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672A - 절첩식 포장재 - Google Patents

절첩식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672A
KR20130090672A KR1020120011976A KR20120011976A KR20130090672A KR 20130090672 A KR20130090672 A KR 20130090672A KR 1020120011976 A KR1020120011976 A KR 1020120011976A KR 20120011976 A KR20120011976 A KR 20120011976A KR 20130090672 A KR20130090672 A KR 20130090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ackaging material
groove
folded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준
김인혜
김중현
허영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1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0672A/ko
Priority to US13/570,564 priority patent/US20130200092A1/en
Publication of KR20130090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D75/20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22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th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2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th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and formed with several recesses to accommodate a series of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절첩식 포장재가 개시된다. 개시된 포장재는 제품을 감싸기 위해 절첩 시 상호 마주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수용부; 및 상기 제품수용부에 연장 형성되어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완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첩식 포장재{FOLDING TYPE PACKAGE}
본 발명은 절첩식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재질로 이루어진 1장의 시트로 제작되며,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분을 함께 구비하는 절첩식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강성을 갖는 소형 전자제품 예를 들면, 노트북, 태블릿 PC 등을 포장하는 경우 제품보다 크게 제작된 종이 포장박스와 종이 포장박스 내부에 내재되어 상기 소형 전자제품을 지지하거나 일부를 감싸는 스펀지나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완충부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포장방식은 외관을 이루는 종이재질의 포장박스가 외부 충격이나 긁힘에 의해 쉽게 찢어지거나 훼손되는 것은 물론 습기 및 온습도 변화에 의한 얼룩이 생기는 등 보관 및 이송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아울러, 종이 포장박스가 훼손된 경우, 도소매점에 납품된 제품에는 하자가 없더라도 단지 포장박스의 훼손으로 인해 제품이 반품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반품에 따라 발생하는 인적 및 물적 손실이 결국 제품가격에 반영되어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소비자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이 포장박스에 개재되는 완충부재는 종이 포장박스와 다른 재질(예를 들면, 발포 합성수지류)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종래의 포장재는 제품을 안전하게 포장하기 위해서 단일 재질(예를 들면, 종이) 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고 적어도 2개의 이종 재질(종이, 발포 합성수지류)의 구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종의 재질을 구비해야 하는 종래 포장재는 종이 포장박스와 완충부재의 제작이 서로 다른 장치에 의해 각각 이루어지며 제품 포장 시 여러 구성을 조합해야 하므로 포장작업이 번거롭기 때문에 생산 및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재질로 이루어진 1장의 시트로 제작되며,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분을 함께 구비하는 절첩식 포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품을 감싸기 위해 절첩 시 상호 마주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수용부; 및 상기 제품수용부에 연장 형성되어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품수용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 절첩 시 상호 마주하여 상기 제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결합요홈부; 및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 중 나머지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요홈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부는 외곽을 따라 완충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결합돌기부의 외곽은 단면이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1 수용홈에 포함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수용홈에 포함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상기 몸체 절첩 시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 절첩 시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인접하며 서로 대응 형성되는 제1 삽입구멍과 제2 삽입구멍; 및 상기 몸체 절첩 시 서로 마주하는 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그립부 및 제2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부 및 제2 그립부는 상기 몸체 절첩 시 상기 몸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제1 그립부 및 제2 그립부는 단면이 각각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손잡이부 양측에 인접하게 적어도 한 쌍의 보조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보조 결합부는 각각, 상호 요철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일부 표면에 불투명한 가림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막은 상기 몸체의 표면에 인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지거나,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포장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포장재를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3은 도 1에 표시된 Ⅲ-Ⅲ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표시된 Ⅳ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포장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제품 포장을 위해 절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포장재의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포장재(100)는 단일재질로 이루어진 1장의 시트로 제작되는 몸체(110)를 구비하며, 몸체(110)는 제품수용부(130), 제1 완충부(150), 제2 완충부(160) 및 손잡이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제품수용부(130)에 수납된 제품(10) 및 액세서리(11,12)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전시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플라스틱 수지(예를 들면, 폴리스틸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몸체(110)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 일부분만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몸체(110) 표면에 소정의 가림막(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품(10)이 수용되는 부분(제품본체 수용부(131))을 제외하고 몸체(110)의 나머지 부분은 모두 가림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림막은 소정의 인쇄장치를 통해 몸체(110)에 인쇄되거나 또는 소정의 스티커와 같이 몸체(110)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몸체(110)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편이 대략 반으로 상호 절첩되며, 이 경우 서로 마주하는 양편을 제1 부분(111) 및 제2 부분(112)으로 정의한다. 제1 부분(111) 및 제2 부분(112)은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절첩 시 제1 부분(111) 및 제2 부분(112) 사이에 제품(10, 도 3 참조)이 고정 상태로 수납된다.
제품수용부(130)는 제1 부분(111) 및 제2 부분(112)에 요홈형상으로 각각 성형되며, 적어도 1이상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품수용부(130)를 제품본체 수용부(131)와 제1 및 제2 액세서리 수용부(132,133)의 3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제품 본체 수용부(131)는 제1 부분(111)에 형성된 제1 수용홈(131a)과 제2 부분(112)에 형성된 제2 수용홈(131b)을 포함한다. 제1 수용홈(131a) 및 제2 수용홈(131b)은 제품 포장을 위해 제1 부분(111) 및 제2 부분(112)을 서로 마주하도록 절첩하는 경우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설정된다. 이에 따라 제품(10)은 일측이 제1 수용홈(131a)에 삽입되고 타측이 제2 수용홈(131b)에 각각 삽입된다.
제1 수용홈(131a) 및 제2 수용홈(131b)은 제품(10)의 외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품(10)이 제품 본체 수용부(131)에 수납될 때, 제품(10)과 제1 수용홈(131a) 및 제2 수용홈(131b) 간의 유격을 없애 줌으로써 제품(10)을 제1 수용홈(131a) 및 제2 수용홈(131b)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함이다.
제1 및 제2 액세서리 수용부(132,133)는 제품 본체 수용부(131)와 마찬가지로 각각, 제1 및 제2 부분(111,112)에 서로 대응하는 각 수용 홈(132a,132b; 133a,133b)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액세서리 수용부(132,133)에는 터치 펜, 비디오케이블 및 전원케이블 등의 액세서리(11,12, 도 3 참조)가 각각 수납된다.
한편, 몸체(110)는 절첩 시 제1 및 제2 부분(111,112)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 부분(111)에 결합요홈부(121)를 형성하고, 제2 부분(112)에 결합돌기부(122)를 각각 형성한다.
결합요홈부(121)는 제1 부분(111)의 각 수용홈(131a,132a,133a)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요홈부(121)가 대략 4각형상을 이루며 4군데의 코너가 라운딩 형성된다. 결합돌기부(122)는 제2 부분(112)의 각 수용홈(131b,132b,133b)을 모두 포함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결합요홈부(1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결합요홈부(121)와 결합돌기부(122)는 각각의 외곽이 상호 끼움 결합된다(도 3 및 도 4 참조). 결합요홈부(121)와 결합돌기부(122)는 각 수용홈(131a,131b; 132a,132b; 133a,133b)을 포함할 수 있는 정도의 넓이로 이루어진다. 또한 결합요홈부(121)와 결합돌기부(122)의 형상은 수용홈의 개수나 형상을 고려하여 다각형, 원형 및 타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부(122)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외곽을 따라 완충공간(122a)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돌기부(122)의 외곽은 그 단면이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부(122)에 위해 형성되는 완충공간(122a)을 통해 제1 및 제2 완충부(150,160)와 함께 제품(10) 및 액세서리(11,12)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1 완충부(150)는 제품수용부(130)에 삽입된 제품(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완충공간을 확보해 준다. 구체적으로 제1 완충부(150)는 제1 수용홈(131a)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151)와 제2 수용홈(131b)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15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돌출부(151,152)는 각각 제1 및 제2 수용홈(131a,131b)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돌출부(151,152)의 돌출방향은 제1 및 제2 부분(111,112)을 서로 마주하도록 몸체(110)를 절첩 시 포장재(10)의 외측방향을 향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수용홈(131a,131b)에 삽입된 제품(10)의 양측으로 제1 및 제2 돌출부(151,152)에 의해 소정의 완충공간(151a,152a)이 확보된다.
이와 같은 완충공간(151a,152a)은 포장재(10)를 떨어뜨리는 경우 외부 충격이 제품(1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100)는 종래의 포장재에서 종이박스 외에 완충기능을 위해 별도의 쿠션부재를 구비할 필요 없이 단일 몸체(110)로 제작되면서도 제1 및 제2 돌출부(151,152)에 의해 완충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완충부(160)는 제1 액세서리 수용부(132)의 한 쌍의 수용홈(132a,132b)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161,162)를 포함한다. 이러한 한 쌍의 돌출부(161,162)는 상술한 제1 완충부(150)의 제1 및 제2 돌출부(151,152)와 마찬가지로 제1 액세서리 수용부(132)에 수납된 액세서리(11)의 양측으로 소정의 완충공간(161a,162a)을 확보한다. 이 경우 제1 액세서리 수용부(132)에는 터치 펜과 같은 내충격성이 높지 않은 액세서리를 수용할 수 있다.
손잡이부(170)는 제1 및 제2 삽입구멍(171a,171b)과 제 1 및 제2 그립부(172a,172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삽입구멍(171a,171b)은 몸체(110) 절첩 시 서로 맞닿는 제1 및 제2 부분(111,112)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동시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설정된다.
제 1 및 제2 그립부(172a,172b)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111,112)의 각 단부를 따라 형성되며, 몸체(110) 절첩 시 몸체(1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각 단면이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170) 파지 시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110)는 제1 및 제2 부분(111,112) 간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손잡이부(170) 양측에 인접한 한 쌍의 보조 결합부(180)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보조 결합부(180)는 제1 부분(111)에 형성된 돌기(181a,182a)와 제2 부분(112)에 형성된 요홈(181b,182b)을 포함하며, 돌기(181a,182a) 및 요홈(181b,182b)는 상호 끼움 결합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보조 결합부(180)는 포장재(100)의 사이즈에 따라 개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포장재(100)는 블리스터 성형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0)의 재질은 플라스틱 수지(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에 제한되지 않고 플라스틱 수지재에 비해 탄성력이 높은 우레탄으로 제작하는 것도 무방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포장재(100)는 단일 재질의 단일 몸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에 비해 제품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포장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110: 몸체 111: 제1 부분
112:제2 부분 130: 제품수용부
131: 제품본체 수용부 132,133: 액세서리 수용부
150: 제1 완충부 160: 제2 완충부
170: 손잡이부 180: 보조결합부

Claims (16)

  1. 제품을 감싸기 위해 절첩 시 상호 마주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수용부; 및
    상기 제품수용부에 연장 형성되어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완충부를 포함하는 절첩식 포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수용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 절첩 시 상호 마주하여 상기 제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포장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결합요홈부; 및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 중 나머지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요홈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포장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부는 외곽을 따라 완충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포장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부의 외곽은 단면이 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포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1 수용홈에 포함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수용홈에 포함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상기 몸체 절첩 시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포장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 절첩 시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인접하며 서로 대응 형성되는 제1 삽입구멍과 제2 삽입구멍; 및
    상기 몸체 절첩 시 서로 마주하는 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그립부 및 제2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포장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립부 및 제2 그립부는 상기 몸체 절첩 시 상기 몸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포장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립부 및 제2 그립부는 단면이 각각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포장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손잡이부 양측에 인접하게 적어도 한 쌍의 보조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포장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조 결합부는 각각, 상호 요철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포장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포장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일부 표면에 불투명한 가림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포장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상기 몸체의 표면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포장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플라스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포장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포장재.
KR1020120011976A 2012-02-06 2012-02-06 절첩식 포장재 KR20130090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976A KR20130090672A (ko) 2012-02-06 2012-02-06 절첩식 포장재
US13/570,564 US20130200092A1 (en) 2012-02-06 2012-08-09 Folding type pac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976A KR20130090672A (ko) 2012-02-06 2012-02-06 절첩식 포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672A true KR20130090672A (ko) 2013-08-14

Family

ID=4890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976A KR20130090672A (ko) 2012-02-06 2012-02-06 절첩식 포장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00092A1 (ko)
KR (1) KR201300906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376A (ko) * 2016-11-22 2018-05-30 주식회사유한양행 구강용품을 위한 접철식 포장 케이스
WO2022234903A1 (ko) * 2021-05-04 2022-11-10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376A (ko) * 2016-11-22 2018-05-30 주식회사유한양행 구강용품을 위한 접철식 포장 케이스
WO2022234903A1 (ko) * 2021-05-04 2022-11-10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개선된 프레스핏 구조 및 이에 의한 식품 포장용 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00092A1 (en)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937B1 (ko) 일체형 모바일 디바이스 운송 용기 및 가상현실 헤드셋
US7946426B2 (en) Package material
US7604125B2 (en) Packaging cushion device having modular cushion units
KR101461011B1 (ko) 곤포재 및 곤포체
JP2014009020A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US20080000796A1 (en) Shock-absorbing packaging device
KR20130090672A (ko) 절첩식 포장재
JP2003237846A (ja) 二重梱包箱
JP6357218B2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JP3210846U (ja) パネル搬送容器
KR20120066334A (ko) 와인병 포장 케이스
KR200378625Y1 (ko) 포장용 상자
KR200385911Y1 (ko)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
KR200479553Y1 (ko) 포장체 정위치 고정용 분할패널을 구비한 포장상자
JP5378958B2 (ja) 組み立て包装箱
JP6188646B2 (ja) 収容部材
CN112239000B (zh) 包装盒
JP2008150118A (ja) 梱包装置
JP2010013180A (ja) 簡易型ダンボール梱包箱
KR200484313Y1 (ko) 오픈형 지함
KR200486108Y1 (ko) 원터치 포장박스
KR101298696B1 (ko) 포장용 상자
KR200475643Y1 (ko) 포장용 상자
KR200295197Y1 (ko) 포장 상자
JP3149586U (ja) 軟質プラスチックス製の折りたたみ自在な包装用容器及び包装用容器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