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257B1 -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257B1
KR102272257B1 KR1020140016377A KR20140016377A KR102272257B1 KR 102272257 B1 KR102272257 B1 KR 102272257B1 KR 1020140016377 A KR1020140016377 A KR 1020140016377A KR 20140016377 A KR20140016377 A KR 20140016377A KR 102272257 B1 KR102272257 B1 KR 102272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o
reverse rotation
lifting
vehicl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5265A (ko
Inventor
감병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40016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257B1/ko
Publication of KR20150095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1/00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 A01B61/02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of the coupling devices between tractor and machine
    • A01B61/025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of the coupling devices between tractor and machine the driving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2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는, PTO 장치의 역회전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역회전 PTO 검출수단,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 3점부 승강 장치에 연결된 작업기의 위치 파악을 위한 승강암 센서, 3점부 승강 장치의 승강 구동 단속을 위한 솔레노이드 및 역회전 PTO 검출수단, 차속 센서, 승강암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 및 방법{Reverse rotating Power Take Off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s of agriculture vehicle}
본 발명은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역회전 가능한 PTO 장치를 구비하는 트랙터와 같은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Tractor)'라 불리우는 농용 작업차는 구조적으로 일반 자동차와 비슷하지만 강력한 엔진을 장착하고 있어 견인력이 좋고 튼튼하여 경작용(耕作用)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경작 용도로의 활용을 위해 기체 후방으로 다양한 형태의 작업기를 선택적으로 부착하거나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농용 작업차는 엔진에서 출력된 동력 중 비변속 동력이 엔진 출력축에 직결되는 동력 취출용 PTO 축을 거쳐 차량 후방에 연결되는 작업기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제공되며, 주변속장치와 부변속장치를 거쳐 주행 또는 작업에 적합한 속도로 변속된 동력은 변속장치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축을 거쳐 차륜 측에 주행을 위한 동력으로 제공된다.
작업기를 구동시키는 상기 PTO 축은 정회전 상태에서 통상의 작업이 행해짐에 따라 일방향(정회전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특수한 상황(로터리 작업 시 정회전 PTO 사용에 따라 논 혹은 밭 가장자리에 쌓인 흙을 평평하게 펴주기 위한 작업)에 대비해 PTO의 회전 방향을 정/역 전환 가능하게 구성한 것도 있다.
그러나 PTO 축의 회전 방향을 정/역 전환 가능하게 구성한 농용 작업차라도, 대부분의 작업이 정회전 작업인 점을 고려해 정회전 방향으로 양호한 내구성이 발휘되도록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동력 전달부가 설계되어 있으며, 때문에 역회전 방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동력 전달부의 내구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역회전 PTO 상태에서의 작업이 지속될 경우 동력 전달 계통 즉, 미션(변속기) 내부의 기어류 또는 전동축 등의 동력 전달부품에 심각한 손상이 초래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고 RPM 영역에서 역회전 PTO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기어치 파손이나 전동축 비틀림 등 심각한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더욱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0-087773호(공개일 2000. 03. 28)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역회전 PTO 사용 시 역회전 방향 과부하에 수반되는 미션 내부의 전동기구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업기 승강을 위한 3점부 승강 장치와 역회전 가능한 PTO 장치를 구비한 농용 작업차에 있어서, PTO 장치의 역회전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역회전 PTO 검출수단;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 상기 3점부 승강 장치에 연결된 작업기의 위치 파악을 위한 승강암 센서; 상기 3점부 승강 장치의 승강 구동 단속을 위한 솔레노이드; 및 상기 역회전 PTO 검출수단, 차속 센서, 승강암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역회전 PTO 검출수단에 의해 PTO 장치의 역회전 작동 상태가 검출되고, 전진 방향에 대해 상기 차속 센서가 검출한 차속이 미리 입력된 속도 이상이며, 상기 승강암 센서가 검출한 3점부 승강 장치의 위치가 작업위치인 경우 위험 상황임을 작업자가 인식 가능하도록 표출하는 경고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고수단은, 역회전 PTO 검출수단에 의해 PTO 장치의 역회전 작동 상태가 검출되고, 전진 방향에 대해 차속 센서가 검출한 차속이 미리 입력된 속도 이상이며, 승강암 센서가 검출한 3점부 승강 장치의 위치가 작업위치인 상태가 일정 시간 동안 계속되는 경우 동작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수단 동작 이후에도 불구하고 PTO 축이 역회전 상태에서 일정 속도 이상의 작업이 일정 시간 계속되면, 상승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승강암을 상승 이동시키는 제어가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고수단 비적용의 경우에는, 상기 역회전 PTO 검출수단이 PTO 장치를 통해 역회전 작동 상태가 검출되고, 전진방향에 대해 상기 차속 센서가 검출한 차속이 미리 입력된 속도 이상이며, 상기 승강암 센서가 검출한 3점부 승강 장치의 위치가 작업위치에 있는 상태로 일정 시간 계속되면, 상기 콘트롤러 제어에 의해 상승 솔레노이드가 작동하고 승강암이 상승 이동될 수 있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PTO 장치의 정/역 작동 상태, 차량의 주행 방향과 속도, 작업기 위치에 기반해 3점부 승강 장치의 제어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단계; 및 제1 단계에 의한 판단결과 3점부 승강 장치의 제어가 필요한 경우로 판단되면, 3점부 승강 장치 승강 구동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제어를 통해 3점부 승강 장치가 상승 이동되도록 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계에서는 PTO 축이 역회전 구동상태에 있고, 차량이 전진 방향으로 미리 입력된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며, 3점부 승강 장치에 연결된 작업기 위치가 작업위치에 있는 상태가 일정 시간 계속된 경우 3점부 승강 장치의 제어가 필요한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계를 통한 판단 결과 3점부 승강 장치의 제어가 필요한 경우로 판단된 경우 제2 단계를 통한 3점부 승강 장치의 상승 제어 전, 위험 상황임을 작업자가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는 경고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회전 PTO 동작 상태에서 일정 속도 이상으로 작업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경우 위험 상황임을 경고하거나 3점부 승강 장치를 상승시켜 작업기를 들어 올림으로써, 역회전 PTO 동작 시 미션 내부 부품(기어류)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 파손에 따라 정비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회전 PTO 제어장치를 탑재한 농용 작업차의 측면도.
도 2는 농용 작업차 후미에 배치되는 작업기 승강 장치부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난 3점부 승강 장치 사시도.
도 4는 트랙터의 상기 3점부 승강 장치의 승강 관련 유압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회전 PTO 제어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기 승강 관련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회전 PTO 제어를 위한 제어로직.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및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회전 PTO 제어장치를 탑재한 농용 작업차의 측면도이며, 도 2, 도 3은 차량 후미의 작업기 승강 장치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들로서, 역회전 PTO 제어장치를 탑재한 농용 작업차의 전체적인 구성부터 먼저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역회전 PTO 제어장치를 탑재한 농용 작업차의 일례로서 트랙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트랙터는, 전륜(FW)과 후륜(RW)으로 구분되는 주행륜을 구비하며, 차량 중앙부에는 차량 조작을 위한 운전석(1)이 마련된다. 운전석(1) 전방에는 엔진(5)을 비롯하여 차량 구동에 관여하는 주요부품이 탑재되는 엔진룸(3)이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 후미에는 작업기 예컨대, 로터리 장치 연결을 위한 3점식 승강 장치가 구비된다.
엔진(5)은 풋악셀페달 또는 핸드악셀레버의 변위를 센서가 감지하고 그 감지된 변위 값을 기반으로 한 엔진제어유닛(ECU, 미도시)의 제어로서 출력이 조절되는 전자식 다기통 엔진이거나 케이블 변위로 출력이 조절되는 기계식 엔진일 수 있으며, 보닛(4)에 의해 보호되는 엔진룸(3) 저부에 엔진(5)이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종(縱)으로 배치된다.
엔진룸(3)에는 또한,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산화시키고 걸러내는 일련의 정화처리를 위한 후처리장치(미도시)가 설치되며, 엔진(3) 과열 방지를 위한 냉각수가 냉각될 수 있도록 순환경로를 형성하는 라디에이터(7)가 차량 주행 시 도입되는 외기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엔진룸 앞쪽에 배치된다.
운전석(1)에는 전륜 조향을 위한 조향력이 입력되는 조향 핸들(스티어링 휠, 11)이 배치되고, 각종 조작레버, 버튼, 그리고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조향실린더(미도시)로 공급될 작동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파워스티어링유닛(도시 생략)이 스티어링컬럼유닛(10)을 매개로 상기 조향 핸들(11)과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엔진에서 출력된 동력 중 비변속 동력은 미션(변속기, 9) 내에 배치되며 엔진 출력축에 직결되는 동력 취출용 PTO 축(12)을 거쳐 차량 후방에 연결되는 작업기(2)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제공되며, 미션(9) 내 주변속장치와 부변속장치에 의한 변속동력은 미션 내 주행계 구동축을 통해 차륜 측에 주행을 위한 동력으로 제공된다.
동력 취출용 PTO 축(12)을 포함하는 PTO 장치는, 조작수단 예컨대, 역회전 PTO 검출수단(도 5 참조) 조작에 따라 상기 주행계 구동축과는 독립해 PTO 축의 회전방향을 정/역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정역전환 장치(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때 정역전환 장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공지된 형태의 싱크로 메쉬 타입 기어 기구의 구성일 수 있다.
작업기(2) 연결을 위해 차량 후미에 배치되는 상기 승강 장치(6)는 도 2를 통해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의 탑 링크(Top link, 60)와 한 쌍의 좌우측 로워 링크(Lower link, 62)를 포함하는 공지된 3점부 승강 장치일 수 있으며, 좌우측 승강암(64)의 단부와 상기 좌우측 로워 링크(62)가 각각 승강 로드(66)를 통해 연결 되어 있다.
미션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65, 도 1 참조)의 신축으로 상기 승강암(64)이 회동하고 로워 링크(62)가 승강암(64)의 회동에 연동하여 기체 후부의 피봇 지점(P)을 기준으로 상하로 승강함에 따라 작업기(2)를 승강시킨다. 이때 승강암(64)의 회동 축에 설치되는 승강암 센서가 승강암(64)의 회동 각도를 검출함으로써 작업기(2)의 승강높이가 산출된다.
도 4는 트랙터의 상기 3점부 승강 장치의 승강 관련 유압 회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PTO 축의 회전 방향 전환을 위한 정역전환 장치는 운전석 주변에 배치되는 PTO 정/역전 레버(13, 도 1 참조)의 조작에 따라 PTO 축을 정방향이나 역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시키며, PTO 정/역전 레버(13)를 역전 위치로 전환했을 때 PTO 축의 역회전 작동 상태를 역회전 PTO 검출수단(32)이 검출하고 해당 검출신호를 콘트롤러(30)에 제공한다.
콘트롤러(30)는 운전석 주변에 배치되는 작업기 승강 레버(미도시)의 조작에 따른 각도 센서 예컨대, 포텐셔 미터(potentiometer)의 검출 신호를 제공받아 작업기 승강 레버의 조작 위치를 판별하며, 포텐셔 미터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승강제어밸브(35)의 상승 솔레노이드(35a) 또는 하강 솔레노이드(35b)에 제어 신호를 보내 승강실린더(65)의 구동을 단속함으로써 승강암(64)을 회동시킨다.
승강암(64)의 승강에 관여하는 상기 승강제어밸브(35)는 크게, 상승 메인 스풀(35c), 상승 솔레노이드(35a), 하강 메인 스풀(35d), 하강 솔레노이드(35b), 언로드 밸브(35e)로 구성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전기적 각도 센서가 부착된 상기 승강 레버를 가볍게 움직이면 이에 상응하여 솔레노이드가 작동하고 따라서 상승용 혹은 하강용 메인 스풀(35c 또는 35d)이 열리거나 닫혀 승강암(64)이 승강될 수 있다.
콘트롤러(30)는 특히, 역회전 PTO 검출수단(32)과 승강암 센서(34), 그리고 차속 센서(36)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해 PTO 축의 역회전 상태에서의 작업인지를 판별하여, 역회전 작업상태가 일정 시간 지속되면 승강실린더(65)의 구동을 단속하는 승강제어밸브(35)의 상승 솔레노이드(35a)에 제어 신호를 보내 승강암(64)이 상승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PTO 축(12)의 역회전 작업 판별에 있어서는, 역회전 PTO 검출수단(32)을 통해 PTO 축의 역회전 작동 감지됨과 함께, 전후진 레버가 전진 위치에 있음이 전진 스위치(31)를 통해 검출되고, 차속 센서(36)가 검출한 차속이 미리 입력된 속도이상이며, 승강암 센서(34)가 검출한 승강암(64)의 위치가 작업위치(하강 위치)에 있을 경우 PTO 역회전 작업인 것으로 볼 수 있다.
PTO 검출수단(32)은 PTO 정/역전 레버 동작에 따라 오프(OFF)/온(ON)되는 스위치이거나, PTO 축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여 역회전 작동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입력된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2km 이상일 수 있다.
역회전 PTO 작업 상태에서 미리 입력된 속도 바람직하게는, 2km 이상으로 작업이 일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진행된다면, 앞서도 설명했듯이 전동을 위한 기어류 등 미션 내에 배치되는 부품에 치명적인 손상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역회전 PTO 작업 상태인 것으로 판별되고 그 상태가 일정 시간 지속되면, 콘트롤러(30)에 의한 상승 솔레노이드(35a) 제어를 통해 승강암(64)을 상승 이동시켜 작업기(로터리 장치)를 작업 대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도 6의 작동 상태도 참조), 역회전 PTO 작업에 따른 미션 내부에 배치된 부품에 과잉 부하가 전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역회전 PTO 작업 상태에서 미리 입력된 속도 이상으로 작업이 연속적으로 일정 시간 진행됨에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상승 솔레노이드(35a) 제어를 통해 작업기를 들어 올리기 전 현재 PTO 장치의 구동 상태가 고부하로 인해 부품 파손 등의 위험이 큰 상황임을 작업자(운전자)가 인식 가능하도록 표출하는 경고수단 예컨대, 부져나 램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고수단을 적용한 경우, 상기 경고수단의 동작에도 불구하고 PTO 축(12)이 역회전 상태에서 일정 속도 이상의 작업이 계속된다면, 비로서 상기 콘트롤러(30)가 개입해 상승 솔레노이드(35a)의 제어를 위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해 승강실린더(65)가 승강암(64)을 상승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작업기(2)가 작업 대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도 7은 역회전 PTO 제어를 위한 구체적인 제어로직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역회전 PTO 제어장치를통해 수행되는 역회전 PTO 제어과정을 상기 제어장치의 작동과 연계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차속 센서, 역회전 PTO 검출수단, 전진 스위치, 승강암 센서 초기화 상태에서, 상기 센서 및 스위치들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콘트롤러가 3점부 승강 장치 승강에 개입할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역회전 PTO 검출수단에 의해 PTO 축의 역회전 작동 상태가 감지되고, 전진/후진 레버가 전진 위치에 있음이 전진 스위치를 통해 검출되고, 3점부 승강 장치에 연결된 작업기 위치 즉, 승강암 센서가 검출한 승강암의 위치가 작업위치(상승 솔레노이드=0)에 있으며, 설정 속도 이상으로 전진이동하는 역회전 PTO 작업상황이 일정 시간 계속되면 제어가 필요한 경우로 판단한다.
상기 조건이 만족되어 3점부 승강 장치의 제어가 필요한 경우로 판단되면, 3점부 승강 장치 승강 구동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제어를 통해 3점부 승강 장치가 상승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가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승강실린더 구동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중 상승 솔레노이드에 제어 신호를 보내 승강암이 상승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즉, 역회전 PTO 작업 상태인 것으로 판별되고 그 상태가 일정 시간 지속된 때 콘트롤러는 미션 내부 부품(기어류)에 심각한 손상이 초래될 수 있는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승 솔레노이드 제어를 통해 승강암을 상승 이동시켜 작업 중에 있는 작업기(로터리 장치)를 들어 올려 역회전 PTO 작업에 따른 부품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역회전 PTO 작업 상태에서 미리 입력된 속도 이상으로 작업이 연속적으로 일정 시간 진행될 경우 경우에 따라서는, 상승 솔레노이드 제어를 통해 작업기를 들어 올리기 전(前), 현재 PTO 장치의 구동 상태가 고부하로 인해 부품 파손 등의 위험이 큰 상황임을 작업자(운전자)가 인식 가능하도록 표출하는 경고단계를 중간에 거칠 수도 있다.
경고단계가 적용된 경우에 있어서는, 경고수단의 동작에도 불구하고PTO 축이 역회전 상태에서 일정 속도 이상의 작업이 계속될 경우, 비로서 상기 콘트롤러가 개입해 상승 솔레노이드를 제어를 위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승강실린더가 승강암을 상승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동작하여 3점부 승강 장치에 연결된 작업기를 들어 올리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회전 PTO 동작 상태에서 일정 속도 이상으로 작업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경우 위험 상황임을 경고하거나 3점부 승강 장치를 상승시켜 작업기를 들어 올림으로써, 역회전 PTO 동작 시 미션 내부 부품(기어류)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 파손에 따라 정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운전석 2 : 작업기
5 : 엔진 6 : 3점부 승강 장치
9 : 미션(변속기 12 : PTO 축
13 : PTO 정/역전 레버 30 : 콘트롤러
31 : 전진 스위치 32 : 역회전 PTO 검출수단
34 : 승강암 센서 35 : 승강제어밸브
35a : 상승 솔레노이드 36 : 차속센서
60 : 탑 링크 62 : 로워 링크
64 : 승강암 65 : 승강실린더
66 : 승강로드

Claims (8)

  1. 작업기 승강을 위한 3점부 승강 장치와 역회전 가능한 PTO 장치를 구비한 농용 작업차에 있어서,
    PTO 장치의 역회전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역회전 PTO 검출수단;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
    상기 3점부 승강 장치에 연결된 작업기의 위치 파악을 위한 승강암 센서;
    상기 3점부 승강 장치의 승강 구동 단속을 위한 솔레노이드; 및
    상기 역회전 PTO 검출수단, 차속 센서, 승강암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역회전 PTO 검출수단, 차속 센서, 승강암 센서의 검출 신호의 조합이 소정이 판별 조건을 만족하면 PTO 역회전 작업으로 판단하고, PTO 역회전 작업으로 판단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를 제어하여 승강 장치의 승강암을 상승시켜 작업기를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 PTO 검출수단에 의해 PTO 장치의 역회전 작동 상태가 검출되고, 전진 방향에 대해 상기 차속 센서가 검출한 차속이 미리 입력된 속도 이상이며, 상기 승강암 센서가 검출한 3점부 승강 장치의 위치가 작업위치인 경우 위험 상황임을 작업자가 인식 가능하도록 표출하는 경고수단;을 더 포함하는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은, 역회전 PTO 검출수단에 의해 PTO 장치의 역회전 작동 상태가 검출되고, 전진 방향에 대해 차속 센서가 검출한 차속이 미리 입력된 속도 이상이며, 승강암 센서가 검출한 3점부 승강 장치의 위치가 작업위치인 상태가 일정 시간 동안 계속되는 경우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 동작 이후에도 불구하고 PTO 축이 역회전 상태에서 일정 속도 이상의 작업이 일정 시간 계속되면, 상기 콘트롤러 제어에 의해 상승 솔레노이드가 작동하고 승강암이 상승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PTO 장치의 역회전 작동 상태가 상기 역회전 PTO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고,
    전진방향에 대해 상기 차속 센서가 검출한 차속이 미리 입력된 속도 이상이며,
    상기 승강암 센서가 검출한 3점부 승강 장치의 위치가 작업위치에 있는 상태로 일정 시간 계속되면,
    상기 콘트롤러는 PTO 역회전 작업 판단을 위한 상기 소정의 판별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승 솔레노이드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암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
  6. PTO 장치의 정/역 작동 상태, 차량의 주행 방향과 속도, 작업기 위치에 기반해 3점부 승강 장치의 제어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단계; 및
    제1 단계에 의한 판단결과 3점부 승강 장치의 제어가 필요한 경우로 판단되면, 솔레노이드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 장치를 상승 이동시키는 제2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계에서는 PTO 축이 역회전 구동상태에 있고, 차량이 전진 방향으로 미리 입력된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며, 3점부 승강 장치에 연결된 작업기 위치가 작업위치에 있는 상태가 일정 시간 계속되는 PTO 역회전 작업인 경우 3점부 승강 장치의 제어가 필요한 경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제1 단계를 통한 판단 결과 3점부 승강 장치의 제어가 필요한 경우로 판단된 경우 제2 단계를 통한 3점부 승강 장치의 상승 제어 전, 위험 상황임을 작업자가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는 경고단계;를 더 포함하는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방법.
KR1020140016377A 2014-02-13 2014-02-13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272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377A KR102272257B1 (ko) 2014-02-13 2014-02-13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377A KR102272257B1 (ko) 2014-02-13 2014-02-13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265A KR20150095265A (ko) 2015-08-21
KR102272257B1 true KR102272257B1 (ko) 2021-07-05

Family

ID=5405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377A KR102272257B1 (ko) 2014-02-13 2014-02-13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627B1 (ko) 2022-03-29 2022-08-12 주식회사 긴트 자율 주행을 지원하는 농기계의 셔틀 레버의 위치에 따라서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6725A (ja) * 1998-08-18 2000-03-03 Bio Oriented Technol Res Advancement Inst 作業車両及び作業車両の異常検出・対応方法
JP2000087773A (ja) * 1998-09-11 2000-03-28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0139193A (ja) 1998-11-12 2000-05-23 Kubota Corp 作業車の警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7906B2 (ja) * 1998-06-17 2004-08-25 井関農機株式会社 農業機械の液晶表示装置
JP3772539B2 (ja) * 1998-07-15 2006-05-10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における作業機昇降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6725A (ja) * 1998-08-18 2000-03-03 Bio Oriented Technol Res Advancement Inst 作業車両及び作業車両の異常検出・対応方法
JP2000087773A (ja) * 1998-09-11 2000-03-28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0139193A (ja) 1998-11-12 2000-05-23 Kubota Corp 作業車の警報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627B1 (ko) 2022-03-29 2022-08-12 주식회사 긴트 자율 주행을 지원하는 농기계의 셔틀 레버의 위치에 따라서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KR102437613B1 (ko) 2022-03-29 2022-08-30 주식회사 긴트 자율 주행을 지원하는 농기계의 셔틀 레버의 위치에 따라서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KR102437611B1 (ko) 2022-03-29 2022-08-30 주식회사 긴트 자율 주행을 지원하는 농기계의 셔틀 레버의 위치에 따라서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KR102437612B1 (ko) 2022-03-29 2022-08-30 주식회사 긴트 자율 주행을 지원하는 농기계의 셔틀 레버의 위치에 따라서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KR102437610B1 (ko) 2022-03-29 2022-08-30 주식회사 긴트 자율 주행을 지원하는 농기계의 셔틀 레버의 위치에 따라서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265A (ko) 201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423277A (zh) 作业车辆
KR102272257B1 (ko) 농용 작업차의 역회전 pto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6304805A (ja) 農作業機の操作装置
JP6435680B2 (ja) 作業車両
JP5950525B2 (ja) 電動農作業車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7195492A (ja) 自動旋回制御式苗移植機
KR20160043446A (ko) 농업용 작업차 및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
KR20230148885A (ko) 작업 차량의 역회전 pto 제어 장치
JP7196785B2 (ja) 作業車
JP2007131219A (ja) 作業車の前輪増速駆動装置
JP5125260B2 (ja) トラクタ
JP6258784B2 (ja) トラクタ
JP2015216907A (ja) トラクタ
JP4848602B2 (ja) 動力車両
JP3918223B2 (ja) トラクタの操向制御装置
JP5404011B2 (ja) 移植機
JP3651194B2 (ja) 作業車両のトレッド変更制御装置
JP2015008678A (ja) 作業車両
JP5524753B2 (ja) 作業車両
JPH0522023Y2 (ko)
JP2006232142A (ja) 作業車両の旋回制御装置
JP2010216316A (ja) 作業車両のエンジン負荷制御装置
JP5081008B2 (ja) 作業車の走行変速構造
JP3893692B2 (ja) 動力車両のトレッド調節装置
JP4023651B2 (ja) 作業車の作業装置昇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