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911Y1 -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911Y1
KR200385911Y1 KR20-2005-0007001U KR20050007001U KR200385911Y1 KR 200385911 Y1 KR200385911 Y1 KR 200385911Y1 KR 20050007001 U KR20050007001 U KR 20050007001U KR 200385911 Y1 KR200385911 Y1 KR 200385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roduct
outer box
displa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김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영 filed Critical 김주영
Priority to KR20-2005-0007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9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1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B65D77/04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the inn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5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means of a tongue integral with one of th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D75/20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22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th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225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th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the sheet or blank comprising more than one fold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esilient suspension means
    • B65D81/0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esilient suspension means the contents being located between two membranes stretched between opposed sides of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에서 제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품을 포장하는 고정케이스가 별도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보조상자와 함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상자의 내측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는, 판재가 다수회 절곡되어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상자(200)와; 상기 외부상자(200) 일측면에서 일부분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내부 투시를 가능하게 하는 투시구(260)와; 상기 외부상자(200)의 내측에 수용 가능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상자(200)의 내측에서 독립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상자(300)와; 상기 외부상자(200)의 내측에 수용되어 내부에 수납된 제품(500)을 고정 지지하며, 내부에 수납된 제품(500)을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고정케이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케이스(400)의 일측면은 상기 투시구(26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제품의 전시효과가 개선 되며, 포장재의 재활용이 용이해 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 { A combination type package for display }
본 고안은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제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품을 포장하는 고정케이스가 별도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보조상자와 함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상자의 내측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 작고 정밀한 전자제품 또는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많은 부품들이 생산된다. 이러한 물품들은 그 크기가 작고 충격과 같은 외부 저항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매우 고가인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이러한 고가의 전자부품들을 채용한 다양한 전자기기가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엠피스리(MP3)와 핸드폰, 휴대용미디어재생기(PMP) 그리고, 피디에이(PDA)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작고 정밀한 전자부품들의 집적(集積)에 의해 제작된다.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제품의 크기에 비해 비교적 고가의 제품으로 충격에 매우 취약하므로 안전한 포장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충격 또는 외부 저항요인으로부터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다양한 포장의 방법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일례로, 운반 또는 보관 중에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 등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서, 보관을 위한 박스에 스티로폼 또는 에어백 등과 같은 완충부재를 박스 내부에 충진하고 그 중앙에 포장을 위한 제품을 넣어서 제품을 보호하는 구조가 있다.
그리고, 운반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습기나 물기 또는 오물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포장을 위한 제품을 종이 또는 비닐로 겹겹이 싸서 다시 포장을 위한 박스에 개별적으로 담아 포장하는 구조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은 포장되는 제품에 대한 충격 또는 외부 저항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하게 제품을 보호 할 수 있으나, 외부에서는 포장된 제품의 사실적인 정보의 확인이 불가능하여 내부에 포장된 제품의 디자인과 같은 정보의 확인을 위해서는 제품을 포장하고 있는 박스를 개봉하고, 완충부재 또는 비닐포장 등을 벗겨내는 등 번거로운 작업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외부의 포장박스에 제품의 사진이나 그림을 인쇄하여 제품의 정보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이는 사실적인 색상과 디자인의 전달에 한계가 있어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품의 내부가 보이도록 외부상자 일측을 개구하고 투명필름 등으로 개구된 부분을 차폐하여 제품의 외형 일부를 외부로 나타낼 수 있으나, 외부에서 볼 수 있는 부분에는 한계가 있어 정보전달에 있어서의 효과가 비교적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제품을 고정하는 스티로폼 등이 외부로 보이게 되어 시각적으로 우수한 장식성을 가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포장박스는 종이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포장박스에 개구된 부분을 차폐하도록 부착된 투명필름은 포장박스의 소재와는 다른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되어 전체 포장박스의 재활용에 있어서도 이를 각각 분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에서 제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품을 포장하는 고정케이스가 별도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보조상자와 함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상자의 내측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는, 판재가 다수회 절곡되어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상자와; 상기 외부상자 일측면에서 일부분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내부 투시를 가능하게 하는 투시구와; 상기 외부상자의 내측에 수용 가능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상자의 내측에서 독립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상자와; 상기 외부상자의 내측에 수용되어 내부에 수납된 제품을 지지 고정하며, 내부에 수납된 제품을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고정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케이스의 일측면은 상기 투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고정케이스는 양측방이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중앙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접혀지게 되며,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제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함몰된 면을 각각 신축성 필름소재로 차폐하도록 형성되어 제품을 지지, 고정하는 고정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본체는 포장제품의 수용을 위해 함몰 형성된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의 함몰방향과 수직하게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투시구는 상기 외부상자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다른 한 면에 동일한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투시구와 접하게 되며, 상기 투시구의 크기보다 작지 않게 형성된다.
상기 외부상자는 내부의 일측 폭이 상기 보조상자의 일측 폭과 케이스본체의 일측 폭을 더한 길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부상자는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선택적으로 개구되어 상기 보조상자와 고정케이스의 출입 통로가 되는 출입구가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제품의 외관 및 이에 관련된 정보의 전달이 용이하며, 색다른 포장으로 사용자의 구매욕을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포장재가 소재별로 분리되어 재활용이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형을 보인 부분 절개 평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포장박스(1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상자(200)와 보조상자(300) 그리고, 고정케이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상자(200)는 포장박스(100)의 전체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상자(200)는 일반적인 종이 상자와 같이 전개된 종이가 다수회 절곡, 접착되어 형성되며 이는 일반적인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외부상자(200)의 일측면에는 출입구(220)가 형성된다. 상기 출입구(220)는 상기 외부상자(200)의 일측면이 선택적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상자형상의 박스에서 형성되는 동일한 형상의 외부덮개(24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외부덮개(240)는 상기 출입구(22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 상기 외부상자(200)의 일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다른 면에도 형성된다. 이때 상기 출입구(220)는 상기 외부상자(200)의 양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출입구(220)는 서로 연통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보조상자(300)와 고정케이스(400)의 인출/입이 한결 용이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상자(200)의 일측면(도 1 과 2 에서 상면)에는 투시구(260)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투시구(260)는 상기 외부상자(200)의 내측을 투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외부상자(200)의 일측면에서 소정의 크기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투시구(260)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케이스(400)의 내부에 수용된 제품을 상기 외부상자(200)의 외측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투시구(260)는 상기 고정케이스(400)의 일측면과 접하여 상기 고정케이스(400)의 일부가 상기 투시구(260)를 통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구(260)가 형성되는 상기 외부상자(200)의 일측면과 대응하는 다른 측면(도 1 과 2 에서 하면)에도 상기 투시구(260)와 동일한 형상의 투시구(26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상자(200)의 상면과 하면에 개구되도록 형성된 상기 투시구(260)에 의해 상기 외부상자(200)의 내부를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외부상자(200)의 내측에는 보조상자(300)가 수용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상자(300)는 일반적인 종이박스와 동일하게 전개된 종이 판재가 다수회 절곡, 접착되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악세사리(32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상자(300)의 형상은 일반적인 종이상자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한편, 상기 보조상자(300)에 수용되는 악세사리(320)는 일반적으로 제품(500)의 작동을 보조하거나 유지에 필요한 도구로 전원코드 또는 충전기, 배터리 등이 있으며, 이들은 비교적 충격에 강하고 제품(500)의 구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 상기 보조상자(300)의 내측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상자(300)의 상면에는 상기 악세사리(320)의 수납을 위해 선택적으로 개구되는 보조덮개(340)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덮개(340)에 의해 상기 보조상자(300)의 상면은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보조상자(300)는 상기 외부상자(200)의 내측에 삽입되었을 때 외부의 충격 등에 흔들리거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외부상자(200)의 내측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상자(300)의 가로방향의 길이와 높이는 상기 외부상자(200)의 내측면 가로방향의 길이 및 높이와 같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상자(300)는 상기 외부상자(200)의 내측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투시구(260)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외부상자(200)의 일단에서 상기 투시구(260) 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다소 짧은 길이만큼의 폭(도 2 에서 좌우방향의 폭)을 가진다.
한편, 상기 보조상자(300)가 수용된 상기 외부상자(200)의 내측에는 고정케이스(400)가 삽입된다. 상기 고정케이스(400)는 포장되는 제품(500)을 수용하는 것으로 포장된 제품(500)을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투명소재로 형성된다.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고정케이스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고정케이스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라 상기 고정케이스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고정케이스(400)는 케이스본체(420)와 고정필름(4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본체(420)는 상기 고정케이스(4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투명소재로 형성되어 내부가 완전히 투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본체(420)는 절곡선(440)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절곡선(440)은 상기 케이스본체(420)의 중앙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본체(420)를 정확하게 2등분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본체(420)는 함몰부(422)와 테두리부(424)로 구성된다. 상기 함몰부(422)는 상기 케이스본체(420)의 함몰된 부분으로 다양한 크기의 제품(5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 되며, 상기 케이스본체(420)를 접었을때 서로 대칭되도록 각각 상하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부(424)는 상기 함몰부(422)의 단부를 따라 함몰방향에 수직하도록 연장 형성된 것으로 상기 케이스본체(420)가 상기 절곡선(440)을 따라 접혔을때 서로 면접촉하게 된다. 상기 테두리부(424)에는 상기 케이스본체(420)를 절곡된 상태로 구속하기 위한 결합홈(424')과 결합편(424'')이 더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결합홈(424')과 결합편(424'')은 상기 테두리부(424)의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424'')이 상기 결합홈(424')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케이스본체(420)가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함몰부(422)는 고정필름(460)에 의해서 차폐된다. 상기 고정필름(460)은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필름형태로 가공된 것으로, 상기 절곡선(440)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된 상기 함몰부(422)를 완전히 차폐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필름(460)은 상기 테두리부(424)에 밀착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함몰부(422)의 개구된 부분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필름(460) 자체가 가지는 신축성에 의해 제품(5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함몰부(422)를 차폐하는 고정필름(460)에 상기 제품(500)을 올려놓고 상기 절곡선(440)을 따라 상기 케이스본체(420)를 접어서 상기 테두리부(424)를 밀착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필름(460)은 자체의 신축성에 의해 상기 제품(500)의 표면에 밀착되어 제품(500)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케이스(400)는 상하의 높이가 상기 외부상자(200) 내측의 상하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케이스(400)의 함몰부(422)는 상기 케이스본체(420)를 상기 절곡선(440)을 따라 접었을 때 그 높이가 상기 외부상자(200) 내측의 상하높이와 같도록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케이스(400)는 상기 보조상자(300)와 함께 상기 외부상자(200)에 완전하게 삽입되었을 때 상기 고정케이스(400)의 함몰부(422) 저면 즉, 상기 고정케이스(400)의 상/하면은 상기 투시구(260)와 접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고정케이스(400)의 함몰부(422) 저면은 상기 투시구(260)의 크기보다 작지 않게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422) 저면에 해당하는 상기 고정케이스(400)의 상/하면이 상기 투시구(260)를 통해서 노출되어 상기 고정케이스(400) 내측에 수용된 제품(500)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케이스(400)의 폭(도 2 에서 좌우측)은 상기 투시구(26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보조상자(300)와 함게 상기 외부상자(200)의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 유격이 발생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상자(300)의 폭과 고정케이스(400)의 폭을 더한 길이는 상기 외부상자(200)의 내측 폭(이상 도 2 에서 좌우측)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상자(300)와 함께 상기 고정케이스(400)가 삽입될 경우 상기 외부상자(200)의 내측은 완전하게 채워지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포장을 위한 제품(500)을 상기 고정케이스(400)의 고정필름(460) 위에 올려놓은 다음 상기 절곡선(440)을 따라서 상기 케이스본체(420)를 접게 되면, 상기 고정필름(460)은 서로 면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필름(460)이 가지는 신축성에 의해 상기 제품(500)의 표면을 감싸게 된다.
그리고, 서로 접하는 상기 테두리부(424)의 결합편(424'')과 결합홈(424')를 서로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본체(420)가 접힌 상태로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품(500)은 상기 함몰부(422)의 내측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며 투명소재인 상기 케이스본체(420)와 고정필름(460)에 의해 완전하게 고정된다.
한편, 제품(500)에 부속되는 충전기와 각종케이블 등과 같은 악세사리(320)는 상기 보조상자(300)에 수납된다. 상기 악세사리(320)가 수납된 보조상자(300)는 상기 외부상자(200)의 출입구(220)를 통해 상기 외부상자(20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케이스(400)를 상기 외부상자(200)의 내측에 넣게 된다. 상기 보조상자(300)와 상기 고정케이스(400)가 완전하게 삽입되면, 상기 외부상자(200)의 덮개를 덮어서 상기 외부상자(200)의 출입구를 차폐하여 포장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제품(500)의 포장이 끝나게 되면 상기 투시구(260)를 통해서 상기 고정케이스(400) 내측에 고정된 제품(500)을 볼 수 있게 되며, 상기 투시구(260)는 전면과 후면에 모두 형성되어 상기 고정케이스(400) 내부에 고정된 제품(500)의 전면은 물론 후면과 측면까지도 외부에서 용이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에서는, 제품이 투명한 고정케이스에 고정되어 외부에서 인식이 가능하며, 이러한 고정케이스는 악세사리가 수납된 보조상자와 함께 외부상자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케이스는 상기 제품을 신충성이 있는 고정필름으로 고정하게 되어 제품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이나 저항이 상기 제품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게 되어 제품을 보호하는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외부상자의 전면과 후면의 투시구를 통해서 상기 고정케이스에 고정된 제품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볼 수 있으며, 전체면을 볼 수 있어 제품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정보제공이 가능하게 되어 제품에 대한 정보전달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악세사리들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수납되어지며, 제품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별도의 사진이나 인쇄 없이 제품의 외형만으로 제품의 정보전달은 물론 포장의 장식효과를 대신하게 되어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상자와 보조상자는 종이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케이스는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되어 별도의 분리작업 없이 각각의 구성품이 한가지의 소재로 형성되므로 재활용이 보다 용이해지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형을 보인 부분 절개 평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보조상자와 악세사리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고정케이스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고정케이스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포장박스 200. 외부상자
220. 출입구 240. 외부덮개
260. 투시구 300. 보조상자
320. 악세사리 340. 보조덮개
400. 고정케이스 420. 케이스본체
422. 함몰부 424. 테두리부
424'. 결합홈 424''. 결합편
440. 절곡선 460. 고정필름
500. 제품

Claims (7)

  1. 판재가 다수회 절곡되어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상자와;
    상기 외부상자 일측면에서 일부분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내부 투시를 가능하게 하는 투시구와;
    상기 외부상자의 내측에 수용 가능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상자의 내측에서 독립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상자와;
    상기 외부상자의 내측에 수용되어 내부에 수납된 제품을 지지 고정하며, 내부에 수납된 제품을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고정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케이스의 일측면은 상기 투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케이스는,
    양측방이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중앙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접혀지게 되며,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제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함몰된 면을 각각 신축성 필름소재로 차폐하도록 형성되어 제품을 지지, 고정하는 고정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포장제품의 수용을 위해 함몰 형성된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의 함몰방향과 수직하게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구는,
    상기 외부상자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다른 한 면에 동일한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투시구와 접하게 되며, 상기 투시구의 크기보다 작지 않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상자는,
    내부의 일측 폭이 상기 보조상자의 일측 폭과 케이스본체의 일측 폭을 더한 길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상자는,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선택적으로 개구되어 상기 보조상자와 고정케이스의 출입 통로가 되는 출입구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
KR20-2005-0007001U 2005-03-16 2005-03-16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 KR200385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001U KR200385911Y1 (ko) 2005-03-16 2005-03-16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001U KR200385911Y1 (ko) 2005-03-16 2005-03-16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911Y1 true KR200385911Y1 (ko) 2005-06-02

Family

ID=4368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001U KR200385911Y1 (ko) 2005-03-16 2005-03-16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9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831B1 (ko) * 2011-12-26 2012-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형 전자기기 포장 상자
KR20150003382U (ko) * 2014-03-04 2015-09-14 윤정구 소형제품 포장용 상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831B1 (ko) * 2011-12-26 2012-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형 전자기기 포장 상자
KR20150003382U (ko) * 2014-03-04 2015-09-14 윤정구 소형제품 포장용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7595B2 (en) Integrated mobile device shipping container and virtual reality headset
US7097042B2 (en) Portable accessory box
KR20140002524A (ko) 곤포재 및 곤포체
KR200385911Y1 (ko)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
KR20080006651U (ko)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KR200444123Y1 (ko) 휴대전화 포장상자
KR200386484Y1 (ko) 안전포장용 투명 케이스
TWI624410B (zh) 包裝盒
US20130200092A1 (en) Folding type package
JP4593574B2 (ja) パワー半導体装置の包装装置
JP5928890B2 (ja) 包装用箱
KR200381580Y1 (ko) 고정용 포장재
KR101248412B1 (ko)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및, 그 이용방법
US20080017548A1 (en) Method of Packaging a Flat Display Device and Package for Use in Such a Method
JP2008120422A (ja) ケース入り卵の保護具
CN110667970A (zh) 包装盒
CN216270408U (zh) 一种高强度的子母式彩盒
KR200480881Y1 (ko) 장식 효과 개선을 위한 상품 포장 상자
KR20190019241A (ko) 와인병 보호 커버
KR200441420Y1 (ko) 포장용 조립체
JP4909692B2 (ja) 緩衝材シート及び容器入り箱体
CN115848789A (zh) 包装盒
TWM499391U (zh) 包裝盒
KR20060088448A (ko) 고정용 포장재
KR20230001267U (ko) 포장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