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778B1 - 외부침 락킹부재를 갖는 생검기구 - Google Patents

외부침 락킹부재를 갖는 생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778B1
KR102232778B1 KR1020200161268A KR20200161268A KR102232778B1 KR 102232778 B1 KR102232778 B1 KR 102232778B1 KR 1020200161268 A KR1020200161268 A KR 1020200161268A KR 20200161268 A KR20200161268 A KR 20200161268A KR 102232778 B1 KR102232778 B1 KR 102232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arrier
locking
ba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준
송경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메디칼서플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메디칼서플라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메디칼서플라이
Priority to KR1020200161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778B1/ko
Priority to US17/281,677 priority patent/US11889997B2/en
Priority to PCT/KR2020/019424 priority patent/WO202211438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61B10/027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with sample notch, e.g. on the side of inner sty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08Biopsy devices with actuators, e.g. with triggered sp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7Locking means, e.g. for locking instrument in cannul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침 락킹부재를 갖는 생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길이를 갖게 구비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니들캐리어(400)와; 상기 베이스(100)의 후단에 배치되는 파지버튼(510)과, 상기 파지버튼(510)으로부터 상기 니들캐리어(400)까지 연장형성되어 상기 니들캐리어(40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캐리어연결바(520)가 구비되는 트리거(500)와; 상기 니들캐리어(400)의 선단에 결합되는 외부침(300)과; 상기 외부침(300)의 내부를 통해 후단이 상기 파지버튼(510)에 결합되며 선단에 채취홈(220)이 일정깊이 형성되는 내부침(200)과; 상기 베이스(100)의 후단과 상기 니들캐리어(4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침(300)이 탄성적으로 발사될 수 있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10)을 갖는 외부침구동부(6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를 덮는 케이싱(70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침(300)과 상기 내부침(200)은, 상기 외부침(300)이 상기 내부침(200)의 선단과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상기 내부침(200)을 감싸는 중립상태와, 상기 트리거(500)에 의해 상기 니들캐리어(400)가 후진하여 상기 중립상태로부터 상기 외부침(300)과 상기 내부침(200)이 함께 후진하고 상기 스프링(610)이 압축되는 장전상태와, 상기 장전상태에서 상기 트리거(500)가 전진하여 상기 내부침(200)만 목표조직 내부로 전진하는 삽입상태와, 상기 외부침(300)이 상기 스프링(610)에 의해 발사되어 목표조직을 절개하며 목표조직을 채취하는 채취상태 간을 이동하며, 상기 캐리어연결바(520)의 이동경로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700)의 외부로 돌출된 락킹해제버튼(830)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삽입상태에서 상기 외부침(300)의 이동이 단속되도록 상기 캐리어연결바(520)의 이동경로를 개폐하는 락킹부재(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부침 락킹부재를 갖는 생검기구{Biopsy Device having Exterior Penetration Needle Locking Member}
본 발명은 생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목표조직에 내부침이 위치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내부침에 충분히 조직이 삽입된 후 외부침을 발사시켜 검체 대상이 되는 목표조직을 정확하게 채취할 수 있는 생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체조직의 검사를 위해서는 생체조직 내에 생체조직을 검체할 수 있는 기구를 주입하고, 생체조직 중 검체 대상이 되는 조직을 채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조직을 바늘의 형태에 의하여 절단하여 조직학적 형태를 온전히 유지한 상태로 얻을 수 있고 진단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절단생검이 활용되고 있다. 절단생검의 경우, 환부에 삽입되는 바늘의 구경을 최소화하면서도, 반복적 침습행위를 최소화하고, 소형검체에 대한 정밀한 시술이 가능하여 최근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463867 및 10-1551311 등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 생검기구는 조직채취홈이 있는 내부침과, 내부침을 감싸는 형태로 내부침에 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선단에 날이 형성되어 있어 조직을 절단하는 외부침을 포함한다.
종래 생검기구는 내부침이 먼저 전진발사되도록 한 뒤, 외부침을 전진발사시켜 내부침의 조직채취홈에 검체가 수용되게 진입하고 외부침의 날을 통하여 검체를 절단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생검기구는 내부침이 전진발사된 후 외부침을 전진발사할 때, 외부침이 전진발사되는 것을 잠금하는 락킹수단이 없어 시술자가 정확한 위치에 내부침을 삽입하지 않았음에도 외부침이 오발사되거나, 내부침에 충분한 양의 조직이 삽입되지 않았음에도 외부침이 급발사되는 경우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168368호 "가이딩부를 포함하는 반자동 조직생검용 장치" 공개특허 제10-2014-0106062호 "생체 조직 생검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침의 발사시기를 락킹할 수 있어 내부침이 정확한 목표조직에 도달했을 때 외부침을 발사할 수 있는 생검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침 락킹부재를 갖는 생검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검기구는, 일정 길이를 갖게 구비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니들캐리어(400)와; 상기 베이스(100)의 후단에 배치되는 파지버튼(510)과, 상기 파지버튼(510)으로부터 상기 니들캐리어(400)까지 연장형성되어 상기 니들캐리어(40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캐리어연결바(520)가 구비되는 트리거(500)와; 상기 니들캐리어(400)의 선단에 결합되는 외부침(300)과; 상기 외부침(300)의 내부를 통해 후단이 상기 파지버튼(510)에 결합되며 선단에 채취홈(220)이 일정깊이 형성되는 내부침(200)과; 상기 베이스(100)의 후단과 상기 니들캐리어(4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침(300)이 탄성적으로 발사될 수 있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10)을 갖는 외부침구동부(6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를 덮는 케이싱(70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침(300)과 상기 내부침(200)은, 상기 외부침(300)이 상기 내부침(200)의 선단과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상기 내부침(200)을 감싸는 중립상태와, 상기 트리거(500)에 의해 상기 니들캐리어(400)가 후진하여 상기 중립상태로부터 상기 외부침(300)과 상기 내부침(200)이 함께 후진하고 상기 스프링(610)이 압축되는 장전상태와, 상기 장전상태에서 상기 트리거(500)가 전진하여 상기 내부침(200)만 목표조직 내부로 전진하는 삽입상태와, 상기 외부침(300)이 상기 스프링(610)에 의해 발사되어 목표조직을 절개하며 목표조직을 채취하는 채취상태 간을 이동하며, 상기 캐리어연결바(520)의 이동경로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700)의 외부로 돌출된 락킹해제버튼(830)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삽입상태에서 상기 외부침(300)의 이동이 단속되도록 상기 캐리어연결바(520)의 이동경로를 개폐하는 락킹부재(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500)는, 상기 파지버튼(510)으로부터 상기 베이스(100)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상기 내부침(200)과 결합되는 내부침결합바(530)와; 상기 캐리어연결바(520)와 상기 내부침결합바(53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락킹부재(800)에 의해 이동경로가 차폐되는 락킹걸림바(540)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연결바(520)의 선단에는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견인턱(521)이 구비되며, 상기 락킹부재(800)는, 외주연이 원호 형태로 형성되며, 판면에 상기 이동위치제한바(525)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바이동공(815)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0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하부회동부재(810)와;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하부회동부재(810)의 일단과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회동부재(810)의 타단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상부가압부재(820)와; 상기 상부가압부재(820)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케이싱(7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락킹해제버튼(830)을 포함하며, 상기 락킹해제버튼(830)이 가압되지 않으면 상기 바이동공(815)이 상기 락킹걸림바(540)와 어긋나게 위치되며 상기 락킹걸림바(54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고, 상기 락킹해제버튼(830)이 가압되면 상기 상부가압부재(820)가 하부로 이동되며 상기 하부회동부재(810)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회동부재(810)가 상기 베이스(100)의 판면에서 회동되며 상기 바이동공(815)이 상기 락킹걸림바(540)와 동축상으로 정렬되어 상기 락킹걸림바(540)의 전방 이동이 허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니들캐리어(400)는, 양측에 측면끼움날개(411)가 돌출형성되고, 후단에 상기 견인턱(521)이 끼워지는 턱끼움공(415)이 관통형성된 캐리어본체(410)와; 상기 캐리어본체(410)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며, 전방에 상기 외부침(300)이 결합되고 후방에 상기 스프링(610)이 결합되는 침결합블럭(420)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니들캐리어(400)의 측면끼움날개(411)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캐리어이동레일(111)이 형성되고, 상기 턱끼움공(415)에 대응되는 견인턱결합공(114)이 형성되며, 상기 견인턱결합공(114)으로부터 후단까지 상기 캐리어연결바(520)가 이동되는 연결바이동로(113)가 형성된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후단에 일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락킹부재(800)의 하부회동부재(8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락킹부재안내곡면(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검기구는 장전상태에서 후진되어 있는 외부침이 시술자의 의도와 달리 발사되지 못하도록 락킹부재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시술자가 락킹해제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트리거를 조작해야만 외부침이 발사되어 정확한 목표조직을 채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여 시술자가 혼자서 한 손으로 생검기구를 조작하고 나머지 손으로 초음파를 조작하며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검기구의 외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검기구의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생검기구의 하부구성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생검기구의 중립상태와 장전상태일 때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생검기구의 락킹부재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생검기구의 중립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생검기구의 장전상태와 삽입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생검기구의 채취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생검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생검기구의 측면락킹부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절개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생검기구의 측면락킹부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검기구(1)의 외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생검기구(1)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생검기구(1)의 저면구성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검기구(1)가 중립상태와 장전상태일 때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중립상태와 채취상태일 때 락킹부재(800)의 수직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생검기구(1)의 중립상태에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의 (a)는 장전상태에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삽입상태에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채취상태에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검기구(1)는 생체조직 검사를 위해 목표한 환부의 조직을 정확하게 채취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검기구(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와, 베이스(100)의 선단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생체조직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침(200)과, 내부침(200)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침(300)과, 베이스(100)의 후단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며 내부침(200)과 외부침(300) 및 니들캐리어(400)의 위치를 조절하는 트리거(500)와, 니들캐리어(400)와 베이스(100)의 후단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침(300)이 전방으로 발사되며 채취되게 하는 외부침구동부(600)와, 베이스(100)의 상부를 덮는 케이싱(700)과, 베이스(100)의 후단에 구비되어 외부침(300)의 이동을 제한하는 락킹부재(8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검기구(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침(200)과 외부침(300)이 동일한 길이로 베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된 중립상태로 제공된다. 시술자는 조직채취를 위해 중립상태에서 트리거(500)를 후단으로 당겨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침(200)과 외부침(300)이 함께 후진된 장전상태로 전환시킨다.
도 8의 (a)와 같이 내부침(200)과 외부침(300)이 후방으로 장전된 상태에서 시술자는 초음파를 통해 생체내부(A)를 확인하면서 조직을 채취할 목표조직(B) 가까이로 내부침(200)과 외부침(300)을 삽입한다.
이 때, 목표조직(B) 보다 7~10mm 이격된 위치로 내부침(200)과 외부침(300)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500)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내부침(200)만 목표조직(B)로 삽입하는 삽입상태로 동작시킨다.
초음파를 통해 내부침(200)이 목표조직(B)에 정확하게 도달했는지 확인하고, 내부침(200)의 채취홈(220)에 목표조직(B)의 조직이 채워지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500)를 전방으로 더 가압하여 외부침(300)이 내부침(200)의 선단팁(210)을 덮도록 이동하는 채취상태로 전환한다. 외부침(300)은 외부침구동부(600)의 탄성력에 의해 내부침(200)을 덮도록 빠르게 발사되며 조직을 절개하여 채취홈(220)에 목표조직(B)이 채취되게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생검기구(1)는 삽입상태에서 내부침(200)만 전진하고, 외부침(300)은 전진하지 못하도록 락킹부재(800)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시술자가 케이싱(700)의 외부로 돌출된 락킹부재(800)의 락킹해제버튼(830)을 가압하는 경우에만 외부침(300)이 전진하도록하여 종래 생검기구에서 외부침이 시술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발사되던 오발사 문제와 생체조직을 충분히 채취하지 못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내부침(200)과 외부침(300) 및 니들캐리어(400)가 트리거(500)의 가압에 의해 전진 및 후진할 수 있게 지지한다. 베이스(1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판상의 베이스판(110)과, 베이스판(110)의 테두리영역에 수직하게 형성된 측벽(120)과, 베이스판(110)의 후단 내측에 형성된 락킹부재안내곡면(130)을 포함한다.
베이스판(110)의 판면에는 니들캐리어(400)가 전후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캐리어이동레일(111)과, 트리거(500)의 캐리어연결바(520)를 전후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연결바이동로(113)와, 캐리어연결바(520)의 견인턱(521)이 거치되는 견인턱지지판(115)이 형성된다.
캐리어이동레일(111)은 베이스판(110)의 양측에 일정길이 형성되며, 니들캐리어(400)의 양측 측면끼움날개(411)가 끼워진다. 캐리어이동레일(111)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상태에서 베이스판(110)의 전방에 위치된 니들캐리어(400)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로 후진하며 장전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한다. 캐리어이동레일(111)의 길이는 중립상태에서 장전상태로 니들캐리어(400)가 이동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연결바이동로(113)는 트리거(500)의 캐리어연결바(520)가 전후로 이동하며 니들캐리어(400)를 중립상태, 장전상태 및 채취상태로 견인 또는 가압할 수 있게 안내한다. 연결바이동로(113)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턱결합공(114)으로부터 베이스판(110)의 후단까지 직선형태로 형성된다.
연결바이동로(113)의 양측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113a)가 일정길이 구비된다. 가이드돌기(113a)는 캐리어연결바(520)의 양측에 구비된 측면가이드홈(523)에 삽입되어 캐리어연결바(520)가 연결바이동로(113)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지지한다.
견인턱지지판(115)은 캐리어연결바(520)의 견인턱(521)이 니들캐리어(4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견인턱(521)의 하부를 받쳐준다. 도 2와 도 3 및 도 7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턱지지판(115)은 연결바이동로(113)를 통해 이동된 캐리어연결바(520) 선단의 견인턱(521)의 하부를 받쳐서 견인턱(521)이 베이스판(110)의 상면에 결합된 니들캐리어(400)와 걸림결합되게 한다.
견인턱지지판(115)은 수평하게 형성되며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견인턱거치판(115b)과 연결되게 구비된다. 견인턱거치판(115b)의 후단에는 견인턱결합공(114)이 관통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턱결합공(114)으로 연결바이동로(113)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된 견인턱(521)이 견인턱거치판(115b) 측으로 이동되고, 니들캐리어(400)의 턱끼움공(415)에 삽입된 후 걸림결합된다.
여기서, 도 2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턱거치판(115b)의 양측에는 한 쌍의 돌기걸림턱(115a)이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한 쌍의 돌기걸림턱(115a)에는 니들캐리어(400) 하부의 위치고정돌기(430)가 걸림결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상태에서 니들캐리어(400)는 베이스판(110)의 선단에 배치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500)의 가압에 의해 니들캐리어(400)가 장전상태로 후진하면, 니들캐리어(400) 하부에 돌출형성된 위치고정돌기(430)가 한 쌍의 돌기걸림턱(115a)에 걸림결합되어 니들캐리어(400)가 후진된 위치가 고정된다.
측벽(12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0)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측벽(120)의 양측에는 복수개의 케이싱후크걸림고리(121)가 구비된다. 케이싱후크걸림고리(121)에는 케이싱(700)의 결합후크(740)가 걸림결합되어 베이스(100)와 케이싱(700)의 결합상태가 구속되게 한다.
베이스(100)의 선단에는 전방벽(123)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후방벽(125)이 형성된다 후방벽(125)에는 내부침(20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내부침노출공(125a)과 캐리어연결바(520)를 연결바이동로(113)로 삽입하는 연결바삽입공(125b)이 연결바이동로(113)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락킹부재안내곡면(130)은 락킹부재(800)가 배치되는 베이스판(110)의 후단영역에 구비되어 락킹부재(800)의 하부회동부재(810)가 회동될 수 있게 지지한다. 도 6의 (a)와 (b)는 락킹부재(800)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재안내곡면(130)은 내벽면이 하부회동부재(810)의 외주연의 직경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락킹해제버튼(830)이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하부회동부재(810)가 락킹부재안내곡면(130)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해제버튼(830)이 하부로 가압되면 하부회동부재(810)가 눌려지며 락킹부재안내곡면(130)의 곡면형상에 따라 안내되어 회동되며 바이동공(815)이 락킹걸림바(540)와 동축상에 배치되게 한다.
내부침(200)은 생체조직(A) 내부로 삽입되어 목표조직(B)을 채취한다. 내부침(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상태에서 외부침(300)의 내부에 수용되며 선단팁(210)은 외부침(300)의 외부로 노출되고 후단의 트리거결합단(230)은 트리거(500)의 내부침결합바(530)에 고정된다.
내부침(200)의 선단에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홈(220)이 일정깊이 형성된다. 내부침(200)은 삽입상태에서 목표조직(B)으로 삽입된 후 채취홈(220)에 목표조직(B)이 채워진다.
외부침(300)은 내부침(200)의 외부를 감싸게 배치된다. 외부침(300)의 선단(310)에는 칼날이 형성된다. 외부침(300)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침(200)의 후방으로 이동된 장전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에 채취상태로 외부침구동부(600)에 의해 탄성적으로 발사되며 채취홈(220)을 감싼 생체조직을 절개하여 채취홈(220)에 목표조직(B)이 채취되게 한다.
외부침(300)의 후단(3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캐리어(400)의 침결합블럭(420)의 외부침고정공(421)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외부침(300)은 니들캐리어(400)의 전후이동에 연동하여 함께 전후로 이동된다.
니들캐리어(400)는 트리거(500)에 결합되어 시술자가 트리거(500)를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외부침(300)이 중립상태에서 장전상태, 삽입상태 및 채취상태로 이동되게 베이스(100)를 따라 전후 이동된다.
니들캐리어(4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0)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된 캐리어본체(410)와, 캐리어본체(410)의 상부에 돌출되어 외부침(300) 및 외부침구동부(600)와 결합되는 침결합블럭(420)과, 캐리어본체(41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니들캐리어(4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돌기(430)를 포함한다.
캐리어본체(410)는 베이스판(110)을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 캐리어본체(410)의 양측에는 베이스판(110)의 캐리어이동레일(111)에 끼움결합되어 캐리어이동레일(111)을 따라 캐리어본체(410)가 이동되게 지지하는 측면끼움날개(411)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본체(410)의 내측에는 상부를 향해 일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턱이동안내면(413)이 구비되고 턱이동안내면(413)의 후방에는 견인턱(521)이 끼움결합되는 턱끼움공(415)이 형성된다.
도 7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상태일 때, 트리거(500)의 캐리어연결바(520)의 견인턱(521)은 베이스판(110)의 견인턱결합공(114)을 통해 삽입된 후 견인턱거치판(115b)에 거치된다. 그리고, 견인턱(521)은 니들캐리어(400)의 턱끼움공(415)에 걸림결합된다. 견인턱(521)의 돌기가 후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견인턱결합공(114)에 걸림결합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트리거(500)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끼움공(415)이 견인턱(521)에 걸려있으므로 니들캐리어(400)가 트리거(50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며 장전상태로 이동된다.
한편,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상태일 때, 니들캐리어(400)는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캐리어연결바(520)만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견인턱(521)은 턱이동안내면(413)에 상단이 접촉된 상태로 턱이동안내면(413)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견인턱지지판(115)과 접촉되는 중립상태까지 이동하게 된다.
침결합블럭(420)은 캐리어본체(410)의 상부로 돌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결합블럭(420)의 전방에는 외부침(300)이 결합되는 외부침고정공(421)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외부침구동부(600)의 스프링(610)이 결합되는 스프링결합돌기(423)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상태에서 니들캐리어(400)가 베이스판(110)의 전방에 위치될 때, 스프링(610)이 신장된 초기 길이(W1)로 위치되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전상태에서 니들캐리어(400)가 후진되면 스프링(610)이 베이스판(110)의 후방벽(125)과 침결합블럭(420) 사이에서 제2길이(W2)로 압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돌기(430)는 캐리어본체(410)의 하부에 복수개가 돌출형성된다. 위치고정돌기(43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캐리어(400)가 장전상태로 후진되었을 때 니들캐리어(400)가 후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위치고정돌기(430)는 트리거(500)에 의해 니들캐리어(400)가 후진될 때 견인턱지지판(115)의 돌기걸림턱(115a)에 걸림결합되어 캐리어본체(410)의 위치가 고정되게 한다.
반면, 도 9에 확대도시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전상태에서 채취상태로 변환될 때는 시술자가 캐리어연결바(520)를 전방으로 가압할 때 견인턱(521)이 이동되며 견인턱거치판(115b)을 하부로 가압하여 위치고정돌기(430)가 돌기걸림턱(115a)으로부터 분리된다. 위치고정돌기(430)가 돌기걸림턱(115a)으로부터 분리되면, 스프링(610)의 탄성력에 의해 니들캐리어(400)가 채취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트리거(500)는 시술자의 손에 의해 전후로 가압되며 외부침(300)과 내부침(200)이 중립상태, 장전상태, 삽입상태 및 채취상태로 이동되며 목표조직을 채취하도록 침들의 위치를 조절한다.
트리거(500)는 베이스(100)에 수직방향으로 일정면적 형성되는 파지버튼(510)과, 파지버튼(510)으로부터 연장되어 니들캐리어(400)와 연결되는 캐리어연결바(520)와, 캐리어연결바(520)의 상부에 구비되어 내부침(200)과 결합되는 내부침결합바(530)와, 내부침결합바(530)와 캐리어연결바(520) 사이에 구비되어 락킹부재(800)에 의해 이동이 단속되는 락킹걸림바(540)를 포함한다.
파지버튼(5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700)의 후단에 구비되어 시술자가 손으로 잡고 캐리어연결바(520)를 후방으로 당기거나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게 한다.
내부침결합바(530)는 내부침(200)과 파지버튼(510)을 연결한다. 내부침결합바(530)에는 내부침(200)의 트리거결합단(230)이 고정된다.
캐리어연결바(520)는 베이스판(110)의 연결바이동로(113)를 따라 이동되며, 니들캐리어(4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니들캐리어(400)를 전후로 이동시킨다. 캐리어연결바(520)의 선단에는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된 견인턱(521)이 구비되고, 캐리어연결바(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면에는 측면가이드홈(523)이 형성된다. 또한 캐리어연결바(520)에는 견인턱(521)과 인접하게 이동위치제한바(525)가 구비된다.
견인턱(52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상태에서 베이스판(110)의 견인턱결합공(114)을 통해 상부로 삽입되어 니들캐리어(400)의 턱끼움공(415)에 걸림결합된다. 시술자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버튼(510)을 후방으로 당기면 캐리어연결바(520)는 연결바이동로(113)를 따라 후진하고, 견인턱(521)에 걸림결합된 니들캐리어(400)도 캐리어연결바(520)의 견인력에 의해 캐리어이동레일(11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다.
견인턱(521)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버튼(510)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삽입상태로 전환될 때는 후방으로 이동된 니들캐리어(400)의 턱끼움공(415)으로부터 분리되어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삽입상태일 때 견인턱(521)은 견인턱거치판(115b)에 위치된다.
락킹걸림바(54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상태에서 락킹부재(800)의 후단과 맞닿는 길이로 파지버튼(510)에 연장형성된다. 삽입상태에서 락킹걸림바(540)는 경로를 차단한 락킹부재(800)에 걸려 더 이상 이동이 안되고, 캐리어연결바(520)는 견인턱(521)이 견인턱거치판(115b)에 닿는 위치까지만 이동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상태에서 락킹걸림바(540)는 락킹부재(800)가 경로를 개방하여 이동이 허용되고, 캐리어연결바(520)는 견인턱(521)이 견인턱거치판(115b)을 가압하는 위치로 삽입된다. 이에 의해 견인턱(521)이 전진하는 압력에 의해 견인턱거치판(115b)이 아래로 가압되고 니들캐리어(400)의 위치고정돌기(430)가 돌기걸림턱(115a)으로붙 분리되며 외부침(300)과 함께 스프링(61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된다.
외부침구동부(600)는 장전상태로 후진된 니들캐리어(400)가 전방으로 빠르게 발사되며 니들캐리어(400)에 결합된 외부침(300)이 내부침(200)을 감싸게 이동하며 조직을 절개하게 한다.
외부침구동부(600)는 니들캐리어(400)와 베이스(100)의 후방벽(125)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610)과, 스프링(610)의 상부를 덮는 스프링커버(620)를 포함한다. 스프링(610)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상태일 때 제1길이(ℓ1)로 유지되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전상태일 때 뒤로 후진하는 니들캐리어(400)에 의해 제2길이(ℓ2)로 압축된다.
스프링(610)은 락킹부재(800)가 락킹걸림바(540)를 해제하여 니들캐리어(400)의 위치고정돌기(430)가 돌기걸림턱(115a)으로부터 분리되면 초기 길이로 복귀하기 위한 탄성력을 니들캐리어(400)로 제공하여 니들캐리어(400)가 중립상태로 빠르게 전진하게 한다.
이에 의해 니들캐리어(400)에 결합된 외부침(300)이 조직내부로 발사되며 목표조직을 절개하게 된다.
스프링커버(620)는 스프링(610) 후단의 상부를 덮어 락킹부재(800)가 스프링(610)과 간섭되지 않고 동작되게 한다. 스프링커버(620)의 내부에는 내부침(200)을 후방벽(125)으로 안내하는 내부침안내관(62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스프링커버(620)의 후단에는 후방벽(125)과 결합되는 벽결합축(623)이 구비된다.
케이싱(700)은 베이스(100)의 상부를 덮어 내부침(200)과 외부침(300)을 제외한 내부구성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한다. 케이싱(700)은 베이스(100)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된다. 케이싱(700)의 전방에는 외부침(30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침안내관(710)이 구비된다.
케이싱(700)의 후방 상부에는 락킹부재(800)의 락킹해제버튼(83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락킹버튼노출공(720)이 관통형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700)의 내측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블록이동레일(730)이 형성된다. 블록이동레일(730)은 니들캐리어(400)의 침결합블럭(420)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니들캐리어(400)가 안정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한다.
케이싱(700)이 양측 전방 하부에는 복수개의 결합후크(740)가 구비된다. 결합후크(740)는 베이스(100)의 케이싱후크걸림고리(121)에 후크결합되어 케이싱(700)과 베이스(100)가 고정되게 한다.
락킹부재(800)는 트리거(500)의 락킹걸림바(540)의 경로를 차폐하여 락킹걸림바(54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에 의해 캐리어연결바(520)가 삽입상태에서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하여 시술자의 의도 없이 외부침(300)이 발사되지 못하게 한다.
락킹부재(8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수갑형태로 결합되는 하부회동부재(810)와 상부가압부재(820)와, 상부가압부재(820)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락킹해제버튼(830)을 포함한다.
상부가압부재(820)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케이싱(700)의 락킹버튼노출공(720)에 대응되는 위치의 스프링커버(620) 위에 배치된다. 상부가압부재(820)의 양측 하부에는 베이스판(110)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레그(825)가 연장형성된다. 한 쌍의 지지레그(825)가 락킹부재안내곡면(130)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부가압부재(820)가 스프링커버(620)의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회동부재(810)는 외주면은 락킹부재안내곡면(130)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반원형태로 구비된다. 하부회동부재(810)는 일단에 형성된 결합단(811)이 상부가압부재(820)에 고정되고 타단이 개방형성된다. 하부회동부재(810)이 판면에는 바이동공(815)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락킹해제버튼(830)은 케이싱(700)의 락킹버튼노출공(720)을 통해 케이싱(700)의 외부로 돌출형성된다. 시술자는 락킹해제버튼(830)을 가압하여 하부회동부재(810)의 위치를 조절하여 락킹걸림바(540)의 락킹을 해제하고 동시에 니들캐리어(400)의 위치고정돌기(430)가 돌기걸림턱(115a)에 결합된 락킹을 해제하게 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락킹해제버튼(830)을 가압하기 전에는 하부회동부재(810)는 락킹부재안내곡면(130)에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부회동부재(810)의 결합단(811)과 상부가압부재(820)의 고정단(821)에는 탄성지지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탄성지지부재(미도시)는 상부가압부재(820)가 하부회동부재(810)를 가압하지 않는 경우 고정단(821)을 향해 상승된 위치에 있도록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락킹해제버튼(830)을 가압하기 전에는 하부회동부재(810)의 바이동공(815)이 락킹걸림바(540)와 어긋자게 위치되어 락킹걸림바(540)의 이동경로를 막게 된다. 즉,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회동부재(810)가 락킹걸림바(540)를 막아 더 이상 락킹걸림바(540)와 캐리어연결바(520)가 전방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락킹해제버튼(830)을 하부로 가압하면 상부가압부재(820)가 하부회동부재(810)를 가압하며 하부회동부재(810)가 락킹부재안내곡면(130)을 따라 회동되며 바이동공(815)이 락킹걸림바(540)와 동축상에 정렬된다.
시술자는 락킹해제버튼(830)을 가압한 상태에서 파지버튼(510)을 전방으로 가압하면 락킹걸림바(540)가 하부회동부재(81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연결바(520)가 전방으로 추가로 이동되고, 견인턱(521)이 견인턱거치판(115b)을 하부로 가압하여 니들캐리어(400)의 위치고정돌기(430)가 돌기걸림턱(115a)으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이에 의해 니들캐리어(400)가 스프링(61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고, 외부침(300)이 발사되며 목표조직을 절개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생검기구(1)를 이용한 생체조직 채취과정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검기구(1)는 중립상태의 위치로 포장되어 제공된다. 생검기구(1)는 1회용으로 사용 후 폐기된다.
시술자는 생검기구(1)의 케이싱(700)을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파지버튼(510)을 잡고 파지버튼(510)을 뒤로 당겨 내부침(200)과 외부침(300)을 장전상태로 이동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상태에서 내부침(200)과 외부침(300)은 선단이 서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파지버튼(510)을 뒤로 당기면 캐리어연결바(520)의 견인턱(521)이 턱끼움공(415)에 결합되어 니들캐리어(4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프링(610)은 니들캐리어(400)의 후진에 의해 압축된다. 후방으로 이동된 니들캐리어(400)는 위치고정돌기(430)가 돌기걸림턱(115a)에 결합되어 베이스판(110)에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의해 내부침(200)과 외부침(300)은 함께 뒤로 후진된다.
장전상태에서 시술자는 초음파를 확인하며 생체조직(A) 내부로 내부침(200)과 외부침(300)을 함께 삽입한다. 이 때, 목표조직(B) 보다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만 외부침(300)와 내부침(200)을 삽입한다.
그리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는 파지버튼(510)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내부침(200)만 목표조직(B)으로 삽입시킨다. 파지버튼(510)을 가압하면 캐리어연결바(520)의 견인턱(521)은 니들캐리어(400)의 턱이동안내면(413)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고 락킹걸림바(540)가 락킹부재(800)와 접촉되며 견인턱거치판(115b)에 닿는 위치까지만 이동된다.
시술자는 초음파를 통해 내부침(200)이 목표조직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일정시간이 경과되며 내부침(200)의 채취홈(220)에 목표조직이 충분히 삽입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해제버튼(830)을 가압하면 상부가압부재(820)가 하부회동부재(810)를 가압하고 하부회동부재(810)가 회동되며 바이동공(815)이 락킹걸림바(540)와 동축상에 정렬된다.
시술자는 락킹해제버튼(830)을 가압한 상태에서 파지버튼(510)을 전방으로 가압하면 락킹해제버튼(830)이 바이동공(815) 내부로 삽입되고, 캐리어연결바(520)이 견인턱(521)은 전방으로 이동되며 견인턱거치판(115b)을 가압하고 견인턱거치판(115b)이 하부로 가압되게 한다. 이에 의해 니들캐리어(400)의 위치고정돌기(430)가 돌기걸림턱(115a)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동시에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610)이 초기길이로 탄성복귀되며 니들캐리어(400)가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이동되고, 니들캐리어(400)에 결합된 외부침(300)이 내부침(200)의 선단을 감싸도록 발사된다. 이 과정에서 외부침(300)이 선단이 채취홈(220)을 감싸는 목표조직을 절개하여 목표조직(B)이 채취된다.
시술자는 채취가 완료된 중립상태의 생검기구(1)를 환자의 신체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멸균용기를 준비하고 파지버튼(510)을 뒤로 당겨 장전상태로 위치시키고, 파지버튼(510)을 앞으로 밀어 삽입상태로 위치시키면 내부침(200)만 외부침(300)의 외부로 노출되며 채취홈(220)에 수용된 목표조직(B)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검기구(1a)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생검기구(1)는 락킹해제버튼(830)이 케이싱(700)의 상면에 배치되었다. 반면, 다른 실시예의 생검기구(1)는 케이싱(700)의 측면에 구비되는 측면락킹해제버튼(910)을 갖는 측면락킹부(900)를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락킹부(900)는 시술자에 의해 가압되는 측면락킹해제버튼(910)과, 측면락킹해제버튼(910)의 가압여부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락킹바(920)와, 측면락킹해제버튼(9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940)과, 토션스프링(940)이 결합되는 탄성부재지지축(930)을 포함한다.
측면락킹해제버튼(910)은 케이싱(700)의 판면에 토션스프링(940)에 의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측면락킹해제버튼(910)의 일단에 구비된 바결합축(911)이 락킹바(920)에 결합되고, 시술자가 측면락킹해제버튼(910)을 가압하면, 락킹바(920)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락킹바(920)에는 바이동로(921)가 형성되고,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락킹해제버튼(910)이 가압되지 않으면 바이동로(921)가 락킹걸림바(540)와 어긋나게 배치되어 락킹걸림바(540)의 이동을 차단한다.
반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락킹해제버튼(910)을 가압하면 락킹바(920)가 직선이동하며 바이동로(921)가 락킹걸림바(540)와 동축상에 배치되어 락킹걸림바(540)의 이동을 허용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검기구는 장전상태에서 후진되어 있는 외부침이 시술자의 의도와 달리 발사되지 못하도록 락킹부재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시술자가 락킹해제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트리거를 조작해야만 외부침이 발사되어 정확한 목표조직을 채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생검기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생검기구 100 : 베이스
110 : 베이스판 111 : 캐리어이동레일
113 : 연결바이동로 113a : 가이드돌기
114 : 견인턱결합공 115 : 견인턱지지판
115a : 돌기걸림턱 115b : 견인턱거치판
120 : 측벽 121 : 케이싱후크걸림고리
123 : 전방벽 125 : 후방벽
125a : 내부침노출공 125b : 연결바삽입공
130 : 락킹부재안내곡면 200 : 내부침
210 : 선단팁 220 : 채취홈
230 : 트리거결합단 300 : 외부침
310 : 선단 320 : 후단
400 : 니들캐리어 410 : 캐리어본체
411 : 측면끼움날개 413 : 턱이동안내면
415 : 턱끼움공 420 : 침결합블럭
421 : 외부침고정공 423 : 스프링결합돌기
430 : 위치고정돌기 500 : 트리거
510 : 파지버튼 520 : 캐리어연결바
521 : 견인턱 523 : 측면가이드홈
525 : 이동위치제한바 530 : 내부침결합바
540 : 락킹걸림바 600 : 외부침구동부
610 : 스프링 620 : 스프링커버
621 : 내부침안내관 623 : 벽결합축
700 : 케이싱 710 : 침안내관
720 : 락킹버튼노출공 730 : 블록이동레일
740 : 결합후크 800 : 락킹부재
810 : 하부회동부재 811 : 결합단
813 : 착탈돌기 815 : 바이동공
820 : 상부가압부재 821 : 고정단
825 : 지지레그 830 : 락킹해제버튼
900 : 측면락킹부 910 : 측면락킹해제버튼
911 : 바결합축 920 : 락킹바
921 : 바이동로 923 : 축결합공
930 : 탄성부재지지축 940 : 토션스프링
A : 생체조직
B : 목표조직

Claims (3)

  1. 일정 길이를 갖게 구비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니들캐리어(400)와;
    상기 베이스(100)의 후단에 배치되는 파지버튼(510)과, 상기 파지버튼(510)으로부터 상기 니들캐리어(400)까지 연장형성되어 상기 니들캐리어(40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캐리어연결바(520)가 구비되는 트리거(500)와;
    상기 니들캐리어(400)의 선단에 결합되는 외부침(300)과;
    상기 외부침(300)의 내부를 통해 후단이 상기 파지버튼(510)에 결합되며 선단에 채취홈(220)이 일정깊이 형성되는 내부침(200)과;
    상기 베이스(100)의 후단과 상기 니들캐리어(4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침(300)이 탄성적으로 발사될 수 있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10)을 갖는 외부침구동부(6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를 덮는 케이싱(70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침(300)과 상기 내부침(200)은,
    상기 외부침(300)이 상기 내부침(200)의 선단과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상기 내부침(200)을 감싸는 중립상태와, 상기 트리거(500)에 의해 상기 니들캐리어(400)가 후진하여 상기 중립상태로부터 상기 외부침(300)과 상기 내부침(200)이 함께 후진하고 상기 스프링(610)이 압축되는 장전상태와, 상기 장전상태에서 상기 트리거(500)가 전진하여 상기 내부침(200)만 목표조직 내부로 전진하는 삽입상태와, 상기 외부침(300)이 상기 스프링(610)에 의해 발사되어 목표조직을 절개하며 목표조직을 채취하는 채취상태 간을 이동하며,
    상기 캐리어연결바(520)의 이동경로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700)의 외부로 돌출된 락킹해제버튼(830)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삽입상태에서 상기 외부침(300)의 이동이 단속되도록 상기 캐리어연결바(520)의 이동경로를 개폐하는 락킹부재(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500)는,
    상기 파지버튼(510)으로부터 상기 베이스(100)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상기 내부침(200)과 결합되는 내부침결합바(530)와;
    상기 캐리어연결바(520)와 상기 내부침결합바(53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락킹부재(800)에 의해 이동경로가 차폐되는 락킹걸림바(540)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연결바(520)의 선단에는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견인턱(521)이 구비되며,
    상기 락킹부재(800)는,
    외주연이 원호 형태로 형성되며, 판면에 이동위치제한바(525)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바이동공(815)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0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하부회동부재(810)와;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하부회동부재(810)의 일단과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회동부재(810)의 타단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상부가압부재(820)와;
    상기 상부가압부재(820)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케이싱(7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락킹해제버튼(830)을 포함하며,
    상기 락킹해제버튼(830)이 가압되지 않으면 상기 바이동공(815)이 상기 락킹걸림바(540)와 어긋나게 위치되며 상기 락킹걸림바(54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고,
    상기 락킹해제버튼(830)이 가압되면 상기 상부가압부재(820)가 하부로 이동되며 상기 하부회동부재(810)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회동부재(810)가 상기 베이스(100)의 판면에서 회동되며 상기 바이동공(815)이 상기 락킹걸림바(540)와 동축상으로 정렬되어 상기 락킹걸림바(540)의 전방 이동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캐리어(400)는,
    양측에 측면끼움날개(411)가 돌출형성되고, 후단에 상기 견인턱(521)이 끼워지는 턱끼움공(415)이 관통형성된 캐리어본체(410)와;
    상기 캐리어본체(410)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며, 전방에 상기 외부침(300)이 결합되고 후방에 상기 스프링(610)이 결합되는 침결합블럭(420)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니들캐리어(400)의 측면끼움날개(411)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캐리어이동레일(111)이 형성되고, 상기 턱끼움공(415)에 대응되는 견인턱결합공(114)이 형성되며, 상기 견인턱결합공(114)으로부터 후단까지 상기 캐리어연결바(520)가 이동되는 연결바이동로(113)가 형성된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후단에 일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락킹부재(800)의 하부회동부재(8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락킹부재안내곡면(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기구.
KR1020200161268A 2020-11-26 2020-11-26 외부침 락킹부재를 갖는 생검기구 KR102232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268A KR102232778B1 (ko) 2020-11-26 2020-11-26 외부침 락킹부재를 갖는 생검기구
US17/281,677 US11889997B2 (en) 2020-11-26 2020-12-30 Biopsy instrument having outer needle-locking member
PCT/KR2020/019424 WO2022114381A1 (ko) 2020-11-26 2020-12-30 외부침 락킹부재를 갖는 생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268A KR102232778B1 (ko) 2020-11-26 2020-11-26 외부침 락킹부재를 갖는 생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778B1 true KR102232778B1 (ko) 2021-03-26

Family

ID=75259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268A KR102232778B1 (ko) 2020-11-26 2020-11-26 외부침 락킹부재를 갖는 생검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89997B2 (ko)
KR (1) KR102232778B1 (ko)
WO (1) WO202211438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1162A (zh) * 2021-04-29 2021-07-27 苏州市立普医疗科技有限公司 全自动穿刺针联动激发装置及方法、全自动穿刺针
CN115137403A (zh) * 2022-05-30 2022-10-04 烟台毓璜顶医院 一种可术中二次麻醉穿刺活检枪
KR102539420B1 (ko) * 2022-08-09 2023-06-01 조백현 수술기구
KR102653500B1 (ko) * 2023-11-27 2024-04-02 주식회사 큐어인 생검침조작로봇장치의 엔드이펙터용 트리거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3839B (zh) * 2021-06-22 2024-08-20 南京康友医疗科技有限公司 半自动活检针的安全锁定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3309B2 (ja) * 1999-03-04 2009-10-14 株式会社プラスチック・ホンダ 生検針
KR101168368B1 (ko) 2011-09-26 2012-08-29 (주)메다스 가이딩부를 포함하는 반자동 조직생검용 장치
KR20140106062A (ko) 2013-02-25 2014-09-0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조직 생검 장치
EP2862520A1 (en) * 2013-10-16 2015-04-22 AprioMed AB Biopsy device
KR20150087230A (ko) * 2012-11-21 2015-07-29 씨. 알. 바드, 인크. 코어 바늘 생검 디바이스
WO2018213611A1 (en) * 2017-05-19 2018-11-22 Merit Medical Systems, Inc. Biopsy needle devices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842B1 (ko) 2012-01-03 2014-02-18 주식회사 엠아이텍 생검용 건 장치
KR20140070333A (ko) 2012-11-30 2014-06-10 국립암센터 생체 조직 채취 장치
KR101551311B1 (ko) 2013-08-21 2015-09-08 한국기계연구원 피스톨식 생검 장치
KR101782765B1 (ko) 2017-02-03 2017-09-27 고형진 일회용 바늘 생검기구
KR102215655B1 (ko) 2018-09-06 2021-02-16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절단 생검기구
CN109106404B (zh) * 2018-09-29 2021-03-12 山东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猪内脏组织活体采样并进行核酸提取的装置
KR102206010B1 (ko) 2019-02-20 2021-01-22 제주대학교병원 회전형 니들을 포함하는 생검용 주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3309B2 (ja) * 1999-03-04 2009-10-14 株式会社プラスチック・ホンダ 生検針
KR101168368B1 (ko) 2011-09-26 2012-08-29 (주)메다스 가이딩부를 포함하는 반자동 조직생검용 장치
KR20150087230A (ko) * 2012-11-21 2015-07-29 씨. 알. 바드, 인크. 코어 바늘 생검 디바이스
KR20140106062A (ko) 2013-02-25 2014-09-0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조직 생검 장치
EP2862520A1 (en) * 2013-10-16 2015-04-22 AprioMed AB Biopsy device
WO2018213611A1 (en) * 2017-05-19 2018-11-22 Merit Medical Systems, Inc. Biopsy needle devices and methods of us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1162A (zh) * 2021-04-29 2021-07-27 苏州市立普医疗科技有限公司 全自动穿刺针联动激发装置及方法、全自动穿刺针
CN115137403A (zh) * 2022-05-30 2022-10-04 烟台毓璜顶医院 一种可术中二次麻醉穿刺活检枪
KR102539420B1 (ko) * 2022-08-09 2023-06-01 조백현 수술기구
KR102653500B1 (ko) * 2023-11-27 2024-04-02 주식회사 큐어인 생검침조작로봇장치의 엔드이펙터용 트리거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89997B2 (en) 2024-02-06
US20220395264A1 (en) 2022-12-15
WO2022114381A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778B1 (ko) 외부침 락킹부재를 갖는 생검기구
JP4879900B2 (ja) 外科用ステープル器具
EP0429390B1 (en) Disposable soft tissue biopsy apparatus
US6022324A (en) Biopsy instrument
JP4062368B2 (ja) 生検装置
US6083176A (en) Automated biopsy needle handle
JP4230165B2 (ja) プローブを回転させて多数のサンプルを取得する外科手術用生検プローブおよびその回転方法
US5492130A (en) Biopsy device and method
KR100720661B1 (ko) 비일회용 생체 검사 장치 및 그에 따른 일회용 생체 검사기구
JP2005520617A (ja) 生検針
JPH06197898A (ja) 自動組織抽出装置
JP2002514451A (ja) 生検針用握り
JPH10513384A (ja) 自動生検及び軟らかい組織の採取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1077646A1 (en) Reusable automated biopsy needle handle
JP2000512870A (ja) ハンドル・針セットを備えた生検器具
EP0268641A1 (en) INSTRUMENT FOR BIOPSY.
WO1989010764A1 (en) Blood drawing system
KR102006349B1 (ko) 생체조직 검체 장치
KR10160191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JP4550531B2 (ja) 穿刺アダプタ
JP3631403B2 (ja) 穿刺針システム
JP2001037765A (ja) 内視鏡用穿刺針操作補助器具
JP3676632B2 (ja) 内視鏡用組織採取具の操作部
EP3292822A2 (en) Biopsy device
CN113440229B (zh) 一种穿刺装置和手术穿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