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420B1 - 수술기구 - Google Patents

수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420B1
KR102539420B1 KR1020220099117A KR20220099117A KR102539420B1 KR 102539420 B1 KR102539420 B1 KR 102539420B1 KR 1020220099117 A KR1020220099117 A KR 1020220099117A KR 20220099117 A KR20220099117 A KR 20220099117A KR 102539420 B1 KR102539420 B1 KR 102539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cutter
surgical instrument
spr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백현
Original Assignee
조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백현 filed Critical 조백현
Priority to KR1020220099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08Biopsy devices with actuators, e.g. with triggered sp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407Ratchet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유방 등 신체 내 암세포가 발견되었을 경우 절제 수술을 하는 중 암세포의 전이 범위를 확인하여 수술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시행하는 조직검사 과정에서의 조직세포 채취 단계를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기구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술기구를 사용할 경우 암세포 주변 조직세포를 일정한 모양과 깊이 및 일정한 간격으로 채취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조직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사용하여 기존 술자가 환자의 절개면을 견인하고 다른 술자가 조직세포를 채취하는 종래의 과정을 술자 1명이 신속하게 수행하게 개선함으로써 의료인력 활용 효율화 및 수술시간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술기구{A Surgical Equipment}
본 발명은 환부 특히 암세포가 발견된 유방 부위에 대한 절제술을 시행하는 동안 암 덩어리를 둘러싼 주위 조직에 암세포 침범 여부를 파악하여 절제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그 주변 조직을 실제로 채취하는 생검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수술기구에 관한 것이다.
인체, 특히 유방에 발생한 암 진단을 위해 환자에게 유방암과 관련된 증상을 물어보는 문진, 유방암을 의심할 수 있는 소견을 눈으로 살펴보는 시진, 그리고 종양(혹)이 있는지 손으로 직접 만져보는 촉진을 시행한다.
다음 단계로 위의 방법으로 찾을 수 없는 종양을 찾기 위해 유방 엑스선 촬영과 유방 초음파검사 등 영상의학 검사를 시행한다. 그러나 영상의학 검사로는 발견된 종양의 양성 종양인지 악성 종양(암)인지 정확하게 진단할 수 없다. 그러므로 발견된 종양이 암인지 확실하게 진단하기 위해서 종양 일부를 채취해서 현미경으로 암세포를 확인하는 조직 생검이 필요하다.
상기 생검을 위해 최근에는 가는 바늘로 병변 부위 세포를 소량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검사하는 세침 흡입 세포검사, 일반적으로 초음파 또는 유방촬영술 유도하에 총모양으로 생긴 기구에 바늘을 넣어 환부 의심 부위에 방아쇠를 당기면 바늘이 자동적으로 유방 조직을 채취하는 중심침 생검, 그리고 굵은 바늘을 병소에 넣고 진공흡입기를 작동하여 의심 부위 조직을 빨아들인 후 바늘 내부의 회전 칼을 작동시켜 자동으로 병변을 잘라 배출하는 맘모톰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암세포 의심 부위의 세포를 상기 방법으로 얻지 못했거나, 시행하기 곤란한 경우에 치료와 동시의 조직검사를 목적으로 마취 후 절제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유방암 진단 후 암세포를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외과적 치료를 근치적 절제술이라 하며,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는 암 덩어리와 암세포가 퍼져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주변조직을 포함한 유방 일부분만 도려내는 부분절제술(유방보존술)이고, 두 번째 방법이 유방 전체를 도려내는 전절제술이다. 오늘날 조기진단과 치료 기술의 발달로 약 70%의 유방암 환자들이 유방보존술을 받는다.
유방보존술 과정에서 유방암 세포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부위를 한 덩어리로 도려낸 후, 그 주변부 조직절편을 채취하는 데 이 조직의 외측면을 절제연이라 부른다. 이 조직절편을 병리과에 보내면 병리과의사가 동결절편조직의 절제연을 현미경으로 검사하고 결과를 집도의에게 통보한다. 외과의사는 그 결과로 수술 범위를 결정한다. 즉, 절제연에 암세포가 있는지 확인하고 암세포가 보이지 않으면 유방보존술을 성공적으로 마친다. 수술은 동결조직병리 검사에서 암세포가 없는 절제연을 찾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계속된다.
따라서 상기 조직 채취과정은 매우 정교하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나, 현재는 의사가 메스 등으로 환부 주위를 절개를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직채취 과정에서 조직 단면이 비틀어지거나 비정형적으로 만들어지기 쉬워 종양으로부터 충분한 간격을 두고 주변부 조직절편을 채취한 경우에도 절제연의 동결조직검사에서 암세포가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추가적인 절제와 2차 절제연 동결조직검사 결과로 수술의 완성여부를 결정한다. 때로 2차, 3차로 채취된 절제연에서 암세포가 발견되어, 유방보존술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었던 환자가 전절제술로 유방을 잃게 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이유로 유방보존술을 위한 절제 범위를 정할 때 과도하게 크게 잡거나 의사의 임상경험에 의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10-2253461호(2021.05.12.) 등록특허 제20-0182997호(2000.03.10.)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 일측에 배치되는 커터부(500); 상기 제1슬릿(110)을 통해 상기 커터부(500)와 연결된 용수철부(700); 상기 본체(100)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용수철부(700) 일단과 밀착되어 상기 용수철부(700)가 압축 탄성력을 갖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조정부(600)로 이루어진 수술용 절개 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600) 일단에 위치한 레버(610)를 통해 상기 용수철부(700)와 조정부(600)의 밀착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용수철부(700)가 이완되며 상기 커터부(500)가 상기 제1슬릿(110)을 따라 사출되도록 하는 수술기구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500)는 제2슬릿(520)이 형성된 고정부(510), 상기 고정부(510)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2슬릿(520)을 관통하여 스위치(56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돌기(540)가 형성된 연결부(530), 상기 연결부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폐곡선 단면을 갖는 커터(550) 및 상기 커터(550)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는 캡(5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단에 제3슬릿(410)이 형성된 상판(400), 측면 일측에 제4슬릿(210)이 형성된 제1측판(200) 및 측면 타측에는 제5슬릿(310)이 형성된 제2측판(300)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용수철부(700)는 상기 본체(100)와 힌지 연결되는 제1로드(710), 상기 제1로드(710)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스프링(720), 상기 제1로드(710) 내주면에 삽입되며 일측 단부는 레칫부(740)와 결합하는 제2로드(730) 및 상기 제2로드(730) 및 레칫부(740)의 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510)와 힌지 결합시키는 제1핀(7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600)는 상기 본체(100)에 힌지 연결된 푸쉬부(120), 상기 푸쉬부(120) 하단과 치차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스프링(720)의 탄성 압축력에 의해 상기 커터부(500)가 사출 준비가 되는 제1위치에 상기 레칫부(740)를 고정하는 안착부(620), 상기 안착부(620) 타측 단부와 제2스프링(650)을 매개로 결합하며 상기 안착부(620)를 이동시켜 상기 레칫부(740)의 위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커터부(500)가 최대 사출거리인 제2위치까지 제1슬릿(110)을 따라 사출되도록 하는 레버부(6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120)는 상기 안착부(620)가 이동하면 치차결합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레칫부(740)에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커터부(500)가 상기 제1슬릿(110)을 따라 원활하게 사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릿(1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멈춤쇠(320)가 상기 레칫부(740)의 사출이동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제2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150)에 고정된 제1손잡이(130) 및 상기 제1측판(200) 일측에 형성된 홈부(220)와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제4슬릿(210)을 통해 상기 고정부(510)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 하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절삭 압력을 강화하는 제2손잡이(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560)는 상기 제2슬릿(520)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돌기(540)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커터(550)의 단부는 절개 부위에 따라 직선형, 반달형, 만도형 또는 톱니형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620)의 직사각형 단부는 동일한 형상의 통공을 갖는 안전장치(630)를 관통하여 상기 레버부(610)와 체결되어, 상기 안전장치(630)을 회전시키면 상기 안착부(620) 단부가 안전장치(630) 내부로 왕복 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커터부(500)가 제1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560)는 상기 고정부(510)의 일측을 관통하는 제2핀(570)과 스프링을 매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일측에는 제6슬릿(140)이 형성되어 있어 커터부(500)의 사출 위치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유방 또는 신체 내에 발생한 암세포 절제 수술에 있어서, 수술 중 암 주변에 암세포의 침범 여부를 파악하여 수술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동결조직병리 검사 과정에서 필요한 조직절편(절제연) 채취과정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수술기구를 활용하게 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게 수행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채취된 조직의 대표성을 높임으로써 상기 동결조직병리 검사의 결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직 채취과정에서 절개를 담당하는 술자와 수술부위를 견인하는 보조 인력이 필요한 시스템에서 술자가 혼자 담당하게 하는 수술 시스템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수술시간을 줄여 수술 효율성 증가시키고 기저 질환자 또는 노령 환자에서 장시간 전신마취로 인한 수술 위험도를 낮춘다. 결과적으로 수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수술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수술 중 조직검사를 실시해야 하는 부분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수술기구 외관도이다.
도 3은 수술기구 분해도이다.
도 4는 수술기구의 커터부 사출 메커니즘 설명도이다.
도 5는 수술기구 조정부 사시도이다.
도6은 수술기구 견인 커터부 견인 메커니즘 설명도이다.
도7은 수술기구 견인 커터부 고정장치 메커니즘 설명도이다.
도 8은 수술기구 커터 외관도이다.
도9은 수술기구 사출거리 조정장치 측면도이다.
도 10는 수술기구 커터부 잠금장치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수술 중 지방 또는 실질을 절개하고 술자가 암세포에 접근한 상태에서 최소의 암세포 절제 수술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주변 조직을 채취하는 과정에 대한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
만일 수술 중 암세포 주변 조직을 채취하여 동결조직병리 검사를 실시한 결과 암세포가 발견되었다면 술자는 암세포 확인 구간을 더욱 넓혀 주변 조직을 채취하고 동결조직병리 검사결과에서 암세포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이때 암세포 주변 조직채취 과정의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 채취 단면에서 일정한 깊이로 채취를 해야하고, 그 절개 범위도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되어야 한다.
도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주변조직 채취를 할 수 있는 수술기구의 정면, 측면 및 평면도 등을 도시하고 있다.
본체(100)는 상판(400), 제1측판(200) 및 제2측판(300)으로 감싸지고, 내부에는 암세포 주변 조직을 일정한 크기 및 깊이로 절개하여 채취할 수 있게 하는 커터부(500)가 위치한다.
술자는 상기 수술기구의 저면을 암세포 주변 조직에 고정시킨 후 상기 커터부를 사출하여 일정하고 고른 형상을 갖는 조직세포를 얻을 수 있다.
도3은 상기 수술기구의 내부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은 측면에 제1슬릿(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을 통해 커터부(500)와 용수철부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커터부(500)가 그리고 타측에는 용수철부(700)가 내재되며 상기 용수철부(700)의 압축 탄성력을 상기 커터부(500)의 운동에너지로 전환하며 상기 제1슬릿(110)을 따라 상기 커터부(500)가 하부로 사출되는 메커니즘을 갖는다.
상기 커터부(500)는 제2슬릿(520)이 형성된 고정부(510) 및 상기 고정부(510) 하단에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제1돌기(540)가 형성된 연결부(530), 상기 연결부(530) 하단과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커터(550) 및 상기 커터(550) 하단의 날부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씌워 놓은 캡(56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수철부(700)는 상기 본체에 힌지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로드(710), 상기 제1로드 (710)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스프링(720), 상기 제1로드(710) 내주면에 삽이되어 왕복 운동하는 제2로드(730) 및 상기 제2로드(730) 단부와 제1핀(750)으로 힌지 연결되는 레칭부(740)를 포함한다.
상기 조정부(600)는 본체 일측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된 푸쉬부(120)와 치차 결합된 안착부(620), 상기 안착부와 제2스프링(650)을 매개로 결합하는 안전장치(630) 및 상기 안전장치(63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안전장치를 좌우로 회전할 수 있는 손잡이(640) 및 상기 안착부(620)의 일측 단부와 제3핀(660)으로 힌지 가능하게 결합하는 레버부(610)를 포함한다.
먼저 환자의 조직을 일정한 깊이와 일정한 모양으로 채취하기 위한 커터(550) 단부는 폐곡선 모양의 중공을 갖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폐곡선 형상의 커터(550) 중공부가 암세포 주변 조직을 절개하여 일정한 깊이와 모양의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기구를 사용하기 전 상기 레칭부(740)는 상기 안착부(620)에 얹혀져 상기 제1스프링(720)이 탄성 압축력을 유지하는 제1위치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제2로드(730)은 상기 제1로드(710)에 삽입되어 외주면에 놓인 제1스프링(720)이 압축될 수 있도록 전체 길이를 짧게 한다.
상기 레칭부(740)는 제1핀(750)으로 상기 제1슬릿(110)을 관통하여 상기 제1돌기(540) 및 고정부(51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칭부(740)이 상기 제1스프링(720)의 압축 탄성력이 해제되어 운동 에너지로 전환된다면, 상기 레칭부(740)와 함께 일체로 연결된 고정부(510), 연결부(530) 및 커터(550)은 함께 본체(100) 하단으로 사출될 것이다.
상기 용수철부(700)의 상기 제1스프링(720)이 탄성 압축력을 유지하는 제1위치일 때 상기 안착부(620)은 상기 푸쉬부(120)와 치차 결합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푸쉬부는 상기 레칭부(740)와 분리되어 있다.
상기 레버부(610)를 조작할 경우 상기 안전부(620)은 상기 제3핀(660)과의 결합에 의해 본체 외부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당겨진 안전부(620)로 인해 상기 레칭부(740)는 지지점을 잃게 된다.
도4는 상기 레버부(610)이 조작되어 상기 안전부(620)가 당겨진 경우 상기 용수철부(700)와 커터부(500)의 사출 메커니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레버부(6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안전부(620)는 당겨지며 필연적으로 치차 결합된 상기 푸쉬부(1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푸쉬부(120) 일측은 방아쇠 형상을 하고 있어 회전하며 상기 레칭부(740)를 상기 제1슬릿(110)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서 상기 레칭부(740)와 연결된 상기 커터부(500)도 정확히 사출되게 된다.
설령 상기 푸쉬부(120)를 제거하여도 상기 레칭부(740)는 안착부(620)와의 접촉을 잃어 제1슬릿(110)을 따라 사출될 수 있으나, 수술 상황과 같이 긴급한 상황에서 본체 변형 등으로 정확한 사출이 진행되지 않는 점을 보완하는데 상기 푸쉬부(120)의 역할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출된 상기 커터부(500)는 상기 레칭부(740)가 상기 제1슬릿(110)의 하단부에 닿는 거리만큼인 제2위치까지 사출되며, 상기 사출거리가 환자의 조직세포를 채취하기 위해 상기 커터(550)가 조직을 침투하는 길이가 된다.
조직의 종류,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상기 사출력의 크기는 상기 제1스프링(720)의 탄성계수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로드의 행정길이 또는 제1슬릿(110)의 길이를 조절하여 변경할 수 있다.
도5에는 상기 레버부(610)가 안착부(620)를 조정하는 메커니즘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610)와 레버부(610)은 제2스프링(650)을 매개로 내부에 안전장치(630)과 결합한 잠금부(64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레버부(610)이 당겨지면 상기 제3핀(660)으로 연결된 상기 안착부(620)은 상기 잠금장치(630) 내부를 관통하여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치차 결합되어 있던 상기 푸쉬부(120)가 힌지 회전하면서 상기 레칭부(740)를 밀게 된다.
도6은 상기 커터부(500)가 사출되어 제2위치까지 도달한 후 다시 제1위치로 견인하는 메커니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150)에는 제1손잡이(130)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510) 일측은 상기 제1측판(200) 일측에 형성된 제4슬릿(400)을 통해 제2손잡이(800)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손잡이(800)의 타측은 상기 제1측판(200)에 형성된 홈부(230)와 힌지 결합되어 있어 상방으로 당기면 커버부(500)의 사출 압력을 증가시켜 저항이 강한 조직의 절삭을 편리하게 하고, 만일 술자가 환자의 조직 세포 채취부위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수술기구의 커터부(500)를 사출하여 조직 세포를 얻었을 경우 이를 회수하기 위해 상기 제1손잡이(130)로 상기 수술기구를 고정시킨 후 상기 제2손잡이(800)를 하방으로 내리면 해제되었던 상기 제1스프링(720)이 탄성 압축력을 받으면서 상기 고정부(510)와 연결된 커터부(500)와 함께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제4슬릿(210)을 따라 상기 제1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7은 상기 제2손잡이(800)를 하방으로 내려서 상기 커터부(500)가 복귀하는 메커니즘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범위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른 메커니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위치가 되었을 때 상기 연결부(530) 상단에 형성된 제1돌기(540)는 상기 제2슬릿(520) 및 상기 상판(400)의 제3슬릿(410)위로 돌출하게 된다.
상기 제1돌기(540) 측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510) 일측면에 제3스프링(580)을 매개로 제2핀(570)으로 제2슬릿(520)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동시에 상기 제1핀(750)에 의해 상기 레칫부(740)와 결합된 스위치(560)의 일측에 형성된 제2돌기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560)을 전후진 시킬 경우 상기 제1돌기(540)의 홈에 상기 스위치(560)의 제2돌기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스위치(560)와 같이 상기 레칫부(740)는 전후진하며 상기 안착부(620)에 얹혀지게 되어 다시 제1위치에서 사출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다.
상기 도8은 커터(550)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커터는 조직 채취를 위해 사용할 경우 폐곡선 형태의 단면을 갖는 단부가 무뎌질 수 있고 또한 위생상 문제로 인하여 교체 가능하여야 한다.
상기 도시된 커터(550) 상단에 형성된 홈은 상기 연결부(530)에 형성된 제3돌기와 탈착결합 가능하게 설계되어 술자의 판단에 따라 수술에 맞는 형태의 커터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특히 유방 등 절제 수술 대상은 지방, 실질, 근육 등 다양한 강도와 상태를 갖고 그 위치 또한 좁거나 경사질 수 있으므로 술자는 이에 맞게 여러 종류의 커터(550)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커터(550)의 폐곡선 단면 또한 절제 수술의 종류 및 수술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8은 커터(550)가 일자형, 만곡형, 반달형, 톱니형 등 수술환경 및 환부의 상태에 따라 여러 형태로 만들어져 사용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으며 그 크기 역시 사용환경 및 채취해야 하는 조직의 종류, 신체 위치 등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9은 상기 커터부(500)의 사출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멈춤쇠(320)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멈춤쇠(320)은 제2측편(300)의 일측에 형성된 제5슬릿(310)을 따라 나사 등의 체결방법으로 고정 가능하다.
술자는 암세포의 크기, 환자 상태, 임상 경험 등에 따라 조직세포를 채취할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커터(550)가 절개해야 할 깊이도 다양하게 술자의 판단에 따라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멈춤쇠(320)은 상기 레칫부(740)이 제1슬릿(110)을 따라 사출되는 경로상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레버부(61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커터부(500)가 사출될 때 상기 레칫부(740)의 사출을 정지시킴으로서 전체 사출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제2측판(300)의 제5슬릿(310) 일측에는 눈금 등 기준선이 도시되어 있어 술자는 원하는 채취 깊이를 먼저 멈춤쇠(320)의 위치로 조정한 후 상기 커터(550)를 사출한다.
상기 멈춤쇠(320)의 재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기구를 사용하는 환경 중 사출을 멈출 때 발생하는 충격력이 조직 세포 채취에 지장이 주지 않을 정도의 완충능력을 갖출 수 있다.
도10는 상기 수술기구의 사용이 완료되었거나, 또는 수술 중 술자의 실수로 상기 레버부(610)를 잘못 조작하여 상기 커터(550)이 사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안전잠금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안착부(620)의 단부는 직사각형 또는 부정형의 형상을 갖으며, 상기 상기 단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안전장치(630)로 삽입되어 상기 레버부(610)과 연결된다.
상기 안전장치(630)는 외부에 잠금부(64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부(640)는 손잡이 등으로 상기 안전장치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회전된 잠금부(640)은 단면이 상기 안착부(620)의 단부와 일치하지 않게 되어 상기 레버부(610)에 의한 조작에 대해서도 상기 안착부(620)는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상기 레칫부(740)가 제1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
110: 제1슬릿
120: 푸쉬바
130: 제1손잡이
140: 제6슬릿
150: 고정홈
200: 제1측판
210: 제4슬릿
220: 홈부
300: 제2측판
310: 제5슬릿
320: 멈춤쇠
400: 상판
410: 제3슬릿
500: 커터부
510: 고정부
520: 제2슬릿
530: 연결부
540: 제1돌기
550: 커터
560: 스위치
570: 제2핀
580: 제3스프링
600: 조정부
610: 레버부
620: 안착부
630: 안전장치
640: 잠금부
650: 제2스프링
700: 용수철부
710: 제1로드
720: 제1스프링
730: 제2로드
740: 레칫부
750: 제1핀
800: 제2손잡이

Claims (13)

  1. 일측에 제1슬릿(110)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 일측에 배치되는 커터부(500);
    상기 제1슬릿(110)을 통해 상기 커터부(500)와 연결된 용수철부(700);
    상기 본체(100)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용수철부(700) 일단과 밀착되어 상기 용수철부(700)가 압축 탄성력을 갖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조정부(600)로 이루어진 수술용 절개 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600) 일단에 위치한 레버(610)를 통해 상기 용수철부(700)와 조정부(600)의 밀착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용수철부(700)가 이완되며 상기 커터부(500)가 상기 제1슬릿(110)을 따라 사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500)는 제2슬릿(520)이 형성된 고정부(510), 상기 고정부(510)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2슬릿(520)을 관통하여 제1핀(750)과 제1슬릿(110)을 통해 결합된 스위치(56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돌기(540)가 형성된 연결부(530), 상기 연결부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폐곡선 단면을 갖는 커터(550) 및 상기 커터(550)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는 캡(5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단에 제3슬릿(410)이 형성된 상판(400), 측면 일측에 제4슬릿(210)이 형성된 제1측판(200) 및 측면 타측에는 제5슬릿(310)이 형성된 제2측판(300)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수철부(700)는 상기 본체(100)와 힌지 연결되는 제1로드(710), 상기 제1로드(710)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스프링(720), 상기 제1로드(710) 내주면에 삽입되며 일측 단부는 레칫부(740)와 결합하는 제2로드(730) 및 상기 제2로드(730) 및 레칫부(740)의 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510)와 힌지 결합시키는 제1핀(7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600)는 상기 본체(100)에 힌지 연결된 푸쉬부(120), 상기 푸쉬부(120) 하단과 치차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스프링(720)의 탄성 압축력에 의해 상기 커터부(500)가 사출 준비가 되는 제1위치에 상기 레칫부(740)를 고정하는 안착부(620), 상기 안착부(620) 타측 단부와 제2스프링(650)을 매개로 결합하며 상기 안착부(620)를 이동시켜 상기 레칫부(740)의 위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커터부(500)가 최대 사출거리인 제2위치까지 제1슬릿(110)을 따라 사출되도록 하는 레버부(6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120)는 상기 안착부(620)가 이동하면 치차결합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레칫부(740)에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커터부(500)가 상기 제1슬릿(110)을 따라 원활하게 사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릿(1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멈춤쇠(320)가 상기 레칫부(740)의 사출이동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제2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150)에 고정된 제1손잡이(130), 상기 본체(100) 측면에 배치된 제1측판(200) 및 상기 제1측판(200)에 형성된 제4슬릿(210), 상기 제1측판(200) 일측에 형성된 홈부(220)와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제4슬릿(210)을 통해 상기 고정부(510)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 상단방향으로 이동시켜 절삭압력을 강화하는 제2손잡이(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560)는 상기 제2슬릿(520)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돌기(540)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터(550)의 단부는 절개 부위에 따라 직선형, 반달형, 만도형 또는 톱니형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620)의 직사각형 단부는 동일한 형상의 통공을 갖는 안전장치(630)를 관통하여 상기 레버부(610)와 체결되어, 상기 안전장치(630)을 회전시키면 상기 안착부(620) 단부가 안전장치(630) 내부로 왕복 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커터부(500)가 제1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560)는 상기 고정부(510)의 일측을 관통하는 제2핀(570)과 스프링을 매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일측에는 제6슬릿(140)이 형성되어 있어 커터부(500)의 사출 위치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KR1020220099117A 2022-08-09 2022-08-09 수술기구 KR102539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117A KR102539420B1 (ko) 2022-08-09 2022-08-09 수술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117A KR102539420B1 (ko) 2022-08-09 2022-08-09 수술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420B1 true KR102539420B1 (ko) 2023-06-01

Family

ID=8677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117A KR102539420B1 (ko) 2022-08-09 2022-08-09 수술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42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997Y1 (ko) 1999-12-31 2000-05-15 이희영 시야확보를 위한 수술기구의 조명장치
KR20100024571A (ko) * 2008-08-26 2010-03-08 박수희 세침을 이용한 생체조직검사용 적출기
KR101551311B1 (ko) * 2013-08-21 2015-09-08 한국기계연구원 피스톨식 생검 장치
KR102117014B1 (ko) * 2018-01-26 2020-05-29 고형진 절단 생검기구
KR102232778B1 (ko) * 2020-11-26 2021-03-26 주식회사 그린메디칼서플라이 외부침 락킹부재를 갖는 생검기구
KR102253461B1 (ko) 2016-08-02 2021-05-17 히데히로 야마모토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
KR20220088665A (ko) * 2019-11-22 2022-06-28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절단 생검 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997Y1 (ko) 1999-12-31 2000-05-15 이희영 시야확보를 위한 수술기구의 조명장치
KR20100024571A (ko) * 2008-08-26 2010-03-08 박수희 세침을 이용한 생체조직검사용 적출기
KR101551311B1 (ko) * 2013-08-21 2015-09-08 한국기계연구원 피스톨식 생검 장치
KR102253461B1 (ko) 2016-08-02 2021-05-17 히데히로 야마모토 세경 내시경 수술 기구
KR102117014B1 (ko) * 2018-01-26 2020-05-29 고형진 절단 생검기구
KR20220088665A (ko) * 2019-11-22 2022-06-28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절단 생검 기구
KR102232778B1 (ko) * 2020-11-26 2021-03-26 주식회사 그린메디칼서플라이 외부침 락킹부재를 갖는 생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5023B2 (ja) 切開生検装置及び方法
JP4659014B2 (ja) 生体組織切断装置
US6638235B2 (en) Biopsy apparatus
JP3679368B2 (ja) 切開生検装置および方法
US4651752A (en) Biopsy needle
US7819819B2 (en) Biopsy device with inner cutting member
JPH06507099A (ja) 操作可能なスタイレット及びカニューレを備えた試験切除器具
EP0755225A1 (en) Biopsy needle
US7029451B2 (en) Excisional devices having selective cutting and atraumatic configura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2539420B1 (ko) 수술기구
GB2397242A (en) A tissue cutting device consisting of an outer cannula and an inner cutting member coupled to a drive mechanism
AU2002336282B2 (en) Excisional Biopsy Device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