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651U -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651U
KR20080006651U KR2020070010463U KR20070010463U KR20080006651U KR 20080006651 U KR20080006651 U KR 20080006651U KR 2020070010463 U KR2020070010463 U KR 2020070010463U KR 20070010463 U KR20070010463 U KR 20070010463U KR 20080006651 U KR20080006651 U KR 200800066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mobile phone
inner box
cover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준
Original Assignee
박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준 filed Critical 박경준
Priority to KR2020070010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651U/ko
Publication of KR200800066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6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 B65D5/5038Tray-like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and presenting openings or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박스 와 내부박스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박스에 투시창을 구비하여 상기 내부박스에 휴대폰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투시창을 통하여 휴대폰을 볼 수 있도록 하여 홍보 효과를 높이고, 내부박스를 수용되는 휴대폰 및 악세사리가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상면부가 개구된 육면체용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부를 덮고 투시창이 구비된 커버를 포함하는 외부박스; 및 상면부가 개구된 육면체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고 중앙에 휴대폰 수용공이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에 위치한 휴대폰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내부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박스와 상기 내부박스는 각각 종이를 재단하고 접어 조립 형성한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휴대폰, 포장, 박스, 투시창, 이동통신

Description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PACKING BOX ASSENBLY FOR CELLULAR PHON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포장박스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내부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내부박스의 단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H : 휴대폰 P : 액세서리
10 : 외부박스 11 : 바디
12 : 커버 13 : 투시창
14 : 측면 15 : 평면판
20 : 내부박스 21 : 본체
22 : 덮개 23 : 휴대폰 수용공
24 : 지지편 25 : 손가락 삽입홈
26 : 지지판 27 : 구획박스
100 : 포장박스
본 고안은 휴대폰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박스와 내부박스를 각각 한 장의 종이를 재단하여 조립 형성하고 이때, 상기 내부박스에 휴대폰을 수용할 수 있는 휴대폰 수용공을 상부로 노출시켜 사용자가 내부박스를 완전히 개봉하지 않아도 휴대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편의성을 높이고 외부박스는 고급재질로 형성하고 광고물을 인쇄하여 사용자에게 광고효과를 높이고 내부박스는 저렴한 단가의 재질로 형성하여 제조 단가를 낮추면서도 휴대폰 및 액세서리를 외부충격에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은 휴대폰 및 주변기기등이 하나의 포장박스에 수용되어 유통되고 있으며 이러한 포장박스는 외부 충격에서 휴대폰 및 주변기기들을 안전하게 보호하여 주도록 구성되는데,
보통 한 장의 판지를 접철하여 조립하고 이때 각각의 기능을 갖춘 부분들을 필요에 따라 박스 본체와 일체로 형성하여 각각의 주변기기들을 수납하여 제작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 제안된 것으로는 특허등록번호 제10-0328865호(공고일자 2002년03월14일) '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이 제안되었는데,
상기 종래기술 1에서는 한 장의 판지를 필요에 따라 각각의 기능을 갖춘 부분들로 구획하고 구획된 각각의 부분들을 접철하여 조립하여 하나의 포장용 종이상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한 장의 골판지로 하나의 포장용 종이상자를 제작할 수 있어 재료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골판지로 제작된 종이상자가 미관상 좋지 않고 나아가 각각의 부분들을 조립하는 것으로 휴대폰 및 악세사리들이 수납된 후 외부충격에서 안전하게 보호받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3759호(공개일자 2004년08월21일) ' 포장상자'(이하 종래기술 2라함)에서 제안된 기술로는,
' 상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구비한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포장 상자의 일측이 연장되거나 또는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포장 상자의 내부 수납 공간이 적어도 두 칸 이상이 되도록 상,하루 분리되는 수납공간 분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 공간 분리수단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수납공간 분리수단에 의하여 상,하로 구획된 상측 공간에 별도의 상품 고정수단이 배치되는 구조를 제공한다'로 이루어져서,
포장 상자의 공간을 상,하로 나누어 구획하는 수납공간 분리수단을 구비하여 주요 상품이 상측에 배열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상품이 포장 상자에 수납된 상태에서 판매되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으나,
상기 수납공간 분리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여 제조단가가 올라갈 뿐 만 아니라 제조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하측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주변기기들을 외부충격에서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부에 수납되는 휴대폰의 무게에 의한 제품의 변형을 방지하는 수단이 없어 제품을 운반 및 장시간 보관할 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휴대폰 및 주변기기를 수납하는 내부박스와 상기 내부박스를 수용하는 외부박스를 별도로 구성하되 각각 한 장의 종이로 제작하고,
상기 내부박스에 휴대폰 수용공을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하고 액세서리 수납공간을 하부에 형성하여 사용자가 내부박스를 개봉하지 않아도 휴대폰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수납된 휴대폰 및 액세서리를 외부충격에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수용된 핸드폰을 고정할 수 있는 지지판을 형성하고, 수용된 핸드폰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에 손가락 삽입홈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상기 외부박스에 투시창을 일체로 형성하여 내부박스에 수납된 휴대폰을 더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부가 개구된 육면체용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외부박스; 및 상면부가 개구된 육면체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고 중앙에 휴대폰 수용공이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에 위치한 휴대폰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내부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박스와 상기 내부박스는 각각 종이를 재단하고 접어 조립 형성한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 상기 내부박스의 본체와 지지판 사이에는 액세서리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 상기 액세서리 수납공간에는 상기 지지판을 받치고 복수의 수용홈이 형성된 구획박스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획박스는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어 조립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포장박스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내부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내부박스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2를 참조하여 방향 기준을 특정하면,
상면부가 개구된 육면체형 본체에서 액세서리가 수납되는 액세서리 수납공간쪽을 저면 또는 하부라 하고,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 쪽을 평면 또는 상부라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가 개구된 육면체형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개구부(11a)를 덮는 커버(12)로 이루어진 외부박스(10)와 상면부가 개구된 육면체형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개구부(21a)를 덮고 중앙에 휴대폰 수용공(23)이 형성된 덮개(22)와 상기 덮개(2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핸드폰 수용공(23)에 위히나 휴대폰(H)을 지지하는 지지판(26)을 포함한 내부박스(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박스(10) 및 내부박스(20)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는데, 제조 비용 및 방법등을 고려할 때 종이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고 이때 상기 외부박스(10)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제품의 광고를 하는 것을 고려하여 종이 재질중에서도 상질지(아트지,모조지 등)을 이용하고 내부박스(20)는 휴대폰(H) 및 액세서리(P)등을 외부충격에서 보호해야 하는 것을 고려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골판지를 이용하여 제작한다.
상질지란 고급책자, 증권용지 등에 쓰이는 고급 종이로서 표면이 평활하고 백색도가 높으며 그 중에서도 아트지는 모조지를 초지한 후 표면에 백토 등의 안료를 카세인등의 풀용액에 혼합시킨 것을 칠해서 건조시킨 후 다시 표면을 평활하고 광택이 나도록 처리해서 인쇄적성을 좋게 만든 용지로서 치수당 단가가 비싸나 인쇄적성이 좋아 제품의 광고물을 인쇄하여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고, 특히 마닐라지는 작은 종이상자를 만드는데 쓰이는 약간 두꺼운 판지로서 한쪽 표면만을 고급 종이층으로 가공한 종이로 한쪽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본 고안에 따른 외부박스(10)의 재질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골판지는 물결 모양으로 골을 만든 골심지에 라이너지(紙)라고 하는, 면이 반듯하고 빳빳한 판지를 한면 또는 양 면에 접착제로 붙여서 완충도를 높인 것으로 충격 흡수가 좋고 치수당 단가가 비교적 저렴하여 내부박스(20)의 재질로서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외부박스(10) 및 내부박스(20)를 제작함에 있어서 마닐라지 또는 골판지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내부박스(20)는 휴대폰의 모델 및 액세서리의 종류에 따라 한 장의 골판지를 미리 설계된 규격 및 구획으로 재단하고 접어서 형성하는데, 바닥면(29a)과 사방의 벽면(29b)을 조립하여 상면부가 개구된 육면체형 본체(21)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21)의 개구부(21a)를 덮고 노출되는 상면에 휴대폰(H)을 수용하는 휴대폰 수용공(23)이 형성된 덮개(22) 및 상기 덮개(2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폰 수용공(23)에 위치한 휴대폰(H)을 하부에서 받혀주는 지지판(26)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1)에는 휴대폰의 액세서리(P)를 수납할 수 있는 액세서리 수납공간(21b)이 형성되고 상기 액세서리 수납공간(21b)에는 구획박스(27)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구획박스(27)는 상기 지지판(26)을 하부에서 받치고 복수의 수용홈(27a)이 형성되어 크기가 작은 액세서리(P)를 수용하여 운반 및 보관시 수용된 액세서리(P)가 위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구획박스(27)는 상기 벽면(29b)중 어느 일측에서 연장되게 형성하고 접어서 조립된 상태의 평면의 높이가 상기 지지판(26)의 하부와 밀착하게 하여 상기 지지판(26)이 휴대폰(H)의 무게 및 적층하여 보관할 때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서 포장박스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덮개(22)의 일측에서 하부로 절곡된 수직지지판(28)이 지지력을 보강해 준다.
나아가 상기 덮개(22)에 형성된 휴대폰 수용공(23)에는 수용된 휴대폰(H)을 지지하는 지지편(24)이 상기 지지판(26)과 접촉하도록 하부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편(24)의 하부 끝단이 상기 지지판(26)에 형성된 삽입홈(26a)에 삽입되어 고정력을 증대한다.
또, 상기 휴대폰 수용공(23) 둘레에는 손가락 삽입홈(25)이 형성되어 수용된 휴대폰(H)을 꺼낼 때 휴대폰(H)을 파지할 수 있어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지지편(24) 중 대편의 두 지지편(24)에 상기 손가락 삽입홈(25)이 더 형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외부박스(10)의 개구부(11b)를 측면(14)에 형성하고 상기 내부박스(20)를 상기 개구부(11b)로 삽입하고 이때 상기 외부박스(10)의 투시창(13)은 평면판(15)에 일체로 형성하여 내부박스(20)에 삽입되는 휴대폰(H)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외부박스(10) 에 구비된 커버(12)는 투시창(13)이 형성되고 상기 투시창(13)은 휴대폰(H)이 수용되는 상기 내부박스(20)의 휴대폰 수용공(23)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여 포장된 상태의 제품을 개봉하지 않아도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투시창(13)에는 투명한 소재의 보호커버(12)를 구비하여 먼지, 습기 등의 이물질이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동시에 투시창(13)과 동일한 위치에 수용되는 휴대폰(H)을 외부에서 직접 만지지 못하도록 하여 제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내부박스(20)는 한 장의 골판지를 미리 설계된 규격 및 구획으로 재단하고 접어서 조립하여 개구된 육면체형 본체(21) 및 상부에 휴대폰(H)을 수용할 수 있는 휴대폰 수용공(23)을 형성된 덮개(22)와 상기 덮개(22)를 하부에서 받혀주는 지지판(26) 및 액세서리 수납공간(21b)과 구획박스(27)를 형성한다.
상기 수납공간(21b) 및 구획박스(27)에 각각 액세서리(P)를 수납하고, 상기 지지판(26)을 덮개(2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접고 이때 상기 휴대폰 수용공(23)에 형성된 지지편(24)과 접촉하여 고정시킨다.
나아가 상기 휴대폰 수용공(23)에 휴대폰(H)을 수용할 때 상기 지지편(24)이 휴대폰(H)을 사방에서 가압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수용된 휴대폰(H)을 꺼낼 때 상기 휴대폰 수용공(23)의 둘레 및 상기 지지편(24)중 대편의 지지편(24)에 손가락 삽입홈(25)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휴대폰(H)을 파지한 후 꺼낼 수 있어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
또한, 상기 휴대폰(H)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덮개(22)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구획박스(27)가 상기 지지판(26)의 하부에 밀착하여 지지하고, 상기 덮개(22)의 일측에 구비된 수직지지판(28)이 액세서리 수납공간(21b)에 삽입되어 상기 덮개(22)를 지지해 준다.
상기와 같이 휴대폰(H) 및 액세서리(P)를 수납한 내부박스(20)를 수용하는 외부박스(10)는 한 장의 마닐라지를 미리 설계된 규격 및 구획으로 재단하고 접어서 상면부가 개구된 육면체형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개구부(11a)를 덮는 커버(1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구부(11a)를 통하여 내부박스(20)를 수용하고 상기 커버(12)를 덮어 완성된 포장박스(100)를 구성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커버(12)에 투시창(13)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휴대폰(H)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전시 및 광고 효과를 높일수도 있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외부박스(10)의 측면(14)에 개구부(11b)를 형성하여 내부박스(20)를 삽입하고 이때 상기 외부박스(10)의 평면판(15)에 투시창(13)을 더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내부박스에 휴대폰 및 액세서리를 동시에 수납할 수 있게 하고 휴대폰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내부박스를 개봉하지 않아도 제품의 상태를 사용자의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외부박스 및 내부박스로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서, 소비자에게 노출되는 외부박스는 고급스러운 재질을 사용하여 미관이 수려하게 하고 내부박스는 제품을 보호하면서 저렴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단가를 낮추며 외부 충격에서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포장박스를 개봉하지 않아도 외부에서 제품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을 장시간 전시해도 외부의 먼지 및 습기가 유입되지 않아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전시 및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상면부가 개구된 육면체형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외부박스; 및
    상면부가 개구된 육면체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고 상부에 휴대폰 수용공이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에 위치한 휴대폰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내부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박스와 상기 내부박스는 각각 종이를 재단하고 접어 조립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박스의 본체와 지지판 사이에는 액세서리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 수납공간에는 상기 지지판을 받치고 복수의 수용홈이 형성된 구획박스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획박스는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어 조립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박스의 재질은 마닐라지이고, 상기 내부박스의 재질은 골판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박스에서
    상기 덮개의 휴대폰 수용공 둘레에는 두 손가락 삽입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박스에서
    상기 덮개의 휴대폰 수용공 둘레에는 상기 지지판과 접촉하도록 하부로 절곡된 지지편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편 중 대편의 두 지지편에 상기 손가락 삽입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박스에는
    상기 내부박스에 수용된 핸드폰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KR2020070010463U 2007-06-26 2007-06-26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KR200800066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463U KR20080006651U (ko) 2007-06-26 2007-06-26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463U KR20080006651U (ko) 2007-06-26 2007-06-26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651U true KR20080006651U (ko) 2008-12-31

Family

ID=4929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463U KR20080006651U (ko) 2007-06-26 2007-06-26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651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65Y1 (ko) * 2010-04-07 2012-06-18 도재호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
KR20180000631U (ko) * 2016-08-24 2018-03-06 (주)삼성금거래소 반지 케이스
CN109367951A (zh) * 2018-11-20 2019-02-22 重庆市美盈森环保包装工程有限公司 一种多功能坚果盒
KR102241174B1 (ko) 2020-06-22 2021-04-16 한성섭 제품포장용 박스
CN113120374A (zh) * 2021-05-20 2021-07-16 东莞市美盈森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包装盒
WO2023234580A1 (ko) * 2022-05-30 2023-12-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패키지 박스 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65Y1 (ko) * 2010-04-07 2012-06-18 도재호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
KR20180000631U (ko) * 2016-08-24 2018-03-06 (주)삼성금거래소 반지 케이스
CN109367951A (zh) * 2018-11-20 2019-02-22 重庆市美盈森环保包装工程有限公司 一种多功能坚果盒
KR102241174B1 (ko) 2020-06-22 2021-04-16 한성섭 제품포장용 박스
CN113120374A (zh) * 2021-05-20 2021-07-16 东莞市美盈森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包装盒
WO2023234580A1 (ko) * 2022-05-30 2023-12-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패키지 박스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31413B1 (en) A product package utilizing an information indicator held in a product tray
KR20080006651U (ko)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ES2639822T3 (es) Unidad de envase y método para envasar productos
CN104210725A (zh) 包装单元
KR200424470Y1 (ko) 다용도 포장용기
US10029839B2 (en) Article including a bottle of cosmetic product and a pack
JP4888810B2 (ja) 包装用容器
KR101899873B1 (ko) 즉시 진열형 포장박스
KR20200075263A (ko) 포장 박스용 포장재 및 그 포장재에 의해 조립된 포장 박스
KR102145684B1 (ko) 악세서리용 포장 박스
KR101335587B1 (ko)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KR101248412B1 (ko)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및, 그 이용방법
KR100779218B1 (ko) 커버박스를 채용한 포장용 박스
KR200385911Y1 (ko)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
KR200485861Y1 (ko) 병 포장박스
JP4576302B2 (ja) 梱包材
US20130200092A1 (en) Folding type package
JP4588517B2 (ja) 包装箱の支持部材
KR200469147Y1 (ko) 차량시트 중량감지센서용 포장대
CN213736279U (zh) 一种试剂盒存储结构
ES2926174T3 (es) Marco interior para un paquete de cigarrillos
CN112239000B (zh) 包装盒
KR20130006300U (ko) 포장용 박스
CN209582158U (zh) 一种防护书籍包装盒
JP4518840B2 (ja) 陳列ケース兼用ダンボール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