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368B1 -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 - Google Patents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368B1
KR102286368B1 KR1020210058186A KR20210058186A KR102286368B1 KR 102286368 B1 KR102286368 B1 KR 102286368B1 KR 1020210058186 A KR1020210058186 A KR 1020210058186A KR 20210058186 A KR20210058186 A KR 20210058186A KR 102286368 B1 KR102286368 B1 KR 102286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seal
female
press
w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민
Original Assignee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8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368B1/ko
Priority to PCT/KR2021/014410 priority patent/WO20222349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06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inside a peripheral U-shaped channel in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185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the outer closure being a foil membrane

Abstract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시키면서 체결부위를 밀봉하는 프레스핏 구조를 제시하며, 상기 제1 부재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수형씰; 상기 수형씰의 길이에 대응하는 홈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수형씰이 압입식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암형씰; 및 상기 수형씰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수형씰의 압입과정에서 상기 암형씰 내부 공기의 배출통로를 제공하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 {IMPROVED PRESSFIT STRUCTURE AND FOOD PACKAGING WRAP THEREBY}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식품 포장용 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형씰에 압입되는 수형씰을 통해 체결부위를 밀봉할 수 있는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랩은 식품의 보관 시 변질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식품을 밀봉상태로 포장하는 데 사용된다.
통상적인 랩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067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필름재로 형성되어 주로 식품이 담긴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데 사용되며, 용기에서 제거되면서 폐기되는 1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랩은 랩 자체로 식품을 감싸서 포장하는 방법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랩끼리 접착되어 쉽게 분리하기가 어려우므로 랩을 찢어서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랩은 1회용으로 사용되고 폐기되기 때문에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랩은 식품 용기와 함께 사용하기에는 적합한 반면, 용기 없이 식품을 포장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식품의 밀봉 포장 시 주로 사용되는 지퍼백에는 지퍼락이라 불리는 프레스핏 구조를 통해 백의 입구를 밀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프레스핏 구조는 돌기형태를 이루는 수형부재가 홈형태를 이루는 암형부재에 압입되어 결합되면서 밀봉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종래의 프레스핏 구조는 수형부재를 압입하는 과정에서 점점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불완전하게 체결되는 문제가 있어서 반드시 한 쪽 끝부분에서부터 천천히 압입하여 체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중간 부분부터 체결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프레스핏 구조는 수형부재를 압입하는 과정에서 암형부재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지 못하면서 수형부재를 밀어내므로 체결이 불완전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암형씰에 압입되는 수형씰을 통해 두 개의 부재를 체결하면서 체결부위를 밀봉할 수 있으며, 특히 수형씰의 압입과정에서 암형씰 내부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수형씰이 용이하게 압입될 수 있는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암형씰에 압입되는 수형씰의 체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를 랩본체에 적용함으로써 식품이 담긴 용기가 없이도 식품을 용이하게 밀봉상태로 포장할 수 있으며, 랩본체가 접힐 경우 접힘부위를 견고하게 밀봉할 수 있는 식품 포장용 랩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시키면서 체결부위를 밀봉하는 프레스핏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수형씰; 상기 수형씰의 길이에 대응하는 홈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수형씰이 압입식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암형씰; 및 상기 수형씰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수형씰의 압입과정에서 상기 암형씰 내부 공기의 배출통로를 제공하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형씰은, 상기 암형씰을 구성하는 홈의 폭 보다 좁은 폭을 이루면서 상기 제1 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수형베이스; 및 상기 암형씰을 구성하는 홈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날개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수형베이스의 폭 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암형씰의 홈을 이루는 측벽에 밀착되는 수형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수형날개의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수형날개의 일부분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암형씰의 홈을 이루는 측벽과의 사이에 공기의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배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형날개는, 상기 수형베이스의 폭 방향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공기배출홈은, 상기 수형베이스 양측의 상기 수형날개에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수형베이스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형날개는, 상기 수형베이스의 폭 방향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공기배출홈은, 상기 수형베이스 양측의 상기 수형날개에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수형베이스를 중심으로 비대칭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형씰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어 이격공간에 상기 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형날개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어 이격공간에 상기 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형날개에 밀착되는 한 쌍의 암형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암형측벽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형날개에 걸리는 측벽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형씰은, 상기 암형씰과 다른 곡률을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형씰은, 복수로 반복되는 아치형태 또는 물결형태의 곡률을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용 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을 밀봉상태로 포장하기 위한 식품 포장용 랩에 있어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탄성을 갖는 연질의 판으로 형성되어 접힘이 허용되며, 식품을 수용한 상태로 접히거나 또 다른 판과 결합되면서 식품을 감싸는 랩본체부; 상기 랩본체부 일면의 둘레 중 절반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수형씰; 상기 랩본체부의 일면의 둘레 중 나머지 절반부의 둘레를 따라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랩본체부의 접힘에 의해 상기 수형씰이 압입식으로 끼워져 결합되거나 또 다른 랩본체부에 형성되는 상기 수형씰이 압입식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암형씰; 및 상기 수형씰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수형씰의 압입과정에서 상기 암형씰 내부 공기의 배출통로를 제공하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수형씰 및 암형씰의 압입방식 체결을 통해 체결부위를 용이하고 완전하게 밀봉할 수 있는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
특히, 수형씰의 압입과정에서 암형씰의 내부공기가 공기배출부의 구성을 통해 수형씰의 압입과정에서 암형씰 내부 공기가 배출되므로 수형씰이 밀리는 현상이 없이 원활하고 완전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수형씰의 밀리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수형씰의 어느 지점에서 압입을 시작하더라도 수형씰이 정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수형씰이 암형씰과는 다른 곡률로 형성되어 암형씰에 압입되는 과정에서 암형씰에 맞게 변형된 상태로 체결됨으로써 수형씰이 복원력에 의해 암형씰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체결력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한 개선된 체결구조를 식품포장용 랩에 적용할 경우에는 랩본체부를 접은 상태로 수형씰 및 암형씰의 체결을 통해 식품을 밀봉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수형씰과 암형씰이 랩본체부에 접착되지 않고 돌출형성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세척이 용이하다.
또한, 식품 포장을 위하여 랩본체부가 접힐 경우, 접힘밀봉부를 구성하는 씰링뭉치가 씰링경사면에 밀착되므로 접힙부위가 견고하게 밀봉될 수 있으며, 씰링뭉치에 돌출되는 뭉치돌기가 돌기홀더에 끼워져 걸리므로 씰링뭉치가 견고하게 밀봉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핏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용 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용 랩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용 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용 랩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수형씰의 곡률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용 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은 정면도이다. 또한, 도 5는 식품 포장용 랩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는 수형씰의 곡률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1) 및 제2 부재(2)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시키면서 체결부위를 밀봉하기 위한 암수 체결구조로서, 수형씰(200), 암형씰(300) 및 공기배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50)가 적용될 수 있는 제1 부재(1) 및 제2 부재(2)는 서로 체결되면서 밀봉될 수 있는 모든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재(1) 및 제2 부재(2)는 한 조를 이루는 용기와 뚜껑으로 각각 구성되어 용기의 둘레를 따라 후술되는 수형씰(200) 및 암형씰(300) 중 하나가 형성되고, 뚜껑의 둘레를 따라 수형씰(200) 및 암형씰(300) 중 나머지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 및 제2 부재(2)는 포장백의 개구부를 이루면서 서로 마주보는 양단부로 각각 구성되어 후술되는 수형씰(200) 및 암형씰(30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몸체를 이루면서 접힐 수 있는 랩본체부(100)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부재(1) 및 제2 부재(2)는 랩본체부(100)의 둘레 양측으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재(1)는 랩본체부(100)의 일면의 둘레 중 절반부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부재(2)는 랩본체부(100)의 일면의 둘레 중 나머지 절반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50)가 적용되는 제1 부재(1) 및 제2 부재(2)가 랩본체부(100)의 각 절반부로 구성되는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랩본체부(100)는 식품을 직접적으로 감싸서 포장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랩본체부(10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탄성을 갖는 연질의 판으로 형성됨으로써 접힘을 통해 식품을 감싸면서 늘어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을 수용한 상태로 접히거나 또 다른 랩본체부와 포개지면서 식품을 감싸서 포장할 수 있다.
이러한 랩본체부(100)는 엘라스토머라 불리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 또는 불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랩본체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랩본체부(100)는 표면에 미도시된 보강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돌기는 랩본체부(100)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을 이루면서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랩본체부(100)의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랩본체부(100)가 식품의 중량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형씰(200)은 제1 부재(1) 및 제2 부재(2) 중 제1 부재(1)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1)를 이루는 랩본체부(100)의 일면의 둘레 중 절반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후술되는 암형씰(300)의 홈에 압입식으로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암형씰(300)과 함께 랩본체부(100)의 둘레를 체결하여 밀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수형씰(20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베이스(210) 및 수형날개(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형베이스(210)는 후술되는 수형날개(22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 후술되는 암형씰(300)을 구성하는 홈의 폭보다 좁은 폭을 이루면서 랩본체부(100)의 일면 중 절반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형베이스(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본체부(100)의 표면에 융기되는 단턱(211)의 상부에 돌출될 수 있으며, 단턱(211)의 구성이 생략되면서 랩본체부(100)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형날개(220)는 후술되는 암형씰(300)의 홈에 압입되면서 암형씰(300)의 홈을 이루는 측벽에 밀착됨으로써 랩본체부(100)의 둘레를 밀봉상태로 체결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수형날개(220)는 후술되는 암형씰(300)의 홈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날개 형태를 이루면서 수형베이스(210)의 폭 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암형씰(300)을 구성하는 홈의 측벽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수형날개(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베이스(210)의 폭 방향 양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수형베이스(210)의 한 쪽으로만 돌출되면서 암형씰(300)의 홈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형씰(300)은 제1 부재(1) 및 제2 부재(2) 중 제2 부재(2)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수형씰(200)과 압입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제2 부재(2)를 이루는 랩본체부(100)의 일면의 둘레 중 나머지 절반부의 둘레를 따라 홈 형태로 형성되어 전술한 수형씰(200)이 압입식으로 끼워져 체결될 수 있다.
즉, 암형씰(300)은 수형씰(200)과 대칭되는 위치에 홈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랩본체부(100)의 접힘에 의해 수형씰(200)과 체결될 수 있으며, 또 다른 랩본체부(100)에 형성된 수형씰(200)과 체결되면서 체결부위를 밀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랩본체부(100)는 식품을 수용한 상태로 접힐 경우, 수형씰(200)과 암형씰(300)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식품을 감싼 상태로 결속될 수 있으며, 또 다른 랩본체부(100)와 함께 포개진 상태로 식품을 포장할 경우에는 수형씰(200) 및 암형씰(300)이 또 다른 랩본체부(100)의 수형씰(200) 및 암형씰(300)과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암형씰(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암형측벽(310) 및 측벽후크(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암형측벽(310)은 전술한 수형씰(200)이 압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격공간에 홈을 형성하며, 랩본체부(100)의 절반부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암형측벽(310)은 이격공간에 수형씰(200)을 구성하는 수형날개(220)가 압입되어 밀착됨으로써 수형날개(220)와 함께 랩본체부(100)의 둘레를 밀봉상태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측벽후크(320)는 수형날개(220)에 걸리면서 수형날개(220)를 암형측벽(310)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한 쌍의 암형측벽(310) 각각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돌출형성 될 수 있다.
즉, 수형날개(220)는 한 쌍의 암형측벽(310)의 이격공간에 압입되면서 측벽후크(320)에 걸림으로써 암형측벽(310)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400)는 암형씰(300)을 구성하는 암형측벽(310)의 이격공간 내부 공기의 배출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수형씰(200)이 완전하게 압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공기배출부(400)는 수형씰(200)의 압입 과정에서 암형측벽(310)의 내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형씰(200)이 밀리는 현상이 없이 완전하게 압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공기배출부(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배출홈(4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배출홈(410)은 수형날개(220)의 폭이 좁아지도록 수형날개(220)의 일부분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암형측벽(310)과의 사이에 공기의 배출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암형측벽(310)의 내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배출홈(4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를 이루면서 수형날개(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수형베이스(210)의 폭 방향 양측으로 각각 돌출된 수형날개(2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배출홈(410)은 수형베이스(210)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비대칭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형씰(200) 및 암형씰(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직선형으로 연장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각도의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것과 같이 서로 동일한 곡률을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형씰(200)은 암형씰(300)의 곡률과 다른 곡률을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도면부호 200k는 수형씰(200)의 곡률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300k는 암형씰(300)의 곡률을 나타낸다.
즉, 암형씰(300)은 랩본체부(100)의 절반부의 둘레에 대응하는 원호 형의 곡률(300k)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수형씰(200)은 랩본체부(100)의 절반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연장되면서 좌우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돌출되는 물결형태의 곡률(200k)을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수형씰(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복수를 이루면서 좌우방향 중 한 쪽 방향으로만 반복적으로 돌출되는 아치형태의 곡률을 이루면서 연장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수형씰(200)은 암형씰(300)에 압입되는 과정에서 암형씰(200)의 곡률(200k)에 맞게 변형된 상태로 압입될 수 있으며, 압입된 상태로 복원력이 작용함으로써 암형씰(200)에 밀착될 수 있다.
물론, 수형씰(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씰(300)이 일직선형으로 연장될 경우에도 복수로 반복되는 물결형태 또는 아치형태의 곡률을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밀봉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힘밀봉부(500)는 수형씰(200)과 암형씰(300)의 경계부위에 구비되어 랩본체부(100)의 접힘 시 접힘 부위를 밀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접힘밀봉부(500)는 랩본체부(100)의 접힘에 의한 식품의 포장 시 접힘 부위를 밀봉함으로써 외부공기가 접힘부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식품이 접힘부위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접힘밀봉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씰링뭉치(510), 씰링경사면(520), 뭉치돌기(530) 및 돌기홀더(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씰링뭉치(510)는 수형씰(200)과 암형씰(300) 의 경계부위를 이루는 랩본체부(100)의 표면에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이루면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즉, 씰링뭉치(510)는 랩본체부(100)의 표면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씰링경사면(520)은 랩본체부(100)의 접힘 시 씰링뭉치(510)에 밀착되면서 씰링뭉치(510)와 함께 접힘부위를 밀봉하는 구성요소로 수형씰(200) 및 암형씰(300)의 단부에 각각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씰링경사면(520)은 씰링뭉치(510)의 사다리꼴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랩본체부(100)의 접힘시 씰링뭉치(510)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뭉치돌기(530)는 랩본체부(100)의 접힘 시 씰링뭉치(510)를 씰링경사면(520)에 정위치시켜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뭉치돌기(530)는 씰링뭉치(510)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돌기홀더(540)는 수형씰(200) 및 암형씰(300)의 씰링경사면(520)에 각각 홈 형태로 형성되어 랩본체부(100)의 접힘 시 뭉치돌기(530)를 수용할 수 있다.
즉, 뭉치돌기(530)는 랩본체부(100)의 접힘 시 돌기홀더(540)에 끼워져 걸림으로써 씰링뭉치(510)를 씰링경사면(520)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50)를 갖는 식품 포장용 랩(1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식품을 포장할 경우, 사용자는 랩본체부(100)의 상면에 식품을 올려 놓은 상태로 랩본체부(100)를 접으면서 수형씰(200)을 암형씰(300)에 끼워서 압입함으로써 식품을 포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형씰(200)을 구성하는 수형날개(220)는 암형씰(3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암형측벽(310) 사이로 압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공기배출홈(410)은 수형날개(220)의 압입과정에서 암형측벽(310)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형날개(220)은 압입과정에서 길이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이 없이 원활하게 압입되면서 암형측벽(310)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수형씰(200)은 아치형 또는 물결형태의 곡률로 형성된 경우 암형씰(300)에 대응하는 곡률로 변형되어 압입될 수 있으며, 압입된 상태로 복원력이 작용함으로써 암형씰(300)에 좀 더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씰링뭉치(510)는 랩본체부(100)의 접힘에 의해 씰링경사면(520)에 밀착되면서 랩본체부(100)의 접힘부위를 밀봉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뭉치돌기(530)가 돌기홀더(540)에 결합됨으로써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견고하게 씰링경사면(520)에 밀착되어 밀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랩(10)과 동일한 크기의 또 다른 랩(10)을 포개면서 식품을 포장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랩(10)의 수형씰(200) 및 암형씰(300)을 각각 또 다른 랩(10)의 암형씰(300) 및 수형씰(200)에 결합함으로써 랩(10)들을 포개진 상태로 결속하여 식품을 포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50)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10)에 의하면, 수형씰(200)의 압입과정에서 암형씰(300)의 내부공기가 공기배출부(400)의 구성을 통해 수형씰(200)의 압입과정에서 암형씰(300) 내부 공기가 배출되므로 수형씰(200)이 밀리는 현상이 없이 원활하고 완전하게 정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식품 포장용 랩
50 : 프레스핏 구조
100 : 랩본체부
200 : 수형씰
210 : 수형베이스
220 : 수형날개
300 : 암형씰
310 : 암형측벽
320 : 측벽후크
400 : 공기배출부
410 : 공기배출홈
500 : 접힘밀봉부
510 : 씰링뭉치
520 : 씰링경사면
530 : 뭉치돌기
540 : 돌기홀더
200k : 수형씰곡률
300k : 암형씰곡률
1 : 제1 부재
2 : 제2 부재

Claims (14)

  1.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시키면서 체결부위를 밀봉하는 프레스핏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수형씰;
    상기 수형씰의 길이에 대응하는 홈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수형씰이 압입식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암형씰; 및
    상기 수형씰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수형씰의 압입과정에서 상기 암형씰 내부 공기의 배출통로를 제공하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형씰은, 상기 암형씰과 다른 곡률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씰은,
    상기 암형씰을 구성하는 홈의 폭 보다 좁은 폭을 이루면서 상기 제1 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수형베이스; 및
    상기 암형씰을 구성하는 홈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날개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수형베이스의 폭 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암형씰의 홈을 이루는 측벽에 밀착되는 수형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수형날개의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수형날개의 일부분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암형씰의 홈을 이루는 측벽과의 사이에 공기의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배출홈을 포함하는,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날개는,
    상기 수형베이스의 폭 방향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공기배출홈은,
    상기 수형베이스 양측의 상기 수형날개에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수형베이스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날개는,
    상기 수형베이스의 폭 방향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공기배출홈은,
    상기 수형베이스 양측의 상기 수형날개에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수형베이스를 중심으로 비대칭을 이루는,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씰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어 이격공간에 상기 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형날개에 밀착되는 한 쌍의 암형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암형측벽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형날개에 걸리는 측벽후크를 포함하는,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씰은,
    복수로 반복되는 아치형태 또는 물결형태의 곡률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8. 식품을 밀봉상태로 포장하기 위한 식품 포장용 랩에 있어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탄성을 갖는 연질의 판으로 형성되어 접힘이 허용되며, 식품을 수용한 상태로 접히거나 또 다른 판과 결합되면서 식품을 감싸는 랩본체부;
    상기 랩본체부 일면의 둘레 중 절반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수형씰;
    상기 랩본체부의 일면의 둘레 중 나머지 절반부의 둘레를 따라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랩본체부의 접힘에 의해 상기 수형씰이 압입식으로 끼워져 결합되거나 또 다른 랩본체부에 형성되는 상기 수형씰이 압입식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암형씰; 및
    상기 수형씰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수형씰의 압입과정에서 상기 암형씰 내부 공기의 배출통로를 제공하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형씰은, 상기 암형씰과 다른 곡률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개선된 프레스 핏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용 랩.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씰은,
    상기 암형씰을 구성하는 홈의 폭 보다 좁은 폭을 이루면서 상기 랩본체부 일면의 둘레 중 절반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수형베이스; 및
    상기 암형씰을 구성하는 홈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날개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수형베이스의 폭 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암형씰의 홈을 이루는 측벽에 밀착되는 수형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수형날개의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수형날개의 일부분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암형씰의 홈을 이루는 측벽과의 사이에 공기의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배출홈을 포함하는,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용 랩.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씰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랩본체부의 둘레 중 나머지 절반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이격공간에 상기 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형날개에 밀착되는 한 쌍의 암형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암형측벽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형날개에 걸리는 측벽후크를 포함하는,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용 랩.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씰은,
    상기 랩본체부의 절반부의 둘레에 대응하는 원호 형의 곡률로 연장되고,
    상기 수형씰은,
    상기 랩본체부 절반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면서 아치 형태 또는 물결형태의 곡률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용 랩.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씰과 상기 암형씰의 경계부위에 마련되어 상기 랩본체부의 접힘 시 접힘부위를 밀봉하는 접힘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용 랩.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밀봉부는,
    상기 수형씰과 상기 암형씰의 경계부위에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이루면서 돌출 형성되는 씰링뭉치; 및
    상기 수형씰 및 상기 암형씰의 단부에 각각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랩본체부의 접힘시 상기 씰링뭉치에 밀착되는 씰링경사면을 포함하는,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용 랩.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밀봉부는,
    상기 씰링뭉치의 상부에 돌출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뭉치돌기; 및
    상기 씰링경사면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뭉치돌기를 수용하는 돌기홀더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용 랩.
KR1020210058186A 2021-05-04 2021-05-04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 KR102286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186A KR102286368B1 (ko) 2021-05-04 2021-05-04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
PCT/KR2021/014410 WO2022234903A1 (ko) 2021-05-04 2021-10-15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186A KR102286368B1 (ko) 2021-05-04 2021-05-04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368B1 true KR102286368B1 (ko) 2021-08-05

Family

ID=7731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186A KR102286368B1 (ko) 2021-05-04 2021-05-04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6368B1 (ko)
WO (1) WO20222349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4903A1 (ko) * 2021-05-04 2022-11-10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3116B1 (en) 2019-05-02 2021-11-17 Braun GmbH Motor with spring-mounted movable motor part and personal care device comprising such a mo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7606A (ja) * 1991-04-22 1993-06-01 Mobil Oil Corp 間欠的な変形部分を有する再閉塞可能なプラスチツク製フアスナー
KR200467452Y1 (ko) * 2012-04-18 2013-06-14 주식회사 지피안 지퍼 스트립 및 그를 포함하는 포장용 지퍼 백
JP5377858B2 (ja) * 2006-01-27 2013-12-25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チャックテープ、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および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の製造装置
KR102186358B1 (ko) * 2020-07-13 2020-12-03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식품 포장용 랩 및 이에 의한 랩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0672A (ko) * 2012-02-06 2013-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첩식 포장재
KR102286368B1 (ko) * 2021-05-04 2021-08-05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7606A (ja) * 1991-04-22 1993-06-01 Mobil Oil Corp 間欠的な変形部分を有する再閉塞可能なプラスチツク製フアスナー
JP5377858B2 (ja) * 2006-01-27 2013-12-25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チャックテープ、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および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の製造装置
KR200467452Y1 (ko) * 2012-04-18 2013-06-14 주식회사 지피안 지퍼 스트립 및 그를 포함하는 포장용 지퍼 백
KR102186358B1 (ko) * 2020-07-13 2020-12-03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식품 포장용 랩 및 이에 의한 랩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4903A1 (ko) * 2021-05-04 2022-11-10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4903A1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6368B1 (ko)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
ES2237388T3 (es) Embalaje flexible que se puede volver a cerrar.
CN101723123A (zh) 倾倒及密封组件以及使用该倾倒及密封组件的方法
WO2007108251A1 (ja) ファスナ付き包装袋
KR102186358B1 (ko) 식품 포장용 랩 및 이에 의한 랩 세트
JP2022537583A (ja) スライダデバイス、ジッパクロージャシステム、および使用方法
JP3912537B2 (ja) 梱包箱
JPH0628416Y2 (ja) ロック機構を有する紙函
JP3642767B2 (ja) 包装用容器
JP7144278B2 (ja) 包装体用挟持具
JP4169617B2 (ja) 捻り開封式包装箱
CN211365315U (zh) 一种纸箱封口结构及卡扣型纸箱
BRPI0417359B1 (pt) saco de embalagem
JP3116125U (ja) 直方体用包装袋
JP7422385B2 (ja) 合掌貼り包装袋
JP3738005B2 (ja) 粉体包装用紙袋
KR200270722Y1 (ko) 봉지 입구 밀봉용 클립
JP2527618Y2 (ja) パッケ―ジクリップ
JP3462183B2 (ja) 包装用容器
JPH0242578Y2 (ko)
JP3945210B2 (ja) リシール機能付き容器
JP4155517B2 (ja) 梱包箱
JPH05284899A (ja) 閉鎖部材
JP3462906B2 (ja) テープ等の固定具
JP2541216Y2 (ja) 結束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