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877B1 - 복합식 소형 준설차 - Google Patents

복합식 소형 준설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877B1
KR102145877B1 KR1020200041305A KR20200041305A KR102145877B1 KR 102145877 B1 KR102145877 B1 KR 102145877B1 KR 1020200041305 A KR1020200041305 A KR 1020200041305A KR 20200041305 A KR20200041305 A KR 20200041305A KR 102145877 B1 KR102145877 B1 KR 102145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utch
power
gear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호
Original Assignee
동우인더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인더스(주) filed Critical 동우인더스(주)
Priority to KR1020200041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5Adaptations for pumps or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K17/24Arrangements of mountings for sha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65Arrangements for hoses, tubes, or r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10Wheeled apparatus for emptying sewers or cesspools
    • E03F7/106Accessories, e.g. hose sup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설현장의 진입이 용이하고, 차량 엔진 동력을 사용함으로써, 준설장비의 배치 공간의 효율적 분배가 가능하며, 세척작업 및 흡입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복합식 소형 준설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소형 준설차는, 엔진, 상기 엔진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메인 구동축, 상기 메인 구동축의 회전력을 구동휠부 또는 외부 출력부로 전달하는 동력 인출 장치가 설치되는 소형 준설차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부는 제1 출력축 및 제1 출력축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2 출력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출력축과 연결되는 클러치부, 상기 클러치부와 연결되며, 물 탱크와 분사 노즐 사이에 형성되는 물 펌프 및 상기 클러치부와 연결되며, 슬러지 탱크와 연결되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구동축의 동력이 상기 외부 출력부로 전달되면, 상기 물 펌프 및 상기 진공 펌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식 소형 준설차{Hybrid Small Sewage car}
본 발명은 소형 트럭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전체 동력을 외부로 인출하여 별도의 보조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차량의 본엔진을 이용한 준설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식 소형 준설차에 관한 것이다.
준설은 수중에서의 토사굴착이며, 하천유로의 확장, 항만의 수심 증가, 매립이나 축제용의 토사채취 등의 목적으로 행해지는 작업이다.
준설 작업 중, 하수관로 내부에 쌓이는 콘크리트 부식물, 각종 오물 및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준설 장치가 장착된 준설차가 사용된다. 하수관로 내부에 콘크리트 부식물, 각종 오물 및 슬러지가 쌓이게 되면, 하수관로를 막아 물의 흐름을 방해하고, 하수관로가 막히게 되면, 관내 압력이 상승하게 됨으로써, 관 이음부에 크랙이 발생하여, 하수가 유출될 수 있는 있으며, 이러한 하수의 유출은 토양의 오염을 불러온다. 또한, 퇴적물에 의해서 장마철 또는 집중 호우 시, 하수가 역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하수관로의 준설 작업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준설차를 이용한 준설 작업은 물을 고압 분사하여 하수관을 뚫고, 하수관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흡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5881호를 참고하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하수 맨홀 준설차는 차량(2)의 적재함(3)에 원심분리장치(1), 퇴적물을 진공흡입하여 저장하도록 진공흡입부재(4)와, 퇴적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가지는 저장조(5)를 가지는 저장수단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준설작업을 위해 필요한 진공 수단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 수단이 차량에 설치되어야 했으며, 슬러지의 흡입을 위한 준설차와 하수관로 내부의 세척을 위한 준설차가 요구되어, 하나의 작업을 위하여 두 개의 차량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흡입작업과 세척작업이 둘다 가능한 종래의 준설차는 최소 2.5톤을 초과하여, 건물 지하 주차장 진입 또는 좁은 골목이나, 좁은 공간의 준설현장에는 진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5881호 (등록일자 2013.06.1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준설현장의 진입이 용이하고, 차량 엔진 동력을 사용함으로써, 준설장비의 배치 공간의 효율적 분배가 가능하며, 세척작업 및 흡입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복합식 소형 준설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소형 준설차는 엔진, 상기 엔진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메인 구동축, 상기 메인 구동축의 회전력을 구동휠부 또는 외부 출력부로 전달하는 동력 인출 장치가 설치되는 소형 준설차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부는 제1 출력축 및 제1 출력축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2 출력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출력축과 연결되는 클러치부, 상기 클러치부와 연결되며, 물 탱크와 분사 노즐 사이에 형성되는 물 펌프 및 상기 클러치부와 연결되며, 슬러지 탱크와 연결되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구동축의 동력이 상기 외부 출력부로 전달되면, 상기 물 펌프 및 상기 진공 펌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동력 인출 장치는 상기 메인 구동축과 연결되며, 유압부가 형성되는 제1 기어부, 상기 제1 기어와 동심을 이루며, 상기 구동휠부에 형성되는 제2 기어부, 상기 제1 기어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3 기어부 및 상기 제3 기어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 출력부와 연결되는 제4 기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어부가 상기 유압부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 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제1 기어부가 상기 제3 기어부 및 상기 제4 기어부가 맞물리거나, 상기 제1 기어부가 상기 제2 기어부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더 나아가,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물 펌프와 연결되는 제1 클러치 및 상기 진공 펌프와 연결되는 제2 클러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클러치와 상기 제2 클러치는, 상기 제1 출력축의 연장 길이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2 출력축에 연결되는 유압 펌프, 상기 유압 펌프와 연결된 유압 탱크 및 상기 유압 탱크와 연결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유압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이 상기 동력 인출 장치 또는 상기 클러치부와 연결되는 압축기에 전달되어 작동 동력원으로 사용되도록 형성되는 유압 회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된 공기가 주입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에 주입된 공기에 의해 후진하며 밀리는 마찰 디스크 및 후진하여 밀린 상기 마찰 디스크와 고정되는 디스크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분사 노즐이 감겨있고, 상기 유압 모터에 의해서 회전하는 호스릴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동력 인출 장치는, 상기 메인 구동축의 회전수 및 상기 외부 출력부로 전달되는 회전수를 측정하여, 측정된 각각의 회전수를 외부에 표시하는 회전수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동력 인출 장치는 상기 메인 구동축과 상기 구동휠부가 연결되거나, 상기 메인 구동축과 상기 외부 출력부와 연결된 상태를 감지하여, 연결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전환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소형 준설차는, 차량의 엔진 동력을 물 펌프 및 진공 펌프의 작동 동력으로 사용할 수 있어, 동력 제공을 위한 추가 설비 제작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인 소음, 매연, 미세먼지 등을 포함한 환경 규제에서 있어서 자유롭고, 건물 지하 주차장 투입 시, 진입 높이 또는 주차 공간에 있어서도 제한받지 않으며, 세척 작업과 상기 흡입 작업이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준설 작업을 위한 작업 차량이 단일개로 가능하여, 작업 비용, 작업 공간 및 작업 시간이 최소화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수 맨홀 준설차는 차량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식 소형 준설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식 소형 준설차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동휠부 가동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외부 출력부 가동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식 소형 준설차 간략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세척작업 및 흡입작업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유압라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동력 인출 장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소형 준설차(100)는 엔진(110), 상기 엔진(110)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메인 구동축(132), 상기 메인 구동축(132)의 동력을 구동휠부(130) 또는 외부 출력부(300)로 전달하는 동력 인출 장치(200)가 설치되는 소형 준설차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부(300)는 제1 출력축(310)(132) 및 제1 출력축(310)(132)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2 출력축(320)(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출력축(310)(132)과 연결되는 클러치부(400), 상기 클러치부(400)와 연결되며, 물 탱크(500)와 분사 노즐 사이에 형성되는 물 펌프(510) 및 상기 클러치부(400)와 연결되며, 슬러지 탱크(600)와 연결되는 진공 펌프(6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구동축(132)의 동력이 상기 외부 출력부(300)로 전달되면, 상기 물 펌프(510) 및 상기 진공 펌프(61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소형 준설차는 2.5톤 미만의 화물차 또는 트럭을 기반으로 준설작업을 위해 준설장비가 설치된 차량을 지칭하며, 일반적으로, 1톤 트럭에 준설장비가 구비된 차량을 말한다.
상기 엔진(110)은 기본적으로 차량의 운행을 위해 탑재된 구성으로, 본 발명은 준설작업을 위한 보조 동력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차량의 상기 엔진(110)을 이용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므로, 상기 엔진(110)으로부터 발생하는 동력이 바퀴(131)와 축(132)으로 구성되는 상기 구동휠부(130)로 전달되는 것을 인출하여, 준설장비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운전자 석에서는 상기 메인 구동축(132)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메인 구동축(132)의 회전수 조절을 통해서, 상기 외부 출력부(300)의 회전수도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외부 출력부(300)는 상기 제1 출력축(310)(132)과 상기 제2 출력축(320)(1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출력축(310)(132)과 상기 제2 출력축(320)(132)은 동심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러치부(400)는 일측이 상기 제1 출력축(310)(132)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물 펌프(510) 및 상기 진공 펌프(6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출력축(310)(132)의 동력이 상기 클러치부(400)를 지나 상기 물 펌프(510) 및 상기 진공 펌프(610)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부(400)는 상기 제1 출력축(310)(132)의 동력이 상기 물 펌프(510) 및 상기 진공 펌프(61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달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 펌프(510)가 상기 제1 출력축(310)(132)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면, 상기 물 탱크(500)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해 하수관로 내부로 분사시켜, 하수관로의 세척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 펌프(610)가 상기 제1 출력축(310)(132)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면, 상기 슬러지 탱크(600)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세척 작업에서 발생하여 하수관로에 형성되는 슬러지 및 물의 흡입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소형 준설차(100)를 통해서, 차량의 상기 엔진(110) 동력을 상기 물 펌프(510) 및 상기 진공 펌프(610)의 작동 동력으로 사용할 수 있어, 소음, 매연, 미세먼지 등을 포함한 환경 규제에 있어서 자유롭고, 건물 지하 주차장 투입 시, 진입 높이 또는 주차 공간에 있어서도 제한받지 않으며, 상기 세척 작업과 상기 흡입 작업이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준설 작업을 위한 작업 차량이 단일개로 가능하여, 작업 비용, 작업 공간 및 작업 시간이 최소화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소형 준설차(100)의 주행은, 상기 엔진(110)에서 발생한 동력이 상기 메인 구동축(132)으로 전달되고, 상기 메인 구동축(132)이 상기 구동휠부(130)와 연결되어, 바퀴(131)가 회전하여 일어난다.
도 4 내지 5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 인출 장치(200)는 상기 메인 구동축(132)과 연결되며, 유압부(210)가 형성되는 제1 기어부(220), 상기 제1 기어와 동심을 이루며, 상기 구동휠부(130)에 형성되는 제2 기어부(230), 상기 제1 기어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3 기어부(240) 및 상기 제3 기어부(24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 출력부(300)와 연결되는 제4 기어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어부(220)가 상기 유압부(210)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 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제1 기어부(220)가 상기 제3 기어부(240) 및 상기 제4 기어부(250)가 맞물리거나, 상기 제1 기어부(220)가 상기 제2 기어부(230)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어부(220)는 상기 유압부(210)에 의해서 전진 또는 후진 운동함으로써, 상기 메인 구동축(132)의 동력을 상기 외부 출력부(300) 또는 상기 구동휠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기어부(220)가 유압부(210)에 의해서 후진하면, 상기 구동휠부(130)와 연결되는 상기 제2 기어부(230)와 맞물려, 상기 메인 구동축(132)의 동력을 상기 구동휠부(130)에 형성된 축(132)이 전달받아 바퀴(131)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1 기어부(220)가 유압부(210)에 의해서 전진하면, 상기 제4 기어부(250)와 맞물리는 상기 제3 기어부(240)와 맞물려, 상기 제4 기어부(250)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4 기어부(250)와 연결된 상기 외부 출력부(300)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기어부(220)의 위치는 전진 또는 후진 중 하나의 위치를 기본 위치로 하고, 기본 위치 상태에서는 상기 제2 기어부(230)와 맞물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압부(210)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 기본 위치에서 벗어나 상기 제3 기어부(240)와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기어부(220)는 상기 유압부(210)에 의해서 전진 또는 후진 운동에 따른 동력 전환은, 준설장비의 배치에 따라서, 상기 제1 기어부(220)가 전진하면 상기 제3 기어부(240)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제1 기어부(220)가 후진하면 상기 제3 기어부(240)와 맞물릴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클러치부(400)는, 상기 물 펌프(510)와 연결되는 제1 클러치(410) 및 상기 진공 펌프(610)와 연결되는 제2 클러치(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러치부(400)는 상기 물 펌프(510)와 상기 진공 펌프(610)를 작동시키는 클러치를 각각 별도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상기 클러치부(400)로 전달되는 상기 제1 출력축(310)(132)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제1 클러치(410)와 상기 제2 클러치(420)는, 상기 제1 출력축(310)(132)의 연장 길이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클러치(410)의 중심과 상기 제2 클러치(420)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상기 제1 출력축(310)(132)의 길이가 이루는 직선이 서로 수직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클러치(410) 및 상기 제2 클러치(42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 클러치(410)와 상기 제2 클러치(420)가 각각 상기 제1 출력축(310)(132)과 풀리 연결됨으로써,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일정 간격을 이루며 형성시키기 위함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소형 준설차(100)는 상기 제2 출력축(320)(132)에 연결되는 유압 펌프(710), 상기 유압 펌프(710)와 연결된 유압 탱크(700) 및 상기 유압 탱크(700)와 연결된 유압 모터(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준설작업 현장에서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2 출력축(320)(132)과 연결되는 상기 유압 펌프(710)가 공기가 저장되는 상기 유압 탱크(700)와 연결되어, 상기 유압 탱크(700)의 공기를 상기 유압 모터(720)로 전달하여, 상기 모터를 통해 준설장비를 가동시켜, 전력 공급 없이, 준설작업에 필요한 준설장비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소형 준설차(100)는상기 유압 모터(720)에서 발생된 동력이 상기 동력 인출 장치(200) 또는 상기 클러치부(400)와 연결되는 압축기(740)에 전달되어 작동 동력원으로 사용되도록 형성되는 유압 회로(7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압 펌프(710)의 작동으로 상기 유압 탱크(700)의 내부 공기가 상기 유압 모터(720)를 움직이고, 상기 유압 모터(720)를 통해 발생된 동력이 상기 유압 회로(730)를 따라서, 상기 동력 인출 장치(200)에 전달되어, 상기 동력 인출 장치(200)가 상기 메인 구동축(132)의 동력을 상기 구동휠부(130) 또는 상기 외부 출력부(3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 모터(720)를 통해 발생된 동력이 상기 클러치부(400)와 연결되는 상기 압축기(740)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압축기(740)와 연결된 상기 클러치부(400)가 상기 물 펌프(510) 또는 상기 진공 펌프(610)와 물림 또는 풀림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러치부(400)는 상기 압축기(740)와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740)에서 발생된 공기가 주입되는 다이아프램(430), 상기 다이아프램(430)에 주입된 공기에 의해 후진하며 밀리는 마찰 디스크(440) 및 후진하여 밀린 상기 마찰 디스크(440)와 고정되는 디스크 고정부(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압 회로(730)를 통해서 상기 압축기(740)에 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압축기(740)가 작동하여 공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기를 상기 다이아프램(430)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다이아프램(430)이 에어 실린더 역할을 하여 상기 마찰 디스크(440)를 밀고, 후진하며 밀린 상기 마찰 디스크(440)가 상기 디스크 고정부(450)에 고정되어, 상기 클러치부(400)와 상기 제1 출력축(310)(132)이 물리게 되어, 상기 제1 출력축(310)(132)의 동력이 상기 클러치부(400)를 통하여 상기 물 펌프(510) 또는 상기 진공 펌프(610)로 전달 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부(400)가 상기 제1 클러치(410) 및 상기 제2 클러치(420)로 이루어지면, 상기 압축기(740)와 상기 제1 클러치(410) 및 상기 제2 클러치(420)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740)로부터 공기가 주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클러치(410) 및 상기 제2 클러치(420) 모두 상기 다이아프램(430), 상기 마찰 디스크(440) 및 상기 디스크 고정부(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압축기(740)는 상기 제1 클러치(410) 또는 상기 제2 클러치(420) 중 어느 하나에만 공기를 주입할 수 있고, 두 구성에 동시에 공기를 주입할 수도 있다.
도 2 및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소형 준설차(100)는 상기 분사 노즐이 감겨있고, 상기 유압 모터(720)에 의해서 회전하는 호스릴(52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은 고압의 물이 분사되는 노즐로서, 하수관로 내부에서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며 하수관로 내측을 세척하며 10m 내지 100m의 긴 거리를 앞으로 나아가야 하므로 풀림 및 감김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호스릴(520)을 통해서 상기 분사 노즐이 고정되며, 상기 호스릴(5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분사 노즐의 풀림과 감김이 조절됨으로써, 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안전하게 세척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 인출 장치(200)는 상기 메인 구동축(132)의 회전수 및 상기 외부 출력부(300)로 전달되는 회전수를 측정하여, 측정된 각각의 회전수를 외부에 표시하는 회전수 센서부(2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수 센서부(260)는 상기 메인 구동축(132)의 회전 속도를 확인하고, 상기 메인 구동축(132)의 동력이 상기 외부 출력부(300)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외부 출력부(300)로 전달된 회전수를 외부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동력 인출 장치(200)는 상기 메인 구동축(132)과 상기 구동휠부(130)가 연결되거나, 상기 메인 구동축(132)과 상기 외부 출력부(300)와 연결된 상태를 감지하여, 연결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전환 센서부(2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환 센서부(270)는 상기 동력 인출 장치(200)가 상기 메인 구동축(132)의 동력을 상기 구동휠부(130) 또는 상기 외부 출력부(300) 중 어느 곳으로 전달하고 있는 외부에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복합식 소형 준설차
110 : 엔진 120 : 메인 구동축
130 : 구동휠부 131 : 바퀴
132 : 축
200 : 동력 인출 장치 210 : 유압부
220 : 제1 기어부 230 : 제2 기어부
240 : 제3 기어부 250 : 제4 기어부
260 : 회전수 센서부 270 : 전환 센서부
300 : 외부 출력부 310 : 제1 출력축
320 : 제2 출력축
400 : 클러치부 410 : 제1 클러치
420 : 제2 클러치 430 : 다이아프램
440 : 마찰 디스크 450 : 디스크 고정부
500 : 물 탱크 510 : 물 펌프
520 : 호스릴
600 : 슬러지 탱크 610 : 진공 펌프
700 : 유압 탱크 710 : 유압 펌프
720 : 유압 모터 730 : 유압 회로
740 : 압축기

Claims (10)

  1. 엔진, 상기 엔진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메인 구동축, 상기 메인 구동축의 회전력을 구동휠부 또는 외부 출력부로 전달하는 동력 인출 장치가 설치되는 소형 준설차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부는 제1 출력축 및 제1 출력축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2 출력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출력축과 연결되는 클러치부;
    상기 클러치부와 연결되며, 물 탱크와 분사 노즐 사이에 형성되는 물 펌프; 및
    상기 클러치부와 연결되며, 슬러지 탱크와 연결되는 진공 펌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구동축의 동력이 상기 외부 출력부로 전달되면, 상기 물 펌프 및 상기 진공 펌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동력 인출 장치는,
    상기 메인 구동축과 연결되며, 유압부가 형성되는 제1 기어부;
    상기 제1 기어와 동심을 이루며, 상기 구동휠부에 형성되는 제2 기어부;
    상기 제1 기어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3 기어부; 및
    상기 제3 기어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 출력부와 연결되는 제4 기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어부가 상기 유압부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 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제1 기어부가 상기 제3 기어부 및 상기 제4 기어부가 맞물리거나, 상기 제1 기어부가 상기 제2 기어부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소형 준설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물 펌프와 연결되는 제1 클러치; 및
    상기 진공 펌프와 연결되는 제2 클러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소형 준설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러치와 상기 제2 클러치는, 상기 제1 출력축의 연장 길이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소형 준설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축에 연결되는 유압 펌프;
    상기 유압 펌프와 연결된 유압 탱크; 및
    상기 유압 탱크와 연결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모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소형 준설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이 상기 동력 인출 장치 또는 상기 클러치부와 연결되는 압축기에 전달되어 작동 동력원으로 사용되도록 형성되는 유압 회로;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소형 준설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된 공기가 주입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에 주입된 공기에 의해 후진하며 밀리는 마찰 디스크; 및
    후진하여 밀린 상기 마찰 디스크와 고정되는 디스크 고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소형 준설차.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이 감겨있고, 상기 유압 모터에 의해서 회전하는 호스릴;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소형 준설차.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인출 장치는,
    상기 메인 구동축의 회전수 및 상기 외부 출력부로 전달되는 회전수를 측정하여, 측정된 각각의 회전수를 외부에 표시하는 회전수 센서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소형 준설차.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인출 장치는,
    상기 메인 구동축과 상기 구동휠부가 연결되거나, 상기 메인 구동축과 상기 외부 출력부와 연결된 상태를 감지하여, 연결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전환 센서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소형 준설차.
KR1020200041305A 2020-04-06 2020-04-06 복합식 소형 준설차 KR102145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305A KR102145877B1 (ko) 2020-04-06 2020-04-06 복합식 소형 준설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305A KR102145877B1 (ko) 2020-04-06 2020-04-06 복합식 소형 준설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877B1 true KR102145877B1 (ko) 2020-08-20

Family

ID=72242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305A KR102145877B1 (ko) 2020-04-06 2020-04-06 복합식 소형 준설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8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550A (ko) * 2020-12-21 2022-06-28 김정호 포터블 준설장치
KR102542040B1 (ko) * 2023-02-28 2023-06-13 리텍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
KR102542042B1 (ko) * 2023-02-28 2023-06-13 리텍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유압시스템
KR20230126770A (ko) * 2022-02-23 2023-08-31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통합 구동모터를 이용한 동력인출장치를 포함하는 친환경 특장차의 구동 시스템
KR20230147996A (ko) 2022-04-15 2023-10-24 주식회사 티앤티원 복합식 초소형 하수구 준설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073B1 (ko) * 2009-03-26 2009-11-23 동우인더스(주) 복합식 준설차
KR101275881B1 (ko) 2012-10-26 2013-06-18 한붕전 하수 맨홀 준설차용 슬러지 원심분리장치
KR20190013124A (ko) * 2017-07-31 2019-02-11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의 동력전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073B1 (ko) * 2009-03-26 2009-11-23 동우인더스(주) 복합식 준설차
KR101275881B1 (ko) 2012-10-26 2013-06-18 한붕전 하수 맨홀 준설차용 슬러지 원심분리장치
KR20190013124A (ko) * 2017-07-31 2019-02-11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의 동력전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550A (ko) * 2020-12-21 2022-06-28 김정호 포터블 준설장치
KR102421400B1 (ko) * 2020-12-21 2022-07-14 김정호 포터블 준설장치
KR20230126770A (ko) * 2022-02-23 2023-08-31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통합 구동모터를 이용한 동력인출장치를 포함하는 친환경 특장차의 구동 시스템
KR102646530B1 (ko) * 2022-02-23 2024-03-13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통합 구동모터를 이용한 동력인출장치를 포함하는 친환경 특장차의 구동 시스템
KR20230147996A (ko) 2022-04-15 2023-10-24 주식회사 티앤티원 복합식 초소형 하수구 준설장치
KR102542040B1 (ko) * 2023-02-28 2023-06-13 리텍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전기시스템
KR102542042B1 (ko) * 2023-02-28 2023-06-13 리텍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동력인출장치를 이용한 유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877B1 (ko) 복합식 소형 준설차
CN201801952U (zh) 车载城市下水道清污装置
US20080244859A1 (en) Vacuum system with improved mobility
US6128799A (en) Conduit interior smoothing device
CN109296055A (zh) 城市管网淤泥处理方法及系统
CN110905024A (zh) 一种救援设备、车辆及救援方法
KR101364473B1 (ko) 다목적 수중 청소로봇
CN113123443A (zh) 一种市政用管道快速清淤设备及使用方法
US20170362798A1 (en) System and method to drive vacuum excavator
KR100470492B1 (ko) 고압살수장치 및 진공흡입장치가 부설된 준설차
KR101193157B1 (ko) 상하수관 퇴적물 준설장치 및 공법
KR101208228B1 (ko) 하수관 퇴적물 세정장치 및 준설공법
KR20190041638A (ko) 소형 다목적 준설 및 진공청소차
CN108517911B (zh) 一种水下遥控自过滤清淤装置
CN208430619U (zh) 管道疏通车
CN104674935A (zh) 一种下水道清淤微型车的改进方法
KR102588102B1 (ko) 준설차용 복합 방식을 이용한 도심지 내의 빗물받이 및 빗물받이 연결관 하수도 청소장치
JP5419593B2 (ja) 吸引車
CN201354481Y (zh) 多功能清污清洗疏通车
CN101748792A (zh) 多功能清污清洗疏通车
JP2009057136A (ja) 高圧洗浄車および高圧洗浄装置のホース自動巻き取り装置、並びにホース自動巻き取り方法
CN211571564U (zh) 一种具备排水功能的物料挖掘抽吸系统及挖掘抽吸车
CN204081061U (zh) 一种用于下水道的清沙清淤泥微型车
KR100391344B1 (ko) 주행식 임펠러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고양정 대이송 준설공법
KR20230147996A (ko) 복합식 초소형 하수구 준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