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944B1 - 적층 세라믹 콘덴서 - Google Patents

적층 세라믹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944B1
KR102307944B1 KR1020170027604A KR20170027604A KR102307944B1 KR 102307944 B1 KR102307944 B1 KR 102307944B1 KR 1020170027604 A KR1020170027604 A KR 1020170027604A KR 20170027604 A KR20170027604 A KR 20170027604A KR 102307944 B1 KR102307944 B1 KR 102307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dielectric layer
dielectric
elements
multilayer ce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4186A (ko
Inventor
다이스께 사까떼
사다노리 시모다
후미 다니구찌
미노루 류
Original Assignee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4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H01G4/1218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H01G4/1227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alkaline earth tita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48Terminals the terminals embracing or surrounding the capacitive element, e.g. c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H01G4/1218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0Metal-oxide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46Alloys based on magnesium or aluminium
    • H01M4/463Aluminium ba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46Alloys based on magnesium or aluminium
    • H01M4/466Magnesium b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용량부의 각 유전체층에 포함되는 망간 원소의 함유량이 각 유전체 커버부에 포함되는 망간 원소의 함유량보다도 적은 경우라도, 절연 저항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제공한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는 복수의 내부 전극층(11a1)이 유전체층(11a2)을 개재하여 적층된 용량부(11a)와, 용량부(11a)의 적층 방향 양측 각각을 덮는 유전체 커버부(11b)를 갖는 콘덴서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과 각 유전체 커버부(11b)는 망간 원소를 포함하고 있고, 망간 원소는, 각 유전체 커버부(11b)의 외면으로부터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을 향하는 깊이 방향에 있어서 원소수가 서서히 감소하는 분포를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적층 세라믹 콘덴서{MULTILAYER CERAMIC CAPACITOR}
본 발명은 복수의 내부 전극층이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용량부와, 용량부의 적층 방향 양측 각각을 덮는 유전체 커버부를 갖는 콘덴서 본체를 구비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일반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콘덴서 본체와, 콘덴서 본체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 각각에 형성된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콘덴서 본체는, 복수의 내부 전극층이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용량부와, 용량부의 적층 방향 양측 각각을 덮는 유전체 커버부를 갖고 있고, 복수의 내부 전극층의 단연은 각 외부 전극에 교대로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수명(고온 부하 수명)을 개선하기 위해, 콘덴서 본체의 용량부의 각 유전체층과 각 유전체 커버부에 망간 원소를 포함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 그런데, 용량부의 각 유전체층에 망간 원소를 포함시키면 각 유전체층의 비유전율이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에, 용량부의 각 유전체층에 포함되는 망간 원소의 함유량을 각 유전체 커버부에 포함되는 망간 원소의 함유량보다도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용량부의 각 유전체층에 포함되는 망간 원소의 함유량을 각 유전체 커버부에 포함되는 망간 원소의 함유량보다도 적게 하면, 콘덴서 본체를 얻기 위한 소성 공정에서 발생하는 수축률의 상이 등을 원인으로 하여, 용량부와 각 유전체 커버부의 경계 부분에 크랙이나 박리가 발생하여,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절연 저항의 저하를 초래하는 등의 다른 우려가 발생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97492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용량부의 각 유전체층에 포함되는 망간 원소의 함유량이 각 유전체 커버부에 포함되는 망간 원소의 함유량보다도 적은 경우라도, 절연 저항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복수의 내부 전극층이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용량부와, 용량부의 적층 방향 양측 각각을 덮는 유전체 커버부를 갖는 콘덴서 본체를 구비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로서, 상기 용량부의 각 유전체층과 상기 각 유전체 커버부는 망간 원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망간 원소는, 상기 각 유전체 커버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용량부의 각 유전체층을 향하는 깊이 방향에 있어서 원소수가 서서히 감소하는 분포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의하면, 용량부의 각 유전체층에 포함되는 망간 원소의 함유량이 각 유전체 커버부에 포함되는 망간 원소의 함유량보다도 적은 경우라도, 절연 저항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평면도, 도 1의 (B)는 도 1의 (A)의 S1-S1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의 (C)는 도 1의 (A)의 S2-S2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2는 실시품과 비교품을 제조할 때에 사용한, 각 유전체 커버부용의 슬러리 조성과, 용량부의 각 유전체층의 슬러리 조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의 (A)는 실시품에 있어서의 망간 원소의 원소수의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의 (B)는 실시품에 있어서의 알루미늄 원소의 원소수의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A)와 도 4의 (B) 각각은, 도 1에 도시한 제1 외부 전극 및 제2 외부 전극의 다른 형상예를 도시하는 도면.
우선, 도 1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의 (A)의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 도 1의 (A)의 상하 방향을 폭 방향, 도 1의 (B)의 상하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표기함과 함께, 각 방향을 따르는 치수를 길이, 폭, 높이로 표기한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콘덴서 본체(11)와, 콘덴서 본체(11)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형성된 제1 외부 전극(12)과, 콘덴서 본체(11)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형성된 제2 외부 전극(13)을 구비하고 있다.
콘덴서 본체(11)는 복수의 내부 전극층(11a1)이 유전체층(11a2)을 개재하여 적층된 용량부(11a)와, 용량부(11a)의 높이 방향 양측 각각을 덮는 유전체 커버부(11b)를 갖고 있다. 복수의 내부 전극층(11a1)은 대략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 윤곽과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고, 이들 단연은 제1 외부 전극(12)과 제2 외부 전극(13)에 교대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합계 12개의 내부 전극층(11a1)을 도시하고 있지만, 내부 전극층(11a1)의 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콘덴서 본체(11)의 내부 전극층(11a1)을 제외한 부분, 즉,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의 주성분과 각 유전체 커버부(11b)의 주성분은, 티타늄산바륨, 티타늄산스트론튬, 티타늄산칼슘, 티타늄산마그네슘, 지르콘산칼슘, 티타늄산지르콘산칼슘, 지르콘산바륨, 산화티타늄 등의 유전체 재료(유전체 세라믹 재료)이다. 용량부(11a)의 각 내부 전극층(11a1)의 주성분은, 니켈, 구리, 팔라듐, 백금, 은, 금, 이들의 합금 등의 금속 재료이다. 또한, 제1 외부 전극(12)과 제2 외부 전극(13) 각각의 주성분은, 니켈, 구리, 팔라듐, 백금, 은, 금, 이들의 합금 등의 금속 재료이다.
또한,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과 각 유전체 커버부(11b)는 망간 원소를 포함하고 있고, 이 망간 원소는, 각 유전체 커버부(11b)의 외면으로부터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을 향하는 깊이 방향(도 1의 (C)를 참조)에 있어서 원소수가 서서히 감소하는 분포를 형성하고 있다(도 3의 (A)를 참조).
또한, 각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은 알루미늄 원소를 포함하고 있고, 이 알루미늄 원소는, 각 유전체 커버부(11b)의 외면으로부터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을 향하는 깊이 방향(도 1의 (C)를 참조)에 있어서 원소수가 서서히 증가하는 분포를 형성하고 있다(도 3의 (B)를 참조).
다음에, 도 2를 사용하여,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의 주성분과 각 유전체 커버부(11b)의 주성분이 티타늄산바륨이고, 각 내부 전극층(11a1)의 주성분이 니켈이고, 제1 외부 전극(12)과 제2 외부 전극(13) 각각의 주성분이 니켈인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구체 구성을 그 제조 방법 등을 섞어 설명한다. 또한, 이 설명 중의 「실시품」은 상기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 대응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가리키고, 「비교품」은 상기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 대응하지 않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가리킨다.
실시품과 비교품의 사이즈는 길이 600㎛, 폭 300㎛, 높이 300㎛이고, 각각의 내부 전극층(11a1)의 두께는 1㎛이며 총수가 100, 유전체층(11a2)의 두께는 1㎛, 각 유전체 커버부(11b)의 두께는 50㎛이다. 또한, 각 유전체층(11a2)의 주성분과 각 유전체 커버부(11b)의 주성분은 티타늄산바륨, 각 내부 전극층(11a1)의 주성분이 니켈, 제1 외부 전극(12)과 제2 외부 전극(13) 각각의 주성분이 니켈이다.
실시품의 제조 시에는, 우선, 티타늄산바륨 분말과, 유기 용제와, 유기 바인더와, 필요에 따라서 분산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한 유전체층용 세라믹 슬러리와 유전체 커버부용 세라믹 슬러리를 준비한다.
유전체층용 세라믹 슬러리는, 도 2의 실시품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티타늄산바륨(BaTiO3) 100mol에 대해, 망간 원소(Mn)를 산화망간(II)(MgO) 환산으로 0.5mol, 알루미늄 원소(Al)를 산화알루미늄(Al2O3) 환산으로 0.01mol, 홀뮴 원소(Ho)를 산화홀뮴(Ho2O3) 환산으로 0.5mol, 규소 원소(Si)를 이산화규소(SiO2) 환산으로 1.0mol 함유하고 있다.
한편, 유전체 커버부용 세라믹 슬러리는, 도 3의 실시품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티타늄산바륨(BaTiO3) 100mol에 대해, 망간 원소(Mn)를 산화망간(II)(MgO) 환산으로 1.0mol, 홀뮴 원소(Ho)를 산화홀뮴(Ho2O3) 환산으로 0.5mol, 규소 원소(Si)를 이산화규소(SiO2) 환산으로 1.0mol 함유하고 있다. 즉, 유전체 커버부용 세라믹 슬러리는, 유전체층용 세라믹 슬러리와 비교하여, 알루미늄 원소(Al)를 포함하고 있지 않고, 망간 원소(Mn)의 함유량이 많다.
또한, 내부 전극층 페이스트로서, 니켈 분말과, 유기 용제와, 유기 바인더와, 필요에 따라서 분산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한 페이스트를 준비한다. 또한, 외부 전극 페이스트로서, 니켈 분말과, 유기 용제와, 유기 바인더와, 필요에 따라서 분산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한 페이스트를 준비한다.
계속해서, 캐리어 필름의 표면에 유전체층용 세라믹 슬러리를 도공하여 건조함으로써, 제1 시트를 제작한다. 또한, 이 제1 시트의 표면에 내부 전극층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건조함으로써, 내부 전극층 패턴군이 형성된 제2 시트를 제작한다. 또한, 캐리어 필름의 표면에 유전체 커버부용 세라믹 슬러리를 도공하여 건조함으로써, 제3 시트를 제작한다.
계속해서, 제3 시트로부터 취출한 단위 시트를 소정 매수에 도달할 때까지 적층하여 열압착하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한쪽의 유전체 커버부(11b)에 대응한 부위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제2 시트로부터 취출한 단위 시트(내부 전극층 패턴군을 포함함)를 소정 매수에 도달할 때까지 적층하여 열압착하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용량부(11a)에 대응한 부위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제3 시트로부터 취출한 단위 시트를 소정 매수에 도달할 때까지 적층하여 열압착하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다른 쪽의 유전체 커버부(11b)에 대응한 부위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적층된 전체를 본 열압착함으로써, 미소성 적층 시트를 제작한다.
계속해서, 미소성 적층 시트를 격자 형상으로 절단함으로써, 콘덴서 본체(11)에 대응한 미소성 콘덴서 본체를 제작한다. 계속해서, 딥이나 롤러 도포 등의 방법에 의해, 미소성 콘덴서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단부 각각에 외부 전극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미소성 외부 전극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미소성 외부 전극을 갖는 미소성 콘덴서 본체를 소성로에 투입하고, 환원 분위기 하에서, 또한, 티타늄산바륨과 니켈에 따른 온도 프로파일에 의해 복수개 일괄로 소성(탈바인더 처리와 소성 처리를 포함함)을 행한다.
또한, 비교품이 실시품과 상이한 점은, 제조 시에 사용하는 유전체층용 세라믹 슬러리의 조성에 있다. 즉, 도 2의 비교품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품을 제조할 때에 사용한 유전체층용 세라믹 슬러리는, 실시품을 제조할 때에 사용한 유전체층용 세라믹 슬러리와 비교하여, 알루미늄 원소(Al)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덧붙여서 말하면, 비교품을 제조할 때에 사용한 유전체 커버부용 세라믹 슬러리의 조성은, 실시품을 제조할 때에 사용한 유전체 커버부용 세라믹 슬러리의 조성과 동일하다. 또한, 비교품의 제법 방법은, 전술한 실시품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다.
다음에, 도 3의 (A)에 도시한 망간 원소의 원소수의 분포와 도 3의 (B)에 도시한 알루미늄 원소의 원소수의 분포를 각각 그리기 위해 실시한 데이터 수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수집에는, 레이저 어블레이션 장치(NWR213, ESI사제)와, 질량 분석 장치(7900ICP-MS, 아질런트 테크놀로지사제)를 사용하였다.
데이터 수집 시에는, 레이저 어블레이션 장치로부터, 실시품의 도 1의 (C) 대응의 단면에 있어서의 피측정 개소를 향하여, 조사 에너지 14J/㎠, 주파수 10㎐의 레이저광을 조사 시간 30sec로 스폿 조사한다. 그리고, 스폿 조사에 의해 발생한 에어로졸을, 헬륨 가스에 의해 질량 분석 장치의 유도 결합 플라즈마실로 보낸다.
계속해서, 질량 분석 장치에 있어서, 유도 결합 플라즈마실에 도입된 에어로졸을 RF 파워 1550W로 플라즈마 여기하여 플러스 이온으로 한다. 그리고, 플러스 이온, 특히 측정하고 싶은 질량 전하비의 원소 이온을 사중극형 질량 분석계에 보낸다. 그리고, 사중극형 질량 분석계에 있어서, 시간 분석을 행하여, 보내어진 원소수를 상대적으로 카운트한다.
계속해서, 상기의 측정 수순을 실시품의 도 1의 (C) 대응의 단면에 있어서의 다른 피측정 개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행하고, 구체적으로는 실시품의 각 유전체 커버부(11b)의 외면으로부터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을 향하는 깊이 방향(도 1의 (C)를 참조)을 따라서 순서대로 행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도 3의 (A)에서는 종축을 「Mn 원소수/Ti 원소수」로 하고 있지만, 티타늄 원소수는 각 유전체 커버부(11b)와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에서 동일하므로(도 2의 실시품란을 참조), 이 도 3의 (A)로부터는, 망간 원소가, 각 유전체 커버부(11b)의 외면으로부터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을 향하는 깊이 방향에 있어서 원소수가 서서히 감소하는 분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에서는 종축을 「Al 원소수/Ti 원소수」로 하고 있지만, 상기와 마찬가지로, 티타늄 원소수는 각 유전체 커버부(11b)와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에서 동일하므로(도 2의 실시품란을 참조), 이 도 3의 (B)로부터는, 알루미늄 원소가, 각 유전체 커버부(11b)의 외면으로부터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을 향하는 깊이 방향에 있어서 원소수가 서서히 증가하는 분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에 있어서, 각 유전체 커버부(11b)의 일부에 알루미늄 원소가 존재하는 이유는 확산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에, 상기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 의해 절연 저항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검증 방법 및 그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검증 시에는, 전술한 실시품 100개와 비교품 100개에 대하여 습중 부하 시험을 실시함으로써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온도 85℃이며 습도 85%의 분위기에 있어서 직류 전압 10V를 인가하고, 인가 시간이 100시간을 경과한 후에, 절연 저항이 1㏁에 도달한 개수를 확인함으로써 행하였다.
확인 결과는, 실시품 100개 중에서 절연 저항이 1㏁에 도달한 개수는 0개이고, 비교품 100개 중에서 절연 저항이 1㏁에 도달한 개수는 10개이었다. 즉, 상기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 대응하는 실시품에 대해서는, 상기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 대응하지 않는 비교품과 비교하여, 절연 저항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바꾸어 말하면, 실시품에 있어서는, 절연 저항의 저하를 초래하는 크랙이나 박리가 콘덴서 본체(11)의 내부, 특히 용량부(11a)와 각 유전체 커버부(11b)의 경계 부분에 존재하기 어려운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다음에,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한 원소수의 분포와, 전술한 검증 결과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는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과 각 유전체 커버부(11b)가 망간 원소를 포함하고 있지만, 이 망간 원소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유전체 커버부(11b)의 외면으로부터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을 향하는 깊이 방향(도 1의 (C)를 참조)에 있어서 원소수가 서서히 감소하는 분포를 형성하고 있다. 즉, 망간 원소가 이와 같은 원소수의 분포를 형성하기 때문에, 절연 저항의 저하를 초래하는 크랙이나 박리가 콘덴서 본체(11)의 내부, 특히 용량부(11a)와 각 유전체 커버부(11b)의 경계 부분에 존재하기 어렵다고 추측된다. 따라서,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망간 원소의 원소수의 분포를 채용하면,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에 포함되는 망간 원소의 함유량을 각 유전체 커버부(11b)에 포함되는 망간 원소의 함유량보다도 낮게 한 경우라도, 상기의 크랙이나 박리의 발생에 기인하는 상기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절연 저항의 저하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는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이 알루미늄 원소를 포함하고 있고, 이 알루미늄 원소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유전체 커버부(11b)의 외면으로부터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을 향하는 깊이 방향(도 1의 (C)를 참조)에 있어서 원소수가 서서히 증가하는 분포를 형성하고 있다. 즉, 알루미늄 원소가 이와 같은 원소수의 분포를 형성하기 때문에, 각 유전체 커버부(11b)에 포함되어 있는 망간 원소가 용량부(11a)의 각 유전체층(11a2)으로 확산되는 것이 억제되고, 이에 의해 망간 원소가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소수의 분포를 형성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추측된다. 따라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알루미늄 원소의 원소수의 분포를 채용하면,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망간 원소의 원소수의 분포를 보다 적확하게 형성하여, 상기의 크랙이나 박리의 발생에 기인하는 상기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절연 저항의 저하를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도 1에 도시한 제1 외부 전극(12)과 제2 외부 전극(13) 각각의 형상은, 도 4의 (A)에 도시한 형상이어도 된다. 즉, 도 4의 (A)에 도시한 제1 외부 전극(12-1)은, 콘덴서 본체(11)의 길이 방향 일단면을 덮는 부분과, 콘덴서 본체(11)의 높이 방향 양면의 일부를 덮는 부분을 연속하여 갖고 있고, 제2 외부 전극(13-1)은, 콘덴서 본체(11)의 길이 방향 타단면을 덮는 부분과, 콘덴서 본체(11)의 높이 방향 양면의 일부를 덮는 부분을 연속하여 갖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제1 외부 전극(12)과 제2 외부 전극(13) 각각의 형상은, 도 4의 (B)에 도시한 형상이어도 된다. 즉, 도 4의 (B)에 도시한 제1 외부 전극(12-2)은, 콘덴서 본체(11)의 길이 방향 일단면을 덮는 부분과, 콘덴서 본체(11)의 높이 방향 일면의 일부를 덮는 부분을 연속하여 갖고 있고, 제2 외부 전극(13-2)은, 콘덴서 본체(11)의 길이 방향 타단면을 덮는 부분과, 콘덴서 본체(11)의 높이 방향 일면의 일부를 덮는 부분을 연속하여 갖고 있다. 즉, 도 4의 (A)에 도시한 외부 전극 형상이라도, 도 4의 (B)에 도시한 외부 전극 형상이라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제1 외부 전극(12)과 제2 외부 전극(13) 각각의 층 구조는, 도 4에 도시한 제1 외부 전극(12-1)과 제2 외부 전극(13-1), 및, 제1 외부 전극(12-2)과 제2 외부 전극(13-2)을 포함하고, 반드시 단층 구조일 필요는 없다. 즉, 제1 외부 전극과 제2 외부 전극 각각의 표면에 도금막 등의 다른 금속막을 1층 이상 형성한 다층 구조로 해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을 사용한 설명에서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길이, 폭 및 높이의 관계나 이들 치수값을 명시하고 있지 않지만, 길이, 폭 및 높이의 관계는 길이>폭=높이 외에, 길이>폭>높이나, 길이>높이>폭이나, 폭>길이=높이나, 폭>길이>높이나, 폭>높이>길이이어도 되고, 길이, 폭 및 높이의 치수값에도 특별한 제한은 없다. 즉, 적층 세라믹 콘덴서 길이, 폭 및 높이의 관계나 이들 치수값이 어떠한 경우라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 : 적층 세라믹 콘덴서
11 : 콘덴서 본체
11a : 용량부
11a1 : 내부 전극층
11a2 : 유전체층
11b : 유전체 커버부
12, 12-1, 12-2 : 제1 외부 전극
13, 13-1, 13-2 : 제2 외부 전극

Claims (4)

  1. 복수의 내부 전극층이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용량부와, 용량부의 적층 방향 양측 각각을 덮는 유전체 커버부를 갖는 콘덴서 본체를 구비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로서,
    상기 용량부의 각 유전체층과 상기 각 유전체 커버부는 망간 원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망간 원소는, 상기 각 유전체 커버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용량부의 각 유전체층을 향하는 깊이 방향에 있어서 원소수가 감소하는 분포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용량부의 각 유전체층은 알루미늄 원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알루미늄 원소는, 상기 각 유전체 커버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용량부의 각 유전체층을 향하는 깊이 방향에 있어서 원소수가 증가하는 분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2. 복수의 내부 전극층이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용량부와, 용량부의 적층 방향 양측 각각을 덮는 유전체 커버부를 갖는 콘덴서 본체를 구비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로서,
    상기 용량부의 각 유전체층과 상기 각 유전체 커버부는 티타늄 원소와 망간 원소를 포함하고 있고, 망간 원소수/티타늄 원소수로 나타내어지는 상기 망간 원소의 원소수와 상기 티타늄 원소의 원소수의 비는, 상기 각 유전체 커버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용량부의 각 유전체층을 향하는 깊이 방향에 있어서 감소하는 분포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용량부의 각 유전체층은 알루미늄 원소를 포함하고 있고, 알루미늄 원소수/티타늄 원소수로 나타내어지는 상기 알루미늄 원소의 원소수와 상기 티타늄 원소의 원소수의 비는, 상기 각 유전체 커버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용량부의 각 유전체층을 향하는 깊이 방향에 있어서 증가하는 분포를 형성하고 있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27604A 2016-05-26 2017-03-03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102307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5366A JP6571590B2 (ja) 2016-05-26 2016-05-26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JP-P-2016-105366 2016-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186A KR20170134186A (ko) 2017-12-06
KR102307944B1 true KR102307944B1 (ko) 2021-10-01

Family

ID=6042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604A KR102307944B1 (ko) 2016-05-26 2017-03-03 적층 세라믹 콘덴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42800B2 (ko)
JP (1) JP6571590B2 (ko)
KR (1) KR102307944B1 (ko)
CN (1) CN1074374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7985B2 (ja) * 2018-02-21 2022-12-28 太陽誘電株式会社 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41472B2 (ja) * 2018-06-01 2023-03-17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21704B2 (ja) * 2019-01-18 2023-02-14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7274372B2 (ja) * 2019-07-11 2023-05-16 太陽誘電株式会社 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116137A (ko) * 2019-07-17 2019-10-14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JP2021150300A (ja) * 2020-03-16 2021-09-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21150301A (ja) * 2020-03-16 2021-09-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21166219A (ja) * 2020-04-06 2021-10-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および半導体装置
KR20220092246A (ko) * 2020-12-24 2022-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전자 부품
CN117859186A (zh) * 2021-09-28 2024-04-09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层叠陶瓷电容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0721A1 (en) * 2001-10-25 2004-05-13 Atsuo Nagai Laminate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nic component
JP2006135138A (ja) * 2004-11-08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WO2014119564A1 (ja) 2013-01-29 2014-08-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7922A (en) * 1981-05-13 1982-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eat resistant impact type laminated chip condenser
KR940009872B1 (ko) * 1988-03-26 1994-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성 BaTiO₃의 제조방법
JP4295179B2 (ja) * 2004-08-31 2009-07-15 Tdk株式会社 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040798A (ja) * 2008-08-06 2010-02-18 Murata Mfg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5315856B2 (ja) * 2008-08-21 2013-10-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WO2013121928A1 (ja) * 2012-02-13 2013-08-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複合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2013197492A (ja) 2012-03-22 2013-09-30 Kyocera Corp 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5835150B2 (ja) * 2012-08-09 2015-12-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5462962B1 (ja) * 2013-01-31 2014-04-02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WO2014148133A1 (ja) * 2013-03-19 2014-09-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101674583B1 (ko) * 2013-03-19 2016-11-09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적층 세라믹 콘덴서
DE112014003196T5 (de) * 2013-07-09 2016-03-2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ehrschicht-Keramikkondensator
KR101836194B1 (ko) * 2013-09-18 2018-03-08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JP6287882B2 (ja) * 2014-03-27 2018-03-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6374237B2 (ja) * 2014-07-01 2018-08-15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US8971017B1 (en) * 2014-10-30 2015-03-0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0721A1 (en) * 2001-10-25 2004-05-13 Atsuo Nagai Laminate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nic component
JP2006135138A (ja) * 2004-11-08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WO2014119564A1 (ja) 2013-01-29 2014-08-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37465A (zh) 2017-12-05
US20170345567A1 (en) 2017-11-30
JP2017212366A (ja) 2017-11-30
US10242800B2 (en) 2019-03-26
KR20170134186A (ko) 2017-12-06
CN107437465B (zh) 2020-11-24
JP6571590B2 (ja)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7944B1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JP6812477B2 (ja) 積層セラミックキャパシタ、積層セラミック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及び積層セラミックキャパシタの実装基板
JP5632046B2 (ja) 積層セラミック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10147547B2 (en)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711696B2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US9030801B2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89694B1 (ko)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KR101570459B1 (ko) 세라믹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및 세라믹 전자부품
KR101197921B1 (ko)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JP5271377B2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101832490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KR102640896B1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JP2014204113A (ja) 積層セラミック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56083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US9552927B2 (en)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KR101697950B1 (ko) 적층형 세라믹 전자 부품
JP5655036B2 (ja) 誘電体セラミックス、誘電体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WO2013145423A1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568822A (zh) 多层陶瓷电容器及其制造方法
KR20210001952A (ko) 적층형 전자부품 및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US9570234B2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JP6610086B2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6940398B2 (ja) コンデンサ
KR101556859B1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JP4483799B2 (ja) 積層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