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138B1 - 단시간 용해형 마이크로니들 - Google Patents

단시간 용해형 마이크로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138B1
KR102281138B1 KR1020207014963A KR20207014963A KR102281138B1 KR 102281138 B1 KR102281138 B1 KR 102281138B1 KR 1020207014963 A KR1020207014963 A KR 1020207014963A KR 20207014963 A KR20207014963 A KR 20207014963A KR 102281138 B1 KR102281138 B1 KR 102281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needle
valuables
mixture
ski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2377A (ko
Inventor
잉-슈 쿠안
후미오 가미야마
Original Assignee
코스메드 파마소티컬 씨오 쩜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메드 파마소티컬 씨오 쩜 엘티디 filed Critical 코스메드 파마소티컬 씨오 쩜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6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1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46Solid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61Methods for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시간에 용해되어, 빠르게 흡수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 소재를 제공하여, 마이크로니들 적용 시간을 단축한다. 마이크로니들 소재로서, 수용성 고분자와, 단당류 및 2당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복수종의 당류와의 혼합물을 이용한다. 수용성 고분자는 합성 고분자, 단백질, 다당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당류는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시간 용해형 마이크로니들 {MICRONEEDLE OF SHORT-TIME DISSOLUTION TYPE}
본 발명은 피부 표층 및/또는 피부 각질층에 수식 효과 및/또는 기능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마이크로니들을 단시간에 용해시키기 위한 소재에 관한 것이다.
유가물을 사람의 체내에 투여하는 수법으로서, 경구적 투여법과 경피적 투여법이 있다. 주사는 대표적인 경피적 투여법이다. 그러나, 주사는 의사나 간호사의 손을 거쳐야만 하고, 고통이 따르며, 게다가 에이즈나 B형 간염 등의 감염의 가능성도 있어 많은 사람들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수법이다. 이에 반해, 최근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고통을 수반하지 않는 경피적 투여법이 주목받고 있다(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1).
여기서 유가물이란 약물이나 화장품과 같이 인체에 투여되어 바람직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피부 각질층은 유가물 투과의 배리어로서 기능하여, 단순히 피부 표면에 유가물을 도포하는 것만으로는 유가물이 충분히 투과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미소한 바늘, 즉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하여 각질층을 천공함으로써, 도포법보다 유가물 투과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마이크로니들을 기판 위에 다수 집적한 것이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이다. 또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에,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피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점착 테이프 등을 부가하여 사용하기 쉬운 제품으로 만든 것을 마이크로니들 패치라 한다.
여기서 테이프란, 필름, 또는 천 또는 종이에 점착제를 도포한 것을 말한다.
수용성 고분자 등 체내에서 용해되어 대사에 의해 소실되는 물질을 소재로 하여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면, 만일 마이크로니들이 꺾여 피부 내에 잔존한다고 해도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그뿐만 아니라, 수용성 고분자 중에 유가물을 포함시켜 두면, 찔러 넣은 마이크로니들이 체내에서 용해됨으로써, 용이하게 유가물을 피내나 피하에 투여할 수 있다(특허문헌 2).
특히, 히알루론산이나 콜라겐 등의 생체 용해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한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찔러 넣으면, 피부 내 수분이 마이크로니들로 확산되어, 피부에 꽂힌 니들부가 팽윤하고 그 후 용해된다. 이 결과 히알루론산이나 콜라겐이 피부 내에 확산되어 주름 방지 작용을 발현하거나, 또는 니들부에 미리 용해시켜 둔 유가물이나 유가 물질이 피부 내에 확산된다(특허문헌 3, 4).
히알루론산 등 수용성 고분자를 주소재로 하는 마이크로니들이 피부 내에서 팽윤하여 용해되는 데에는, 피부 내의 수분량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3 내지 10시간을 요한다. 이 때문에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안면 피부에 적용할 때에는 취침 전에 적용하는 경우가 많아, 피부과의원이나 미용 에스테틱에서 피부에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의료용으로 사용할 때에도 피부 내 삽입된 마이크로니들을 녹이기 위해 장시간의 적용이 필요하여, 환자의 QOL 개선의 측면에서도 보다 적용시간의 단축이 필요하였다. 당뇨병 환자에 대한 인슐린 마이크로니들 투여시에는 빠르게 혈당치를 낮춰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백신 마이크로니들의 투여시에도 30분 정도만에 피부 적용이 종료된다면 그 편리성은 매우 크다.
여기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피부에 적용한다는 것은, 피부에 마이크로니들을 찔러 넣어, 상당 시간 그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한 화장품은, 코스메디 세이야꾸에 의해 세계 최초로 상업적으로 제조되어, 2008년 10월부터 발매되었다(비특허문헌 1). 이 마이크로니들은 팽윤과 용해에 상당한 시간을 요했기 때문에, 수용자로부터는 마이크로니들의 용해 속도를 빠르고,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었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에 함유시키는 유가물에는 매우 고가인 것이나 미량밖에 얻어지지 않는 것도 있다. 이러한 고가의 귀중한 유가물을 소재에 함유시켜 통상법에 의해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제조하면, 유가물은 마이크로니들 부분뿐만 아니라 기판 부분에도 포함되게 된다. 이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피부에 찔러 넣으면, 마이크로니들 부분에 포함된 유가물은 체내에 들어가 확산되는데, 기판 부분에 존재하는 유가물은 이용되지 않고 폐기되어, 고가의 유가물의 이용 효율이 낮아지는 결과가 된다. 고가의 유가물의 손실을 피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니들의 선단부에만 유가물을 보유시키면 된다.
유가물을 마이크로니들의 선단에만 보유시키기 위해서는, 마이크로니들 선단부를 유가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선단부에만 부착시키는 방법이 있다(특허문헌 5). 그러나, 유가물을 단순히 선단에 부착시키는 종래법으로는,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찔러 넣을 때 부착 부분이 꺾이거나 박리되어, 유가물이 충분히 들어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표 제2002-51730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3834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7387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029634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8/139648호
권영숙, 가미야마 후미오 "마이크로니들 제품화로의 도정", 약제학, 샤단호진 니혼야꾸자이각까이, 2009년 9월, 제69권, 제4호, p.272-27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빠르게 용해되고, 빠르게 흡수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을 제공하여, 종래 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즉,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설계를 검토하여,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팽윤과 용해에 시간이 걸리지 않는 마이크로니들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단시간 용해형 마이크로니들은, 수용성 고분자와, 단당류 및 2당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복수종의 당류와의 혼합물을 마이크로니들 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용성 고분자에 단당류나 2당류를 상기 혼합물의 소재 총 중량의 5 내지 40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소재로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면, 마이크로니들의 피부 내 용해 시간을 30분 이내로 할 수 있다. 단당류나 2당류의 혼합량이 5중량%보다 적으면 용해 시간의 단축 효과가 작다. 40중량%를 초과하면 마이크로니들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마이크로니들의 제조가 곤란해질 뿐 아니라, 마이크로니들 사용시에 피부에 찔러 넣기 어려워진다. 마이크로니들의 제조에는, 통상 소재 수용액을 상온에서 주형에 유연시켜 건조시킨 후 주형으로부터 취출하는 방법이 이용되지만,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면 주형으로부터 취출이 곤란해진다. 또한, 기계적 강도가 낮은 마이크로니들은 피부에 찔러 넣을 시에 꺾여 찔러 넣을 수 없다.
수용성 고분자로는 합성 고분자, 예를 들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단백질, 예를 들면 콜라겐(또는 가수분해 콜라겐), 젤라틴; 다당류, 예를 들면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나트륨, 덱스트린, 덱스트란, 프로테오글리칸,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이 적당하다.
수용성 고분자와 혼합하는 단당류, 2당류로는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트레할로오스나 이들의 혼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글루코오스가 가장 적당하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적용할 때, 피부 내에 찔러 넣게 되는 것은 마이크로니들 부분이기 때문에, 마이크로니들 부분의 소재가 수용성 고분자와, 단당류 및 2당류 중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복수종의 당류와의 혼합물이면,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기판 부분은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마이크로니들에는 화장품 원료 내지는 약효 성분, 특히 고분자 약효 성분 등의 유가물을 함침시킬 수도 있다. 유가물의 함량은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가 적당하다. 상기 화장품의 원료로는, 예를 들면 팔미트산아스코르빌, 코지산, 루시놀, 트라넥삼산, 유용성 감초 엑기스, 비타민 A 유도체, 플라센타 엑기스, 아데노신황산 Ma 등의 미백 성분; 레티놀, 레티노산, 아세트산레티놀, 팔미트산레티놀, EGF, 세포 배양 엑기스, 아데노신 등의 주름 방지 성분; α-토코페롤, 아세트산토코페롤, 캅사인(Capsain), 노릴산바니릴아미드 등의 혈행 촉진 성분; 라즈베리케톤, 달맞이꽃 엑기스, 해초 엑기스 등의 다이어트 성분; 이소프로필메틸페놀, 감광소, 산화아연 등의 항균 성분;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K 등의 비타민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약효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생리 활성 펩티드류와 그의 유도체, 핵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백신 용도의 각종 항원 단백질, 박테리아, 바이러스의 단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생리 활성 펩티드류와 그의 유도체로는, 예를 들면 칼시토닌,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PTH), hPTH(1→34), 인슐린, 엑센딘 및 그의 유도체, 세크레틴, 옥시토신, 안지오텐신, β-엔돌핀, 글루카곤, 바소프레신, 소마토스타틴, 가스트린, 황체 형성 호르몬 방출 호르몬, 엔케팔린, 뉴로텐신, 심방성 나트륨 이뇨 펩티드, 성장 호르몬, 성장 호르몬 방출 호르몬, FGF, 브래디키닌, P물질(substance P), 다이노르핀, 에리트로포이에틴, 갑상선 자극 호르몬, 프롤락틴, 인터페론, 인터루킨, G-CSF, 글루타티온퍼옥시다아제,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데스모프레신, 소마토메딘, 엔도텔린 및 이들 염 등을 들 수 있다. 항원 단백질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 HBs 표면 항원, HBe 항원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인 유가물에 대해서는, 마이크로니들 소재의 수용액에 유가물을 용해시키고, 그 수용액을 주형에 유연시켜 건조시킨 후 주형으로부터 취출한다는 통상법에 의해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제조하면, 유가물 함유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제조할 수 있다.
유가물이 고가인 경우에는, 유가물을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전체에 함유시키면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기판 부분에 함유된 유가물이 낭비되기 때문에, 유가물은 마이크로니들 선단부에만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니들 선단을 단순히 유가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부착시키는 것만으로는,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찔러 넣을 때에 유가물 부착 부분이 꺾이거나 박리되어 유가물이 충분히 들어가지 않는다.
유가물이 수용성일 때는, 이하의 절차에 따르면 고가의 유가물을 효율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은 수용성 고분자와 당류(단당류 또는 2당류)의 혼합물을 소재로 하여 제작한다. 유가물은 수용성 고분자와 당류(단당류 또는 2당류)의 혼합물 수용액에 용해시킨다. 마이크로니들의 선단을 유가물 용액에 함침하고, 유가물을 마이크로니들의 선단부에 부착시킨 후 건조시켜 유가물 부착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하면 유가물은 마이크로니들 소재인 수용성 고분자와 당류의 혼합물과 함께 마이크로니들 선단에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마이크로니들과 유가물이 일체화되어, 마이크로니들을 찔러 넣을 시 유가물이 박리되어 떨어지지 않고, 유가물이 체내에 완전히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일체적이란, 원래의 마이크로니들 선단부와 새롭게 부착된 부분 사이에 명확한 경계면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경계 부분에서는, 유가물 수용액이 부분적으로 마이크로니들을 녹이기 때문에, 유가물은 농도 구배를 갖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 때, 마이크로니들 소재의 조성과 유가물 용액에 이용하는 수용성 고분자와 당류(단당류 또는 2당류)의 혼합물의 조성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동일하면 당연히 일체화하지만, 별종 수용성 고분자 또는 별종 당류여도 수용성이면 건조 후의 경계면은 소실되고 일체화하여, 유가물이 박리되지 않는다.
마이크로니들이 피부 내에서 단시간에 용해되면,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피부에 적용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30분 이내 혹은 15분 이내에 용해되면, 마이크로니들의 사용이 보다 용이해져, 화장품 용도에서는 피부과 진찰실이나 미용실에서의 사용이 현실적으로 가능해진다. 또한, 의료 용도에 있어서는 환자에 대한 투여 시간이 단축되어 환자의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유가물을 마이크로니들 선단 부분에 일체적으로 들어가게 하면, 마이크로니들을 찔러 넣을 시에 유가물이 박리되지 않아, 고가의 유가물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마이크로니들 형성용 오목부가 형성된 주형에 마이크로니들 소재 수용액을 채운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주형에 의해 형성한 마이크로니들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마이크로니들의 적용 전과 적용 후의 형상 비교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24 및 비교예 1 내지 13〕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제조법)
실시예 1 내지 24 및 비교예 1 내지 13에서는, 하기의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마이크로니들 소재를 이용하여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제작하였다. 또한, 실시예 11, 12, 17 및 19에서는 후술하는 유가물을 더 첨가하였다.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수용성 고분자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히알루론산은 기꼬망바이오 케미파(주) 제조로 그의 분자량은 80만(상품명: FCH-80LE), 덱스트란은 닛본 벌크 야꾸힝(주)로부터 구입(상품명: 덱스트란 70), 폴리비닐피롤리돈은 BASF 재팬 제조(상품명: 콜리돈 12PF), 콜라겐은 (주)닛삐 제조(상품명: 리야스샤크), 세라틴은 (주)닛삐 제조(상품명: 닛삐 하이그레이트 젤라틴 APAT), 프로테오글리칸은 바이오마테크 재팬(주) 제조(상품명: 내츄럴프로테오글리칸)이다.
표 1 및 표 2에 있어서의 당류로서의 단당류, 2당류, 코지산, 아데노신, 레티노산 및 α-토코페롤,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는 전부 와코 쥰야꾸(주)로부터 구입하였다.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마이크로니들 소재를 이용하여, 하기의 도 1에 나타내는 주형(1)을 이용하여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제작하였다.
즉, 감광성 수지에 광 조사하는 리소그래피법에 의해 소정 형상의 마이크로니들 패턴을 형성한 후, 전기 주조 가공에 의해 소정 형상의 마이크로니들 패턴을 전사한 마이크로니들 형성용 오목부가 형성된 주형을 제조하였다. 이 주형(1)과, 이 주형(1)의 상면에 유입된 마이크로니들 소재의 수용액(2)을 도 1에 도시하였다.
이 마이크로니들 형성용 오목부(11)는, 입구 직경이 0.2mm, 바닥부 직경이 0.04mm, 깊이 0.8mm의 원추대 형상이고, 0.6mm 간격으로 격자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1㎠당 250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주형(1)은 1변이 10cm인 정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주형(1)에 의해 형성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단면 형상을 도 2에 도시하였다. 각 마이크로니들은, 니들 근원의 직경 b가 0.2mm, 선단의 직경 c가 0.04mm, 높이 a가 0.8mm의 원추대상이고, 0.6mm 간격 d로 격자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원형으로 형성했을 때, 1㎠에 약 250개의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이 형상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800-MN이라 기재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니들 근원의 직경 b=0.4mm, 선단 직경 c=0.01mm, 높이 a=0.2mm의 원추대상의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였다. 이 형상의 마이크로니들을 200-MN으로 한다. 이 경우도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위에 마이크로니들은 1㎠에 약 250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1, 12, 17 및 19에서는,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가물로서 코지산, 아데노신, 레티노산 또는 α-토코페롤을 더 첨가하였다. 우선, 마이크로니들 소재의 혼합물을 물에 용해시켜 5 내지 20% 고형분 수용액으로 한다. 유가물인 코지산, 아데노신, 레티노산 또는 α-토코페롤은 각각 소량의 에탄올로 용해시키고, 마이크로니들 소재의 수용액에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본 수용액을 실온하에서 상술한 마이크로니들 형성용 오목부에 유연시켜,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한 후, 박리하여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제작하였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는 직경 1cm의 원상으로 컷팅하였다.
상기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직경 2cm의 원형 16㎛ 두께 PET의 한쪽면에 점착제를 도포한 시트로 배접하여 마이크로니들 패치로 하였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인간 적용시의 용해성 시험)
각종 수용성 고분자와 당류의 조합에 대하여, 표 1,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제조하였다. 이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자원자 4명에게 적용하였다. 마이크로니들을 적용하는 것은, 마이크로니들을 찔러 넣고, 일정 시간 그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적용 부위는 200-MN은 안면에, 800-MN은 상완부에 하였다. 200-MN의 경우에는 15분 후에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제거하여 마이크로니들의 용해 정도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5분 후 4명 중 1명이라도 용해 불완전인 경우, 다시 재시험을 행하여 30분 후의 용해성을 관찰하였다. 800-MN의 경우에는 30분 후에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제거하여 마이크로니들의 용해 정도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관찰에 의해 "완전 용해"인지 "불완전 용해"인지를 판단하여, 4명 중 완전 용해된 비율 명수를 평가 결과로 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예를 들면 3/4는 4명 중 3명이 완전 용해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완전 용해"란 피부 적용 후 니들 형상이 완전히 용해 소실된 것을, "불완전 용해"란 니들 형상이 일부 잔존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표 1은 실시예의 구성 및 결과를, 표 2는 비교예의 구성 및 결과를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은 대체로 30분 이내에 완전히 용해된다.
또한, 표 1, 2에 있어서, 당류 첨가량은 수용성 고분자+당류의 소재 총 중량에 대한 중량%로 나타낸다. 유가물에 대해서, K는 코지산, A는 아데노신, R은 레티노산, V는 α-토코페롤을 나타내고, 첨가량은 소재(수용성 고분자+당류) 총 중량에 대한 중량%로 나타낸다. 또한, *는 양호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가 제조 불능으로, 피부 적용 시험은 실시할 수 없었던 것을 나타낸다.
적용 전과 적용 후의 마이크로니들의 형상 비교를 도 3에 도시하였다. A는 마이크로니들 200-MN의 피부 적용 전의 사진이다. B는 200-MN의 피부 적용 후의 "불완전 용해"의 경우의 사진이다. C는 200-MN의 피부 적용 후의 "완전 용해"의 경우의 사진이다. D는 마이크로니들 800-MN의 피부 적용 전의 사진이다. E는 800-MN의 피부 적용 후의 "불완전 용해"의 경우의 사진이다. F는 800-MN의 피부 적용 후의 "완전 용해"의 경우의 사진이다.
Figure 112020052698084-pat00001
Figure 112020052698084-pat00002
(단시간 용해 마이크로니들에 대한 유가물 장전 방법)
소 인슐린(나카라이테스크 가부시끼가이샤)을 pH 2.5의 염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수용액과 히알루론산(FCH-80LE) 8%와 글루코오스 2%를 포함한 수용액을 혼합하고, 소 인슐린에 관해서 1.0유닛(U)/ml 농도의 유가물을 포함하는 유가물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7과 같이 제작한 바늘 길이 800㎛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마이크로니들 선단 부분 300㎛를 유가물 수용액 내에 침지하고, 즉시 꺼내어 건조시켰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당 소 인슐린의 함량은 0.08유닛이었다. 이하, 이를 소 인슐린 함유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A라 약기한다.
소 인슐린(나카라이테스크 가부시끼가이샤)을 pH 2.5의 염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수용액과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7%와 글루코오스 3%를 포함한 수용액을 혼합하고, 소 인슐린에 관해서 1.0유닛(U)/ml 농도의 유가물을 포함하는 유가물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6과 같이 제작한 바늘 길이 800㎛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마이크로니들 선단 부분 250㎛를 유가물 용액 내에 침지하고, 즉시 꺼내어 건조시켰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당 소 인슐린의 함량은 0.07유닛이었다. 이하, 이를 소 인슐린 함유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B라 약기한다.
난백 알부민(나카라이테스크 가부시끼가이샤)을 pH 7.5의 인산 완충액에 용해시키고, 이 수용액과 히알루론산(FCH-80LE) 8%와 트레할로오스(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2%를 포함한 수용액을 혼합하고, 난백 알부민에 관해서 100㎍/ml 농도의 유가물을 포함하는 유가물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6과 같이 제작한 바늘 길이 800㎛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마이크로니들 선단 부분 200㎛를 유가물 용액 내에 침지하고, 즉시 꺼내어 건조시켰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당 난백 알부민의 함량은 6㎍이었다. 이하, 이를 난백 알부민 함유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라 약기한다.
위스터계 수컷 래트 3마리를 이용하여 복부를 마취하에 제모하였다. 소 인슐린 함유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A, B 및 난백 알부민 함유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각 3매를 이용하여, 스프링식 투여 보조구를 사용하여 상기 래트 복부 피부에 경피 투여하였다. 투여 중,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고정하였다. 30분 후에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취출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더니 전체 예에서 바늘은 피부 내에서 완전 용해되어 있었다.

Claims (6)

  1. 수용성 고분자와, 단당류 및 2당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복수종의 당류와의 혼합물을 마이크로니들 소재로 하고,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나트륨, 히알루론산과 콜라겐의 혼합물, 또는 히알루론산나트륨과 콜라겐의 혼합물이고, 마이크로니들 소재 중에서의 상기 단당류 및 2당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복수종의 당류의 혼합량이 소재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2.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찔러 넣은 후 30분 이내에 용해되는 마이크로니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당류 및 2당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복수종의 당류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수크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복수종의 당류인 마이크로니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당류 및 2당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복수종의 당류가 글루코오스인 마이크로니들.
  5.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마이크로니들 선단에 유가물을 부착시킬 때에, 유가물을 수용성 고분자와 단당류나 2당류와의 혼합물 수용액에 용해시켜 유가물 수용액을 제조하고, 마이크로니들의 선단부를 상기 유가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상기 유가물을 마이크로니들 선단에 일체적으로 유지시키는 마이크로니들.
  6. 피부 내에서 30분 이내에 용해되기 위한, 수용성 고분자와, 단당류 및 2당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복수종의 당류와의 혼합물을 소재로 하고,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나트륨, 히알루론산과 콜라겐의 혼합물, 또는 히알루론산나트륨과 콜라겐의 혼합물이고, 마이크로니들 소재 중에서의 상기 단당류 및 2당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복수종의 당류의 혼합량이 소재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40중량%인 것인,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KR1020207014963A 2012-02-17 2013-02-14 단시간 용해형 마이크로니들 KR102281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48530 2012-02-17
JPJP-P-2012-048530 2012-02-17
PCT/JP2013/053556 WO2013122160A1 (ja) 2012-02-17 2013-02-14 短時間溶解型マイクロニードル
KR1020147020934A KR20140125364A (ko) 2012-02-17 2013-02-14 단시간 용해형 마이크로니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934A Division KR20140125364A (ko) 2012-02-17 2013-02-14 단시간 용해형 마이크로니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377A KR20200062377A (ko) 2020-06-03
KR102281138B1 true KR102281138B1 (ko) 2021-07-26

Family

ID=489842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963A KR102281138B1 (ko) 2012-02-17 2013-02-14 단시간 용해형 마이크로니들
KR1020147020934A KR20140125364A (ko) 2012-02-17 2013-02-14 단시간 용해형 마이크로니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934A KR20140125364A (ko) 2012-02-17 2013-02-14 단시간 용해형 마이크로니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40371713A1 (ko)
EP (1) EP2815784A4 (ko)
JP (1) JP5472770B2 (ko)
KR (2) KR102281138B1 (ko)
CN (1) CN104066475B (ko)
AU (1) AU2013219321B2 (ko)
CA (1) CA2864388C (ko)
WO (1) WO20131221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9249610B2 (en) 2008-05-21 2014-01-16 Theraject, Inc. Method of manufacturing solid solution perforator patches and uses thereof
EP2915557B1 (en) * 2012-11-02 2018-05-09 Cosmed Pharmaceutical Co., Ltd. Retinoic acid microneedle
EP3085357B1 (en) * 2013-12-16 2019-02-13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Microneedle
EP3127552B1 (en) * 2014-04-04 2019-01-23 FUJIFILM Corporation Inactivated whole virion vaccine-containing microneedle array preparation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the same
US10973757B2 (en) * 2014-10-06 2021-04-13 StemProtein, LLC Biodegardable microneedle device
KR102497984B1 (ko) 2015-03-19 2023-02-09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마이크로 니들 제제 및 마이크로 니들 제제의 제조 방법
CN107438432B (zh) 2015-04-06 2022-03-29 株式会社Lg生活健康 蛋白质或肽传递用的可溶性微针
WO2016163753A1 (ko) * 2015-04-06 2016-10-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전달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WO2016163752A1 (ko) * 2015-04-06 2016-10-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난용성 약물 전달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US11000472B2 (en) 2015-04-06 2021-05-11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Soluble microneedle for delivering poorly-soluble drug
KR102451112B1 (ko) * 2015-04-29 2022-10-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글루타치온 함유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CN106176204B (zh) * 2015-05-08 2018-06-19 上海拓勤贸易有限公司 药针
KR102203635B1 (ko) * 2015-06-10 2021-01-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속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JP6173616B2 (ja) * 2015-06-30 2017-08-02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126242A (zh) * 2015-07-26 2015-12-09 北京化工大学 一种便于抗生素皮试的高分子涂层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JP2017051312A (ja) * 2015-09-08 2017-03-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
KR102494544B1 (ko) 2015-09-15 2023-02-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소아마비 백신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2494067B1 (ko) 2015-09-15 2023-01-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홍역 백신을 포함하는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2509435B1 (ko) 2015-09-15 2023-03-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전달을 위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2486502B1 (ko) 2015-09-15 2023-01-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여드름 치료제 전달을 위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2494543B1 (ko) 2015-09-15 2023-02-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Hpv 백신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2494065B1 (ko) 2015-09-15 2023-01-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70032800A (ko) 2015-09-15 2017-03-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형 간염 치료를 위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70032809A (ko) 2015-09-15 2017-03-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B형 간염 치료를 위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70032805A (ko) 2015-09-15 2017-03-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B형 간염 예방 접종을 위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70032806A (ko) 2015-09-15 2017-03-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상처 치유 및 2차 감염 예방을 위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2494064B1 (ko) 2015-09-15 2023-01-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염 효과를 가지는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70040767A (ko)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마스크 키트
KR102494542B1 (ko) 2015-10-20 2023-02-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아토피 피부염에서 가려움증 치료제를 함유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JP6634623B2 (ja) * 2015-11-27 2020-01-22 ライオン株式会社 溶解型マイクロニードル製剤
JP6970954B2 (ja) * 2016-03-16 2021-11-24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フコイダン育毛剤
KR101719319B1 (ko) * 2016-04-05 2017-03-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효율적인 피부 천공을 위한 마이크로니들 구조
KR101779393B1 (ko) * 2016-07-22 2017-09-19 주식회사 파마리서치프로덕트 핵산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9243B1 (ko) 2016-09-01 2021-05-06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마이크로 니들·시트
KR101868872B1 (ko) * 2016-10-28 2018-06-19 권영덕 마이크로 니들 및 그 제조 방법
CN107184417B (zh) * 2017-03-31 2020-04-28 广州新济药业科技有限公司 可溶性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CN107375008B (zh) * 2017-07-19 2020-07-10 广州新济药业科技有限公司 用于美白的可溶性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WO2019059425A1 (ko) * 2017-09-19 2019-03-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세바늘패치를 이용한 히알루론산 필러
CN107569447B (zh) * 2017-09-20 2021-06-18 广州新济薇娜生物科技有限公司 载有结核菌素纯蛋白衍化物的可溶性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CN108371750B (zh) * 2018-02-24 2021-06-11 上海揽微医疗器械有限公司 金属微针阵列阴模模具的制备方法
JP6567716B1 (ja) * 2018-03-19 2019-08-28 ナショナル・タイペイ・ユニバーシティ・オブ・テクノロジーNational Taipei University of Technology 生分解性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
US11690799B2 (en) 2018-04-19 2023-07-04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Microneedle system for applying interferon
KR102166065B1 (ko) * 2018-08-06 2020-10-15 주식회사 코스칼드바이오 생체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및 이의 제작 방법
CN110947085A (zh) * 2018-09-27 2020-04-03 中科微针(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加速聚乙烯醇可溶性微针成型和速溶给药的方法及制备的微针
JP2021164635A (ja) 2020-04-03 2021-10-14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短時間溶解マイクロニードル
KR102442818B1 (ko) * 2020-09-16 2022-09-13 이승욱 화장품 기구 및 이를 이용한 고체상 화장품과 고체상 액체상 혼합 화장품
KR102414320B1 (ko) * 2020-09-21 2022-06-29 이승욱 다공성 패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 시트 화장품 기구
CN114324196A (zh) * 2020-09-29 2022-04-12 华中科技大学 用于增强皮肤光透明性的可溶性聚合物微针的制备及应用
CN112321870B (zh) * 2020-11-06 2022-11-18 浙江工商大学 一种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675124A (zh) * 2020-12-29 2021-04-20 浙江摩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改性自溶性透明质酸微针的制备方法及其在戒毒药物领域的应用
CN114681354A (zh) * 2020-12-31 2022-07-01 苏州悦肤达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KR20240046503A (ko) * 2021-08-20 2024-04-09 코스메드 파마소티컬 씨오 쩜 엘티디 고성능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CN114129887A (zh) * 2021-11-19 2022-03-04 烟台魔技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水溶的微针及其制备方法
CN114558242B (zh) * 2022-03-04 2022-09-27 优微(珠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溶性微针及其制造方法
CN116440058A (zh) * 2022-10-09 2023-07-18 浙江大学 载胰高血糖素微针贴片
CN117883360A (zh) * 2022-10-09 2024-04-16 深圳青澜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微针制剂及微针贴片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0654A1 (en) 2003-12-19 2006-05-11 Mitsuo Fukuda Medical needle and medical device
JP2009273872A (ja) * 2008-04-14 2009-11-26 Kosumedei Seiyaku Kk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
JP2011224308A (ja) * 2010-04-21 2011-11-10 Kosumedei Seiyaku Kk マイクロニードル溶着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102B2 (ja) * 1975-09-29 1983-02-14 シンニホンムセン カブシキガイシヤ マグネトロンインキヨクノ コウゾウ
WO1999064580A1 (en) 1998-06-10 1999-12-16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Microneedle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JP4090018B2 (ja) 2002-02-18 2008-05-28 For Head株式会社 機能性マイクロパ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54321A (ja) * 2003-11-25 2005-06-16 Nano Device & System Research Inc アスコルビン酸投与用マイクロニードル
JP2007130417A (ja) * 2005-11-08 2007-05-31 Nano Device & System Research Inc 経皮投与装置
US20090182306A1 (en) * 2006-07-21 2009-07-16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Microneedle Devices and Methods of Drug Delivery or Fluid Withdrawal
WO2008062832A1 (fr) * 2006-11-22 2008-05-29 Toppan Printing Co., Ltd. Matrice à micro-aiguilles et son procédé de production
AU2008241470B2 (en) * 2007-04-16 2013-11-07 Corium Pharma Solutions, Inc. Solvent-cast microneedle arrays containing active
JP2008284318A (ja) * 2007-05-15 2008-11-27 Kosumedei Seiyaku Kk 生体由来物質からなる投薬用微細針
EP2153863B1 (en) 2007-05-15 2022-03-16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Method of coating microneedle
AU2009249610B2 (en) * 2008-05-21 2014-01-16 Theraject, Inc. Method of manufacturing solid solution perforator patches and uses thereof
JP4521492B2 (ja) 2008-07-01 2010-08-11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JP5408592B2 (ja) * 2010-03-19 2014-02-05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の迅速溶解法
JP2011224332A (ja) * 2010-03-29 2011-11-10 Fujifilm Corp 経皮吸収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GB201107642D0 (en) * 2011-05-09 2011-06-22 Univ Cork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0654A1 (en) 2003-12-19 2006-05-11 Mitsuo Fukuda Medical needle and medical device
JP2009273872A (ja) * 2008-04-14 2009-11-26 Kosumedei Seiyaku Kk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
JP2011224308A (ja) * 2010-04-21 2011-11-10 Kosumedei Seiyaku Kk マイクロニードル溶着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89432A (ja) 2013-09-26
EP2815784A1 (en) 2014-12-24
AU2013219321A8 (en) 2014-10-23
WO2013122160A1 (ja) 2013-08-22
CN104066475A (zh) 2014-09-24
JP5472770B2 (ja) 2014-04-16
EP2815784A4 (en) 2015-07-01
CA2864388A1 (en) 2013-08-22
CA2864388C (en) 2020-07-14
US20140371713A1 (en) 2014-12-18
AU2013219321B2 (en) 2017-07-20
CN104066475B (zh) 2018-07-27
KR20200062377A (ko) 2020-06-03
AU2013219321A1 (en) 2014-09-18
KR20140125364A (ko) 201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1138B1 (ko) 단시간 용해형 마이크로니들
JP5800799B2 (ja) プロテオグリカンを含有する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
TWI554289B (zh) 鑲嵌式經皮藥物釋放貼片及其製造方法
JP4427691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
US8167852B2 (en) Microneedle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472673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
JP5267910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
WO2013057819A1 (ja) マイクロニードル溶着法
EP3563900B1 (en) Microneedle array coated with drug
JP2009254756A (ja)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
JP2011224308A (ja) マイクロニードル溶着法
JP6198373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
WO2018047800A1 (ja) 双針型マイクロニードル
JP5778622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溶着法
KR20240046503A (ko) 고성능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