는 α 체와 β 체의 호변 이성인 것을 나타낸다.} 이고, 또한, R2 는 -OH 이거나, 또는 R1 과 R2 는 하나가 되어 -O- 를 형성하거나, 또는 R1 은 하기의 기 (b):
    [화학식 6]
    Figure 112021034014706-pct00065

    이고, 또한, R2 는 -OH 이다.} 로 나타내는 로자델핀류 화합물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또는 의약 외품.
  2. 이하:
    하기 일반식 (I)
    [화학식 7]
    Figure 112021034014706-pct00066

    [식 중, R1 및 R2 는 하나가 되어 -O- 를 형성하거나;혹은, R1 은 하기의 기 (a):
    [화학식 8]
    Figure 112021034014706-pct00067

    {단, 기 (a) 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의 1 위치의 수산기의 배위 (파선) 는 α 체와 β 체의 호변 이성인 것을 나타낸다.}
    또는, 하기의 기 (b):
    [화학식 9]
    Figure 112021034014706-pct00068

    이고, 그리고
    R2 는 -OH 이다]
    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로자시아닌류 화합물;및
    하기 일반식 (II)
    [화학식 10]
    Figure 112021034014706-pct00069

    {식 중, R1 은 하기의 기 (a):
    [화학식 11]
    Figure 112021034014706-pct00070

    {단, 기 (a) 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의 1 위치의 수산기의 배위 (파선) 는 α 체와 β 체의 호변 이성인 것을 나타낸다.} 이고, 또한, R2 는 -OH 이거나, 또는 R1 과 R2 는 하나가 되어 -O- 를 형성하거나, 또는 R1 은 하기의 기 (b):
    [화학식 12]
    Figure 112021034014706-pct00071

    이고, 또한, R2 는 -OH 이다.} 로 나타내는 로자델핀류 화합물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콜라게나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또는 의약 외품.
  3. 이하:
    하기 일반식 (I)
    [화학식 13]
    Figure 112021034014706-pct00072

    [식 중, R1 및 R2 는 하나가 되어 -O- 를 형성하거나;혹은, R1 은 하기의 기 (a):
    [화학식 14]
    Figure 112021034014706-pct00073

    {단, 기 (a) 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의 1 위치의 수산기의 배위 (파선) 는 α 체와 β 체의 호변 이성인 것을 나타낸다.}
    또는, 하기의 기 (b):
    [화학식 15]
    Figure 112021034014706-pct00074

    이고, 그리고
    R2 는 -OH 이다]
    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로자시아닌류 화합물;및
    하기 일반식 (II)
    [화학식 16]
    Figure 112021034014706-pct00075

    {식 중, R1 은 하기의 기 (a):
    [화학식 17]
    Figure 112021034014706-pct00076

    {단, 기 (a) 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의 1 위치의 수산기의 배위 (파선) 는 α 체와 β 체의 호변 이성인 것을 나타낸다.} 이고, 또한, R2 는 -OH 이거나, 또는 R1 과 R2 는 하나가 되어 -O- 를 형성하거나, 또는 R1 은 하기의 기 (b):
    [화학식 18]
    Figure 112021034014706-pct00077

    이고, 또한, R2 는 -OH 이다.} 로 나타내는 로자델핀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엘라스타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또는 의약 외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자시아닌류 화합물이, 이하: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로자시아닌 A1
    [화학식 19]
    Figure 112021034014706-pct00078

    {단, 식 중, 글루코오스의 1 위치의 수산기의 배위 (파선) 는 α 체와 β 체의 호변 이성인 것을 나타낸다},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로자시아닌 A2,
    [화학식 20]
    Figure 112021034014706-pct00079

    및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로자시아닌 B,
    [화학식 21]
    Figure 112021034014706-pct00080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인,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또는 의약 외품.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자시아닌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또는 의약 외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자시아닌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이 마담 비오레, 퍼플 레인, 라반데, 맨하탄 블루, 샹티 레이스, 블루 문, 타소가레, 샤를 르 드골, 바이올렛 돌리, 블루 리본, 아오조라, 레이디 엑스, 블루 바유, 및 스털링 실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장미과 식물인,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또는 의약 외품.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자델핀류 화합물이, 이하: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로자델핀 A1
    [화학식 22]
    Figure 112021034014706-pct00081

    {단, 식 중, 글루코오스의 1 위치의 수산기의 배위 (파선) 는 α 체와 β 체의 호변 이성인 것을 나타낸다},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로자델핀 A2,
    [화학식 23]
    Figure 112021034014706-pct00082

    및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로자델핀 B
    [화학식 24]
    Figure 112021034014706-pct00083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인,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또는 의약 외품.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또는 의약 외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이, 플라보노이드 3',5'-수산화 효소 유전자를 갖는 장미과 식물인,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또는 의약 외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이, 어플로즈 (등록상표) 인,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또는 의약 외품.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이, 산토리 블루 로즈 어플로즈 (상표) 인,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또는 의약 외품.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 또는 상기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혹은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 또는 상기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혹은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 또는 상기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혹은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약 외품.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 또는 상기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혹은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MMP-1 생성 억제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또는 의약 외품.
  1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및 로자델핀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 또는 상기 로자시아닌류 화합물 혹은 로자델핀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미과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피부 화장료, 또는 의약 외품.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67035395A 2014-05-19 2015-05-19 장미 색소 화합물의 신규 용도 KR102312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03299 2014-05-19
JPJP-P-2014-103299 2014-05-19
PCT/JP2015/064356 WO2015178385A1 (ja) 2014-05-19 2015-05-19 バラ色素化合物の新規な用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812A KR20170007812A (ko) 2017-01-20
KR102312133B1 true KR102312133B1 (ko) 2021-10-12

Family

ID=5455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395A KR102312133B1 (ko) 2014-05-19 2015-05-19 장미 색소 화합물의 신규 용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105313B2 (ko)
EP (1) EP3146957A4 (ko)
JP (2) JP6594300B2 (ko)
KR (1) KR102312133B1 (ko)
CN (1) CN106456492B (ko)
AU (1) AU2015262386A1 (ko)
CA (1) CA2949465A1 (ko)
HK (1) HK1231387A1 (ko)
MY (1) MY187326A (ko)
RU (1) RU2016149387A (ko)
SG (2) SG11201609636SA (ko)
TW (1) TWI667041B (ko)
WO (1) WO2015178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0248A1 (ja) 2015-12-22 2017-06-29 昭和電工株式会社 皮膚の抗老化剤及び抗老化組成物
JP6553790B1 (ja) * 2018-02-22 2019-07-31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コラーゲン産生促進用組成物
CN113631232A (zh) * 2019-03-29 2021-11-09 三得利控股株式会社 Ltbp-1表达促进用组合物以及具有ltbp-1表达促进作用的物质的筛选方法
JP6777794B1 (ja) * 2019-07-04 2020-10-28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コラーゲン産生促進用組成物
JP7467116B2 (ja) * 2019-12-27 2024-04-15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モッコウバラ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1372A (ja) 2000-09-29 2002-07-19 Suntory Ltd 植物色素化合物及びその利用
JP2011236147A (ja) 2010-05-10 2011-11-24 Nichirei Biosciences Inc ハイブリッド・ティー・ローズまたはその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2244B2 (ja) 1994-05-20 2004-05-31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ムコ多糖類断片化抑制剤、活性酸素消去剤および化粧料
JP3487739B2 (ja) 1997-08-19 2004-01-19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花粉症用の化粧料
JPH11323326A (ja) * 1998-02-06 1999-11-26 Nagaoka Koryo Kk 活性酸素消去剤、皮膚保全剤および変色防止剤
JP2001163794A (ja) * 1999-12-03 2001-06-19 Shiseido Co Ltd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JP4233734B2 (ja) 2000-07-19 2009-03-04 株式会社資生堂 美白用皮膚外用剤
JP5063842B2 (ja) * 2001-07-02 2012-10-31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ヒアルロニダーゼ活性阻害剤及び保湿化粧料
JP2004067552A (ja) 2002-08-05 2004-03-04 Naris Cosmetics Co Ltd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4269433A (ja) * 2003-03-10 2004-09-30 Rasheru Seiyaku Kk 化粧料組成物
JP2006036744A (ja) * 2004-07-26 2006-02-09 Nahotoshi Fujikawa 天然青色色素を有効成分とする皮膚機能賦活外用剤
BRPI1009803A8 (pt) * 2009-03-27 2017-02-14 Suntory Holdings Ltd Composto contido na rosa azul
FR2945943B1 (fr) * 2009-06-01 2015-04-03 Lvmh Rech Utilisation d'un extrait vegetal riche en polyphenols comme agent antioxydant en association avec un agent hydratant ou humectant
JP2011236156A (ja) * 2010-05-11 2011-11-24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コラ−ゲン産生促進剤
US20150231164A1 (en) * 2012-09-13 2015-08-20 Morishita Jintan Co., Ltd. Sirtuin gene potentiator, and pharmaceutical product, cosmetic product, and food product us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1372A (ja) 2000-09-29 2002-07-19 Suntory Ltd 植物色素化合物及びその利用
JP2011236147A (ja) 2010-05-10 2011-11-24 Nichirei Biosciences Inc ハイブリッド・ティー・ローズまたはその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262386A1 (en) 2016-12-15
JP6594300B2 (ja) 2019-10-23
SG10201808946TA (en) 2018-11-29
TW201625209A (zh) 2016-07-16
CN106456492A (zh) 2017-02-22
SG11201609636SA (en) 2016-12-29
WO2015178385A1 (ja) 2015-11-26
CN106456492B (zh) 2019-09-24
TWI667041B (zh) 2019-08-01
JP6905021B2 (ja) 2021-07-21
US10105313B2 (en) 2018-10-23
KR20170007812A (ko) 2017-01-20
JPWO2015178385A1 (ja) 2017-04-20
HK1231387A1 (zh) 2017-12-22
US20170079904A1 (en) 2017-03-23
MY187326A (en) 2021-09-22
CA2949465A1 (en) 2015-11-26
EP3146957A4 (en) 2017-11-15
JP2020007363A (ja) 2020-01-16
EP3146957A1 (en) 2017-03-29
RU2016149387A (ru)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200B1 (ko) 발효된 쌀 부산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용 복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6905021B2 (ja) バラ色素化合物の新規な用途
KR101040507B1 (ko) 천녀목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광노화 방지용 및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44275B1 (ko)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1390465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함유하는 작약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작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4115B1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4695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78498A (ko)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조성물
JP6348890B2 (ja) 分解抑制剤、抗老化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20120114540A (ko) 노화 방지, 주름 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5B1 (ko) 갯버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91387B1 (ko) 히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5596B1 (ko) 밀양20호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33787B1 (ko) 물고사리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성분에 대한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8125B1 (ko) 메타세콰이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80064848A (ko) 백수오 추출물 유래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20095649A (ko) 곤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91083B1 (ko) 백학영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116362A (ko) 상지추출물 및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20060115435A (ko) 예덕나무 추출물 및 코엔자임 q―10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6879A (ko) 실새풀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