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965Y1 -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 - Google Patents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965Y1
KR200460965Y1 KR2020100003637U KR20100003637U KR200460965Y1 KR 200460965 Y1 KR200460965 Y1 KR 200460965Y1 KR 2020100003637 U KR2020100003637 U KR 2020100003637U KR 20100003637 U KR20100003637 U KR 20100003637U KR 200460965 Y1 KR200460965 Y1 KR 2004609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ner box
packaging
wal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742U (ko
Inventor
도재호
Original Assignee
도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재호 filed Critical 도재호
Priority to KR2020100003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96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7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7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9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9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65D5/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with or without extensions which form openable lid elements
    • B65D5/3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with or without extensions which form openable lid elements at least two container body parts, each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판(110) 사방 가장자리에 벽판(120)이 형성되되, 상기 벽판(120)이 접혀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납부(100);
상기 수납부(100) 상부를 덮어주되, 입구(220)가 형성된 커버판(210)이 구비되어 핸드폰을 상기 입구(220)를 관통시켜 수납부(100)에 수납시켜 줄 수 있게 구성되는 커버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벽판(120) 중 상?하에 형성되는 것을 펼친 상태에서, 좌?우에 형성된 것은 일방으로 눕혀 수납부(100)를 납작하게 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여,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를 운반하거나 사용하지 않아 보관할 때에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속 상자를 형성하여 줄 수 있게 되어 편리한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INNER BOX FOR PACKAGING A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납작하게 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묶음 제공시 또는 보관을 할 때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은 제조회사에서 제조되어 출하 및 운송될 때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형태로 제작된 상자에 포장된다.
상기와 같은 핸드폰 포장용 상자에는 핸드폰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야 하는바, 일반적으로 수납공간 마련된 속 상자를 별도로 마련하여 육면체 형상의 상자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속 상자는 통상 얇은 합성수지를 사출 또는 압축 성형하여서 형성하거나 종이판지를 일정한 형태로 접거나 이어붙여서 형성하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속 상자는 핸드폰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견고하게 형성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공간은 핸드폰이 안전하게 수납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크기를 갖게 형성되기 때문에 속 상자의 부피는 커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 속 상자를 핸드폰 제작 업체에 제공하기 위하여 운반을 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에는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는바, 이를 해소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반을 하거나 보관을 할 때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를 운반하거나 사용하지 않아 보관할 때에는 납작하게 하고, 핸드폰을 포장할 때에는 간편하게 형태를 변형시켜 핸드폰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를 운반하거나 사용하지 않아 보관할 때에는 수납부를 납작하게 하여 줄 수 있게 됨에 따라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조립식으로 편리하게 속 상자를 형성하여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를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전개도,
도 2 내지 8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과정도,
도 9 내지 11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에서 수납부를 납작하게 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과정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의 기본 구성을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를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전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는 1~5mm 정도의 종이 또는 플라스틱판 한 장을 이용하여 그 형태를 재단한 다음 각 판이 연결된 부분에 접는 선을 형성함으로써 편리하게 접어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핸드폰이 수납되는 수납부(100)와 상기 수납부(100)를 지지하여 주는 커버부(200)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수납부(100)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바닥판(110) 사방 가장자리에 벽판(120)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벽판(120)을 일 방향으로 접어주게 되면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벽판(120) 중 상?하(도면상 상?하 방향, 이하 동일)에 형성되는 벽판(120a)(120b)에는 접힘이 가능한 설치판(130)이 형성되고, 상기 벽판(120) 중 좌?우(도면상 좌?우 방향, 이하 동일)에 형성된 벽판(120c)(120d)에는 지지판(1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벽판(120) 들을 접에 세운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140)을 접어 후술하는 커버판(210)에 부착하고 더불어 상기 설치판(130)을 접어 커버판(210)에 접하게 하면 수납부(100)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판(130)에는 고정돌기(13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40)에는 지지홈(142)이 형성된다. 따라서, 설치판(130)과 지지판(140)이 커버판(210)에 접하게 될 경우 상기 고정돌기(132)가 지지홈(142)에 끼워져 수납부(100)가 육면체 형상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132)와 지지홈(142)은 서로 맞닿는 면 중 바깥쪽 면을 수직 하게 형성함으로써 결합 상태가 쉽게 해체되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200)는 판 형태의 커버판(210)에 핸드폰이 관통할 수 있도록 입구(2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설치판(130)과 지지판(140)이 상기 입구(220) 가장자리에 접하게 된다.
상기 커버판(210) 상?하측 가장자리에는 수납부(100) 쪽으로 접어주는 다리판(230)이 더 형성된다. 상기 다리판(230)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를 별도의 케이스(300, 도 8 참조) 내부에 끼워줄 경우 세워서 끼워줄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수납부(100)에 형성된 지지판(140) 중 한쪽의 것은 상기 커버부(200)의 커버판(210)에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하여 줄 수 있다. 따라서 한 장의 종이를 재단하여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 일 뿐, 수납부(100)와 커버부(200)를 별도로 형성한 다음 상기 지지판(140)을 접어 커버판(210)에 부착함으로써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를 형성하는 과정을 수납부(100)와 커버부(200)가 한 장이 종이에 일체로 형성되게 재단된 것을 예로 하여 살펴본다. 도 2 내지 8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과정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같이 재단된 종이를 펼친 상태에서 커버판(210)과 지지판(140)이 연결된 부분을 접어준다. 지지판(140)이 안쪽(커버판 쪽, 이하 동일)으로 접혀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도 3, 4, 5와 같이 상기 지지판(140)을 완전히 접어 커버판(210)에 접하게 하여 준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140)과 벽판(120d)이 연결된 부분을 바깥쪽(커버판 바깥쪽, 이하 동일)으로 접어 수직 하게 세워준다. 이때, 상기 지지판(140)과 커버판(210)은 서로 접착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바닥판(110)을 안쪽으로 접어 수평하게 해준 뒤, 바닥판(110) 끝에 형성되어 있는 벽판(120c)을 아래쪽으로 접어 수직하게 세워줌과 아울러 상기 벽판(120c) 말단에 형성된 지지판(140)을 바깥쪽으로 접어 수평하게 한 상태에서 커버판(21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여 주게 된다.
그런 다음, 바닥판(110)의 상?하에 형성되어 있는 벽판(120a)(120b)을 아래쪽으로 접어 수직하게 세워줌과 동시에 그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판(130)을 바깥쪽으로 접어 수평하게 하여준다. 이때, 설치판(13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132)가 지지판(140)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홈(142)에 끼워지면서 고정됨으로써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6, 7과 같이 상기 상태에서 커버판(210)에 형성된 다리판(230)을 수납부(100) 쪽으로 접어서 세워준 다음 뒤집어서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가 완성된다. 따라서, 입구(220)를 통해 핸드폰을 수납하여 줄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00) 내부에 끼워 줌으로써 핸드폰을 포장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해 수납부(100)가 납작하게 형성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게 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9 내지 11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에서 수납부를 납작하게 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과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00)를 납작하게 하기에 앞서 다리판(230)을 펼친 상태에서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를 뒤집어 수납부(100)가 위쪽으로 보이도록 하여 준다.
이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판(130)을 들어올림으로써 설치판(130)과 바닥판(110)의 상?하에 형성되어 있는 벽판(120a)(120b)이 모두 바닥판(100)과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그런 다음 수납부(100)를 측면에서 한쪽 방향으로 밀어 주게 된다.
상기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00)가 한쪽 방향으로 넘어지면서 납작하게 되어 커버판(210)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가 전체적으로 납작한 판 형태를 이루게 되는바, 포장이나 보관을 할 때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수납부, 110 : 바닥판,
120(120a, 120b, 120c, 120d) : 벽판,
130 : 설치판, 132 : 고정돌기,
140 : 지지판, 142 : 지지홈,
200 : 커버부, 210 : 커버판,
220 : 입구, 230 : 다리판,
300 : 케이스.

Claims (4)

  1. 바닥판(110) 사방 가장자리에 벽판(120)이 형성되되, 상기 벽판(120)이 접혀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납부(100);
    상기 수납부(100) 상부를 덮어주되, 입구(220)가 형성된 커버판(210)이 구비되어 핸드폰을 상기 입구(220)를 관통시켜 수납부(100)에 수납시켜 줄 수 있게 구성되는 커버부(200);를 포함하여,
    상기 벽판(120) 중 상?하에 형성되는 것을 펼친 상태에서, 좌?우에 형성된 것은 일방으로 눕혀 수납부(100)를 납작하게 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하고,
    상기 벽판(120) 중 상?하에 형성되는 벽판(120a)(120b)에는 접혀서 상기 커버판(210)에 접하는 설치판(130)이 형성되는 한편, 좌?우에 형성된 벽판(120c)(120d)에는 접혀서 상기 커버판(210)에 부착되는 지지판(140)이 형성되되,
    상기 설치판(130)에는 고정돌기(13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40)에는 지지홈(14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132)가 지지홈(142)에 끼워져 수납부(100)가 육면체 형상을 유지하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210) 상?하측 가장자리에는 다리판(230)이 더 형성되어 상기 다리판(230)을 수납부(100) 쪽으로 접어 케이스(300) 내부에 세워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40) 중 한쪽의 것은 커버판(210)에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
KR2020100003637U 2010-04-07 2010-04-07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 KR2004609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637U KR200460965Y1 (ko) 2010-04-07 2010-04-07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637U KR200460965Y1 (ko) 2010-04-07 2010-04-07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42U KR20110009742U (ko) 2011-10-13
KR200460965Y1 true KR200460965Y1 (ko) 2012-06-18

Family

ID=4559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637U KR200460965Y1 (ko) 2010-04-07 2010-04-07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96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84Y1 (ko) * 2011-12-23 2013-11-26 도재호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079Y1 (ko) 2006-12-06 2008-03-18 주식회사 신우 휴대폰 포장 상자
KR20080006651U (ko) * 2007-06-26 2008-12-31 박경준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KR20090008701U (ko) * 2008-02-25 2009-08-28 팅크웨어(주) 포장용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079Y1 (ko) 2006-12-06 2008-03-18 주식회사 신우 휴대폰 포장 상자
KR20080006651U (ko) * 2007-06-26 2008-12-31 박경준 휴대폰용 포장박스 어셈블리
KR20090008701U (ko) * 2008-02-25 2009-08-28 팅크웨어(주) 포장용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42U (ko)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1254B2 (en) Thermally insulated package
US7673747B2 (en) Molded pulp container
CN201367183Y (zh) 一种电子产品包装盒
US9145227B2 (en) Support and packaging box for electronic device
KR200439079Y1 (ko) 휴대폰 포장 상자
KR102023451B1 (ko) 접이식 포장 상자
KR101308983B1 (ko) 접이식 포장박스
KR200460965Y1 (ko)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
KR101179611B1 (ko) 절첩형 발포수지 포장상자
KR101867463B1 (ko)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
KR20180090921A (ko) 계란 포장용 상자
KR101425523B1 (ko) 메가폰 기능을 갖는 휴대폰 포장상자
KR200470084Y1 (ko)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
KR102035460B1 (ko) 포장용 종이 박스
KR100687922B1 (ko) 포장상자
CN105711923B (zh) 包装盒
KR200476323Y1 (ko) 피자 박스
KR20170101380A (ko) 접이식 포장박스
TW201315655A (zh) 可摺疊分層之一體式盒體
KR101439743B1 (ko) 아이스 버킷으로 이용 가능한 주류 용기 포장용 케이스
KR20110130879A (ko) 적층형 포장 상자
JP4675979B2 (ja) 梱包装置
JP3112529U (ja) パルプモールド製の収容容器
KR200420680Y1 (ko) 휴대폰 포장용 상자
KR200403210Y1 (ko) 상품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