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096B1 -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의 축 씰링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의 축 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096B1
KR102300096B1 KR1020207011273A KR20207011273A KR102300096B1 KR 102300096 B1 KR102300096 B1 KR 102300096B1 KR 1020207011273 A KR1020207011273 A KR 1020207011273A KR 20207011273 A KR20207011273 A KR 20207011273A KR 102300096 B1 KR102300096 B1 KR 102300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chamber
propeller
ster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5769A (ko
Inventor
마사히로 시미즈
사이키 니시야마
신고 미사와
마사시 나카이에
미츠히로 오카모토
슌 타네구치
šœ 타네구치
Original Assignee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코포레이션
바르질라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코포레이션, 바르질라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55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21Bearings or seal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02Sealings comprising at least two sealings in succession
    • F16J15/004Sealings comprising at least two sealings in succession forming of recuperation chamber for the leak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4Sealing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02Sealings comprising at least two sealings in succession
    • F16J15/006Sealings comprising at least two sealings in succession with division of th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elastic or plastic packings
    • F16J15/18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elastic or plastic packings with lubricating, cooling or drai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4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r cooling of the sealing itsel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40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by means of fluid
    • F16J15/40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by means of fluid by at least on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1/0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 F16N11/08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with mechanical drive, other than directly by springs or we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22Lubricating-pumps with distribu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14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lubricant being conveyed from the reservoir by mechanical means
    • F16N7/16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lubricant being conveyed from the reservoir by mechanical means the oil being carried up by a lifting device
    • F16N7/2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lubricant being conveyed from the reservoir by mechanical means the oil being carried up by a lifting device with one or more members moving around the shaft to be lubricated
    • F16N7/22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lubricant being conveyed from the reservoir by mechanical means the oil being carried up by a lifting device with one or more members moving around the shaft to be lubricated shaped a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6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feed by pumping action of the member to be lubricated or of a shaft of the machine; Centrifugal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8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a separate pump; Central lubr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 B63H2005/10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with drive shafts of second or further propellers co-axially passing through hub of first propeller, e.g. counter-rotating tandem propellers with co-axial drive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21Bearings or seal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 B63H2023/327Sealing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or ster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6Shaft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06Mar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14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 Sealing Device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축 씰링 장치(50)가, 선미측의 선미관 씰(52),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54), 단일 에어 공급 장치(56), 선미관 드레인 회수 장치(58) 및 이중 반전 드레인 회수 장치(60)를 구비한다. 단일 에어 공급 장치(56)는 선미측의 선미관 씰(52) 및 이를 경유하여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54)에 씰링 에어(A)를 공급한다. 선미관 드레인 회수 장치(58)는 선미측의 선미관 씰(52)로부터 배출된 전측 드레인(D1)을 단독으로 회수한다. 이중 반전 드레인 회수 장치(60)는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54)로부터 배출된 후측 드레인(D2)을 전측 드레인(D1)과 분리하여 회수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의 축 씰링 장치
본 발명은, 전방 프로펠러와 후방 프로펠러를 동축으로 배치하고, 각각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의 축 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는 2축 구동 방식과 1축 구동 방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2축 구동 방식은 전방 프로펠러와 후방 프로펠러를 동심의 2축으로 각각 구동한다. 1축 구동 방식은 전방 프로펠러와 후방 프로펠러 사이에 반전 기구를 구비하고 양쪽 프로펠러를 1축으로 구동한다.
본 발명은 2축 구동 방식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2축 구동 방식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에서는 기관실 내에 반전 기구가 마련되고, 이중축의 외측축(이하, 「외측 프로펠러축」)과 내측축(이하, 「내측 프로펠러축」)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면, 외측 프로펠러축은 선체 후측에 마련된 선미관 베어링으로 지지되고, 그 후단에 전방 프로펠러가 장착되고 전방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한다. 또한, 내측 프로펠러축은 전방 프로펠러에 마련된 이중 반전 베어링으로 지지되고, 그 후단에 후방 프로펠러가 장착되고, 후방 프로펠러를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외측 프로펠러축의 선미관 베어링에는 해수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선미측 선미관 씰(이하, 「선미관 씰」)이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내측 프로펠러축의 이중 반전 베어링에도 해수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선미측 이중 반전 씰(이하, 「이중 반전 씰」)이 마련된다.
상술한 선미관 씰 및 이중 반전 씰은 윤활유에 해수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해수중에 윤활유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축 씰링 장치」는 전방 프로펠러에 고정된 외축용 슬리브 라이너 및 후방 프로펠러에 고정된 내축용 슬리브 라이너를 구비한다. 또한, 외축용 슬리브 라이너의 외주를 따라 그 회전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스테인리스 프레임 측에 고정된 외축용 환상 공기실 및 내축용 슬리브 라이너의 외주를 따라 그 회전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외축의 후단에 고정된 내축용 환상 공기실을 구비한다. 또한, 선박 내의 압축 공기원으로부터 스테인리스 프레임에 마련된 공기 통로를 통해 외축용 환상 공기실로 연통하는 압축 공기 공급로, 및 외축용 환상 공기실을 경유한 압축 공기를 내축용 환상 공기실에 공급하는 내축용 압축 공기 공급로를 갖는다.
특허문헌 2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선박용 선미관 씰링 장치」는 내축 후측 씰링 장치의 드레인실의 드레인을 외축 후측 씰링 장치의 드레인실에 도입하고, 드레인실로부터 드레인관을 통하여 기관실 내로 배출한다. 이에 따라, 드레인 배수계의 단축화를 도모하고, 드레인실 내의 드레인의 중력에 의한 자연 배수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2-19749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251795호 공보
특허문헌 1은, 드라이 씰형 축 씰링 장치를 이용하여 압축 공기를 축 씰링 장치에 도입하여, 이 압축 공기에 의해 해수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이 경우, 윤활유를 이용하지 않는 세그먼트 씰을 이용할 필요가 있어, 구조가 복잡하고 대형이 되며, 고가가 된다.
특허문헌 2는, 내축 후측 씰링 장치의 드레인실의 드레인이 외축 후측 씰링 장치의 드레인실을 통하여 기관실 내로 배출되므로, 2개의 드레인실의 드레인이 혼합되어 배출된다. 그 때문에 배출된 드레인으로부터 씰의 이상 개소를 판별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의 선미관 씰 및 이중 반전 씰에 에어 공급 장치를 적용한 경우, 선미관 씰 및 이중 반전 씰의 양쪽 모두에 각각 에어 공급 장치와 드레인 회수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에어 공급 장치와 드레인 회수 장치가 각각 2대 필요하고, 필요한 설치 공간이 과대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에어 공급 장치의 필요수를 저감할 수 있고, 배출된 드레인으로부터 씰의 이상 개소를 판별할 수 있는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의 축 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판별된 씰 이상 부분으로부터의 윤활유의 누설을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는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의 축 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 프로펠러와 후방 프로펠러를 동축으로 배치하고, 각각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의 축 씰링 장치로서,
상기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는 후단부에 상기 전방 프로펠러가 장착되고 선미관 베어링에 의해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중공 형상의 외측 프로펠러축; 및
후단부에 상기 후방 프로펠러가 장착되고, 선미측 이중 반전 베어링에 의해 상기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내측 프로펠러축;을 구비하고,
상기 축 씰링 장치는 상기 선미관 베어링에 해수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선미측의 선미관 씰;
상기 선미측 이중 반전 베어링에 해수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
선미측의 상기 선미관 씰 및 이를 경유하여 선미측의 상기 이중 반전 씰에 씰링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단일 에어 공급 장치;
선미측의 상기 선미관 씰로부터 배출된 전측 드레인을 단독으로 회수하는 선미관 드레인 회수 장치; 및
선미측의 상기 이중 반전 씰로부터 배출된 후측 드레인을 상기 전측 드레인과 분리하여 회수하는 이중 반전 드레인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의 축 씰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단일 에어 공급 장치에 의해, 선미측의 선미관 씰 및 이를 경유하여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에 씰링 가압 공기를 공급하므로, 에어 공급 장치의 필요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선미관 드레인 회수 장치가 선미측의 선미관 씰로부터 배출된 전측 드레인을 단독으로 회수하고, 이중 반전 드레인 회수 장치가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로부터 배출된 후측 드레인을 전측 드레인과 분리하여 회수하므로, 배출된 드레인으로부터 씰의 이상 개소를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의 축 씰링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축 씰링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E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의 축 씰링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축 씰링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의 축 씰링 장치의 제3 실시 형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의 축 씰링 장치의 제4 실시 형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의 축 씰링 장치(50)의 제1 실시 형태도이다.
이 도면에서,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는 전방 프로펠러(1) 및 후방 프로펠러(2)를 동축으로 배치하고, 각각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는 외측 프로펠러축(12) 및 내측 프로펠러축(14)을 구비한다.
외측 프로펠러축(12)은 중공 형상이며, 후단부(도면 좌단)에 전방 프로펠러(1)가 장착되고, 선미관 베어링(16)에 의해 축심(Z-Z)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내측 프로펠러축(14)은 후단부(도면 좌단)에 후방 프로펠러(2)가 장착되고, 전방 프로펠러(1)에 마련된 선수측 이중 반전 베어링(5) 및 선미측 이중 반전 베어링(18)에 의해 축심(Z-Z)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외측 프로펠러축(12) 및 내측 프로펠러축(14)의 전단부(도면 우단)는, 반전 장치(20)에 연결되어 외측 프로펠러축(12)과 내측 프로펠러축(14)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있다.
도 1에서, 3은 선체의 선미, 4는 구동축, 5는 선수측 이중 반전 베어링, 6은 스러스트 베어링, 7은 선수측 이중 반전 씰링 장치, 8은 선수측 선미관 씰링 장치겸 외축 오일 분배 장치(이하, 「외축 오일 분배 장치」), 9는 내축 오일 분배 장치, 10은 프로펠러 캡이다.
선미관 베어링(16)은 선미(3)에 마련된 수평 관통공 내에 장착되어 있다. 이하, 선미관 베어링(16)에는 선수측 및 선미측의 선미관 부시 및 그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반전 장치(20)는, 예를 들면, 유성 기어 장치 또는 병행 기어 장치이며, 구동축(4)의 회전에 의해 외측 프로펠러축(12)과 내측 프로펠러축(14)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축(4)은 도면에서 우측에 마련된 회전 구동 장치(예를 들면, 선내 기관, 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내측 프로펠러축(14)은 선수측 이중 반전 베어링(5)과 선미측 이중 반전 베어링(18)에 의해 지지되고, 외측 프로펠러축(12)의 내측에서 전방 프로펠러(1)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스러스트 베어링(6)은 전방 프로펠러(1)에 작용하는 스러스트력을 내측 프로펠러축(14)에 전달한다.
선수측 이중 반전 씰링 장치(7)는 외측 프로펠러축(12)과 내측 프로펠러축(14)의 선내측에 마련되어 그 사이를 씰링한다.
외축 오일 분배 장치(8)는 선내(선미(3)의 선내측)에 고정되고, 내측에서 회전하는 외측 프로펠러축(12)에 윤활유를 공급한다.
외축 오일 분배 장치(8)는, 이 예에서는 축방향으로 분할된 3개의 외축 환상 챔버(8a)를 형성하는 4개의 외축 씰 부재(8b)를 갖는다.
내축 오일 분배 장치(9)는 선내에 고정되고, 내측 프로펠러축(14) 및 구동축(4)의 축심(Z-Z)을 따라 설치된 중공(14a, 4a)으로부터, 윤활유를 배출하여 윤활유 탱크(28a)로 되돌리는 기능을 갖는다.
내축 오일 분배 장치(9)는, 이 예에서는 축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내축 환상 챔버(9a)를 형성하는 3개의 내축 씰 부재(9b)를 갖는다.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는 또한, 2개의 씰링 오일 장치(22, 26) 및 하나의 윤활유 공급 장치(28)를 갖는다.
씰링 오일 장치(22)는 씰링 오일 탱크(22a)로부터 외축 오일 분배 장치(8)의 축방향 양측의 2개의 외축 환상 챔버(8a)에 씰링 오일을 공급한다.
씰링 오일 장치(26)는 씰링 오일 탱크(26a)로부터 내축 오일 분배 장치(9)의 축방향 내측의 내축 환상 챔버(9a)에 씰링 오일을 공급한다.
윤활유 공급 장치(28)는, 윤활유 탱크(28a), 펌프(28b), 윤활유 공급 라인(28c), 이중 반전 베어링 윤활유 배출 라인(28dc) 및 선미관 베어링 윤활유 배출 라인(28ds)을 갖는다.
윤활유 탱크(28a)는 윤활유를 내부에 보유한다. 이 예에서, 윤활유 탱크(28a)의 윤활유는 가압 에어(B)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윤활유 공급 라인(28c)은 윤활유 탱크(28a)로부터 펌프(28b)에 윤활유를 공급하고, 펌프(28b)에서 가압된 윤활유를 외축 오일 분배 장치(8)의 중앙의 외축 환상 챔버(8a)(도면의 a1)와 선미관 베어링(16)의 선내측 단부(도면의 b1)에 공급한다.
외축 오일 분배 장치(8)의 중앙의 외축 환상 챔버(8a)(도면의 a1)에 공급된 윤활유는 도면에서 외측 프로펠러축(12)에 마련된 유로를 지나 a1로부터 a2로 흘러, 선수측 이중 반전 씰링 장치(7)의 선미측에서 외측 프로펠러축(12)와 내측 프로펠러축(14)의 축간 유로(64)에 유입된다.
또한, 이 윤활유는 도면에서 스러스트 베어링(6)의 간극을 지나 도면의 a3로 흘러 후방 프로펠러(2)에 마련된 축방향 관통공(2a)을 지나 내측 프로펠러축(14)의 선미단에 도달한다.
상술한 외축 오일 분배 장치(8), 다른 구성에 의해, 내측 프로펠러축(14) 및 외측 프로펠러축(12)에 길이가 긴 윤활유 유로를 마련하지 않고, 윤활유를 외측 프로펠러축(12)과 내측 프로펠러축(14)의 축간 유로(64)에 공급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내측 프로펠러축(14) 및 구동축(4)은 내측 프로펠러축(14)의 선미단으로부터 축을 따라 마련된 중공(14a, 4a)을 가지고 있고, 윤활유는, 중공(14a, 4a)을 지나 내축 오일 분배 장치(9)의 축방향 외측의 내축 환상 챔버(9a)로 돌아온다.
내축 오일 분배 장치(9)는 윤활유를 중공(4a)으로부터 배출하여 윤활유 탱크(28a)로 되돌리는 기능을 갖는다.
즉, 이중 반전 베어링 윤활유 배출 라인(28dc)은 내축 오일 분배 장치(9)의 축방향 외측의 내축 환상 챔버(9a)와 윤활유 탱크(28a)를 연통하고, 내축 오일 분배 장치(9)로부터 배출된 윤활유를 윤활유 탱크(28a)로 되돌린다. 이중 반전 베어링(5)의 윤활유를 「이중 반전 베어링 윤활유」라고 부른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이중 반전 베어링 윤활유를 a1-a2-a3-a4-a5-a6의 순서로 흘릴 수 있으며, 중간의 축간 유로(64)에 위치하는 선수측 이중 반전 베어링(5), 스러스트 베어링(6) 및 선미측 이중 반전 베어링(18)을 윤활시킬 수 있다.
도 1에서, 축 씰링 장치(50)는 선미관 베어링(16)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 유로를 갖는다. 선미관 베어링(16)의 윤활유를 「선미관 베어링 윤활유」라고 부른다.
즉, 도 1에서, 선미관(도면의 b1)에 공급된 윤활유는 b1으로부터 b2를 지나 선미측의 선미관 베어링(16)의 선미측에 공급되고, 도면의 b3를 통하여 선미관 베어링을 윤활시킨 후, 선내측 단부(도면의 b4)로부터 선미관 베어링 윤활유 배출 라인(28ds)으로 배출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선미관 베어링 윤활유를 b1-b2-b3-b4의 순서로 흘릴 수 있으며, 중간에 위치하는 선미관 베어링(16)을 윤활시킬 수 있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의한 축 씰링 장치(50)는, 선미측의 선미관 씰(52),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54), 단일 에어 공급 장치(56), 선미관 드레인 회수 장치(58) 및 이중 반전 드레인 회수 장치(60)을 구비한다.
선미측의 선미관 씰(52)은 선미관 베어링(16)에 해수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54)는 선미측 이중 반전 베어링(18)에 해수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단일 에어 공급 장치(56)는 선미측의 선미관 씰(52), 및 선미측의 선미관 씰(52)을 경유하여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54)에 씰링 가압 공기(A)를 공급한다. 또한, 윤활유 가압 공기(B)로 윤활유 탱크(28a)를 가압한다.
이하,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씰링 가압 공기(A)를 「씰링 에어(A)」, 윤활유 가압 공기(B)를 「가압 에어(B)」라고 약칭한다.
선미관 드레인 회수 장치(58)는 선미측의 선미관 씰(52)로부터 배출된 전측 드레인(D1)을 단독으로 회수한다.
이중 반전 드레인 회수 장치(60)는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54)로부터 배출된 후측 드레인(D2)을 전측 드레인(D1)과 분리하여 회수한다.
도 2는 도 1의 축 씰링 장치(5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에서, 선미측의 선미관 씰(52)은, 전측 씰 케이싱(52a), 전측 씰 라이너(52b) 및 복수의 전측 씰 부재(52c)를 갖는다.
전측 씰 부재(52c)는 립 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측 씰 케이싱(52a)은 선미관 베어링(16)(또는 선미(3))에 고정되고 축심(Z-Z)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 개구를 갖는다.
전측 씰 라이너(52b)는, 이 예에서는 외측 프로펠러축(12)의 내측 단부(플랜지(12a))를 개재하여 전방 프로펠러(1)에 고정되고, 전측 씰 케이싱(52a)의 내측에 위치한다.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전측 씰 부재(52c)는, 전측 씰 케이싱(52a)과 전측 씰 라이너(52b) 사이에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그 사이를 씰링하여 축방향으로 분할된 3개 이상(이 예에서는 3개)의 전측 환상 챔버(53)를 형성한다.
이 예에서, 3개의 전측 환상 챔버(53)를, 이하, 해수에 접하는 쪽(도면 좌측)으로부터, 전측 제1 챔버(53a), 전측 제2 챔버(53b), 전측 제3 챔버(53c)라고 부른다.
에어 공급 장치(56)(도 1 참조)는 전측 제1 챔버(53a)에 씰링 에어(A)를 도입하는 전측 공기 유로(56a)를 갖는다. 전측 공기 유로(56a)는, 도 2에서 선미관 베어링(16)과 전측 씰 케이싱(52a)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도 2에서, 제1 윤활유 유로(65)를 통해 전측 제2 챔버(53b)에 윤활유가 도입되고 있다.
즉, 도 2에서, 전측 씰 케이싱(52a)은 선미관 베어링(16)과 전측 씰 라이너(52b)의 간극과 전측 제2 챔버(53b)를 연통하는 전측 씰 케이싱 천공(52d)을 갖는다. 이에 따라, 선미관 베어링(16)과 전측 씰 라이너(52b)의 간극을 흐르는 윤활유를 전측 제2 챔버(53b)에 도입할 수 있다.
도 2에서, 축 씰링 장치(50)는 또한, 전측 제2 챔버(53b)로부터 전측 씰 케이싱(52a)을 통하여 선미관 베어링(16)의 선미 측에 윤활유를 배출하는 제2 윤활유 유로(66)를 갖는다.
제2 윤활유 유로(66)는 전측 제2 챔버(53b)에 공급된 윤활유를 선미관 베어링(16)을 통하여 선내로 배출한다.
이 구성에 의해, 외측 프로펠러축(12)에 길이가 긴 윤활유 유로를 마련하지 않고 전측 제2 챔버(53b)로부터 선내로 윤활유를 배출할 수 있다.
도 2에서, 선미관 드레인 회수 장치(58)는 전측 제1 챔버(53a)의 전측 드레인(D1)을 선내로 배출하는 제1 드레인 유로(61)를 갖는다.
즉, 선미관 드레인 회수 장치(58)는 선미관 베어링(16)과 전측 씰 케이싱(52a)의 내부에 마련한 제1 드레인 유로(61)를 통하여 전측 제1 챔버(53a)에 연통되어 있다. 제1 드레인 유로(61)는 제1 윤활유 유로(65)와 별개로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선미측의 선미관 씰(52), 에어 공급 장치(56) 및 선미관 드레인 회수 장치(58)의 구성에 의해, 전측 제1 챔버(53a)에 씰링 에어(A)를 공급하고, 전측 제1 챔버(53a)로부터 전측 드레인(D1)을 단독으로 회수할 수 있다.
전측 제1 챔버(53a)에서의 씰링 에어(A)의 압력은 수심에 상당하는 해수 압력보다 높게 조정되어 있다. 따라서, 해수와 접하는 전측 씰 부재(52c)에 누설이 있는 경우에도, 해수 측에 씰링 에어(A)가 흘러 해수가 가압 공기 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전측 제2 챔버(53b)에 공급되는 윤활유의 압력은, 전측 제1 챔버(53a)에서의 씰링 에어(A)의 압력보다 높게 조정되어 있다. 따라서, 윤활유와 접하는 전측 씰 부재(52c)에 누설이 있는 경우에도, 공기 측으로 윤활유가 흘러 씰링 에어(A)가 윤활유에 유입되지 않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에 의해, 선미측의 선미관 씰(52)에서 윤활유에 해수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해수중에 윤활유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수와 접하는 전측 씰 부재(52c)가 손상되면 씰링 에어(A)의 압력이 저하되어 해수가 전측 제1 챔버(53a)에 유입되어, 전측 드레인(D1)에 포함되는 해수가 많아진다.
마찬가지로, 윤활유와 접하는 전측 씰 부재(52c)가 손상되면 공기 측에 윤활유가 유입되어, 전측 드레인(D1)에 포함되는 윤활유가 많아진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에 의해, 전측 드레인(D1)에 포함되는 해수와 윤활유의 양과 비율로부터, 전측 제1 챔버(53a)를 구성하는 어느 전측 씰 부재(52c)가 손상되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2에서,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54)은, 후측 씰 케이싱(54a), 후측 씰 라이너(54b) 및 복수의 후측 씰 부재(54c)를 갖는다.
후측 씰 케이싱(54a)은 전방 프로펠러(1)에 고정되고 축심(Z-Z)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 개구를 갖는다.
후측 씰 라이너(54b)는 후방 프로펠러(2)에 고정되고 후측 씰 케이싱(54a)의 내측에 위치한다.
복수(이 예에서는 3개)의 후측 씰 부재(54c)는 후측 씰 케이싱(54a)과 후측 씰 라이너(54b) 사이에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그 사이를 씰링하여 축방향으로 분할된 두 개 이상(이 예에서는 2개)의 후측 환상 챔버(55)를 형성한다.
두 개의 후측 환상 챔버(55)를, 이하 해수에 접하는 쪽(도면 좌측)으로부터 후측 제1 챔버(55a), 후측 제2 챔버(55b)라고 부른다.
에어 공급 장치(56)는 후측 제1 챔버(55a)에 전측 제1 챔버(53a)로부터 씰링 에어(A)를 도입하는 후측 공기 유로(56b)를 갖는다. 후측 공기 유로(56b)는, 도 2에서, 전측 씰 라이너(52b), 전방 프로펠러(1) 및 후측 씰 케이싱(54a)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후측 제2 챔버(55b)에는 윤활유가 도입된다.
즉, 도 2에서, 후측 씰 케이싱(54a)은 외측 프로펠러축(12)과 내측 프로펠러축(14)의 간극과 후측 제2 챔버(55b)를 연통하는 후측 씰 케이싱 천공(54d)을 갖는다. 이에 따라, 외측 프로펠러축(12)과 내측 프로펠러축(14)의 간극을 흐르는 윤활유를 후측 제2 챔버(55b)에 도입할 수 있다.
도 2에서, 이중 반전 드레인 회수 장치(60)는 전측 제3 챔버(53c)의 후측 드레인(D2)을 선내로 배출하는 제2 드레인 유로(62)를 갖는다.
전측 제3 챔버(53c)는 2개의 전측 씰 부재(52c)에 의해 전측 제1 챔버(53a)와 분리되어 있다.
이중 반전 드레인 회수 장치(60)는 또한 후측 제1 챔버(55a)의 후측 드레인(D2)을 전측 제3 챔버(53c)에 배출하는 제3 드레인 유로(63)를 갖는다. 제3 드레인 유로(63)는 후측 제1 챔버(55a)와 전측 제3 챔버 (53c)를 연통한다.
상술한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54), 에어 공급 장치(56) 및 선미관 드레인 회수 장치(58)에 의해, 전측 제1 챔버(53a)를 통하여 후측 제1 챔버(55a)에 씰링 에어(A)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해 후측 제1 챔버(55a)로부터 전측 제3 챔버(53c)를 통하여 후측 드레인(D2)을 전측 드레인(D1)과 분리하여 선내로 회수할 수 있다.
후측 제1 챔버(55a)에서의 씰링 에어(A)의 압력은 수심에 상당하는 해수 압력보다 높게 조정되어 있다. 따라서, 해수와 접하는 후측 씰 부재(54c)에 누설이 있는 경우에도, 해수 측으로 씰링 에어(A)가 흘러 해수가 가압 공기 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후측 제2 챔버(55b)에 공급되는 윤활유의 압력은, 후측 제1 챔버(55a)에서의 씰링 에어(A)의 압력보다 높게 조정되어 있다. 따라서, 윤활유와 접하는 후측 씰 부재(54c)에 누설이 있는 경우에도, 공기 측으로 윤활유가 흘러 씰링 에어(A)가 윤활유에 유입되지 않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에 의해,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54)에서 윤활유에 해수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해수중에 윤활유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수와 접하는 후측 씰 부재(54c)가 손상되면 씰링 에어(A)의 압력이 저하되어 해수가 후측 제1 챔버(55a)로 유입되어, 후측 드레인(D2)에 포함되는 해수가 많아진다.
마찬가지로, 윤활유와 접하는 후측 씰 부재(54c)가 손상되면, 공기 측으로 윤활유가 유입되어 후측 드레인(D2)에 포함되는 윤활유가 많아진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에 의해, 후측 드레인(D2)에 포함되는 해수와 윤활유의 양과 비율로부터, 후측 제1 챔버(55a)를 구성하는 어느 후측 씰 부재(54c)가 손상되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선미측의 선미관 씰(52)을 4개의 전측 씰 부재(52c)로 구성한다. 또한, 4개의 전측 씰 케이싱(52a)을 선미관 베어링(16)(선미관 부시의 플랜지, 혹은 선미관) 또는 선미(3)에 고정하고, 전측 씰 라이너(52b)를 전방 프로펠러(1)에 고정한다.
전측 씰 부재(52c)의 씰 립을 해수에 접하는 쪽으로부터 No.1, 2, 3, 4로 한다. No. 1, 2 사이의 전측 제1 챔버(53a)는 씰링 에어(A) 및 선미관 드레인 챔버로 하고, No. 2, 3 사이의 전측 제2 챔버(53b)는 냉각용 윤활유 챔버로 하고, No. 3, 4 사이의 전측 제3 챔버(53c)는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54)의 드레인 챔버로 한다.
전측 제1 챔버(53a)는 2계통의 선미관 내의 배관과 연통된다. 그 한 쪽은 전측 공기 유로(56a)를 통하여 에어 공급 장치(56)에 접속되고, 다른 쪽은 제1 드레인 유로(61)를 통하여 선미관 드레인 회수 장치(58)에 접속된다. 전측 제1 챔버(53a)의 전측 씰 라이너(52b)에는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54)에 씰링 에어(A)를 도입하는 에어 공급홀이 천공된다.
전측 제2 챔버(53b)는 선미관 베어링(16)의 윤활유와 전측 씰 케이싱 천공(52d)을 통하여 연통된다. 윤활유를 적극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축의 회전류를 응용한 강제 윤활 방식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생략해도 무방하다.
또한, 전측 제2 챔버(53b)를 구성하는 No. 2, 3의 전측 씰 부재(52c)가 손상된 경우에 선미관 윤활유와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한 플러그(B 플러그(57a))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플러그(57a)란, 전측 씰 부재(52c)의 기능이 상실된 경우, 유로(전측 씰 케이싱 천공(52d))를 차단하여 윤활유의 누설을 멈추기 위한 플러그이다. B 플러그(57a)의 개폐는 씰 케이싱의 외주에서 행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B 플러그(57a)를 전폐함으로써, 전측 제2 챔버(53b)로부터의 윤활유의 누설을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다.
No. 3, 4 사이의 전측 제3 챔버(53c)는 선미관 내의 배관 ~ 선미관 부시 플랜지의 천공 ~ 전측 씰 케이싱(52a)의 천공과 연통하고, 선내측에서는 이중 반전 드레인 회수 장치(60)에 접속된다. 전측 제3 챔버(53c)의 전측 씰 라이너(52b)에는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54)로부터 후측 드레인(D2)을 도입하는 씰 드레인 홀이 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54)을 3개의 후측 씰 부재(54c)로 구성한다. 또한, 후측 씰 케이싱(54a)을 전방 프로펠러(1), 또는 전방 프로펠러(1)에 장착된 선미측 이중 반전 베어링(18)의 베어링 하우징에 고정하고, 후측 씰 라이너(54b)를 후방 프로펠러(2)에 고정한다.
후측 씰 부재(54c)의 씰 립을 선외(해수에 접하는) 쪽으로부터 No. 1, 2, 3으로 한다. No. 1, 2 사이의 후측 제1 챔버(55a)는 씰링 에어(A) 및 이중 반전 씰 드레인 챔버, No. 2, 3 사이의 후측 제2 챔버(55b)는 냉각 겸 No. 3 씰의 스탠바이용 윤활유 챔버로 한다.
후측 제1 챔버(55a)는 2계통의 유로와 연통한다. 그 한 쪽은 후측 공기 유로(56b), 전측 제1 챔버(53a), 전측 공기 유로(56a)를 경유하여 공통의 에어 공급 장치(56)에 접속된다. 다른 쪽은, 제3 드레인 유로(63), 전측 제3 챔버(53c), 제2 드레인 유로(62)를 경유하여 이중 반전 드레인 회수 장치(60)에 접속된다.
후측 제2 챔버(55b)는 선미측 이중 반전 베어링(18)의 윤활유와 후측 씰 케이싱 천공(54d)을 통하여 연통된다. 윤활유를 적극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해 상술한 축의 회전류를 응용한 강제 윤활 방식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생략해도 무방하다. 또한, No. 2의 씰 립이 손상된 경우 선미측 이중 반전 베어링(18)의 윤활유와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한 플러그(B 플러그(57b))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B 플러그(57b)를 전폐함으로써 후측 제2 챔버(55b)로부터의 윤활유의 누설을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E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씰링 에어(A), 전측 드레인(D1) 및 후측 드레인(D2)과 접하는 부분을, 해수에 대해 내부식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30은 플랜지 커버, 32는 어댑터 배관, 34는 씰 부재이다.
플랜지 커버(30)는 외측 프로펠러축(12)의 플랜지(12a)의 외주면과 도면 우단면이 해수와 접촉하지 않도록, 플랜지(12a)의 외주면과 우단면에 수밀하게 장착되어 있다.
어댑터 배관(32)은 중공 원통형의 부재이며, 외측 프로펠러축(12)의 플랜지(12a)를 관통하고, 그 양단이 전방 프로펠러(1)의 천공 내와 플랜지 커버(30)의 천공 내에 위치한다.
씰 부재(34)는, 예를 들면 O링이나 개스킷 등이며, 어댑터 배관(32)과 전방 프로펠러(1) 및 플랜지 커버(30)와의 사이를 수밀하게 씰링한다.
플랜지 커버(30)의 천공과 전방 프로펠러(1)의 천공 사이에 배치되는 어댑터 배관(32)은, 해수에 대하여 내부식성을 가지는 구리계 합금 또는 스텐레스계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프로펠러축(12)의 플랜지(12a)의 천공을 관통시키고, 씰링 에어(A) 및 전측 드레인(D1) 및 후측 드레인(D2)이 직접 외측 프로펠러축(12)에 접하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전방 프로펠러(1)의 보스와 플랜지 커버(30)의 간극에 접하지 않도록 씰 부재(34)를 이용하여 씰링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단일 에어 공급 장치(56)에 의해, 선미측의 선미관 씰(52) 및 이를 경유하여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54)에 씰링 에어(A)를 공급하므로, 에어 공급 장치(56)의 필요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선미관 드레인 회수 장치(58)가 선미측의 선미관 씰(52)로부터 배출된 전측 드레인(D1)을 단독으로 회수하고, 이중 반전 드레인 회수 장치(60)가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54)로부터 배출된 후측 드레인(D2)을 전측 드레인(D1)과 분리하여 회수한다. 이 구성에 의해, 배출된 드레인(D1, D2)으로부터 씰(전측 씰 부재(52c), 후측 씰 부재(54c))의 이상 개소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회수 장치(58, 60)를 선미측의 선미관 씰(52) 및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54)에 각각 마련함으로써 씰 손상 발생시 손상 개소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에어 공급 장치(56)를 공통화함으로써, 배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씰링 관련 배관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회전체에 대하여 길이가 긴 배관의 설치가 생략되어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의 축 씰링 장치(50)의 제2 실시 형태도이다.
이 예에서는, 제1 실시 형태(도 1)에서의 축방향 관통공(2a), 중공(4a), 내축오일 분배 장치(9) 및 씰링 오일 장치(26)가 생략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축 씰링 장치(5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에서, 축 씰링 장치(50)는 선미측 이중 반전 베어링(18)의 선미측의 축간 유로(64)로부터 전측 제2 챔버(53b)에 윤활유를 배출하는 제3 윤활유 유로(67)를 갖는다.
즉, 제3 윤활유 유로(67)는 축간 유로(64)와 전측 제2 챔버(53b)를 연통한다. 또한, 전측 제2 챔버(53b)로부터 전측 씰 케이싱(52a)을 통하여 선내에 윤활유를 배출하는 제2 윤활유 유로(66)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전측 제2 챔버(53b)에는 축의 회전류를 응용한 강제 윤활 방식 및 B플러그는 마련하지 않는다.
이 구성에 의해, 전방 프로펠러(1) 내측의 선미측 이중 반전 베어링(18)의 선미측의 축간 유로(64)로부터, 베어링 하우징, 전방 프로펠러(1), 어댑터 배관(32), 및 플랜지 커버(30)에 마련된 제3 윤활유 유로(67)를 경유하여 제2 윤활유 유로(66)에 접속된다.
이 예에서는, 어댑터 배관(32)의 재질은 철계 재료일 수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유체(윤활유)가 외측 프로펠러축(12)과 접촉할 수 있다. 그 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 의해, 내측 프로펠러축(14)의 중공(14a)을 생략하고 중실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4)의 중공(4a), 내축 오일 분배 장치(9) 및 씰링 오일 장치(26)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후방 프로펠러(2)의 축방향 관통공(2a)도 배제하여 후방 프로펠러(2)가 통상의 고정 피치 프로펠러와 동일한 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프로펠러 캡(10)도 2중 구조로부터 통상의 고정 피치 프로펠러와 동일한 외겹 구조가 되어,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그 외의 효과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의 축 씰링 장치(50)의 제3 실시 형태도이다.
이 예에서는, 전측 제2 챔버(53b) 및 전측 제3 챔버(53c)의 축방향의 중간 및 양측에 3개의 전측 씰 부재(52c)를 스탠바이 씰로서 구비하고, 전측 스탠바이 씰 챔버(53d, 53e, 53f)를 형성한다.
또한, 축 씰링 장치(50)는, 선내로부터 3개의 전측 스탠바이 씰 챔버(53d, 53e, 53f)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제4 윤활유 유로(68)를 갖는다. 또한, 후측 제2 챔버(55b)및 전측 스탠바이 씰 챔버(이 도면에서는 53d)와 연통하는 제5 윤활유 유로(69)를 마련한다.
전측 스탠바이 씰 챔버(53d, 53e, 53f)를, 독립적인 제4 윤활유 유로(68)를 개재하여 선내의 스탠바이 씰용 윤활유 공급 계통(도시 생략)에 접속한다. 또한 이 경우, 후측 제2 챔버(55b)에는 상술한 축의 회전류를 응용한 강제 윤활 방식 및 B 플러그는 마련하지 않는다.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에 의해, 선내로부터 제4 윤활유 유로(68)와 제5 윤활유 유로(69)를 통하여 스탠바이 씰용 윤활유의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전측 제2 챔버(53b), 전측 제3 챔버(53c) 및 후측 제2 챔버(55b)의 윤활유의 누설을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즉, 55a와 55b 사이의 후측 씰 부재(54c)의 손상 발생시, 혹은 53a와 53d 사이, 53e와 53c 사이, 또는 53c와 53f 사이의 전측 씰 부재(52c)의 손상 발생시, 스탠바이 씰용 윤활유의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55b와 18 사이의 후측 씰 부재(54c), 혹은 53d와 53b 사이, 53b와 53e 사이, 또는 53f와 16 사이의 전측 씰 부재(52c)의 스탠바이 씰을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기능과 성능도 종래 씰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 외의 효과는, 제1,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의 축 씰링 장치(50)의 제4 실시 형태도이다.
이 예에서, 윤활유 공급 장치(28)는 윤활유를 내부에 보유하는 윤활유 탱크(28a), 윤활유를 공급하는 펌프(28b), 윤활유 공급 라인(28c), 헤드압으로 가압하는 선미관 베어링 윤활유 배출 라인(28ds) 및 이중 반전 베어링 윤활유 배출 라인(28dc)을 갖는다.
즉, 이 예에서는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윤활유 공급 장치(28)의 선미관 베어링 윤활유 및 이중 반전 베어링 윤활유를, 가압 에어(B) 대신 배압(헤드압)으로 가압한다. 또한, 선내측 씰(외축씰 부재(8b))에는 선미관 베어링(16)(및 선미측 이중 반전 베어링(18))의 윤활유 공급 계통(윤활유 공급 라인(28c))으로부터 분기시켜 공급한다.
이 구성에 의해, 가압 에어(B)와 씰링 오일 탱크(22a)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 씰링 가압 공기(씰링 에어) B: 윤활유 가압 공기(가압 에어)
D1: 전측 드레인 D2: 후측 드레인
Z-Z: 축심 1: 전방 프로펠러
2: 후방 프로펠러 2a: 축방향 관통공
3: 선미 4: 구동축
4a: 중공 5: 선수측 이중 반전 베어링
6: 스러스트 베어링 7: 선수측 이중 반전 씰링 장치
8: 선수측 선미관 씰링 장 치겸 외축 오일 분배 장치(외축 오일 분배 장치)
8a: 외축 환상 챔버 8b: 외축씰 부재
9: 내축 오일 분배 장치 9a: 내축 환상 챔버
9b: 내축 씰 부재 10: 프로펠러 캡
12: 외측 프로펠러축 12a: 플랜지
14: 내측 프로펠러축 14a: 중공
16: 선미관 베어링 18: 선미측 이중 반전 베어링
20: 반전 장치 22, 26: 씰링 오일 장치
22a, 26a: 씰링 오일 탱크 28: 윤활유 공급 장치
28a: 윤활유 탱크 28b: 펌프
28c: 윤활유 공급 라인 28dc: 이중 반전 베어링 윤활유 배출 라인
28ds: 선미관 베어링 윤활유 배출 라인
30: 플랜지 커버 32: 어댑터 배관
34: 씰 부재 50: 축 씰링 장치
52: 선미측의 선미관 씰 52a: 전측 씰 케이싱
52b: 전측 씰 라이너 52c: 전측 씰 부재
52d: 전측 씰 케이싱 천공 53: 전측 환상 챔버
53a: 전측 제1 챔버 53b: 전측 제2 챔버
53c: 전측 제3 챔버 53d, 53e, 53f: 전측 스탠바이 씰 챔버
54: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 54a: 후측 씰 케이싱
54b: 후측 씰 라이너 54c: 후측 씰 부재
54d: 후측 씰 케이싱 천공 55: 후측 환상 챔버
55a: 후측 제1 챔버 55b: 후측 제2 챔버
56: 에어 공급 장치 56a: 전측 공기 유로
56b: 후측 공기 유로 57a, 57b: B 플러그
58: 선미관 드레인 회수 장치 60: 이중 반전 드레인 회수 장치
61: 제1 드레인 유로 62: 제2 드레인 유로
63: 제3 드레인 유로 64: 축간 유로
65: 제1 윤활유 유로 66: 제2 윤활유 유로
67: 제3 윤활유 유로 68: 제 4 윤활유 유로
69: 제 5 윤활유 유로 100: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

Claims (14)

  1. 전방 프로펠러(1)와 후방 프로펠러(2)를 동축으로 배치하고, 각각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의 축 씰링 장치(50)로서,
    상기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는, 후단부에 상기 전방 프로펠러(1)가 장착되고 선미관 베어링(16)에 의해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중공 형상의 외측 프로펠러축(12); 및
    후단부에 상기 후방 프로펠러(2)가 장착되고, 선미측 이중 반전 베어링(18)에 의해 상기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내측 프로펠러축(14);을 구비하고,
    상기 축 씰링 장치(50)는, 상기 선미관 베어링(16)에 해수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선미측의 선미관 씰(52);
    상기 선미측 이중 반전 베어링(18)에 해수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선미측의 이중 반전 씰(54);
    선미측의 상기 선미관 씰(52) 및 이를 경유하여 선미측의 상기 이중 반전 씰(54)에 씰링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단일 에어 공급 장치(56);
    선미측의 상기 선미관 씰(52)로부터 배출된 전측 드레인(D1)을 단독으로 회수하는 선미관 드레인 회수 장치(58); 및
    선미측의 상기 이중 반전 씰(54)로부터 배출된 후측 드레인(D2)을 상기 전측 드레인(D1)과 분리하여 회수하는 이중 반전 드레인 회수 장치(60);를 구비하고,
    선미측의 상기 선미관 씰(52)은, 상기 선미관 베어링(16) 또는 선미(3)에 고정되고 상기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개구를 가지는 전측 씰 케이싱(52a);
    상기 전방 프로펠러(1)에 고정되고, 전측 씰 케이싱(52a)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측 씰 라이너(52b); 및
    상기 전측 씰 케이싱(52a)과 상기 전측 씰 라이너(52b) 사이에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그 사이를 씰링하여 상기 축방향으로 분할된 세 개 이상의 전측 환상 챔버(53)를 형성하는 복수의 전측 씰 부재(52c);를 가지며,
    상기 전측 환상 챔버(53)는 해수에 접하는 쪽으로부터, 전측 제1 챔버(53a), 전측 제2 챔버(53b) 및 전측 제3 챔버(53c)를 가지고,
    상기 에어 공급 장치(56)는 전측 제1 챔버(53a)에 상기 씰링 가압 공기를 도입하는 전측 공기 유로(56a)를 가지고,
    상기 선미관 드레인 회수 장치(58)는 상기 전측 제1 챔버(53a)의 상기 전측 드레인(D1)을 선내에 배출하는 제1 드레인 유로(61)를 가지며,
    상기 이중 반전 드레인 회수 장치(60)는 상기 전측 제3 챔버(53c)의 상기 후측 드레인(D2)을 선내에 배출하는 제2 드레인 유로(62)를 가지는,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의 축 씰링 장치(50).
  2. 제1항에 있어서,
    선미측의 상기 이중 반전 씰(54)은, 상기 전방 프로펠러(1)에 고정되고 상기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개구를 가지는 후측 씰 케이싱(54a);
    상기 후방 프로펠러(2)에 고정되고, 후측 씰 케이싱(54a)의 내측에 위치하는 후측 씰 라이너(54b); 및
    상기 후측 씰 케이싱(54a)과 상기 후측 씰 라이너(54b) 사이에 상기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그 사이를 씰링하여 상기 축방향으로 분할된 두 개 이상의 후측 환상 챔버(55)를 형성하는 복수의 후측 씰 부재(54c);를 가지고,
    상기 후측 환상 챔버(55)는 해수에 접하는 쪽으로부터 후측 제1 챔버(55a) 및 후측 제2 챔버(55b)를 가지며,
    상기 에어 공급 장치(56)는 상기 후측 제1 챔버(55a)에 상기 전측 제1 챔버(53a)로부터 상기 씰링 가압 공기를 도입하는 후측 공기 유로(56b)를 가지고,
    상기 이중 반전 드레인 회수 장치(60)는 상기 후측 제1 챔버(55a)의 상기 후측 드레인(D2)을 상기 전측 제3 챔버(53c)에 배출하는 제3 드레인 유로(63)를 가지는,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의 축 씰링 장치(5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제2 챔버(53b)로부터 상기 전측 씰 케이싱(52a)을 통하여 상기 선미관 베어링(16)의 선미측에 윤활유를 배출하는 제2 윤활유 유로(66)를 가지는,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의 축 씰링 장치(50).
  4. 제1항에 있어서,
    선내에 고정되고, 선내에서 회전하는 상기 외측 프로펠러축(12)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외축 오일 분배 장치(8)를 구비하고,
    상기 외축 오일 분배 장치(8)는 상기 윤활유를 상기 외측 프로펠러축(12)과 상기 내측 프로펠러축(14)의 축간 유로(64)에 공급하고, 선수측 이중 반전 베어링(5), 스러스트 베어링(6) 및 상기 선미측 이중 반전 베어링(18)을 윤활시키는,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의 축 씰링 장치(50).
  5. 제4항에 있어서,
    선내에 고정되고, 상기 내측 프로펠러축(14) 및 구동축(4)의 상기 축심을 따라 마련된 중공(4a)으로부터 윤활유를 배출하여 윤활유 탱크(28a)로 되돌리는 내축 오일 분배 장치(9)를 구비하는,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의 축 씰링 장치(50).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미측 이중 반전 베어링(18)의 선미측의 상기 축간 유로(64)로부터 상기 전측 제2 챔버(53b)에 윤활유를 배출하는 제3 윤활유 유로(67)를 가지는,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의 축 씰링 장치(50).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제2 챔버(53b) 및 상기 전측 제3 챔버(53c)의 축방향의 중간 및 양측에 3개의 상기 전측 씰 부재(52c)를 스탠바이 씰로서 구비하고, 상기 중간 및 양측에 3개의 전측 스탠바이 씰 챔버(53d, 53e, 53f)를 형성하고,
    선내로부터 3개의 전측 스탠바이 씰 챔버(53d, 53e, 53f)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제4 윤활유 유로(68)를 가지는,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의 축 씰링 장치(5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제2 챔버(55b) 및 상기 전측 스탠바이 씰 챔버(53d, 53e, 53f)와 연통하는 제5 윤활유 유로(69)를 가지는,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의 축 씰링 장치(5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미관 베어링(16)의 윤활유와 상기 전측 제2 챔버(53b)를 연통하는 전측 씰 케이싱 천공(52d); 및
    상기 전측 씰 케이싱 천공(52d)에 의한 상기 연통을 차단하는 B 플러그(57a)를 구비하는,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의 축 씰링 장치(50).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미측 이중 반전 베어링(18)의 윤활유와 상기 후측 제2 챔버(55b)를 연통하는 후측 씰 케이싱 천공(54d); 및
    상기 후측 씰 케이싱 천공(54d)에 의한 상기 연통을 차단하는 B 플러그(57b);를 구비하는,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100)의 축 씰링 장치(50).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07011273A 2017-11-20 2018-09-03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의 축 씰링 장치 KR102300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22839A JP6532927B1 (ja) 2017-11-20 2017-11-20 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装置の軸封装置
JPJP-P-2017-222839 2017-11-20
PCT/JP2018/032566 WO2019097816A1 (ja) 2017-11-20 2018-09-03 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装置の軸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769A KR20200055769A (ko) 2020-05-21
KR102300096B1 true KR102300096B1 (ko) 2021-09-08

Family

ID=66539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273A KR102300096B1 (ko) 2017-11-20 2018-09-03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의 축 씰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715240B1 (ko)
JP (1) JP6532927B1 (ko)
KR (1) KR102300096B1 (ko)
CN (1) CN111356631B (ko)
WO (1) WO20190978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5014B2 (en) 2019-09-12 2023-05-23 Johnson Propeller Co., Inc. Boat shaft seal system
JP7431614B2 (ja) * 2020-02-21 2024-02-15 三菱重工コンプレッサ株式会社 回転機械
EP4043335A1 (en) * 2021-02-16 2022-08-17 ABB Schweiz AG Method and arrangement for sealing a propeller shaft located under water
JP2022158217A (ja) * 2021-04-01 2022-10-17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装置とこれを備えた船舶
WO2022233810A1 (en) * 2021-05-06 2022-11-10 Zf Friedrichshafen Ag Marine drive assembly with counterrotating propellers
EP4166448A1 (en) * 2021-10-18 2023-04-19 ABB Oy Arrangement and method for sealing a propeller shaft of a marine vessel
CN113953776B (zh) * 2021-11-19 2023-12-08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船舶桨轴轴承安装的方法
CN114313189B (zh) * 2022-01-04 2024-03-01 武汉船用电力推进装置研究所(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二研究所) 一种密封轮缘推进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9233A (ja) * 2008-01-31 2009-08-13 Ihi Marine United Inc 二重反転軸受潤滑構造及び舶用推進装置の潤滑油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4397U (ja) * 1984-08-27 1986-03-2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船尾管の軸封装置
JPS61180097A (ja) * 1985-02-01 1986-08-12 Kawasaki Heavy Ind Ltd 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装置の潤滑油供給構造
JPS62197497A (ja) 1986-02-24 1987-09-01 ライオン株式会社 タブレツト洗剤
JPS62279194A (ja) * 1986-05-28 1987-12-04 Eagle Ind Co Ltd 船尾管軸受の給油方法
JPH0716903Y2 (ja) * 1989-04-04 1995-04-19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軸周式給油装置
JP2755784B2 (ja) * 1990-04-27 1998-05-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ー軸のシール潤滑装置
JPH0728455Y2 (ja) * 1990-07-09 1995-06-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二重反転プロペラの内軸船尾側シール装置
JPH0496597U (ko) * 1991-01-30 1992-08-20
DE4232753C2 (de) * 1992-09-30 2001-03-08 Blohm & Voss Ind Gmbh Schmieranordnung für Abdichtungen von Propellerantrieben für Schiffe mit zwei konzentrisch zueinander angeordneten gegenläufigen Propellern
JPH07205887A (ja) * 1994-01-25 1995-08-08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軸のシール潤滑装置
JPH07251795A (ja) 1994-03-15 1995-10-03 Mitsubishi Heavy Ind Ltd 二重反転プロペラ船用船尾管シール装置のドレン排水方法およびドレン排水管構造
JP5266542B2 (ja) * 2008-01-08 2013-08-21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二重反転プロペラ式舶用推進装置
JP5014177B2 (ja) * 2008-01-23 2012-08-29 株式会社アイ・エイチ・アイ マリンユナイテッド 二重反転プロペラユニットとその組立方法、運搬方法及び本船への搭載方法
KR101701753B1 (ko) * 2015-03-04 2017-0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9233A (ja) * 2008-01-31 2009-08-13 Ihi Marine United Inc 二重反転軸受潤滑構造及び舶用推進装置の潤滑油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7816A1 (ja) 2019-05-23
JP2019093788A (ja) 2019-06-20
EP3715240A1 (en) 2020-09-30
CN111356631B (zh) 2022-03-25
KR20200055769A (ko) 2020-05-21
EP3715240B1 (en) 2023-01-04
EP3715240A4 (en) 2021-01-27
JP6532927B1 (ja) 2019-06-19
CN111356631A (zh)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096B1 (ko)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의 축 씰링 장치
JP4633008B2 (ja) シール装置
JP6393833B2 (ja) 船舶用の封止構造、推進器、船舶及び船舶のプロペラシャフトを封止する方法
JP4755428B2 (ja) 船舶用推進軸の軸封装置
US4085941A (en) Stern seals for ships
US5374208A (en) Ship, in particular deep draft vessel having concentric, contra-rotating propellers
US9233745B2 (en) Seal apparatus for a ship propeller shaft and method of making the apparatus
GB1575919A (en) Ship's propeller shaft sealing assembly
JP5033664B2 (ja) 二重反転軸受潤滑構造及び舶用推進装置の潤滑油供給装置
JP2003026094A (ja) 水潤滑型の船尾管シール装置
JP4341744B2 (ja) 船尾管シール装置及び旋回式スラスタ
JP3117333B2 (ja) 二重反転プロペラ装置における船尾管の給水および軸封・給水装置
JPH07242197A (ja) 船尾管シール装置
JP2755784B2 (ja) 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ー軸のシール潤滑装置
JP3668709B2 (ja) ポッドプロペラ推進システムのシール装置
JP2005041348A (ja) 船舶用推進軸の軸封装置及び軸封方法
JPH07242198A (ja) 船尾管シール装置
JPS6144099A (ja) 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装置のシ−ル構造
JP7219350B2 (ja) 海洋スライドリングシール配列体
KR20230142840A (ko) 선박용 이중 반전 프로펠러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JPH0523437Y2 (ko)
JPS61160624A (ja) 二重反転プロペラの軸受潤滑装置
CN115723931A (zh) 无冷却水舱的船舶艉部结构
JP2878082B2 (ja) 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の潤滑油供給装置
KR20230142628A (ko) 윤활유 유량 센서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