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123Y1 - 휴대전화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휴대전화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123Y1
KR200444123Y1 KR2020070006400U KR20070006400U KR200444123Y1 KR 200444123 Y1 KR200444123 Y1 KR 200444123Y1 KR 2020070006400 U KR2020070006400 U KR 2020070006400U KR 20070006400 U KR20070006400 U KR 20070006400U KR 200444123 Y1 KR200444123 Y1 KR 2004441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ase
mobile phone
case
packaging box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816U (ko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김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영 filed Critical 김주영
Priority to KR2020070006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123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8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1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1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delicate optical, measuring, calculating or control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부케이스와 케이스커버에 의해 외형을 형성하며, 수납구획부재에 의해 하부케이스가 상하로 구획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면에 휴대전화를 수용하는 본체수용부재로 구성되는 휴대전화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휴대전화(C)가 포장되는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포장상자의 하부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100);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방에서 결합되어, 개구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케이스커버(200);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에 제공되며, 판재가 접철관계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을 상하로 구획하도록 하여 악세사리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구획부재(300); 상기 수납구획부재(300)의 상면에 안착되며, 충격완화를 위한 발포성 소재로 성형되어 상기 휴대전화(C)를 수용하는 수용홈(420)을 형성하는 본체수용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전화의 수납성능이 향상되고 포장상태가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휴대전화, 포장, 상자, 구획

Description

휴대전화 포장상자 { A package for cellularphone }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전화 포장상자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전화 포장상자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전화 포장상자의 요부구성인 수납구획부재를 펼친 상태를 도인 전개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전화 포장상자의 요부구성인 하부케이스와 수납구획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전화 포장상자의 요부구성인 하부케이스와 수납구획부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전화 포장상자의 요부구성인 본체수납구획부재의 외형을 보인 평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하부케이스 120. 연장부재
200. 케이스커버 300. 수납구획부재
320. 둘레면 322. 접합편
340. 차폐면 342. 삽입편
344. 삽입공 360. 지지편
400. 본체수용부재 420. 수용홈
422. 탈거수단 C. 휴대전화
L. 절곡선
본 고안은 휴대전화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케이스와 케이스커버에 의해 외형을 형성하며, 수납구획부재에 의해 하부케이스가 상하로 구획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면에 휴대전화를 수용하는 본체수용부재로 구성되는 휴대전화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는 제조회사에서 제조되어 출하 및 운송될 때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상자에 포장되어 처리된다. 이와 같은 포장상자는 휴대전화의 사용에 필요한 이어폰과 충전기, 스트랩, 사용자 설명서 등 다양한 악세사리들이 모두 하나의 상자에 포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휴대전화는 충격에 약하여 운반 보관 중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포장상자의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충전재등을 사용하여 휴대전화를 보호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상자의 내부는 다수의 칸으로 구획되거나, 악세사리와 본체가 개별 포장된 후 다시 하나의 포장상자에 수용되는 등 휴대전화 및 악세사리들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상자들의 구성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포장상자의 대부분은 골판지 등과 같은 종이상자들을 접철하여 상자의 형태로 만드는 것이 대부분이며, 내부의 공간을 가로로 구획하여 휴대전화와 악세사리들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휴대전화의 포장상자들은 대부분이 종이상자를 펼쳐 재단한 후 다양한 형태로 절곡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므로, 포장상자의 형상이 제한적이게 되어 식별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이상자 자체로는 충격의 흡수 또는 고정효과가 떨어지게 되어 휴대전화의 손상을 초래할 수 밖에 없게 된다.
그리고, 휴대전화의 전시 및 디스플레이를 위해서는 포장상자로부터 휴대전화를 꺼내어 별도로 전시하고, 포장상자는 따로 보관하여야 하므로 이중의 보관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효율적이지 못하게 되며, 포장상자 또는 포장상자 내부의 악세사리 등이 분실될 수 있는 등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도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케이스와 케이스커버에 의해 외형을 형성하며, 수납구획부재에 의해 하부케이스가 상하로 구획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면에 휴대전화를 수용하는 본체수용부재로 구성되는 휴대전화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전화 포장상자는, 휴대전화가 포장되는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포 장상자의 하부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방에서 결합되어, 개구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케이스커버;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 제공되며, 판재가 접철관계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을 상하로 구획하도록 하여 악세사리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구획부재; 상기 수납구획부재의 상면에 안착되며, 충격완화를 위한 발포성 소재로 성형되어 상기 휴대전화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본체수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둘레 내측면과 접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보다 더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재가 더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커버는 내측면이 상기 연장부재의 외측면과 삽입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둘레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은 상기 상부케이스의 개구된 하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와 케이스커버의 외측 전체면에는 합성피혁지가 부착된다.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은 컴팩트디스크가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수납구획부에는, 상기 하부케이스 내측의 각면과 접하도록 절곡되는 둘레면과; 상기 둘레면의 일단에 형성되며, 선택적인 절곡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을 상하로 선택적으로 구획하는 차폐면과; 상기 차폐면이 형성된 둘레면 일단의 양측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차폐면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포함된다.
상기 본체수용부재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단면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 되며,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상면이 상기 하부케이스의 개구된 상면과 동일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는 일단이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수용홈의 폭보다 길게 연장 형성되어 수용홈에 수용된 휴대전화의 탈거를 용이하게 하는 탈거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전화 포장상자에 의하면, 휴대전화의 보관성능과 수납상태가 향상되어 구매욕을 자극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전화 포장상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전화 포장상자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전화 포장상자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휴대전화 포장상자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케이스(100)와 케이스커버(200)의 결합에 의해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수납구획부재(300)와 본체수용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하부케이스(100)는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휴대전화 포장상자의 하부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수납구획부재(300)와 본체수용부재(4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00)는 비교적 두꺼운 하드보드와 같은 종이가 절곡되어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하드보드지의 양면에 합성피혁지가 부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외측면이 모두 합성피혁의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소재의 판재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각면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 상기 플라스틱 또는 금속소재의 판재에 의해 골격이 형성되고, 상기 플라스틱 또는 금속판재에 의해 형성된 골격의 내외측면에 인조피역지가 접착되어 상기 플라스틱 또는 금속소재의 판재들이 서로 접하는 상태로 직육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하부케이스(100)는 플라스틱소재가 사출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도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외측에는 합성피혁지가 부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0)가 합성피혁의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에는 연장부재(12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재(12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단을 형성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케이스커버(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둘레면 내측에서 개구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재(12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둘레면 내측과 접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각면의 횡방향 길이와 같게 형성되고 종방향(도 2 에서 상하방향) 길이보다는 더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연장부재(12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그 상단이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개구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상단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재(12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단차진 형상을 하게 된다.
상기 연장부재(120) 역시 하드보드지와 같은 종이소재가 절곡되어 상하면이 개구된 판재 형상으로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삽입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연장부재(120)의 내외측면에는 합성피혁지가 부착된다.
물론, 상기 연장부재(120)는 플라스틱 또는 철판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도 합성피혁지가 내외측에 부착됨은 당연할 것이다.
이처럼,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단은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케이스커버(200)와 결합 가능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커버(20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결합되어 상기 휴대전화 포장상자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커버(20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단차진 상단, 다시말해 연장부재(120)의 단부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커버(200)의 개구된 하면의 크기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에서 연장부재(120)가 제외된 상태의 개구된 상면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커버(200)의 상하 높이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비하여 낮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단차진 상부 즉, 상기 연장부재(120)의 돌출된 부분의 높이만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커버(20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마찬가지로 하드보드지와 같은 종이소재가 절곡되어 형성되거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소재의 판재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커버(200)의 내외측에는 합성피혁지가 접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마찬가지로 합성피혁의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커버(200)의 두께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단차진 외측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커버(200)와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결합시 상기 케이스커버(200)와 하부케이스(100)가 동일한 면을 형성하게 되며,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체감있는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에는 수납구획부재(300)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구획부재(30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부공간을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여 하부의 공간에 충전기와 각종 케이블 이어폰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구획부재(300)의 상방에는 본체수용부재(40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수용부재(40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단면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구획부재(30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며 휴대전화(C)가 수용된 상면이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개구된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휴대전화(C)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납구획부재(300)와 본체수용부재(400)의 상세한 구성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전화 포장상자의 요부구성인 수납구획부재를 펼 친 상태를 도인 전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수납구획부재(3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를 소재로 하여 다수회 절곡하여 하면이 개구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수납구획부재(300)는 전체적으로 둘레면(320)과 차폐면(340) 그리고, 지지편(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둘레면(320)은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0) 내측의 각 면에 대응하는 길이마다 절곡선(L)이 형성되어, 상기 절곡선(L)을 기준으로 절곡시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면과 접하는 사각단면 형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둘레면(320)은 4개의 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둘레면(320)의 일단(도 3 에서 좌측단)에는 접합편(322)이 형성되어 상기 둘레면(320)의 타측단(도 3 에서 우측단)과 접착되는 것에 의해 상하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을 형성하게 되고, 이때의 크기는 상기 하부케이스(100) 내측의 크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면과 상기 둘레면(320)이 접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둘레면(320)의 높이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높이에서 상기 본체수용부재(400)의 높이를 제외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절곡선(L)에 의해 구획된 둘레면(320) 중의 일단 즉, 상기 절곡선(L)에 의해 3번째로 구획되는 상기 둘레면(320)의 상단(도 3 에 서 볼 때)에는 차폐면(340)이 형성된다. 상기 차폐면(340)은 상기 둘레면(320)에 의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개구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것으로,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차폐면(340)은 일단이 상기 둘레면(320)의 상단 일측과 연결되고, 연결되는 부분에 절곡선(L)이 형성되어, 절곡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납구획부재(30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둘레면(320)과 접하는 상기 차폐면(340)의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도 3 에서 상단)에는 삽입편(342)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삽입편(342)은 상기 차폐면(340)이 절곡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둘레면(32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삽입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삽입편(342)의 삽입으로 상기 차폐면(340)이 상기 둘레면(320)을 차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편(342)이 형성되는 절곡선(L)의 중앙부에는 상기 차폐면(340) 측으로 반원형상으로 절재되어 형성되는 삽입공(344)이 더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344)은 상기 삽입편(342)이 삽입되어 상기 차폐면(340)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차폐면(340)을 용이하게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 가능한 크기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차폐면(340)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기 둘레면(320)의 상단에는 지지편(36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360)은 상기 둘레면(320)의 상단에 대응하는 절곡선(L)을 따라 절곡되어 상기 차폐면(340)이 닫힐 때 상기 차폐면(340)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도 3 에서 볼 때 상기 절곡선(L)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둘레면(320)의 두번째와 네번째 부분의 상단에 형성된다.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전화 포장상자의 요부구성인 하부케이스와 수납구획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전화 포장상자의 요부구성인 하부케이스와 수납구획부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수납구획부재(300)를 절곡선(L)을 따라 절곡하게 되면 하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이 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하부케이스(100)의 형상 및 결합관계는 도 4 와 도 5 에 잘 나타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절곡선(L)을 따라 둘레면(320)을 절곡하고 상기 접합편(322)을 둘레면(320)의 타단과 접착시켜 상기 수납구획부재(300)의 측면 둘레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의 형상은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의 크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납구획부재(300)가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둘레면(320)에 형성된 지지편(360)을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하고, 상기 차폐면(340)에 연장 형성된 삽입편(342)을 하방으로 수직하게 절곡 시킨 후 상기 차폐면(340)을 하방으로 절곡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차폐면(340)이 상기 수납구획부재(300)를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편(342)의 외측면이 상기 둘레면(32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수납구획부재(300)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차 폐면(340)은 상기 둘레면(3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구획부재(300)의 상면 즉, 차폐면(340)은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을 상하로 구획하게 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하부에 충전기와 각종케이블, 스트랩 등 다양한 악세사리들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납구획부재(30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상기 차폐면(340)의 선택적인 절곡 및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수납구획부재(300)의 내측에 악세사리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구획부재(300)를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차폐면(340)을 닫아 상기 하부케이스(100)를 상하로 구획하게 되면,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부공간은 상기 본체수용부재(40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만큼만 남아 있게 된다.
즉, 상기 수납구획부재(300)를 삽입하여 상기 차폐면(340)을 닫은 후, 상기 본체수용부재(400)를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에 안착시키게 되면, 상기 본체수용부재(400)의 하면은 상기 수납구획부재(300)의 상면, 다시말해 상기 차폐면(34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본체수용부재(400)의 상면은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개구된 상면과 동일한 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본체수용부재(400)의 상면은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본체수용부재(400)에 수용된 휴대전화(C)가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전화 포장상자의 요부구성인 본체수납구획부재의 외형을 보인 평면도로서, 이하 도 2 와 도 6 을 참고로 하여, 상기 본체수용부재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본체수용부재(40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횡단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수용부재(400)의 두께는 상기 수납구획부재(300)와 함께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차례로 장착되었을 때 상기 본체수용부재(400)의 상면이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면과 동일한 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수용부재(400)의 대략 중앙부에는 휴대전화(C)가 수용 가능하도록 소정의 깊이만큼 내측(도 6 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수용홈(42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420)은 휴대전화(C)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휴대전화(C)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420)의 상면 전체에는 상기 하부케이스(100) 및 케이스커버(200)와 동일한 합성피혁지가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커버(200)의 개방시 상기 휴대전화(C)가 상기 수용홈(420)의 내측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전화(C)의 상면과 상기 본체수용부재(400)의 상면이 동일평면을 형성하게 되어 상기 휴대전화(C)의 표면과 상기 본체수용부재(400)의 상면이 조화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홈(420)에는 탈거수단(422)이 구비된다. 상기 탈거수단(422)은 상기 휴대전화(C)의 탈거를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끈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수용홈(420)의 바닥면 일단(도 6 에서 좌측단)에 고정되고, 상기 수용홈(420)의 타측단을 지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상기 탈거수단(422)은 플렉시블한 끈 또는 벨트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며,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휴대전화(C)를 상기 수용홈(420)에 삽입하는데 있어 지장을 주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탈거수단(422)은 상기 휴대전화(C)의 장착시 상기 수용홈(420)의 저면을 가로질러 그 단부가 상기 수용홈(420)의 외측 즉, 상기 본체수용부재(400)의 상면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수용홈(420)에 수용되는 휴대전화(C)는 상기 탈거수단(422)의 일부를 누르면서 상기 수용홈(420)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수용부재(400)의 상면으로 노출된 상기 탈거수단(422)을 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휴대전화(C)를 상기 수용홈(420)으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수용부재(400)는 상기 휴대전화(C)의 손쉬운 삽입고정 및 외부충격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발포성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수용부재(400)는 스티롤폴 또는 스폰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외부충격을 흡수하면서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면,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다른 다양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전화 포장상자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 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상기 휴대전화(C)의 포장을 위해서는 우선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에 상기 수납구획부재(300)에 의해 형성된 하부공간에 충전기와 각종케이블 및 스트랩 등과 같은 악세사리를 수납한 다음 상 기 차폐면(340)을 덮어 상기 수납구획부재(300) 하부의 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구획부재(300)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수용부재(400)를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수용부재(400)는 상기 수납구획부재(30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어 그 장착위치가 결정된다. 상기 본체수용부재(400)가 상기 하부케이스(100)에 삽입되면, 상기 본체수용부재(400)의 상면은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휴대전화(C)를 상기 수용홈(420)에 안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탈거수단(422)이 상기 수용홈(420)의 바닥면과 상기 휴대전화(C)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하고 상기 탈거수단(422)의 단부는 상기 본체수용부재(400)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휴대전화(C)를 상기 수용홈(420)의 내측에 완전하게 삽입하게 되면, 상기 휴대전화(C)는 상기 수용홈(420)의 내측으로 완전하게 삽입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커버(200)를 덮어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커버(200)의 개구된 하면으로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단차진 상단 즉, 연장부재(120)가 삽입되며, 상기 연장부재(120)는 상기 케이스커버(200)의 내측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커버(200)를 완전하게 밀착시켜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결합완료하게 되면, 상기 연장부재(120)의 연장된 상부가 상기 케이스커버(200)의 내측으로 완전하게 삽입되어 상기 포장상자의 외형은 완전한 직육면체가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커버(200)의 배면은 상기 본체수용부재(400)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본체수용부재(400)의 탈거 및 상기 휴대전화(C)의 유동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휴대전화(C)의 포장이 완료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부케이스(100)는 상기 휴대전화(C)의 피시싱크 및 부가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메뉴얼 등이 기록된 컴팩트디스크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컴팩트디스크는 상기 수납구획부재(300)의 하부공간에 수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수납구획부재(300)와 상기 본체수용부재(400)의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포장완료된 상태로 상기 휴대전화는 유통되며, 유통과정 중에 필요에 따라 상기 휴대전화(C)를 전시하거나 홍보를 위해 디스플레이 할 때에는 상기 케이스커버(200)만을 개방한 상태로 상기 휴대전화(C)를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전화의 사용에 필요한 악세사리들이 케이스커버의 개방시에는 보이지 않는 공간에 수납되며, 상기 휴대전화 하방의 공간에 악세사리들이 수용됨으로써 상기 휴대전화를 포장한 상태에서 케이스커버만을 개방하여 전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포장상자를 제거하지 않고도 충분히 휴대전화를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전시상태에서 휴대전화와 포장상자의 빈번한 분리 보관이 불필요하게 되어 포장용기의 분실 및 악세사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보관성능의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수용부재를 발포성소재로 형성하여 상기 휴대전화가 유통 및 포장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관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커버의 개방시 별도의 부속 악세서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최상면으로 노출됨은 물론 놀출되는 상기 본체수용부대의 공간 대부분이 상기 휴대전화의 전면을 노출시키는데 할애되어 상기 휴대전화의 디자인을 강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의 시선을 상기 휴대전화로 집중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휴대전화의 디자인을 부각시켜 소비자에게 보다 강렬하게 어필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케이스커버와 하부케이스 및 본체수용부재가 모두 합성피혁의질감을 가지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가짐은 물론 여타의 프린트된 종이박스와는 차별화되는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최근의 트렌드인 고급화 제품의 선호현상에 따라 휴대전화의 고급스러움을 한층 더할 수 있음은 물론 다른 여타의 케이스와 차별화되는 구성과 질감으로 소비자의 구매욕을 한층 더 자극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삭제
  2. 휴대전화가 포장되는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포장상자의 하부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방에서 결합되어, 개구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케이스커버;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 제공되며, 판재가 접철관계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을 상하로 구획하도록 하여 악세사리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구획부재;
    상기 수납구획부재의 상면에 안착되며, 충격완화를 위한 발포성 소재로 성형되어 상기 휴대전화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본체수용부재;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수용홈의 폭보다 길게 연장 형성되어 수용홈에 수용된 휴대전화의 탈거를 용이하게 하는 탈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둘레 내측면과 접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보다 더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포장상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커버는 내측면이 상기 연장부재의 외측면과 삽입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둘레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포장상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은 상기 상부케이스의 개구된 하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포장상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와 케이스커버의 외측 전체면에는 합성피혁지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포장상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은 컴팩트디스크가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포장상자.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구획부에는,
    상기 하부케이스 내측의 각면과 접하도록 절곡되는 둘레면과;
    상기 둘레면의 일단에 형성되며, 선택적인 절곡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을 상하로 선택적으로 구획하는 차폐면과;
    상기 차폐면이 형성된 둘레면 일단의 양측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차폐면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포함되는 휴대전화 포장상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수용부재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단면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상면이 상기 하부케이스의 개구된 상면과 동일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포장상자.
  9. 삭제
KR2020070006400U 2007-04-18 2007-04-18 휴대전화 포장상자 KR2004441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400U KR200444123Y1 (ko) 2007-04-18 2007-04-18 휴대전화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400U KR200444123Y1 (ko) 2007-04-18 2007-04-18 휴대전화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816U KR20080004816U (ko) 2008-10-22
KR200444123Y1 true KR200444123Y1 (ko) 2009-04-10

Family

ID=4134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400U KR200444123Y1 (ko) 2007-04-18 2007-04-18 휴대전화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12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333Y1 (ko) * 2012-09-26 2013-04-09 주식회사 다스텍 휴대전자기기 포장용구
WO2015060529A1 (ko) * 2013-10-25 2015-04-30 삼성정밀화학(주) 생분해성 수지로 제조된 휴대폰 포장 케이스
CN112265744A (zh) * 2020-10-28 2021-01-26 惠州市精艺印刷有限公司 电子设备用新型复合缓冲包装纸盒
US11145926B2 (en) 2014-12-30 2021-10-12 Korea Electric Terminal Co., Ltd. Battery block for vehic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333Y1 (ko) * 2012-09-26 2013-04-09 주식회사 다스텍 휴대전자기기 포장용구
WO2015060529A1 (ko) * 2013-10-25 2015-04-30 삼성정밀화학(주) 생분해성 수지로 제조된 휴대폰 포장 케이스
US11145926B2 (en) 2014-12-30 2021-10-12 Korea Electric Terminal Co., Ltd. Battery block for vehicle
CN112265744A (zh) * 2020-10-28 2021-01-26 惠州市精艺印刷有限公司 电子设备用新型复合缓冲包装纸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816U (ko)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123Y1 (ko) 휴대전화 포장상자
US8561797B2 (en) Packaging container
CN104276347A (zh) 承载体及具有该承载体的包装盒
JP7078781B1 (ja) 電子機器用カバーおよび玩具
CN210311488U (zh) 电子产品包装盒
JP6754640B2 (ja) ブレーカ梱包箱
KR200385911Y1 (ko) 디스플레이용 조합형 포장박스
CN211494859U (zh) 一种耳机包装盒
CN203419418U (zh) 电子产品包装结构
CN208963550U (zh) 包装盒
KR101248412B1 (ko)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및, 그 이용방법
JP3187772U (ja) 硬質スーツケース用電子製品収納構造
KR200484634Y1 (ko) 라이터 홀더 겸용 담배갑 홀더
KR101335587B1 (ko)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CN106429031A (zh) 手机包装组件
CN211365311U (zh) 无线耳机纸卡内衬及包装盒
KR101167831B1 (ko) 소형 전자기기 포장 상자
CN201245308Y (zh) 包装盒
JP3224075U (ja) モバイル機器用保護カバー
CN211365617U (zh) 一种ops保护盒
TW201615500A (zh) 包裝盒
CN209321456U (zh) 一种手环包装盒
KR20090077173A (ko) 휴대전화 포장상자
KR200345043Y1 (ko) 다기 세트 포장 및 진열용 상자
JP7118636B2 (ja) 梱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