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753B1 - 선박용 추진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추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753B1
KR101701753B1 KR1020150030129A KR20150030129A KR101701753B1 KR 101701753 B1 KR101701753 B1 KR 101701753B1 KR 1020150030129 A KR1020150030129 A KR 1020150030129A KR 20150030129 A KR20150030129 A KR 20150030129A KR 101701753 B1 KR101701753 B1 KR 101701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device
pressure chamber
passage
pressure chambers
pro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8626A (ko
Inventor
이태구
김진호
이진석
정재권
박현상
박형길
백광준
오세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0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75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21Bearings or seal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 B63B2745/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 B63H2005/10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with drive shafts of second or further propellers co-axially passing through hub of first propeller, e.g. counter-rotating tandem propellers with co-axial drive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21Bearings or seal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 B63H2023/327Sealing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or stern tub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선박용 추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는 전방 프로펠러와 선체 후미 사이를 밀봉하는 제1밀봉장치와, 전방 프로펠러와 후방 프로펠러 사이를 밀봉하는 제2밀봉장치로의 유체의 공급은 선체 후미 또는 선미 지지체에 고정 설치된 제1밀봉장치의 제1외측케이싱의 일측에 형성된 유체유입구를 통해 제1밀봉장치의 복수의 압력실 중 하나의 압력실, 제1내측라이닝, 전방 프로펠러 허브, 제2외측케이싱에 형성된 공급유로를 통해 제2밀봉장치의 복수의 압력실 중 하나의 압력실로 공급된 후 제2외측케이싱, 전방 프로펠러 허브, 제1내측라이닝에 형성된 배출유로를 통해 제1밀봉장치의 복수의 압력실 중 다른 하나의 압력실로 유입하여 제1외측케이싱의 타측에 형성된 유체유출구를 통해 선내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추진장치{PROPULSION APPARATUS FOR SHIP}
본 발명은 두 프로펠러가 상호 반대로 회전하며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선박용 추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봉장치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유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선박용 추진장치는 하나의 프로펠러를 구비한다. 그러나 프로펠러가 하나인 추진장치는 프로펠러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회전에너지를 추진력으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추진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프로펠러 수류의 회전에너지를 추진력을 회수할 수 있는 것으로는 이중반전 추진장치(Counter rotating propeller; CRP)가 있다. 이중반전 추진장치는 동일축선 상에 설치된 2개의 프로펠러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전방프로펠러를 거친 유체의 회전에너지를 후방프로펠러가 역으로 회전하면서 추진력으로 회수할 수 있으므로 프로펠러가 하나인 추진장치에 비해 높은 추진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반전 추진장치는 선체 내부의 엔진과 연결되는 내축과, 내축 후단부에 결합된 후방프로펠러와, 내축의 외면에 회전하도록 설치된 중공의 외축과, 외축 후단부에 결합된 전방프로펠러를 구비하고, 전방프로펠러 허브와 후방프로펠러 허브 사이 및 선체 후미와 전방 프로펠러 허브 사이를 밀봉하여 해수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복수의 립 패킹을 가지는 밀봉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이중반전 추진장치는 일정압력의 윤활유 또는 공기가 복수의 립 패킹 사이로 공급되는 다양한 형태의 유로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205887,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251795,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504929호에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반전 추진장치의 유로는 회전하는 외축면을 이용하여 윤활유를 공급하거나, 내축 중심의 홀을 이용하여 밀봉장치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구조를 가짐에 의해 별도의 오일분배장치(oil distribution)가 필요하게 되며, 오일분배장치는 추가적인 밀봉장치와 함께 구성되어 전체 시스템의 원가를 높이고 유지보수를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205887호(1995.08.08 공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251795호 (1995.10.03 공개)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504929호 (1991.07.22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밀봉장치로 공급되는 윤활유 경로를 개선하여 오일분배장치가 필요 없는 선박용 추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종사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축에 설치되는 후방 프로펠러와, 상기 내축 외면에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축과 연결되는 전방 프로펠러와, 상기 전방 프로펠러와 선체 후미 사이를 밀봉하도록 상기 외축의 외곽을 감싸는 제1내측라이닝과, 복수의 압력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측라이닝의 외면과 접하는 복수의 패킹을 구비하며, 상기 선체 후미에 고정 설치된 제1외측케이싱을 포함하는 제1밀봉장치와, 상기 전방 프로펠러와 상기 후방 프로펠러 사이를 밀봉하도록 상기 내축의 외곽을 감싸는 제2내측라이닝과, 복수의 압력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내측라이닝의 외면과 접하는 복수의 패킹을 갖는 제2외측케이싱을 포함하는 제2밀봉장치와, 상기 제1외측케이싱에 형성되는 유체유입구 및 유체유출구 및 상기 제1내측라이닝, 상기 전방 프로펠러 허브 및 상기 제2외측케이싱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급유로 및 배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유입구를 통해 주입된 유체는 상기 제1밀봉장치의 복수의 압력실 중 하나의 압력실로 유입된 후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제2밀봉장치의 복수의 압력실 중 하나의 압력실로 공급되고,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상기 제1밀봉장치의 복수의 압력실 중 다른 하나의 압력실로 유입된 후 상기 유체유출구를 통해 선내로 배출되는 선박용 추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밀봉장치는 후단에서 선단을 향해 상기 복수의 패킹에 의해 순차적으로 구획 형성되는 제1 내지 제5압력실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밀봉장치는 후단에서 선단을 향해 상기 복수의 패킹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압력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체유입구를 통해 주입된 유체는 상기 제1밀봉장치의 제3압력실, 상기 제2밀봉장치의 제2압력실 및 상기 제1밀봉장치의 제2압력실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 상기 유체유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유로는 상기 제1외측케이싱을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유체유입구와 연통하고 타단이 상기 제1밀봉장치의 상기 제3압력실과 연통하는 제1공급유로와, 상기 제1내측라이닝을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밀봉장치의 제3압력실과 연통하는 제2공급유로와, 상기 외축의 축 연결플랜지를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2공급유로와 연통하는 제3공급유로와, 상기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를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3공급유로와 연통하는 제4공급유로와, 상기 제2외측케이싱을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2밀봉장치의 상기 제2압력실과 연통하는 제5공급유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제2외측케이싱을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2밀봉장치의 상기 제2압력실과 연통하는 제1배출유로와, 상기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를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배출유로와 연통하는 제2배출유로와, 상기 외축의 축 연결플랜지를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2배출유로와 연통하는 제3배출유로와, 상기 제1내측라이닝을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제3배출유로와 연통하고 타단이 상기 제1밀봉장치의 상기 제2압력실과 연통하는 제4배출유로와, 상기 제1외측케이싱을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제1밀봉장치의 상기 제2압력실과 연통하고 타단이 상기 유체유출구와 연통하는 제5배출유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재를 윤활하는 윤활유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유로는 상기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를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2밀봉장치의 상기 제4압력실과 연통하는 제1검출유로와, 상기 외축의 축 연결플랜지를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검출유로와 연통하는 제2검출유로와, 상기 제1내측라이닝을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제2검출유로와 연통하고 타단이 상기 제1밀봉장치의 상기 제4압력실과 연통하는 제3검출유로와, 상기 제1외측케이싱을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제1밀봉장치의 상기 제4압력실과 연통하고 타단은 선내로 윤활유를 배출하는 윤활유배출구가 형성된 제4검출유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밀봉장치로의 윤활유 유입 및 배출이 고정구조물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오일분배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에 따른 원가절감 및 유지보수를 수월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의 유체 공급유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밀봉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밀봉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의 유체 공급유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밀봉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밀봉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의 유체 공급유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서 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발명을 제한 및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 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추진장치는 선내로부터 선체 후미를 통해 선외로 연장되는 내축(10)과, 내축(10)의 끝 부분에 고정되어 내축(10)과 일체로 회전하는 후방 프로펠러(20)와, 후방 프로펠러(20)의 전방에서 내축(1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 프로펠러(30)를 포함한다.
전방 프로펠러(30)는 내축(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내축(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반전회전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후방 프로펠러(20)와 반대로 회전된다.
여기서 내축(10)은 선내에 설치된 디젤엔진, 가솔린 엔진 등과 같은 구동원에 연결되고, 선체 후미를 관통하여 선외로 연장 형성되어 후방 프로펠러(20)를 회전시킨다.
후방 프로펠러(20)는 내축(10)의 후단에 고정되는 허브(21)와, 허브(21)의 외면 둘레에 마련된 복수의 날개(23)를 포함한다.
후방 프로펠러(20)의 허브(21)는 중심부의 축 결합공(25)이 내축(10)의 외면에 압입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내축(10)의 후단에는 고정너트(26)가 체결됨으로써 후방 프로펠러(20)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도면번호 27은 내축(10)의 후단과 후방 프로펠러(20)의 허브(21) 후면을 덮도록 결합되는 프로펠러 캡이다.
전방 프로펠러(30)는 후방 프로펠러(20)와 소정간격 이격된 전방에서 내축(10)의 외면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방 프로펠러(30)는 내축(10) 외면에 설치되는 베어링부재(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베어링부재(40)는 스러스트 베어링, 레이디얼 베어링, 저널 베어링 등을 포함한다.
전방 프로펠러(30)는 내축(10) 외면에 설치된 베어링부재(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허브(31)와, 허브(31) 외면 둘레에 마련된 복수의 날개(33)를 포함한다.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 전면은 반전회전장치와 연결된 외축(50)의 후단과 결합되어, 전방 프로펠러(30)는 외축(50)과 일체로 회전된다. 외축(50)은 선단이 내축(10)의 회전을 반전하여 전달하는 반전회전장치와 연결되고, 후단에 형성된 축 연결플랜지(51)는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 전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와 선체 후미 또는 고정된 선미 지지체(60) 사이에는 선체 내부로의 해수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1밀봉장치(100)가 설치되고,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와 후방 프로펠러의 허브(21) 사이에는 추진장치 내부로의 해수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2밀봉장치(200)가 설치된다.
제1밀봉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 전면에 결합된 외축(50)의 축 연결플랜지(51)에 고정 설치된 제1내측라이닝(110)과, 제1내측라이닝(110)의 외면 둘레를 덮으며 선단이 선체 후미 또는 선미 지지체(60)에 결합된 제1외측케이싱(120)을 포함한다.
제1내측라이닝(110)은 외축(50)의 주위를 덮도록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111)와, 바디(111)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축 연결플랜지(51)에 결합되는 플랜지(113)를 구비한다. 제1내측라이닝(110)은 양측이 반원형으로 분할된 형태로 마련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1외측케이싱(120)은 제1내측라이닝(110)의 바디(111) 주위를 감싸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밀봉바디(121)와, 제1밀봉바디(121)의 선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선체 후미 또는 선미 지지체(60)에 결합되는 플랜지(123)와, 제1밀봉바디(121)의 내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제1내측라이닝(110)의 바디(111) 외면과 접하는 복수의 패킹(130)을 포함한다.
복수의 패킹(130)은 각각 일단이 제1밀봉바디(121)의 내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고, 타단이 제1내측라이닝(110)의 바디(111) 외면에 미끄럼 가능하게 접촉하는 탄성의 립 패킹(lip packing) 형태로 마련되고, 복수의 패킹(130) 사이에는 복수의 압력실(140~144)이 형성된다. 복수의 압력실(140~144)에는 소정 압력을 가지는 유체(윤활유)가 유입될 수 있다.
복수의 패킹(130) 중 제1밀봉바디(121)의 후단 부근에 설치되는 두 패킹(130a)은 해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해수가 외축(50)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규제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패킹(130) 중 제1밀봉바디(121)의 선단 부근에 설치되는 세 패킹(130b)은 내부의 윤활유가 해수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복수의 패킹(130)은 각각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제1밀봉바디(121)의 내면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C자 형상의 탄성부(131)와, 탄성부(131)의 끝 부분에서 제1내측라이닝(110)의 바디(111) 외면과 접촉하는 자유단을 갖는 립부(133)를 구비한다.
복수의 패킹(130)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압력실(140~144)은 해수 쪽 근방, 즉 제1밀봉바디(121)의 후단 부근에서부터 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5압력실(140~144)을 형성한다. 제1 내지 제5압력실(140~144)은 각 패킹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
각 압력실(140~144) 쪽에는 밀봉을 위한 소정의 압력을 가진 유체(윤활유)가 공급된다. 일 예로, 제1압력실(140)에는 해수가 유입되어 해수의 압력(정수압)과 동일한 압력이 가해지고, 제2압력실(141) 및 제3압력실(142)에는 정수압보다 작은 압력을 가지는 유체가 공급되고, 제4압력실(143) 및 제5압력실(144)에는 제2압력실(141) 및 제3압력실(142)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보다 큰 압력을 가지는 유체(윤활유)가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압력실을 형성하는 복수의 패킹에는 서로 다른 유체의 압력이 가해지고, 복수의 패킹의 립부는 제1내측라이닝(110)의 바디(111) 외면에 압박됨에 따라 그 사이 틈새를 밀봉하게 된다. 각 압력실(140~144)로의 유체의 공급유로는 후술한다.
제2밀봉장치(2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프로펠러의 허브(21) 전면에 결합된 제2내측라이닝(210)과, 제2내측라이닝(210)의 외면 둘레를 덮으며 선단이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 후면에 결합된 제2외측케이싱(220)을 포함한다.
제2내측라이닝(210)은 내축(10) 주위를 덮도록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211)와, 바디(211)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후방 프로펠러의 허브(21)와 결합되는 플랜지(213)를 포함한다. 제2내측라이닝(210)은 양측이 반원형으로 분할된 형태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2외측케이싱(220)은 제2내측라이닝(210)의 바디(211) 주위를 감싸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밀봉바디(221)와, 제2밀봉바디(221)의 선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에 결합되는 플랜지(223)와, 제2밀봉바디(221)의 내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제2내측라이닝(210)의 바디(211) 외면과 접하는 복수의 패킹(230)을 포함한다.
복수의 패킹(230)은 각각 일단이 제2밀봉바디(221)의 내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고, 타단이 제2내측라이닝(210)의 바디(211) 외면에 미끄럼 가능하게 접촉하는 탄성의 립 패킹(lip packing) 형태로 마련되고, 복수의 패킹(230) 사이에는 복수의 압력실(240~243)이 형성된다. 복수의 압력실(240~243)에는 소정 압력을 가지는 유체(윤활유)가 유입될 수 있다.
복수의 패킹(230) 중 제2밀봉바디(221)의 후단 부근에 설치되는 두 패킹(230a)은 해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해수가 내축(10)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규제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패킹 중 제2밀봉바디(221)의 선단 부근에 설치되는 두 패킹(230b)은 베어링부재(40)를 윤활하기 위한 윤활유가 해수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복수의 패킹(230)은 각각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제2밀봉바디(221)의 내면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C자 형상의 탄성부(231)와, 탄성부(231)의 끝 부분에서 제2내측라이닝(210)의 바디(211) 외면과 접촉하는 자유단을 갖는 립부(233)를 구비한다.
복수의 패킹(130)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압력실(240~243)은 해수 쪽 근방, 즉 제2밀봉바디(221)의 후단 부근에서부터 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4압력실(240~243)을 형성한다. 제1 내지 제4압력실(240~243)은 각 패킹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
각 압력실(240~243) 쪽에는 밀봉을 위한 소정의 압력을 가진 유체(윤활유)가 공급된다. 일 예로, 제1압력실(240)에는 해수가 유입되어 해수의 압력(정수압)과 동일한 압력이 가해지고, 제2압력실(241)과 제3압력실(242)에는 정수압보다 작은 압력을 가지는 유체가 공급되고, 제4압력실(243)에는 베어링부재(40)를 윤활하도록 제2 및 제3압력실(241,242)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보다 큰 압력을 가지는 윤활유가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압력실을 형성하는 복수의 패킹에는 서로 다른 유체의 압력이 가해지고, 복수의 패킹의 립부는 제2내측라이닝(210)의 바디(211) 외면에 압박됨에 따라 그 사이 틈새를 밀봉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밀봉장치(100)와 제2밀봉장치(200)의 각 압력실로 공급되는 유체는 선체 내부에 마련된 유체공급원(미도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유체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는 선체 후미 또는 선미 지지체(60)에 고정 결합된 제1밀봉장치(100)의 제1외측케이싱(120)을 통해 제1밀봉장치(100)에 마련된 복수의 압력실 중 어느 하나의 압력실로 유입된 후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 일측을 관통하여 제2밀봉장치(200)의 제2외측케이싱(220)을 통해 제2밀봉장치(200)에 마련된 복수의 압력실 중 어느 하나의 압력실로 공급되고, 제2밀봉장치(200)의 어느 하나의 압력실로 공급된 유체는 다시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 타측을 관통하여 제1밀봉장치(100)에 마련된 복수의 압력실 중 다른 하나의 압력실로 유입된 후 선체 내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유로구조는 제1밀봉장치(100)와 제2밀봉장치(200)로 유체의 유입 및 배출이 고정 구조물인 선체 후미 또는 선미 지지체(60)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에 의해 종래 회전하는 축을 매개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구조에서 반드시 필요한 오일분배장치는 필요치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제1밀봉장치와 제2밀봉장치로의 윤활유 공급유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선내의 유체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해수의 정수압보다 낮은 압력의 유체(윤활유)는 선체 후미 또는 선미 지지체(60)에 고정 결합된 제1밀봉바디(121)의 일측에 형성된 유체유입구(300)에 주입된 후 공급유로를 통해 제1밀봉장치(100)를 거친 후 제2밀봉장치(200)에 공급되고, 제2밀봉장치(200)에 공급된 유체는 다시 배출유로를 통해 제1밀봉장치(100)를 경유하여 유체유출구(400)를 통해 선내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급유로는 제1밀봉바디(121)의 일측에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유체유입구(300)와 연통하고 타단이 제1밀봉장치(100)의 제3압력실(142)의 일측과 연통하는 제1공급유로(310)와, 제1내측라이닝(110)의 바디(111) 일측에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제1밀봉장치(100)의 제3압력실(142)의 타측과 연통하는 제2공급유로(320)와, 외축(50)의 축 연결플랜지(51) 일측에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제2공급유로(320)의 타단과 연통하는 제3공급유로(330)와,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 일측에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제3공급유로(330)의 타단과 연통하는 제4공급유로(340)와, 제2밀봉바디(221)의 일측에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제4공급유로(340)의 타단과 연통하고, 타단이 제2밀봉장치(200)의 제2압력실(241)과 연통하는 제5공급유로(3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공급유로(330)는 외축(50)의 축 연결플랜지(51)와 전방 프로펠러 허브(31)의 연결구조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제2공급유로(320)와 제4공급유로(340)가 서로 접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체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는 유체유입구(300)를 통해 제1밀봉바디(121) 내부에 형성된 제1공급유로(310)를 통해 제1밀봉장치(100)의 제3압력실(142)에 공급될 수 있고, 제3압력실(142)에 공급된 유체는 제1내측라이닝(110)의 바디(111), 외축(50)의 축 연결플랜지(51),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 및 제2밀봉바디(221)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2밀봉장치(200)의 제2압력실(241)에 공급되게 된다.
배출유로는 제2밀봉바디(221)의 타측에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제2밀봉장치(200)의 제2압력실(241)과 연통하는 제1배출유로(410)와,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 타측에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제1배출유로(410)의 타단과 연통하는 제2배출유로(420)와, 외축(50)의 축 연결플랜지(51)의 타측에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제2배출유로(420)의 타단과 연통하는 제3배출유로(430)와, 제1내측라이닝(110)의 바디(11) 타측에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제3배출유로(430)의 타단과 연통하고, 타단이 제1밀봉장치(100)의 제2압력실(141)과 연통하는 제4배출유로(440)와, 제1밀봉바디(121)의 타측에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제1밀봉장치(100)의 제2압력실(141)과 연통하고, 타단이 유체유출구(400)와 연통하는 제5배출유로(4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배출유로(430)는 외축(50)의 축 연결플랜지(51)와 전방 프로펠러 허브(31)의 연결구조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제2배출유로(420)와 제4배출유로(440)가 서로 접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밀봉장치(200)의 제2챔버(241)에 공급되는 유체는 제2밀봉바디(221),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 외축(50)의 축 연결플랜지(51), 제1내측라이닝(110)의 바디(111)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1밀봉장치(100)의 제2압력실(141)에 공급될 수 있고, 제1밀봉장치(100)의 제2압력실(141)에 공급된 유체는 제1밀봉바디(121)에 형성된 제5배출유로(450)를 통해 선내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제1밀봉장치(100)와 제2밀봉장치(200)로 유체(윤활유)의 공급 및 배출은 모두 회전하는 구조물이 아닌, 고정 설치된 제1밀봉장치(100)의 제1밀봉바디(121)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별도의 오일분배장치(oil distribution)는 필요치 않게 된다.
또한 유체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는 제1밀봉장치(100)와 제2밀봉장치(200)를 거친 후 다시 제1밀봉장치(100)를 통해 선내로 돌아 나오도록 구성함에 의해 회수된 윤활유를 이용하여 밀봉장치로의 해수 침투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체공급원으로부터 유체유입구(300)에 공급되는 유체는 제1밀봉장치(100)의 제3압력실(142)로 공급된 후 제2밀봉장치(200)를 거쳐 제1밀봉장치(100)의 제2압력실(141)로 공급되어 유체유출구(400)를 통해 선내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1밀봉장치(100)의 제2압력실(141)로 유체가 공급되고, 공급된 유체는 제1밀봉장치(100)의 제3압력실(142)을 통해 선내로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제1밀봉장치(100)의 압력실로의 유체 유입 및 압력실에서의 유체 배출은 서로 다른 경로를 가지도록 구성함에 의해 유로 저항에 따른 제2밀봉장치(200) 쪽으로 유체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진장치는 전방 프로펠러 허브(31)와 내축(10)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부재(40)를 윤활하는 윤활유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유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부재(40)를 윤활하는 윤활유는 해수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압력을 가지며, 제2밀봉장치(200)의 제4압력실(243)에 채워진 상태로 마련된다.
검출유로는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에서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제2밀봉장치(200)의 제4압력실(243)과 연통하는 제1검출유로(510)와, 외축(50)의 축 연결플랜지(51)에서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제1검출유로(510)의 타단과 연통하는 제2검출유로(520)와, 제1내측라이닝(110)의 바디(111)에서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제2검출유로(520)의 타단과 연통하고, 타단이 제1밀봉장치(100)의 제4압력실(143)과 연통하는 제3검출유로(530)와, 제1밀봉바디(121)에서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제1밀봉장치(100)의 제4압력실(143)과 연통하고, 타단은 선내로 윤활유를 배출하는 윤활유배출구(500)가 형성된 제4검출유로(5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검출유로(520)는 외축(50)의 축 연결플랜지(51)와 전방 프로펠러 허브(31)의 연결구조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제1검출유로(510)와 제3검출유로(530)가 서로 접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와 내축(10) 사이에 채워진 윤활유는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 외축(50)의 축 연결플랜지(51) 및 제1내측라이닝(110)을 통해 제1밀봉장치(100)의 제4압력실(143)로 공급되고, 제4압력실(143)에 공급된 윤활유는 제1외측케이싱(120)을 통해 선내로 배출됨에 따라 윤활유의 상태를 검출하여 베어링부재(40)의 이상 유무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밀봉장치의 압력실로 공급되는 유체가 공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밀봉장치(600)는 제1내측라이닝(610)과 제1외측케이싱(62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킹(63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6압력실(641~646)을 구비한다. 복수의 패킹(630) 중 제1밀봉장치(600)의 후단 부근에 설치되는 두 패킹은 해수 유입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패킹(630) 중 제1밀봉장치(600)의 선단 부근에 설치되는 네 패킹은 내부의 윤활유가 해수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제2밀봉장치(700)는 제2내측라이닝(710)과 제2외측케이싱(72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킹(73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압력실(741~744)을 구비한다. 복수의 패킹(730) 중 제2밀봉장치(700)의 후단 부근에 설치되는 두 패킹은 해수 유입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패킹(730) 중 제2밀봉장치(700) 선단 부근에 설치되는 두 패킹은 내부의 윤활유가 해수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제1밀봉장치(600)와 제2밀봉장치(700)로의 유체(공기 및 윤활유)의 공급 은 선체 후미 또는 선미 지지체(60)에 결합된 제1밀봉장치(600)의 제1외측케이싱(620)을 통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밀봉장치(600)의 제2압력실(642)에는 선내로부터 공급되는 제1압력의 공기가 제1외측케이싱(620)의 상측에 형성된 저압공기공급유로(810)를 통해 공급된다. 여기서 제1압력은 해수의 압력(정수압)보다 약간 높은 압력이다. 제2압력실(642)에 유입된 공기는 해수의 정수압 이상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해수 쪽으로 배출됨에 의해 해수의 침투를 차단한다.
한편 제1외측케이싱(620)의 하측에는 제2압력실(642)로 유입된 해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해수배출유로(8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해수배출유로(815)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선내에서 제어 가능한 마개에 의해 막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제2압력실(642)에 해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개방되어 유입된 해수를 선내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제1밀봉장치(600)의 제3압력실(643)에는 선내로부터 공급되는 제2압력의 공기가 제1외측케이싱(620)의 상측에 형성된 고압공기공급유로(820)를 통해 공급된다. 여기서 제2압력은 제2압력실(642)에 공급되는 공기의 제1압력보다 약간 높은 압력이다.
제1밀봉장치(600)의 제3압력실(643)에 공급되는 제2압력의 공기는 제1내측라이닝(610)의 상측에 관통 형성된 제1공급유로(821), 외축의 축 연결플랜지(51) 상측에 관통 형성된 제2공급유로(822),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 상측에 관통 형성된 제3공급유로(823), 제2밀봉장치(700)의 제2외측케이싱(720) 상측에 형성된 제4공급유로(824)를 포함하는 공급유로를 통해 제2밀봉장치(700)의 제2압력실(742)로 공급된다. 여기서, 제2공급유로(822)는 외축(50)의 축 연결플랜지(51)와 전방 프로펠러 허브(31)의 연결구조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제1공급유로(821)와 제3공급유로(823)가 서로 접속할 수 있다.
제2밀봉장치(700)의 제2압력실(742)로 유입된 제2압력의 공기는 해수의 정수압 이상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해수 쪽으로 배출됨에 의해 해수의 침투를 차단한다.
한편 제2밀봉장치(700)의 제2압력실(742)에 해수가 유입될 경우, 유입된 해수를 선내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제2압력실(742)은 제2해수배출유로와 연결된다.
제2해수배출유로는 제2밀봉장치(700)의 제2외측케이싱(720)의 하측에 관통 형성되며 제2압력실(742)과 연통하는 제1배출유로(825)와, 제1배출유로(825)와 연통하도록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 하측에 관통 형성된 제2배출유로(826), 제2배출유로(826)와 연통하도록 외축의 축 연결플랜지(51)의 하측에 관통 형성된 제3배출유로(827), 일단이 제3배출유로(827)와 연통하고 타단이 제1밀봉장치(600)의 제3압력실(643)과 연통하도록 제1내측라이닝(610)의 하측에 관통 형성된 제4배출유로(828)와, 제1밀봉장치(600)의 제1외측케이싱(620) 하측에 관통 형성되며 제3압력실(643)과 연통하는 제5배출유로(829)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배출유로(827)는 외축(50)의 축 연결플랜지(51)와 전방 프로펠러 허브(31)의 연결구조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제2배출유로(826)와 제4배출유로(828)가 서로 접속할 수 있다.
제2해수배출유로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선내에서 제어 가능한 마개 등으로 막혀있고, 제2밀봉장치(700)의 제2압력실(742)에 해수가 유입될 경우에는 개방된다. 이에 따라, 제2압력실(742)에 유입된 해수는 제1배출유로(825), 제2배출유로(826), 제3배출유로(827), 제4배출유로(828), 제3압력실(643) 및 제5배출유로(829)를 순차적으로 거쳐 선내로 배출된다.
한편 제1밀봉장치(600)와 제2밀봉장치(700)로의 윤활유의 공급은 제1밀봉장치(600)의 제1외측케이싱(620)의 하측에 형성된 윤활유주입유로(830)를 통해 이루어진다.
제1밀봉장치(600)의 제4압력실(644)과 제2밀봉장치(700)의 제3압력실(743)에 공급되는 윤활유는 제2밀봉장치(700)의 제2압력실(742)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구체적으로, 윤활유주입유로(830)를 통해 제1밀봉장치(600)의 제4압력실(644)에 공급된 윤활유는 제1내측라이닝(610)의 하측에 관통 형성된 제1윤활유공급유로(831), 외축의 축 연결플랜지(51)의 하측에 관통 형성된 제2윤활유공급유로(832),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 하측에 관통 형성된 제3윤활유공급유로(833)와, 제2밀봉장치(700)의 제2외측케이싱(720)의 하측에 관통 형성된 제4윤활유공급유로(834)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제2밀봉장치(700)의 제3압력실(743)에 공급된다.
한편 제2밀봉장치(700)의 제4압력실(744)과 제1밀봉장치(600)의 제6압력실(646)에 채워지는 윤활유는 제2밀봉장치(700)의 제3압력실(743)에 채워지는 윤활유의 압력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유지한다.
또한 베어링부재(40)를 윤활하는 윤활유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유로는 제2밀봉장치(700)의 제4압력실(744)과 연통하도록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31) 상측을 관통 형성된 제1검출유로(841)와, 외축의 축 연결플랜지(51) 상측을 관통 형성되며 제1검출유로(841)와 연통하는 제2검출유로(842)와, 제1밀봉장치(600)의 제1내측라이닝(610) 상측을 관통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2검출유로(842)와 연통하고 타단이 제1밀봉장치(600)의 제5압력실(645) 일측과 연통하는 제3검출유로(843)와, 제1밀봉장치(600)의 제1외측케이싱(620) 상측을 관통 형성되며 제1밀봉장치(600)의 제5압력실(645)의 타측과 연통하는 제4검출유로(844)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제2밀봉장치(700)의 제4압력실(744)에 채워진 윤활유는 검출유로(841~844)를 통해 선내로 배출됨에 따라 윤활유의 상태를 검출하여 베어링부재(40)의 이상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공기압을 이용하여 밀봉을 수행하는 경우 제2밀봉장치(700)의 제3압력실(743)은 패킹의 손상을 대비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여분의 패킹을 복수개 배치한 구성으로서, 손상 대비 기능을 생략할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패킹을 생략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 윤활유주입유로(830)와, 윤활유공급유로(831~834)는 생략 가능하고, 베어링부재(40)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유로는 제2밀봉장치(700)의 제3압력실(743)에 채워진 윤활유를 배출하여 제1밀봉장치(600)의 제4압력실(644)을 통해 선내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내축, 20: 후방 프로펠러,
30: 전방 프로펠러, 40: 베어링부재,
50: 외축, 51: 축 연결플랜지,
100: 제1밀봉장치, 110: 제1내측라이닝,
120: 제1외측케이싱, 121: 제1밀봉바디,
200: 제2밀봉장치, 210: 제2내측라이닝,
220: 제2외측케이싱, 221: 제2밀봉바디,
300: 유체유입구, 310~350: 제1~제5공급유로,
400: 유체유출구, 410~450: 제1~제5배출유로,
500: 윤활유배출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내축에 설치되는 후방 프로펠러;
    상기 내축 외면에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축과 연결되는 전방 프로펠러;
    상기 전방 프로펠러와 선체 후미 사이를 밀봉하도록 상기 외축의 외곽을 감싸는 제1내측라이닝과, 복수의 압력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측라이닝의 외면과 접하는 복수의 패킹을 구비하며, 상기 선체 후미에 고정 설치된 제1외측케이싱을 포함하는 제1밀봉장치;
    상기 전방 프로펠러와 상기 후방 프로펠러 사이를 밀봉하도록 상기 내축의 외곽을 감싸는 제2내측라이닝과, 복수의 압력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내측라이닝의 외면과 접하는 복수의 패킹을 갖는 제2외측케이싱을 포함하는 제2밀봉장치;
    상기 제1외측케이싱에 형성되는 유체유입구 및 유체유출구; 및
    상기 제1내측라이닝, 상기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 및 상기 제2외측케이싱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급유로 및 배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유입구를 통해 주입된 유체는 상기 제1밀봉장치의 복수의 압력실 중 하나의 압력실로 유입된 후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제2밀봉장치의 복수의 압력실 중 하나의 압력실로 공급되고,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상기 제1밀봉장치의 복수의 압력실 중 다른 하나의 압력실로 유입된 후 상기 유체유출구를 통해 선내로 배출되고,
    상기 제1밀봉장치는 후단에서 선단을 향해 상기 복수의 패킹에 의해 순차적으로 구획 형성되는 제1 내지 제5압력실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밀봉장치는 후단에서 선단을 향해 상기 복수의 패킹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압력실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유입구를 통해 주입된 유체는 상기 제1밀봉장치의 제3압력실, 상기 제2밀봉장치의 제2압력실 및 상기 제1밀봉장치의 제2압력실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 상기 유체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선박용 추진장치.
  4. 내축에 설치되는 후방 프로펠러;
    상기 내축 외면에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축과 연결되는 전방 프로펠러;
    상기 전방 프로펠러와 선체 후미 사이를 밀봉하도록 상기 외축의 외곽을 감싸는 제1내측라이닝과, 복수의 압력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측라이닝의 외면과 접하는 복수의 패킹을 구비하며, 상기 선체 후미에 고정 설치된 제1외측케이싱을 포함하는 제1밀봉장치;
    상기 전방 프로펠러와 상기 후방 프로펠러 사이를 밀봉하도록 상기 내축의 외곽을 감싸는 제2내측라이닝과, 복수의 압력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내측라이닝의 외면과 접하는 복수의 패킹을 갖는 제2외측케이싱을 포함하는 제2밀봉장치;
    상기 제1외측케이싱에 형성되는 유체유입구 및 유체유출구; 및
    상기 제1내측라이닝, 상기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 및 상기 제2외측케이싱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급유로 및 배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유입구를 통해 주입된 유체는 상기 제1밀봉장치의 복수의 압력실 중 하나의 압력실로 유입된 후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제2밀봉장치의 복수의 압력실 중 하나의 압력실로 공급되고,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상기 제1밀봉장치의 복수의 압력실 중 다른 하나의 압력실로 유입된 후 상기 유체유출구를 통해 선내로 배출되고,
    상기 제1밀봉장치는 후단에서 선단을 향해 상기 복수의 패킹에 의해 순차적으로 구획 형성되는 제1 내지 제5압력실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밀봉장치는 후단에서 선단을 향해 상기 복수의 패킹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압력실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유로는 상기 제1외측케이싱을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유체유입구와 연통하고 타단이 상기 제1밀봉장치의 상기 제3압력실과 연통하는 제1공급유로와, 상기 제1내측라이닝을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밀봉장치의 제3압력실과 연통하는 제2공급유로와, 상기 외축의 축 연결플랜지를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2공급유로와 연통하는 제3공급유로와, 상기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를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3공급유로와 연통하는 제4공급유로와, 상기 제2외측케이싱을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2밀봉장치의 상기 제2압력실과 연통하는 제5공급유로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제2외측케이싱을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2밀봉장치의 상기 제2압력실과 연통하는 제1배출유로와, 상기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를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배출유로와 연통하는 제2배출유로와, 상기 외축의 축 연결플랜지를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2배출유로와 연통하는 제3배출유로와, 상기 제1내측라이닝을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제3배출유로와 연통하고 타단이 상기 제1밀봉장치의 상기 제2압력실과 연통하는 제4배출유로와, 상기 제1외측케이싱을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제1밀봉장치의 상기 제2압력실과 연통하고 타단이 상기 유체유출구와 연통하는 제5배출유로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6. 내축에 설치되는 후방 프로펠러;
    상기 내축 외면에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축과 연결되는 전방 프로펠러;
    상기 전방 프로펠러와 선체 후미 사이를 밀봉하도록 상기 외축의 외곽을 감싸는 제1내측라이닝과, 복수의 압력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측라이닝의 외면과 접하는 복수의 패킹을 구비하며, 상기 선체 후미에 고정 설치된 제1외측케이싱을 포함하는 제1밀봉장치;
    상기 전방 프로펠러와 상기 후방 프로펠러 사이를 밀봉하도록 상기 내축의 외곽을 감싸는 제2내측라이닝과, 복수의 압력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내측라이닝의 외면과 접하는 복수의 패킹을 갖는 제2외측케이싱을 포함하는 제2밀봉장치;
    상기 제1외측케이싱에 형성되는 유체유입구 및 유체유출구;
    상기 제1내측라이닝, 상기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 및 상기 제2외측케이싱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급유로 및 배출유로; 및
    상기 베어링부재를 윤활하는 윤활유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유입구를 통해 주입된 유체는 상기 제1밀봉장치의 복수의 압력실 중 하나의 압력실로 유입된 후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제2밀봉장치의 복수의 압력실 중 하나의 압력실로 공급되고,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상기 제1밀봉장치의 복수의 압력실 중 다른 하나의 압력실로 유입된 후 상기 유체유출구를 통해 선내로 배출되고,
    상기 제1밀봉장치는 후단에서 선단을 향해 상기 복수의 패킹에 의해 순차적으로 구획 형성되는 제1 내지 제5압력실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밀봉장치는 후단에서 선단을 향해 상기 복수의 패킹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압력실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부재를 윤활하는 윤활유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유로는 상기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를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2밀봉장치의 상기 제4압력실과 연통하는 제1검출유로와, 상기 외축의 축 연결플랜지를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검출유로와 연통하는 제2검출유로와, 상기 제1내측라이닝을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제2검출유로와 연통하고 타단이 상기 제1밀봉장치의 상기 제4압력실과 연통하는 제3검출유로와, 상기 제1외측케이싱을 관통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제1밀봉장치의 상기 제4압력실과 연통하고 타단은 선내로 윤활유를 배출하는 윤활유배출구가 형성된 제4검출유로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KR1020150030129A 2015-03-04 2015-03-04 선박용 추진장치 KR101701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129A KR101701753B1 (ko) 2015-03-04 2015-03-04 선박용 추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129A KR101701753B1 (ko) 2015-03-04 2015-03-04 선박용 추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626A KR20160108626A (ko) 2016-09-20
KR101701753B1 true KR101701753B1 (ko) 2017-02-14

Family

ID=57102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129A KR101701753B1 (ko) 2015-03-04 2015-03-04 선박용 추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2927B1 (ja) * 2017-11-20 2019-06-19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装置の軸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694A (ja) 1999-02-23 2000-09-05 Nippon Marine Techno Kk 船尾管シール装置
JP2005041348A (ja) * 2003-07-22 2005-02-17 Kobelco Eagle Marine Engineering Co Ltd 船舶用推進軸の軸封装置及び軸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4929B2 (ja) 1991-11-25 1996-06-05 東洋ハイブリッド株式会社 スタッキング樹脂シ―トの分離装置
JPH07205887A (ja) 1994-01-25 1995-08-08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軸のシール潤滑装置
JPH07251795A (ja) 1994-03-15 1995-10-03 Mitsubishi Heavy Ind Ltd 二重反転プロペラ船用船尾管シール装置のドレン排水方法およびドレン排水管構造
KR101151640B1 (ko) * 2010-08-11 2012-06-11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선미관 시일 장치의 압력 조절 장치
KR101390843B1 (ko) * 2012-04-27 2014-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694A (ja) 1999-02-23 2000-09-05 Nippon Marine Techno Kk 船尾管シール装置
JP2005041348A (ja) * 2003-07-22 2005-02-17 Kobelco Eagle Marine Engineering Co Ltd 船舶用推進軸の軸封装置及び軸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626A (ko) 201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56631B (zh) 船舶用双重反转螺旋桨装置的轴封装置
JP5916736B2 (ja) 船舶のプロペラシャフトをシールするための装置、シールアセンブリ、筐体フランジ及びスペーサ
US9233745B2 (en) Seal apparatus for a ship propeller shaft and method of making the apparatus
US20150071780A1 (en) Propulsion apparatus for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JP2014519449A (ja) 船舶用推進装置及びこれを含む船舶
KR101701753B1 (ko) 선박용 추진장치
KR101722375B1 (ko) 선박용 추진장치
US9017119B2 (en) Ship propulsion device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1826746B1 (ko) 선박용 추진장치
KR101205949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112896480A (zh) 推进装置
KR101399851B1 (ko) 선박의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2562582B1 (ko) 해양 슬라이드 링 실 어레인지먼트
KR101732583B1 (ko) 선박 추진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324968B1 (ko) 선박의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422481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2090935B1 (ko) 선박용 추진기 밀폐장치
KR101324963B1 (ko) 선박의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JP2504929Y2 (ja) 二重反転プロペラ軸のシ―ル装置
JPH0443439Y2 (ko)
JPH0439840Y2 (ko)
JPH0523437Y2 (ko)
JPH08239091A (ja) ウオータジェット推進器のシール装置
KR101236761B1 (ko) 선박의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313589B1 (ko) 선박의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