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461B1 -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 - Google Patents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461B1
KR102253461B1 KR1020197003078A KR20197003078A KR102253461B1 KR 102253461 B1 KR102253461 B1 KR 102253461B1 KR 1020197003078 A KR1020197003078 A KR 1020197003078A KR 20197003078 A KR20197003078 A KR 20197003078A KR 102253461 B1 KR102253461 B1 KR 102253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reatment
endoscope
small
endoscopic sur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809A (ko
Inventor
히데히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히데히로 야마모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데히로 야마모토 filed Critical 히데히로 야마모토
Publication of KR20190026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7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5Oversleeves mounted on the endoscope prior to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4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guiding arrangements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1Guiding arrangement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 A61B1/313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for examination of the epidural or the spinal sp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8Endoscopic needles, e.g. for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61M3/0262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manually, e.g. by squeezing a bul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349Needle-like instruments having hook or barb-like gripping means, e.g. for grasping suture or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71Electrical conductivity
    • A61B2018/00083Electrical conductivity low, i.e. electrically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12Bla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2Hoo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2Irrig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Neur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사용하는 세경 내시경(10)과 동일한 외경을 갖고,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를 체내에 삽입할 때에 사용하고, 삽입 후에는 세경 내시경(10)과 치환되는 내관(20)과, 세경 내시경 또는 내관이 삽입되고, 이것들을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하는 가이드 파이프(30)와, 가이드 파이프가 삽입되고, 이것을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하는 처리 파이프이며, 그의 선단부에 전극, 칼날, 훅 등의 처리 수단을 갖는 처리 파이프(40)를 포함하고, 세경 내시경, 내관, 가이드 파이프 및 처리 파이프가, 각각 그의 근단부에 독립된 조작부를 갖고, 이들에 의해, 각각의 축 방향의 위치와 회전 각도를 바꿀 수 있는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 간단한 구성으로 조직의 파지나 고정을 할 수 있으며, 조직의 전기 소작, 전기 응고, 절제, 수동, 분리, 견인을 행하고, 또한 수술 중에 훅에 달라붙은 응혈 덩어리 등의 제거나, 생체 병리 검사용의 시료의 취출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
본 발명은, 흉강 내의 교감 신경 절제 수술과 같이, 체강 내에 있어서 작은 조직을 대상으로 절제, 수동(授動: 조직을 움직이게 하는 행위), 분리, 견인, 적출, 전기 소작, 전기 응고 등을 행하는 수술에 사용하는 내시경 수술 기구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을 사용한 수술, 소위 내시경 수술에 있어서는, 종래 메스, 겸자, 응고용 전극 등의 처치 기구류와 내시경은 상이한 피부 절개 구멍으로부터 삽입하였다. 그의 삽입을 위해 적어도 2개소의 피부 절개 구멍이 필요하며, 처리의 종류에 따라서는 3개소 이상의 피부 절개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환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수술 후의 조기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피부 절개 구멍의 수는 적을수록 바람직하고, 피부 절개 구멍의 크기는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이 종류의 내시경 수술 기구를 「종래형 내시경 수술 기구」라 한다.
이 종래형 내시경 수술 기구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내시경을 내장한 통 형상의 처리 기구를 1개소의 피부 절개 구멍으로부터 체내에 삽입하고, 이 내시경으로 수술 부위를 관찰하면서 통 형상의 처리 기구로 전기 소작, 전기 응고, 절개 등의 처치를 행할 수 있는 내시경 통전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통 형상의 처리 기구는 그의 선단부를 전극으로서 사용하고, 그의 통부를 전극으로의 통전체로서 사용하여 전기 소작이나 전기 응고를 행함과 함께, 그의 선단부 형상을 칼날 형상 혹은 바늘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절개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내시경 통전 기구는 내시경이 그 안을 통과할 수 있는 내경을 갖고, 내시경은 통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통 형상의 처리 기구의 선단과 내시경의 선단의 상대적인 위치가 가변이 되어, 수술의 목적부 탐색시에는 내시경을 통 형상의 처리 기구의 선단부로부터 돌출시켜 넓은 시야로 체내를 관찰하고, 수술시에는 내시경을 통 형상의 처리 기구 내에 인입하여 목적 부위와 전극 등의 양쪽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이 장치에서는, 내시경과 처리 기구를 일체로서 삽입함으로써, 피부 절개 구멍은 1개소로 충분하고, 한층 더 피부 절개 구멍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비특허문헌 1에는, 이 기구를 사용한 수술의 상세한 설명과 수술 결과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특허문헌 1의 내시경 통전 기구에 견인부를 마련하여, 수술을 방해하거나 시야를 방해하는 섬유상 조직 등을 견인하여 이동하거나, 절단하거나 할 수 있는 교감 신경 차단술에 적합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문헌에 개시된 내시경 통전 기구는, 피부 절개 구멍이 1개소여도 되고, 세경 내시경을 사용함으로써 피부 절개 구멍의 크기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부담을 대폭으로 경감하여, 수술 후의 조기 회복을 도모하는 것에 공헌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내시경 통전 기구에서는 조직을 파지하거나, 조직을 고정하거나 할 수 없기 때문에, 수술 중에 절개용의 칼날에 찔려버린 조직을 칼날로부터 빼내거나, 절개용의 칼날에 달라붙은 응혈 덩어리를 체외로 기구를 뽑아내지 않고 빼내거나, 절개한 조직편을 잡아 밖으로 취출하여 생체 병리 검사에 이용할 수 없다.
또한, 종래형 내시경 수술 기구에서는, 원격 조작의 겸자 등의 협지 기구를 삽입하여 조직을 파지하거나, 절개한 조직의 세편을 체외로 취출하여 생체 병리 검사에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를 위해서는 겸자 등의 협지 기구를 삽입하기 위한 별도의 피부 절개 구멍이 필요로 될 뿐만 아니라, 통상의 원격 조작의 겸자 등의 협지 기구에서는 그의 협지편을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멈춤 핀 등의 조인트 기구나 협지편을 움직이게 하는 구동 수단 등의 미세한 부품이 많이 사용되고, 부품 개수가 늘어남으로써, 이것들이 체내에서 파손되어 탈락해버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이들 미세한 부품이 체내에서 탈락해버리면, X선 촬영으로 그의 존재를 외부로부터는 확인할 수 있어도, 내시경을 사용하여 그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그의 취출은 내시경 수술 기구를 사용해도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또한, 많은 종래형 내시경 수술 기구는, 선단의 형상이 예리한 기구나 선단의 형상이 복잡한 기구를 체내에 삽입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들을 삽입할 때에, 주위의 조직을 손상시키거나, 무리한 힘이 가해져 기구의 선단을 변형시키거나 하여, 원활하게 삽입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또한, 삽입 중에는 어디까지 도달했는지의 판단이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국제 공개 번호 WO2000/016707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89690호 공보
Hidehiro Yamamoto, MD.외 저, The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지, 2000년, Volume120, Page276-279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인트 기구나 그의 구동 수단 등을 사용하지 않는 부품 개수가 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특허문헌 1 등에 개시된 내시경 수술 기구가 갖는 기능에 더하여, 조직의 파지나 고정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칼날에 찔려버린 조직을 빼내거나, 칼날에 부착된 응혈 덩어리를 빼낼 수 있으며, 절개한 조직편을 잡아 밖으로 취출하여 생체 병리 검사에 이용할 수 있고, 삽입시에는 조작이 원활하게 행해져, 주위의 조직을 손상시키거나 기구의 선단을 변형시키거나 하는 경우가 없고, 또한 삽입 중에 기구의 선단이 어디까지 도달했는지의 판단이 용이한 내시경 수술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물론, 삽입된 내시경에 의해, 수술하는 조직의 목적 부위와 전극 등의 처리 수단의 양쪽을 포착한 명료한 영상, 그리고 내시경 수술 기구 선단의 주위의 명료한 영상이 얻어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은, 세경 내시경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로서,
사용하는 해당 세경 내시경의 관 부분과 동일한 외경을 갖고, 해당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를 체내에 삽입할 때에 사용하고, 삽입 후에는 세경 내시경과 치환되는 내관과,
해당 세경 내시경 혹은 해당 내관이 삽입되고, 이것들을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하는 가이드 파이프와,
해당 가이드 파이프가 삽입되고, 해당 가이드 파이프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하는 처리 파이프이며, 그의 선단부에 전극, 칼날, 훅 등의 처리 수단을 갖는 처리 파이프를 포함하고,
해당 세경 내시경, 해당 내관, 해당 가이드 파이프 및 해당 처리 파이프가 각각 그의 근단부, 즉 해당 세경 내시경을 사용하여 수술을 할 때에 환자의 체외에 있는 부분에 독립된 조작부를 갖고, 해당 조작부를 사용하여 조작함으로써, 각각의 축 방향의 위치 및 필요에 따라 각각의 회전 각도를 바꿀 수 있는, 동축 또한 다중관 구조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이다.
흉강 내의 교감 신경 절제 수술을 예로 들면, 겨드랑이에 피부 절개 구멍을 형성하여 흉강 내에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를 삽입해 간다. 이 때에, 세경 내시경 대신에, 세경 내시경의 관 부분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내관을 가이드 파이프에 삽입하고, 이 가이드 파이프를 처리 파이프에 삽입하여, 동축 또한 3중관 구조의 상태에서 체내로의 삽입이 행해진다. 기구의 선단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것을 확인한 후, 내관을 빼고 세경 내시경을 삽입한다. 그 결과, 내시경 수술에 필요한 모든 장치를, 1개소의 피부 절개 구멍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다.
종래, 체내에 삽입하는 이 종류의 장치는, 오염 방지나 살균의 완전성이 요구되고, 또한 내부에 조직의 일부나 체액이 들어가지 않도록, 내부까지 충실한 막대 형상인 것이 사용되며, 통 형상인 것은 사용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삽입시에는 3개의 통을 조합한 형태의 3중관 구조를 채용하고, 수술시에는 2개의 통을 조합한 2중관에 세경 내시경을 더한 형태를 채용하지만,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경 내시경이나 내관의 외경과 가이드 파이프의 내경의 차, 및 가이드 파이프의 외경과 처리 파이프의 내경의 차를, 모두 각각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작게 함으로써, 이들의 간극에 절단된 조직이나 체액이 들어가, 조작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내관, 가이드 파이프, 그리고 처리 파이프는, 각각 단순한 파이프의 형상이며, 뽑아내어 3자를 분해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사전의 세정이나 살균은 용이하게, 또한 완전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내시경은, 그의 관 부분이 매우 미세한 것이 선정되어, 내관은 이 내시경의 관 부분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가이드 파이프와 처리 파이프는 그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범위에서 두께가 얇은 것을 선정하면, 결과로서 본 발명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의 외경은 매우 가늘어지고, 그에 따라 필요한 피부 절개 구멍의 크기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체강 내로의 삽입시에는, 내관을 선두로, 가이드 파이프, 그리고 처리 파이프의 순서로 조금씩 선단을 비켜놓은 상태의 3중관 구조를 취한다. 모두, 옆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는 파이프 형상이라는 점에서,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세경 내시경, 내관, 가이드 파이프 및 처리 파이프가, 각각 그의 근단부에 독립된 조작부를 갖고, 수술을 하는 사람이, 이 조작부를 사용하여 각각을 조작함으로써, 각각의 축 방향의 위치 및 필요에 따라 각각의 회전 각도를 바꿀 수 있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란, 처리 파이프에 있어서는 회전 각도를 바꿀 필요가 있다. 가이드 파이프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슬릿을 마련한 경우에는 시야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회전이 필요하지만, 슬릿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다. 내관에 있어서는 축 방향의 위치를 바꿀 필요는 있지만, 회전 각도를 바꿀 필요가 없다. 이들 조건을 감안하여 조작부의 설치와 그의 내용을 생각하면 된다.
이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처리 파이프에 마련한 전극을 사용하여 수술의 대상이 되는 조직(이하 「대상 조직」이라 함)의 전기 소작, 전기 응고의 작업을 행할 뿐만 아니라, 처리 파이프에 마련한 칼날이나 훅을 사용하여 대상 조직의 절제, 수동, 분리, 견인을 행하고, 추가로 처리 파이프에 마련한 훅과 가이드 파이프의 선단부로 대상 조직을 파지하여 대상 조직의 수동, 분리, 견인을 행하고, 대상 조직을 파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를 환자의 체외로 취출함으로써, 그의 대상 조직을 생체 병리 검사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수술 중에 훅에 찔려버린 조직이나 훅에 달라붙은 응혈 덩어리를, 가이드 파이프의 선단부로 늑골 등에 눌러 고정하여, 제거할 수도 있다. 이들 작업은, 수술을 하는 사람의 손끝에 의해 각각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는, 그것을 구성하는 세경 내시경, 내관, 가이드 파이프, 그리고 처리 파이프가, 축 방향의 상대 위치를 바꿀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들 모두를 직선 형상으로 제작하여 조합하거나, 혹은 이들 모두를 동일한 반경의 원호의 일부를 이루도록 제작하여 조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로서, 상기 처리 파이프의 선단부에, 해당 처리 파이프의 일부를 잘라낸 형상의 훅을 갖고, 해당 훅의 선단의 해당 처리 파이프의 근단부측이 해당 처리 파이프의 축 방향에 거의 수직인 면 내에 있고, 또한 그 부분에 칼날을 마련한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이다.
처리 파이프의 일부를 잘라낸 형상의 훅이란, 처리 파이프를 구성하는 파이프의 벽의 곡면을 유지한 채, 이 곡면으로부터 훅 형상으로 잘라낸 것을 말한다. 즉, 훅 부분도 처리 파이프와 동일한 내경과 외경의 곡면 내에 구성된다. 그 결과로서, 처리 파이프 중에 삽입되는 가이드 파이프의 축 방향의 움직임을 훅이 저해하지 않고,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의 체내로의 삽입시에는, 훅 부분은 처리 파이프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파이프를 따른 형태로 진행해 가기 때문에, 주위의 조직을 손상시키거나, 무리한 힘이 가해져 훅의 선단을 변형시키지 않는다.
이 훅은, 처리 파이프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끝으로 신장되고, 머지않아 구부러져 훅 형상이 된다. 이 구부러진 훅의 선단부의 내측, 즉 처리 파이프의 근단부측이 처리 파이프의 축 방향에 거의 수직인 면 내에 있기 때문에, 축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성형된 가이드 파이프의 선단부와 거의 병행이 된다. 대상 조직을 이 처리 파이프의 훅의 내측과 가이드 파이프의 선단부 사이에 위치시켜, 양쪽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훅의 내측과 가이드 파이프의 선단부를 가까이 하면, 훅의 내측과 가이드 파이프의 선단부가 거의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또한 보다 확실히 대상 조직을 파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대상 조직의 수동, 분리, 견인을 행하는 것을, 또한 대상 조직을 환자의 체외로 취출하여 조직 채취하는 것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훅의 선단부의 내측에 칼날을 마련함으로써, 처리 파이프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처리 파이프를 앞쪽으로 당기면서 회전시킴으로써, 대상 조직의 절제나 분리를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칼날에 찔려버린 조직을 빼내고자 하는 경우나, 훅에 응혈 덩어리가 부착되어 그것을 빼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이드 파이프의 선단부로 그의 조직이나 응혈 덩어리를 늑골 등에 압박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처리 파이프를 회전함으로써, 찔려버린 조직이나 부착된 응혈 덩어리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이것은 종래형 내시경 수술 기구에서는 매우 곤란한 조작이며, 대부분의 경우에는 기구를 체외로 취출하지 않으면 해결을 할 수 없었다. 이 조작을, 수술을 하고 있는 그 자리에서,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수술의 원활한 진행을 도울 뿐만 아니라, 환자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세경 내시경은, 가이드 파이프에 대하여 그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되고, 가이드 파이프는, 처리 파이프에 대하여 그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대상 조직을 탐색할 때에는, 세경 내시경을 가이드 파이프나 처리 파이프의 선단부로부터 돌출시켜 넓은 시야로 체강 내를 관찰하고, 수술시에는 세경 내시경을 가이드 파이프나 처리 파이프 중에 인입하여, 대상 조직과 처리 파이프의 선단의 처리 수단의 양쪽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며, 어떤 경우에도 명료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세경 내시경, 가이드 파이프, 그리고 처리 파이프가 동축에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수술시에는 항상 대상 조직과 전극 등의 처리 수단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형 내시경 수술 기구를 사용한 경우와 같이, 내시경으로 체강 내에 있는 처리 수단을 찾거나, 처리 수단을 영상의 프레임 내에 들어가도록 내시경으로 쫓아가면서 수술을 할 필요는 없어져, 수술을 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부담이 줄어들고, 수술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파지 등의 처리를 행하기 위해 세경 내시경을 가이드 파이프 중에 인입한 경우에는, 가이드 파이프의 선단부가 내시경의 시야를 좁혀버린다. 가이드 파이프의 선단부 가까이에 1개 혹은 복수의 슬릿을 마련해 두면, 이 슬릿을 통과시켜 처리 부위의 주위의 영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수술을 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로서,
상기 처리 파이프의 선단부가 전극을 이루고, 해당 처리 파이프의 파이프 자체가 해당 전극에 전기를 보내는 통전부를 이루고, 해당 처리 파이프의 체내에 삽입되는 부분은 전극을 제외하고 외면에 전기적 절연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이다.
처리 파이프는, 통전성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지며, 선단에는 전기 소작이나 전기 응고에 사용하는 전극을 갖고 있고, 파이프 부분이 그의 전극에 전기를 보내는 통전부를 이루고 있다. 전기가 외부로 누전되지 않도록, 처리 파이프의 체내에 삽입되는 부분은 전극을 제외하고 그의 외면에 전기적 절연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절연 처리는, 절연 재료의 코팅, 도포, 베이킹 등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전극에는 모노폴라와 바이폴라의 양쪽을 생각할 수 있지만, 흉강 내의 교감 신경 절제 수술과 같이, 체강 내에 있어서 작은 조직을 대상으로 미세한 수술을 행하는 경우에는, 전류를 비교적 좁은 분야에 집중하는 것이 가능한 모노폴라가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로서,
상기 내관의 선단부가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연마되어 있으며, 해당 내관을 통과시켜 생리적 식염수, 혹은 공기를 보내주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이다.
내관은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를 체내에 삽입할 때에, 세경 내시경 대신에 사용된다. 삽입시에는, 내관은 기기의 가장 선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내관의 선단부를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연마해 둠으로써, 원활하게 삽입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내관을 통과시켜 생리적 식염수, 혹은 공기를 보내주는 장치를 마련하고, 예를 들어 내관을 튜브를 통해 주사기에 연결하여 주사기 중에 생리적 식염수나 공기를 넣어 둔다. 이러한 대비를 해두면, 내관을 삽입한 상태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를, 예를 들어 교감 신경 절제 수술을 행하기 위해 흉강 내를 향해 삽입해 갈 때에, 내관의 선단이 흉막강에 달한 시점에, 주사기 내의 생리적 식염수 혹은 공기의 압력이 떨어지고, 주사기의 피스톤이 전진하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삽입 중에 기구의 선단이 어디까지 도달했는지의 판단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는, 하나의 기구로 체강 내에 있어서의 작은 조직을 대상으로 절제, 수동, 분리, 견인, 적출, 전기 소작, 전기 응고 등의 다종의 수술을 행할 수 있다. 특히, 조직의 파지나 고정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칼날에 찔려버린 조직을 그 자리에서 빼내거나, 칼날에 부착된 응혈 덩어리를 그 자리에서 빼낼 수 있으며, 또한 절개한 조직편을 잡아 밖으로 취출하여 생체 병리 검사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기구나 그의 구동 수단 등을 사용하지 않는 부품 개수가 적은 간단한 구성이라는 점에서, 미세한 부품이 체내에서 탈락해버려, 그의 취출에 어려움을 겪을 일도 없다.
본 발명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를 채용함으로써, 피부 절개 구멍의 수가 1개소여도 되고, 피부 절개 구멍의 크기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부담을 대폭으로 경감하고, 수술 후의 조기 회복에 공헌할 수 있다.
한편, 기기의 체내로의 삽입시에는 조작이 원활하게 행해지며, 주위의 조직을 손상시키거나 기구의 선단을 변형시키거나 하지 않고, 또한 삽입 중에 기구의 선단이 어디까지 도달했는지의 판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삽입된 세경 내시경에 의해, 수술하는 조직의 목적 부위와 전극 등의 처리 수단의 양쪽을 포착한 명료한 영상, 그리고 내시경 수술 기구 선단의 주위의 명료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기의 조작은 용이하며, 수술을 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매우 사용하기 양호하다.
그 결과로서, 예를 들어 흉강 내의 교감 신경 수술로 말하면, 특허문헌 1 등에 기재된 종래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에서는, 교감 신경 절제 수술, 교감 신경 차단 수술, 및 전기 소작 등을 사용하여 교감 신경 줄기를 파괴하는 증산 수술 등이 가능했지만, 교감 신경 줄기는 통상 늑골과 늑골의 사이에 위치하고, 혈관과도 접하고 있기 때문에 교감 신경 줄기 절제 수술은 매우 위험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이들 모두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그의 수술 결과는 저침습이며, 또한 심미성을 해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들을 바라는 환자에게 있어서 큰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의 실시예 1의 수술시의 전체도 (a)와 체내로의 삽입시의 전체도 (b)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를 구성하는 내시경(a), 내관(b), 가이드 파이프(c) 및 처리 파이프(d)의 측면도 혹은 단면도이다.
도 3은 처리 파이프의 조작부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처리 파이프의 훅의 상세도 (a)와, 그의 A-A 화살표도 (b)이다.
도 5는 처리 파이프의 훅을 사용하여 조직을 움직이게 하는 조작 (a), 및 조직을 파지하는 조작 (b)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처리 파이프의 칼날에 찔려버린 조직이나 훅에 달라 달라붙어버린 응혈 덩어리를 가이드 파이프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빼내는 조작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처리 파이프의 전극부를 사용하여 전기 소작이나 전기 응고를 행하는 조작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를 체내에 삽입하는 방법(실시예 2)의 설명도이다(J Thoracic Cardiovasc Surg 2000; 120:276-9로부터 인용).
도 9는 내관을 사용하여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의 선단이 어디까지 도달했는지를 아는 요령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로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그의 구체적 구조에 다양한 변경을 가해도 되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모두 흉강 내의 교감 신경 수술에 대하여 행하지만, 본 발명은 흉강 내의 교감 신경 수술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의 실시예 1의 수술시의 전체도 (a)와 체내로의 삽입시의 전체도 (b), 도 2는, 실시예 1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를 구성하는 내시경(a), 내관(b), 가이드 파이프(c) 및 처리 파이프(d)의 측면도 혹은 단면도, 도 3은, 이 처리 파이프의 조작부의 설명도, 그리고 도 4는, 이 처리 파이프의 훅의 상세도 (a)와, 그의 A-A 화살표도 (b)이다.
수술시의 본 실시예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1)는,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10), 가이드 파이프(30) 및 처리 파이프(40)를 조합하여 구성되며, 체내로의 삽입시의 본 실시예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1a)에서는, 내시경(10) 대신에 내관(20)을 조합하여, 동축의 3중관 구조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부 절개 구멍의 크기를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해, 내시경(10)으로서 관 부분(11)의 외경이 2mm인 세경의 파이버스코프를 채용하고 있다.
내시경(10)은, 그의 접속부(13)에 의해 표준적인 흉부 내시경 수술에 사용되는 모니터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모니터에 의해 수술의 부위 및 그의 주변을 보면서 수술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수술을 하는 조직의 목적 부위, 및 내시경의 선단부(12)의 주변을 비추기 위한 조명용의 광 파이버도 관 부분(11)에 내장되어, 접속 단자(15)로부터 광이 보내진다. 수술을 하는 사람은 접속부(13)를 손으로 잡고, 그것을 움직이게 하여 내시경의 선단부(12)를 최적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파이프(30)는, 내시경(10)의 관 부분의 외경보다 조금 큰 2.05mm의 내경을 갖는 외경 2.35mm의 관이며, 내시경을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하고 있다. 전기 소작 등의 처리를 행하기 위해 내시경(10)을 가이드 파이프(30) 중에 인입한 경우에도, 내시경(10)이 처리 부위의 주위의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또한 내시경의 전방면에 끼는 백연을 보다 빠르게 배제할 수 있도록, 가이드 파이프의 선단부 가까이에 1개 혹은 복수의 슬릿(33)을 마련해 두면, 수술을 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도움이 된다.
처리 파이프(40)는, 가이드 파이프(30)의 외경 2.35mm보다 조금 큰 2.40mm의 내경을 갖는 외경 2.85mm의 관이며, 가이드 파이프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 또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하고 있다.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1a)는, 이 외경 2.85mm의 처리 파이프(40) 중에 모두가 포함되고, 옆으로 돌출되는 부분도 없기 때문에, 불과 3mm 정도의 크기의 피부 절개 구멍으로부터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처리 파이프의 선단부에는, 훅(43)이 마련된다. 훅(43)은, 처리 파이프를 구성하는 파이프(41)의 벽의 곡면을 변형하지 않고, 그의 곡면으로부터 훅 형상으로 잘라낸 형상을 갖는다. 그 결과,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43)도 처리 파이프와 동일한 내경과 외경의 곡면 내에 구성된다. 그 결과, 처리 파이프(40) 중에 삽입되는 가이드 파이프(30)의 축 방향의 움직임을 훅(43)이 저해하지 않고, 훅(43)이 처리 파이프의 외경을 초과하여 옆으로 돌출되지도 않는다.
또한, 대부분의 종래형 내시경 수술 기구에서는, 그의 선단에 마련한 예리한 훅이나 칼날이 기구를 체내에 삽입할 때에 주위의 조직을 아프게 하거나, 기구의 선단을 변형시키거나 하여, 원활하게 삽입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었지만, 훅(43)은 이 형상을 취함으로써, 도 1의 (b) 및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 부분이 정확히 가이드 파이프(30)를 따른 형태로 체내로 진행되어가기 때문에, 주위의 조직과 저촉되지 않고, 주위의 조직을 손상시키거나, 훅(43)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변형되지도 않는다.
훅(43)의 선단부(44)는 크게 구부러져, 그의 내측, 즉 처리 파이프의 조작부측의 테두리가, 내장되는 가이드 파이프의 선단부, 즉 축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성형되어 있는 선단부(34)의 테두리와 거의 평행해지도록 형성된다. 이 형상을 취함으로써, 훅의 선단부(44)의 내측과 가이드 파이프의 선단부(34)를, 각각의 조작부(42, 32)를 조작하여 가까이 하면, 조직을 확실히 파지할 수 있다.
훅의 선단부(44)의 내측에 칼날을 마련함으로써, 처리 파이프의 조작부(42)를 조작하여, 처리 파이프(40)를 앞쪽으로 당기면서, 도 4의 (b)의 화살표 49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대상 조직의 절제나 분리를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 작업을 행할 때에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10)의 선단부(12)의 위치를 조작하여 처리 파이프(40) 중에 인입하여, 선단부(44)의 칼날과 대상 조직의 명료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 도면의 경우에는, 가이드 파이프(30)는 시야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가이드 파이프(40) 중에 인입되어 있다.
훅의 선단부(44)는 칼날로서 사용됨과 동시에, 전기 소작이나 전기 응고를 행할 때의 전극으로서도 사용된다. 처리 파이프의 파이프 부분(41)은 통전성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지며, 그 자체가 전극에 전기를 보내는 통전부를 이루고, 전기가 외부로 누전되지 않도록, 처리 파이프의 체내에 삽입되는 파이프 부분(41)은 전극을 제외하고 외면에 전기적 절연 처리(45)가 실시되어 있다.
절연 처리는, 절연 재료의 코팅, 도포, 베이킹 등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전극에는 모노폴라와 바이폴라의 양쪽을 생각할 수 있지만, 흉강 내의 교감 신경 절제 수술과 같이, 체강 내에 있어서 작은 조직을 대상으로 미세한 수술을 행하는 경우에는, 전류를 비교적 좁은 분야로 집중하는 것이 가능한 모노폴라가 적합하다. 이 경우에는 훅의 선단부(44)의 전극과는 별도로, 환자의 신체의 일부, 예를 들어 둔부에 또 하나의 전극을 배치하면 된다.
처리 파이프(40)의 근단부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42)가 마련된다. 조작부(42)는, 처리 파이프의 파이프 부분(41)에 고정된 회전부(48)와, 파이프 부분에 고정된 2개의 스냅 링(47)으로 축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또한 파이프 부분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링 형상의 지지부(46)를 포함한다. 수술을 하는 사람은 지지부(46)를 엄지와 검지로 잡고, 중지를 회전부(48)에 붙인다. 지지부(46)를 축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처리 파이프(40)의 축 방향의 위치를 바꾸고, 회전부(48)를 돌림으로써, 처리 파이프(40)의 회전 각도를 바꿀 수 있다.
도 2의 (b)에서는, 가이드 파이프(30)에도 마찬가지의 조작부(32)를 마련하고 있다. 가이드 파이프에 있어서는 상술한 슬릿(33)을 마련한 경우에는, 시야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회전 각도를 바꿀 필요가 있기 때문에, 처리 파이프(40)와 동일한 조작부가 필요로 된다. 한편, 가이드 파이프에 슬릿(33)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이드 파이프(30)의 회전 각도를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회전부를 마련하지 않고, 간단히 가이드 파이프의 파이프 부분에 고정한 지지부를 마련하는 것 만으로도 된다.
내관(20)은, 내시경(10)의 관 부분(11)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관이며, 그의 선단(23)은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내로의 삽입시에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1a)의 가장 선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원활하게 삽입 작업이 행해지며, 주위의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연마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관(10)은, 그의 축 방향의 위치를 바꿀 필요는 있지만, 회전 각도를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처리 파이프(40)의 조작부(42)에 마련한 회전부는 필요가 없고, 내관의 파이프 부분에 고정한, 엄지와 검지로 잡기 쉬운 크기의 조작부(22)를 마련하면 된다.
이상에 설명한 내관(20), 가이드 파이프(30) 및 처리 파이프(40)는, 각각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세경이며, 두께가 얇은 것이 사용되고, 또한 서로 접하는 파이프끼리의 내경과 외경의 차가 매우 작기 때문에,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1) 전체로서 외경이 불과 2.85m에 수렴되어, 삽입용의 피부 절개 구멍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에 크게 공헌한다. 또한, 서로 접하는 파이프끼리의 내경과 외경의 차, 즉 파이프끼리의 간극이 매우 작기 때문에, 이들의 간극에 절단된 조직이나 체액이 들어가, 조작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내관(20), 가이드 파이프(30), 그리고 처리 파이프(40)는, 각각 단순한 파이프의 형상이며, 뽑아내어 3자를 분해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사전의 세정이나 살균은 용이하게, 또한 완전하게 행할 수 있다.
도 5의 (a)는, 처리 파이프의 훅(43)을 사용하여 조직을 움직이게 하는 조작(수동)의 설명도이다. 수술시에는 목적 부위에 접근하기 위해, 혹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등의 이유로, 방해되는 조직(51)을 움직이게 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 경우에, 내시경(10)으로 훅(43)과 방해되는 조직(51)을 시야에 수용하면서, 처리 파이프(40)의 조작부의 지지부(46)를 조작하여 훅(43)을 조직(51)에 가까이 하고, 회전부(48)의 조작에 의해 훅의 방향을 바꾸면서, 조직(51)에 걸려들게 한다. 가이드 파이프(30)는, 이때 처리 파이프(40) 중에 인입되어 있다. 이 상태가 되면, 조직(51)의 수동, 분리, 견인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훅(43)에는 칼날이 마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것을 활용하여, 조직(51)의 절제도 할 수 있다.
도 5의 (b)는, 조직을 파지하는 조작 (b)의 설명도이다. 수동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내시경(10)으로 훅(43)과 파지하는 대상의 조직(52)을 시야에 수용하면서, 처리 파이프(40)의 조작부의 지지부(46)를 조작하여 훅(43)을 조직(52)에 가까이 하고, 회전부(48)의 조작에 의해 훅의 방향을 바꾸면서, 조직(52)에 걸려들게 하고, 이어서 가이드 파이프(30)의 조작부(32)를 조작하여 가이드 파이프(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훅(43)에 걸려 있는 조직(52)을 끼워 파지한다. 가이드 파이프(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가이드 파이프에 마련한 슬릿(33)이, 내시경(10)의 시야를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훅(43)의 선단부(44)는 크게 구부러져, 그의 내측의 테두리가, 가이드 파이프(30)의 선단부(34)의 테두리와 거의 평행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조직(52)은 양자간에 확실히 파지되어, 조직(52)의 수동, 분리, 견인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직(52)을 파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1)를 환자의 체외로 취출함으로써, 이 조직(52)을 생체 병리 검사에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반대로 처리 파이프(40)의 훅의 선단부(44)에 찔려버린 조직이나, 훅(43)에 달라붙어버린 응혈 덩어리를 가이드 파이프(30)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빼내는 조작의 설명도이다. 내시경(10)을 사용하여, 가까이에 있는 확실한 것, 예를 들어 늑골(64)을 찾고, 조작부(42)를 조작하여 여기에 처리 파이프의 훅(43)을 가까이 한다. 또한, 가이드 파이프(30)의 조작부(32)를 조작하고, 가이드 파이프(30)를 전진시켜, 찔려버린 조직이나 응혈 덩어리(53)를 늑골(64)에 압박하여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처리 파이프(40)의 회전부(48)를 조작하여, 처리 파이프(40)를 도면의 화살표 56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용이하게 응혈 덩어리 등(53)을 훅(43)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이러한 사태는 수술 중에 자주 일어나는 것이며, 종래는 내시경 수술 기구를 체외로 인출하여, 훅에 닿은 조직이나 응혈 덩어리를 제거하는 것밖에 방법이 없었지만, 이 빼내는 작업을 그 자리에서 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수술의 원활한 진행을 도울 뿐만 아니라, 환자에 대한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7은, 처리 파이프(40)의 훅의 선단부(44)를 전극으로서 사용하여 전기 소작이나 전기 응고를 행하는 조작의 설명도이다. 훅의 선단부(44)에 전기를 보내주기 위해, 처리 파이프(40)의 외면에 전기적 절연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파이프 부분(41)에 악어입 클립(58)을 설치한다. 환자의 둔부에 또 하나의 전극(도시되지 않음)을 마련한다. 처리 파이프의 파이프 부분(41)은 통전성의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는 점에서, 이것만의 준비로, 훅의 선단부(44)를 전극으로서 수술의 대상이 되는 조직(57)에 대하여 전기 소작이나 전기 응고를 행할 수 있다. 처리 파이프(40) 중에 가이드 파이프가 인입되어, 내시경(10)은 가이드 파이프에 방해 받지 않고, 그의 시야 중에 전극인 훅의 선단부(44)와 조직(57)을 수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8은, 실시예 1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1a)를 체내에 삽입하는 방법(실시예 2)의 설명도이며, 도 9는, 그의 삽입시에 내관(20)을 사용하여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1a)의 선단이 어디까지 도달했는지를 아는 요령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1)를 사용하여 흉강 내의 교감 신경 줄기절제 수술 등을 행할 때에는, 우선 겨드랑이의 액와 중심선 상에 크기가 3mm인 피부 절개 구멍(61)을 마련한다. 이 절개 구멍을 통과시켜, 내시경(10) 대신에 내관(20)을 삽입한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1a)를 삽입한다. 수술의 대상 조직은, 척추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흉부 교감 신경 줄기(63)이다.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1a)는, 늑골(64)간의 스페이스를 통해 대상 조직에 접근한다. 주위에는, 늑골(64) 이외에 폐 돌기부(65), 쇄골(66), 상부 대정맥(67), 대동맥(68) 등이 있다.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1a)의 내관(20)은, 플렉시블· 튜브(91)에 의해 주사기(92)에 연결되어, 주사기 내에는 생리적 식염수 혹은 공기가 들어 있다.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1a)의 선단, 즉 내관(20)의 선단부(23)가 흉막강(93)에 달하면, 흉막강(93) 내는 음압이 되어 있기 때문에, 생리적 식염수 혹은 공기의 압력이 내려가, 주사기의 피스톤(92a)이 전진하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삽입 중에 기구의 선단이 확실히 흉막강(93)에 도달한 것의 판단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판단 후,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1a)로부터 내관(20)을 뽑아내고, 내시경(10)을 삽입하여 수술시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1)의 형태로 하여, 수술을 진행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는, 부품 개수가 적은 심플한 구성이면서, 대상 조직의 전기 소작, 전기 응고, 절제, 수동, 분리, 견인을 행할 뿐만 아니라, 대상 조직을 파지하거나 혹은 고정하여, 대상 조직의 수동, 분리, 견인을 행하고, 이 대상 조직을 생체 병리 검사에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수술 중에 훅에 달라붙은 응혈 덩어리 등을 그 자리에서 제거할 수도 있다는 다기능성을 갖는다. 또한, 수술을 하는 사람은 명료한 영상을 보면서, 용이한 조작으로 수술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 절개 구멍은 작고, 1개소만으로 충분하며, 환자에 대한 부담이 적다. 이들 이점을 살려, 향후 각종 수술 중에서 많이 활용되는 것이 기대된다.
1, 1a: 실시예 1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
10: 내시경
11: 내시경의 관 부분
12: 내시경의 선단부
13: 내시경의 접속부
15: 내시경의 광 파이버 접속 단자
20: 내관
21: 내관의 파이프 부분
22: 내관의 조작부
23: 내관의 선단부
30: 가이드 파이프
31: 가이드 파이프의 파이프 부분
32: 가이드 파이프의 조작부
33: 가이드 파이프의 슬릿
34: 가이드 파이프의 선단부
40: 처리 파이프
41: 처리 파이프의 파이프 부분
42: 처리 파이프의 조작부
43: 처리 파이프의 훅
44: 처리 파이프의 훅의 선단부
45: 처리 파이프의 전기 절연 처리
46: 처리 파이프의 지지부
47: 처리 파이프의 스냅 링
48: 처리 파이프의 회전부
49, 56: 처리 파이프의 회전 방향
51, 52, 57: 조직
53: 응혈 덩어리 등
58: 악어입 클립
61: 피부 절개 구멍
63: 흉부 교감 신경 줄기
64: 늑골
65: 폐 돌기부
66: 쇄골
67: 상부 대정맥
68: 대동맥
91: 플렉시블· 튜브
92, 92a: 주사기
93: 흉막강

Claims (5)

  1. 세경 내시경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로서,
    사용하는 해당 세경 내시경의 관 부분과 동일한 외경을 갖고, 해당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를 체내에 삽입할 때에 사용하고, 삽입 후에는 세경 내시경과 치환되는 내관과,
    해당 세경 내시경 혹은 해당 내관이 삽입되고, 이것들을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하는 가이드 파이프와,
    해당 가이드 파이프가 삽입되고, 해당 가이드 파이프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하는 처리 파이프이며, 그의 선단부에 처리 수단을 갖는 처리 파이프를 포함하고,
    해당 세경 내시경, 해당 내관, 해당 가이드 파이프 및 해당 처리 파이프가 각각 그의 근단부, 즉 해당 세경 내시경을 사용하여 수술을 할 때에 환자의 체외에 있는 부분에 독립된 조작부를 갖고, 해당 조작부를 사용하여 조작함으로써, 각각의 축 방향의 위치 및 필요에 따라 각각의 회전 각도를 바꿀 수 있는, 동축 또한 다중관 구조의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파이프의 선단부에, 해당 처리 파이프의 일부를 잘라낸 형상의 훅을 갖고, 해당 훅의 선단의 해당 처리 파이프의 근단부측이 해당 처리 파이프의 축 방향에 거의 수직인 면 내에 있고, 또한 그 부분에 칼날을 마련한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파이프의 선단부가 전극을 이루고, 해당 처리 파이프의 파이프 자체가 해당 전극에 전기를 보내는 통전부를 이루고, 해당 처리 파이프의 체내에 삽입되는 부분은 전극을 제외하고 그의 외면에 전기적 절연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의 선단부가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연마되어 있으며, 해당 내관을 통과시켜 생리적 식염수, 혹은 공기를 보내주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파이프가 그의 선단부 가까이에, 해당 가이드 파이프의 내외를 관통하는 슬릿을 갖는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
KR1020197003078A 2016-08-02 2017-07-24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 KR102253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1724 2016-08-02
JP2016151724A JP6749545B2 (ja) 2016-08-02 2016-08-02 細径内視鏡手術器具
PCT/JP2017/026598 WO2018025680A1 (ja) 2016-08-02 2017-07-24 細径内視鏡手術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809A KR20190026809A (ko) 2019-03-13
KR102253461B1 true KR102253461B1 (ko) 2021-05-17

Family

ID=6107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078A KR102253461B1 (ko) 2016-08-02 2017-07-24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57798B2 (ko)
EP (1) EP3494913B1 (ko)
JP (1) JP6749545B2 (ko)
KR (1) KR102253461B1 (ko)
CN (1) CN109561921B (ko)
WO (1) WO20180256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420B1 (ko) 2022-08-09 2023-06-01 조백현 수술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3691A4 (en) * 2018-06-27 2022-03-30 Wright Medical Technology, Inc. DRILLS WITH FLUSHING AND IMAGING
DE102020110845A1 (de) * 2020-04-21 2021-10-21 Novatech Sa Medizinische Vorrichtung und Endoskopierverfahren
CN114533213B (zh) * 2020-11-24 2024-05-24 奥林巴斯株式会社 具有超声内窥镜的治疗方法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83081A1 (en) * 2005-10-11 2007-04-12 Richard Wolf Gmbh Endoscope
JP2014018299A (ja) * 2012-07-13 2014-02-03 Olympus Corp ガイドワイヤ導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13325A1 (de) * 1983-04-13 1984-10-18 Knut Dr. 7802 Merzhausen Korth Operationsinstrument
US5578053A (en) * 1993-06-24 1996-11-26 Yoon; Inbae Safety needle instrument having a triggered safety member
US5478329A (en) * 1994-05-06 1995-12-26 Ternamian; Artin M. Trocarless rotational entry cannula
US5709671A (en) * 1995-10-16 1998-01-20 Ethicon Endo-Surgery, Inc. Trocar having an improved tip configuration
DE19547246C1 (de) * 1995-12-18 1997-03-20 Riek Siegfried Medizinische Nadel
AU722939B2 (en) * 1996-04-10 2000-08-17 Linvatec Corporation Process for shaping and sharpening a rotatable surgical shaver blade
JPH10155807A (ja) * 1996-11-29 1998-06-16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処置具
DE19730127C2 (de) * 1997-07-14 2001-04-12 Erbe Elektromedizin Präparierinstrument
CA2344212C (en) 1998-09-18 2007-08-28 Hidehiro Yamamoto Endoscope power supplying appliance
US6428539B1 (en) * 2000-03-09 2002-08-06 Origin Med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ing rotational cutting tool
JP4460718B2 (ja) * 2000-05-12 2010-05-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処置装置
JP3722729B2 (ja) * 2001-06-04 2005-11-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装置
US7556633B2 (en) * 2004-03-01 2009-07-07 Terum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doscopic dissection of blood vessels
DE102005013714A1 (de) * 2004-04-07 2005-12-22 Carl Zeiss Meditec Ag Elektrische Sonde für die Mikrochirurgie
EP2545871B1 (en) * 2004-06-29 2015-02-11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Insufflating optical surgical instrument
CN101111200B (zh) * 2004-12-17 2010-05-12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具有切除功能的帽附件和内窥镜
JP2007089690A (ja) * 2005-09-27 2007-04-12 Hidehiro Yamamoto 内視鏡用通電牽引装置
US20070203395A1 (en) * 2006-02-28 2007-08-30 Takayasu Mikkaichi Cap installable on distal end portion of endoscope
US8728089B2 (en) * 2008-03-28 2014-05-20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Endoscope treatment instrument
US8531064B2 (en) * 2010-02-11 2013-09-10 Ethicon Endo-Surgery, Inc. Ultrasonically powered surgical instruments with rotating cutting implement
WO2011130456A1 (en) * 2010-04-13 2011-10-20 Sentreheart,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ericardial access
CN201701297U (zh) * 2010-04-15 2011-01-12 欧普康光电(厦门)有限公司 一种带数码摄像装置的外科手术内窥镜
JP7166761B2 (ja) * 2015-06-17 2022-11-08 サフィナ・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単一内視鏡血管採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83081A1 (en) * 2005-10-11 2007-04-12 Richard Wolf Gmbh Endoscope
JP2014018299A (ja) * 2012-07-13 2014-02-03 Olympus Corp ガイドワイヤ導入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AMAMOTO HIDEHIRO ET AL,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vol.120, no.2, 276-279p, 2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420B1 (ko) 2022-08-09 2023-06-01 조백현 수술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4913B1 (en) 2024-04-24
CN109561921A (zh) 2019-04-02
CN109561921B (zh) 2021-07-09
WO2018025680A1 (ja) 2018-02-08
JP6749545B2 (ja) 2020-09-02
US20190183320A1 (en) 2019-06-20
EP3494913A4 (en) 2020-03-25
KR20190026809A (ko) 2019-03-13
JP2018019815A (ja) 2018-02-08
US11457798B2 (en) 2022-10-04
EP3494913A1 (en)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461B1 (ko)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
CN105411632B (zh) 使用活检工具获取组织样本的装置、系统和方法
JP4344331B2 (ja) 内視鏡的血管採取装置
JP4982699B2 (ja) 生検鉗子
JP4430238B2 (ja) 内視鏡通電器具
WO2012053530A1 (ja) 外科用処置具
JP2017531512A (ja) 外科用スネア
US20190150902A1 (en) Invasive instrument for treating vessels
CN102802549A (zh) 内窥镜处理器具
US20110245602A1 (en) Flexible endoscope with full-length lumen
US9173697B2 (en) Surgical cannula for dissipating electric charge
JPWO2015064616A1 (ja) 内視鏡処置システム
JP6886569B2 (ja) 細径内視鏡手術器具
JP2011067532A (ja) 内視鏡用補助具及び内視鏡
US20110105838A1 (en) Suction device for endoscopic instruments and method
JP2016150103A (ja) 内視鏡
US10548626B2 (en) Endoscopic tissue manipulation tool
JP5535862B2 (ja) 内視鏡用高周波剥離ナイフ装置
US20080294160A1 (en) RF endoscopic electrosurgical instrument
JP3211674U (ja) 手術用鋏
EP3714817A1 (en) Colonoscope for removing colorectal polyps
JP3143693U (ja) 内視鏡装置及び内視鏡用フード
JP6628553B2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JP2007089690A (ja) 内視鏡用通電牽引装置
JP2003199747A (ja) 内視鏡的血管採取用処置シ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