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358B1 - 식품 포장용 랩 및 이에 의한 랩 세트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용 랩 및 이에 의한 랩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358B1
KR102186358B1 KR1020200085802A KR20200085802A KR102186358B1 KR 102186358 B1 KR102186358 B1 KR 102186358B1 KR 1020200085802 A KR1020200085802 A KR 1020200085802A KR 20200085802 A KR20200085802 A KR 20200085802A KR 102186358 B1 KR102186358 B1 KR 102186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
base
folded
food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윤
이세민
Original Assignee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5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358B1/ko
Priority to PCT/KR2021/004817 priority patent/WO20220148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21Both sheets being recessed
    • B65D75/322Both sheets being recessed and forming o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on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25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25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2575/3209Details
    • B65D2575/3218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gaining access to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식품을 밀봉상태로 포장하기 위한 식품 포장용 랩 및 이에 의한 랩 세트를 제시하며,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탄성을 갖는 연질의 판으로 형성되어 접힘이 허용되며, 식품을 수용한 상태로 접히거나 또 다른 판과 결합되면서 식품을 감싸는 랩본체부; 및 상기 랩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랩본체부를 접힌 상태로 결속하거나 또 다른 랩본체부와 결합된 상태로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품 포장용 랩 및 이에 의한 랩 세트{FOOD PACKAGING WRAP AND WRAP SET THEREBY}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식품 포장용 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을 밀봉상태로 포장할 수 있는 식품 포장용 랩 및 이에 의한 랩 세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랩은 식품의 보관 시 변질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식품을 밀봉상태로 포장하는 데 사용된다.
통상적인 랩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067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필름재로 형성되어 주로 식품이 담긴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데 사용되며, 용기에서 제거되면서 폐기되는 1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랩은 랩 자체로 식품을 감싸서 포장하는 방법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랩끼리 접착되어 쉽게 분리하기가 어려우므로 랩을 찢어서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랩은 1회용으로 사용되고 폐기되기 때문에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랩은 식품 용기와 함께 사용하기에는 적합한 반면, 용기 없이 식품을 포장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식품이 담긴 용기가 없이도 식품을 밀봉상태로 포장할 수 있는 식품 포장용 랩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식품을 수용한 상태로 접히거나 다른 랩과 포개지면서 식품을 감쌀 수 있으며, 접히거나 다른 랩과 포개진 상태로 결속되면서 식품을 밀봉할 수 있는 식품 포장용 랩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랩본체가 접힐 경우 접힘부위를 견고하게 밀봉할 수 있는 식품 포장용 랩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크기의 랩이 적층된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식품의 크기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식품 포장용 랩 세트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식품 포장용 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을 밀봉상태로 포장하기 위한 식품 포장용 랩에 있어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탄성을 갖는 연질의 판으로 형성되어 접힘이 허용되며, 식품을 수용한 상태로 접히거나 또 다른 판과 결합되면서 식품을 감싸는 랩본체부; 및 상기 랩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랩본체부를 접힌 상태로 결속하거나 또 다른 랩본체부와 결합된 상태로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랩본체부 일면의 둘레 중 절반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수형씰; 및 상기 랩본체부의 일면의 둘레 중 나머지 절반부의 둘레를 따라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랩본체부의 접힘에 의해 상기 수형씰이 끼워져 결합되거나 또 다른 랩본체부에 형성되는 상기 수형씰이 끼워져 결합되는 암형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수형씰의 하부를 따라 상기 랩본체부에 돌출되어 상기 수형씰을 상기 랩본체부의 표면에서 융기된 상태로 지지하는 수형베이스; 및 상기 수형베이스와 대칭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랩본체부에 돌출되어 상기 암형씰의 형성부위를 제공하고, 상기 랩본체부의 접힘에 의해 상기 수형베이스와 대면하는 암형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수형베이스와 상기 암형베이스의 경계부위에 마련되어 상기 랩본체부의 접힘 시 접힘부위를 밀봉하는 접힘밀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힘밀봉부는, 상기 수형베이스와 상기 암형베이스의 경계부위에 볼형태를 이루면서 돌출 형성되는 씰링볼; 및 상기 수형베이스 및 상기 암형베이스의 단부에 각각 반구형의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랩본체부의 접힘시 상기 씰링볼에 밀착되는 볼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힘밀봉부는, 상기 씰링볼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씰링볼을 상기 랩본체부의 표면에서 융기된 상태로 지지하는 볼베이스; 및 상기 볼홀더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랩본체부의 접힘시 상기 볼베이스에 밀착되는 베이스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랩은 상기 랩본체부의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랩본체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식품 포장용 랩 세트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탄성을 갖는 연질의 판으로 형성되어 접힘이 허용되며, 식품을 수용한 상태로 접히거나 또 다른 판과 결합되면서 식품을 감싸는 랩본체부와, 상기 랩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랩본체부를 접힌 상태로 결속하거나 또 다른 랩본체부와 결합된 상태로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랩; 및 상기 랩과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랩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랩을 구성하는 상기 랩본체에 적층된 상태로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랩본체부가 접힘이나 다른 랩과의 포개짐을 통해 식품을 감싼 상태로 포장할 수 있으므로 식품이 담긴 용기가 없이도 식품을 포장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품 포장용 랩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랩본체부에 결속부를 구성하는 수형씰 및 암형씰이 구비되어 서로 결합되므로 랩본체부를 접힌 상태 또는 다른 랩본체부와 포개진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수형씰 및 암형씰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수형베이스 및 암형베이스가 랩본체부의 접힘에 의해 서로 대면하므로 수형베이스 및 암형베이스의 높이에 대응하는 수용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랩본체부가 접힐 경우, 접힘밀봉부를 구성하는 씰링볼이 수형베이스 및 암형베이스의 단부에 형성된 볼홀더에 밀착되므로 식품이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서로 다른 크기의 랩이 적층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식품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품 포장용 랩 세트를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랩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랩의 결속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포장용 랩의 결속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결속부를 구성하는 접힘밀봉부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랩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랩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랩의 결속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포장용 랩의 결속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는 결속부를 구성하는 접힘밀봉부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랩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랩 (10)은 식품을 변질이 최소화된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식품을 밀봉상태로 포장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본체부(100) 및 결속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랩본체부(100)는 식품을 직접적으로 감싸서 포장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랩본체부(10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탄성을 갖는 연질의 판으로 형성됨으로써 접힘을 통해 식품을 감싸면서 늘어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을 수용한 상태로 접히거나 또 다른 랩본체부와 포개지면서 식품을 감싸서 포장할 수 있다.
이러한 랩본체부(100)는 엘라스토머라 불리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 또는 불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랩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랩본체부(100)는 표면에 보강돌기(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돌기(300)는 랩본체부(100)의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랩본체부(100)가 식품의 중량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보강돌기(300)는 랩본체부(100)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을 이루면서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의 패턴을 이루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랩본체부(100)의 표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200)는 식품을 포장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본체부(100)를 접힌 상태로 결속하거나 또 다른 랩본체부(100)와 포개져 결합된 상태로 결속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결속부(200)는 식품의 포장 시 랩본체부(100)가 식품을 감싼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랩본체부(100)를 결속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력을 통해 분리되면서 랩본체부(100)의 개방을 허용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결속부(2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씰(210) 및 암형씰(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형씰(210)은 랩본체부(100)의 일면의 둘레 중 절반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후술되는 암형씰(220)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수형씰(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수형베이스(230)의 상부에 돌출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수형베이스(230)의 구성이 생략되면서 랩본체부(100)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형씰(220)은 전술한 수형씰(210)과 결합되는 구성요소로, 랩본체부(100) 일면의 둘레 중 나머지 절반부의 둘레를 따라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암형씰(220)은 수형씰(210)과 대칭되는 위치에 홈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랩본체부(100)의 접힘에 의해 수형씰(210)과 결합될 수 있으며, 또 다른 랩본체부(100)에 형성된 수형씰(2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암형씰(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암형베이스(240)의 상부에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암형베이스(240)의 구성이 생략되면서 랩본체부(100)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랩본체부(100)는 식품을 수용한 상태로 접힐 경우, 수형씰(210)과 암형씰(220)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식품을 감싼 상태로 결속될 수 있으며, 또 다른 랩본체부(100)와 함께 포개진 상태로 식품을 포장할 경우에는 수형씰(210) 및 암형씰(220)이 또 다른 랩본체부(100)의 수형씰(210) 및 암형씰(220)과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결속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베이스(230) 및 암형베이스(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형베이스(230)는 수형씰(210)의 하부를 따라 랩본체부(100)에 돌출됨으로써 수형씰(210)을 랩본체부(100)의 표면에서 융기된 상태로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암형베이스(240)는 수형베이스(230)와 대칭상태를 이루면서 랩본체부(100)에 돌출되어 암형씰(220)의 형성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수형씰(210)은 수형베이스(230)의 상면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암형씰(220)은 암형베이스(240)의 상면에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수형베이스(230) 및 암형베이스(240)는 랩본체부(100)가 접힐 경우 수형씰(210) 및 암형씰(220)의 결합에 의해 서로 대면하면서 벽체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랩본체(100)는 접힘에 의해 수형베이스(230) 및 암형베이스(240)가 서로 대면하므로 수형베이스(230) 및 암형베이스(240)의 높이에 대응하는 수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밀봉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힘밀봉부(250)는 수형베이스(230)와 암형베이스(240)의 경계부위에 구비되어 랩본체부(100)의 접힘 시 접힘 부위를 밀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접힘밀봉부(250)는 랩본체부(100)의 접힘에 의한 식품의 포장 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부위를 밀봉함으로써 외부공기가 접힘부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식품이 접힘부위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접힘밀봉부(2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씰링볼(251) 및 볼홀더(252)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씰링볼(251)은 수형베이스(230) 및 암형베이스(240)의 경계부위를 이루는 랩본체부(100)의 표면에 볼형태를 이루면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씰링볼(251)은 랩본체부(100)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볼베이스(253)의 상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볼베이스(253)는 씰링볼(251)의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씰링볼(251)을 랩본체부(100)의 표면에서 융기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볼홀더(252)는 랩본체부(100)의 접힘 시 씰링볼(251)에 밀착되면서 씰링볼(251)과 함께 접힘 부위를 밀봉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볼홀더(25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베이스(230) 및 암형베이스(240)의 단부에 각각 반구형의 홈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랩본체부(100)의 접힘 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씰링볼(251)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접힘부위를 밀봉할 수 있다.
여기서 볼홀더(252)는 일부분에 전술한 볼베이스(253)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베이스홀더(254)가 형성됨으로써 랩본체부(100)의 접힘 시 베이스홀더(254)가 볼베이스(253)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씰링볼(251)과 볼홀더(252), 볼베이스(253) 및 베이스홀더(25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본체부(100)의 접힘에 의해 서로 밀착되면서 수형베이스(230) 및 암형베이스(240)와 함께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랩본체부(100)의 수용공간을 밀봉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볼베이스(253)는 환형을 이루면서 씰링볼(251)의 하부에 형성되고, 베이스홀더(254)는 환형의 볼베이스(253)에 대응하는 원호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볼베이스(253)는 대략 사다리꼴을 이루면서 씰링볼(251)의 하부에 형성되고, 베이스홀더(254)는 사다리꼴의 볼베이스(253)에 대응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랩(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추가랩(20)과 함께 랩 세트(1)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랩(20)은 전술한 랩(10)과 동일하게 랩본체부(100) 및 결속부(200)의 구성을 가지면서 랩(1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랩(10)을 이루는 랩본체부(100)에 적층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랩(20)은 복수를 이루면서 크기가 점점 작아지면서 적층될 수 있으며, 랩(10)의 접힘에 의해 랩(10)에 수용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랩 세트(1)를 사용할 경우에는 랩(10) 및 추가랩(20) 중에서 포장 대상 식품의 크기에 부합되는 랩(10)을 선택하여 포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랩본체부(100)는 상면에 식품을 올려 놓은 상태로 랩본체부(100)를 접으면서 수형씰(210)을 암형씰(220)에 끼워서 결합함으로써 식품을 포장할 수 있다.
이때, 씰링볼(251) 및 볼홀더(252)는 랩본체부(100)의 접힘에 의해 서로 밀착되면서 수형베이스(230) 및 암형베이스(240)를 원활하게 대면시킬 수 있으며, 수형베이스(230) 및 암형베이스(240)와 함께 벽체를 이루면서 랩본체부(100)의 접힘부위를 밀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랩(10)과 동일한 크기의 또 다른 랩(10)을 포개면서 식품을 포장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랩(10)의 수형씰(210) 및 암형씰(220)을 각각 또 다른 랩(10)의 암형씰(220) 및 수형씰(210)에 결합함으로써 랩(10)들을 포개진 상태로 결속하여 식품을 포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 랩(10) 및 이에 의한 랩 세트(1)에 의하면, 랩본체부(100)가 접힘이나 다른 랩과의 포개짐을 통해 식품을 감싼 상태로 포장할 수 있으므로 식품이 담긴 용기가 없이도 식품을 간편하게 포장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랩 세트
10 : 식품 포장용 랩
20 : 추가랩
100 : 랩본체부
200 : 결속부
210 : 수형씰
220 : 암형씰
230 : 수형베이스
240 : 암형베이스
250 : 접힘밀봉부
251 : 씰링볼
252 : 볼홀더
253 : 볼베이스
254 : 베이스홀더
300 : 보강돌기

Claims (8)

  1. 식품을 밀봉상태로 포장하기 위한 식품 포장용 랩에 있어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탄성을 갖는 연질의 판으로 형성되어 접힘이 허용되며, 식품을 수용한 상태로 접히거나 또 다른 판과 결합되면서 식품을 감싸는 랩본체부; 및
    상기 랩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랩본체부를 접힌 상태로 결속하거나 또 다른 랩본체부와 결합된 상태로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랩본체부 일면의 둘레 중 절반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수형씰;
    상기 랩본체부의 일면의 둘레 중 나머지 절반부의 둘레를 따라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랩본체부의 접힘에 의해 상기 수형씰이 끼워져 결합되거나 또 다른 랩본체부에 형성되는 상기 수형씰이 끼워져 결합되는 암형씰;
    상기 수형씰의 하부를 따라 상기 랩본체부에 돌출되어 상기 수형씰을 상기 랩본체부의 표면에서 융기된 상태로 지지하는 수형베이스;
    상기 수형베이스와 대칭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랩본체부에 돌출되어 상기 암형씰의 형성부위를 제공하고, 상기 랩본체부의 접힘에 의해 상기 수형베이스와 대면하는 암형베이스; 및
    상기 수형베이스와 상기 암형베이스의 경계부위에 마련되어 상기 랩본체부의 접힘 시 접힘부위를 밀봉하는 접힘밀봉부을 포함하며,
    상기 접힘밀봉부는,
    상기 수형베이스와 상기 암형베이스의 경계부위에 볼형태를 이루면서 돌출 형성되는 씰링볼; 및
    상기 수형베이스 및 상기 암형베이스의 단부에 각각 반구형의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랩본체부의 접힘시 상기 씰링볼에 밀착되는 볼홀더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밀봉부는,
    상기 씰링볼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씰링볼을 상기 랩본체부의 표면에서 융기된 상태로 지지하는 볼베이스; 및
    상기 볼홀더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랩본체부의 접힘시 상기 볼베이스에 밀착되는 베이스홀더를 더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랩본체부의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랩본체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돌기를 더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랩.
  8.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탄성을 갖는 연질의 판으로 형성되어 접힘이 허용되며, 식품을 수용한 상태로 접히거나 또 다른 판과 결합되면서 식품을 감싸는 랩본체부와, 상기 랩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랩본체부를 접힌 상태로 결속하거나 또 다른 랩본체부와 결합된 상태로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랩; 및
    상기 랩과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랩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랩을 구성하는 상기 랩본체에 적층된 상태로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랩을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랩 세트.
KR1020200085802A 2020-07-13 2020-07-13 식품 포장용 랩 및 이에 의한 랩 세트 KR102186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802A KR102186358B1 (ko) 2020-07-13 2020-07-13 식품 포장용 랩 및 이에 의한 랩 세트
PCT/KR2021/004817 WO2022014829A1 (ko) 2020-07-13 2021-04-16 식품 포장용 랩 및 이에 의한 랩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802A KR102186358B1 (ko) 2020-07-13 2020-07-13 식품 포장용 랩 및 이에 의한 랩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358B1 true KR102186358B1 (ko) 2020-12-03

Family

ID=73779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802A KR102186358B1 (ko) 2020-07-13 2020-07-13 식품 포장용 랩 및 이에 의한 랩 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6358B1 (ko)
WO (1) WO202201482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368B1 (ko) * 2021-05-04 2021-08-05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
KR102300255B1 (ko) * 2021-03-25 2021-09-09 주식회사 신성실리콘 실리콘 지퍼백
WO2022014829A1 (ko) * 2020-07-13 2022-01-20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식품 포장용 랩 및 이에 의한 랩 세트
US11827420B2 (en) 2021-03-25 2023-11-28 Shinsung Silicone Co., Ltd. Silicone zipper ba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84532A1 (en) * 2008-12-12 2011-11-24 Praful Ramachandra Naik Single piece re-closable unit pack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662892A (en) * 1992-04-29 1993-11-29 John Douglas Knight Litter system
GB9513016D0 (en) * 1995-06-24 1995-08-30 Arkimedes Limited Disposable cat litter tray
JPH11245932A (ja) * 1998-03-04 1999-09-14 Fuji Seal Inc 包装体
US6415944B1 (en) * 1998-08-27 2002-07-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ulable container
KR102186358B1 (ko) * 2020-07-13 2020-12-03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식품 포장용 랩 및 이에 의한 랩 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84532A1 (en) * 2008-12-12 2011-11-24 Praful Ramachandra Naik Single piece re-closable unit pack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829A1 (ko) * 2020-07-13 2022-01-20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식품 포장용 랩 및 이에 의한 랩 세트
KR102300255B1 (ko) * 2021-03-25 2021-09-09 주식회사 신성실리콘 실리콘 지퍼백
WO2022203213A1 (ko) * 2021-03-25 2022-09-29 주식회사 신성실리콘 실리콘 지퍼백
US11827420B2 (en) 2021-03-25 2023-11-28 Shinsung Silicone Co., Ltd. Silicone zipper bag
KR102286368B1 (ko) * 2021-05-04 2021-08-05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
WO2022234903A1 (ko) * 2021-05-04 2022-11-10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4829A1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358B1 (ko) 식품 포장용 랩 및 이에 의한 랩 세트
US11596730B2 (en) Packaging for medical containers
US4332322A (en) Folder to hold coil of plastic tubing with clamp and fittings
JP5688886B2 (ja) 縫合糸パッケージング
JP5690694B2 (ja) 複合容器
RU2288153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одноразовых предметов
US20100254632A1 (en) Bag for automated machines with side fold
JP5795558B2 (ja) ケース組み立て用シート、包装ケース及び包装体
BR112013013687B1 (pt) Embalagem destinada ao consumidor
JP2009298427A (ja) 蓋付き容器
JP5266306B2 (ja) 複合容器
JP2007254029A (ja) 花用ギフトパッケージ
US20240083621A1 (en) Cushioning and packaging material
JP3168957U (ja) 包装用紙箱
JP3070846U (ja) 食品収納用容器
JP5722725B2 (ja) 梱包ケース
JP5874795B1 (ja) 可撓性容器
JP2011063326A (ja) 複合容器
JP4344937B2 (ja) 樹脂シート製鶏卵包装用容器
JPH0723374Y2 (ja) 包装用紙器
JP2594612Y2 (ja) 複数容器の包装体
JP2005335772A (ja) パウチ状容器
JP2002337859A (ja) 蓋付きカートン
JP2023150927A (ja) 物品収容材
JP2007246116A (ja) 梱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