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259B1 - 제진벽 - Google Patents

제진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259B1
KR102305259B1 KR1020207000114A KR20207000114A KR102305259B1 KR 102305259 B1 KR102305259 B1 KR 102305259B1 KR 1020207000114 A KR1020207000114 A KR 1020207000114A KR 20207000114 A KR20207000114 A KR 20207000114A KR 102305259 B1 KR102305259 B1 KR 102305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s
pair
splice
gus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4407A (ko
Inventor
가즈히코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4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제진벽(1)은, 한 쌍의 협폭 측벽판(4 및 5), 한 쌍의 광폭 측벽판(6 및 7) 및 한 쌍의 협폭 측벽판(4 및 5)과 한 쌍의 광폭 측벽판(6 및 7)에 용접에 의해 고착된 바닥벽판(8)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바닥벽판(8) 및 상기 바닥벽판(8)보다 하방에 위치한 한 쌍의 협폭 측벽판(4 및 5)의 하부(9 및 10)에서 하부 지지 수단(2)에 하부 고정 수단(11)을 개재하여 고정된 상자체(12)와, 상자체(12) 내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부 지지 수단(3)에 상부 고정 수단(15)을 개재하여 고정된 저항판(16)과, 상자체(12) 내의 간극(14)에 충전된 점성체(17)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제진벽
본 발명은, 사무소용의 빌딩, 집합주택, 단독주택 등의 건물에 가해지는 지진이나 바람, 교통 진동 등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제진벽에 관한 것이다.
상부에 개구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하부에서 하부 빔에 고정되는 상자체와, 이 상자체에 대해 간극을 가지고 상기 상자체 내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부에서 상부 빔에 고정되는 저항판과, 상기 간극에 충전된 점성체를 구비하고, 지진이나 바람, 교통 진동 등의 진동시에, 하부 빔에 대한 상부 빔의 상대적 수평 변위에 기초한 상자체와 저항판 사이의 마찬가지로 상대적 수평 변위에서 상자체 내에 수용된 점성체에 점성 전단 변형을 발생시켜, 이 점성 전단 변형에 의한 감쇠력에 의해 지진이나 바람, 교통 진동 등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제진벽은, 종래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0-73607호 공보
이러한 제진벽에서는, 상자체 및 저항판을 각각 하부 빔 및 상부 빔 각각에 고정하고 있는데, 지진 등에 기인하는 하부 빔 및 상부 빔을 개재하는 상자체와 저항판 사이의 상대적 수평 변위에 있어서는, 저항판에는 큰 수평력과 굽힘 모멘트가 가해지고, 이 수평력과 굽힘 모멘트에 기초한 전단력과 인장력에 견딜 수 있기 위해, 통상 다수의 볼트와 고정용 강판을 이용하여 하부 빔 및 상부 빔 각각에 상자체 및 저항판 각각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제진벽에서는, 상자체와 하부 거더를 연결하는 연결 기구에 있어서 굽힘 모멘트에 의한 우력(偶力)이 가장 가해지는 상자체의 측단의 부위에는, 상자체에 대해 별도의 몸체가 되는 별도 부재가 이용되고 있는 결과, 저항판에 가해지는 큰 굽힘 모멘트에 대한 상자체의 측단의 부위에서의 연결 기구에서의 인장 내력에는 한계가 있고,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큰 굽힘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이 예측되는 제진벽에의 적용에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저항판에서의 큰 굽힘 모멘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인장력에 대해 충분한 내력을 가지고 하부 거더 등의 하부 지지 수단에 상자체의 측단의 부위가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덧붙여, 제조에 있어서는, 초음파 탐상 시험 등의 비파괴 검사를 생략할 수 있어, 조립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는 제진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진벽은, 건물벽에서의 하부 지지 수단 및 상부 지지 수단과, 한 쌍의 협폭 측벽판, 한 쌍의 협폭 측벽판보다 폭이 넓은 한 쌍의 광폭 측벽판 및 바닥벽판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바닥벽판 및 상기 바닥벽판보다 하방에 위치한 한 쌍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에서 하부 지지 수단에 하부 고정 수단을 개재하여 고정된 상자체와, 이 상자체에 대해 간극을 가지고 상기 상자체 내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부 지지 수단에 상부 고정 수단을 개재하여 고정된 저항판과, 상기 간극에 충전된 점성체를 구비하고 있고, 하부 고정 수단은, 상자체의 바닥벽판의 하면 및 한 쌍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의 측면에 고착된 제1 거싯 플레이트와, 이 제1 거싯 플레이트에 대해 동일 연직면 내에 배치됨과 아울러 하부 지지 수단에 고착된 제2 거싯 플레이트와, 제1 및 제2 거싯 플레이트 각각에 대면하여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와, 이 적어도 한 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제1 및 제2 거싯 플레이트 각각에 함께 조이는 볼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진벽에 의하면, 하부 고정 수단의 제1 거싯 플레이트가 상자체의 바닥벽판의 하면 및 상기 바닥벽판보다 하방에 위치한 한 쌍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의 측면에 각각 고착되어 있는 한편, 적어도 한 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가 볼트에 의해 제1 및 제2 거싯 플레이트 각각에 함께 조여져 있기 때문에, 저항판에서의 큰 굽힘 모멘트에 기인하여 상자체의 측단의 부위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에 대해 충분한 인장 내력을 가지고 하부 거더 등의 하부 지지 수단에 상자체의 측단의 부위가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덧붙여, 그 제조에 있어서는, 초음파 탐상 시험 등의 비파괴 검사를 생략할 수 있어, 조립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제진벽은, 건물벽에서의 하부 지지 수단 및 상부 지지 수단과, 한 쌍의 협폭 측벽판, 한 쌍의 협폭 측벽판보다 폭이 넓은 한 쌍의 광폭 측벽판 및 바닥벽판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바닥벽판 및 상기 바닥벽판보다 하방에 위치한 한 쌍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에서 하부 지지 수단에 하부 고정 수단을 개재하여 고정된 상자체와, 이 상자체에 대해 간극을 가지고 상기 상자체 내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부 지지 수단에 상부 고정 수단을 개재하여 고정된 저항판과, 상기 간극에 충전된 점성체를 구비하고 있고, 하부 고정 수단은, 상자체의 바닥벽판의 하면 및 한 쌍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의 측면에 고착된 제1 거싯 플레이트와, 이 제1 거싯 플레이트에 대해 동일 연직면 내에 배치됨과 아울러 하부 지지 수단에 고착된 제2 거싯 플레이트와, 제1 및 제2 거싯 플레이트 각각에 대면하여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와, 적어도 한 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제1 및 제2 거싯 플레이트 각각에 함께 조이는 볼트와, 하부 지지 수단 및 제2 거싯 플레이트의 한쪽의 측단에 고착된 한쪽의 측판과, 하부 지지 수단 및 제2 거싯 플레이트의 다른 쪽의 측단에 고착된 다른 쪽의 측판과, 한 쌍의 협폭 측벽판 중의 한쪽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를 한쪽의 측판에 연결하는 제1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기구와, 한 쌍의 협폭 측벽판 중의 다른 쪽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를 다른 쪽의 측판에 연결하는 제2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제진벽에서도, 하부 고정 수단의 제1 거싯 플레이트가 상자체의 바닥벽판의 하면 및 한 쌍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의 한쪽의 측면에 고착되어 있는 한편, 적어도 한 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가 볼트에 의해 제1 및 제2 거싯 플레이트 각각에 함께 조여져 있는 데다가, 한 쌍의 협폭 측벽판 중의 한쪽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가 하부 지지 수단 및 제2 거싯 플레이트의 한쪽의 측단에 고착된 한쪽의 측판에 제1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기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한 쌍의 협폭 측벽판 중의 다른 쪽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가 하부 지지 수단 및 제2 거싯 플레이트의 다른 쪽의 측단에 고착된 다른 쪽의 측판에 제2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기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충분한 내력을 가지고 하부 거더 등의 하부 지지 수단에 의해 강고하게 상자체가 고정되어 있고, 덧붙여, 초음파 탐상 시험 등의 비파괴 검사를 생략할 수 있어, 조립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제진벽에 있어서, 제1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기구는, 바람직한 예에서는, 제1 및 제2 거싯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한쪽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 및 한쪽의 측판 각각의 한쪽의 측면에 대면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1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와, 한쪽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 및 한쪽의 측판 각각의 다른 쪽의 측면에 대면하여 배치된 제2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와, 한 쌍의 제1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및 제2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한쪽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 및 한쪽의 측판에 함께 조이는 다른 볼트를 구비하고 있고, 제2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기구는, 바람직한 예에서는, 제1 및 제2 거싯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다른 쪽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 및 다른 쪽의 측판 각각의 한쪽의 측면에 대면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3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와, 다른 쪽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 및 다른 쪽의 측판 각각의 다른 쪽의 측면에 대면하여 배치된 제4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와, 한 쌍의 제3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및 제4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다른 쪽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 및 다른 쪽의 측판에 함께 조이는 다른 볼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바람직한 예에 있어서, 제2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및 제4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각각은, 제1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및 제3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되지만, 그 대신에 1장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항판에서의 큰 굽힘 모멘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인장력에 대해 충분한 내력을 가지고 하부 거더 등의 하부 지지 수단에 상자체가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덧붙여, 제조에 있어서는, 초음파 탐상 시험 등의 비파괴 검사를 생략할 수 있어, 조립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는 제진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II선 단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I-III선 단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IV-IV선 단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V-V선 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다른 구체예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VII-VII선 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VIII-VIII선 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IX-IX선 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X-X선 단면 설명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도 1부터 도 5에서, 건물의 한 쌍의 기둥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본 예의 제진벽(1)은, 건물벽에서의 하부 지지 수단(2) 및 상부 지지 수단(3)과, 한 쌍의 협폭 측벽판(4 및 5), 한 쌍의 협폭 측벽판(4 및 5)보다 폭이 넓고 상기 한 쌍의 협폭 측벽판(4 및 5)에 용접에 의해 고착(용접 고착)된 한 쌍의 광폭 측벽판(6 및 7) 및 한 쌍의 협폭 측벽판(4 및 5)과 한 쌍의 광폭 측벽판(6 및 7)에 용접에 의해 고착된 바닥벽판(8)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바닥벽판(8) 및 상기 바닥벽판(8)보다 하방에 위치한 한 쌍의 협폭 측벽판(4 및 5)의 하부(9 및 10)에서 하부 지지 수단(2)에 하부 고정 수단(11)을 개재하여 고정된 상자체(12)와, 상단에 개구(13)를 갖는 상자체(12)에 대해 간극(14)을 가지고 상기 상자체(12) 내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부 지지 수단(3)에 상부 고정 수단(15)을 개재하여 고정된 저항판(16)과, 상자체(12) 내의 상기 간극(14)에 충전된 역청 등의 점성체(17)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지지 수단(2)은, 건물의 소정층의 플로어측의 하부 거더(21)로 이루어져 있고, 건물의 한 쌍의 기둥을 교락(橋絡)하여 그 건물의 한 쌍의 기둥에 지지되는 하부 거더(21)는, 상부 플랜지 플레이트(22), 하부 플랜지 플레이트(23) 및 웨브 플레이트(24)를 일체로 가진 H형강(25)과, 상부 플랜지 플레이트(22), 하부 플랜지 플레이트(23) 및 웨브 플레이트(24)에 용접 고착된 복수의 보강 리브 플레이트(26)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지지 수단(3)은, 건물의 소정층의 천정측의 상부 거더(31)로 이루어져 있고, 건물의 한 쌍의 기둥을 교락하여 그 건물의 한 쌍의 기둥에 지지됨과 아울러 연직 방향(상하 방향)(A)에서 하부 거더(21)에 대해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 거더(31)는, 상부 플랜지 플레이트(32), 하부 플랜지 플레이트(33) 및 웨브 플레이트(34)를 일체로 가진 H형강(35)과, 상부 플랜지 플레이트(32), 하부 플랜지 플레이트(33) 및 웨브 플레이트(34)에 용접 고착된 복수의 보강 리브 플레이트(36)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고정 수단(11)은, 상자체(12)의 바닥벽판(8)의 하면(41)으로부터 연직 방향(A)에서 수하(垂下)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하면(41) 및 하부(9 및 10)의 한쪽의 측면(42)에 각각 용접 고착된 하부 빔측의 거싯 플레이트(43)와, 연직 방향(A)에서 하부(9 및 10)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하부(9 및 10)의 하방에서 상부 플랜지 플레이트(22)의 상면(44)에 고착된 한 쌍의 측판(45 및 46)과, 거싯 플레이트(43)에 대해 동일 연직면 내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부 플랜지 플레이트(22)의 상면(44) 및 한 쌍의 측판(45 및 46) 각각의 측면(47)에 용접 고착된 하부 빔측의 거싯 플레이트(48)와, 거싯 플레이트(43 및 48) 각각에 대면 접촉하여 거싯 플레이트(43 및 48) 각각을 면외 방향(B)에서 끼움지지하고 있음과 아울러 면내 방향(가로 방향)(C)에서 나열하여 배치된 2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49 및 50, 51 및 52)와, 2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49 및 50, 51 및 52)를 거싯 플레이트(43 및 48) 각각에 마찰 접합시켜 함께 조이기 위해, 너트(53) 각각에 각각 나사 맞춤한 복수개의 볼트(54 및 55)를 구비하고 있다.
상자체(12)는, 수평 방향이며 면내 방향(C)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협폭 측벽판(4 및 5), 협폭 측벽판(4 및 5)을 교락하여 이 협폭 측벽판(4 및 5)에 용접 고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수평 방향이며 면외 방향(B)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광폭 측벽판(6 및 7) 및 협폭 측벽판(4 및 5)과 광폭 측벽판(6 및 7)의 하단에 용접 고착된 바닥벽판(8)에 더하여, 협폭 측벽판(4 및 5)을 교락하여 이 협폭 측벽판(4 및 5)과 광폭 측벽판(6 및 7)의 상단에 용접 고착된 L형강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개구(13)를 규정하는 개구 형성 부재(61 및 62)와, 협폭 측벽판(4 및 5)을 교락하여 이 협폭 측벽판(4 및 5)과 바닥벽판(8)에 용접 고착된 복수인 3장의 광폭 내벽판(63)을 구비하고 있다.
저항판(16)은, 상자체(12) 내에서 한 쌍의 협폭 측벽판(4 및 5), 광폭 측벽판(6 및 7), 바닥벽판(8) 및 광폭 내벽판(63)에 대해 간극(14)을 가지고 배치된 복수인 4장의 저항판 본체(71)와, 4장의 저항판 본체(71)의 서로의 면외 방향(B)의 간격을 보유지지하는 3개의 간극 보유지지 부재(72)와, 저항판 본체(71) 및 간극 보유지지 부재(72)를 함께 조이기 위해, 너트(73) 각각에 각각 나사 맞춤한 복수개의 볼트(74)를 구비하고 있고, 4장의 저항판 본체(71) 중의 면외 방향(B)에서 중앙측의 2장의 저항판 본체(71) 및 3개의 간극 보유지지 부재(72) 중의 상기 2장의 저항판 본체(71)에 면외 방향(B)에서 끼움지지되어 상기 2장의 저항판 본체(71)의 면외 방향(B)의 간격을 보유지지하는 1개의 간극 보유지지 부재(72)는, 다른 나머지 2장의 저항판 본체(71) 및 2장의 간극 보유지지 부재(72)의 상단면(75)에 대해 연직 방향(A)에서 상방에 위치하는 상단면(76)을 각각 가지고 있다.
상부 고정 수단(15)은, 하부 플랜지 플레이트(33)의 하면(81)에 고착된 한 쌍의 측판(82 및 83)과, 하면(81) 및 한 쌍의 측판(82 및 83) 각각의 측면(84)에 용접 고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단면(76)에 연직 방향(A)에서 간극을 가지고 대치한 하단면(85)을 가지며, 게다가, 상단면(76)을 가지고 있는 2장의 저항판 본체(71) 및 1개의 간극 보유지지 부재(72)와 동일 연직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부 빔측의 거싯 플레이트(86)와, 거싯 플레이트(86) 및 상단면(76)을 가진 저항판 본체(71) 각각에 대면 접촉하여 거싯 플레이트(86) 및 상단면(76)을 가진 2장의 저항판 본체(71) 각각을 면외 방향(B)에서 끼움지지하고 있음과 아울러 면내 방향(C)에서 나열하여 배치된 2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87 및 88, 89 및 90)와, 2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87 및 88, 89 및 90) 각각을 거싯 플레이트(86) 및 상단면(76)을 가진 2장의 저항판 본체(71) 각각에 마찰 접합시켜 함께 조이기 위해, 너트(91) 각각에 각각 나사 맞춤한 복수개의 볼트(92 및 93)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의 제진벽(1)은, 지진이나 바람, 교통 진동 등의 진동시에, 상자체(12)와 저항판(16) 사이의 면내 방향(C)의 상대적 수평 변위에서 상자체(12) 내에 수용된 점성체(17)에 점성 전단 변형을 발생시켜, 이 점성 전단 변형에 의한 감쇠력에 의해 지진이나 바람, 교통 진동 등의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진벽(1)에서는, 거싯 플레이트(43)가 연직 방향(A)의 그 상단면에서 하면(41)에, 그리고, 면내 방향(C)의 그 측단면에서 바닥벽판(8)보다 더욱 하방으로 신장된 한 쌍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9 및 10)의 측면(42)에 각각 용접 고착되어 있는 한편, 2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49 및 50, 51 및 52)가 볼트(54 및 55)에 의해 거싯 플레이트(43 및 48) 각각에 함께 조여져 있기 때문에, 저항판(16)에서의 큰 굽힘 모멘트에 기인하여 상자체(12)의 측단의 부위인 협폭 측벽판(4 및 5)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에 대해 충분한 내력을 가지고 하부 거더(21)에 상자체(12)가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덧붙여, 그 제조에 있어서는, 거싯 플레이트(43)의 연직 방향(A)의 상단면과 하면(41)의 용접 고착 후의 초음파 탐상 시험 등의 비파괴 검사를 생략할 수 있어, 조립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이러한 용접 고착부 등에서의 용접의 확실성 및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용접 고착부 등에 대해 초음파 탐상 시험 등의 비파괴 검사를 행하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부터 도 5에 도시된 제진벽(1)에서는, 하부 고정 수단(11)을, 거싯 플레이트(43 및 48)와, 한 쌍의 측판(45 및 46)과, 2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49 및 50, 51 및 52)와, 볼트(54 및 55)를 구비하여 구성하였지만, 도 6부터 도 10에 도시된 제진벽(100)과 같이, 하부 고정 수단(11)을, 도 1부터 도 5에 도시된 거싯 플레이트(43 및 48), 한 쌍의 측판(45 및 46), 한 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49 및 50) 및 너트(53)에 나사 맞춤한 볼트(54)에 더하여, 하부(9)를 한쪽의 측판(45)에 연결하는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기구(101)와, 하부(10)를 측판(46)에 연결하는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기구(102)를 더 구비하고, 그 밖에 대해서는 도 1부터 도 5에 도시된 제진벽(1)과 마찬가지로 하여 구성해도 된다.
도 6부터 도 10에 도시된 제진벽(100)에 있어서,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기구(101)는, 면외 방향(B)에서 거싯 플레이트(43 및 48)를 사이에 두고 하부(9) 및 측판(45) 각각의 한쪽의 측면(42 및 47)에 대면 접촉하여 배치된 한 쌍의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111 및 112)와, 하부(9) 및 측판(45) 각각의 다른 쪽의 측면(113 및 114)에 대면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면외 방향(B)에서의 하부(9) 및 측판(45) 각각의 폭에 동일한 폭을 가지며, 게다가, 한 쌍의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111 및 112)와 협력하여 하부(9) 및 측판(45) 각각을 끼움지지하여 배치된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115)와, 한 쌍의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111 및 112) 및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115)를 하부(9) 및 측판(45) 각각에 함께 조이기 위해, 너트(116) 각각에 각각 나사 맞춤한 복수개의 볼트(117)를 구비하고 있고,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기구(102)는, 면외 방향(B)에서 거싯 플레이트(43 및 48)를 사이에 두고 하부(10) 및 측판(46) 각각의 한쪽의 측면(42 및 47)에 대면 접촉하여 배치된 한 쌍의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121 및 122)와, 하부(10) 및 측판(46) 각각의 다른 쪽의 측면(123 및 124)에 대면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면외 방향(B)에서의 하부(10) 및 측판(46) 각각의 폭에 동일한 폭을 가지며, 게다가, 한 쌍의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121 및 122)와 협력하여 하부(10) 및 측판(46) 각각을 끼움지지하여 배치된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125)와, 한 쌍의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121 및 122) 및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125)를 하부(10) 및 측판(46) 각각에 함께 조이기 위해, 너트(126) 각각에 각각 나사 맞춤한 복수개의 볼트(127)를 구비하고 있다.
도 6부터 도 10에 도시된 제진벽(100)에서도, 거싯 플레이트(43)가 바닥벽판(8)의 하면(41) 및 하부(9 및 10)의 측면(42) 각각에 고착되어 있는 한편, 스플라이스 플레이트(49 및 50)가 볼트(54)에 의해 거싯 플레이트(43 및 48) 각각에 함께 조여져 있는 데다가, 하부(9)가 하부 지지 수단(2) 및 거싯 플레이트(48)의 면내 방향(C)의 한쪽의 측단에 고착된 측판(45)에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기구(101)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하부(10)가 하부 지지 수단(2) 및 거싯 플레이트(48)의 면내 방향(C)의 다른 쪽의 측단에 고착된 측판(46)에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기구(102)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충분한 내력을 가지고 하부 거더(21)에 상자체(12)를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덧붙여, 초음파 탐상 시험 등의 비파괴 검사를 생략할 수 있어, 조립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제진벽(1 및 100)은, 도 1부터 도 3 및 도 6부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폭 측벽판(6 및 7) 및 바닥벽판(8)에 용접 고착된 복수의 보강 리브(131)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또한, 도 6부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벽판(8) 및 거싯 플레이트(43)에 용접 고착된 복수의 보강 리브(13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1, 100 제진벽
2 하부 지지 수단
3 상부 지지 수단
4, 5 협폭 측벽판
6, 7 광폭 측벽판
8 바닥벽판
9, 10 하부
11 하부 고정 수단
12 상자체
13 개구
14 간극
15 상부 고정 수단
16 저항판
17 점성체
42, 47, 113, 114, 123, 124 측면
101, 102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기구
111, 112, 121, 122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115, 125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116, 126 너트
117, 127 볼트

Claims (3)

  1. 건물벽에서의 하부 지지 수단 및 상부 지지 수단과, 한 쌍의 협폭 측벽판, 한 쌍의 협폭 측벽판보다 폭이 넓은 한 쌍의 광폭 측벽판 및 바닥벽판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바닥벽판 및 상기 바닥벽판보다 하방에 위치한 한 쌍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에서 하부 지지 수단에 하부 고정 수단을 개재하여 고정된 상자체와, 이 상자체에 대해 간극을 가지고 상기 상자체 내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부 지지 수단에 상부 고정 수단을 개재하여 고정된 저항판과, 상기 간극에 충전된 점성체를 구비하고 있고, 하부 고정 수단은, 상자체의 바닥벽판의 하면 및 한 쌍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의 측면에 고착된 제1 거싯 플레이트와, 이 제1 거싯 플레이트에 대해 동일 연직면 내에 배치됨과 아울러 하부 지지 수단에 고착된 제2 거싯 플레이트와, 제1 및 제2 거싯 플레이트 각각에 대면하여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와, 이 적어도 한 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제1 및 제2 거싯 플레이트 각각에 함께 조이는 볼트를 구비한 제진벽.
  2. 건물벽에서의 하부 지지 수단 및 상부 지지 수단과, 한 쌍의 협폭 측벽판, 한 쌍의 협폭 측벽판보다 폭이 넓은 한 쌍의 광폭 측벽판 및 바닥벽판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바닥벽판 및 상기 바닥벽판보다 하방에 위치한 한 쌍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에서 하부 지지 수단에 하부 고정 수단을 개재하여 고정된 상자체와, 이 상자체에 대해 간극을 가지고 상기 상자체 내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부 지지 수단에 상부 고정 수단을 개재하여 고정된 저항판과, 상기 간극에 충전된 점성체를 구비하고 있고, 하부 고정 수단은, 상자체의 바닥벽판의 하면 및 한 쌍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의 한쪽의 측면에 고착된 제1 거싯 플레이트와, 이 제1 거싯 플레이트에 대해 동일 연직면 내에 배치됨과 아울러 하부 지지 수단에 고착된 제2 거싯 플레이트와, 제1 및 제2 거싯 플레이트 각각에 대면하여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와, 이 적어도 한 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제1 및 제2 거싯 플레이트 각각에 함께 조이는 볼트와, 하부 지지 수단 및 제2 거싯 플레이트의 한쪽의 측단에 고착된 한쪽의 측판과, 하부 지지 수단 및 제2 거싯 플레이트의 다른 쪽의 측단에 고착된 다른 쪽의 측판과, 한 쌍의 협폭 측벽판 중의 한쪽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를 한쪽의 측판에 연결하는 제1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기구와, 한 쌍의 협폭 측벽판 중의 다른 쪽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를 다른 쪽의 측판에 연결하는 제2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기구를 구비한 제진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기구는, 제1 및 제2 거싯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한쪽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 및 한쪽의 측판 각각의 한쪽의 측면에 대면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1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와, 한쪽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 및 한쪽의 측판 각각의 다른 쪽의 측면에 대면하여 배치된 제2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와, 한 쌍의 제1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및 제2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한쪽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 및 한쪽의 측판에 함께 조이는 다른 볼트를 구비하고 있고, 제2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기구는, 제1 및 제2 거싯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다른 쪽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 및 다른 쪽의 측판 각각의 한쪽의 측면에 대면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3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와, 다른 쪽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 및 다른 쪽의 측판 각각의 다른 쪽의 측면에 대면하여 배치된 제4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와, 한 쌍의 제3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및 제4 측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다른 쪽의 협폭 측벽판의 하부 및 다른 쪽의 측판에 함께 조이는 다른 볼트를 구비한 제진벽.
KR1020207000114A 2017-09-22 2018-09-12 제진벽 KR102305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82374 2017-09-22
JP2017182374A JP6854225B2 (ja) 2017-09-22 2017-09-22 制震壁
PCT/JP2018/033890 WO2019059073A1 (ja) 2017-09-22 2018-09-12 制震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407A KR20200014407A (ko) 2020-02-10
KR102305259B1 true KR102305259B1 (ko) 2021-09-27

Family

ID=6580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114A KR102305259B1 (ko) 2017-09-22 2018-09-12 제진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54225B2 (ko)
KR (1) KR102305259B1 (ko)
TW (1) TWI689654B (ko)
WO (1) WO20190590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3098A (zh) * 2019-04-29 2019-07-23 苏州鼎智瑞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消能减震阻尼器构件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7485A (ja) 1998-07-14 2000-01-25 Sumitomo Constr Co Ltd 制震壁、制震壁の取付方法および制震壁を用いる制震構造物
JP2001065193A (ja) 1999-08-27 2001-03-13 Shimizu Corp 制震壁
JP2002021369A (ja) 2000-07-10 2002-01-23 Shimizu Corp 制震壁
JP2018053433A (ja) 2016-09-26 2018-04-05 株式会社免制震ディバイス 制震壁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4361B2 (ja) * 1998-09-01 2006-12-27 清水建設株式会社 粘性系制震壁の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US6681536B1 (en) * 1999-09-01 2004-01-27 Shimizu Corporation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viscosity system damping wall
CN1413282A (zh) * 2000-10-24 2003-04-23 奥依列斯工业株式会社 减震构造
JP4622207B2 (ja) * 2002-02-21 2011-02-02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吸振器及びそれを用いた制震構造
TWM360905U (en) * 2009-02-12 2009-07-11 Yen-Po Wang Wind and shock resistance friction damp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7485A (ja) 1998-07-14 2000-01-25 Sumitomo Constr Co Ltd 制震壁、制震壁の取付方法および制震壁を用いる制震構造物
JP2001065193A (ja) 1999-08-27 2001-03-13 Shimizu Corp 制震壁
JP2002021369A (ja) 2000-07-10 2002-01-23 Shimizu Corp 制震壁
JP2018053433A (ja) 2016-09-26 2018-04-05 株式会社免制震ディバイス 制震壁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407A (ko) 2020-02-10
JP2019056275A (ja) 2019-04-11
TW201920821A (zh) 2019-06-01
TWI689654B (zh) 2020-04-01
JP6854225B2 (ja) 2021-04-07
WO2019059073A1 (ja)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420B1 (ko)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
KR102305259B1 (ko) 제진벽
JP4710067B2 (ja) 柱梁接合構造
KR101125967B1 (ko) 구조물 접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
JP4107259B2 (ja) 鉄骨小梁の接合構造
JP3941277B2 (ja) 制震壁
JP2022025804A (ja) 梁接合構造、建築物
KR100644081B1 (ko) 철골―콘크리트 샌드위치 합성보를 이용한 고강성메가트러스 구조 및 이를 적용한 공장건축물
JPH03199581A (ja) 建造物の振動抑制装置
JP6404015B2 (ja) 耐力壁フレーム
JP7235192B2 (ja) 天井面材の支持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JP7202949B2 (ja) 接合構造の設計方法
Berman et al. Cyclic testing of light-gauge steel plate shear walls
JP4000725B2 (ja) 制震壁
JP2005132597A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
JP7162457B2 (ja) あと付けブレースの接合構造
JP2018059373A (ja) 柱梁接合構造
JP2019039201A (ja) あと付けブレースの接合構造
JP7483401B2 (ja) 建物ユニットの連結構造
JP2019196599A (ja) 合成パネル構造
JP6240420B2 (ja) 耐震補強構造
JP5933281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
JP6185680B1 (ja) 制振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JP5324906B2 (ja) ユニット建物
JP2023080644A (ja) 制震構造物及び制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