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935B1 - 선박용 추진기 밀폐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추진기 밀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935B1
KR102090935B1 KR1020180089397A KR20180089397A KR102090935B1 KR 102090935 B1 KR102090935 B1 KR 102090935B1 KR 1020180089397 A KR1020180089397 A KR 1020180089397A KR 20180089397 A KR20180089397 A KR 20180089397A KR 102090935 B1 KR102090935 B1 KR 102090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bracket
shaft
sealing member
prope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4034A (ko
Inventor
조영숙
김만옥
김석기
이두용
Original Assignee
조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숙 filed Critical 조영숙
Priority to KR1020180089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9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14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21Bearings or seal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21Bearings or seal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 B63H2023/327Sealing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or stern tub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홀(hole)을 구비한 바디(body); 상기 바디의 홀에 끼워지는 샤프트(shaft);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되 상기 바디에 이격된 프로펠러 유닛(propeller unit); 상기 바디와 프로펠러 유닛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샤프트를 감싸는 슬리브(sleeve); 상기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슬리브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브라켓; 그리고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에 접하는, 복수 개의 밀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프로펠러 유닛에 결합되는 베이스(base);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바디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샤프트 상에 위치하는 실린더(cylinder)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밀폐 부재의 일부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슬리브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밀폐 부재의 다른 일부는,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되 상기 브라켓과 상기 프로펠러 유닛의 사이에 위치하는, 선박용 추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추진기 밀폐장치{SEALING DEVICE FOR PROPULSION APPARATUS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추진기 밀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용 추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프트와 베어링 사이를 밀폐하는 선박용 추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중에서 프로펠러를 구동하여 선박을 추진하는 구조에서, 샤프트와 베어링의 경계를 방수하는 밀폐 구조가 선박용 추진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밀폐 구조는, 수중 환경에 노출되므로 어선에서 폐기한 그물 등으로 인하여 손상될 수 있다.
밀폐 구조가 손상되면, 선박용 추진 장치의 구동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선박용 추진 장치의 구동에 문제가 발생하면, 치명적인 사고 발생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개선된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선박용 추진 장치가 요구될 수 있다.
US 3799291 A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능을 달리하는 밀폐 부재를 구비하는 선박용 추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an aspect)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홀(hole)을 구비한 바디(body); 상기 바디의 홀에 끼워지는 샤프트(shaft);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되 상기 바디에 이격된 프로펠러 유닛(propeller unit); 상기 바디와 프로펠러 유닛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샤프트를 감싸는 슬리브(sleeve); 상기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슬리브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브라켓; 그리고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에 접하는, 복수 개의 밀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프로펠러 유닛에 결합되는 베이스(base);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바디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샤프트 상에 위치하는 실린더(cylinder)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밀폐 부재의 일부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슬리브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밀폐 부재의 다른 일부는,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되 상기 브라켓과 상기 프로펠러 유닛의 사이에 위치하는, 선박용 추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 장치는, 기능을 달리하는 밀폐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 장치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 장치(100)가 관찰될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구성은 단면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선박용 추진 장치(100)는 프로펠러 유닛(24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펠러 유닛(240)은, 허브(241)와 블레이드(243)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241)는 회전축(RX)을 중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허브(241)는 회전축(R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RX)은 종축(longitudinal axis)이라 칭할 수 있다. 회전축(RX)은, Z축과 나란할 수 있다. Z축은 원통좌표계(cylindrical coordinate)를 형성하는 축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블레이드(243)는 허브(241)에 결합될 수 있다. 블레이드(243)는 허브(241)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243)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243)는 4개의 블레이드(243)로 제공될 수 있다. 블레이드(243)는 허브(241)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블레이드(243)는 물의 저항을 추진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선박용 추진 장치(100)는 샤프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230)의 길이 방향은 회전축(RX)과 나란할 수 있다. 샤프트(230)는 회전축(R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230)는 프로펠러 유닛(240)에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230)는, 예를 들어, 허브(241)에 결합될 수 있다.
선박용 추진 장치(100)는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0)는 프로펠러 유닛(240)과 이격될 수 있다. 특히 바디(210)는 블레이드(243)와 이격될 수 있다. 바디(210)는 홀(hole)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210)에 형성된 홀에, 베어링(220)이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220)은 링(ring)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어링(220)은 샤프트(230)에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230)는 베어링(220)에 끼워질 수 있다. 샤프트(230)는, 바디(210)에 형성된 홀(hole)에 끼워질 수 있다. 샤프트(230)의 일단(一端)은 프로펠러 유닛(240)에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230)의 타단(他端)은 엔진(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엔진(미도시)은 샤프트(23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샤프트(230)는 프로펠러 유닛(24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프로펠러 유닛(240)은 물에 잠긴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다. 샤프트(230)의 적어도 일부는, 물에 잠긴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230)의 부분 중에서 프로펠러 유닛(240)과 베어링(22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물에 잠길 수 있다. 샤프트(230)의 이 부분은, 수중 생물에 걸리기 쉽고 부식되기 쉬울 수 있다.
선박용 추진 장치(100)는 슬리브(28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280)는, 프로펠러 유닛(240)에 결합될 수 있다. 슬리브(280)는 샤프트(230)에 결합될 수 있다. 슬리브(280)는, 프로펠러 유닛(240)과 샤프트(230)의 경계를 커버할 수 있다. 슬리브(280)의 일부는, 프로펠러 유닛(240)과 샤프트(230)의 경계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프로펠러 유닛(240) 상에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리브(280)의 다른 일부는, 프로펠러 유닛(240)과 샤프트(230)의 경계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샤프트(230) 상에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선박용 추진 장치(100)는 물 속에서 작동하므로, 방수 기능이 요구될 수 있다. 특히 샤프트(230)와 베어링(220)의 경계의 방수가 요구될 수 있다. 즉 샤프트(230)와 베어링(220)의 경계에서의 밀폐 구조가 요구될 수 있다.
선박용 추진 장치(100)는 밀폐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 장치(300)는, 샤프트(230)와 베어링(220)의 경계를 방수할 수 있다. 밀폐 장치(300)는 바디(210)에 결합될 수 있다. 밀폐 장치(300)는 샤프트(230)를 방위각 방향으로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 장치(300)는, 샤프트(230)를 감싸는 슬리브(280)를 방위각 방향으로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 장치(300)는, 슬리브(280)의 외주면에 접할 수 있다.
샤프트(230)가 회전하면, 프로펠러 유닛(240)과 슬리브(280)가 회전할 수 있다. 밀폐 장치(300)는, 샤프트(230)가 회전하더라도, 바디(21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샤프트(230)가 회전하면, 슬리브(280)와 밀폐 장치(300) 사이의 마찰이 문제될 수 있다. 슬리브(280)와 밀폐 장치(30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윤활유가 제공될 수 있다. 윤활유는, 오일(oil)이라 칭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바디(210)는 제1 급유 홀(213)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급유 홀(213)은, 베어링(220)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급유 홀(213)은, 급유 파이프(2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급유 홀(213)은, 급유 파이프(250)로부터 윤활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밀폐 장치(300)는 제1 급유 홀(213)에 연결될 수 있다. 밀폐 장치(300)는, 제1 급유 홀(213)로부터 윤활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밀폐 장치(300)는 슬리브(280)를 감쌀 수 있다. 밀폐 장치(300)는, 슬리브(280)에 접할 수 있다. 밀폐 장치(300)는, 샤프트(230)와 베어링(220) 사이의 경계를 커버할 수 있다. 밀폐 장치(300)는, 바디(210)에 고정될 수 있다. 밀폐 장치(300)는, 바디(210)와 프로펠러 유닛(24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밀폐 장치(300)는 프로펠러 유닛(240)과 이격될 수 있다.
슬리브(280)는, 바디(210)와 프로펠러 유닛(24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슬리브(280)는, 바디(210)와 이격될 수 있다. 슬리브(280)는, 프로펠러 유닛(24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28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슬리브(280)의 단면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리브(280)는 베이스(28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81)는, 프로펠러 유닛(240, 도 2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281)는, 링(ring)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281)는, 홀(hole)을 구비한 원형 디스크(disc)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리브(280)는, 실린더(283)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283)는, 베이스(281)에서 회전축(RX)과 나란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린더(283)는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 실린더(283)에 형성된 중공부(hollow portion)에, 샤프트(230, 도 2 참조)가 끼워질 수 있다.
결합홈(285)이, 실린더(283)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285)은, 샤프트(230, 도 2 참조)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홈(285)은, 샤프트(230, 도 2 참조)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protrusion)와 결합할 수 있다. 결합홈(285)은, 방수 작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표시된 “B”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밀폐 장치(300, 도 2 참조)는, 브라켓(400)과 밀폐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400)은, 고정부(410)와 결합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410)는 바디(21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410)는 제2 급유 홀(413)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급유 홀(413)은, 제1 급유 홀(2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급유 홀(413)은, 제1 급유 홀(213)과 연통될 수 있다.
결합부(420)는 고정부(4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420)는 고정부(41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420)는 고정부(4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결합부(420)는, 슬리브(280)를 감쌀 수 있다. 결합부(420)는, 슬리브(280)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슬리브(280)는, 결합부(420)에 끼워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샤프트(230)는 슬리브(280)에 끼워질 수 있다. 샤프트(230)와 슬리브(280)는, 결합부(420)에 끼워질 수 있다. 샤프트(230)와 슬리브(280)는, 결합부(420)에서 회전할 수 있다. 슬리브(280)는, 결합부(420)에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280)는, 결합부(420)와 유격(clearance)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서 매우 근접한 슬리브(280)와 결합부(420)의 상대적 위치가 도시될 수 있다.
결합부(420)는 제3 급유 홀(423)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급유 홀(423)은 제2 급유 홀(4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급유 홀(423)은 제2 급유 홀(413)에 연통될 수 있다.
결합부(420)는 제1 대향면(4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대향면(425)은 슬리브(280)를 마주할 수 있다. 제1 대향면(425)은 슬리브(280)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대향면(425)은, 제3 급유 홀(423)에 이어질 수 있다.
제1 대향면(425)과 슬리브(280)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급유 파이프(250, 도 2 참조)로부터 제공되는 윤활유는, 제1 급유 홀(213)을 통과하여 브라켓(400)에 전달될 수 있다. 브라켓(400)에 전달된 윤활유는, 제2 급유 홀(413)과 제3 급유 홀(42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 대향면(425)과 슬리브(280) 사이의 공간에 유입될 수 있다.
밀폐 부재(500)는, 브라켓(4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 부재(500)는, 결합부(420)에 결합될 수 있다. 밀폐 부재(500)는 슬리브(280)에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 부재(500)의 일단(一端)은 브라켓(400)에 결합되고 타단(他端)은 슬리브(280)에 접할 수 있다.
밀폐 부재(500)는, 슬리브(280)에 접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 부재(500)는, 슬리브(280)가 회전하더라도, 슬리브(280)와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밀폐 부재(50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 부재(500)는, 제1 밀폐 부재(500a), 제2 밀폐 부재(500b), 제3 밀폐 부재(500c), 그리고 제4 밀폐 부재(50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폐 부재(500a)와 제2 밀폐 부재(500b)는, 브라켓(4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밀폐 부재(500a)와 제2 밀폐 부재(500b)는, 제1 대향면(425)과 슬리브(28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밀폐 부재(500a)는, 제2 밀폐 부재(500b)에 비하여 바디(210)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밀폐 부재(500a)의 일단은 브라켓(4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밀폐 부재(500a)의 타단은 슬리브(280)에 접할 수 있다. 제1 밀폐 부재(500a)의 타단은, 제1 대향면(425)과 슬리브(28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밀폐 부재(500a)는, 제1 대향면(425)에서 슬리브(280)로 연장되되 제2 밀폐 부재(500b)를 향하여 굽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밀폐 부재(500b)는, 제1 밀폐 부재(500a)에 비하여 프로펠러 유닛(240, 도 2 참조)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밀폐 부재(500b)는 제1 밀폐 부재(500a)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밀폐 부재(500b)의 일단은 브라켓(4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밀폐 부재(500b)의 타단은 슬리브(280)에 접할 수 있다. 제2 밀폐 부재(500b)의 타단은, 제1 대향면(425)과 슬리브(28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밀폐 부재(500b)는, 제1 대향면(425)에서 슬리브(280)로 연장되되 제1 밀폐 부재(500a)를 향하여 굽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대향면(425)과 슬리브(280) 사이의 공간에 유입된 윤활유는, 밀폐 부재(500)와 슬리브(28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대향면(425)과 슬리브(280) 사이의 공간에 유입된 윤활유는, 밀폐 부재(500)와 슬리브(28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제1 밀폐 부재(500a)와 제2 밀폐 부재(500b)는, 윤활유가 브라켓(4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밀폐 부재(500a)와 제2 밀폐 부재(500b)는, 외부로부터 유체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대향면(427)은 슬리브(280)를 마주할 수 있다. 제2 대향면(427)은, 제1 대향면(425)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대향면(427)은, 슬리브(280)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밀폐 부재(500c)는, 제2 대향면(427)에서 슬리브(280)로 연장되되 프로펠러 유닛(240, 도 2 참조)를 향해 굽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밀폐 부재(500c)의 일단은 브라켓(4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밀폐 부재(500c)의 타단은 슬리브(280)에 접할 수 있다. 제3 밀폐 부재(500c)의 타단은, 제2 대향면(427)과 슬리브(28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밀폐 부재(500c)는, 외부로부터 유체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밀폐 부재(500d)는, 브라켓(400)과 프로펠러 유닛(240, 도 2 참조)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밀폐 부재(500d)의 일단은, 브라켓(4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4 밀폐 부재(500d)의 타단은, 슬리브(280)에 접할 수 있다. 제4 밀폐 부재(500d)는, 브라켓(400)에서 슬리브(280)로 연장되되 프로펠러 유닛(240, 도 2 참조)를 향해 굽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밀폐 부재(500d)는, 수중 환경에서 이물질(부유물 등)의 브라켓(400)으로의 침투를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선박용 추진 장치 210: 바디
220: 베어링 230: 샤프트
240: 프로펠러 유닛 250: 급유 파이프
280: 슬리브 300: 밀폐 장치
400: 브라켓 500: 밀폐 부재

Claims (5)

  1. 홀(hole)을 구비한 바디(body);
    상기 바디의 홀에 끼워지는 샤프트(shaft);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되 상기 바디에 이격된 프로펠러 유닛(propeller unit);
    상기 바디와 프로펠러 유닛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샤프트를 감싸는 슬리브(sleeve);
    상기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슬리브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브라켓; 그리고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에 접하는, 복수 개의 밀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프로펠러 유닛에 결합되는 베이스(base);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바디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샤프트 상에 위치하는 실린더(cylinder)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밀폐 부재의 일부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슬리브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밀폐 부재의 다른 일부는,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되 상기 브라켓과 상기 프로펠러 유닛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밀폐 부재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슬리브를 마주하되 상기 슬리브에 이격된 제1 대향면; 그리고
    상기 슬리브를 마주하되 상기 슬리브에 이격되고, 상기 제1 대향면과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1 대향면에 비하여 상기 프로펠러 유닛에 더 인접한 제2 대향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밀폐 부재는,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슬리브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밀폐 부재;
    상기 제2 대향면과 상기 슬리브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밀폐 부재; 그리고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되 상기 브라켓과 상기 프로펠러 유닛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4 밀폐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설치되고 오일(oil)을 제공하는 급유 파이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급유 파이프에 연결되어 오일을 공급받는 제1 급유 홀(hole)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급유 홀과 연통되고 상기 결합부에 이어지며, 상기 제1 급유 홀을 통해 오일을 공급받는 제2 급유 홀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급유 홀과 연통되고 상기 제1 대향면에 이어지며, 상기 제2 급유 홀을 통해 오일을 공급받는 제3 급유 홀을 구비하며,
    상기 급유 파이프는,
    상기 제1 내지 3 급유 홀을 통해,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슬리브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오일을 제공하는,
    선박용 추진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폐 부재는,
    상기 제1 대향면에서 상기 슬리브로 연장되되 상기 제2 밀폐 부재를 향해 굽어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밀폐 부재는,
    상기 제1 대향면에서 상기 슬리브로 연장되되 상기 제1 밀폐 부재를 향해 굽어진 형상을 가지는,
    선박용 추진 장치.
KR1020180089397A 2018-07-31 2018-07-31 선박용 추진기 밀폐장치 KR102090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397A KR102090935B1 (ko) 2018-07-31 2018-07-31 선박용 추진기 밀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397A KR102090935B1 (ko) 2018-07-31 2018-07-31 선박용 추진기 밀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034A KR20200014034A (ko) 2020-02-10
KR102090935B1 true KR102090935B1 (ko) 2020-03-20

Family

ID=6962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397A KR102090935B1 (ko) 2018-07-31 2018-07-31 선박용 추진기 밀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9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4691A (ja) * 2010-09-29 2013-12-19 ワルトシラ フィンランド オサケユキチュア 船舶のプロペラシャフトをシールするための装置、シールアセンブリ、筐体フランジ及びスペーサ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9291A (en) 1971-03-05 1974-03-26 Schottel Werft Lubricating device for a z-drive for ships
JPH068882A (ja) * 1992-06-25 1994-01-18 Kobe Steel Ltd 船尾管シール装置
CN104321250B (zh) * 2012-04-17 2016-06-29 瓦锡兰芬兰有限公司 用于密封船舶的推进器轴的装置以及控制其操作的方法
KR101422491B1 (ko) * 2012-05-11 2014-07-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4691A (ja) * 2010-09-29 2013-12-19 ワルトシラ フィンランド オサケユキチュア 船舶のプロペラシャフトをシールするための装置、シールアセンブリ、筐体フランジ及びスペー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034A (ko) 202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6542B2 (ja) 二重反転プロペラ式舶用推進装置
EP2621801B1 (en) An arrangement, a sealing assembly, a casing flange and a spacer for sealing the propeller shaft of a marine vessel
US9963211B2 (en) Propulsion apparatus for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CA2771245A1 (en) Drive device for watercraft
KR100888391B1 (ko) 선박용 일체형 선미관의 경화재 밀봉용 분리식 실링장치
KR102090935B1 (ko) 선박용 추진기 밀폐장치
KR101618375B1 (ko) 계단형 래비린스 씰을 포함하는 레디알 샤프트 씰장치
JP5877896B2 (ja) 船舶用推進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船舶
KR101380662B1 (ko) 선박의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826746B1 (ko) 선박용 추진장치
KR20130121495A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701753B1 (ko) 선박용 추진장치
KR102562582B1 (ko) 해양 슬라이드 링 실 어레인지먼트
KR101422481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617028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302982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313605B1 (ko) 선박의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200276049Y1 (ko) 선박용 프로펠러샤프트의 보호관조립체
KR101608190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722375B1 (ko) 선박용 추진장치
KR101422478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390831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그 설치방법과 이를 갖춘 선박
KR101454626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422482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WO2022233810A1 (en) Marine drive assembly with counterrotating propel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