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446A - 농업용 작업차 및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 및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446A
KR20160043446A KR1020140137840A KR20140137840A KR20160043446A KR 20160043446 A KR20160043446 A KR 20160043446A KR 1020140137840 A KR1020140137840 A KR 1020140137840A KR 20140137840 A KR20140137840 A KR 20140137840A KR 20160043446 A KR20160043446 A KR 20160043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o shaft
auxiliary power
shaft
pto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도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7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3446A/ko
Publication of KR20160043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농업용 작업차 및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는, 엔진 출력축에 직결된 PTO 축의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검출수단과, PTO 축에 부하가 검출된 때 PTO 축에 보조동력을 제공하는 보조동력원으로 이루어진 PTO 축 부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작업기에 고부하가 걸려 PTO 출력이 저하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고 보조동력원을 구동시켜 출력 저하가 보상되도록 한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 및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Agriculture vehicle include the Power Take Off shaft load controlling device and load controlling methods of agriculture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 및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농업용 작업차 후방에 부착된 작업기 구동을 위한 동력을 출력하는 PTO 축의 부하 제어를 위한 수단을 갖춘 농업용 작업차 및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Tractor)' 라 불리우는 농용 작업차는 구조적으로 일반 자동차와 비슷하지만 강력한 엔진을 장착하고 있어 견인력이 좋고 튼튼하여 경작용(耕作用)으로 주로 이용되며, 경작의 용도로 활용을 위해 기체 후방으로 다양한 형태의 작업기를 선택적으로 부착하거나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인 농업용 작업차는 엔진에서 출력된 동력 중 비변속 동력이 엔진 출력축에 직결되는 동력 취출용 PTO 축을 거쳐 차량 후방에 연결되는 작업기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제공되며, 주변속장치와 부변속장치를 거쳐 주행 또는 작업에 적합한 속도로 변속된 동력은 변속장치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축을 거쳐 차륜 측에 주행을 위한 동력으로 제공된다.
PTO 축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작업기 중에서도 논밭을 갈거나 복토작업을 위해 로터리 장치가 주로 많이 쓰인다. 로터리 장치는 회전축에 원주방향으로 부착된 다수의 날이 작업 대상면을 파고든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경작 대상부의 조건(무르거나 굳은 정도)이나 작업이동속도에 따라 작업기에 걸리는 부하도 달라진다.
그러나 작업기에 걸리는 부하가 커질수록 그 부하에 비례해 작업기의 구동속도가 떨어지는 등 안정적인 구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이로 인해 전반적인 작업품질 및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큰 부하일수록 PTO 축이 연결된 동력전달계통에 무리가 가해지므로 동력전달계통의 내구성 악화가 초래될 우려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3-029206호(공개일 2013. 2. 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PTO 축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작업기가 부하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PTO 축 부하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농업용 작업차 및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엔진 출력축에 직결된 PTO 축의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검출수단 및 PTO 축에 부하가 검출된 때 해당 부하 해소를 위한 보조동력을 제공하는 보조동력원으로 이루어진 PTO 축 부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부하검출수단은, 상기 PTO 축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PTO 축 회전수 검출부, 연료 분사량에 따른 엔진의 이론 회전수가 기록된 저장매체, PTO 축 회전수 검출부가 검출한 실제의 회전수와 저장매체에 기록된 이론 회전수를 비교하고, 해당 비교 값에 기초해 상기 보조동력원 구동을 위한 작동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TO 축 회전수 검출부가 검출하는 실제 회전수는 PTO 축 최종 출력단의 회전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이론 회전수가 실제의 회전수보다 큰 경우에만 상기 보조동력원 구동을 위한 작동명령을 출력하도록 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이론 회전수와 실제의 회전수의 차이가 미리 입력된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보조동력원 구동을 위한 작동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보조동력원은, PTO 축을 포함하는 PTO 동력라인에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동력라인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동력라인은, 상기 보조동력원의 출력축에 직결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맞물려 회전하는 중간축, PTO 축 중앙부 외연에 스플라인 연결되어 PTO 축 상의 정해진 구간을 직선이동하는 시프터, PTO 축에 대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시프터의 위치에 따라 시프터와 선택적으로 동력전달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제2, 제3 변속축 및 상기 구동축, 중간축, 그리고 제1, 제2, 제3 변속축에 서로 쌍을 이뤄 맞물리도록 설치된 전동기어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보조동력원이 출력한 보조동력이 적절히 변속되어 상기 PTO 축에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보조동력원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모터 내지는 유압모터가 보조동력원으로 채택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PTO 축 회전수 검출부가 검출한 실제의 회전수와 저장매체에 기록된 이론 회전수를 비교하고, 이론 회전수가 실제 회전수보다 클 때 PTO 축에 부하가 걸린 것으로 판단해 부하 해소를 위한 제어가 행해지도록 한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PTO 축에 보조동력을 제공하는 보조동력원의 작동을 제어하여 작업기에 걸린 부하로 인한 PTO 축의 출력 저하를 보상할 수 있다.
이때, 이론 회전수와 실제의 회전수의 차이가 미리 입력된 설정 값 이상인 경우 부하 해소를 위한 제어가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기에 고부하가 걸려 PTO 출력이 저하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보조동력원을 구동시켜 출력 저하를 보상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부하가 큰 고속작업에서도 PTO 축의 출력이 저하되는 일없이 안정적인 동력이 출력되며, 이에 따라 PTO 축 동력으로 구동되는 작업기는 안정적인 구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작업기 부하로 인한 PTO 출력 저하가 발생했을 때 이를 감지해 보조동력을 발생시켜 해소함으로써, 부하가 큰 고속이동작업에 있어서도 작업기는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전반적인 작업품질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PTO 축에 고부하가 작용함으로 인한 동력전달계통의 내구성 악화 문제 또한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에 적용된 PTO 축 부하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의 PTO 축 부하 제어 장치가 적용된 농업용 작업차의 PTO 동력라인 계통도.
도 4는 보조동력라인의 시프터 및 변속축부 상세도.
도 5 내지 도 7은 PTO 축 부하 제어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PTO 축 부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로직.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참조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의 전체적인 구성부터 먼저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 운전석이 캐빈에 의해 보호되는 캐빈형 작업차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농업용 작업차는 전륜(FW)과 후륜(RW)으로 구분되는 주행륜을 갖고, 기체 조작을 위한 운전석(1)이 투명한 유리로 된 박스 형태의 캐빈(cabin, 2)에 의해 보호된다. 그리고 캐빈(2)의 전방에는 엔진(5)을 비롯하여 차량 구동에 관련한 주요부품이 탑재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엔진룸(3)이 형성되어 있다.
엔진(5)은 풋악셀페달 또는 핸드악셀레버의 변위를 센서가 감지하고 그 감지된 변위 값을 기반으로 한 엔진제어유닛(ECU, 미도시)의 제어로서 출력이 조절되는 전자식 다기통 디젤엔진(diesel-engine) 내지는 케이블 변위로 출력이 조절되는 기계식 엔진일 수 있으며, 보닛(4)으로 보호되는 엔진룸(3) 저부에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로 배치된다.
엔진룸(3)에는 또한,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산화시키고 걸러내는 일련의 정화처리를 위한 후처리장치(6)가 장착되며, 엔진(3) 과열 방지를 위한 냉각수가 냉각될 수 있도록 순환경로를 형성하는 라디에이터(7)가 차량 주행 시 도입되는 외기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엔진룸 앞쪽에 배치된다.
캐빈(2)에 둘러싸인 운전석(1) 주변에는 전륜 조향을 위한 조향력이 입력되는 조향 핸들(스티어링 휠, 11)을 비롯해 각종 조작레버, 버튼, 그리고 스위치가 마련되며, 조향실린더(미도시)로 공급될 작동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파워스티어링유닛이 스티어링컬럼유닛(10)을 매개로 상기 조향 핸들(11)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운전석(1) 바닥을 경계로 운전석(1) 아래에는 트랜스 미션(8)이 엔진룸(3)에 배치된 상기 엔진(5)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엔진(5)에서 출력된 동력은 변속기로 입력되고 변속기를 통해 주행 또는 작업에 적합한 동력으로 변속되며, 변속기 출력축과 연결되는 동력전달축(미도시)을 통해 주행륜(FW)(RW)으로 전달된다.
동력 취출용 PTO 축(9)은 상기 트랜스 미션(8) 내부를 경유하여 차량 후미로 연장 노출된다. 상기 PTO 축(9)은 엔진(5) 출력축에 직결되며, 엔진(5)에서 출력된 동력 중 비변속 동력을 차량 후방으로 취출한다. 차량 후미로 연장 노출된 PTO 축(9) 말단에는 차량 후방에 선택 부착되는 작업기(14)의 구동축(300)이 연결되며, 따라서 PTO 축(9)에서 제공된 동력으로 작업기(14)가 구동된다.
PTO 축(9) 및 그 주변에는 비변속 출력되는 PTO 축(9)의 회전수 검출을 위한 PTO 축 회전수 검출부(17)가 배치된다. 그리고 PTO 축 회전수 검출부(17)가 검출한 실제 PTO 축(9)의 회전수와 연료 분사량에 따라 달라지는 이론적인 엔진 회전수 값에 기초해 PTO 축(9) 부하의 적절한 제어가 행해진다. PTO 축 부하 제어 장치에 대해 이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2는 후방 작업기(14) 연결을 위한 3점부 승강장치를 가리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PTO 축 부하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PTO 축 부하 제어 장치가 적용된 농업용 작업차의 PTO 동력라인 계통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보조동력라인의 시프터 및 변속축부 상세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적용된 PTO 축 부하 제어 장치는, 엔진 출력축에 직결된 상기 PTO 축(9)에 부하가 걸렸을 때 이를 감지하기 위한 부하검출수단(15) 및 PTO 축(9)의 부하가 검출된 때 해당 부하를 해소시키기 위한 보조동력을 상기 PTO 축(9)에 제공하는 보조동력원(16)으로 구성된다.
부하검출수단(15)은, PTO 축(9)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전술한 PTO 축 회전수 검출부(17)와 연료 분사량에 따른 엔진의 이론 회전수가 기록된 저장매체(18), 그리고 PTO 축 회전수 검출부(17)가 검출한 실제의 회전수와 저장매체(18)에 기록된 이론 회전수를 비교한 후 해당 비교 값에 기초해 상기 보조동력원(16) 구동을 위한 작동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19)를 포함한다.
PTO 축 회전수 검출부(17)가 검출하는 실제 회전수는 작업기(14) 구동부와 연결되는 PTO 축(9) 최종 출력단의 회전수일 수 있으며, 상기 최종 출력단 외연에 그루브(groove)를 형성하고 그 주변에 그루브를 검출하는 센서부재를 배치시킴으로써 축 상에 형성된 상기 그루브가 한 바퀴 회전하는데 걸린 시간으로부터 회전수가 산출될 수 있다.
PTO 축 회전수 검출부(17)를 통해 검출된 PTO 축(9)의 회전수는 상기 제어부(19)로 제공되며, 저장매체(18)는 PTO 축(9) 회전수 검출이 행해진 때 연료 분사량 정보를 제공받는다. 연료 분사량과 관련한 정보는 엔진 회전수 제어와 관련한 스로틀의 개도량을 검출함으로써 획득되고, 해당 연료 분사량에 대응되는 이론 회전수가 저장매체(18)에 기록된 정보로부터 도출된다.
제어부(19)는 PTO 축 회전수 검출부(17)가 제공하는 PTO 축(9) 최종 출력단의 실제 회전수와 상기 저장매체(18)가 제공하는 엔진의 이론 회전수를 비교하는 작업을 행하고, 그 결과 이론 회전수가 실제의 회전수보다 크면, 작업기(14)에 부하가 걸려 PTO 축(9)의 출력 저하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해 상기 출력 저하를 보상하기 위한 상기 보조동력원(16)에 작동명령을 전달한다.
제어부(19)를 통해 보조동력원(16) 작동과 관련한 명령이 출력됨에 있어서는, 상기 이론 회전수와 실제의 회전수의 차이가 미리 입력된 설정 값 이상인 경우, 다시 말해 PTO 축(9)에 걸린 부하의 정도가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보조동력원(16) 구동을 위한 작동명령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동력원(16)은 상기 제어부(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9)로부터 전달된 작동명령 즉, 작동과 관련한 전기적 신호로서 PTO 출력 보상을 위한 보조동력을 출력하는 전기모터 내지는 유압모터일 수 있으며, PTO 축(9)을 포함하는 PTO 동력라인에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동력라인(30)상에 배치된다.
제어부(19) 명령에 따라 보조동력원(16)이 출력하는 보조동력은 상기 보조동력라인(30)을 통해 PTO 동력라인상의 상기 PTO 축(9)에 제공되며, 따라서 엔진이 출력하는 비변속 PTO 동력에 힘을 보태 고부하 작업에 따른 PTO 축(9)의 출력 저하를 보상한다. 즉 보조동력원(16)에 의해 고부하 작업 시 PTO 축(9)의 출력 저하가 보상되는 것이다.
보조동력라인(30)은, 보조동력원(16)의 출력축에 직결된 구동축(300), 상기 구동축(300)에 맞물려 회전하는 중간축(310), PTO 축(9) 중앙부 외연에 스플라인 연결된 PTO 축(9) 상의 시프터(320), PTO 축(9) 상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시프터(320)와 선택적으로 동력전달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제2, 제3 변속축(330, 340,3 50)을 포함한다.
시프터(320)는 운전자 레버 조작에 연동하여 스플라인 기어(90)가 형성된 PTO 축(9) 상의 정해진 구간 내에서 직선왕복 운동하며, 제1, 제2, 제3 변속축(330, 340,3 50) 중 어느 한 변속축이 PTO 축(9) 상을 이동하는 상기 시프터(320)의 위치에 따라 이 시프터(320)와 동력전달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시프터(320)와 접속된 변속축이 제공하는 변속동력이 PTO 축(9)에 보조동력으로 전달된다.
구동축(300), 중간축(310), 그리고 제1, 제2, 제3 변속축(330, 340,3 50)에는 각 축 간의 동력전달을 위해 서로 쌍을 이뤄 맞물리도록 전동기어들(351~357)이 배치되며, 그중에서도 상기 중간축(310)과 제1, 제2, 제3 변속축(330, 340,3 50)의 전동기어들(352~357)은 보조동력의 적절한 변속을 위해 서로 다른 직경으로 쌍을 이뤄 상시 맞물림을 유지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5와 같이 시프터(320)가 제1 변속축(330)에 접속되면 보조동력은 제1 중간기어(352), 제1 변속축(330), 시프터(320)를 거쳐 PTO 축(9)에 제공됨으로써 부하에 의한 PTO 축(9)의 출력 저하를 보상하며, 도 6과 같이 제2 변속축(340)에 접속되면 제2 중간기어(353), 제2 변속축(340), 시프터(320)를 거쳐 보조동력이 PTO 축(9)에 제공된다.
마찬가지 형태로, 도 7과 같이 시프터(320)가 최우측으로 이동해 제3 변속축(350)과 접속된 경우 보조동력원(16)이 발생시킨 보조동력은, 제3 중간기어(354), 제3 변속축(350), 그리고 제3 변속축(350)과 동력전달 가능하게 접속된 상기 시프터(320)를 차례로 거쳐 PTO 축(9)에 보조동력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도 8의 제어로직을 참조하여 PTO 축의 부하 제어 방법에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보기로 한다.
농업용 작업차 후방에 작업기 예컨대, 로터리 장치를 부착한 채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PTO 축 회전수 검출부에 의해 주기적인 PTO 축의 회전수가 검출된다. PTO 축 회전수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PTO 축의 실제 회전수는 상기 제어부로 제공되며, 저장매체는 PTO 축 회전수 검출이 행해진 때 연료 분사량 정보를 제공받는다.
연료 분사량과 관련한 정보는 엔진 회전수 제어와 관련한 스로틀의 개도량을 검출함으로써 획득되며, 해당 연료 분사량에 대응되는 이론 회전수가 저장매체에 기록된 정보로부터 도출되며, 도출된 이론 회전수 역시 상기 PTO 축 회전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실제 회전수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에 제공된다.
제어부는 PTO 축 회전수 검출부와 저장매체로부터 PTO 축의 실제 회전수와 엔진의 이론 회전수가 제공된 때 이들 회전수를 비교하게 된다. 그 결과 이론 회전수가 실제의 회전수보다 크면, 작업기에 부하가 걸려 PTO 축의 출력 저하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부하에 따른 PTO 축의 출력 저하를 보상하기 위한 제어를 시작하게 된다.
PTO 축의 출력 저하를 보상하기 위한 제어(부하 해소를 위한 제어)는, PTO 축에 보조동력을 제공하는 보조동력원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 구체적으로는 보조동력원을 구동시키기 위한 작동명령을 출력해 상기 보조동력원에 전달하는 것이며, 보조동력원을 구동시켜 PTO 축에 보조동력을 제공함으로써 PTO 축의 출력 저하를 보상하는 것이다.
제어부가 보조동력원 작동과 관련한 명령을 출력함에 있어서는, 상기 이론 회전수와 실제의 회전수의 차이가 미리 입력된 설정 값 이상인 경우, 다시 말해 PTO 축에 걸린 부하의 정도가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보조동력원 구동을 위한 작동명령을 출력시킴으로써 불필요하게 보조동력원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기에 고부하가 걸려 PTO 출력이 저하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보조동력원을 구동시켜 출력 저하를 보상하므로, 부하가 큰 고속작업에서도 PTO 축의 출력이 저하되는 일없이 안정적인 동력이 출력되며, 이에 따라 PTO 축 동력으로 구동되는 작업기는 안정적인 구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작업기 부하로 인한 PTO 출력 저하가 발생했을 때 이를 감지해 보조동력을 발생시켜 해소함으로써, 부하가 큰 고속이동작업에 있어서도 작업기는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전반적인 작업품질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PTO 축에 고부하가 작용함으로 인한 동력전달계통의 내구성 악화 문제 또한 해소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운전석 2 : 캐빈
3 : 엔진룸 4 : 보닛
5 : 엔진 6 : 후처리 장치
7 : 라디에이터 8 : 변속기
9 : PTO 축 14 : 작업기
15 : 부하검출수단 16 : 보조동력원
17 : PTO 축 회전수 검출부 18 : 저장매체
19 : 제어부 30 : 보조동력라인

Claims (11)

  1. 엔진 출력축에 직결된 PTO 축의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검출수단과, 상기 부하검출수단에 의해 PTO 축의 부하가 검출된 때 상기 PTO 축에 보조동력을 제공하는 보조동력원으로 이루어진 PTO 축 부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검출수단은,
    상기 PTO 축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PTO 축 회전수 검출부;
    연료 분사량에 따른 엔진의 이론 회전수가 기록된 저장매체;
    PTO 축 회전수 검출부가 검출한 실제의 회전수와 저장매체에 기록된 이론 회전수를 비교하고, 해당 비교 값에 기초해 상기 보조동력원 구동을 위한 작동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TO 축 회전수 검출부가 검출하는 실제 회전수는 PTO 축 최종 출력단의 회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론 회전수가 실제의 회전수보다 큰 경우에만 상기 보조동력원 구동을 위한 작동명령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론 회전수와 실제의 회전수의 차이가 미리 입력된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보조동력원 구동을 위한 작동명령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동력원은 PTO 축을 포함하는 PTO 동력라인에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동력라인상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동력라인은,
    상기 보조동력원의 출력축에 직결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맞물려 회전하는 중간축;
    PTO 축 중앙부 외연에 스플라인 연결되어 PTO 축 상의 정해진 구간을 직선이동하는 시프터;
    PTO 축에 대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시프터의 위치에 따라 시프터와 선택적으로 동력전달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제2, 제3 변속축; 및
    상기 구동축, 중간축, 그리고 제1, 제2, 제3 변속축에 서로 쌍을 이뤄 맞물리도록 설치된 전동기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보조동력원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모터 또는 유압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
  9. PTO 축 회전수 검출부가 검출한 실제의 회전수와 저장매체에 기록된 이론 회전수를 비교하고, 이론 회전수가 실제 회전수보다 큰 경우 PTO 축에 부하가 걸린 것으로 판단해 부하 해소를 위한 제어가 행해지도록 한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PTO 축에 보조동력을 제공하는 보조동력원의 작동을 제어하여 PTO 축의 부하를 해소함을 특징으로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이론 회전수와 실제의 회전수의 차이가 미리 입력된 설정 값 이상인 경우 부하 해소를 위한 제어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
KR1020140137840A 2014-10-13 2014-10-13 농업용 작업차 및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 KR20160043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840A KR20160043446A (ko) 2014-10-13 2014-10-13 농업용 작업차 및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840A KR20160043446A (ko) 2014-10-13 2014-10-13 농업용 작업차 및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446A true KR20160043446A (ko) 2016-04-21

Family

ID=55917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840A KR20160043446A (ko) 2014-10-13 2014-10-13 농업용 작업차 및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34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682B1 (ko) 2021-12-06 2022-07-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구동 트랙터의 플랫폼 구조
KR102542040B1 (ko) * 2023-02-28 2023-06-13 리텍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
KR102542042B1 (ko) * 2023-02-28 2023-06-13 리텍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유압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682B1 (ko) 2021-12-06 2022-07-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구동 트랙터의 플랫폼 구조
KR102542040B1 (ko) * 2023-02-28 2023-06-13 리텍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
KR102542042B1 (ko) * 2023-02-28 2023-06-13 리텍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유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5528B2 (en) Electronic control of a transmission
EP3029294B1 (en) Cooling fan drive system for travel type working machine
WO2013145362A1 (ja) ハイブリッド作業車
US7942220B2 (en) Differential steering control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machine
KR102099994B1 (ko) 동력 인출 장치 보조 시스템 댐핑의 조정 가능한 제어 및 그 시스템
WO2012043176A1 (ja) 作業車両の駆動系制御装置
SE533648C2 (sv) Arbetsfordon
KR20160043446A (ko) 농업용 작업차 및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
JP6563289B2 (ja) グランド整備車両の駆動システム
GB2532111A (en) Control Module
KR20150098457A (ko)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장치 및 방법
JP4285329B2 (ja) トラクタ
JP4867958B2 (ja) 作業車両
KR20140128787A (ko) 농용 작업차량
JP2013203377A (ja) 車両
JP5950525B2 (ja) 電動農作業車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8290719A5 (ko)
KR101315148B1 (ko)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및 그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의 동력인출장치 변속 제어방법
JP2010275971A (ja) トラクタ
CA3003485C (en) Electronic control of a transmission
US11591978B1 (en) Speed control for a mobile machine
EP4177498B1 (de) Arbeitsmaschine mit einer hydromechanischen antriebseinheit
JP4599682B2 (ja) トラクタ
JP4962957B2 (ja) 作業車両
JP2007032746A (ja) 静油圧式無段変速装置の制御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