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814B1 - 타이어 시험기 - Google Patents

타이어 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814B1
KR102295814B1 KR1020207000128A KR20207000128A KR102295814B1 KR 102295814 B1 KR102295814 B1 KR 102295814B1 KR 1020207000128 A KR1020207000128 A KR 1020207000128A KR 20207000128 A KR20207000128 A KR 20207000128A KR 102295814 B1 KR102295814 B1 KR 102295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onveyance
belt
testing machi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332A (ko
Inventor
점페이 후쿠다
요시아키 마츠바라
유 스미모토
다카시 스미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200016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01M17/022Tyres the tyr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01M17/022Tyres the tyr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01M17/024Tyres the tyr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combined with tyre surface correcting or mar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02Inspect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02Inspecting tyres
    • B60C25/007Inspecting tyres outsid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60C25/05Machines
    • B60C25/0596Soap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01M17/021Tyre supporting devices, e.g.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61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D2030/0066Tyre quality control during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60C25/05Machines
    • B60C25/0512Integrated systems performing multiple operations, e.g.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Testing Of Balance (AREA)

Abstract

타이어 시험기(1)는, 타이어의 시험을 행하기 위한 것이고, 타이어 시험기(1)의 프리 롤러부(8)는, 복수의 롤러(80) 중 도포부(7)보다 반송 방향 D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롤러이며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P1)로부터 가장 떨어진 최단 롤러(80A)와, 상기 기준 위치(P1) 사이의 수평 방향의 거리(L1)가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할 대상으로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타이어 중 최대 타이어(T1)의 반경(R)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시험기
본 발명은 타이어 시험기에 관련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 루브리케이션액을 타이어에 도포하기 위한 타이어 이동 탑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타이어에 있어서, 타이어의 조성이나 형상에 관하여 둘레 방향으로 불균일한 부분이 존재하면, 타이어의 주행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제조 라인에서 제조된 성형 후의 타이어에 대해서는 유니포미티 머신 등의 타이어 시험기에 의해 균일성 검사가 행해진다. 예를 들어, 유니포미티 머신의 경우에는, 타이어의 회전 중심선이 상하 방향을 향하는 자세로 타이어가 배치된다. 이 타이어의 비드부에 대하여, 상하로부터 스핀들의 선단에 마련된 림(시험용 림)이 끼워 넣어진다. 이 타이어를 스핀들의 축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균일성 시험이 행해진다. 시험이 행해진 타이어는, 림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하류의 공정으로 보내진다.
그런데, 타이어를 림으로부터 분리하는 일(타이어를 림으로부터 벗기는 일)이 곤란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통상의 타이어 시험기는, 림으로부터의 탈리를 용이하게 하는 윤활제(루브리케이션액)를 시험 개시 전에 타이어에 도포하기 위한 루브리케이션부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타이어를 장착하는 스핀들을 마련한 타이어 시험기이며, 타이어를 스핀들의 중심 위치로 보내는 컨베이어를 구비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타이어 시험기는,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스핀들의 상류측에, 타이어의 비드부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루브리케이터(루브리케이션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루브리케이터가 설치된 위치에는, 루브리케이터에 타이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 가능한 광전 센서가 마련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타이어 시험기는, 상술한 루브리케이터의 위치에 마련된 광전 센서뿐만 아니라, 이 광전 센서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의 전후에 광전 센서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1의 타이어 시험기는, 합계 3개의 광전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타이어 시험기에서는, 3개의 광전 센서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동작이 행해진다. 즉, 타이어를 반송 방향을 따라 반송하면서 타이어의 사이즈가 실측된다. 그 후, 실측된 타이어의 사이즈에 따라 타이어를 반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후퇴시키는 동작(후퇴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루브리케이터가 마련된 위치에 타이어의 중심이 도달한다.
그 후, 타이어에 윤활제를 도포할 때에는, 프리 롤러부를 타이어의 하방으로부터 상승시킴으로써, 타이어가 당해 프리 롤러부에 지지된다. 그리고, 조절 암과 루브리케이터에 의해 타이어를 끼움 지지한 상태에서 타이어를 회전시키면서 윤활제의 도포가 행해진다.
여기서, 종래의 타이어 시험기에서는, 프리 롤러부가 표준 사이즈의 타이어에 맞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타이어 시험기의 시험 대상의 타이어가, 표준 사이즈의 타이어가 아니라, 당해 표준 사이즈에 비하여 직경이 큰 타이어(대경 타이어)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즉, 이러한 경우, 상기와 같이 루브리케이터가 마련된 위치에 대경 타이어의 중심이 도달된 상태에서 프리 롤러부가 상승되면, 대경 타이어가 프리 롤러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는다.
특허 제6027464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할 대상으로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타이어 중 어느 타이어가 선택된 경우라도, 프리 롤러부가 반송 벨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의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프리 롤러부가 당해 타이어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타이어 시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공되는 타이어 시험기는, 타이어의 시험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타이어 시험기는, 반송 벨트와, 도포부와, 조절 암과, 프리 롤러부를 구비한다. 상기 반송 벨트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타이어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포부는,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 벨트의 중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타이어의 내주면에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 암은, 상기 도포부에 대한 상기 타이어의 수평 방향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리 롤러부는, 상기 반송 벨트에 따라 배치된 복수의 롤러를 갖는다. 상기 프리 롤러부는, 상기 타이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프리 롤러부는, 상기 반송 벨트보다 하방의 하강 위치와 상기 반송 벨트보다 상방인 상승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반송 벨트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리 롤러부는,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상기 도포부보다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롤러이며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로부터 가장 떨어진 최단(最端) 롤러와, 상기 기준 위치 사이의 수평 방향의 거리가, 상기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할 대상으로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타이어 중 최대 타이어의 반경 이상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프리 롤러부가 상기 하강 위치로부터 상기 상승 위치로 상기 반송 벨트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때 상기 타이어의 중심이 배치되는 기준으로 되는 위치이며 평면으로 보아 상기 도포부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위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다.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의 개략을 나타내는 측면도다.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다.
도 4는 도 1의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의 루브리케이션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다(도면에서의 상방이 타이어 반입측).
도 5는 도 4의 루브리케이션부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다.
도 6은 도 2의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의 루브리케이션부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상기 루브리케이션부의 일부를 단면도로서 그린 것이다.
도 7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8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 타이어에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하는 루브리케이션 공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다.
도 9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의 상기 루브리케이션 공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다.
도 10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의 루브리케이션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다.
도 11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의 루브리케이션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다.
도 12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의 루브리케이션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다.
도 13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의 루브리케이션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다.
도 14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의 루브리케이션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다.
도 15는 참고예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의 루브리케이션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다.
도 16은 참고예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의 루브리케이션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다.
도 17은 참고예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의 루브리케이션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다.
도 18은 참고예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의 루브리케이션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다.
도 19는 참고예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의 루브리케이션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다.
도 20은 참고예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의 루브리케이션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의 평면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이며, 본 발명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타이어가 반송되는 방향을 반송 방향 D라 칭하고, 타이어의 반송 방향 D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평한 방향을, 폭 방향 W(또는 좌우 방향)라 칭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타이어 시험기(1)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타이어 시험기(1)는, 루브리케이션부(2)와, 타이어 시험부(3)와, 마킹부(4)를 갖고 있다.
루브리케이션부(2)는, 타이어를 회전시키면서 타이어의 비드부에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타이어 시험부(3)는, 루브리케이션부(2)에 있어서 루브리케이션액이 도포된 타이어를 스핀들에 따라 회전시키면서 타이어 시험을 행함으로써, 타이어에 존재하는 특이점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킹부(4)는, 타이어에 있어서의 특이점이 존재하는 둘레 방향의 위치에 대하여 마킹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루브리케이션부(2), 타이어 시험부(3) 및 마킹부(4)는, 타이어의 반송 경로(반송 방향 D)를 따라 하류를 향하여 차례로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루브리케이션부(2)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루브리케이션부(2)는, 1쌍의 반송 벨트(5)와, 1쌍의 조절 암(6)과, 도포부(7)와, 1쌍의 프리 롤러부(8)를 구비하고 있다.
1쌍의 반송 벨트(5)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반송 방향 D(수평 방향)를 따라 각각 연장되어 있다. 1쌍의 반송 벨트(5)는, 반송 방향 D를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는 긴 벨트 컨베이어다. 1쌍의 반송 벨트(5)는, 루브리케이션부(2)의 전체 길이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1쌍의 반송 벨트(5)는, 타이어를 수평 방향으로 쓰러뜨린 상태, 즉 타이어의 회전 중심선이 상하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타이어를 지지하면서 타이어를 반송 방향 D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포부(7)는, 반송 방향 D에 있어서의 반송 벨트(5)의 중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도포부(7)는, 1쌍의 반송 벨트(5)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도포부(7)는, 타이어의 내주면을 구성하는 비드부에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쌍의 조절 암(6)은, 도포부(7)에 대한 타이어의 수평 방향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쌍의 조절 암(6)은, 도포부(7)와 함께 타이어를 집음으로써 타이어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1쌍의 프리 롤러부(8)는, 타이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쌍의 프리 롤러부(8)의 각각은, 1쌍의 반송 벨트(5)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롤러(80)를 갖고 있다. 각 프리 롤러부(8)에 있어서는, 복수의 롤러(80)는, 폭 방향 W와 반송 방향 D로 각각 배열되어 있다. 1쌍의 프리 롤러부(8)는, 1쌍의 반송 벨트(5)보다 하방의 하강 위치와 1쌍의 반송 벨트(5)보다 상방인 상승 위치 사이에서 1쌍의 반송 벨트(5)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1)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타이어 시험기(1)는, 컨트롤러(60)를 구비한다. 컨트롤러(60)는, CPU, 다양한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 CPU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는 RAM 등으로 구성된다. 컨트롤러(60)는, 벨트 제어부(61)와, 롤러 높이 조절부(62)와, 도포 높이 조절부(63)와, 암 제어부(64)와, 외경 연산부(65)와, 반송 시간 연산부(66)를 기능으로서 구비한다.
벨트 제어부(61)는, 1쌍의 반송 벨트(5)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롤러 높이 조절부(62)는, 1쌍의 프리 롤러부(8)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포 높이 조절부(63)는, 도포부(7)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다. 암 제어부(64)는, 1쌍의 조절 암(6)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외경 연산부(65)는, 반송 벨트(5)에 의해 반송 방향 D로 반송되는 타이어의 외경을 연산하는 기능을 갖는다. 반송 시간 연산부(66)는, 반송 경로 중 소정의 구간에 있어서의 타이어의 반송 시간을 연산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벨트(5)는, 루브리케이션부(2)의 상류단과 하류단에 마련된 1쌍의 풀리(41)와, 이들 풀리(41) 사이에 환형으로(무단형으로) 걸쳐진 벨트(42)를 갖는다. 벨트(42)는 고무 등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풀리(41)의 한쪽(도면예에서는 상류단에 마련된 풀리(41))에는 벨트 구동용 모터(43)가 장착되어 있다(도 4 참조).
당해 모터(43)는, 벨트 제어부(61)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동작한다. 모터(43)가 회전함으로써 풀리(41)가 회전하고, 풀리(41)에 걸쳐진 벨트(42)가 반송 방향 D 또는 그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벨트 제어부(61)는, 모터(43)를 제어하여 모터(43)의 회전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벨트(42)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고, 벨트(42) 상에 적재된 타이어를 반송 방향 D(전진 방향)로 반송하거나, 또는 반송 방향 D와는 반대 방향(후퇴 방향)으로 반송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포부(7)는, 타이어에 대한 루브리케이션액의 도포를 행하지 않을 때에는, 반송 벨트(5)의 상면(반송면)보다 하방의 위치인 퇴피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타이어의 반송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포부(7)는, 타이어에 대한 루브리케이션액의 도포를 행할 때에는, 상기 퇴피 위치로부터 상승하여, 도포부(7)의 적어도 일부가 타이어와 동일한 높이가 되는 위치인 상승 위치에 배치된다.
도포부(7)는, 브러시부(44)와, 지지부(45)와, 도포부 승강 기구(46)를 갖고 있다. 브러시부(44)는, 당해 브러시부(44)에 루브리케이션액을 함침시킨 상태에서 타이어의 내주면에 압박된다. 브러시부(44)는 상하 방향을 향하는 축 둘레로 회전되면서 루브리케이션액을 타이어의 내주면에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45)는, 브러시부(4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도포부 승강 기구(46)는, 지지부(45)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도포부 승강 기구(46)의 동작은, 컨트롤러(60)의 도포 높이 조절부(63)에 의해 제어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브러시부(44)는, 반송 방향 D의 하류측에 브러시부(44)의 브러시면을 향하도록 지지부(45)에 장착되어 있다. 도포부 승강 기구(46)는, 지지부(45)를 승강 가능으로 하는 전동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도포부 승강 기구(46)는, 브러시부(44)의 브러시면이 타이어의 내주면에 맞닿음 가능한 높이까지 지지부(45)를 상승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타이어의 내주면에 브러시부(44)의 브러시면이 압박된 상태에서, 컨트롤러(60)의 도시 생략된 브러시 제어부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브러시부(44)를 구동되는 구동 기구(도시 생략)가 회전한다. 이에 의해, 타이어의 내주면(비드부)에 루브리케이션액이 도포된다.
루브리케이션액의 도포가 종료되면, 상기 브러시 제어부는, 브러시부(44)의 구동 기구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구동 기구를 제어하고, 도포 높이 조절부(63)는, 도포부 승강 기구(46)를 제어하여 지지부(45)를 하강시킨다. 이 때문에, 지지부(45)에 지지된 브러시부(44)가 반송 벨트(5)의 반송면보다 하방의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하므로, 도포부(7)가 수평 방향을 따른 타이어 반송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쌍의 조절 암(6)은, 타이어의 외주(트레드면)를 압박하여 도포부(7)와 함께 타이어를 보유 지지한다. 타이어는, 1쌍의 조절 암(6)과 브러시부(44)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위치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1쌍의 조절 암(6)은, 1쌍의 반송 벨트(5)에 대하여 폭 방향 W(좌우 방향)의 외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각 조절 암(6)은, 봉형의 암부(47)와 암부(47)의 선단에 마련된 회전 롤러(48)를 갖고 있다. 암부(47)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암부(47)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 D의 하류측의 단부(선단부)에 회전 롤러(48)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암부(47)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 D의 상류측의 단부(기단부)는, 상하 방향을 향하는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 부재에 장착되어 있고, 이 때문에, 암부(47)는 이 기단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1쌍의 조절 암(6) 중, 좌측 조절 암(6)은 기단부를 중심으로 평면으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타이어를 좌측으로부터 압박하여 보유 지지하고, 우측 조절 암(6)은 기단부를 중심으로 평면으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타이어를 우측으로부터 압박하여 보유 지지한다. 이와 같은 1쌍의 조절 암(6)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좌우의 조절 암(6) 사이에는, 우측 조절 암(6)의 회동에 연동하여 좌측 조절 암(6)을 회동시키는 연동 링크 부재(49)가 마련되어 있다.
연동 링크 부재(49)는, 1쌍의 조절 암(6)의 사이에 걸쳐지도록 1쌍의 조절 암(6)끼리를 연결하고 있고, 1쌍의 조절 암(6)이 서로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측 조절 암(6)이 타이어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우측 조절 암(6)도 타이어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좌측 조절 암(6)이 타이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우측 조절 암(6)도 타이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1쌍의 조절 암(6) 중, 좌측 조절 암(6)의 기단부측 부위(반송 방향 D의 상류측의 단부)에는, 좌측 조절 암(6)을 회동시키는 암 회동 기구(50)가 마련되어 있다. 암 회동 기구(50)를 사용하여 좌측 조절 암(6)이 타이어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연동 링크 부재(49)에 의해 우측 조절 암(6)도 타이어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타이어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집듯이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각 조절 암(6)의 회전 롤러(48)는, 상하 방향을 향하는 축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암부(47)에 지지되어 있고, 타이어의 트레드면에 접촉함으로써 타이어를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타이어가 조절 암(6)으로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 롤러(48)가 회전하면, 타이어는, 상하 방향을 향하는 축 둘레로 회전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쌍의 프리 롤러부(8)는, 타이어의 회전 중심선이 상하 방향을 향하는 상태(옆으로 쓰러진 상태)로 타이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타이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프리 롤러부(8)는, 평탄한 판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에 장착된 복수의 원통형 회전체(롤러(80))를 갖는다. 이들 복수의 회전체(복수의 롤러(80))는, 수평 방향을 향하는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롤러(80)는,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타이어는, 프리 롤러부(8)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되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1쌍의 프리 롤러부(8)는, 1쌍의 반송 벨트(5)에 대하여 폭 방향 W(좌우 방향)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1쌍의 프리 롤러부(8)의 하방에는, 이들 프리 롤러부(8)를 승강 가능한 롤러 승강 기구(51)가 마련되어 있다. 롤러 승강 기구(51)는, 1쌍의 프리 롤러부(8)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롤러 승강 기구(51)의 동작은, 컨트롤러(60)의 롤러 높이 조절부(62)에 의해 제어된다.
롤러 승강 기구(51)는, 승강 링크 부재(52)와, 승강 구동부(53)를 갖고 있다. 승강 링크 부재(52)는, 프리 롤러부(8)의 하방에 마련됨과 함께 좌우 방향을 향하는 축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승강 구동부(53)는, 승강 링크 부재(52)를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승강 링크 부재(52)는, 프리 롤러부(8)의 하부와 바닥면을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회동함으로써 프리 롤러부(8)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 구동부(53)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된 액추에이터이며, 승강 링크 부재(52)의 일단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승강 링크 부재(52)의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반송 벨트(5)의 벨트 구동용 모터(43), 도포부(7)의 도포부 승강 기구(46), 브러시부(44)의 구동 기구, 조절 암(6)의 암 회동 기구(50) 및 프리 롤러부(8)의 롤러 승강 기구(51)는, 컨트롤러(60)로부터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동작한다.
다음에, 타이어 시험기(1)의 루브리케이션부(2)에 있어서, 대경 사이즈의 타이어에 대하여 루브리케이션액의 도포를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1)와 비교하기 위해, 우선, 참고예의 루브리케이션부에 있어서의 타이어의 반입 동작 및 도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참고예의 루브리케이션부는, 1쌍의 반송 벨트(105) 사이에, 도포부(107)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방향 D에 있어서 도포부(107)는, 반송 벨트(105)의 반송 방향 D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1쌍의 반송 벨트(105)의 외측에는, 1쌍의 프리 롤러부(108)가 마련되어 있다. 각 프리 롤러부(108)는, 반송 벨트(105)의 길이의 1/2정도의 길이를 구비하고 있다. 도포부(7)는, 프리 롤러부(108)의 반송 방향 D의 길이의 거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1쌍의 프리 롤러부(108)의 더욱 외측에는, 1쌍의 조절 암(106)이 마련되어 있다.
1쌍의 프리 롤러부(108)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롤러 중 도포부(107)보다 반송 방향 D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롤러이며 도포부(107)에 있어서의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 P11로부터 가장 떨어진 최단 롤러와, 기준 위치 P11의 수평 방향의 거리 L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1)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거리 L1에 비하여 작다.
참고예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에서는, 루브리케이션부에 있어서 세 센서(제1 센서(154), 제2 센서(155), 제3 센서(156))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센서(154)는, 도포부(107)보다 반송 방향 D의 상류측의 위치에 있어서 타이어를 검지 가능하고, 제2 센서(155)는, 도포부(107) 부근의 위치에 있어서 타이어를 검지 가능하고, 제3 센서(156)는, 도포부(107)보다 반송 방향 D의 하류측의 위치에 있어서 타이어를 검지 가능하다. 각 센서는, 타이어를 검지하면, 컨트롤러에 타이어를 검지하였음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ON」 신호)를 입력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참고예에 있어서의 루브리케이션부에 있어서는, 루브리케이션부보다 전단계의 공정으로부터 루브리케이션부로 타이어가 반송되고, 제1 센서(154)에 의한 검지 위치에 타이어가 도달하면, 제1 센서(154)는, 컨트롤러에 타이어를 검지하였음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ON」 신호)를 입력한다. 컨트롤러는 이 신호를 받아 풀리를 구동되는 신호를 보내고, 컨트롤러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풀리가 구동되면, 반송 벨트(105)가 반송 방향 D를 향하여 이동하고, 반송 벨트(105) 상에 적재된 타이어가 반송 방향 D로 반송된다. 타이어는, 반송 벨트(105)의 이동에 따라 반송 방향 D의 하류측으로 반송되고, 도포부(107) 부근에 도달하면, 제2 센서(155)는, 컨트롤러에 타이어를 검지하였음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ON」 신호)를 입력한다.
타이어가 반송 벨트(105)의 하류측의 단부에 도달하면, 제3 센서(156)는, 컨트롤러에 타이어를 검지하였음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ON」 신호)를 입력한다. 제3 센서(156)가 타이어를 검지하면, 컨트롤러는, 도시 생략된 구동 기구를 제어하여 반송 벨트(105)의 회전 방향을 전환한다.
컨트롤러는, 제1 센서(154), 제2 센서(155) 및 제3 센서(156)에 의한 타이어의 검지 결과(검지 시각 등), 반송 벨트(105)의 반송 속도, 센서간의 거리 등에 기초하여, 타이어의 사이즈를 연산한다. 컨트롤러는, 연산된 타이어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타이어의 중심이 도포부(107)의 기준 위치 P11에 도달하는 위치까지 타이어가 후퇴 동작하도록 반송 벨트(105)를 반송 방향 D의 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타이어의 중심이 도포부(107)의 기준 위치 P11에 도달하는 위치까지 타이어가 후퇴 동작한다. 그러나, 참고예에서는, 타이어 시험기의 시험 대상의 타이어가, 표준 사이즈의 타이어가 아니고, 당해 표준 사이즈에 비하여 직경이 큰 대경 타이어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대경 타이어의 중심이 도포부(107)의 기준 위치 P11에 도달한 상태에서 프리 롤러부(108)가 상승하면, 대경 타이어가 프리 롤러부(108)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되지 않고, 프리 롤러부(108)의 단부로부터 타이어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프리 롤러부(108)에 있어서의 상기 최단 롤러와, 기준 위치 P11 사이의 수평 방향의 거리 L11이, 상기 대경의 타이어 반경보다 작은 것, 즉 대경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전체가 프리 롤러부(108)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따라서, 참고예에서는, 프리 롤러부(108)가 타이어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해,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경 타이어의 중심이 도포부(107)의 기준 위치 P11에 일치하는 위치보다, 타이어를 반송 방향 D의 상류측으로 반송 벨트(105)에 의해 후퇴시킬 필요가 있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 롤러부(108)를 상승시킨 경우에 프리 롤러부(108)의 상부로부터 타이어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일이 없는 위치까지 타이어가 후퇴하면, 다음으로, 컨트롤러는, 반송 벨트(105)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도포부(107)의 브러시부를, 타이어의 내주면 높이와 동등해지는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다음에, 컨트롤러는, 조절 암(106)의 동작을 제어하여 조절 암(106)을 회동시킴으로써 프리 롤러부(108) 상에서 타이어가 반송 방향 D의 상류측을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타이어의 내주면에 도포부(107)의 브러시부를 접촉시킬 수 있다. 그 후, 도포부(107)의 브러시부를 회동시켜, 타이어의 내주면에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 벨트(105)를 반송 방향 D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대경 사이즈의 타이어를 후퇴시키는 동작이 행해지면, 상술한 타이어의 낙하를 어느 정도 억제할 수는 있다. 단, 제3 센서(156)의 위치까지 타이어를 전진시킨 후에 타이어를 후퇴시키는 동작을 행하면, 타이어의 반송 거리가 길어져, 타이어 시험의 사이클 타임이 길어진다. 또한, 대경 사이즈의 타이어 시험에서는, 반송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사이클 타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들에 의해, 대경 사이즈의 타이어 시험의 사이클 타임이 매우 길어진다.
또한, 대경 사이즈의 타이어는 중량이 크기 때문에, 타이어를 후퇴시키는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반송 벨트(105)에 큰 부하가 걸리고, 반송 벨트(105)의 마모가 진행되는 원인으로 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1)에서는, 대경 사이즈의 타이어 시험을 행하는 경우라도, 프리 롤러부(8)가 반송 벨트(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의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프리 롤러부(8)가 당해 타이어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1)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쌍의 프리 롤러부(8)의 각각은, 복수의 롤러(80) 중 도포부(7)보다 반송 방향 D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롤러(80)이며 도포부(7)에 있어서의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 P1로부터 가장 떨어진 최단 롤러(80A)와, 기준 위치 P1의 수평 방향의 거리 L1이,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할 대상으로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타이어 중 최대 타이어 T1의 반경 R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쌍의 프리 롤러부(8)의 각각은, 상기 기준 위치 P1로부터 반송 방향 D로 가장 떨어진 롤러(80)와, 기준 위치 P1의 반송 방향 D의 거리 L2가, 상기 최대 타이어 T1의 반경 R 이상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프리 롤러부(8)는, 상기 최대 타이어 T1을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 P1은, 프리 롤러부(8)가 상기 하강 위치로부터 상기 상승 위치로 반송 벨트(5)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때 타이어의 중심 C가 배치되는 기준이 되는 위치이며 평면으로 보아 도포부(7)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위치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1)에서는,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할 대상으로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타이어 중 최대 타이어 T1의 반경 R은, 예를 들어 450㎜ 내지 510㎜의 범위 내이다. 최대 타이어 T1의 반경 R이 상기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기준 위치 P1로부터 반송 방향 D로 가장 떨어진 롤러(80)와, 기준 위치 P1의 반송 방향 D의 거리 L2는, 410㎜ 내지 440㎜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1)에서는,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할 대상으로 하는 타이어로서는, 예를 들어 승용차용 타이어인 PC(Passenger Car), 경트럭용 타이어인 ULT(Ultra Light Truck), 소형 트럭용 타이어인 LT(Light Truck)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1)에서는,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할 대상으로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타이어 중 최대 타이어 T1의 외경은 1020㎜(반경 510㎜이며, 상기 복수의 타이어 중 최소의 타이어의 외경은 480㎜(반경 240㎜)이다. 당해 최소의 타이어는, 상기 분류 중 승용차용 타이어인 PC 중 최소의 것이다.
타이어 시험기(1)가 상기와 같은 사이즈의 프리 롤러부(8)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할 대상으로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타이어 중 어느 타이어가 선택된 경우라도, 프리 롤러부(8)가 반송 벨트(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인 상승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프리 롤러부(8)가 당해 타이어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1)에서는, 조절 암(6)은, 종래의 것보다 암의 직경이 크고, 높은 강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절 암(6)의 인입력이 증강된다. 따라서, 중량이 큰 대경 사이즈의 타이어 시험을 행하는 경우라도, 조절 암(6)은, 프리 롤러부(8) 상의 타이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1)에서는, 타이어의 반입 동작 및 도포 동작은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또한, 도 8, 도 10 내지 도 14에 있어서, 일점쇄선(54)으로 나타내는 위치는, 제1 센서(54)가 타이어 T1을 검지하는 반송 방향 D의 위치(이하, 제1 위치라고 함)이다. 또한, 일점쇄선(55)으로 나타내는 위치는, 제2 센서(55)가 타이어 T1을 검지하는 반송 방향 D의 위치이다(이하, 제2 위치라고 함). 제1 위치는, 기준 위치 P1보다 반송 방향 D의 상류측의 위치이며, 제2 위치는, 기준 위치 P1보다 반송 방향 D의 하류측의 위치이다.
도 10은, 타이어 T1이 반송 벨트(5)에 반입되기 전의 루브리케이션부(2)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 T1이 반송 벨트(5) 상에 반입되면, 도 11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어 T1의 전단부(반송 방향 D의 하류측의 단부)가 제1 위치(54)에 도달하고(도 8 및 도 9에 있어서 (B)의 상태), 제1 센서(54)는, 타이어를 검지하고, 타이어 T1을 검지하였음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ON」 신호)를 컨트롤러(60)에 입력한다. 컨트롤러(60)는 이 신호를 받아 풀리(41)를 구동되는 신호를 보내고, 컨트롤러(6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풀리(41)가 구동되면, 타이어 T1은 반송 벨트(5)에 의해 반송 방향 D로 이동한다.
타이어 T1이 반송 벨트(5)에 의해 반송 방향 D로 더 반송되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 T1의 전단부가 제2 위치(55)에 도달하면(도 8 및 도 9에 있어서 (C)의 상태), 제2 센서(55)는, 타이어 T1을 검지하고, 타이어 T1을 검지하였음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ON」 신호)를 컨트롤러(60)에 입력한다.
타이어 T1이 반송 벨트(5)에 의해 반송 방향 D에 더 반송되어, 타이어 T1의 후단부(반송 방향 D의 상류측의 단부)가 제1 위치(54)에 도달하면(도 8 및 도 9에 있어서 (D)의 상태), 제1 센서(54)는, 타이어 T1이 검지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신호(「OFF」 신호)를 컨트롤러(60)에 입력한다. 즉, 타이어 T1의 후단부가 제1 위치(54)를 통과하면, 제1 센서(54)로부터 컨트롤러(60)에 입력되는 신호는, 「ON」 신호로부터 「OFF」 신호로 변한다.
외경 연산부(65)는, 제1 센서(54)에 의한 상기 검지 결과 및 벨트 제어부(61)에 의해 제어되는 반송 벨트(5)의 반송 속도 V에 기초하여, 반송 벨트(5)에 의해 반송 방향 D로 반송되는 타이어 T1의 외경(2R)을 연산한다. 구체적으로는, 외경 연산부(65)는, 타이어 T1의 전단부가 제1 위치(54)에 도달한 시점(도 8 및 도 9에 있어서 (B)의 상태)으로부터 타이어 T1의 후단부가 제1 위치(54)에 도달한 시점(도 8 및 도 9에 있어서 (D)의 상태)까지의 시간(t1)과, 반송 벨트(5)의 반송 속도(V)에 기초하여, 타이어 T1의 외경(2R)을 하기 식 (1)에 의해 연산한다.
t1=2R/V(초) …(1)
또한, 도포부(7)의 기준 위치 P1과 제2 위치 사이의 반송 방향 D에 있어서의 거리를 2점 거리 S2라 할 때(도 8 및 도 10 참조), 반송 시간 연산부(66)는, 외경(2R), 반송 속도(V) 및 2점 거리(S2)에 기초하여 반송 시간(t2)을 하기 식 (2)에 의해 연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2=(R-S2)/V(초) …(2)
그리고, 벨트 제어부(61)는, 타이어 T1의 전단부가 제2 센서(55)에 의해 검지된 시점인 검지 시점(도 8 및 도 9에 있어서 (C)의 상태)으로부터 반송 시간(t2)이 경과하였을 때 반송 벨트(5)의 동작을 제어하여 반송 벨트(5)를 정지시킨다. 이 때문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 T1의 중심 C를 도포부(7)의 기준 위치 P1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도 8 및 도 9에 있어서 (E)의 상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1)에서는, 상기와 같이 참고예의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의 제3 센서(156)에 대응하는 센서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타이어 T1을 반송 방향 D의 반대 방향으로 후퇴 동작시키지 않고 타이어 T1의 중심 C를 도포부(7)의 기준 위치 P1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1)에 있어서, 상기 2점 거리 S2는, 복수의 타이어 중 최소의 타이어의 반경보다 작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할 대상으로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타이어 중 어느 타이어가 선택된 경우라도, 타이어의 전단부가 제2 센서(55)에 의해 검지된 검지 시점으로부터, 타이어를 반송 방향 D의 상류측으로 되돌리는 동작(후퇴 동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시험기(1)에서는, 도포 높이 조절부(63)는, 타이어의 중심 C가 기준 위치 P1에 도달한 상태에 있어서, 도포부(7)의 브러시부(44)가 타이어 T1의 비드부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도포부(7)의 브러시부(44)가 비드부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높이 위치로 도포부(7)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준 위치 P1은, 도포 높이 조절부(63)에 의해 도포부(7)의 높이가 상기 높이 위치로 조절되었을 때, 최소의 타이어의 비드부에 대하여 도포부(7)의 브러시부(44)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타이어 시험의 대상으로 되는 타이어가 상기 복수의 타이어 중 최소 타이어라도, 도포부(7)의 높이를 조절하는 동작을 위해, 타이어 T1의 위치를 반송 방향 D로 어긋나게 하는 등의 동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타이어 시험의 사이클 타임이 길어지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도포 높이 조절부(63)는, 도포부 승강 기구(46)의 동작을 제어하여 도포부(7)의 브러시부(44)를 상승시킴과 함께, 암 제어부(64)는, 암 회동 기구(50)의 동작을 제어하여 조절 암(6)에 의해 타이어 T1을 좌우로부터 집는다. 이 때문에,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절 암(6)의 끼움 지지 동작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한 타이어 T1은, 도포부(7)의 브러시부(44)에 접촉하여, 프리 롤러부(8) 상에 보유 지지된다. 그 후, 타이어 T1을 회전시킴으로써, 타이어 T1의 비드부에 루브리케이션액의 도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리 롤러부(8)의 상승 동작 이후에, 브러시부(44)의 상승 동작 및 조절 암(6)의 회동 동작을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지만, 이 동작들은 동시에 행해져도 된다. 즉, 프리 롤러부(8)의 상승 동작과 도포부(7)의 상승 동작이 동시에 행해져도 되고, 또한, 프리 롤러부(8)의 상승 동작과 도포부(7)의 상승 동작과 조절 암(6)의 회동 동작이 동시에 행해져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타이어 시험기(1)에서는, 반송 벨트(5)(컨베이어)와 프리 롤러부(8) 사이에서 타이어를 안정되게 이동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소경의 보통 승용차에 적합한 타이어밖에 시험 대상으로 할 수 없었던 종래의 타이어 시험기에 비하여, 소경으로부터 대경까지 다양한 사이즈의 타이어에 대하여 시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해야 한다. 특히,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은 사항, 예를 들어 운전 조건이나 조업 조건, 각종 파라미터, 구성물의 치수, 중량, 체적 등은, 당업자가 통상 실시하는 범위를 일탈하는 것이 아니며, 통상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상정하는 것이 가능한 값을 채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할 대상으로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타이어 중 어느 타이어가 선택된 경우라도, 프리 롤러부가 반송 벨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의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프리 롤러부가 당해 타이어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타이어 시험기가 제공된다.
제공되는 타이어 시험기는, 타이어의 시험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타이어 시험기는, 반송 벨트와, 도포부와, 조절 암과, 프리 롤러부를 구비한다. 상기 반송 벨트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타이어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포부는,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 벨트의 중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타이어의 내주면에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 암은, 상기 도포부에 대한 상기 타이어의 수평 방향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리 롤러부는, 상기 반송 벨트에 따라 배치된 복수의 롤러를 갖는다. 상기 프리 롤러부는, 상기 타이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프리 롤러부는, 상기 반송 벨트보다 하방의 하강 위치와 상기 반송 벨트보다 상방인 상승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반송 벨트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리 롤러부는,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상기 도포부보다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롤러이며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로부터 가장 떨어진 최단 롤러와, 상기 기준 위치 사이의 수평 방향의 거리가, 상기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할 대상으로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타이어 중 최대 타이어의 반경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프리 롤러부가 상기 하강 위치로부터 상기 상승 위치로 상기 반송 벨트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때 상기 타이어의 중심이 배치되는 기준이 되는 위치이며 평면으로 보아 상기 도포부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위치이다.
이 타이어 시험기에 따르면, 상기 최단 롤러와 상기 기준 위치 사이의 상기 거리가 상기 최대 타이어의 반경 이상이므로, 평면으로 보아 상기 최대 타이어의 중심이 상기 기준 위치에 일치하도록 상기 최대 타이어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리 롤러부가 상기 하강 위치로부터 상기 상승 위치로 반송 벨트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였을 때, 상기 최대 타이어는, 프리 롤러부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된다. 게다가, 이 타이어 시험기에서는, 상기 기준 위치가 평면으로 보아 도포부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위치이므로, 타이어의 비드부보다 직경 방향 내측의 중공 부분(휠이 배치되는 영역)이 도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그 후에 행해지는 도포부의 높이 조절에 의해 도포부의 브러시부를 상기 중공 부분에 배치하기 쉬워진다.
구체예를 들면, 상기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최대 타이어의 상기 반경은, 450㎜ 내지 510㎜의 범위 내여도 된다.
상기 타이어 시험기는, 상기 반송 벨트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타이어를 상기 기준 위치보다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측의 제1 위치에 있어서 검지 가능한 제1 센서와, 상기 반송 벨트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타이어를 상기 기준 위치보다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제2 위치에 있어서 검지 가능한 제2 센서와, 상기 반송 벨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벨트 제어부와, 상기 제1 센서에 의한 검지 결과 및 상기 벨트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반송 벨트의 반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어의 외경을 연산하는 외경 연산부와, 상기 타이어의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단부가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지된 시점인 검지 시점부터 상기 타이어의 중심이 상기 기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인 반송 시간을 연산하는 반송 시간 연산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반송 시간 연산부는,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인 2점 거리, 상기 외경 및 상기 반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반송 시간을 연산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벨트 제어부는, 상기 검지 시점으로부터 상기 반송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상기 반송 벨트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반송 벨트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서는, 타이어의 중심을 상기 기준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타이어의 외경은, 타이어의 전단부(타이어의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단부)가 제1 위치에 있어서 제1 센서에 의해 검지된 시점으로부터, 타이어의 후단부(타이어의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측의 단부)가 제1 위치에 있어서 제1 센서에 의해 검지된 시점까지의 시간과, 반송 벨트의 반송 속도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점 거리는,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일정한 거리이므로, 타이어의 상기 외경, 상기 2점 거리 및 상기 반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반송 시간, 즉 타이어의 전단부가 제2 센서에 의해 검지된 검지 시점부터 타이어의 중심이 상기 기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 연산된다. 이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벨트 제어부는, 상기 검지 시점으로부터 상기 반송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상기 반송 벨트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반송 벨트를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타이어의 중심을 상기 기준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2점 거리는, 상기 복수의 타이어 중 최소의 타이어의 반경보다 작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서는, 상기 2점 거리가 상기 복수의 타이어 중 최소의 타이어의 반경보다 작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타이어의 전단부가 제2 위치에 있어서 제2 센서에 의해 검지된 검지 시점에 있어서는, 상기 최소의 타이어의 중심은, 상기 기준 위치보다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타이어의 중심을 상기 기준 위치에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타이어를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추가로 반송하면 된다. 즉, 이 양태에서는, 타이어의 전단부가 제2 위치에 있어서 제2 센서에 의해 검지된 검지 시점 이후, 타이어를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 되돌리는 동작(후퇴 동작)이 행해지지 않아도, 타이어의 중심을 상기 기준 위치에 일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후퇴 동작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후퇴 동작에 기인하여 타이어의 반송 거리가 커지는 것과 시험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타이어 시험의 사이클 타임이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송 벨트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반송 벨트의 마모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시험기는, 상기 반송 벨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벨트 제어부와, 상기 도포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도포 높이 조절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벨트 제어부는,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의 중심이 상기 기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반송 벨트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반송 벨트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포 높이 조절부는, 상기 타이어의 중심이 상기 기준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의 일부가 상기 타이어의 비드부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포부의 상기 일부가 상기 비드부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높이 위치로 상기 도포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도포 높이 조절부에 의해 상기 도포부의 높이가 상기 높이 위치로 조절되었을 때, 상기 복수의 타이어 중 최소의 타이어의 비드부에 대하여 상기 도포부의 상기 일부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서는, 타이어의 중심이 상기 기준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 있어서, 도포부의 높이가 상기 높이 위치로 조절되었을 때, 최소의 타이어의 비드부에 대하여 상기 도포부의 상기 일부(예를 들어, 도포부의 브러시부)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상기 기준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타이어 시험의 대상으로 되는 타이어가 상기 복수의 타이어 중 최소 타이어라도, 도포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동작을 위해, 타이어의 위치를 반송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등의 동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타이어 시험의 사이클 타임이 길어지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구체예를 들면, 상기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최소의 타이어의 반경은 205㎜ 내지 250㎜의 범위 내(상기 최소의 타이어의 직경은 410㎜ 내지 500㎜의 범위 내)여도 된다.
상기 타이어 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는, 미리 설정된 설정 위치(예를 들어, 도 8의 (E)에 있어서의 타이어의 위치나, 도 13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타이어의 위치)에 상기 타이어가 배치되어 있을 때의 상기 타이어의 중심에 대하여 평면으로 보아 일치하는 위치이며, 상기 설정 위치는, 상기 복수의 롤러에 의해 지지된 상기 타이어를 미리 설정된 도포 위치(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하는 타이어의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상기 조절 암의 동작인 조절 동작이 개시될 때의 상기 타이어의 위치이며 상기 도포 위치보다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위치이며, 상기 도포 위치는, 상기 루브리케이션액이 도포될 때의 상기 타이어의 위치여도 된다.

Claims (7)

  1. 타이어의 시험을 행하는 타이어 시험기이며,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타이어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벨트와,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 벨트의 중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타이어의 내주면에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하는 도포부와,
    상기 도포부에 대한 상기 타이어의 수평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 암과,
    상기 반송 벨트에 따라 배치된 복수의 롤러를 갖고, 상기 타이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반송 벨트보다 하방의 하강 위치와 상기 반송 벨트보다 상방인 상승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반송 벨트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한 프리 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리 롤러부는,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상기 도포부보다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롤러이며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로부터 가장 떨어진 최단 롤러와, 상기 기준 위치 사이의 수평 방향의 거리가, 상기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할 대상으로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타이어 중 최대 타이어의 반경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프리 롤러부가 상기 하강 위치로부터 상기 상승 위치로 상기 반송 벨트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때 상기 타이어의 중심이 배치되는 기준이 되는 위치이며 평면으로 보아 상기 도포부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위치이고,
    상기 타이어 시험기는,
    상기 반송 벨트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타이어를 상기 기준 위치보다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측의 제1 위치에 있어서 검지 가능한 제1 센서와,
    상기 반송 벨트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타이어를 상기 기준 위치보다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제2 위치에 있어서 검지 가능한 제2 센서와,
    상기 반송 벨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벨트 제어부와,
    상기 제1 센서에 의한 검지 결과 및 상기 벨트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반송 벨트의 반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어의 외경을 연산하는 외경 연산부와,
    상기 타이어의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단부가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지된 시점인 검지 시점부터 상기 타이어의 중심이 상기 기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인 반송 시간을 연산하는 반송 시간 연산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반송 시간 연산부는,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인 2점 거리, 상기 외경 및 상기 반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반송 시간을 연산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벨트 제어부는, 상기 검지 시점으로부터 상기 반송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상기 반송 벨트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반송 벨트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타이어 시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타이어의 상기 반경은 450㎜ 내지 510㎜의 범위 내인, 타이어 시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점 거리는, 상기 복수의 타이어 중 최소의 타이어의 반경보다 작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타이어 시험기.
  4. 타이어의 시험을 행하는 타이어 시험기이며,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타이어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벨트와,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 벨트의 중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타이어의 내주면에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하는 도포부와,
    상기 도포부에 대한 상기 타이어의 수평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 암과,
    상기 반송 벨트에 따라 배치된 복수의 롤러를 갖고, 상기 타이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반송 벨트보다 하방의 하강 위치와 상기 반송 벨트보다 상방인 상승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반송 벨트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한 프리 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리 롤러부는,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상기 도포부보다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롤러이며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로부터 가장 떨어진 최단 롤러와, 상기 기준 위치 사이의 수평 방향의 거리가, 상기 루브리케이션액을 도포할 대상으로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타이어 중 최대 타이어의 반경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프리 롤러부가 상기 하강 위치로부터 상기 상승 위치로 상기 반송 벨트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때 상기 타이어의 중심이 배치되는 기준이 되는 위치이며 평면으로 보아 상기 도포부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위치이고,
    상기 타이어 시험기는,
    상기 반송 벨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벨트 제어부와,
    상기 도포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도포 높이 조절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벨트 제어부는,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의 중심이 상기 기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반송 벨트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반송 벨트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포 높이 조절부는, 상기 타이어의 중심이 상기 기준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의 일부가 상기 타이어의 비드부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포부의 상기 일부가 상기 비드부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높이 위치로 상기 도포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도포 높이 조절부에 의해 상기 도포부의 높이가 상기 높이 위치로 조절되었을 때, 상기 복수의 타이어 중 최소의 타이어의 비드부에 대하여 상기 도포부의 상기 일부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타이어 시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의 타이어의 반경은 205㎜ 내지 250㎜의 범위 내인, 타이어 시험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는, 미리 설정된 설정 위치에 상기 타이어가 배치되어 있을 때의 상기 타이어의 중심에 대하여 평면으로 보아 일치하는 위치이며,
    상기 설정 위치는, 상기 복수의 롤러에 의해 지지된 상기 타이어를 미리 설정된 도포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상기 조절 암의 동작인 조절 동작이 개시될 때의 상기 타이어의 위치이며 상기 도포 위치보다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위치이며,
    상기 도포 위치는, 상기 루브리케이션액이 도포될 때의 상기 타이어의 위치인, 타이어 시험기.
  7. 삭제
KR1020207000128A 2017-07-03 2018-06-28 타이어 시험기 KR102295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30449 2017-07-03
JP2017130449 2017-07-03
PCT/JP2018/024498 WO2019009168A1 (ja) 2017-07-03 2018-06-28 タイヤ試験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332A KR20200016332A (ko) 2020-02-14
KR102295814B1 true KR102295814B1 (ko) 2021-09-01

Family

ID=6495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128A KR102295814B1 (ko) 2017-07-03 2018-06-28 타이어 시험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93857B2 (ko)
EP (1) EP3627136A4 (ko)
JP (1) JP2019015724A (ko)
KR (1) KR102295814B1 (ko)
CN (1) CN110770564B (ko)
TW (1) TWI692626B (ko)
WO (1) WO20190091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06800A (ja) * 2019-06-28 2021-01-2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試験機およびタイヤ試験機におけるタイヤ搬送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3396A1 (en) 2000-02-16 2001-08-16 Heinz Ronge Tire filling method and apparatus adaptable to different sizes of tires
JP2012220319A (ja) * 2011-04-07 2012-11-12 Kobe Steel Ltd タイヤ試験機用コンベア
JP2014173915A (ja) 2013-03-07 2014-09-22 Kobe Steel Ltd タイヤ試験機用コンベア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7464B2 (ja) 1976-09-28 1985-06-28 日本電気株式会社 高画素密度変換装置
JPS62242525A (ja) * 1986-04-15 1987-10-23 Kobe Steel Ltd タイヤユニフオミテイ機におけるタイヤビ−ド部塗布装置
US6082191A (en) * 1997-01-24 2000-07-04 Illinois Tool Works, Inc. Inlet conveyor for tire testing systems
US8991038B2 (en) * 2008-09-04 2015-03-31 Android Industries Llc Robotic indexing station
JP5416427B2 (ja) 2009-02-10 2014-02-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高速fvの推定システム
WO2012081226A1 (ja) * 2010-12-15 2012-06-2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試験装置
CN105074414B (zh) * 2013-03-15 2018-01-09 株式会社神户制钢所 轮胎测试机
JP6018540B2 (ja) * 2013-05-08 2016-11-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試験機用コンベア
JP2015014592A (ja) * 2013-06-03 2015-01-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の走行試験装置
JP2014235120A (ja) * 2013-06-04 2014-12-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試験機のルブリケータ装置
JP6234718B2 (ja) * 2013-07-02 2017-11-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試験機
JP6173964B2 (ja) * 2014-04-16 2017-08-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試験機
JP6780107B2 (ja) * 2017-06-06 2020-11-04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タイヤ保持装置、これを備えるタイヤ試験システム、及びタイヤ保持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3396A1 (en) 2000-02-16 2001-08-16 Heinz Ronge Tire filling method and apparatus adaptable to different sizes of tires
JP2012220319A (ja) * 2011-04-07 2012-11-12 Kobe Steel Ltd タイヤ試験機用コンベア
JP2014173915A (ja) 2013-03-07 2014-09-22 Kobe Steel Ltd タイヤ試験機用コンベ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93857B2 (en) 2021-12-07
EP3627136A4 (en) 2021-03-03
CN110770564B (zh) 2021-04-20
JP2019015724A (ja) 2019-01-31
TWI692626B (zh) 2020-05-01
KR20200016332A (ko) 2020-02-14
WO2019009168A1 (ja) 2019-01-10
TW201920924A (zh) 2019-06-01
CN110770564A (zh) 2020-02-07
EP3627136A1 (en) 2020-03-25
US20200217755A1 (en)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760B1 (ko) 타이어 시험기용 반입 장치
US9429498B2 (en) Tire testing machine
JP6005276B2 (ja) タイヤ搬送方法、タイヤ搬送固定装置、および、タイヤ検査システム
JP6649963B2 (ja) タイヤ特性値計測装置及びタイヤ特性値計測システム
KR20160128398A (ko) 타이어 유지장치, 및 타이어 시험 시스템
CN109896219B (zh) 用于精密设备的组装和检查推车
KR102295814B1 (ko) 타이어 시험기
JP5955476B1 (ja) タイヤ検査システム
KR20200128737A (ko) 타이어 시험기
KR101967082B1 (ko) 타이어 검사 장치, 및 타이어의 자세 검출 방법
JP6173964B2 (ja) タイヤ試験機
KR20130098484A (ko) 센서를 이용한 코일 정렬장치
JP5160166B2 (ja)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の車両位置決支援装置
JP2014034464A (ja) 物品供給システム
JP4202530B2 (ja) タイヤのビード幅測定装置
CN220222531U (zh) 一种轮胎传送装置
KR101310832B1 (ko) 소재 교정장치
JP6993873B2 (ja) タイヤ用ベル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408751B2 (ja) グリーンタイヤの搬送方法および装置
JP6795838B2 (ja) バランスウェイト圧着装置
JP5997322B2 (ja) タイヤ試験機用コンベア
JP2020011801A (ja) ダンサーローラ荷重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未加硫ゴム長尺部材の搬送システム
JP2020104322A (ja) タイヤ構成部材の製造装置及びタイヤ構成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