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8498A -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8498A
KR20040078498A KR1020030013455A KR20030013455A KR20040078498A KR 20040078498 A KR20040078498 A KR 20040078498A KR 1020030013455 A KR1020030013455 A KR 1020030013455A KR 20030013455 A KR20030013455 A KR 20030013455A KR 20040078498 A KR20040078498 A KR 20040078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wellia
cosmetic composition
skin elasticity
extr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영
이근수
이정노
정지헌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30013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8498A/ko
Publication of KR20040078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4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효과 및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분해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상기 두 가지 활성의 상승적인 작용에 의하여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며, 천연 추출물의 사용으로 인하여 피부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Elasticity Comprising Boswellia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탄력은 진피층에 존재하는 엘라스틴으로 구성된 탄력 섬유에 의해 나타나는데, 이러한 탄력 섬유는 고무와 같이 매우 낮은 탄성 계수를 가지고 있어서 작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변형되며 그 힘이 제거되었을 때는 쉽게 원형으로 되돌아온다. 또한, 탄력 섬유는 엘라스틴이라는 무정형의 기질에 미원섬유들이 박혀 있는 형태를 띠고 있으며, 엘라스틴은 라이신에서 유래한 데스모신과 이소데스모신 이라는 탄력 섬유에서만 발견되는 아주 톡특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이다. 이러한 데스모신과 이소데스모신 등은 긴 펩타이드 사슬 안에서 가교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엘라스틴은 탄성을 갖게 된다.
또한, 엘라스틴으로 구성된 탄력 섬유는 콜라겐이라는 교원 섬유와 함께 존재하는데, 엘라스틴과 콜라겐이 충분히 존재하는 상태에서 피부 탄력의 유지가 가능하다.
한편, 피부 탄력 저하는 노화 및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 세포 (섬유아세포)의 약화로 인한 엘라스틴의 생성 저하 및 파괴에 의하여 유발된다. 자외선 등에 의해 피부 내에 엘라스타아제 (elastase)라는 엘라스틴 분해 효소가 발현되며 이 효소는 피부내의 정상적인 엘라스틴을 분해하여 피부 탄력 저하를 유발한다. 또한, 피부 탄력 저하는, 피부 진피의 70% 이상을 구성하는 콜라겐이라는 단백질의 손상 및 생성 저항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콜라겐 역시 자외선 등에 의해 유발되는 콜라게나아제 (collagenase)라는 분해 효소에 의해 분해된다.
이러한 분해 효소들은 염증 반응이 일어나는 과정에서도 분비되어 결합 조직의 손상을 유발한다. 즉,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하려는 일련의 방어 기작인데, 염증 발생시 백혈구에서 여러 프로테아제, 예컨대, 엘라스타아제, 콜라게나아제 등의 세린 프로테나아제를 분비하게 된다. 따라서 염증 반응이 진행되면 피부 탄력의 저하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여러 요인들에 의하여 유발되는 피부 탄력 저하를 방지하여 피부의 탄력을 유지 및 증진시키는 물질들은 다음과 같다. 레구미노사 종자 (Leguminosae Seeds)에서 얻어진 단백질 분획은 탄력 증대 효과를 나타내며 (미국특허 제 5,322,839호), 맥아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콜라게나아제의 억제에 응용되고 있고 (일본특허 제 5,105,693호), 콜라게나아제 또는 엘라스타아제의 억제제로 카르바민산 펩티드, 티오카르바민산 펩티드, 히드록사메이트, 세팔로스포린, 술폰산염 등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미국특허 제 5,614,489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물질들이 개시된 특허들은 모두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단순히 콜라게나아제 또는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한 것으로서 진피층에 한정되게 작용하여 그 기능의 극대화를 가져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 문헌 및 논문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 문헌 및 논문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우수한 피부 탄력 유지 및 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효과 이외에도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glycosaminoglycan)의 분해 억제 효과를 가지며, 상기 두 가지 활성의 상승적인 작용으로 인하여 매우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실시예,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도 1은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및
도 2는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분해 억제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스웰리아 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및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 분해 억제의 활성을 갖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탄력 유지 및 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하여 많은 물질을 스크리닝한 결과, 보스웰리아 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탄력 저하에 관계되는 효소인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며 또한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의 분해를 억제하는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어 상기 두 효과의 상승적인 작용으로 인하여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상기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 (glycosaminoglycan, GAG)은 피부 진피를 구성하는 엘라스틴과 콜라겐을 연결하는 지질의 구성 요소인 다당류로서, 상기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의 생합성은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이다. 이러한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의 분해로 인하여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므로, 상기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 자체 또는 그것의 분해를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물질은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에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보스웰리아 추출물은 상기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효과 이외에도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의 분해를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의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들이 단순히 엘라스타아제 또는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에만 의존하였던 것에 비하여, 이러한 추가적인 활성을 가짐으로써 월등히 우수한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보스웰리아 추출물"은 보스웰리아 (Boswellia) 속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효과 및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분해 억제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며, 상기 보스웰리아 추출물에는 활성 성분으로서 보스웰리산 (boswellic acid)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보스웰리산은 보스웰리아의 수지 (gum)에 함유된 활성 성분으로서, 가장 흔한 종류는 베타-보스웰리산이다. 예컨대, 보스웰리아 세라타 (Boswellia serata)에는 4가지 종류의 보스웰리산, 예컨대, 베타-보스웰리산, 아세틸-베타-보스웰리산, 아세틸-11-케토-베타-보스웰리산 및 11-케토-베타 보스웰리산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Pardhy, 1978), 그 외에도 알파-보스웰리산, 아세틸-알파-보스웰리산 등도 함유하고 있다 (Safayhi, 1992). 또한, 보스웰리산은 아라키돈산으로부터 류코트리엔을 생성시키는 효소인 5-리폭시게나아제에 대한 활성 억제 효과가 있어 비특이적 항산화 효과가 있으므로, 우솔릭산 등과 같은 전형적인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제보다 훨씬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보스웰리아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 용매, 예를 들어,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1,3-부틸렌글리콜, (h) 부틸 아세테이트를 추출 용매로 하여 보스웰리아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보스웰리아 추출물은 함수 저급 알코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 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보스웰리아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보스웰리아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스웰리아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얻는 과정에서 추출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추출기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추출 시 유효 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도 적합하다. 또한, 추출물의 건조는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실시될 수 있으며, 예컨대, 회전 감압 증발기 (rotato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 성분으로 포함되는 보스웰리아 속의 식물은 바람직하게는 보스웰리아 세라타 (Boswellia serata), 보스웰리아 프레레아나 (Boswellia frereana), 보스웰리아 카르테리 (Boswellia carterii)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보스웰리아 속 식물은 보스웰리아 세라타 (Boswellia serata)이다.
상기 보스웰리아 세라타는 아프리카, 남부 아라비아 또는 인도 등지에서 자생하며, 줄기에 상처를 내면 엷은 녹색을 띤 진액이 흘러나온다. 보스웰리아 세라타의 추출물은 전통적으로 피부 발진 및 궤양 등의 염증이나 천식, 기관지염 및 후두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에 사용되었고, 관절염 등에도 의학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보스웰리아 세라타는 보스웰리아 속의 식물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그 추출물은 보스웰리산을 다량 함유하여 매우 우수한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및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분해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서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01-15.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10.0 중량%이다. 만일, 상기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 탄력 증진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1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피부 탄력 증진 효과의 증가가 수반되지 않으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보스웰리아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미백용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재료
본 발명의 보스웰리산은 두산 바이오텍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보스웰리아 세라타 (Boswellia serrata)는 대한한약방에서 구입하여 추출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제조
보스웰리아 세라타 100 g을 세절하여 건조 중량에 대하여 95% 함수 알코올 100 ㎖을 가한 후 유효 성분의 증발 방지를 위한 냉각 콘덴서가 장착되어 있는 추출기에서 50-100℃로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이것을 여과하고 완전히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여 분말상의 추출물 7.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효과의 실험
완충용액으로는 0.2 M 트리스-염산 완충용액을 사용하고, 기질로는 트리스 완충용액에 8.8 mM로 녹인 Suc-Ala3-Na (Sigma)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적당한 농도로 조절하여 증류수에 용해시킨 것 100 ㎕에 상기 기질 20 ㎕ 및 완충용액 60㎕을 넣어 반응 용액을 만들었다. 상기 완충용액에 10 ㎍/㎖로 녹인 돼지 췌장 엘라스타아제 (Sigma) 20 ㎕를 상기 반응 용액에 넣은 후 25℃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41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율을 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용액을 사용하였다.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1 및 첨부된 도 1에 나타나 있다.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농도 (㎍/㎖) 저해율 (%)
0 0
0.5 20.4
1.0 39.1
1.5 47.8
3.0 62.3
6.0 68.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율은 증가하였으며,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6.0 10 ㎍/㎖의 경우는 저해율이 68.1%로 매우 높은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참조: 도 1). 따라서, 본 발명의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분해 억제 효과의 실험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분해 억제 효과의 실험은 상기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을 분해하는 효소인 글리코히드롤라아제 (glycohydrolase)에 속하는 β-N-아세틸헥소스아미니다아제 (Acetylhexosaminidase: Sigma) 및 β-글루쿠로니다아제 (glucuronidase: Sigma)의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완충용액으로는 0.1 M 소듐 아세데이트 (pH 5.0) 완충용액을 사용하고, 기질로는 각 효소에 대해 완충용액에 녹인 ρ-니트로페닐 β-N-아세틸글루코스암모나이드 (Sigma)와 ρ-니트로페닐 β-글루쿠로나이드 (Junsei chemicals, 일본국)를 사용하였다. 상기 기질은 반응 용액 내에서 최종 농도가 200 ㎍/㎖이 되도록 하였다. 적당한 농도로 조절하여 증류수에 용해한 보스웰리아 추출물과 기질 용액에 최종 농도가 200 ㎍/㎖이 되도록 효소를 넣어 500 ㎕의 반응 용액을 만들었다. 상기 반응액을 37℃에서 반응시키되, β-N-아세틸헥소스아미니다아제의 경우는 15분간, 그리고 β-글루쿠로니다아제의 경우에는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되면 0.2 M의 Na2CO32.0 ㎖을 첨가하고, 분광흡광계를 이용하여 40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 물질로 ρ-니트로페놀을 사용하여 표준 곡선을 작성하였다.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분해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2 및 첨부된 도 2에 나타나 있다.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농도 (㎍/㎖) 억제율 (%)
0 0
0.5 11.8
1.0 17.2
1.5 22.3
3.0 30.0
6.0 36.5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분해 저해도가 증가하였으며,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6.0 10 ㎍/㎖의 경우는 저해도가 68.1%로 매우 높은 분해 저해도를 나타내었다 (참조: 도 2). 따라서, 본 발명의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분해 저해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유연 화장수, 밀크 로션 및 영양 크림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제형예 1: 유연 화장수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제형예 1 및 비교예 1의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제형예 1 비교예 1
보스웰리아 추출물 10.0 -
초산 토코페롤 5.2 5.2
올레일 알코올 1.5 1.5
에탄올 3.2 3.2
벤조페논-9 2.0 2.0
카르복실비닐 폴리머 1.0 1.0
셀룰로오스검 3.5 3.5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100 100
제형예 2: 밀크 로션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제형예 2 및 비교예 2의 밀크 로션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제형예 2 비교예 2
보스웰리아 10.0 -
글리세린 5.1 5.1
프로필렌글리콜 4.2 4.2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3.0 3.0
유동파라핀 4.6 4.6
트리에탄올아민 1.0 1.0
스쿠알란 3.1 3.1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 2.5
폴리솔베이트 60 1.6 1.6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 1.6
프로필파라벤 0.6 0.6
카르복실비닐 폴리머 1.5 1.5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100 100
제형예 3: 영양 크림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제형예 3 및 비교예 3의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제형예 3 비교예 3
보스웰리아 추출물 10 -
글리세린 4.0 4.0
바셀린 3.5 3.5
트리에탄올아민 2.1 2.1
유동파라핀 5.3 5.3
스쿠알란 3.0 3.0
밀납 2.6 2.6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5.4 5.4
폴리솔베이트 60 3.2 3.2
카르복실비닐 폴리머 1.0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 3.1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100 100
실시예 4: 피부 주름 개선 효과의 실험
건강한 30세 이상의 여성 30명 (평균 연령 33.7세)을 2개의 그룹 (A 및 B 그룹)으로 나누고, A 그룹에는 제형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그리고 B 그룹에는 비교예 2의 조성물을 각각 주름이 있는 눈가를 중심으로 12주 동안 도포하고,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 및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를 통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평가 기준은 극히 심하게 악화된 것은 -3 및 매우 개선된 것은 3으로 하여 7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6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 및 표 7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에 나타나 있다.
피검자번호 피부 주름 개선 정도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
A 그룹 (제형예 2) B 그룹 (비교예 2)
처음 12주후 처음 12주후
1 0 3 0 2
2 0 2 0 2
3 0 3 0 1
4 0 3 0 2
5 0 3 0 1
6 0 2 0 1
7 0 3 0 3
8 0 2 0 2
9 0 2 0 2
10 0 3 0 3
11 0 3 0 1
12 0 3 0 2
13 0 3 0 2
14 0 3 0 3
15 0 2 0 1
평균 0 2.67 0 1.87
피검자번호 피부 주름 개선 정도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
A 그룹 (제형예 2) B 그룹 (비교예 2)
처음 12주후 처음 12주후
1 0 3 0 1
2 0 3 0 2
3 0 3 0 2
4 0 3 0 2
5 0 3 0 1
6 0 2 0 2
7 0 3 0 3
8 0 2 0 2
9 0 3 0 1
10 0 3 0 2
11 0 3 0 1
12 0 3 0 1
13 0 3 0 1
14 0 3 0 3
15 0 2 0 1
평균 0 2.8 0 1.67
상기 표 6 및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인 제형예 2의 경우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 및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가 각각 2.67 및 2.8로 비교예 2의 조성물 경우인 1.87, 1.67보다 주름 개선 효과가 월등히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을 매우 효과적으로 개선시킴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피부 탄력 증진 효과의 실험
건강한 여성 30명 (평균 연령 33.7세)을 대상으로, 22℃ 및 상대습도 45%의 항온 항습실에서 상기 제형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를 눈가에 일정량 (0.03 g/16 ㎠)을 12주 동안 도포하게 하였다. 이때, 피검자의 눈가의 왼쪽에는 상기 제형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오른쪽에는 비교예 2의 조성물을 도포하게 하였다. 그 후, 피부 탄력 측정기 (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독일국)를 이용하여 각 그룹의 피부 탄력을 측정하여 그 평균을 구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나 있다.
구 분 피부 탄력 개선도(%)
제형예 2 45
비교예 2 22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형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 2의 조성물에 비하여 피부 탄력 개선도가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증진시킴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은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효과 및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분해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상기 두 가지 활성의 상승적인 작용에 의하여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며, 천연 추출물의 사용으로 인하여 피부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다.

Claims (5)

  1. 보스웰리아 속의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및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 분해 억제의 활성을 갖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웰리아 속의 식물은 보스웰리아 세라타, 보스웰리아 프레레아나, 보스웰리아 카르테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웰리아 속의 식물은 보스웰리아 세라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30013455A 2003-03-04 2003-03-04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조성물 KR20040078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455A KR20040078498A (ko) 2003-03-04 2003-03-04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455A KR20040078498A (ko) 2003-03-04 2003-03-04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498A true KR20040078498A (ko) 2004-09-10

Family

ID=37363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455A KR20040078498A (ko) 2003-03-04 2003-03-04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8498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25861A2 (en) * 2004-11-16 2007-08-29 Otkrytoe Aktsionernoe Obschestvo Zavod Ekologicheskoy Tekhniki I Ekopitaniya 'Diod' Anti-inflammatory extract and ag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ITVR20080125A1 (it) * 2008-11-13 2010-05-14 Phytonature Sas Di Masini Dr Antoni O E C Nuova forma di preparazione ed utilizzo della boswellia serrata
KR101374093B1 (ko) * 2012-04-06 2014-03-13 (주)뷰티화장품 숯겔 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703617A (zh) * 2012-09-21 2015-06-10 阿波卡-阿格里科拉共同股份公司 新的香料提取物级分及其用途
WO2016191154A1 (en) * 2015-05-27 2016-12-01 Keprea, Llc Cosmeceutical
KR20170136801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33140B1 (ko) * 2020-11-18 2021-03-26 경호빈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0845A (ko) *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아이코맥스 산양유, 햄프씨드오일, 마누카오일, 달맞이오일 및 보스웰리아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67053A (ko) *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알씨케이 미백 및 주름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16234554A (zh) * 2020-11-18 2023-06-06 威诺药妆私人有限公司 用于敏感皮肤的皮肤微生物组正常化的方法和组合物
KR102564080B1 (ko) * 2023-05-15 2023-08-04 조봉상 안티에이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25861A2 (en) * 2004-11-16 2007-08-29 Otkrytoe Aktsionernoe Obschestvo Zavod Ekologicheskoy Tekhniki I Ekopitaniya 'Diod' Anti-inflammatory extract and ag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2008520659A (ja) * 2004-11-16 2008-06-19 オクトリウイトイエ アクチオネルノイエ オブチェストーヴォ ザヴォート エコロギシェスコイ テクニーキ イー エコピタニーヤ ”ディオド” 抗炎症性エクストラクトおよび薬剤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EP1825861A4 (en) * 2004-11-16 2008-07-02 Otkrytoe Aktsionernoe Obschest EXTRACT AND PRODUCT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092845B2 (en) 2004-11-16 2012-01-10 Otkrytoe Aktsionernoe Obschestvo Zavod Ekologicheskoy Tekhniki I Ekopitaniya “Diod” Anti-inflammatory extract and ag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ITVR20080125A1 (it) * 2008-11-13 2010-05-14 Phytonature Sas Di Masini Dr Antoni O E C Nuova forma di preparazione ed utilizzo della boswellia serrata
KR101374093B1 (ko) * 2012-04-06 2014-03-13 (주)뷰티화장품 숯겔 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703617A (zh) * 2012-09-21 2015-06-10 阿波卡-阿格里科拉共同股份公司 新的香料提取物级分及其用途
WO2016191154A1 (en) * 2015-05-27 2016-12-01 Keprea, Llc Cosmeceutical
KR20170136801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10140845A (ko) *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아이코맥스 산양유, 햄프씨드오일, 마누카오일, 달맞이오일 및 보스웰리아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33140B1 (ko) * 2020-11-18 2021-03-26 경호빈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6234554A (zh) * 2020-11-18 2023-06-06 威诺药妆私人有限公司 用于敏感皮肤的皮肤微生物组正常化的方法和组合物
KR20230067053A (ko) *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알씨케이 미백 및 주름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4080B1 (ko) * 2023-05-15 2023-08-04 조봉상 안티에이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507B1 (ko) 천녀목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광노화 방지용 및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44275B1 (ko)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20080079945A (ko) 편백 추출물, 해송 추출물 및 백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활력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12133B1 (ko) 장미 색소 화합물의 신규 용도
KR20040078498A (ko)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조성물
KR20090025497A (ko) 타히보 추출물을 함유하며 항염증 및 피부자극완화 효능을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52245B1 (ko) 예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816261B1 (ko) 천녀목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0954695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87783B1 (ko)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5172A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8476A (ko) 짝자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13902B1 (ko) 장뇌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10806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523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111025A (ko) 녹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96279A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28125B1 (ko) 메타세콰이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91387B1 (ko) 히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33787B1 (ko) 물고사리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성분에 대한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5091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