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524A - 곤포재 및 곤포체 - Google Patents

곤포재 및 곤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524A
KR20140002524A KR1020130074423A KR20130074423A KR20140002524A KR 20140002524 A KR20140002524 A KR 20140002524A KR 1020130074423 A KR1020130074423 A KR 1020130074423A KR 20130074423 A KR20130074423 A KR 20130074423A KR 20140002524 A KR20140002524 A KR 20140002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rner
fatigue
fitted
pro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011B1 (ko
Inventor
야스히로 오노
사토미 하라다
요시카즈 도쿠타케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폭이 상이한 복수종의 패널 형상의 피곤포물로부터 1종을 선택하여 곤포하는 경우여도, 부품 수를 늘리지 않고 곤포할 수 있는 곤포재를 제공한다.
적어도 폭이 상이한 복수종의 패널 형상의 피곤포물(P1∼P4)로부터 1종을 선택하여 곤포하기 위한 곤포재이다. 곤포재(1)는 용기 본체(20)와, 덮개체(10)와, 선택된 피곤포물의 양측 측변부(Ps)를 보호하는 측변 보호 부재(30)를 구비한다. 측변 보호 부재(30)에는 복수종의 피곤포물에 따른 길이를 갖는 복수의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32a∼32d)가 형성되고, 용기 본체(20)에는 측변 보호 부재(30)에 감합되는 감합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곤포재 및 곤포체{PACKAGING MATERIAL AND PACKAGE}
본 발명은 적어도 폭이 상이한 복수종의 패널 형상의 피곤포물로부터 1종을 선택하여 바람직하게 곤포할 수 있는 곤포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재로서, 용기 본체와 덮개체가 사용되고 있다. 용기 본체의 상부에는 개구부를 통해 피곤포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체는 이 수납 오목부로부터 노출된 피곤포물을 덮도록 되어 있다.
피곤포물로서, 예를 들면 유리 기판 등의 패널 형상의 피곤포물을 곤포할 때는, 합지를 개재하여 동일한 크기의 패널을 여러겹 적층시켜 용기 본체의 수납 오목부에 수납된다. 이 때, 폭이 상이한 복수종의 피곤포물 중 어느 1종을 선택하여 복수장 수납 오목부에 수납할 때는, 그 종류에 따라 수납 오목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예를 들면 곤포시에 있어서의 패널의 측변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수납되는 패널의 크기에 따른 형상을 갖는 스페이서(보호 부재)를 사용하여, 당해 보호 부재를 수납 오목부의 내측 벽면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감합시킨 곤포재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참조).
이와 같이, 설령 상이한 종류의 패널(피곤포물) 중 어느 1종의 패널을 선택하여 복수장 적층시켜 곤포하는 경우여도, 이 선택한 종류의 패널의 크기에 따라 보호 부재를 선택하여 용기 본체의 수납 오목부 내에 감합시키면 되기 때문에, 공통된 용기 본체 및 덮개체를 겸용하여 이것들을 곤포할 수 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3120707호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31510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80062호
그러나 특허문헌 1∼3에 나타내는 곤포재는, 선택된 피곤포물에 따른 보호 부재를 선택하여 공통된 수납 본체 및 덮개체로 피곤포물을 곤포할 수 있지만, 폭이 상이한 복수종의 피곤포물에 따른 보호 부재를 복수종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어서 곤포재로서의 부품 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곤포시에 선택되지 않은 보호 부재를 보관 및 관리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적어도 폭이 상이한 복수종의 패널 형상의 피곤포물로부터 1종을 선택하여 곤포하는 경우여도, 부품 수를 늘리지 않고 곤포할 수 있는 곤포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곤포재는 적어도 폭이 상이한 복수종의 패널 형상의 피곤포물로부터 1종을 선택하여 곤포하기 위한 곤포재로서, 상기 곤포재는 상기 피곤포물을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수납 오목부에 형성된 개구 단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를 덮는 덮개체와, 상기 용기 본체 또는 상기 덮개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감합됨과 함께 상기 선택된 피곤포물의 양측 측변부를 보호하는 측변 보호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각 측변 보호 부재에는, 축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재(延在)됨과 함께 상기 복수종의 피곤포물에 따른 길이를 갖는 복수의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 또는 덮개체에는, 선택된 피곤포물에 따른 상기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의 선단면이 상기 수납 오목부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측변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측변 보호 부재에 감합되는 감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곤포재를 사용할 때는, 우선 곤포해야 할 피곤포물로서 적어도 폭이 상이한 복수종으로부터 어느 1종을 선택한다. 이어서 선택된 피곤포물에 맞추어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를 선택하고, 선택한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의 선단면이 수납 오목부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용기 본체 또는 덮개체에 형성된 감합 오목부에 측변 보호 부재를 감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폭이 상이한 피곤포물에 맞추어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를 선택함으로써, 어느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경우여도 그 양측 측변부에 대향하도록 1개의 측변 보호 부재를 사용하여 그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의 선단면을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곤포체에 충격 또는 진동이 작용한 경우여도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의 선단면으로 피곤포물의 측변부를 눌러, 피곤포물을 보호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로는, 상기 각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에는 선택되는 피곤포물에 따른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를 갖는다. 이 양태에 의하면, 피곤포물을 선택하는데 맞춰서 측변 보호 부재의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의 인식부를 확인하면서, 적절한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가 내측 벽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측변 보호 부재를 감합 오목부에 감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 부재의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는, 축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재되어 복수종의 피곤포물에 따른 길이를 갖고 있으면, 그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한 양태로는, 상기 측변 보호 부재에는 상기 측변 보호 부재가 십자 형상이 되도록, 4개의 각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가 축부로부터 연재되어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4개의 각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에 의해 측변 보호 부재가 십자 형상이 되므로, 측변 보호 부재를 감합 오목부의 적절한 위치에 용이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양태로는, 상기 측변 보호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에 감합되는 것이며, 상기 측변 보호 부재는 당해 용기 본체에 감합된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개구 단부 근방까지 피곤포물을 적층시켜 수납 오목부에 수납한 경우여도, 측변 보호 부재에 의해, 최상단에 적층된 피곤포물이 용기 본체의 개구 단부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종의 피곤포물에 직사각형상 패널의 측변부에 플렉시블 회로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이 접속된 피곤포물을 포함하는 경우, 진동 또는 충격이 작용했을 때에 플렉시블 회로는 가요성을 갖기 때문에 이것이 굴곡되어, 플렉시블 회로가 형성된 측의 측변부를 보호하는 것이 곤란하다.
여기서, 이러한 피곤포물을 곤포하기 위한 보다 바람직한 양태로는, 상기 수납 오목부의 바닥면 측연부에는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기판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 오목부의 상기 기판 수용 오목부가 형성된 측의 구석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 또는 상기 덮개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감합됨과 함께 상기 피곤포물의 패널 모서리부를 보호하는 모서리부 보호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을 곤포할 때에는 기판 수용 오목부에 피곤포물의 회로 기판이 빠져나가도록, 피곤포물을 수납 오목부 내에 적층한다. 이 때에, 상기 수납 오목부의 상기 기판 수용 오목부가 형성된 측의 구석부에는 피곤포물의 패널 모서리부를 보호하는 모서리부 보호 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회로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이 접속된 측변부측에 있어서 피곤포물을 곤포할 수 있다.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의 패널 모서리부를 보호할 수 있으면 모서리부 보호 부재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블록 형상의 쿠션재의 일부를 모서리부의 형상에 따라 함몰시킨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양태로는, 상기 모서리부 보호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 또는 덮개체에 감합되는 감합부와, 당해 감합부가 감합된 상태로 상기 수납 오목부의 구석부로부터 각 내측벽을 따라 연재되도록 상기 감합부에 연결된 한 쌍의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가 형성된 보호 부재 본체와, 상기 패널을 보호하도록 상기 각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의 표면에 배치된 충격 완충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용기 본체 또는 덮개체에 감합된 감합부로부터 연재되는 한 쌍의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의 표면에는 충격 완충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의 모서리부로부터 각 측변부를 따른 부분을 충격 완충재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감합부가 감합된 상태로 모서리부 보호 부재에 충격이 작용했을 때에는,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에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의 모서리부가 접촉하여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가 휜다. 그 결과,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에 의해 제2 피곤포물의 모서리부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로는, 상기 모서리부 보호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에 감합되는 것이며, 상기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는 당해 용기 본체에 감합된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측변 보호 부재와 동일하게, 용기 본체의 개구 단부 근방까지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을 적층시켜 수납 오목부에 수납한 경우여도,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에 의해 상단에 적층된 피곤포물의 모서리부가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를 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피곤포물이 곤포재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에는 상기 수납 오목부에 수납된 피곤포물의 측변부 중 상기 측변 보호 부재가 보호하는 측변부와는 상이한 측변부를 따라, 당해 측변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수납 오목부의 내측 벽면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감합되는 측변 완충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상기 측변 보호 부재가 보호하는 측변부와는 상이한 측변부를 측변 완충 부재로 보호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로는, 상기 용기 본체에는 상기 모서리부 보호 부재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회로 기판이 없는 피곤포물을 수납할 때에는 모서리부 보호 부재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모서리부 보호 부재를 용기 본체에 형성된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을 수납할 때에는 모서리부 보호 부재를 수납부로부터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폭이 상이한 복수종의 패널 형상의 피곤포물로부터 1종을 선택하여 곤포하는 경우여도, 부품 수를 늘리지 않고 곤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로서, 제1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의 측변 보호 부재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측부 보호 부재를 용기 본체에 감합시킨 상태의 부분적 상면도이고, (b)는 (a)의 A-A 단면도이다.
도 4의 (a)∼(c)는 폭이 상이한 제2∼제4 피곤포물을 곤포한 상태의 부분적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3(b)에 상당하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의 용기 본체로서,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을 수납하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의 모서리부 보호 부재의 모식적 사시도이며, (b)는 그 변형예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a)에 나타낸 모서리부 보호 부재를 용기 본체에 감합시킨 상태의 부분적 상면도이다.
도 9의 (a)는 도 8의 B-B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며, (b)는 도 8의 C-C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고, (c)는 (a)에 상당하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사시도이며, (a)는 덮개체 이면측의 모식적 사시도이고, (b)는 용기 본체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로서,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2는 회로 기판이 없는 피곤포물을 도 11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에 수납하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이하, 도 1∼도 12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곤포재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로서, 제1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며,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의 측변 보호 부재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측부 보호 부재를 용기 본체에 감합시킨 상태의 부분적 상면도이고, (b)는 (a)의 A-A 단면도이며, 도 4의 (a)∼(c)는 폭이 상이한 제2∼제4 피곤포물을 곤포한 상태의 부분적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3(b)에 상당하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곤포재(1)는 유리 패널 등의 복수장의 피곤포물을 중첩시켜 곤포하기 위한 곤포재이다. 구체적으로는, 장변 방향의 폭이 상이한 패널로 이루어지는 제1∼제4 피곤포물(P1∼P4)의 4 종류의 피곤포물 중 어느 1종을 선택하고, 선택한 1종의 피곤포물을 복수장 중첩시켜 곤포하는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제4 피곤포물(패널)의 장변 방향의 폭(W1∼W4)은 이 순서로 넓어지고 있다(W1<W2<W3<W4).
곤포재(1)는 덮개체(10)와 용기 본체(20)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체(10) 및 용기 본체(20)의 재질로는, 열가소성 수지의 발포 성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에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락트산),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단일 수지나 복수의 수지를 복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피곤포물이 유리 패널이나 전자 부품인 경우에는 대전 방지 처리된 원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주) 제조의 EPS(에스렌(등록상표) 비즈 NSELM), 피오세란(등록상표) L시리즈(LP-30ENTR 등), O시리즈(OP-15ENS), S시리즈(SP-40DNT) 등을 들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10)는 단변 방향 및 장변 방향의 치수가 용기 본체(20)의 치수와 일치되어 있고, 덮개체(10)에는 그 단변 방향 및 두께 방향에 따라 복수의 밴드 홈(18, 18, …)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10)의 이면측 외주연(11)은 볼록선이 되도록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후술하는 수납 오목부(21)의 개구 단부(개구부)(22a) 외측에 형성된 외연 홈(22b)에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용기 본체(20)의 수납 오목부(21)에 형성된 개구 단부(22a)를 밀폐하도록 덮개체(10)로 용기 본체(20)를 덮을 수 있다.
용기 본체(20)는 바닥부(23)와, 바닥부(23)의 주위로부터 기립한 측벽부(24)를 갖고, 용기 본체(20)의 중앙에는 바닥부(23) 및 측벽부(24)에 의해 피곤포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23)의 외면(바닥면)과 측벽부(24)의 외측면에는, 곤포시에 덮개체(10)의 밴드 홈(18)과 연속되도록 밴드 홈(28, 28,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곤포재(1)는 용기 본체(20)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감합됨과 함께, 제1∼제4 피곤포물(P1∼P4) 중 선택된 피곤포물의 양측 측변부(Ps)를 보호하는 4개의 측변 보호 부재(30)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각 측변 보호 부재(30)를 구성하는 재료는, 제1∼제4 피곤포물(P1∼P4)을 보호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술한 덮개체(10) 또는 용기 본체(20)를 구성하는 재료 중 어느 재료여도 되고, 예를 들면 후술하는 충격 완충재(42)에 있어서 예시한 재료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측변 보호 부재(30)에는 측변 보호 부재(30)가 십자 형상이 되도록 축부(3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재됨과 함께, 제1∼제4 곤포물(P1∼P4)에 따른 길이(L1∼L4)를 갖는 4개의 제1∼제4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32a∼32d)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제4 피곤포물(패널)(P1∼P4)의 폭(W1∼W4)은 이 순서로 넓어지고 있기 때문에(W1<W2<W3<W4), 제1∼제4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32a∼32d)의 길이(L1∼L4)는, 이 순서로 짧아지고 있다(L1>L2>L3>L4).
또한 도 1 및 도 3(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에는 선택된 피곤포물에 따른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도면에서는, 제1 피곤포물(P1)에 따른 제1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32a))의 선단면(33a)이 수납 오목부(21)의 내측 벽면(21f)으로부터 노출되어 피곤포물(P1)의 측변부를 보호하도록, 측변 보호 부재(30)에 감합되는 감합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감합 오목부(26)는 십자 형상을 한 오목부이며, 중앙 오목부(26a)로부터 연재되는 각 제1∼제4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32a∼32d)에 감합되는 각 아암 감합 오목부(26b)는 가장 길이가 긴 제1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32a)에 맞춘 형상이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제4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32a∼32d) 중 어느 선단면(33a∼33d)을 수납 오목부(21)의 내측 벽면(21f)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측변 보호 부재(30)를 감합 오목부(26)에 감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제4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32a∼32d)의 상면 및 하면에는 선택되는 피곤포물에 따른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를 갖고,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문자가 부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32a)는 제1 피곤포물(P1)의 측변부(Ps)를 보호하는 점에서, 그 상면 및 하면에는 「1」의 문자가 부여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2∼제4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32b∼32d)는 제2∼제4 피곤포물(P2∼4)의 측변부(Ps)를 보호하는 점에서, 그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2」, 「3」, 「4」의 문자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인식부의 일례로 문자로서 숫자가 부여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기호, 색, 형상 등이어도 된다. 이들 인식부는, 측변 보호 부재(30)를 성형할 때에 상면 및 하면에 요철에 의해 측변 보호 부재(30)와 일체적으로 부여해도 되고, 성형 후에 기재 또는 기재한 필름 또는 시트를 상면 및 하면에 첩착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곤포해야 할 피곤포물로서 제1∼제4 피곤포물(P1∼P4) 중 제1 피곤포물(P1)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도 3(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피곤포물(P1)에 따른 제1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32a)의 선단면(33a)이 수납 오목부(21)의 내측 벽면(21f)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측변 보호 부재(30)를 감합 오목부(26)에 감합시킨다.
그리고, 곤포해야 할 피곤포물로서 제1∼제4 피곤포물(P1∼P4) 중 제2 피곤포물(P2)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측변 보호 부재(30)를 도 3(a)의 위치에 대해서 90°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측변 보호 부재(30)를 감합 오목부(26)에 감합시킨다. 이로 인해, 제2 피곤포물(P2)에 따른 제2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32b)의 선단면(33b)을 수납 오목부(21)의 내측 벽면(21f)으로부터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하게,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피곤포물(P3)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90°반시계 방향으로 추가로 회전시켜, 측변 보호 부재(30)를 감합 오목부(26)에 감합시킨다. 이로 인해, 제3 피곤포물(P3)에 따른 제3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32c)의 선단면(33c)을 수납 오목부(21)의 내측 벽면(21f)으로부터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피곤포물(P4)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90°반시계 방향으로 추가로 회전시키고, 측변 보호 부재(30)를 감합 오목부(26)에 감합시켜, 제4 피곤포물(P4)에 따른 제4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32d)의 선단면(33d)을 수납 오목부(21)의 내측 벽면(21f)으로부터 노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장변 방향의 폭이 상이한 제1∼제4 피곤포물(P1∼P4)에 맞추어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32a∼32d)를 선택함으로써, 어느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경우여도 그 단변 방향의 양측 측변부(Ps)에 대향하도록, 측변 보호 부재(30)를 사용하여 그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의 선단면을 배치할 수 있다.
이 때에, 제1∼제4 피곤포물(P1∼P4) 중 어느 피곤포물을 선택하는데에 맞추어 측변 보호 부재(30)의 각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32a∼32d)에 부여된 숫자를 확인하면서, 적절한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의 선단면이 내측 벽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측변 보호 부재(30)를 감합 오목부(26)에 감합시킬 수 있다.
이 결과, 곤포체에 충격 또는 진동이 작용한 경우여도,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의 선단면으로 선택된 피곤포물의 측변부를 눌러, 선택된 피곤포물을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측변 보호 부재(30)가 용기 본체(20)의 개구 단부(22a)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면, 예를 들면 용기 본체(20)의 개구 단부(22a) 근방까지, 예를 들면 제1 피곤포물(P1)을 적층시켜 수납 오목부(21)에 수납한 경우여도, 측변 보호 부재(30)에 의해 최상단에 적층된 제1 피곤포물(P1)(도 5의 이점쇄선 참조)이 측변 보호 부재(30)를 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피곤포물(P1)이 곤포재(1)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의 용기 본체로서,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을 수납하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의 모서리부 보호 부재의 모식적 사시도이며, (b)는 그 변형예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a)에 나타내는 모서리부 보호 부재를 용기 본체에 감합시킨 상태의 부분적 상면도이다. 도 9의 (a)는 도 8의 B-B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며, (b)는 도 8의 C-C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 (c)는 (a)에 상당하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가 제1 실시형태의 것과 상이한 점은,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을 곤포하기 위해 모서리부 보호 부재를 추가로 형성한 점이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 패널(Pa)의 3개의 측변부(Ps)에 플렉시블 회로(필름 회로)(Pf)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Pb)이 접속된 제1 피곤포물(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과, 상술한 패널로 이루어지는 피곤포물(회로 기판이 없는 피곤포물)(PN)의 2 종류의 피곤포물 중 어느 1종을 선택하여, 선택한 1종의 피곤포물을 복수장 중첩시켜 곤포하는 것이다. 또한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 및 회로 기판이 없는 피곤포물(PN) 각각은,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의 폭이 상이한 4 종류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본체(20)의 수납 오목부(21)의 바닥면(21a) 측연부(21b)에는, 측연부(21b)를 따라 바닥면(21a)에 배치된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의 회로 기판(Pb)을 수용하기 위한 기판 수용 오목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을 복수장 중첩시켰을 때에, 상하 방향으로 부채꼴로 팽창하는 회로 기판(Pb, Pb…)이 개구 단부(22a)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기판 수용 오목부(21c)내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오목부(21)의 기판 수용 오목부(21c)가 형성된 측의 구석부(21d, 21d)에는, 구석부 오목부(21e, 21e)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후술하는 모서리부 보호 부재(40)를 용기 본체(20)의 구석부 오목부(21e)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감합시킬 수 있다.
모서리부 보호 부재(40, 40)는,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을 곤포할 때에 회로 기판(Pb)이 접속된 측의 패널(Pa)의 한 쌍의 모서리부(Pc)를 보호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각 모서리부 보호 부재(40)는 모서리부 보호 부재 본체(41) 및 충격 완충재(42)로 이루어진다(도 7(a), 도 8 참조).
모서리부 보호 부재 본체(41)에는 용기 본체(20)의 구석부 오목부(21e)에 감합되는 감합부(43)와, 감합부(43)가 감합된 상태로 수납 오목부(21)의 구석부(21d)로부터 각 내측 벽면(21f)을 따라 연재되도록 감합부(43)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한 쌍의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44, 4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의 모서리부(Pc)로부터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44)에 작용하는 충격력에 의해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44, 44) 끼리의 기단부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44, 44) 끼리의 기단부는 R형상의 곡면(48)으로 연속되어 있다. 또한 충격 완충재(42)는 패널(Pa)의 모서리부(Pc)를 보호하도록 각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44, 44)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부(43) 및 한 쌍의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44, 44)는 고형 구조여도 되지만, 예를 들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부(43) 및 한 쌍의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44, 44)는 상하에 개구가 형성된 중공 구조여도 되고, 또한 내벽끼리 접속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보강 리브(44a, 44a,…)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모서리부 보호 부재 본체(41)는 용기 본체(20) 및 덮개체(10)보다 경질인 재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모서리부 보호 부재 본체(41)를 구성하는 재료의 종탄성률은 용기 본체(20) 및 덮개체(10)를 구성하는 재료의 종탄성률보다 높은 것이 선정되어 있다. 용기 본체(20) 및 덮개체(10)가 상술한 발포 수지재인 경우 모서리부 보호 부재 본체(41)는 비발포 수지재가 선정되며, 모서리부 보호 부재 본체(41)의 재료로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서리부 보호 부재 본체(41)는 용기 본체(20) 및 덮개체(10)에 비해 경질로 되어 있고,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이 곤포된 곤포체에 충격 또는 진동이 작용했을 때에 하중이 집중되기 쉬운 수납 오목부(21)의 구석부에는 모서리부 보호 부재(4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20)의 파손 또는 결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충격 완충재(42)는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의 모서리부(Pc)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시트재이며, 모서리부 보호 부재 본체(41)보다 연질인,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우레탄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등의 재료, 게다가 이들을 발포시킨 것, 복수 적층시킨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곤포재(1)를 사용하여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을 곤포할 때는, 도 8 및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의 구석부 오목부(21e)에 모서리부 보호 부재(40, 40)를 감합시킨다. 이어서, 기판 수용 오목부(21c)에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의 회로 기판(Pb)이 빠져나가도록,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을 수납 오목부(21) 내에 합지를 끼워 적층한다.
피곤포물(PA)을 수납한 용기 본체(20)를 덮개체(10)로 덮고, 용기 본체(20)의 개구 단부(22a)를 밀폐하도록 덮개체(10)의 이면측 외주연(11)을 용기 본체(20)의 외연 홈(22b)에 감합시킨다. 이 감합 상태로, 밴드 홈(18, 28)을 따라 3개의 PP밴드 등의 수지제 밴드(도시하지 않음)로 덮개체(10) 및 용기 본체(20)를 묶음으로써 곤포체가 된다.
이 때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오목부(21)의 기판 수용 오목부(21c)가 형성된 측의 한 쌍의 구석부(21d, 21d)에는,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의 패널(Pa) 모서리부(Pc)를 보호하는 한 쌍의 모서리부 보호 부재(40, 40)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진동 또는 충격시에는 플렉시블 회로(Pf)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Pb)이 접속된 측변부(Ps)측의 모서리부(Pc)를 모서리부 보호 부재(40)에 의해 누르고, 제1 피곤포물(P1)의 다른 측변부를 수납 오목부(21)의 내벽면에 의해 누를 수 있다.
특히, 모서리부 보호 부재(40)의 감합부(43)로부터 연재되는 한 쌍의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44, 44)의 표면에는 충격 완충재(42)가 첩착되어 있으므로,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의 모서리부(Pc)로부터 각 측변부(Ps)를 따른 부분을 충격 완충재(42)에 의해 보호할 수 있음과 함께, 곤포 및 개봉시에 있어서 모서리부 보호 부재(40)에 의해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의 모서리부(Pc)가 접촉하는 것에 의한 용기 본체(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합부(43)가 감합된 상태로 모서리부 보호 부재(40)에 충격이 작용했을 때에는,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44)에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의 모서리부(Pc)가 접촉하여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44)가 휜다. 그 결과,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44)에 의해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 모서리부(Pc)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c)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모서리부 보호 부재(40)의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44)가 용기 본체(20)의 개구 단부(22a)로부터 돌출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용기 본체(20)의 개구 단부(22a) 근방까지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을 적층시켜 수납 오목부(21)에 수납한 경우여도,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44)에 의해 최상단에 적층된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도 9(c)의 이점 쇄선 참조)의 모서리부(Pc)가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44)를 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이 곤포재(1)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이 없는 피곤포물을 곤포할 때는, 한 쌍의 모서리부 보호 부재(40, 40)를 용기 본체(20)로부터 제거한 상태로, 용기 본체(20)의 수납 오목부(21)내에 회로 기판이 없는 피곤포물을 적층시켜 수납하면 된다. 회로 기판이 없는 피곤포물의 크기는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의 패널보다 단변 방향이 길고, 개구 단부(22a)의 크기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수납된 제2 피곤포물(PN)은 수납 오목부(21)의 내측 벽면(21f)에 의해 보호받게 된다.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 및 회로 기판이 없는 피곤포물의 장변 방향의 폭이 상이한 것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변 보호 부재(30)의 방향을 적절한 방향을 향하게 하고 측변 보호 부재(30)를 감합 오목부(26)에 감합시켜,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로 선택된 피곤포물의 측변부를 보호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패널의 장변 방향의 폭이 상이한 피곤포물 뿐만 아니라, 또한 패널의 측변부(Ps)에 플렉시블 회로(Pf)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Pb)이 접속된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 및 패널만으로 이루어지는 회로 기판이 없는 피곤포물 중 어느 한 종류의 피곤포물을 선택한 경우여도, 공통된 용기 본체(20) 및 덮개체(10)를 겸용하여 이들을 곤포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사시도이며, (a)는 덮개체 이면측의 모식적 사시도, (b)는 용기 본체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가 제2 실시형태의 것과 상이한 점은, 한 쌍의 모서리부 보호 부재 및 측변 보호 부재를 덮개체에 감합시킨 점이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체(10)의 단변 방향을 따른 가장자리부에는, 측변 보호 부재(30)가 감합되도록 감합 오목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체(10)의 이면측 구석부(13)에는, 모서리부 보호 부재(40)의 감합부(43)가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게 감합되도록 감합 오목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0)에는, 덮개체(10)를 용기 본체(20)에 피착했을 때에 덮개체(10)의 감합 오목부(14a)에 감합된 상태의 각 측변 보호 부재(30)의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32)의 선단면(33)이 수납 오목부(21)의 내측 벽면(21f)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측부 오목부(27a)가 형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덮개체(10)를 용기 본체(20)에 피착했을 때에 덮개체(10)의 감합 오목부(14b)에 감합된 상태의 모서리부 보호 부재(40)를 수납함과 함께, 한 쌍의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44, 44)의 각각이 수납 오목부(21)의 구석부(21d)로부터 각 내측 벽면(21f)을 따라 연재되도록, 용기 본체(20)의 구석부(21d, 21d)에는 구석부 오목부(27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공통된 덮개체(10) 및 용기 본체(20)를 겸용하여 패널의 장변 방향의 폭이 상이한 피곤포물 뿐만 아니라,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 및 패널만으로 이루어지는 회로 기판이 없는 피곤포물도 곤포할 수 있음과 함께, 측변 보호 부재(30) 및 모서리부 보호 부재(40)가 덮개체(10)에 감합되어 있으므로, 곤포체에 충격 또는 진동이 작용했다고 해도 최상단의 피곤포물(P)이 용기 본체(20)의 개구 단부(22a)를 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로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2는 회로 기판이 없는 피곤포물을 도 11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에 수납하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가 제2 실시형태의 것과 상이한 점은, 용기 본체의 수납 오목부의 내측 벽면에 감합되는 측변 완충 부재를 형성한 점이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일부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의 수납 오목부(21)의 내측 벽면(21f)에는, 개구 단부(22a)로부터 바닥면(21a)을 향해 복수의 감합 홈(29)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감합 홈(29)은 측변 완충 부재(50)와 용기 본체(20)를 감합시키기 위한 홈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변 완충 부재(50)는 도 12에 나타내는 크기의 회로 기판이 없는 피곤포물(PN)의 한 측변부(Ps)를 누를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되어 있고, 인접하는 2개의 감합 홈(29, 29)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게 감합되도록 한 쌍의 감합 볼록선(51)이 형성되어 있다. 측변 완충 부재(50)는 상술한 덮개체(10) 또는 용기 본체(20)를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한 재료여도 되고, 충격 완충재(42)를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도 6 참조), 수납 오목부(21)의 구석부(21d)에 형성된 구석부 오목부(21e)에 각 모서리부 보호 부재(40)를 감합시킨 상태로,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PA)을 수납 오목부(21) 내에 적층시켜 이들을 곤포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제2 피곤포물보다 단변 방향의 폭이 짧은 회로 기판이 없는 피곤포물(PN)을 곤포할 때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오목부(21)의 내측 벽면(21f)의 감합 홈(29)에 측변 완충 부재(50)의 감합 볼록선(51)을 감합시킴으로써, 회로 기판이 없는 피곤포물(PN)의 크기에 따른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이 결과, 측변 완충 부재(50)가 수납 오목부(21)에 수납된 제2 피곤포물(PN)의 측변부(Ps)를 따라 배치되게 되므로, 측변부(Ps)를 측변 완충 부재(50)로 보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상술하였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의 설계 변경이 있어도 그것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서리부 보호 부재는 용기 본체 또는 덮개체 중 어느 일방에 감합되도록 되어 있었지만, 모서리부 보호 부재를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게 감합시킬 수 있으면, 모서리부 보호 부재는 용기 본체 및 덮개체의 쌍방에 감합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용기 본체의 구석부 오목부와는 상이한 위치(예를 들면, 용기 본체의 상면)에 모서리부 보호 부재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 인해, 회로 기판이 없는 피곤포물을 수납할 때는 모서리부 보호 부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을 수납할 때는 모서리부 보호 부재를 수납부로부터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느 피곤포물의 곤포여도 상관없이, 모서리부 보호 부재를 용기 본체와 함께 일체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1: 곤포재, 10: 덮개체, 11: 외주연, 13: 구석부, 14a, 14b: 감합 오목부, 18: 밴드 홈, 20: 용기 본체, 21: 수납 오목부, 21a: 바닥면, 21b: 측연부, 21c: 기판 수용 오목부, 21d: 구석부, 21e: 구석부 오목부, 21f: 내측 벽면, 22a: 개구 단부, 22b: 외연 홈, 23: 바닥부, 24: 측벽부, 27a: 측부 오목부, 27b: 구석부 오목부, 26: 감합 오목부, 26a: 중앙 오목부, 26b: 아암 감합 오목부, 28: 밴드 홈, 30: 측변 보호 부재, 31: 축부, 32a∼32d: 제1∼제4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 33a∼33d: 선단면, 29: 감합 홈, 40: 모서리부 보호 부재, 41: 모서리부 보호 부재 본체, 42: 충격 완충재, 43: 감합부, 44: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 44a: 보강 리브, 48: 곡면, 50: 측변 완충 부재, 51: 감합 볼록선, P1∼P4: 제1∼제4 피곤포물, PA: 회로 기판이 형성된 피곤포물, PN: 회로 기판이 없는 피곤포물, Pa: 패널, Pb: 회로 기판, Pc: 모서리부, Pf: 플렉시블 회로, Ps: 측변부

Claims (10)

  1. 적어도 폭이 상이한 복수종의 패널 형상의 피곤포물로부터 1종을 선택하여 곤포하기 위한 곤포재로서,
    상기 곤포재는 상기 피곤포물을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수납 오목부에 형성된 개구 단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를 덮는 덮개체와, 상기 용기 본체 또는 상기 덮개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감합됨과 함께 상기 선택된 피곤포물의 양측 측변부를 보호하는 측변 보호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각 측변 보호 부재에는, 축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재됨과 함께 상기 복수종의 피곤포물에 따른 길이를 갖는 복수의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 또는 덮개체에는, 선택된 피곤포물에 따른 상기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의 선단면이 상기 수납 오목부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측변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측변 보호 부재에 감합되는 감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에는 선택된 피곤포물에 따른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변 보호 부재에는 상기 측변 보호 부재가 십자 형상이 되도록, 4개의 각 측변부 보호용 아암부가 축부로부터 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변 보호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에 감합되는 것이며, 상기 측변 보호 부재는 당해 용기 본체에 감합된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종의 피곤포물에는 직사각형상 패널의 측변부에 플렉시블 회로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이 접속된 피곤포물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 오목부의 바닥면 측연부에는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기판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 오목부의 상기 기판 수용 오목부가 형성된 측의 구석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 또는 상기 덮개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감합됨과 함께 상기 피곤포물의 패널 모서리부를 보호하는 모서리부 보호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 보호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 또는 덮개체에 감합되는 감합부와, 당해 감합부가 감합된 상태로 상기 수납 오목부의 구석부로부터 각 내측벽을 따라 연재되도록 상기 감합부에 연결된 한 쌍의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가 형성된 보호 부재 본체와,
    상기 패널을 보호하도록 상기 각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의 표면에 배치된 충격 완충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 보호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에 감합되는 것이며, 상기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는 당해 용기 본체에 감합된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는 상기 모서리부 보호 부재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는 상기 수납 오목부에 수납된 피곤포물의 측변부 중 상기 측변 보호 부재가 보호하는 측변부와는 상이한 측변부를 따라, 당해 측변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수납 오목부의 내측 벽면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감합되는 측변 완충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곤포재에 의해, 상기 피곤포물을 곤포한 곤포체.
KR1020130074423A 2012-06-29 2013-06-27 곤포재 및 곤포체 KR101461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47855A JP5917316B2 (ja) 2012-06-29 2012-06-29 梱包材および梱包体
JPJP-P-2012-147855 2012-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524A true KR20140002524A (ko) 2014-01-08
KR101461011B1 KR101461011B1 (ko) 2014-11-13

Family

ID=4992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423A KR101461011B1 (ko) 2012-06-29 2013-06-27 곤포재 및 곤포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17316B2 (ko)
KR (1) KR101461011B1 (ko)
CN (1) CN103523336B (ko)
TW (1) TWI4928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8657B (zh) 2014-01-27 2016-02-0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玻璃面板包装箱
CN104192444B (zh) * 2014-09-02 2016-06-0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面板包装箱
CN105173333B (zh) * 2015-09-25 2017-04-0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玻璃基板包装盒
CN105217125B (zh) * 2015-11-05 2017-11-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包装箱及其包装方法
CN105600154B (zh) * 2016-02-15 2018-11-23 苏州合普橡塑有限公司 液晶玻璃屏包装盒
CN105752456B (zh) * 2016-03-25 2018-06-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包装箱和包装方法
CN105691914B (zh) * 2016-04-08 2018-01-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面板包装箱
CN110650895B (zh) * 2017-05-18 2021-10-22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容器
CN111032534A (zh) * 2017-09-08 2020-04-17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容器及保护部件
CN112978087B (zh) * 2021-02-22 2022-07-12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包装组合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9260A (en) * 1960-07-13 1962-08-14 Alton H Stone Cushioning material
JPS6140366U (ja) * 1984-08-18 1986-03-14 旭化成株式会社 包装用緩衝材
CH666460A5 (en) * 1987-09-30 1988-07-29 Hanspeter Zoller C O Ramel & Z Versatile rigid foam packaging unit - has lid with edge grooves to hold on with clips and inspection holes and sides with shapes to lock contents in position
JP2533359Y2 (ja) * 1990-03-23 1997-04-23 東陶機器株式会社 トイレブース用壁パネル
JPH1018441A (ja) * 1996-07-08 1998-01-20 Nippon Light Metal Co Ltd パネルの連結構造
JP4601932B2 (ja) * 2003-09-16 2010-12-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基板収納ケース
JP2005145461A (ja) * 2003-11-11 2005-06-09 Sharp Corp 収納トレイ
JP2005212815A (ja) * 2004-01-28 2005-08-11 Orion Denki Kk 梱包材及び梱包された電気機器
DE202005011897U1 (de) * 2005-07-26 2005-10-06 Hasenkamp Internationale Transporte Gmbh Transportkiste für Gemälderahmen o.dgl.
JP4628220B2 (ja) * 2005-08-23 2011-02-09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板状体の搬送容器
JP4933840B2 (ja) 2006-05-29 2012-05-16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及びガラス基板搬送用包装体
KR100812766B1 (ko) 2006-09-26 2008-03-12 김봉희 유리기판 보관용 박스
JP2008100740A (ja) * 2006-10-20 2008-05-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同梱スタンド緩衝材
CN200974674Y (zh) * 2006-10-25 2007-11-14 常宏保丽龙有限公司 包装盒
TW200824992A (en) * 2006-12-01 2008-06-16 Innolux Display Corp Packing box for glass substrate
TWM326523U (en) * 2007-08-08 2008-02-01 Ynidyi Entpr Co Ltd Packaging box for LCD panel with enhanced buffering function
JP5227827B2 (ja) * 2009-02-16 2013-07-03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ガラス基板用容器
CN202046598U (zh) * 2011-05-13 2011-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多尺寸可兼容型保管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08555A (zh) 2014-03-01
TWI492890B (zh) 2015-07-21
JP5917316B2 (ja) 2016-05-11
KR101461011B1 (ko) 2014-11-13
CN103523336B (zh) 2016-01-27
JP2014009019A (ja) 2014-01-20
CN103523336A (zh)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011B1 (ko) 곤포재 및 곤포체
KR101461013B1 (ko) 곤포재 및 곤포체
JP6357218B2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KR200490607Y1 (ko) 패널 반송 용기
KR101252519B1 (ko)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CN111867945A (zh) 包装盒
JP3201500U (ja) 梱包材及び梱包体
KR200386484Y1 (ko) 안전포장용 투명 케이스
KR101447279B1 (ko) 삼단 포장 상자
JP6587966B2 (ja) 梱包材
JP3161490U (ja) 梱包箱用緩衝材
KR100818744B1 (ko) 판재 형상 제품의 포장 클립
KR101252522B1 (ko)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KR101574610B1 (ko) 포장상자용 덮개
KR200381580Y1 (ko) 고정용 포장재
KR20130090672A (ko) 절첩식 포장재
KR20060105332A (ko) 전자제품 완충포장용 펄프 패드
KR200469147Y1 (ko) 차량시트 중량감지센서용 포장대
JP2012144271A (ja) 緩衝梱包材
JP5629806B2 (ja) 梱包材
CN115724045A (zh) 一种服务器包装箱
JP6112770B2 (ja) 包装用保護枠
KR20060088448A (ko) 고정용 포장재
JPH05147685A (ja) 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