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040B1 -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040B1
KR102542040B1 KR1020230026717A KR20230026717A KR102542040B1 KR 102542040 B1 KR102542040 B1 KR 102542040B1 KR 1020230026717 A KR1020230026717 A KR 1020230026717A KR 20230026717 A KR20230026717 A KR 20230026717A KR 102542040 B1 KR102542040 B1 KR 102542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ake
power
driving
electric mot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6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석
Original Assignee
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26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젤엔진이 아닌 전기자동차에서 1개의 주행용 전기모터에서 인출한 동력을 이용하여 작업장치용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이와 연결된 각종 작업장치(제설기, 살포기, 살수장치 등)에 필요동력을 공급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도모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시된 전기자동차용 동력인출장치는 동력을 인출하기 위한 별도의 PTO 모터 및 이와 직결된 PTO 축이 구비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특히 2개의 전기모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고비용 대용량의 배터리가 필요하며, 이와 같은 대용량 배터리의 충전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행용 전기모터와 변속기의 사이에 설치된 전기자동차용 동력인출장치의 내부로 상기 주행용 전기모터의 회전동력을 입력한 후 기어전달에 의한 기어비에 따라 최종 필요한 회전수의 동력을 인출하여 작업장치용 전기모터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Electric system using power take-off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디젤엔진이 아닌 전기자동차에서 1개의 주행용 전기모터에서 인출한 동력을 이용하여 작업장치용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이와 연결된 각종 작업장치(제설기, 살포기, 살수장치 등)에 필요동력을 공급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도모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차량은 동력을 필요로 하는 각종 작업장치에 필요동력을 공급함으로써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과 작업장치의 작동을 정확하게 하는 동력인출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동력인출장치는 특장차량인 다목적도로관리차, 노면청소차, 살수차, 트럭크레인 등 다수의 제품에 적용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운송용 차량에 장착하여 필요로 하는 작업장치에 운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기존의 디젤차량은 작업장치의 작업 수행시 필요 이상으로 작업장치에 부하가 발생하면서 연료 소모가 과다하게 발생하고,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환경친화적 기술의 구현 및 에너지 고갈 등의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전기 자동차이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 시대로 변화함에 따라 기존 디젤차량에 구비된 동력인출장치를 전기자동차에도 적용함으로써 시대의 흐름을 준비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와 같이 디젤엔진이 아닌 전기자동차의 전기모터에서 동력을 인출하여 각종 작업장치에 공급하는 동력인출장치에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특허공개 제2018-0069511호, 명칭/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소방용 워터펌프나 윙바디 개폐용 구동장치와 같이 회전동력을 필요로 하는 특수 목적의 작업기 구동을 위한 동력을 주행용 모터에서 PTO로 동력을 인출시켜 작업기의 구동에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은 주행 동력을 발생시키는 주행용 모터의 동력을 직접 인출할 수 없고, 다만 작업장치에 필요한 동력을 인출하기 위한 별도의 PTO 모터 및 이와 직결된 PTO 축이 구비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특히 2개의 전기모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고비용 대용량의 배터리가 필요한데 현재까지 1개의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전기자동차의 경우에도 배터리의 용량이 충분하지 못해 주행거리가 짧고 충전시간이 길어지는 가장 큰 단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행용 전기모터와 변속기의 사이에 설치된 전기자동차용 동력인출장치의 내부로 상기 주행용 전기모터의 회전동력을 입력한 후 기어전달에 의한 기어비에 따라 최종 필요한 회전수의 동력을 인출하여 작업장치용 전기모터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기자동차용 동력인출장치에 구비된 동력인출용 제1 클러치기어, 동력인출용 제2 클러치기어 및 주행용 클러치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1개의 주행용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일반 주행모드, 주행과 동력인출모드, 정지와 동력인출모드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인출시 동력 인출축의 회전수를 속도센서로 감지하고, 이를 토대로 필요로 하는 작업장치용 전기모터의 출력값을 최적으로 조절하여 작업장치에 필요한 동력을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에 구비된 주행용 전기모터로부터 각종 작업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원활하게 인출하여 공급함으로써 일반주행, 주행과 병행하는 작업장치의 구동, 정지상태에서 작업장치의 구동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개의 주행용 전기모터를 사용하여 주행 및 동력인출이 가능함으로써 2개의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선행기술에 비해 전기자동차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특히 고비용이 소요되는 대용량의 배터리를 구비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교체 및 유지비용을 줄여 경제성을 대폭 향상하며, 배터리 화재의 위험성을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전기자동차임에도 동력인출이 가능함에 따라 전기모터의 사용으로 친환경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연비를 높여 연료비를 절감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주행모드시 작동상태 정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 및 동력인출 모드시 작동상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지 및 동력인출 모드시 작동상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동력인출부 충격보호장치의 설치상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동력인출부 충격보호장치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전기모터 출력값 조절수단의 설치상태 정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주행용 전기모터(1)에서 발생한 회전동력을 변속기(2)를 통해 주행바퀴(3)로 전달하여 주행을 하는 전기자동차(EV)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전기모터(1)와 변속기(2)의 사이에 설치된 신규의 전기자동차용 동력인출장치(100)를 구비하여 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은 기존 디젤차량에만 사용되었던 동력인출장치를 전기 자동차에도 접목시켜 필요한 동력을 작업장치(4)에 공급하고 작동시킴으로써 디젤차량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동력인출장치(100)는 도 1과 같이 전기자동차(EV)를 구성하는 주행용 전기모터(1)와 변속기(2)의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주행용 전기모터(1)의 회전동력을 입력받아 기어조합을 통해 내부를 거치면서 최종 필요한 동력을 인출하여 작업장치용 전기모터(200)를 구동하며, 상기 작업장치용 전기모터(200)를 이용하여 각종 작업장치(4)에 필요 동력을 공급하면서 친환경적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전기자동차용 동력인출장치(100)는 동력인출 케이스(110), 메인 구동축(120), 주행용 클러치(130), 동력인출용 제1 클러치기어(140), 아이들축(150), 동력 인출축(160), 동력인출용 제2 클러치기어(17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동력인출 케이스(110)는 주행용 전기모터(1)와 변속기(2)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동력인출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하측에 메인 구동축(1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 구동축(120)의 양측은 각각 주행용 전기모터(1) 및 변속기(2)와 연결됨으로써 주행용 전기모터(1)로부터 회전동력을 입력받아 변속기(2)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구동축(120)의 일측은 부분적으로 절단되고, 이와 같이 절단된 부위에는 변속기(2)로 전달되는 메인 구동축(120)의 회전동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주행용 클러치(130)가 설치되며, 주행용 클러치(130)는 절단부위의 일측에 좌우로 이동하는 제1 클러치(131) 및 절단부위의 타측에 마주하도록 고정설치되는 제2 클러치(132)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클러치(131) 및 제2 클러치(132)는 상호 접속되거나 단절됨으로써 상기 변속기(2)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 구동축(120)에는 동력인출용 제1 클러치기어(140)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동력인출용 제1 클러치기어(140)는 메인 구동축(120)의 회전동력을 1차적으로 인출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아이들축(15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메인 구동축(120)의 상측에는 아이들축(15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아이들축(150)에는 상기 동력인출용 제1 클러치기어(140)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1 아이들기어(151) 및 제2 아이들기어(152)가 이격 설치되며, 이러한 아이들축(150)은 제1 아이들기어(151)가 좌우로 이동 가능한 동력인출용 제1 클러치기어(140)와 선택적으로 접속시 메인 구동축(120)으로부터 1차적으로 인출한 회전동력을 동력 인출축(160)으로 전달하는 중간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상기 아이들축(150)의 상측에는 동력 인출축(16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동력 인출축(160)은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 출력 플랜지(161)가 결합되며, 상기 출력 플랜지(161)에 작업장치용 전기모터(200)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동력 인출축(160)은 아이들축(150)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동력을 외부로 인출하여 작업장치용 전기모터(200)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동력 인출축(160)은 작업장치용 전기모터(200)의 로터와 축 결합하여 동력을 직접 전달함으로써 작업장치용 전기모터(200)를 구동하거나 회전동력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별도의 발전기를 작업장치용 전기모터(200)와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력전달방법 및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동력 인출축(160)에는 동력인출용 제2 클러치기어(170)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동력인출용 제2 클러치기어(170)는 좌우로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제2 아이들기어(152)와 접속하면서 아이들축(150)의 회전동력을 동력 인출축(16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동력 인출축(160)의 외측에는 동력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작업장치용 전기모터(200)와 연결되는 동력출력부에 충격부하가 걸리면서 동력 인출축(160)에 충격이 발생할 우려가 있음을 고려하여 이와 같은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인출부 충격보호장치(10)의 기술이 유기적으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동력인출부 충격보호장치(10)의 기술구성은 도 5 내지 6과 같이 동력 인출축(160)에 관통된 상태로 동력 인출축(160)의 외측에 끼워지는 충격보호 하우징(11)이 상기 동력인출 케이스(110)의 내 측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충격보호 하우징(11)의 내부에는 동력 인출축(160)의 외측에 끼워지는 고탄성 러버부시(12)가 설치되며, 상기 고탄성 러버부시(12)의 외측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감싸는 충격보호 슬리브(13)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고탄성 러버부시(12) 및 충격보호 슬리브(13)의 사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탄성 롤링볼(14)이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탄성 롤링볼(14) 및 고탄성 러버부시(12)는 압축 탄성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동력인출부에서 발생되는 충격부하를 줄여주어 동력 인출축(160)을 보호함은 물론 상기 동력 인출축(160) 및 출력 플랜지(161)와 연결되는 연결축의 상호 간에 발생하는 미스얼라이먼트를 흡수함으로써 연결부품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동력인출장치(100)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일반 주행모드의 선택시 작동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동력인출용 제1 클러치기어(140)는 도 2와 같이 제1 아이들기어(151)와 단절되고, 상기 주행용 클러치(130)는 좌우 한 쌍의 제1, 제2 디스크(131)(132)가 상호 일체로 접속됨으로써 주행용 전기모터(1)의 회전동력이 변속기(2)를 거쳐 주행바퀴(3)로만 전달되면서 원활한 일반 주행이 이루어지는 반면 메인 구동축(120)의 동력이 인출됨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동력인출장치(100)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주행 및 동력인출 모드의 선택시 작동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동력인출용 제1 클러치기어(140)는 도 3과 제1 아이들기어(151)와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주행용 클러치(130)는 좌우 한 쌍의 제1, 제2 디스크(131)(132)가 상호 일체로 접속됨으로써 주행용 전기모터(1)의 회전동력이 변속기(2)를 거쳐 주행바퀴(3)로 전달되면서 원활한 주행이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동력인출용 제2 클러치기어(170)는 선택적으로 제2 아이들기어(152)와 접속됨으로써 상기 메인 구동축(120)의 회전동력은 아이들축(150)을 거쳐 동력 인출축(160)으로 전달되어 작업장치용 전기모터(200)의 구동을 위한 동력인출이 전기자동차의 주행과 병행될 수 있어 작업장치(4)를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동력인출장치(100)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정지 및 동력인출 모드의 선택시 작동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동력인출용 제1 클러치기어(140)는 도 4와 제1 아이들기어(151)와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주행용 클러치(130)는 좌우 한 쌍의 제1, 제2 디스크(131)(132)가 상호 단절됨으로써 주행용 전기모터(1)의 회전동력이 변속기(2)로 전달됨을 차단하여 전기자동차는 주행용 전기모터(1)가 구동함에도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동력인출용 제2 클러치기어(170)는 선택적으로 제2 아이들기어(152)와 접속됨으로써 상기 메인 구동축(120)의 회전동력은 아이들축(150)을 거쳐 동력 인출축(160)으로 전달되어 작업장치용 전기모터(200)의 구동을 위한 동력인출이 이루어져 전기자동차를 정지한 상태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작업장치(4)를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동력인출시 상기 동력 인출축(160)의 상측에 설치된 작업장치용 전기모터(200)의 출력값을 최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으로 작업장치(4)에 필요한 동력을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모터 출력값 조절수단(20)이라는 신규의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전기모터 출력값 조절수단(20)의 기술구성은 도 7과 같이 상기 동력인출 케이스(110)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센서 하우징(21)이 설치되고, 상기 센서 하우징(21)을 상하로 관통하여 동력 인출축(16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속도센서(22)가 설치되며, 상기 센서 하우징(21)의 상단에는 하우징 커버(23)가 체결볼트(24)로 관통하여 일체로 막음 설치됨으로써 상기 속도센서(22)를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하우징 커버(23)를 개방하여 속도센서(22)를 점검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속도센서(22)는 하측 외주면에 나사부(22a)가 형성되고, 이러한 나사부(22a)는 센서 하우징(21)의 하단에 일체로 부착된 너트(25)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속도센서(22)를 회전조작하면서 상하로 위치를 이동하는 방법으로 초기 세팅위치를 최적의 조건으로 조절하여 동력 인출축(160)의 회전수를 더욱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한 속도센서(22)는 동력 인출축(160)의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이 감지된 회전수를 감안하여 작업장치용 전기모터(200)의 출력값을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서로 다른 회전동력을 필요로 하는 각각의 작업장치(4)별로 필요한 회전동력을 맞춤 공급하여 동력사용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EV: 전기자동차 1: 주행용 전기모터
2: 변속기 3: 주행바퀴
4: 작업장치 10: 동력인출부 충격보호장치
11: 충격보호 하우징 12: 고탄성 러버부시
13: 충격보호 슬리브 14: 탄성 롤링볼
20: 전기모터 출력값 조절수단 21: 센서 하우징
22: 속도센서 23: 하우징 커버
100: 전기자동차 동력인출장치 110: 동력인출 케이스
120: 메인 구동축 130: 주행용 클러치
131: 제1 클러치 132: 제2 클러치
140: 동력인출용 제1 클러치기어 150: 아이들축
151: 제1 아이들기어 152: 제2 아이들기어
160: 동력 인출축 161: 출력 플랜지
170: 동력인출용 제2 클러치기어 200: 작업장치용 전기모터

Claims (6)

  1. 주행용 전기모터(1)에서 발생한 회전동력을 변속기(2)를 통해 주행바퀴(3)로 전달하여 주행을 하는 전기자동차(EV)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전기모터(1)와 변속기(2)의 사이에 설치되어 주행용 전기모터(1)의 회전동력을 입력받아 내부를 거치면서 최종 필요한 동력을 인출하여 작업장치용 전기모터(200)를 구동하고, 상기 작업장치용 전기모터(200)를 이용하여 각종 작업장치에 필요 동력을 공급하면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용 동력인출장치(1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전기자동차용 동력인출장치(100)는,
    주행용 전기모터(1)와 변속기(2)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인출 케이스(110)와;
    상기 동력인출 케이스(110)의 내부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주행용 전기모터(1)로부터 회전동력을 입력받아 변속기(2)로 전달하는 메인 구동축(120)과;
    상기 메인 구동축(1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변속기(2)로 전달되는 메인 구동축(120)의 회전동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주행용 클러치(130)와;
    상기 메인 구동축(120)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동력인출용 제1 클러치기어(140)와;
    상기 메인 구동축(1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동력인출용 제1 클러치기어(140)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1 아이들기어(151) 및 제2 아이들기어(152)가 이격 설치된 아이들축(150)과;
    상기 아이들축(15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아이들축(150)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동력을 외부로 인출하여 작업장치용 전기모터(200)를 구동하는 동력 인출축(160)과;
    상기 동력 인출축(160)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아이들기어(152)와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동력인출용 제2 클러치기어(17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동력 인출축(160)의 외측에는 동력 인출축(160)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동력인출부 충격보호장치(10)가 설치되고, 상기 동력인출부 충격보호장치(10)는, 동력 인출축(160)에 관통된 상태로 동력인출 케이스(110)의 내 측면에 고정된 충격보호 하우징(11)의 내부에 상기 동력 인출축(160)의 외측에 끼워지는 고탄성 러버부시(12)가 설치되고, 상기 고탄성 러버부시(12)의 외측에 설치된 충격보호 슬리브(13) 및 상기 고탄성 러버부시(12)의 사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탄성 롤링볼(14)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동력인출장치(100)는 일반 주행모드시 상기 동력인출용 제1 클러치기어(140)가 제1 아이들기어(151)와 단절되고, 상기 주행용 클러치(130)는 좌우 한 쌍의 제1, 제2 디스크(131)(132)가 상호 접속하면서 동력인출 없이 주행용 전기모터(1)의 회전동력이 변속기(2)를 거쳐 주행바퀴(3)로만 전달되면서 주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동력인출장치(100)는 주행 및 동력인출 모드시 상기 동력인출용 제1 클러치기어(140)가 제1 아이들기어(151)와 접속되고, 상기 주행용 클러치(130)는 좌우 한 쌍의 제1, 제2 디스크(131)(132)가 상호 접속하며, 상기 동력인출용 제2 클러치기어(170)가 제2 아이들기어(152)와 접속하면서 주행과 병행하여 작업장치용 전기모터(200)의 구동을 위한 동력인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동력인출장치(100)는 정지 및 동력인출 모드시 상기 동력인출용 제1 클러치기어(140)가 제1 아이들기어(151)와 접속되고, 상기 주행용 클러치(130)는 좌우 한 쌍의 제1, 제2 디스크(131)(132)가 상호 단절되며, 상기 동력인출용 제2 클러치기어(170)가 제2 아이들기어(152)와 접속하면서 전기자동차가 정지된 상태에서 작업장치용 전기모터(200)의 구동을 위한 동력인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인출축(160)의 상측에는 전기모터 출력값 조절수단(20)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전기모터 출력값 조절수단(20)은 동력인출 케이스(110)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설치된 센서 하우징(21)을 상하로 관통하여 동력 인출축(16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속도센서(22)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 하우징(21)의 상단에는 하우징 커버(23)가 막음 설치되며, 상기 속도센서(22)는 감지한 회전수를 감안하여 작업장치용 전기모터(200)의 출력값을 조절하면서 작업장치별로 필요한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
KR1020230026717A 2023-02-28 2023-02-28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 KR102542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717A KR102542040B1 (ko) 2023-02-28 2023-02-28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717A KR102542040B1 (ko) 2023-02-28 2023-02-28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040B1 true KR102542040B1 (ko) 2023-06-13

Family

ID=86762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6717A KR102542040B1 (ko) 2023-02-28 2023-02-28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04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9140Y2 (ko) * 1986-04-23 1990-12-25
KR200240334Y1 (ko) * 2001-03-30 2001-10-10 주식회사 세진과 대학학원 소방차의 동력인출기
JP2007177993A (ja) * 2005-11-30 2007-07-12 Coo Space Co Ltd 転がり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120216B2 (ja) * 2001-12-10 2008-07-16 日本精工株式会社 センサ付転がり軸受装置
KR20090008424A (ko) * 2006-05-31 2009-01-21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감속 장치 및 감속 장치를 구비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160043446A (ko) * 2014-10-13 2016-04-21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 및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
KR102145877B1 (ko) * 2020-04-06 2020-08-20 동우인더스(주) 복합식 소형 준설차
KR20220129949A (ko) * 2021-03-17 2022-09-26 주식회사 케이씨피 특장차용 동력인출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9140Y2 (ko) * 1986-04-23 1990-12-25
KR200240334Y1 (ko) * 2001-03-30 2001-10-10 주식회사 세진과 대학학원 소방차의 동력인출기
JP4120216B2 (ja) * 2001-12-10 2008-07-16 日本精工株式会社 センサ付転がり軸受装置
JP2007177993A (ja) * 2005-11-30 2007-07-12 Coo Space Co Ltd 転がり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08424A (ko) * 2006-05-31 2009-01-21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감속 장치 및 감속 장치를 구비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160043446A (ko) * 2014-10-13 2016-04-21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 및 농업용 작업차의 pto 축 부하 제어 방법
KR102145877B1 (ko) * 2020-04-06 2020-08-20 동우인더스(주) 복합식 소형 준설차
KR20220129949A (ko) * 2021-03-17 2022-09-26 주식회사 케이씨피 특장차용 동력인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29717B (zh) 一种机动车节能装置及装有该节能装置的机动车
CN103223974B (zh) 电动液压助力转向系统
CN104340077A (zh) 具有车载可再生能量装置的编组动力系统
CN108944401A (zh) 用于机动车的电动液压的混合驱动装置
KR102470084B1 (ko) 전기모터의 보호기능을 구비한 특장차량용 하이브리드 친환경 다목적 도로관리차
KR102542040B1 (ko)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
CN205884034U (zh) 割草机
KR102542042B1 (ko)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유압시스템
KR101489078B1 (ko) 전기자동차용 인휠 구동 장치
CN101704343A (zh) 多能源电动汽车
CN101716889A (zh) 一种多能源电动汽车
CN109606395B (zh) 一种轨道作业车辆动力传动方法
CN109577117B (zh) 一种轨道作业车辆传动系统
CN102229318A (zh) 一种两栖车辆混合动力综合驱动系统
CN101830177A (zh) 多种能源电动汽车
CN204849655U (zh) 新能源电动清扫车
CN201646355U (zh) 四驱混合动力系统和四驱动力汽车
CN111267878A (zh) 一种轨道工程车辆传动系统
CN204184198U (zh) 一种车载取力发电装置
CN103264723A (zh) 风力驱动的雪橇式极地漫游车
CN204309600U (zh) 一种单发动机的起重机及其动力传动装置
JP2015085783A (ja) 作業車両
CN105706546A (zh) 一种带发电机和轮毂电机的遥控油电混合微耕机
WO2021245621A1 (en) Crawler vehicl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of said vehicle
KR101285083B1 (ko) 특장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