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583B1 -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 Google Patents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583B1
KR102304583B1 KR1020167007368A KR20167007368A KR102304583B1 KR 102304583 B1 KR102304583 B1 KR 102304583B1 KR 1020167007368 A KR1020167007368 A KR 1020167007368A KR 20167007368 A KR20167007368 A KR 20167007368A KR 102304583 B1 KR102304583 B1 KR 102304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axis
flexible wiring
wiring board
axis direction
movab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2003A (ko
Inventor
신지 미나미사와
도시유키 가라사와
신로쿠 아사카와
요시히로 하마다
다케시 스에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254
    • H04N5/2257
    • H04N5/2328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23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tilting or inclin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Abstract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100)에 있어서, 가동 모듈(10)이 요동할 때, 가동 모듈(10)이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1900)으로부터 받는 힘을 작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우선, 가동 모듈(10)의 Z축 방향의 도중 위치에서 가동 모듈(10)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짐벌 기구(30)를 설치한다. 또한,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1900)에는, 광축(L)으로부터 Y축 방향의 일방측(+Y)에 있는 인출부(1861, 1871, 1921)로부터 광축(L)으로부터 Y축 방향의 타방측(-Y)까지 연장되는 제1 연장부(1862, 1872, 1922)와, 제1 연장부(1862, 1872, 1922)의 선단측에서 만곡되는 제1 만곡부(1863, 1873, 1923)와, 제1 만곡부(1863, 1873, 1923)로부터 Y축 방향의 일방측 +Y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부(1864, 1874, 1924)를 설치한다.

Description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OPTICAL UNIT WITH IMAGE STABILIZATION FUNCTIONALITY}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 등에 탑재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는, 촬영용 광학 유닛이 탑재된 광학 기기로서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광학 유닛에 있어서는, 유저의 손 떨림에 의한 촬영 화상의 흐트럼짐을 억제하기 위해, 광학 소자를 보유 지지하는 가동 모듈을 요동시켜 흔들림을 보정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흔들림 보정을 행하기 위해서는, 가동 모듈을 고정체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의 후방측에 설치한 피봇에 의해 가동 모듈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광학 유닛의 흔들림을 보정하도록, 피봇을 중심으로 가동 모듈을 요동시키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2 참조).
또한,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광학 유닛에서는, 가동 모듈을 요동시켰을 때,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에 접속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이 쓸데없는 힘을 가동 모듈에 가하지 않도록, 플렉시블 배선 기판을 가동 모듈과의 접속 위치 부근에 C자 형상으로 크게 만곡시킨 후,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과 평행하게 연장시키고, 그 선단 부분을 반대측에서 절곡하여 고정체의 저판부를 따르도록 한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9680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96863호 공보
가동 모듈이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구성의 경우, 광축 방향 후방측에서의 가동 모듈의 변위량은 작지만, 광축 방향 전방측에서의 가동 모듈의 변위량이 크다. 이로 인해, 가동 모듈의 둘레에서는,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충분한 스페이스를 배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광학 유닛의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사이즈가 커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의 도중 위치에서 가동 모듈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경우, 가동 모듈이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구성의 경우에 비하여,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가 크게 변위하게 되므로, 가동 모듈을 요동시켰을 때,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에 접속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이 쓸데없는 힘을 가동 모듈에 가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의 문제점에 비추어, 본 발명의 과제는,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의 도중 위치에서 가동 모듈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 경우라도, 가동 모듈이 플렉시블 배선 기판으로부터 받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은, 제1 방향을 따라 광축이 연장되는 광학 소자를 보유 지지하는 가동 모듈과, 해당 가동 모듈의 둘레를 둘러싸는 동체부를 구비한 고정체와, 상기 가동 모듈의 상기 제1 방향의 도중 위치에서 상기 가동 모듈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와, 상기 가동 모듈을 요동시키는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와, 상기 가동 모듈 및 상기 고정체에 접속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을 갖고, 상기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광축으로부터 일방측에서 상기 가동 모듈로부터 인출된 인출부와, 해당 인출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광축으로부터 타방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에 간극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선단측에서 광축 방향 후방측을 향하여 만곡되는 제1 만곡부와, 상기 제1 만곡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상기 일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에 있어서 상기 광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상기 일방측에서 상기 고정체에 접속된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 기구가 가동 모듈의 제1 방향의 도중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가동 모듈은, 가동 모듈의 제1 방향의 도중 위치를 중심으로 요동한다. 이로 인해, 가동 모듈을 동일한 각도로 요동시킨 경우라도, 가동 모듈이 광축 방향 후방측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구성보다,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제2 방향 및 제3 방향)에 있어서 광축 방향 전방측에서의 가동 모듈의 변위량이 작다. 따라서, 가동 모듈의 둘레에는,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큰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의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가동 모듈이, 가동 모듈의 제1 방향의 도중 위치를 중심으로 요동하는 경우, 가동 모듈이 광축 방향 후방측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구성보다, 광축 방향 후방측에서의 가동 모듈의 변위량이 크기 때문에,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 후방측에 설치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변위량도 커진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에는, 광축으로부터 제2 방향의 일방측에 있는 인출부로부터 광축으로부터 제2 방향의 타방측까지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제1 연장부의 선단측에서 광축 방향 후방측을 향하여 만곡되는 제1 만곡부와, 제1 만곡부로부터 제2 방향의 일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부가 설치되고, 제2 연장부에 있어서 고정체에 접속된 고정부는, 광축으로부터 제2 방향의 일방측에 있다. 이로 인해,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인출부부터 고정부까지의 치수가 길므로, 가동 모듈이 요동했을 때, 플렉시블 배선 기판으로부터 가동 모듈에 가해지는 힘이 작다. 그로 인해, 가동 모듈을 적정하게 요동시킬 수 있으므로, 손 떨림 등의 흔들림을 적정하게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인출부와 상기 고정부가 겹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인출부부터 고정부까지의 치수를 보다 길게 할 수 있으므로, 가동 모듈이 요동했을 때, 플렉시블 배선 기판으로부터 가동 모듈에 가해지는 힘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상기 인출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사이에 상기 인출부로부터 광축 방향 후방측을 향하여 만곡되는 제2 만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만곡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상기 타방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제1 연장부를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에 평행에 가까운 자세로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인출부부터 고정부까지의 치수를 보다 길게 할 수 있으므로, 가동 모듈이 요동했을 때, 플렉시블 배선 기판으로부터 가동 모듈에 가해지는 힘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에는, 상기 광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일방측에 상기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과 상기 제1 연장부의 사이에 개재하는 스페이서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제1 연장부와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의 간극을 스페이서에 의해 적정하게 확보한 상태에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제1 연장부를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에 평행에 가까운 자세로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제1 연장부와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이 간섭하기 어려우므로, 가동 모듈이 요동했을 때, 플렉시블 배선 기판으로부터 가동 모듈에 가해지는 힘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에는, 상기 광축의 연장선 상에 상기 제1 방향의 치수가 상기 스페이서보다 작은 자이로스코프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에 자이로스코프를 설치한 경우라도, 플렉시블 배선 기판과 자이로스코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자이로스코프에 있어서 플렉시블 배선 기판과의 접촉에 기인하는 흔들림의 오검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에는, 상기 광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일방측에 상기 광축 방향 후방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스페이서가 고정되고, 상기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과 상기 제1 연장부의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개재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제1 연장부와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의 간극을 스페이서의 돌출부에 의해 적정하게 확보한 상태에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제1 연장부를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에 평행에 가까운 자세로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제1 연장부와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이 간섭하기 어려우므로, 가동 모듈이 요동했을 때, 플렉시블 배선 기판으로부터 가동 모듈에 가해지는 힘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에는, 상기 광축의 연장선 상에 상기 제1 방향의 치수가 상기 돌출부보다 작은 자이로스코프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에 자이로스코프를 설치한 경우라도, 플렉시블 배선 기판과 자이로스코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자이로스코프에 있어서 플렉시블 배선 기판과의 접촉에 기인하는 흔들림의 오검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광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상기 스페이서와의 사이에서 보유 지지하는 클램프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연장부를 접착제에 의해 고정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램프 부재는, 상기 제1 연장부에 대하여 상기 스페이서와는 반대측에 겹치는 평판형의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로부터 상기 스페이서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스페이서에 연결된 연결판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누름부가 평판형이기 때문에, 제1 연장부를 넓은 면적을 갖고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부 및 상기 스페이서의 한쪽에는 걸림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상기 걸림 결합 구멍과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스페이서에 대하여 클램프 부재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누름부의 사이,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스페이서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연장부를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제1 연장부를 보유 지지한 경우, 복수개의 제1 연장부를 균등한 힘으로 보유 지지하기 위해, 가동 모듈이 요동했을 때, 가동 모듈에 대하여 치우친 힘이 제1 연장부로부터 가해지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플렉시블 배선 기판에 있어서 촬상 소자가 실장되어 있는 실장부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촬상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스페이서를 통하여 릴리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예를 들어 금속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그 스페이서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는 관통 구멍, 및 당해 스페이서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홈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방열 촉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스페이서의 방열 면적을 넓힐 수 있으므로, 스페이서의 방열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열 촉진부의 연장 방향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방열 촉진부가, 광축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부재로 막히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복수매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1매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을 사용한 경우보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으로부터 가동 모듈에 가해지는 힘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매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제3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있기 때문에, 가동 모듈이 요동했을 때,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추종이 플렉시블 배선 기판끼리의 접촉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3매 설치되고, 상기 3매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 중, 상기 제3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플렉시블 배선 기판 및 제2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상기 제3 방향의 치수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렉시블 배선 기판으로부터 가동 모듈에 가해지는 힘의 균형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시블 배선 기판 및 상기 제2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상기 제3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시블 배선 기판과 상기 제2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플렉시블 배선 기판과 상기 제3 방향의 치수가 상이하며, 상기 제1 플렉시블 배선 기판, 상기 제2 플렉시블 배선 기판 및 상기 제3 플렉시블 배선 기판 중, 상기 제3 방향의 치수가 큰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상기 제3 방향의 치수가 작은 플렉시블 배선 기판보다, 상기 인출부부터 상기 고정부까지의 길이 치수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3 방향의 치수가 큰 플렉시블 배선 기판이어도, 가동 모듈의 요동에 추종하여 플렉시블 배선 기판을 변형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1 플렉시블 배선 기판과 상기 제3 플렉시블 배선 기판에서는, 상기 제1 만곡부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있고, 상기 제2 플렉시블 배선 기판과 상기 제3 플렉시블 배선 기판에서는, 상기 제1 만곡부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가동 모듈이 요동했을 때,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추종이 플렉시블 배선 기판끼리의 접촉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광축 방향 후방측으로, 상기 제2 연장부를 광축 방향 후방측으로 인출하는 개구부를 갖는 제1 저판과, 상기 개구부를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광축 방향 후방측에서 덮는 제2 저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에서는,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제1 저판의 광축 방향 후방측의 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제2 연장부를 제1 저판에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상기 가동 모듈의 상기 제1 방향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가동 모듈을 요동시켰을 때의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제2 방향 및 제3 방향)에 있어서 광축 방향 전방측에서의 가동 모듈의 변위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동 모듈의 무게 중심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비교적 작은 구동력으로 가동 모듈을 적정하게 요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짐벌 기구인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 기구가 가동 모듈의 제1 방향의 도중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가동 모듈은, 가동 모듈의 제1 방향의 도중 위치를 중심으로 요동한다. 이로 인해, 가동 모듈을 동일한 각도로 요동시킨 경우라도, 가동 모듈이 광축 방향 후방측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구성보다,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제2 방향 및 제3 방향)에 있어서 광축 방향 전방측에서의 가동 모듈의 변위량이 작다. 따라서, 가동 모듈의 둘레에는,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큰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의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가동 모듈이, 가동 모듈의 제1 방향의 도중 위치를 중심으로 요동하는 경우, 가동 모듈이 광축 방향 후방측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구성보다, 광축 방향 후방측에서의 가동 모듈의 변위량이 크기 때문에,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 후방측에 설치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변위량도 커진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에는, 광축으로부터 제2 방향의 일방측에 있는 인출부로부터 광축으로부터 제2 방향의 타방측까지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제1 연장부의 선단측에서 광축 방향 후방측을 향하여 만곡되는 제1 만곡부와, 제1 만곡부로부터 제2 방향의 일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부가 설치되고, 제2 연장부에 있어서 고정체에 접속된 고정부는, 광축으로부터 제2 방향의 일방측에 있다. 이로 인해,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인출부부터 고정부까지의 치수가 길므로, 가동 모듈이 요동했을 때, 플렉시블 배선 기판으로부터 가동 모듈에 가해지는 힘이 작다. 그로 인해, 가동 모듈을 적정하게 요동시킬 수 있으므로, 손 떨림 등의 흔들림을 적정하게 보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을 휴대 전화기 등의 광학 기기에 탑재한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을 피사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을 피사체측과는 반대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의 내부를 더 세밀하게 분해했을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의 가동 모듈을 분해한 모습을 피사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가동 모듈에 사용한 광학 모듈 등을 피사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하는 가동 모듈에 사용한 프레임 등을 피사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에 사용한 짐벌 기구 등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하는 가동 모듈에 사용한 웨이트 등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의 가동 모듈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하는 광학 모듈 등의 세부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제2 만곡부 부근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을 적용한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에 사용한 스페이서의 개량예 1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을 적용한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에 사용한 스페이서의 개량예 2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촬상용 광학 모듈의 손 떨림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예시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서로 직교하는 3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이라고 하고, 광축 L(렌즈 광축/광학 소자의 광축)을 따르는 제1 방향을 Z축 방향이라고 하고, Z축 방향(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을 Y축 방향이라고 하고, Z축 방향(제1 방향) 및 Y축 방향(제2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을 X축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방향의 흔들림 중, X축 둘레의 회전은, 소위 피칭(상하 흔들림)에 상당하고, Y축 둘레의 회전은, 소위 요잉(좌우 흔들림)에 상당하고, Z축 둘레의 회전은, 소위 롤링에 상당한다. 또한, X축 방향의 일방측에는 +X를 붙이고, 타방측에는 -X를 붙이고, Y축 방향의 일방측에는 +Y를 붙이고, 타방측에는 -Y를 붙이고, Z축 방향의 일방측(피사체측과는 반대측/광축 방향 후방측)에는 +Z를 붙이고, 타방측(피사체측/광축 방향 전방측)에는 -Z를 붙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촬영용 광학 유닛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을 휴대 전화기 등의 광학 기기에 탑재한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유닛(100)(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은,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 등의 광학 기기(1000)에 사용되는 박형 카메라이며, 광학 기기(1000)의 섀시(2000)(기기 본체)에 지지된 상태로 탑재된다. 이러한 광학 유닛(100)에서는, 촬영시에 광학 기기(1000)에 손 떨림 등의 흔들림이 발생하면, 촬상 화상에 흐트러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형태의 광학 유닛(10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Z축 방향을 따라 광축 L이 연장되는 광학 모듈(1)을 구비한 가동 모듈(10)을 고정체(20) 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광학 유닛(100)에 탑재한 자이로스코프(흔들림 검출 센서)에 의해 손 떨림을 검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가동 모듈(10)을 요동시키는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광학 유닛(100)에는, 광학 모듈(1)이나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로의 급전 등을 행하기 위한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1900)이 인출되어 있고, 이러한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1900)은, 광학 기기(1000)의 본체측에 설치된 상위 제어부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가동 모듈(10)에 있어서, 광학 모듈(1)은, 광학 소자로서, Z축 방향을 따라 광축 L이 연장되는 렌즈(1a)를 구비하고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광축 L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렌즈(1a)는 원형이지만, 가동 모듈(10) 및 광학 모듈(1)은 각형이다.
(광학 유닛(100)의 개략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100)을 피사체측(Z축 방향의 타방측 -Z)에서 본 설명도이며, 도 2의 (a), (b)는 광학 유닛(100)을 피사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 및 광학 유닛(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100)을 피사체측과는 반대측(Z축 방향의 한쪽 +Z)에서 본 설명도이며, 도 3의 (a), (b)는 광학 유닛(100)을 피사체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 및 광학 유닛(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100)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4의 (a), (b)는 광학 유닛(100)의 YZ 단면도, 및 광학 유닛(100)의 ZX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100)의 내부를 더 세밀하게 분해했을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의 (a)에서는, 제1 띠 형상부(1860)에 있어서 제2 띠 형상부(1870)와 대응하는 부분에 괄호 쓰기로 부호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본 형태의 광학 유닛(100)은, 고정체(20)와, 가동 모듈(10)과, 가동 모듈(10)이 고정체(2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하는 지지 기구로서의 짐벌 기구(30)(도 4 참조)와, 가동 모듈(10)과 고정체(20)의 사이에서 가동 모듈(10)을 고정체(20)에 대하여 상대 변위시키는 자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500)(도 4 참조)를 갖고 있다.
고정체(20)는 케이스(1200)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200)는, 가동 모듈(10)의 둘레를 둘러싸는 각통형의 동체부(1210)와, 동체부(1210)의 Z축 방향의 타방측 -Z의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단부 판부(1220)를 구비하고 있고, 단부 판부(1220)에는 직사각형의 창(12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체(20)는, 케이스(1200)의 Z축 방향의 타방측 -Z에 고정된 커버(1600)와, 커버(1600)의 Z축 방향의 타방측 -Z에 고정된 커버 시트(1700)를 갖고 있다. 커버(1600)는, 케이스(1200)의 단부 판부(1220)에 겹치는 판형의 프레임부(1610)와, 프레임부(1610)의 내측 테두리로부터 Z축 방향의 일방측 +Z로 굴곡된 각통형의 측판부(1620)를 구비하고 있고, 측판부(1620)는, 케이스(1200)의 개구부(1221)로부터 케이스(12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다. 측판부(1620)의 Z축 방향의 일방측 +Z의 단부의 4개의 코너 부분에는, 삼각형의 판형의 연결부(1630)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1630)에는, 후술하는 직사각형 프레임(25)을 고정하기 위한 구멍(16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시트(1700)에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광학 모듈(1)로 유도하는 창(1710)이 형성되어 있다.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500)의 구성)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500)는, 판형의 자석(520)과 코일(560)을 이용한 자기 구동 기구이다. 코일(560)은 가동 모듈(10)에 보유 지지되고, 자석(520)은 케이스(1200)의 동체부(1210)의 4개의 측판부(1211, 1212, 1213, 1214)의 내면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자석(520)은 외면측 및 내면측이 상이한 극으로 착자되어 있다. 또한, 자석(520)은 광축 L 방향으로 2개로 분할되어 있고, 코일(560)측에 위치하는 자극이 광축 L 방향에서 상이하도록 착자되어 있다. 이로 인해, 코일(560)은, 상하의 긴 변 부분이 유효변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4개의 자석(520)은, 외면측 및 내면측에 대한 착자 패턴이 동일하다. 이로 인해,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자석(520)끼리 서로 흡착하는 일이 없으므로, 조립 등이 용이하다.
케이스(1200)는 자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자석(520)에 대한 요크로서 기능한다. 케이스(1200)의 단부 판부(1220)에서는, Z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자석(520)의 코일(560)과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에 개구 테두리가 위치하는 창(12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광축 L 방향의 전방측에 있어서 자석(520)의 자력선이 케이스(1200)(요크)의 단부 판부(1220)측을 향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가동 모듈(10)의 구성)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100)의 가동 모듈(10)을 분해한 모습을 피사체측(Z축 방향의 타방측 -Z)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가동 모듈(10)에 사용한 광학 모듈(1) 등을 피사체측(Z축 방향의 타방측 -Z)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의 (a), (b), (c)는 광학 모듈(1)과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을 분해한 모습의 분해 사시도, 광학 모듈(1) 등을 더 분해한 모습의 분해 사시도, 및 촬상 소자(1b) 등의 설명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모듈(10)은, 렌즈(1a)(광학 소자)를 구비한 광학 모듈(1)과, 웨이트(5)를 갖고 있으며, 광학 모듈(1)은, 렌즈(1a)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4)와, 홀더(4)를 보유 지지하는 프레임(1110)을 갖고 있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홀더(4)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부(101)와, 본체부(101)로부터 Z축 방향의 타방측 -Z로 돌출된 원통부(102)를 갖고 있으며, 홀더(4)의 내측에는, 렌즈(1a)나 포커싱 구동용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01)에 대하여 Z축 방향의 일방측 +Z의 단부에는 촬상용 회로 모듈(1090)이 설치되어 있고, 촬상용 회로 모듈(1090)은, U자형으로 절곡된 가요성 실장 기판(103)을 갖고 있다. 실장 기판(103)에 있어서 Z축 방향의 타방측 -Z에 위치하는 부분(103a)의 Z축 방향의 타방측 -Z를 향하는 면에는 촬상 소자(1b)가 실장되고, Z축 방향의 일방측 +Z에 위치하는 부분(103b)의 타방측 -Z를 향하는 면에는 b-to-b 커넥터의 플러그(105)가 실장되어 있다. 실장 기판(103)에 있어서 Z축 방향의 타방측 -Z에 위치하는 부분(103a)의 Z축 방향의 일방측 +Z를 향하는 면에는 보강판(107)이 부착되고, Z축 방향의 일방측 +Z에 위치하는 부분(103b)의 일방측 +Z를 향하는 면에도 보강판(108)이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광학 모듈(1)에 있어서, 홀더(4)는, 후술하는 프레임(1110)의 내측에 보유 지지되고, 이 상태에서 Z축 방향의 일방측 +Z로부터 보호판(109)에 의해 덮인다. 보호판(109)은, 프레임(1110)을 Z축 방향의 일방측 +Z로부터 덮는 직사각형의 단부 판부(109a)와, 직사각형의 단부 판부(109a)의 4개의 변 중, Y축 방향의 일방측 +Y를 제외한 3개의 변으로부터 Z축 방향의 타방측 -Z로 돌출된 측판부(109b)를 갖고 있다.
(신호 출력용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의 구성)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100)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설명도이며, 도 8의 (a), (b)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 등을 X축 방향의 일방측 +X에서 본 측면도, 및 플렉시블 배선 기판 등을 Z축 방향의 일방측 +Z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학 모듈(1)에는, 촬상 소자(1b)에서 얻어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 출력용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광학 모듈(1)의 내부에 포커싱 구동용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액추에이터로의 구동 전류의 공급은,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은, 실장 기판(103)의 Z축 방향의 일방측 +Z에 위치하는 부분(103b)과 타방측 -Z에 위치하는 부분(103a)의 사이에 배치된 직사각형의 제1 접속부(1810)와, 제1 접속부(1810)의 Y축 방향의 타방측 -Y의 단부에서 광축 L 방향의 후방측(Z축 방향의 일방측 +Z)을 향하여 만곡되는 만곡부(1820)와, 만곡부(1820)에 Y축 방향의 일방측 +Y에서 연결되는 직사각형의 제2 접속부(1830)와, 제2 접속부(1830)로부터 외부로 배치된 배선부(1840)를 갖고 있다.
제1 접속부(1810)에 있어서 Z축 방향의 일방측 +Z를 향하는 면에는, 플러그(105)와 걸림 결합하는 소켓(115)이 실장되어 있다. 또한, 배선부(1840)의 Y축 방향의 일방측 +Y의 단부(1880)에 있어서, Z축 방향의 일방측 +Z의 면에는 커넥터(117)가 실장되어 있다. 따라서, 촬상 소자(1b)에서 얻어진 신호는, 실장 기판(103), b-to-b 커넥터(플러그(105) 및 소켓(115)),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및 커넥터(117)를 통하여 출력된다. 또한, 단부(1880)의 Z축 방향의 타방측 -Z의 면에는 보강판(118)이 부착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의 제2 접속부(1830)의 Z축 방향의 타방측 -Z의 면은, 보호판(109)의 Z축 방향의 일방측 +Z의 면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가동 모듈(10)의 광축 L 방향의 후방측 단부면(17)(Z축 방향의 일방측 +Z의 단부면)은,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의 제2 접속부(1830)의 Z축 방향의 일방측 +Z의 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가동 모듈(10)의 광축 L 방향의 후방측 단부면(17)(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의 제2 접속부(1830)의 Z축 방향의 일방측 +Z의 면)에는, 자이로스코프(13) 및 캐패시터 등의 전자 부품(14)이 실장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배선부(1840)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1850)에 의해 X축 방향에서 병렬되는 제1 띠 형상부(1860)와 제2 띠 형상부(1870)로 분할되어 있고, 제1 띠 형상부(1860)와 제2 띠 형상부(1870)에 있어서, X축 방향의 치수(폭 치수)는 동일하다. 또한, 제1 띠 형상부(1860) 및 제2 띠 형상부(1870)의 폭 치수는, 슬릿(1850)의 폭 치수보다 크다.
(프레임(1110)의 구성)
도 9는, 도 6에 도시하는 가동 모듈(10)에 사용한 프레임(1110) 등을 피사체측(Z축 방향의 타방측 -Z)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100)에 사용한 짐벌 기구 등의 설명도이며, 도 10의 (a), (b)는 짐벌 기구 등을 피사체측(Z축 방향의 타방측 -Z)에서 본 분해 사시도, 및 짐벌 기구의 지지점의 설명도이다.
도 4, 도 5, 도 6,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110)은, 가동 모듈(10)의 외주 부분을 구성하고 있고, 대략 홀더(4)를 내측에 보유 지지하는 통형의 홀더 보유 지지부(1120)와, 홀더 보유 지지부(1120)의 Z축 방향의 일방측 +Z의 단부에서 직경 확대되는 두꺼운 플랜지부(1130)를 갖고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110)에 있어서, 홀더 보유 지지부(1120)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짐벌 기구(30)의 가동 프레임(32)이 배치되는 가동 프레임 배치 공간(1140)과, 코일(560)을 가동 프레임 배치 공간(1140)의 외측에서 보유 지지하는 코일 보유 지지부(1150)가 설치되어 있다. 코일 보유 지지부(1150)는, 가동 프레임 배치 공간(1140)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플랜지부(1130)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Z축 방향의 타방측 -Z를 향하여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고, 둘레 방향의 4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4개의 코일 보유 지지부(1150) 중, X축 방향에 위치하는 코일 보유 지지부(1150)는, Y축 방향에서 2개의 볼록부로 분할되고, Y축 방향에 위치하는 코일 보유 지지부(1150)는, X축 방향에서 2개의 볼록부로 분할되어 있다. 코일(560)은 중공 코어 코일이며, 중공 코어 코일의 개구부에 코일 보유 지지부(1150)가 끼워진 상태로 코일 보유 지지부(1150)에 접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코일 보유 지지부(1150)는, 코일(560)의 외면(자석(520)과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급전용 플렉시블 배선 기판(1900)의 구성)
도 5, 도 6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모듈(10)에 있어서, 가동 모듈(10)의 Z축 방향의 일방측 +Z의 단부에는, 코일(560)에 대한 급전용 플렉시블 배선 기판(1900)이 접속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1900)은, 프레임(1110)의 Z축 방향의 일방측 +Z에서, 프레임(111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1910)과,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1910)으로부터 연장되는 띠 형상의 배선부(1920)를 갖고 있으며,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1910)에는 4개의 코일(560)이 접속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배선부(1920)의 폭 치수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의 슬릿(1850)의 폭 치수보다 조금 작으며, Z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배선부(1920)는 슬릿(1850)의 내측에서 연장되고,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의 단부(1880)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코일(560)에의 급전은, 커넥터(117)를 통하여 행해진다. 또한, 배선부(1920)의 폭 치수는, 제1 띠 형상부(1860) 및 제2 띠 형상부(1870)의 폭 치수보다 작다.
(고정체(20)의 상세 구성)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체(20)는, 케이스(1200)의 Z축 방향의 일방측 +Z를 덮는 직사각형의 제1 저판(1400)을 갖고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제1 저판(1400)에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의 배선부(1840) 및 플렉시블 배선 기판(1900)의 배선부(1920)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1410)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개구부(1410)는, 제1 저판(1400)에 대하여 Z축 방향의 일방측 +Z로부터 겹치는 제2 저판(1500)에 의해 덮여 있다. 제1 저판(1400)은, 직사각형의 저판부(1420)와, 저판부(1420)의 4개의 각으로부터 Z축 방향의 타방측 -Z를 향하여 돌출된 측판부(14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고정체(20)는, 가동 모듈(1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판형 스토퍼(1300)를 갖고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판형 스토퍼(1300)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가동 모듈(10)의 프레임(1110) 중, 플렉시블 배선 기판(1900)의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1910)이 접착되어 있는 부분에 대하여 Z축 방향의 일방측 +Z에서 겹친다. 이로 인해, 판형 스토퍼(1300)는, 가동 모듈(10)의 Z축 방향의 일방측 +Z로의 가동 범위를 규정하고 있다.
판형 스토퍼(1300)에 있어서 각 변의 외주연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볼록부(13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저판(1400)과 케이스(1200)를 Z 방향에서 겹쳤을 때, 제1 저판(1400)의 측판부(1440)와 케이스(1200)의 측판부(1211, 1212, 1213, 1214)의 사이에 판형 스토퍼(1300)의 볼록부(1310)가 끼인 상태로 된다. 이로 인해, 제1 저판(1400)의 측판부(1440), 케이스(1200)의 측판부(1211, 1212, 1213, 1214) 및 판형 스토퍼(1300)의 볼록부(1310)를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하면, 제1 저판(1400), 판형 스토퍼(1300) 및 케이스(1200)를 일체화할 수 있다.
(짐벌 기구(30)의 구성)
본 형태의 광학 유닛(100)에 있어서, 손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가동 모듈(10)을 광축 L 방향에 교차하는 제1 축선 L1(도 2의 (a) 참조)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가동 모듈(10)을 광축 L 방향 및 제1 축선 L1에 교차하는 제2 축선 L2(도 2의 (a) 참조)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동 모듈(10)과 고정체(20)의 사이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짐벌 기구(30)(지지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짐벌 기구(30)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직사각형 프레임(25)을 통하여 커버(1600)(도 2의 (b) 참조)에 고정된 직사각형의 가동 프레임(32)을 사용한다. 가동 프레임(32)은, 광축 L 둘레에 제1 코너부(321), 제2 코너부(322), 제3 코너부(323) 및 제4 코너부(324)를 갖고 있으며, 제1 코너부(321)와 제2 코너부(322)의 사이, 제2 코너부(322)와 제3 코너부(323)의 사이, 제3 코너부(323)와 제4 코너부(324)의 사이, 및 제4 코너부(324)와 제1 코너부(321)의 사이에 제1 연결부(326), 제2 연결부(327), 제3 연결부(328) 및 제4 연결부(329)를 갖고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제1 연결부(326), 제2 연결부(327), 제3 연결부(328) 및 제4 연결부(329)는, 각각의 연장 방향 및 Z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만곡된 사행부(326a, 327a, 328a, 329a)를 갖고 있다.
여기서, 가동 프레임(32)의 제1 코너부(321), 제2 코너부(322), 제3 코너부(323) 및 제4 코너부(324)의 내측에는 금속제의 구체(38)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구체(38)는, 직경 방향 내측에 반구형인 볼록면을 향하는 돌기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1200)(고정체(20))의 단부 판부(1220)에는 커버(1600)가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커버(1600)의 연결부(1630)에는 직사각형 프레임(25)이 고정되어 있다. 직사각형 프레임(25)은, 광축 L 둘레에 제1 코너부(251), 제2 코너부(252), 제3 코너부(253) 및 제4 코너부(254)를 갖고 있으며, 제1 코너부(251)와 제2 코너부(252)의 사이, 제2 코너부(252)와 제3 코너부(253)의 사이, 제3 코너부(253)와 제4 코너부(254)의 사이, 및 제4 코너부(254)와 제1 코너부(251)의 사이에 제1 변부(256), 제2 변부(257), 제3 변부(258) 및 제4 변부(259)를 갖고 있다. 제1 코너부(251), 제2 코너부(252), 제3 코너부(253) 및 제4 코너부(254)에는 Z축 방향의 타방측 -Z를 향하여 돌출된 볼록부(251a, 252a, 253a, 254a)가 형성되어 있고, 직사각형 프레임(25)은, 커버(1600)의 연결부(163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632)에 볼록부(251a, 252a, 253a, 254a)가 끼워진 상태로 커버(1600)에 고정된다.
또한, 직사각형 프레임(25)은, 제2 코너부(252) 및 제4 코너부(254)로부터 Z축 방향의 일방측 +Z(광축 L 방향의 타방측)로 돌출된 지지판부(255)를 갖고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지지판부(255)의 직경 방향 외측의 면에는, 둘레 방향의 양편에서 대향하는 벽면(255a, 255b)과, Z축 방향의 일방측 +Z를 향햐는 벽면(255c)이 형성되어 있고, 벽면(255a, 255b)의 사이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오목부로 되어 있다.
여기서, 벽면(255a, 255b)의 사이에는, L자 형상으로 절곡된 판형 부재(33)가 고정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판형 부재(33)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판부(331)와, 제1 판부(331)의 Z축 방향의 일방측 +Z의 단부에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절곡된 제2 판부(332)를 갖고 있으며, 제1 판부(331)가 직사각형 프레임(25)에 형성된 지지판부(255)의 벽면(255c) 및 벽면(255a, 255b)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직사각형 프레임(25)의 제2 코너부(252) 및 제4 코너부(254)에서는, 판형 부재(33)의 제2 판부(332)와, 지지판부(255)의 벽면(255a, 255b, 255c)에 의해 주위가 둘러싸여져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오목부의 직경 방향 내측에 판형 부재(33)의 제1 판부(331)가 위치한다. 본 형태에서는, 제1 판부(331)의 직경 방향 외측의 면에는 반구형으로 오목해진 수용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110)에 있어서, Z축 방향의 일방측 +Z(광축 L 방향의 타방측)로부터 Z축 방향의 타방측 -Z(광축 L 방향의 일방측)를 향하여 돌출된 홀더 보유 지지부(1120)의 외주측에는, X축 방향의 일방측 +X이면서 Y축 방향의 타방측 -Y, 및 X축 방향의 타방측 -X이면서 Y축 방향의 일방측 +Y에 오목부(116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오목부(1160)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막도록, L자 형상으로 절곡된 판형 부재(34)가 고정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판형 부재(34)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판부(341)와, 제1 판부(341)의 Z축 방향의 타방측 -Z의 단부에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절곡된 제2 판부(342)를 갖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제1 판부(341)의 직경 방향 외측의 면에는 반구형으로 오목해진 수용부(34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직사각형 프레임(25), 가동 프레임(32), 구체(38), 판형 부재(33, 34) 및 프레임(1110)을 사용하여, 가동 모듈(10)을 광축 L 방향에 교차하는 제1 축선 L1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가동 모듈(10)을 광축 L 방향 및 제1 축선 L1에 교차하는 제2 축선 L2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프레임(32)의 제2 코너부(322)와 직사각형 프레임(25)의 제2 코너부(252)의 요동 지지부, 및 가동 프레임(32)의 제4 코너부(324)와 직사각형 프레임(25)의 제4 코너부(254)의 요동 지지부에서는, 판형 부재(33)가 가동 프레임(32)의 제2 코너부(322) 및 제4 코너부(324)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구체(38)가 수용부(330)에서 지지된다. 그 결과, 가동 프레임(32)에 있어서 제1 축선 L1 상에 위치하는 제2 코너부(322) 및 제4 코너부(324)가 직사각형 프레임(25)(고정체(20))의 제2 코너부(252) 및 제4 코너부(254)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가동 프레임(32)의 제1 코너부(321)와 프레임(1110)의 요동 지지부, 및 가동 프레임(32)의 제3 코너부(323)와 프레임(1110)의 요동 지지부에서는, 프레임(1110)에 설치한 판형 부재(34)가, 가동 프레임(32)의 제1 코너부(321) 및 제3 코너부(323)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구체(38)가 수용부(340)에서 지지된다. 그 결과, 가동 프레임(32)에 있어서 제2 축선 L2 상에 위치하는 제1 코너부(321) 및 제3 코너부(323)는, 프레임(1110)(가동 모듈(10))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가동 모듈(10)은, 짐벌 기구(30)에 사용한 가동 프레임(32)을 통하여, 고정체(20)에 제1 축선 L1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제2 축선 L2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가동 프레임(32) 및 판형 부재(33, 34)는, 모두 코일 보유 지지부(1150)와 동일한 높이 위치(Z축 방향에서의 동일한 위치)에 있다. 이로 인해, 광축 L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짐벌 기구(30)는,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500)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본 형태에서는, 광축 L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짐벌 기구(30)는,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500)의 Z축 방향의 중심과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 프레임(32)은, 스프링성을 갖는 금속 재료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가동 모듈(10)의 자중으로는 하방으로 휘지 않지만,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 때, 충격을 흡수 가능한 스프링성을 갖고 있다. 또한, 가동 프레임(32)은, 제1 연결부(326), 제2 연결부(327), 제3 연결부(328) 및 제4 연결부(329)가 각각 내측 및 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이로 인해, 제1 코너부(321), 제2 코너부(322), 제3 코너부(323) 및 제4 코너부(324)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제1 연결부(326), 제2 연결부(327), 제3 연결부(328) 및 제4 연결부(329)의 탄성에 의해, 구체(38)와 수용부(330, 340)가 탄성을 갖고 접해 있다. 따라서, 구체(38)와 수용부(330, 340)의 사이에 덜걱거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판형 스프링(70)의 구성)
본 형태의 가동 모듈(10)은, 가동 모듈(10)과 고정체(20)에 접속하여,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500)가 정지 상태에 있을 때의 가동 모듈(10)의 자세를 규정하는 판형 스프링(70)을 갖고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판형 스프링(70)은, 금속판을 소정 형상으로 가공한 스프링 부재이며,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고정체측 연결부(71)와, 원환형의 가동체측 연결부(72)와, 고정체측 연결부(71)와 가동체측 연결부(72)를 연결하는 판 스프링부(73)를 갖고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판 스프링부(73)는, 고정체측 연결부(71)의 코너 부분으로부터 둘레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접히면서 가동체측 연결부(72)까지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체측 연결부(71)는, 직사각형 프레임(25)의 Z축 방향의 타방측 -Z의 면에 고정되고, 가동체측 연결부(72)는, 프레임(1110)의 홀더 보유 지지부(1120)의 Z축 방향의 타방측 -Z의 단부면에 용접이나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사각형 프레임(25)의 볼록부(251a, 252a, 253a, 254a)가 고정체측 연결부(71)의 구멍(710)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체측 연결부(71)가 직사각형 프레임(25)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홀더 보유 지지부(1120)의 Z축 방향의 타방측 -Z의 단부면에는 볼록부(1123)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볼록부(1123)가 가동체측 연결부(72)의 절결(720)에 끼워진 상태로, 가동체측 연결부(72)가 홀더 보유 지지부(1120)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짐벌 기구(30)는,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500)의 Z축 방향의 중심과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반해, 판형 스프링(70)은,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500)의 Z축 방향의 중심과 겹치는 위치로부터 Z축 방향의 타방측 -Z에 위치한다.
본 형태에 있어서, 짐벌 기구(30) 및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500)는, 가동 모듈(10)에 Z축 방향의 도중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본 형태에서는, 짐벌 기구(30) 및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500)는, 가동 모듈(10)의 Z축 방향의 중간 위치(중앙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짐벌 기구(30) 및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500)는, Z축 방향에 있어서, 가동 모듈(10)의 Z축 방향에서의 무게 중심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광학 모듈(1)은, Z축 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Z축 방향의 일방측 +Z로 무게 중심이 어긋나 있지만, 본 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모듈(10)은, 광학 모듈(1)의 Z축 방향의 타방측 -Z의 단부에 설치된 웨이트(5)를 갖고 있다. 이로 인해, 광축 L 방향에 있어서, 가동 모듈(10)의 무게 중심 위치는, 웨이트(5)에 의해 광학 모듈(1)의 무게 중심 위치로부터 짐벌 기구(30)(지지 기구)에 의한 지지 위치측으로 시프트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모듈(10)의 무게 중심 위치는, 가동 모듈(10)의 Z축 방향의 중간 위치(중앙 위치)에 위치하고, 이러한 무게 중심 위치와 Z축 방향에서의 동일 위치에 짐벌 기구(30)가 설치되어 있다.
[웨이트(5) 등의 상세 구성]
도 11은, 도 6에 도시하는 가동 모듈에 사용한 웨이트(5) 등의 설명도이며, 도 11의 (a), (b), (c)는 웨이트(5)를 광축 L 방향의 후방측(Z축 방향의 일방측 +Z)에서 본 사시도, 웨이트(5)를 광학 모듈(1)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 및 웨이트(5)를 광학 모듈(1)에 설치한 지점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웨이트(5)는, 광축 L이 통과하는 위치에 개구부(50)가 형성된 전방판부(51)와, 전방판부(51)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광축 L 방향의 후방측(Z축 방향의 일방측 +Z)으로 굴곡된 통부(52)를 갖고 있으며, 웨이트(5)의 광축 L 방향의 전방측의 단부면(51a)은, 광축 L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전방판부(51) 및 개구부(50)는 원형이며, 통부(52)는 원통형이다.
웨이트(5)는, 광학 모듈(1)의 광축 L 방향의 전방측 단부(1c)에 덮이도록 홀더(4)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웨이트(5)의 전방판부(51)는, 광학 모듈(1)의 전방측 단부(1c)에 광축 L 방향의 전방측으로부터 겹치고, 통부(52)는, 전방측 단부(1c)의 외측면을 전체 둘레에 걸쳐 둘러싼다.
광학 모듈(1)의 홀더(4)는, 렌즈(1a) 등을 보유 지지하는 통형의 제1 홀더(2)와, 제1 홀더(2)를 보유 지지하는 통형의 제2 홀더(3)를 구비하고 있고, 도 7에 도시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부(101)는, 제2 홀더(3)의 각통부(3a)에 의해 구성되고, 도 7에 도시하는 원통부(102)는, 제2 홀더(3)의 원통부(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홀더(2)는, 일부가 제2 홀더(3)의 원통부(3b)의 전방 단부면(3c)으로부터 광축 L 방향의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광학 모듈(1)의 전방측 단부(1c)는, 제1 홀더(2)의 제2 홀더(3)로부터 광축 L 방향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부분(2a)을 포함한다. 제1 홀더(2)는, 예를 들어 제1 홀더(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2e)와, 제2 홀더(3)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3e)에 의해 제2 홀더(3)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홀더(2)에는, 렌즈(1a)가 1매만 보유 지지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매의 렌즈나 조리개 등(도시하지 않음)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광학 모듈(1)의 홀더(4)에 비해, 웨이트(5)는, 전방측 단부(2a)와 전방판부(51)의 사이, 및 전방측 단부(2a)와 통부(52)의 사이의 양쪽에 간극(G)을 갖고 통부(52)의 광축 L 방향의 후방측 단부(52a)가 제2 홀더(3)의 전방 단부면(3c)에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웨이트(5)는 제1 홀더(2)와는 접하고 있지 않다.
본 형태에 있어서, 웨이트(5)는 비자성의 금속제이며, 예를 들어 놋쇠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웨이트(5)와 자석(520)의 사이에는 자기적인 흡인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광축 L 방향의 전방측으로부터 광을 광학 모듈(1)에 도입할 때, 웨이트(5)에서 반사한 광이 광학 모듈(1)로 진입하면, 이러한 광은 미광으로 되어 화상의 품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적어도 웨이트(5)의 개구부(50)의 전방측의 테두리(50a)는, 반사 방지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웨이트(5)의 개구부(50)의 전방측의 테두리(50a)에는, 흑색의 도장 등의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웨이트(5)의 개구부(50)의 테두리(50a) 외에 내주면(50b) 전체에 흑색의 도장 등의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또한, 웨이트(5)의 표면 전체에 흑색의 도장이나 흑색 수지의 피복 등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500) 등의 구성 및 기본 동작)
이와 같이 구성한 광학 유닛(100)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기기(1000)가 흔들리면, 이러한 흔들림은 자이로스코프(13)에 의해 검출되고, 제어용 IC(도시하지 않음)는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500)를 제어한다. 즉, 자이로스코프(13)에서 검출한 흔들림을 상쇄하는 구동 전류를 코일(560)에 공급한다. 그 때, 4개의 코일(560) 중 일부에 통전하고, 다른 코일(560)에는 통전하지 않는다. 또는, 4개의 코일(560) 모두에 통전하지만, 4개의 코일(560)에 공급하는 전류 밸런스를 제어한다. 그 결과, 가동 모듈(10)은, 제1 축선 L1 둘레 또는 제2 축선 L2 둘레로 요동하고, 손 떨림이 보정된다. 혹은, 가동 모듈(10)은, 제1 축선 L1 둘레로 요동함과 함께, 제2 축선 L2 둘레로 요동하고, 손 떨림이 보정된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1900)의 배치 구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형태의 광학 유닛(100)에 있어서, 제1 저판(1400)의 저판부(1420)에는, 개구부(1410)가 형성되어 있고, 가동 모듈(10)에 접속된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의 배선부(1840) 및 플렉시블 배선 기판(1900)의 배선부(1920)는, 개구부(1410)를 통하여 광학 유닛(100)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제1 플렉시블 배선 기판」, 「제2 플렉시블 배선 기판」 및 「제3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각각,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제1 띠 형상부(1860), 제2 띠 형상부(1870) 및 배선부(1920)에 상당한다.
제1 띠 형상부(1860) = 제1 플렉시블 배선 기판
제2 띠 형상부(1870) = 제2 플렉시블 배선 기판
배선부(1920) = 제3 플렉시블 배선 기판
도 4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은, 가동 모듈(10)의 광축 L 방향의 후방측 단부면(17) 중, 광축 L로부터 Y축 방향의 일방측 +Y로부터 인출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은, 가동 모듈(10)의 광축 L 방향의 후방측 단부면(17) 중, Y축 방향의 일방측 +Y의 단부로부터 인출되어 있고, 제2 접속부(1830)와 배선부(1840)의 경계 부분이 인출부로 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배선부(1840)가 제1 띠 형상부(1860)와 제2 띠 형상부(1870)로 분할되어 있지만, 제1 띠 형상부(1860)의 인출부(1861) 및 제2 띠 형상부(1870)의 인출부(1871)는, 모두 제2 접속부(1830)와 배선부(1840)의 경계 부분에 위치한다.
또한, 제1 띠 형상부(1860)는, 인출부(1861)로부터 Y축 방향에 있어서 광축 L로부터 타방측 -Y까지 연장되는 제1 연장부(1862)와, 제1 연장부(1862)의 선단측에서 광축 방향 후방측(Z축 방향의 일방측 +Z)을 향하여 만곡되는 제1 만곡부(1863)와, 제1 만곡부(1863)로부터 Y축 방향의 일방측 +Y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부(1864)를 갖고 있다. 또한, 제1 띠 형상부(1860)는, 인출부(1861)와 제1 연장부(1862)의 사이에 인출부(1861)로부터 광축 방향 후방측(Z축 방향의 일방측 +Z)을 향하여 만곡되는 제2 만곡부(1866)를 구비하고 있고, 제1 연장부(1862)는, 제2 만곡부(1866)로부터 가동 모듈(10)의 광축 L 방향의 후방측 단부면(17)에 간극을 개재하여 평행하게 대향하는 상태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가동 모듈(10)의 후방측 단부면(17)에는, 광축 L로부터 Y축 방향의 일방측 +Y로 후방측 단부면(17)에 판형의 스페이서(18)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스페이서(18)는, 후방측 단부면(17)과 제1 연장부(1862)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스페이서(18)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이며, Z축 방향의 타방측 -Z의 면에는, 접착제에 의해 가동 모듈(10)의 후방측 단부면(17)과 접착할 때 접착제 고임부로서 기능하는 오목부(18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18)의 Z축 방향의 일방측 +Z의 면에는, 접착제에 의해 제1 띠 형상부(1860), 제2 띠 형상부(1870) 및 배선부(1920)와 접착할 때 접착제 고임부로서 기능하는 오목부(18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 모듈(10)의 후방측 단부면(17)에는 광축 L의 연장선 상에 자이로스코프(13)가 고정되어 있는데, 자이로스코프(13)는 스페이서(18)보다 Z축 방향의 치수(두께 치수)가 작다. 이로 인해, 자이로스코프(13)와 제1 연장부(1862)의 사이에는 간극이 비어 있다. 또한, 자이로스코프(13)는, 스페이서(18)에 대하여 Y축 방향의 타방측 -Y에서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데, 스페이서(18)에는, Y축 방향의 타방측 -Y에 오목부(185)가 형성되어 있고, 자이로스코프(13)의 일부는, 스페이서(18)의 오목부(185)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자이로스코프(13)를 광축 L의 연장선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1864)는, 도중에서 제1 저판(1400)의 개구부(1410)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있고, 광축 L로부터 Y축 방향의 일방측 +Y에서 제1 저판(1400)의 Z축 방향의 일방측 +Z의 면에 고정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제1 띠 형상부(1860)의 제2 연장부(1864)는, 양면 테이프 등의 가요성 시트(19)에 의해 제1 저판(1400)에 고정되고, 이러한 고정 위치가 고정체(20)의 고정부(1865)로 되어 있다. 여기서, Z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고정부(1865)는 인출부(1861)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띠 형상부(1860)와 마찬가지로, 제2 띠 형상부(1870)는, 제1 띠 형상부(1860)에 대하여 X축 방향의 타방측 -X에, 인출부(1871)로부터 Y축 방향에 있어서 광축 L로부터 타방측 -Y까지 연장되는 제1 연장부(1872)와, 제1 연장부(1872)의 선단측에서 광축 방향 후방측(Z축 방향의 일방측 +Z)을 향하여 만곡되는 제1 만곡부(1873)와, 제1 만곡부(1873)로부터 Y축 방향의 일방측 +Y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부(1874)를 갖고 있다. 또한, 제2 띠 형상부(1870)도, 제1 띠 형상부(1860)와 마찬가지로, 인출부(1871)와 제1 연장부(1872)의 사이에 인출부(1871)로부터 광축 방향 후방측(Z축 방향의 일방측 +Z)을 향하여 만곡되는 제2 만곡부(1876)를 구비하고 있고, 제1 연장부(1872)는, 제2 만곡부(1876)로부터 가동 모듈(10)의 광축 L 방향의 후방측 단부면(17)에 간극을 개재하여 평행하게 대향하는 상태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 단부면(17)과 제1 연장부(1872)의 사이에는 스페이서(18)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제2 연장부(1874)는, 제2 연장부(1864)와 마찬가지로, 도중에서 제1 저판(1400)의 개구부(1410)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있고, 광축 L로부터 Y축 방향의 일방측 +Y에서 제1 저판(1400)의 Z축 방향의 일방측 +Z의 면에 가요성 시트(19)에 의해 제1 저판(1400)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시트(19)에 의한 고정 위치가, 제2 띠 형상부(1870)의 고정체(20)에의 고정부(1875)로 되어 있다.
배선부(1920)는, 프레임(1110)의 광축 L 방향의 후방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있는데, 제1 띠 형상부(1860) 및 제2 띠 형상부(1870)와 마찬가지로, 제1 띠 형상부(1860)와 제2 띠 형상부(1870)에 의해 X축 방향에서 끼워진 위치에, 인출부(1921)로부터 Y축 방향에 있어서 광축 L로부터 타방측 -Y까지 연장되는 제1 연장부(1922)와, 제1 연장부(1922)의 선단측에서 광축 방향 후방측(Z축 방향의 일방측 +Z)을 향하여 만곡되는 제1 만곡부(1923)와, 제1 만곡부(1923)로부터 Y축 방향의 일방측 +Y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부(1924)를 갖고 있다. 또한, 배선부(1920)도, 제1 띠 형상부(1860) 및 제2 띠 형상부(1870)와 마찬가지로, 인출부(1921)와 제1 연장부(1922)의 사이에 인출부(1921)로부터 광축 방향 후방측(Z축 방향의 일방측 +Z)을 향하여 만곡되는 제2 만곡부(1926)를 구비하고 있고, 제1 연장부(1922)는, 제2 만곡부(1926)로부터 가동 모듈(10)의 광축 L 방향의 후방측 단부면(17)에 간극을 개재하여 평행하게 대향하는 상태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 단부면(17)과 제1 연장부(1922)의 사이에는 스페이서(18)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제2 연장부(1924)는, 제2 연장부(1864, 1874)와 마찬가지로, 도중에서 제1 저판(1400)의 개구부(1410)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있고, 광축 L로부터 Y축 방향의 일방측 +Y에서 제1 저판(1400)의 Z축 방향의 일방측 +Z의 면에 가요성 시트(19)에 의해 제1 저판(1400)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시트(19)에 의한 고정 위치가, 배선부(1920)의 고정체(20)에의 고정부(1925)로 되어 있다.
여기서, Z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 띠 형상부(1860)와 배선부(1920)에서는, 제1 만곡부(1863, 1923)가 Y축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있고, 제1 만곡부(1863)는, 제1 만곡부(1923)로부터 Y축 방향의 타방측 -Y에 위치한다. 또한, Z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2 띠 형상부(1870)와 배선부(1920)는, 제1 만곡부(1873, 1923)가 Y축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있고, 제1 만곡부(1873)는, 제1 만곡부(1923)로부터 Y축 방향의 타방측 -Y에 위치한다. 또한, 제1 띠 형상부(1860)와 제2 띠 형상부(1870)에서는, 제1 만곡부(1863, 1873)가 Y축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있다.
이로 인해, 폭 치수가 동일한 제1 띠 형상부(1860)와 제2 띠 형상부(1870)에서는, 인출부(1861, 1871)부터 고정부(1865, 1875)까지의 길이 치수가 동일하다. 또한, 폭 치수가 상이한 제1 띠 형상부(1860)(제2 띠 형상부(1870))와 배선부(1920)를 비교하면, 폭 치수가 큰 제1 띠 형상부(1860)(제2 띠 형상부(1870))의 인출부(1861)(인출부(1871))부터 고정부(1865)(고정부(1875))까지의 길이 치수 쪽이, 배선부(1920)의 인출부(1921)부터 고정부(1925)까지의 길이 치수보다 길다.
(본 형태의 주요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태의 광학 유닛(100)에 있어서, 짐벌 기구(30)(지지 기구)가 가동 모듈(10)의 Z축 방향의 도중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가동 모듈(10)은, 가동 모듈(10)의 Z축 방향의 도중 위치를 중심으로 요동한다. 이로 인해, 가동 모듈(10)을 동일한 각도로 요동시킨 경우라도, 가동 모듈(10)이 광축 방향 후방측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구성보다,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있어서 광축 방향 전방측에서의 가동 모듈(10)의 변위량의 최댓값이 작다. 따라서, 가동 모듈(10)의 둘레에는, 광축 L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큰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광학 유닛(100)의 광축 L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가동 모듈(10)이, 가동 모듈(10)의 Z축 방향의 도중 위치를 중심으로 요동하는 경우, 가동 모듈(10)이 광축 방향 후방측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구성보다, 광축 방향 후방측에서의 가동 모듈(10)의 변위량이 크기 때문에, 가동 모듈(10)의 광축 방향 후방측에 설치된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1900)의 배선부(1840, 1920)의 변위량도 커진다. 그런데, 본 형태에서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1900)에는, 광축 L로부터 Y축 방향의 일방측 +Y에 있는 인출부(1861, 1871, 1921)로부터 광축 L로부터 Y축 방향의 타방측 -Y까지 연장되는 제1 연장부(1862, 1872, 1922)와, 제1 연장부(1862, 1872, 1922)의 선단측에서 광축 방향 후방측을 향하여 만곡되는 제1 만곡부(1863, 1873, 1923)와, 제1 만곡부(1863, 1873, 1923)로부터 Y축 방향의 일방측 +Y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부(1864, 1874, 19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연장부(1864, 1874, 1924)에 있어서 고정체(20)에 접속된 고정부(1865, 1875, 1925)는, 광축 L로부터 Y축 방향의 일방측 +Y에 있다. 이로 인해,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1900)의 인출부(1861, 1871, 1921)부터 고정부(1865, 1875, 1925)까지의 치수가 길므로, 가동 모듈(10)이 요동했을 때,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1900)으로부터 가동 모듈(10)에 가해지는 힘이 작다. 그로 인해, 가동 모듈(10)을 적정하게 요동시킬 수 있으므로, 손 떨림 등의 흔들림을 적정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Z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인출부(1861, 1871, 1921)와 고정부(1865, 1875, 1925)가 겹쳐 있다. 이로 인해,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1900)의 인출부(1861, 1871, 1921)부터 고정부(1865, 1875, 1925)까지의 치수가 보다 길므로, 가동 모듈(10)이 요동했을 때,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1900)으로부터 가동 모듈(10)에 가해지는 힘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1900)은, 인출부(1861, 1871, 1921)와 제1 연장부(1862, 1872, 1922)의 사이에 제2 만곡부(1866, 1876, 192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동 모듈(10)의 후방측 단부면(17)에는, 광축 L로부터 Y축 방향의 일방측 +Y로 후방측 단부면(17)과 제1 연장부(1862, 1872, 1922)의 사이에 개재하는 스페이서(18)가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1900)의 제1 연장부(1862, 1872, 1922)를 가동 모듈(10)의 후방측 단부면(17)에 평행에 가까운 자세로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1900)의 제1 연장부(1862, 1872, 1922)와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17)이 간섭하기 어려우므로, 가동 모듈(10)이 요동했을 때,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1900)으로부터 가동 모듈(10)에 가해지는 힘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동 모듈(10)의 후방측 단부면(17)에는 자이로스코프(13)가 고정되어 있는데, 자이로스코프(13)는 스페이서(18)보다 얇다. 이로 인해,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1900)과 자이로스코프(13)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자이로스코프(13)에 있어서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1900)과의 접촉에 기인하는 흔들림의 오검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 1900)에서는, 제1 띠 형상부(1860), 제2 띠 형상부(1870) 및 배선부(1920)로서 연장되어 있으므로, 1매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을 사용한 경우보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으로부터 가동 모듈(10)에 가해지는 힘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띠 형상부(1860), 제2 띠 형상부(1870) 및 배선부(1920)가 X축 방향으로 어긋나 있기 때문에, 가동 모듈(10)이 요동했을 때, 제1 띠 형상부(1860), 제2 띠 형상부(1870) 및 배선부(1920)의 추종이 플렉시블 배선 기판끼리의 접촉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3매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제1 띠 형상부(1860), 제2 띠 형상부(1870) 및 배선부(1920)) 중, X축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띠 형상부(1860) 및 제2 띠 형상부(1870)는, 폭 치수가 동일하고, 인출부(1861, 1871)부터 고정부(1865, 1875)까지의 길이 치수가 동일하다. 이로 인해, 제1 띠 형상부(1860) 및 제2 띠 형상부(1870)로부터 가동 모듈(10)에 가해지는 힘의 밸런스를 X축 방향에서 취할 수 있다.
또한, 폭 치수가 상이한 제1 띠 형상부(1860)(제2 띠 형상부(1870))와 배선부(1920)를 비교하면, 폭 치수가 큰 제1 띠 형상부(1860)(제2 띠 형상부(1870))의 인출부(1861)(인출부(1871))부터 고정부(1865)(고정부(1875))까지의 길이 치수 쪽이, 배선부(1920)의 인출부(1921)부터 고정부(1925)까지의 길이 치수보다 길다. 이로 인해, 폭 치수가 큰 제1 띠 형상부(1860)(제2 띠 형상부(1870))여도, 가동 모듈(10)의 흔들림에 추종하여 변형되기 쉽다.
또한, 3매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제1 띠 형상부(1860), 제2 띠 형상부(1870) 및 배선부(1920)) 중, X축 방향에서 인접하는 부분에서는, 제1 만곡부(1863, 1873, 1923)의 위치가 Y축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이로 인해, 가동 모듈(10)이 요동했을 때, 제1 띠 형상부(1860), 제2 띠 형상부(1870) 및 배선부(1920)의 추종이 플렉시블 배선 기판끼리의 접촉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저판(1400)에는 제2 연장부(1864, 1874, 1924)를 광축 방향 후방측으로 인출하는 개구부(14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띠 형상부(1860), 제2 띠 형상부(1870) 및 배선부(1920)를 제1 저판(1400)에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개구부(1410)는 제2 저판(1500)으로 덮으므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짐벌 기구(30)(지지 기구)는, 가동 모듈(10)의 Z축 방향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모듈(10)을 요동시켰을 때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의 변위량의 최댓값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동 모듈(10)에서는, 광학 모듈(1)의 광축 L 방향의 전방측 단부(1c)에 웨이트(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광축 L 방향에 있어서, 가동 모듈(10)의 무게 중심 위치를 광학 모듈(1)의 무게 중심 위치로부터 짐벌 기구(30)(지지 기구)에 의한 지지 위치측으로 시프트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짐벌 기구(30)(지지 기구)는, Z축 방향에 있어서 가동 모듈(10)의 무게 중심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비교적 작은 구동력으로 가동 모듈(10)을 적정하게 요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가동 모듈(10)을 요동시켰을 때의 기계적 공진을 억제할 수 있는 등, 가동 모듈(10)에 의해 손 떨림을 적정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5)는, 광학 모듈(1)의 광축 L 방향의 전방측 단부(1c)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광학 모듈(1)의 광축 L 방향의 후방측 단부에 촬상 소자(1b)나 프레임(1110) 등을 설치했기 때문에 광학 모듈(1)의 광축 L 방향의 후방측 단부의 질량이 크게 되어 있어도, 가동 모듈(10)의 Z축 방향의 중간 위치에 무게 중심을 설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가동 모듈(10)의 Z축 방향의 중간 위치에 설정한 짐벌 기구(30)(지지 기구)에 의한 지지 위치와, 가동 모듈(10)의 무게 중심 위치를 Z축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웨이트(5)는, 광학 모듈(1)에 있어서 짐벌 기구(30)에 의한 지지 위치로부터 가장 이격된 광축 L 방향의 전방측 단부(1c)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모듈(10)의 무게 중심 위치를 효율적으로 시프트시킬 수 있다.
또한, 웨이트(5)의 단부면(51a)은, 광축 L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을 포함하기 때문에, 웨이트(5)에서는, 짐벌 기구(30)에 의한 지지 위치로부터 가장 이격된 부분의 질량이 크다. 그로 인해, 무게 중심 위치를 광축 L 방향에서 효과적으로 시프트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 때, 가동 모듈(10)이 광축 L 방향의 전방측으로 변위하여 가동 모듈(10)의 전방측 단부가 고정체(20)와 접촉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에도 가동 모듈(10)의 전방측 단부에 위치하는 웨이트(5)가 고정체(20)에 접촉한다. 이로 인해, 렌즈(1a)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5)의 단부면(51a)은, 광축 L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을 포함하기 때문에, 웨이트(5)는 넓은 면적에서 고정체(20)와 접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가동 모듈(10)이 받는 충격이 완화된다.
또한, 웨이트(5)는, 전방판부(51)와, 가동 모듈(10)의 전방측 단부(1c)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통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전방판부(51)의 광축 L 방향의 치수(두께)를 크게 하여 웨이트(5)의 질량을 증대시킨 경우와 달리, 광학 모듈(1)에 질량이 큰 웨이트(5)를 설치해도, 가동 모듈(10)의 광축 L 방향의 사이즈 증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5)에 있어서, 전방판부(51)는 원판형이며, 통부(52)는 원통형이다. 이로 인해, 웨이트(5)는, 광축 L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의 전체에 걸쳐 질량 분포가 일정하다. 이로 인해, 가동 모듈(10)을 광축 L을 중심으로 하는 어느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경우라도, 웨이트(5)의 영향이 일정하다. 그로 인해,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500)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다.
또한, 광학 모듈(1)은, 전방측 단부(1c)가 제1 홀더(2)의 제2 홀더(3)로부터 광축 L 방향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부분(2a)을 포함하고, 웨이트(5)는 제1 홀더(2)와 접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렌즈(1a)의 초점 조정을 위해 제2 홀더(3)에 대한 제1 홀더(2)의 광축 L 방향에서의 설치 위치가 바뀐 경우라도, 웨이트(5)를 동일 지점에 설치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웨이트(5)에 의해 가동 모듈(10)의 무게 중심 위치를 적정하게 시프트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100)의 가동 모듈(10)의 설명도이며, 도 12의 (a), (b)는 가동 모듈(10)의 광학 모듈(1) 등을 피사체측에서 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하는 광학 모듈(1) 등의 세부 설명도이며, 도 13의 (a), (b)는 광학 모듈(1) 등을 세밀하게 분해했을 때의 분해 사시도, 및 스페이서 등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100)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의 제2 만곡부(1866) 부근의 설명도이며, 도 14의 (a), (b)는 제2 만곡부(1866) 부근의 측면도, 및 제2 만곡부(1866) 부근의 단면도이다. 또한, 본 형태의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도시하고,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4의 (a)에서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의 제2 띠 형상부(1870)에 있어서 제1 띠 형상부(1860)와 대응하는 부분에 괄호 쓰기로 부호를 나타내고 있다.
본 형태의 광학 유닛(100)(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에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가동 모듈(10)은 렌즈(1a)(광학 소자)를 구비한 광학 모듈(1)을 갖고 있으며, 광학 모듈(1)에는, 촬상 소자(1b)에서 얻어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 출력용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이 접속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은, 직사각형의 제1 실장부(1811)와, 제1 실장부(1811)의 Y축 방향의 타방측 -Y의 단부에서 광축 L 방향의 후방측(Z축 방향의 일방측 +Z)을 향하여 만곡되는 만곡부(1820)와, 만곡부(1820)에 Y축 방향의 일방측 +Y에서 연결되는 직사각형의 제2 실장부(1812)와, 제2 실장 부분(1812)으로부터 외부로 배치된 배선부(1840)를 갖고 있다. 제1 실장부(1811)에 있어서, 광축 L 방향의 전방측에 촬상 소자(1b)가 실장되고, 광축 L 방향의 후방측에는 보강판(1813)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실장부(1812)에 있어서, 광축 L 방향의 전방측에는 보강판(1814)이 설치되고, 광축 L 방향의 후방측에는 자이로스코프(13) 및 캐패시터 등의 전자 부품(14)이 실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가동 모듈(10)의 광축 L 방향의 후방측 단부면(17)(Z축 방향의 일방측 +Z의 단부면)은,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의 제2 실장부(1812)의 Z축 방향의 일방측 +Z의 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배선부(1840)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1850)에 의해 X축 방향에서 병렬되는 제1 띠 형상부(1860)와 제2 띠 형상부(1870)로 분할되어 있다. 제1 띠 형상부(1860)는, 인출부(1861)로부터 Y축 방향에 있어서 광축 L로부터 타방측 -Y까지 연장되는 제1 연장부(1862)와, 제1 연장부(1862)의 선단측에서 광축 방향 후방측(Z축 방향의 일방측 +Z)을 향하여 만곡되는 제1 만곡부(1863)와, 제1 만곡부(1863)로부터 Y축 방향의 일방측 +Y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부(1864)를 갖고 있다. 또한, 제1 띠 형상부(1860)는, 인출부(1861)와 제1 연장부(1862)의 사이에 인출부(1861)로부터 광축 방향 후방측(Z축 방향의 일방측 +Z)을 향하여 만곡되는 제2 만곡부(1866)를 구비하고 있고, 제1 연장부(1862)는, 제2 만곡부(1866)로부터 가동 모듈(10)의 광축 L 방향의 후방측 단부면(17)에 간극을 개재하여 평행하게 대향하는 상태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2 연장부(1864)는, 양면 테이프 등의 가요성 시트(19)에 의해 제1 저판(1400)에 고정되고, 이러한 고정 위치가 고정체(20)의 고정부(1865)로 되어 있다. 여기서, Z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고정부(1865)는, 인출부(1861)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2 띠 형상부(1870)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형태에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가동 모듈(10)의 후방측 단부면(17)에는 자이로스코프(13)를 둘러싸도록 프레임형의 스페이서(16)가 접착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16)는, Y축 방향의 일방측 +Y에 두꺼운 부분을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두꺼운 부분에 의해, 스페이서(16)에는 광축 L로부터 Y축 방향의 일방측 +Y에서 광축 방향 후방측(Z축 방향의 일방측 +Z)으로 돌출된 돌출부(16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자이로스코프(13)의 광축 L 방향에서의 두께는, 스페이서(16)에 있어서 돌출부(160)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광축 L 방향의 두께보다 작다. 스페이서(16)에 있어서, Z축 방향의 타방측 -Z의 면에는, 접착제에 의해 가동 모듈(10)의 후방측 단부면(17)과 접착할 때 접착제 고임부로서 기능하는 오목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16)의 Z축 방향의 일방측 +Z의 면에는, 돌출부(160)에 대하여 오목부(161)가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16)에는, 돌출부(160)에 대하여 소정의 간극을 개재하여 광축 L 방향 후방측에서 겹치는 클램프 부재(15)가 설치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스페이서(16)의 돌출부(160)의 X축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면(164)에는 걸림 결합 돌기(165)가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 부재(15)는, 금속판이나 수지판을 포함하고, 돌출부(160)에 대하여 광축 L 방향 후방측에서 겹치는 위치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형의 누름부(151)와, 누름부(151)의 양단으로부터 광축 L 방향 전방측으로 굴곡된 연결판부(152)를 갖고 있으며, 연결판부(152)에는, 스페이서(16)의 걸림 결합 돌기(165)가 끼워지는 걸림 결합 구멍(15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클램프 부재(15)의 걸림 결합 구멍(153)을 스페이서(16)의 걸림 결합 돌기(165)에 끼우면, 클램프 부재(15)를 스페이서(16)에 고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스페이서(16)의 돌출부(160)와 클램프 부재(15)의 누름부(151)의 사이에는 넓은 간극이 비어 있으며, 본 형태에서는 스페이서(16)의 돌출부(160)와 클램프 부재(15)의 누름부(151)의 사이에 평판형의 탄성 부재(150)를 끼운 상태에서, 클램프 부재(15)를 스페이서(16)에 고정한다. 그 때,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의 제1 띠 형상부(1860)의 제1 연장부(1862), 및 제2 띠 형상부(1870)의 제1 연장부(1872)를 스페이서(16)의 돌출부(160)와 탄성 부재(150)에 통과시켜 둔다. 그 결과,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의 제1 띠 형상부(1860)의 제1 연장부(1862), 및 제2 띠 형상부(1870)의 제1 연장부(1872)에 있어서, Y축 방향의 일방측 +Y에 위치하는 부분이 보유 지지되고, 위치 결정된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 따르면, 가동 모듈(10)의 후방측 단부면(17)에는 자이로스코프(13)가 고정되어 있는데, 자이로스코프(13)와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의 제1 연장부(1862, 1872)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스페이서(16)에 고정된 클램프 부재(15)에 의해,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의 제1 띠 형상부(1860)의 제1 연장부(1862), 및 제2 띠 형상부(1870)의 제1 연장부(1872)에 있어서, Y축 방향의 일방측 +Y에 위치하는 부분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띠 형상부(1860) 및 제2 띠 형상부(1870)에 제2 만곡부(1866, 1876)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제2 만곡부(1866, 1876)의 반력이 제1 연장부(1862, 1872)에 미치기 어렵다.
또한, 스페이서(16)에 기계적으로 고정된 클램프 부재(15)에 의해, 제1 연장부(1862, 1872)에 있어서 Y축 방향의 일방측 +Y에 위치하는 부분을 보유 지지한다. 이로 인해, 접착제의 도포나 접착제의 경화 등과 같은 엄청난 손이 가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열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와 달리,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의 열적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이 접착제와의 습윤성이 나쁜 경우라도, 제1 연장부(1862, 1872)를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부재(15)에 있어서 제1 연장부(1862, 1872)를 보유 지지하는 누름부(151)가 평판형이기 때문에, 제1 연장부(1862, 1872)를 넓은 면적을 갖고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6)에 돌출부(160)를 설치하고, 이러한 돌출부(160)에 형성한 걸림 결합 돌기(165)와 클램프 부재(15)의 걸림 결합 구멍(153)을 이용하여 클램프 부재(15)를 스페이서(16)에 고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클램프 부재(15)를 스페이서(16)에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부재(15)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1 연장부(1862, 1872)를 보유 지지하는 작업의 재시도도 가능하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제1 연장부(1862, 1872)와 누름부(151)의 사이에 평판형 탄성 부재(15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연장부(1862, 1872)를 스페이서(16)의 돌출부(160)에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다. 특히, 클램프 부재(15)가 총 2개의 제1 연장부(1862, 1872)를 보유 지지하는 경우라도, 제1 연장부(1862, 1872)는 탄성 부재(150)를 통하여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2개의 제1 연장부(1862, 1872)는 균등한 힘으로 보유 지지되기 때문에, 가동 모듈(10)이 요동했을 때, 가동 모듈(10)에 대하여, 치우친 힘이 제1 연장부(1862, 1872)로부터 가해지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시를 생략했지만, 도 6 등에 도시하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1900)의 제1 연장부(1922)도 마찬가지로, 클램프 부재(15)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그 결과, 클램프 부재(15)가 총 3개의 제1 연장부(1862, 1872, 1922)를 보유 지지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제1 연장부(1862, 1872, 1922)는 탄성 부재(150)를 통하여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3개의 제1 연장부(1862, 1872, 1922)는 균등한 힘으로 보유 지지되기 때문에, 가동 모듈(10)이 요동했을 때, 가동 모듈(10)에 대하여, 치우친 힘이 제1 연장부(1862, 1872, 1922)로부터 가해지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 형태 1, 2의 변형예]
실시 형태 2에서 사용한 탄성 부재(150)에 대해서는, 클램프 부재(15)와 별체여도 되지만, 탄성 부재(150)를 클램프 부재(15)의 누름부(151)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해 두어도 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스페이서(16)에 걸림 결합 돌기(165)를 형성하고, 클램프 부재(15)의 연결판부(152)에 걸림 결합 구멍(153)을 형성했지만, 스페이서(16)에 걸림 결합 구멍을 형성하고, 클램프 부재(15)의 연결판부(152)에 걸림 결합 돌기를 형성해도 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의 제1 연장부(1862, 1872)와 클램프 부재(15)의 누름부(151)의 사이에 탄성 부재(150)를 설치했지만,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의 제1 연장부(1862, 1872)와 스페이서(16)의 돌출부(160)의 사이에 탄성 부재(150)를 설치해도 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스페이서(16)에 클램프 부재(15)를 고정했지만,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스페이서(18)에 클램프 부재(15)를 고정해도 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스페이서(18)에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을 접착제에 의해 고정했지만,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 스페이서(16)의 돌출부(160)에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을 접착제에 의해 고정해도 된다.
[웨이트(5)의 다른 구성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웨이트(5)를 광학 모듈(1)의 광축 L 방향의 전방측 단부(1c)에 설치했지만, 광학 모듈(1)의 구성에 따라서는, 웨이트(5)를 광학 모듈(1)의 광축 L 방향의 후방측 단부에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7 등에 도시하는 스페이서(18)를 웨이트(5)로서 직사각형 프레임형으로 하여 광학 모듈(1)의 광축 L 방향의 전방측 단부(1c)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웨이트(5)의 광축 L 방향의 후방측 단부면을 광축 L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하고, 웨이트(5)에 있어서, 짐벌 기구(30)에 의한 지지 위치로부터 가장 이격된 부분의 질량을 크게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웨이트(5)에서는, 짐벌 기구(30)에 의한 지지 위치로부터 가장 이격된 부분의 질량이 크다. 그로 인해, 무게 중심 위치를 광축 L 방향에서 효과적으로 시프트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 때, 가동 모듈(10)이 광축 L 방향의 후방측으로 변위되어 가동 모듈(10)의 후방측 단부가 고정체(20)와 접촉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에도 가동 모듈(10)의 후방측 단부에 위치하는 웨이트(5)가 고정체(20)에 접촉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자이로스코프(13)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5)의 단부면이 광축 L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을 포함하기 때문에, 웨이트(5)는 넓은 면적에서 고정체(20)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 모듈(10)이 받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스페이서(16)의 개량예 1]
도 15는, 본 발명을 적용한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에 사용한 스페이서(16)의 개량예 1의 설명도이다.
실시 형태 1에서 사용한 스페이서(18), 및 실시 형태 2에서 사용한 스페이서(16)에 대해서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1800)에 있어서 촬상 소자(1b)가 실장된 제1 실장부(1811)(도 12 및 도 13 등을 참조)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구성하고, 촬상 소자(1b)에서 발생한 열을 스페이서(16, 18)를 통하여 릴리프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16, 18)를 금속제 혹은 방열성이 높은 수지제로 한다. 또한, 스페이서(16, 18)를 가동 모듈(10)의 후방측 단부면(17)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할 때, 접착제로서 방열성이 높은 접착제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16)를 Y 방향에서 관통하도록 연장하여 측면(164c, 164d)에서 개구하는 관통 구멍(168a)이나, 스페이서(16)를 X 방향에서 관통하도록 연장하여 측면(164a, 164b)에서 개구하는 관통 구멍(168b)을 형성하고, 관통 구멍(168a, 168b)에 의해 방열 촉진부(168)를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방열 촉진부(168)에 따르면, 스페이서(16)로부터의 방열 면적을 넓힐 수 있으므로, 촬상 소자(1b)에서 발생한 열을 스페이서(16)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릴리프시킬 수 있다. 또한, 방열 촉진부(168)(관통 구멍(168a, 168b))의 연장 방향은, 광축 L과 교차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관통 구멍(168a, 168b)이, 제1 실장부(1811)나 가동 모듈(10) 등, 광축 L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부재로 막히기 어렵다. 그로 인해, 방열 촉진부(168)(관통 구멍(168a, 168b))로부터의 방열성이 손상되기 어렵다. 또한, 관통 구멍(168b)은, 돌출부(160)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3에 도시하는 클램프 부재(15)를 설치해도 막히지 않는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168a)을 X 방향에서 이격하는 2지점에 형성하고, 관통 구멍(168b)을 돌출부(160)로부터 Y 방향에서 이격하는 1지점에 형성했지만, 관통 구멍(168a, 168b)의 형성 위치나 수는, 스페이서(16)의 형상 등에 따라 변경해도 된다.
[스페이서(16)의 개량예 1]
도 16은, 본 발명을 적용한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에 사용한 스페이서(16)의 개량예 2의 설명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168a, 168b)에 의해 방열 촉진부(168)를 구성했지만,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16)에 있어서 X 방향에서 대향하는 측면(164a, 164b)에, 측면(164a, 164b)을 따라 Y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168c)을 형성하고, 홈(168c)에 의해 방열 촉진부(168)를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방열 촉진부(168)에 따르면, 스페이서(16)로부터의 방열 면적을 넓힐 수 있으므로, 촬상 소자(1b)에서 발생한 열을 스페이서(16)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릴리프시킬 수 있다. 또한, 방열 촉진부(168)(홈(168c))의 연장 방향은, 광축 L과 교차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관통 구멍(168a, 168b)이, 제1 실장부(1811)나 가동 모듈(10) 등, 광축 L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부재로 막히기 어렵다. 그로 인해, 방열 촉진부(168)(홈(168c))로부터의 방열성이 손상되기 어렵다. 또한, 방열 촉진부(168)(홈(168c))는, X 방향에서 개구되어 있으므로, 제1 연장부(1862, 1872) 등으로 막히기 어렵다.
[광학 유닛(100)의 다른 구성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에 사용하는 광학 유닛(100)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박형의 디지털 카메라 등에 사용하는 광학 유닛(100)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100)은 헬멧, 자전거, 라디콘 헬리콥터 등에 탑재되는 액션 카메라나 웨어러블 카메라로서 구성해도 된다. 이러한 카메라는, 큰 흔들림이 발생하는 상황에서의 촬영에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으므로 품위가 높은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100)은, 휴대 전화기나 디지털 카메라 등 외에, 냉장고 등, 일정 간격으로 진동을 갖는 장치 내에 고정하고, 원격 조작 가능하게 해 둠으로써, 출장지, 예를 들어 쇼핑시에, 냉장고 내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서비스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비스에서는 자세 안정화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시스템이기 때문에, 냉장고의 진동이 있어도 안정된 화상을 송신 가능하다. 또한, 본 장치를 아동, 학생의 가방, 란도셀 혹은 모자 등의, 통학시에 장착하는 디바이스에 고정해도 된다. 이 경우, 일정 간격으로 주위의 모습을 촬영하여, 미리 정한 서버로 화상을 전송하면, 이 화상을 보호자 등이 원격지에 있어서 관찰함으로써, 자녀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용도에서는, 카메라를 의식하지 않고 이동시의 진동이 있어도 선명한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 외에 GPS를 탑재하면, 대상자의 위치를 동시에 취득하는 것도 가능해져, 만일의 사고 발생시에는 장소와 상황의 확인을 순간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100)을 자동차에 있어서 전방이 촬영 가능한 위치에 탑재하면, 드라이브 리코더 등의 차량 탑재용 감시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100)을 자동차에 있어서 전방이 촬영 가능한 위치에 탑재하여, 일정 간격으로 자동적으로 주변의 화상을 촬영하고, 결정된 서버에 자동 전송해도 된다. 또한, 도로 교통 정보 통신 시스템 등의 정체 정보와 연동시켜, 이 화상을 배신함으로써, 정체 상황을 보다 상세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에 따르면, 자동차 탑재의 드라이브 리코더와 마찬가지로 사고 발생시 등의 상황을, 뜻하지 않게 지나치게 된 제3자가 기록하여 상황의 검증에 도움이 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자동차 진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선명한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이러한 용도의 경우, 전원을 온으로 하면, 제어부에 명령 신호가 출력되고, 이러한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흔들림 제어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100)은, 레이저 포인터, 휴대용이나 차량 탑재용의 투사 표시 장치나 직시형 표시 장치 등, 광을 출사하는 광학 기기의 흔들림 보정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천체 망원경 시스템 혹은 쌍안경 시스템 등, 고배율에서의 관찰에 있어서 삼각 등의 보조 고정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관찰하는 데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저격용 소총, 혹은 전차 등의 포탑으로 함으로써, 트리거시의 진동에 대하여 자세의 안정화가 도모되므로, 명중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서는, 가동 모듈이, 가동 모듈의 제1 방향의 도중 위치를 중심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가동 모듈을 동일한 각도로 요동시킨 경우라도, 가동 모듈이 광축 방향 후방측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구성보다,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제2 방향 및 제3 방향)에 있어서 광축 방향 전방측에서의 가동 모듈의 변위량이 작다. 따라서, 가동 모듈의 둘레에는,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큰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의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배선 기판에서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인출부부터 고정부까지의 치수가 길므로, 가동 모듈이 요동했을 때, 플렉시블 배선 기판으로부터 가동 모듈에 가해지는 힘이 작다. 그로 인해, 가동 모듈을 적정하게 요동시킬 수 있으므로, 손 떨림 등의 흔들림을 적정하게 보정할 수 있다.
1: 광학 모듈
1a: 렌즈(광학 소자)
1c: 광학 모듈의 전방측 단부
2: 제1 홀더
3: 제2 홀더
4: 홀더
5: 웨이트
10: 가동 모듈
13: 자이로스코프
15: 클램프 부재
150: 탄성 부재
151: 누름부
152: 연결판부
153: 걸림 결합 구멍
16: 스페이서
160: 돌출부
165: 걸림 결합 돌기
17: 가동 모듈의 후방측 단부면
18: 스페이서
20: 고정체
30: 짐벌 기구
50: 개구부
50a: 테두리
50b: 내주면
51: 전방판부
51a: 단부면
52: 통부
52a: 웨이트의 후방측 단부
100: 광학 유닛
500: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
1110: 프레임
1200: 케이스
1400: 제1 저판
1500: 제2 저판
1800, 1900: 플렉시블 배선 기판
1860: 제1 띠 형상부(제1 플렉시블 배선 기판)
1861, 1871, 1921: 인출부
1862, 1872, 1922: 제1 연장부
1863, 1873, 1923: 제1 만곡부
1864, 1874, 1924: 제2 연장부
1865, 1875, 1925: 고정부
1866, 1876, 1926: 제2 만곡부
1870: 제2 띠 형상부(제2 플렉시블 배선 기판)
1920: 배선부(제3 플렉시블 배선 기판)

Claims (23)

  1. 제1 방향을 따라 광축이 연장되는 광학 소자를 보유 지지하는 가동 모듈과,
    해당 가동 모듈의 둘레를 둘러싸는 동체부를 구비한 고정체와,
    상기 가동 모듈의 상기 제1 방향의 도중 위치에서 상기 가동 모듈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와,
    상기 가동 모듈을 요동시키는 흔들림 보정용 구동 기구와,
    상기 가동 모듈 및 상기 고정체에 접속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을 갖고,
    상기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광축으로부터 일방측에서 상기 가동 모듈로부터 인출된 인출부와, 해당 인출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광축으로부터 타방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가동 모듈의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에 간극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선단측에서 광축 방향 후방측을 향하여 만곡되는 제1 만곡부와, 상기 제1 만곡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상기 일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에 있어서 상기 광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상기 일방측에서 상기 고정체에 접속된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인출부와 상기 고정부가 겹쳐 있고,
    상기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상기 인출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사이에 상기 인출부로부터 광축 방향 후방측을 향하여 만곡되는 제2 만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만곡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상기 타방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에는, 상기 광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일방측에 상기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과 상기 제1 연장부의 사이에 개재하는 스페이서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페이서에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광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상기 스페이서와의 사이에서 보유 지지하는 클램프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에는, 상기 광축의 연장선 상에 상기 제1 방향의 치수가 상기 스페이서보다 작은 자이로스코프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에는, 상기 광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일방측에 상기 광축 방향 후방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스페이서가 고정되고,
    상기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과 상기 제1 연장부의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방향 후방측 단부면에는, 상기 광축의 연장선 상에 상기 제1 방향의 치수가 상기 돌출부보다 작은 자이로스코프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부재는, 상기 제1 연장부에 대하여 상기 스페이서와는 반대측에 겹치는 평판형의 누름부와, 해당 누름부로부터 상기 스페이서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스페이서에 연결된 연결판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부 및 상기 스페이서의 한쪽에는 걸림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상기 걸림 결합 구멍과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누름부의 사이,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스페이서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플렉시블 배선 기판에 있어서 촬상 소자가 실장되어 있는 실장부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금속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해당 스페이서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는 관통 구멍, 및 해당 스페이서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홈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방열 촉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촉진부의 연장 방향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16. 제1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복수매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3매 설치되고,
    상기 3매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 중, 상기 제3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플렉시블 배선 기판 및 제2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상기 제3 방향의 치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시블 배선 기판 및 상기 제2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상기 제3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시블 배선 기판과 상기 제2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플렉시블 배선 기판과 상기 제3 방향의 치수가 상이하고,
    상기 제1 플렉시블 배선 기판, 상기 제2 플렉시블 배선 기판, 및 상기 제3 플렉시블 배선 기판 중, 상기 제3 방향의 치수가 큰 플렉시블 배선 기판은, 상기 제3 방향의 치수가 작은 플렉시블 배선 기판보다, 상기 인출부부터 상기 고정부까지의 길이 치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1 플렉시블 배선 기판과 상기 제3 플렉시블 배선 기판에서는, 상기 제1 만곡부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있고,
    상기 제2 플렉시블 배선 기판과 상기 제3 플렉시블 배선 기판에서는, 상기 제1 만곡부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20. 제1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광축 방향 후방측으로, 상기 제2 연장부를 광축 방향 후방측으로 인출하는 개구부를 갖는 제1 저판과, 상기 개구부를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광축 방향 후방측에서 덮는 제2 저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에서는,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제1 저판의 광축 방향 후방측의 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21. 제1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상기 가동 모듈의 상기 제1 방향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22. 제1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동 모듈의 무게 중심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23. 제1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짐벌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KR1020167007368A 2013-09-25 2014-09-05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KR102304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98907 2013-09-25
JP2013198907 2013-09-25
JP2014055486 2014-03-18
JPJP-P-2014-055486 2014-03-18
PCT/JP2014/073434 WO2015045791A1 (ja) 2013-09-25 2014-09-05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003A KR20160062003A (ko) 2016-06-01
KR102304583B1 true KR102304583B1 (ko) 2021-09-27

Family

ID=52742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368A KR102304583B1 (ko) 2013-09-25 2014-09-05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89832B2 (ko)
JP (1) JP6412864B2 (ko)
KR (1) KR102304583B1 (ko)
CN (1) CN105556383B (ko)
TW (1) TWI542942B (ko)
WO (1) WO2015045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1001B2 (ja) * 2015-07-02 2020-04-2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CN106324941B (zh) * 2015-07-02 2019-08-27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带抖动校正功能光学单元
CN113448047A (zh) * 2016-04-28 2021-09-28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机构、相机模块和光学装置
JP6677586B2 (ja) * 2016-06-22 2020-04-0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コイルユニットおよび撮影用光学装置
WO2018139201A1 (ja) * 2017-01-27 2018-08-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及びカメラ駆動装置
JP6989275B2 (ja) 2017-03-30 2022-01-0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6921579B2 (ja) 2017-03-30 2021-08-1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6921601B2 (ja) * 2017-04-21 2021-08-1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2018205584A (ja) * 2017-06-07 2018-12-2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008202A (ja) 2017-06-27 2019-01-17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装置
JP7034616B2 (ja) 2017-07-12 2022-03-1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7046512B2 (ja) * 2017-07-12 2022-04-0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ローリング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および3軸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2019028112A (ja) * 2017-07-26 2019-02-2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6942572B2 (ja) * 2017-09-06 2021-09-2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揺れ補正機能付きアンテナ装置
JP7050500B2 (ja) * 2018-01-25 2022-04-0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磁気センサ装置
JP6951980B2 (ja) * 2018-01-29 2021-10-20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重心位置調整部材を備える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および、その重心位置調整部材の固定方法
JP7007215B2 (ja) * 2018-02-27 2022-01-2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構付きレーザポインタ
JP7007214B2 (ja) * 2018-02-27 2022-01-2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構付きレーザポインタおよびその揺れ抑制制御方法
JP7046653B2 (ja) * 2018-03-06 2022-04-0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WO2019216424A1 (ja) * 2018-05-11 2019-11-14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光学デバイス
JP2019200360A (ja) * 2018-05-17 2019-11-2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7137964B2 (ja) * 2018-05-17 2022-09-1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204033A (ja) * 2018-05-24 2019-11-2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装置
CN110784625B (zh) * 2018-07-25 2022-04-15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感光组件驱动机构
WO2020075176A1 (en) * 2018-10-08 2020-04-16 Ramachandran R Camera housing with simple sensor alignment mechanism
KR102620533B1 (ko) * 2018-10-12 2024-0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7323283B2 (ja) * 2018-11-30 2023-08-08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
JP7143034B2 (ja) 2018-12-12 2022-09-28 新思考電機有限公司 手振れ補正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CN111338163B (zh) * 2018-12-19 2021-12-03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光学组件固定结构及投影机
CN110602377B (zh) * 2019-03-18 2021-04-23 上海立可芯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稳像方法及装置
JP7235558B2 (ja) * 2019-03-28 2023-03-0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CN211826844U (zh) * 2019-08-02 2020-10-30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驱动机构
CN212519162U (zh) * 2019-08-02 2021-02-09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元件驱动机构
JP7325257B2 (ja) * 2019-08-09 2023-08-14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US11422357B2 (en) * 2019-08-23 2022-08-23 Tdk Taiwan Corp. Optical system
CN113055554B (zh) * 2019-12-26 2023-01-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KR102254906B1 (ko) * 2020-01-23 2021-05-25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KR20210132914A (ko) * 2020-04-28 2021-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1555538A (zh) * 2020-06-11 2020-08-18 新思考电机有限公司 Ois马达防抖机构、ois马达、照相装置、电子产品
CN111787735A (zh) * 2020-07-21 2020-10-16 新思考电机有限公司 一种fpc板连接结构、照相装置、电子产品
JP2022100780A (ja) * 2020-12-24 2022-07-0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CN112887543B (zh) * 2021-01-21 2022-02-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模组、电子设备、摄像模组的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13126314B (zh) * 2021-04-28 2023-07-18 新思考电机有限公司 光学防抖机构、透镜驱动装置和摄像装置及电子设备
JP2023006481A (ja) * 2021-06-30 2023-01-1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ケース及び光学ユニット
CN115225804B (zh) * 2021-09-23 2024-01-16 新思考电机有限公司 图像传感器驱动装置、照相机装置及电子设备
CN115225805A (zh) * 2021-09-23 2022-10-21 新思考电机有限公司 图像传感器驱动装置、照相机装置及电子设备
CN216905063U (zh) * 2022-03-22 2022-07-05 广州立景创新科技有限公司 摄像装置
CN117666250A (zh) * 2022-08-30 2024-03-08 荣耀终端有限公司 镜片承载装置、摄像模组以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1120A1 (en) * 2008-10-14 2010-04-15 Nidec Sankyo Corporation Optical unit with shake correcting function
JP2010096863A (ja) * 2008-10-14 2010-04-30 Nidec Sankyo Corp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2011069915A (ja) * 2009-09-24 2011-04-07 Nidec Sankyo Corp 振れ補正機能付きの光学ユニット
US20130100304A1 (en) * 2010-06-08 2013-04-25 Nidec Sankyo Corporation Optical Unit with Shake Correcting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5158B2 (ja) * 2005-09-30 2012-12-12 Hoya株式会社 光学機器
US20080074744A1 (en) * 2006-09-27 2008-03-27 Nikon Corporation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optical equipm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CN101726851B (zh) * 2008-10-14 2014-02-26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带有抖动修正功能的光学单元
JP2010096805A (ja) 2008-10-14 2010-04-30 Nidec Sankyo Corp 撮影用光学装置
JP5593118B2 (ja) * 2010-04-30 2014-09-1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6143622B2 (ja) * 2013-09-25 2017-06-0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6255290B2 (ja) * 2014-03-27 2017-12-2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における共振防止方法、および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6572028B2 (ja) * 2015-07-08 2019-09-0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コイルユニットおよび撮影用光学装置
US10353216B2 (en) * 2015-07-14 2019-07-16 Nidec Sankyo Corporation Optical unit with shake correction func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1120A1 (en) * 2008-10-14 2010-04-15 Nidec Sankyo Corporation Optical unit with shake correcting function
JP2010096863A (ja) * 2008-10-14 2010-04-30 Nidec Sankyo Corp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2011069915A (ja) * 2009-09-24 2011-04-07 Nidec Sankyo Corp 振れ補正機能付きの光学ユニット
US20130100304A1 (en) * 2010-06-08 2013-04-25 Nidec Sankyo Corporation Optical Unit with Shake Correct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31641A1 (en) 2016-08-11
JPWO2015045791A1 (ja) 2017-03-09
KR20160062003A (ko) 2016-06-01
JP6412864B2 (ja) 2018-10-24
TWI542942B (zh) 2016-07-21
TW201518850A (zh) 2015-05-16
CN105556383A (zh) 2016-05-04
US9989832B2 (en) 2018-06-05
WO2015045791A1 (ja) 2015-04-02
CN105556383B (zh)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583B1 (ko)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JP6143622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6077938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6077939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5828686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5771373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5848052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6486046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6483980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5698939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6770119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5755476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5519390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6182359B2 (ja) 光学ユニット
JP6503172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および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6093137B2 (ja) 光学ユニットおよび光学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6173695B2 (ja) 光学ユニット
JP5752978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