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587B1 -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587B1
KR101335587B1 KR1020120138061A KR20120138061A KR101335587B1 KR 101335587 B1 KR101335587 B1 KR 101335587B1 KR 1020120138061 A KR1020120138061 A KR 1020120138061A KR 20120138061 A KR20120138061 A KR 20120138061A KR 101335587 B1 KR101335587 B1 KR 101335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x body
packaging box
incision line
inci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기환
고세영
송치원
임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138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 B65D5/5038Tray-like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and presenting openings or re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통신용 디바이스, 리모콘 등의 포장 박스로 사용한 후, 박스본체의 조립을 해체하고 완충부를 제거한 다음, 박스본체를 뒤집어서 박스본체를 재조립함으로써 전선을 정리하는 전선 정리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Description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Recyclable packaging box used in arranging wire}
본 발명은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용 디바이스, 리모콘 등의 포장 박스로 사용한 후, 박스본체의 조립을 해체하고 완충부를 제거한 다음, 박스본체를 뒤집어서 박스본체를 재조립함으로써 전선을 정리하는 전선 정리함으로 사용될 수 있는 포장용 박스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디바이스와 같은 전자제품은 보관, 운반시에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박스에 포장된다. 이러한 박스의 내부에는 전자제품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전자제품을 둘러싸도록 스치로폼과 같은 완충재가 설치된다. 이러한 포장 구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54962호 등에 그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포장 구조는 박스와 별개로 스치로폼과 같은 완충재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포장구조는 포장을 개봉하여 전자제품을 설치 완료한 후에 완충재와 박스를 재활용하기가 마땅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기존의 포장 박스는 제품을 보관 및 운반하고 난 뒤에 재활용되지 못하고 그냥 버려진다. 재활용을 한다고 하더라도 물품을 보관 및 운반하는 박스의 본래 기능으로 재활용될 뿐, 물품을 보관 및 운반하는 본래의 용도 이외 다른 용도로 재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편, 대부분의 전자제품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구비하는데, 전자제품이 설치될 곳과 전원 콘센트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전선길이를 충분히 길게 만들고 있다. 그런데, 전자제품이 설치된 후에 남는 길이의 전선은 미관상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남는 길이의 전선을 벨크로 테이프 또는 끈 등을 이용하여 묶는 방안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방안을 이용하더라도 상기 전선 묶음은 여전히 외부에 노출되고, 특히 여러 개의 전선 묶음이 실내공간에 방치되면 미관상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통신용 디바이스, 리모콘 등의 포장 박스로 사용한 후, 박스본체의 조립을 해체하고 완충부를 제거한 다음, 박스본체를 뒤집어서 박스본체를 재조립함으로써 전선을 정리하는 전선 정리함으로 사용될 수 있는 포장용 박스,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치로폼과 같은 별도의 완충재가 필요하지 않은 포장용 박스,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스본체를 뒤집어서 박스본체를 재조립함으로써 전선을 정리하는 전선 정리함으로 사용하고, 이에 따라 깨끗한 면이 외부에 보이도록 하는 포장용 박스,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박스 본체; 및, 박스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완충부;를 구비한다.
상기 완충부는, 수납부(30)와, 수납부의 주위에 수납부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부(30)는, 수납부의 중심(31)의 둘레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제1 절개선(32); 상기 중심(31)의 둘레에 형성되되, 제1 절개선의 바깥쪽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제2 절개선(33); 및, 상기 중심(31)의 둘레에 형성되되, 제2 절개선의 바깥쪽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제3 절개선(34);을 구비한다. 제1 절개선과 제2 절개선 사이의 부분은 통신용 디바이스 또는 리모콘과 같은 피수납체를 수용하여 상기 피수납체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바닥면(11)과 측면(13)(14)(15)(16) 및 덮개(18)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을 갖는 박스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18)는 상기 수납공간을 밀폐하거나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13)(14)(15)(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절취에 의해 제거되어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절취 제거부(17)(17a)가 형성되고, 상기 구멍을 통해서 전선이 상기 수납공간에 인입되거나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덮개(18)의 양면 중에서 덮개(18)가 상기 수납공간을 밀폐하는 경우에 상기 수납공간을 향하는 면에는 적어도 두 개의 내부 고정부(1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고정부(19)는, 수납공간을 향한 상기 면에 부착된 부착부(19a); 및, 부착부(19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덮개에 부착되지 않는 연장부(1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9b)와 덮개(18) 사이의 공간에 책자 또는 서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박스본체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완충부는 박스본체의 측면(16)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를 박스본체와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완충부와 박스본체의 연결지점에는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박스본체의 측면(13)(14)(15)의 높이(H1)와 동일한 높이(H2) 또는 상기 측면(13)(14)(15)의 높이(H1) 보다 낮은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40)의 끝단이 박스본체의 바닥면(11)에 접촉하도록 조립된 상태에서 수납부의 중심(31)이 상기 바닥면(11)에 닿지 않도록 지지부(40)의 높이(H2)가 정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수납부(30)는 상기 중심(31)의 둘레에 형성되되 제3 절개선의 바깥쪽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제4 절개선(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수납부(30)는 상기 중심(31)의 둘레에 형성되되, 제4 절개선의 바깥쪽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제5 절개선(36);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2 절개선(33)은 리모콘(2)의 테두리와 형합하는 형상으로 절개될 수도 있다.
나아가, 박스 본체의 측면(13)(15)의 끝단에는 돌출부(13a)가 형성되고, 박스 본체의 바닥면에는 돌출부(13a)와 대응되는 곳에 슬롯(11a)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부(13a)가 슬롯(11a)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측면(13)(15)이 바닥면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포장용 박스의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용방법은, (a) 포장용 박스의 조립을 분해하는 단계; (b) 상기 포장용 박스의 박스본체의 안쪽면이 바깥면이 되고 바깥면이 안쪽면이 되도록 박스본체를 뒤집은 후, 박스를 재조립하는 단계; (c) 박스본체의 절취 제거부를 제거하여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구멍을 통해 전선을 인입 및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장용 박스의 이용방법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완충부를 박스본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포장용 박스의 이용방법에 따르면, (a) 단계 이전에, 완충부에 피수납체를 수납하여 운반,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통신용 디바이스, 리모콘 등의 포장 박스로 사용한 후, 박스본체의 조립을 해체하고 완충부를 제거한 다음, 박스본체를 뒤집어서 박스본체를 재조립함으로써 전선을 정리하는 전선 정리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둘째, 스치로폼과 같은 별도의 완충재가 필요하지 않다.
셋째, 박스본체를 뒤집어서 재조립한 후, 전선 정리함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회사상호나 상품명 등을 감출 수 있고 더러운 면이 박스 내부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러한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포장용 박스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포장용 박스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의 포장용 박스에 통신 디바이스 및 책자가 수납되는 것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V-V' 단면도로서, 도 1의 포장용 박스에 책자가 수납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도 1의 포장용 박스가 전선 정리함으로 사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포장용 박스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도 7의 포장용 박스에 통신 디바이스가 수납되는 것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포장용 박스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는 도 10의 포장용 박스에 통신 디바이스가 수납되는 것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의 도면은 포장용 박스를 개시하고 있는데, 각 도면에서 점선은 절취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절취선이고, 일점 쐐선은 접힘선을 나타낸다. 상기 절취선은 박스에 일정 깊이의 홈을 연속적 또는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만들어지거나 박스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소정 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 실시예의 평면도에서 상기 접힘선의 접히는 방향 중의 일부를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아울러, 상기 평면도는 각 포장용 박스의 안쪽면을 나타내는데, 상기 안쪽면은 셋톱박스, 리모콘 등을 수납하기 위해 박스가 조립된 경우에 박스의 내부쪽을 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포장용 박스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3은 상기 포장용 박스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포장용 박스(100)는 박스본체와, 박스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완충부를 구비한다.
박스 본체는 바닥면(11)과 측면(13)(14)(15)(16) 및 덮개(18)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을 갖는다.
바닥면(11)에는 돌출부(13a)와 대응되는 곳에 슬롯(11a)이 형성된다. 돌출부(13a)는 슬롯(11a)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측면(13)(15)이 수직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측면(13)(14)(15)(16)은 바닥면(1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측면(13)(14)(15)(16)에는 전선이 수납공간에 인입되거나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절취 제거부(17)(17a)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네 개의 측면(13)(14)(15)(16)에 모두 절취 제거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절취 제거부는 측면(13)(14)(15)(16) 중의 일부 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측면(13)(15)의 끝단에는 돌출부(13a)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3a)는 슬롯(11a)에 삽입된다. 한편, 측면(13)(15)의 상단부(13b)는 박스의 구조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도 있다.
측면(14)에는 작은 절취 제거부(17)의 주위에 큰 절취 제거부(17a)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전선만이 통과하는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작은 절취 제거부(17)만을 제거하여 작은 구멍을 형성하고, 플러그 또는 아답터(도면에 미도시) 등이 통과하는 경우에는 큰 절취 제거부(17a)를 제거하여 큰 구멍을 형성한다.
덮개(18)는 측면(14)의 끝단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덮개(18)는 삽입부(18a)와, 내부 고정부(19)를 구비한다.
삽입부(18a)는 박스가 조립된 경우, 측면(13)과 측면(16) 사이의 틈 및, 측면(15)과 측면(16) 사이의 틈에 삽입됨으로써 덮개(18)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내부 고정부(19)는 덮개(18)의 안쪽면에 부착되는 부착부(19a)와, 부착부(19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19b)를 포함한다. 상기 안쪽면은 덮개(18)가 수납공간을 밀폐하도록 접힌 경우에 수납공간을 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부착부(19a)는 덮개(18)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양측의 부착부(19a)가 상기 안쪽면에 부착되면 양측의 부착부(19a)가 협력하여 삽입공간(19c)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공간(19c)은 책자 또는 서류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연장부(19b)는 부착부(19a)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덮개(18)에 부착되지 않는다. 연장부(19b)는 하나의 부착부(19a)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양측 부착부(19a)에 각각 형성된 연장부(19b)는 서로 협력하여 삽입공간(19c)에 삽입된 책자 또는 서류(1)를 고정한다. 도 5는 연장부(19b)가 삽입공간(19c)에 삽입된 책자 또는 서류(1)를 고정하는 것을 보여준다.
완충부는 측면(16)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완충부는 박스본체와 동일한 재질 예를 들어, 종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완충부는 박스본체와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박스본체와 완충부의 연결지점에 절취선이 형성된다. 상기 절취선은 상기 연결지점에 연속적 또는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홈, 또는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관통공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절취선은 박스본체와 완충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완충부는 수납부(30)와, 수납부(30)의 주위에 수납부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40)를 포함한다.
수납부(30)는 통신용 디바이스와 같은 피수납체, 예를 들어, 통신용 셋톱박스, 리모콘 등과 같은 피수납체가 수납되는 부분이다. 수납부(30)는 그 중심(31)의 둘레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절개선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부(30)는, 중심(31)의 둘레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제1 절개선(32), 상기 중심(31)의 둘레에 형성되되, 제1 절개선(32)의 바깥쪽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제2 절개선(33); 및, 상기 중심(31)의 둘레에 형성되되, 제2 절개선(33)의 바깥쪽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제3 절개선(34), 상기 중심(31)의 둘레에 형성되되, 제3 절개선(34)의 바깥쪽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제4 절개선(35) 및, 상기 중심(31)의 둘레에 형성되되, 제4 절개선(35)의 바깥쪽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제5 절개선(3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개선(32)(33)(34)(35)(36)들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또한, 수납부(30)에는 다수 개의 접힘선이 형성되고, 상기 접힘선이 접혀지기 때문에 수납부(30)에는 다수 개의 층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절개선(32)과 제2 절개선(33) 사이의 부분에는, 예를 들어 리모콘(2)이 수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제2 절개선(33)은 리모콘(2)의 테두리와 형합하는 형상으로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절개선(34)과 제4 절개선(35) 사이의 부분에는, 예를 들어 통신용 셋톱박스(도 3 내지 도 6에 미도시, 도 9의 3)가 수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제4 절개선(35)은 통신용 셋톱박스(3)의 테두리와 형합하는 형상으로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납부(30)의 중심(31), 또는 두 개의 제1 절개선(32)의 사이에는 양면 테이프(도면에 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양면 테이프는 수납부(30)와 바닥면(11)을 접착함으로써 완충부가 불필요하게 흔들리거나 수납공간으로부터 불필요하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부(40)는 수납부(3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박스(100)가 조립된 경우, 지지부(40)는 수납부(30)를 바닥면(11)에 대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지지부(40)는 측면(13)(14)(15)의 높이(H1)와 동일한 높이(H2) 또는 상기 측면(13)(14)(15)의 높이(H1) 보다 낮은 높이(H2)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납부(30)에 수납된 전자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기 위해서, 지지부(40)의 끝단이 바닥면(11)에 접촉하도록 조립된 상태에서 수납부의 중심(31)이 상기 바닥면(11)에 닿지 않도록 지지부(40)의 높이(H2)가 정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완충부는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디바이스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주는 구성으로서, 박스본체와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스치로폼과 같은 완충재가 필요하지 않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에 포장되었던 제품을 설치 완료한 후에는 박스(100)를 분해하고 완충부를 박스본체로부터 제거한 다음, 박스(100)를 뒤집어서 재조립하여 전선 정리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박스의 안쪽면(박스가 조립된 경우에 안쪽에 위치하는 면)을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박스의 바깥면(박스가 조립된 경우에 바깥쪽에 위치하는 면)은 안쪽면과 동일하기 때문에 박스를 뒤집어서 조립하더라도 동일한 구조의 박스를 만들 수 있다. 이 때, 전선 정리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완충부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완충부를 제거한 후 재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박스(100)를 뒤집은 후 재조립하면, 박스의 안쪽면이 바깥면이 되고 박스의 바깥면이 안쪽면이 된다. 박스(100)를 뒤집는 것은 박스(100)의 운반, 보관시에 바깥면에 묻은 이물질, 흠집 등 또는 박스에 인쇄된 상호, 상품명 등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박스(100)를 뒤집은 후에 재조립하면 박스의 안쪽면이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바, 이를 위해 박스의 안쪽면에 장식을 위한 그림, 도안 등을 인쇄할 수도 있다.
도 6은 박스(100)를 재조립하여 전선 정리함으로 만든 것을 보여준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완충부는 박스본체로부터 제거되었고, 전선(4)은 구멍을 통해 인입, 인출되며, 여분의 전선(4)은 박스(100)의 수납공간에 깔끔하게 정리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포장용 박스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9는 상기 포장용 박스에 통신 디바이스가 수납되는 것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 도 1 내지 도 6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포장용 박스(200)는 박스본체와, 박스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완충부를 구비한다.
박스 본체는 전선 인입,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절취 제거부(17)(17a)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의 박스본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완충부는 네 개의 절개선을 갖는다는 점과, 각 절개선의 구체적인 형상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의 완충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비록, 제1,2,3,4 절개선(32)(33)(34)(35)의 구체적인 형상은 제1 실시예의 제1,2,3,4 절개선(32)(33)(34)(35)과 다르지만, 중심(31)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제1,2,3,4 절개선(32)(33)(34)(3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과, 각각의 절개선이 적어도 두 개 형성되는 것과, 수납부(30)에 접힘선이 형성되어 수납부(30)가 접힘선을 기준으로 접혀짐으로써 수납부(30)에 다층 구조가 형성되는 것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박스 본체에는 전선 인입,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절취 제거부(도 2의 17)(도 2의 17a)가 형성될 수도 있다. 박스에 포장되었던 제품을 설치 완료한 후에는 박스(200)를 분해하고 상기 절취 제거부를 제거한 다음, 박스(200)를 뒤집어서 재조립하여 전선 정리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박스(200)의 안쪽면과 바깥면은 동일하기 때문에 박스를 뒤집어서 조립하더라도 동일한 구조의 박스를 만들 수 있다. 이 때, 전선 정리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완충부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완충부를 제거한 후 재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포장용 박스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12는 상기 포장용 박스에 통신 디바이스가 수납되는 것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포장용 박스(300)는 박스본체와, 박스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완충부를 구비한다.
박스 본체는 전선 인입,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절취 제거부(17)(17a)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의 박스본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완충부는 세 개의 절개선을 갖는다는 점과, 절개선의 구체적인 형상이 제1 실시예의 것과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의 완충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2,3 절개선(32)(33)(34)의 구체적인 형상은 제1 실시예의 제1,2,3 절개선(32)(33)(34)과 다르지만, 중심(31)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제1,2,3 절개선(32)(33)(3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과, 각각의 절개선이 적어도 두 개 형성되는 것과, 수납부(30)에 접힘선이 형성되고 접힘선을 기준으로 수납부(30)가 접혀짐으로써 수납부(30)에 다층구조가 형성되는 것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박스 본체에는 전선 인입,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절취 제거부(도 2의 17)(도 2의 17a)가 형성될 수도 있다. 박스에 포장되었던 제품을 설치 완료한 후에는 박스(300)를 분해하고 상기 절취 제거부를 제거한 다음, 박스(300)를 뒤집어서 재조립하여 전선 정리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박스(300)의 안쪽면과 바깥면은 동일하기 때문에 박스를 뒤집어서 조립하더라도 동일한 구조의 박스를 만들 수 있다. 이 때, 전선 정리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완충부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완충부를 제거한 후 재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 바닥면                 13, 14, 15, 16 : 측면
18 : 덮개                  19 : 내부 고정부
30 : 수납부 40 : 지지부
100, 200, 300 : 포장용 박스

Claims (10)

  1.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박스 본체; 및
    박스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완충부;를 구비하고,
    완충부는,
    수납부(30)와, 수납부의 주위에 수납부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40)를 포함하고,
    수납부(30)는,
    수납부의 중심(31)의 둘레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제1 절개선(32);
    상기 중심(31)의 둘레에 형성되되, 제1 절개선의 바깥쪽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제2 절개선(33); 및,
    상기 중심(31)의 둘레에 형성되되, 제2 절개선의 바깥쪽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제3 절개선(34);을 구비하며,
    제1 절개선과 제2 절개선 사이의 부분은 피수납체를 수용하여 피수납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은 바닥면(11)과, 측면(13)(14)(15)(16), 및 덮개(18)에 의해 형성되고,
    덮개(18)의 양면 중에서 덮개(18)가 상기 수납공간을 밀폐하는 경우에 상기 수납공간을 향하는 면에는 적어도 두 개의 내부 고정부(19)가 설치되고,
    내부 고정부(19)는,
    수납공간을 향한 상기 면에 부착된 부착부(19a); 및,
    부착부(19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덮개에 부착되지 않는 연장부(19b);를 포함하고, 연장부(19b)와 덮개(18) 사이의 공간에 책자 또는 서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완충부는 박스본체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완충부는 박스본체의 측면(16)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완충부를 박스본체와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완충부와 박스본체의 연결지점에는 절취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납부(30)는,
    상기 중심(31)의 둘레에 형성되되, 제3 절개선의 바깥쪽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제4 절개선(3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수납부(30)는,
    상기 중심(31)의 둘레에 형성되되, 제4 절개선의 바깥쪽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제5 절개선(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제2 절개선(33)은 리모콘(2)의 테두리와 형합하는 형상으로 절개되어 제1 절개선과 제2 절개선 사이의 부분에는 리모콘이 수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박스본체의 측면(13)(14)(15)의 높이(H1)와 동일한 높이(H2) 또는 상기 측면(13)(14)(15)의 높이(H1) 보다 낮은 높이(H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부(40)의 끝단이 박스본체의 바닥면(11)에 접촉하도록 조립된 상태에서 수납부의 중심(31)이 상기 바닥면(11)에 닿지 않도록 지지부(40)의 높이(H2)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10. 제1항에 있어서,
    박스 본체의 측면(13)(15)의 끝단에는 돌출부(13a)가 형성되고, 박스 본체의 바닥면에는 돌출부(13a)와 대응되는 곳에 슬롯(11a)이 형성되며, 측면(13)(15)이 접혀진 후 돌출부(13a)가 슬롯(11a)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측면(13)(15)이 바닥면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KR1020120138061A 2012-11-30 2012-11-30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KR101335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061A KR101335587B1 (ko) 2012-11-30 2012-11-30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061A KR101335587B1 (ko) 2012-11-30 2012-11-30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020A Division KR101248412B1 (ko) 2012-05-23 2012-05-23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및, 그 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587B1 true KR101335587B1 (ko) 2013-12-02

Family

ID=49986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061A KR101335587B1 (ko) 2012-11-30 2012-11-30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5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2666A (zh) * 2017-08-29 2017-12-15 许昌市建安区第二高级中学 一种电动车充电器放置盒
KR101874247B1 (ko) * 2017-05-22 2018-07-03 문주연 상품 포장용 상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576U (ko) * 1989-10-20 1991-06-17
JPH08244760A (ja) * 1995-01-13 1996-09-24 Taiyo Ind Kk 水栓の包装構造
KR200395282Y1 (ko) 2005-05-09 2005-09-12 대성포장공업(주) 과일상자
JP2007055626A (ja) 2005-08-23 2007-03-08 Tonichi Kyosan Cable Ltd ケーブル梱包箱及びケーブル引出し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576U (ko) * 1989-10-20 1991-06-17
JPH08244760A (ja) * 1995-01-13 1996-09-24 Taiyo Ind Kk 水栓の包装構造
KR200395282Y1 (ko) 2005-05-09 2005-09-12 대성포장공업(주) 과일상자
JP2007055626A (ja) 2005-08-23 2007-03-08 Tonichi Kyosan Cable Ltd ケーブル梱包箱及びケーブル引出し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247B1 (ko) * 2017-05-22 2018-07-03 문주연 상품 포장용 상자
CN107472666A (zh) * 2017-08-29 2017-12-15 许昌市建安区第二高级中学 一种电动车充电器放置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0704B1 (en) Package for small groups of tobacco articles
CN102556464A (zh) 包装盒
KR950017665A (ko) 포장케이스
KR101335587B1 (ko)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KR101248412B1 (ko)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및, 그 이용방법
KR102362351B1 (ko) 포장용 박스
KR20050007456A (ko) 궐련 용기
KR20080006651U (ko)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KR20130131207A (ko)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의 이용방법
KR20130131200A (ko)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및, 그 이용방법
JP6333449B1 (ja) 内設ボード及び包装箱
WO2009093775A1 (en) Shock-absorbing member for packing and paper sheet for forming the shock-absorbing member, packing unit and packing method for packing electronic products used the shock-absorbing member, and electronic product packed by the packing method
US20140124515A1 (en) Storage box
CN217805819U (zh) 一种包装体
KR100737291B1 (ko) 포장용 박스
CN112239000B (zh) 包装盒
JP6754640B2 (ja) ブレーカ梱包箱
JP2008120424A (ja) 包装体
KR102137070B1 (ko) 조립식 상자를 이용한 재활용 상자
JP2007308167A (ja) 梱包材構造
JP2023095752A (ja) 電池モジュールの梱包箱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セット
EP3197795B1 (en) Packet of smoking articles with laterally hinged lid
KR101547536B1 (ko) 포장박스
US7658316B2 (en) Packing containe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3134456U (ja) 収容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