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040B1 -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040B1
KR102248040B1 KR1020200134351A KR20200134351A KR102248040B1 KR 102248040 B1 KR102248040 B1 KR 102248040B1 KR 1020200134351 A KR1020200134351 A KR 1020200134351A KR 20200134351 A KR20200134351 A KR 20200134351A KR 102248040 B1 KR102248040 B1 KR 102248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bridge
fixing
upper structur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기환
오경혜
Original Assignee
매이크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이크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매이크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4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상부구조물의 진동 등으로 인해 고정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 신축에 의한 변형을 원활히 수용하고 강판의 이탈로 인한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작 및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설치 후에도 안정된 결합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보수가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인접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에 각각 결합되는 교량이음장치에 있어서, 상부구조물의 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전측으로 돌출되는 핑거부와 상기 핑거부 사이에 위치하는 요홈부로 이루어지며 일측의 핑거부가 타측의 요홈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강판 및 상기 고정브래킷에 상기 강판을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상부구조물의 전단면에 접하는 하측 수직부, 상기 하측 수직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구조물의 상면에 접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강판과 상부구조물 사이에 배치되는 상측 수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판에는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 안착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강판의 관통홀과 상기 후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홀, 상기 제1홀과 대응되는 위치의 고정브래킷 상측 수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홀 및 상기 제1홀 및 제2홀에 삽입되는 강판 이탈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Joints for bridge}
본 발명은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진동 등으로 인해 강판을 고정브래킷에 고정하는 고정볼트가 풀림으로써 강판이 분리 이탈되어 잦은 유지 보수 작업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이탈된 강판으로 인한 사고 발생의 위험을 낮출 수 있도록 한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음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69564호(2004.12.9.공고)의 교량용 핑거형 조인트와 같이 교량 상부구조물 단부에 고정브래킷을 설치하고 이 고정브래킷의 상부에 핑거플레이트와 같은 강판을 고정볼트로 조임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강판을 고정하는 고정볼트가 교량을 주행하는 차량들에 의한 반복 하중 등에 의한 진동과 충격 및 반복된 편하중의 누적에 의해 체결이 풀리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교량이음 부위에서 교량 상부구조물의 온도 변화와 처짐 현상에 의한 변형을 수용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교량이음장치가 파손되거나 강판의 이탈로 인해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69564호(2004.12.9.공고)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교량 상부구조물의 진동 등으로 인해 고정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 신축에 의한 변형을 원활히 수용하고 강판의 이탈로 인한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 및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설치 후에도 안정된 결합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보수가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지보수를 위해 강판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강판 이탈 방지부재가 설계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를 제고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상호 인접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에 각각 결합되는 교량이음장치에 있어서, 상부구조물의 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전측으로 돌출되는 핑거부와 상기 핑거부 사이에 위치하는 요홈부로 이루어지며 일측의 핑거부가 타측의 요홈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강판 및 상기 고정브래킷에 상기 강판을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상부구조물의 전단면에 접하는 하측 수직부, 상기 하측 수직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구조물의 상면에 접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강판과 상부구조물 사이에 배치되는 상측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에는 상기 수평부의 하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앵커 및 상기 수평부의 복수의 앵커가 설치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홀이 구비되며, 상기 강판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홀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강판에는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 안착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강판의 관통홀과 상기 후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홀, 상기 제1홀과 대응되는 위치의 고정브래킷 상측 수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홀 및 상기 제1홀 및 제2홀에 삽입되는 강판 이탈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진동 등으로 인해 고정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 신축에 의한 변형을 원활히 수용하고 강판의 이탈로 인한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작 및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설치 후에도 안정된 결합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강판 이탈 방지부재의 구비됨에도 유지보수시 강판의 탈부착이 용이한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제1실시예의 강판 이탈 방지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제1실시예의 강판 이탈 방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제1실시예의 강판 이탈 방지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제2실시예의 강판 이탈 방지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제2실시예의 강판 이탈 방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제2실시예의 강판 이탈 방지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제1실시예의 강판 이탈 방지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제1실시예의 강판 이탈 방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제1실시예의 강판 이탈 방지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는 상호 인접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에 각각 결합되어 신축에 의한 이음을 원활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온도 변화나 하중에 의한 교량 신축에 의한 변형을 원활히 수용함과 더불어 강판이 이탈되므로 인한 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구조물(1)의 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2)과, 상기 고정브래킷(2)에 고정되고 전측으로 돌출되는 핑거부와 상기 핑거부 사이에 위치하는 요홈부로 이루어지며 일측의 핑거부가 타측의 요홈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강판(3)과, 상기 고정브래킷(2)에 상기 강판(3)을 고정하는 고정볼트(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브래킷(2)은 상기 상부구조물(1)의 전단면에 접하는 하측 수직부(5)와, 상기 하측 수직부(5)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구조물(1)의 상면에 접하는 수평부(6)와, 상기 수평부(6)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강판(3)과 상부구조물(1) 사이에 배치되는 상측 수직부(7)로 이루어져 '
Figure 112020109682002-pat00001
'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래킷(2)에는 상기 수평부(6)의 하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앵커(8)와, 상기 수평부(6)의 복수의 앵커(8)가 설치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홀(9)이 구비되며, 상기 강판(3)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홀(9)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볼트(4)는 상기 강판(3)의 관통홀(10)을 통과하여 상기 수평부(6)의 고정홀(9)에 결합되며, 고정볼트(4)의 머리부는 상기 관통홀(10)에 안착되도록 상기 관통홀(10)은 단턱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강판(3)의 관통홀(10)과 상기 후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홀(11)과, 상기 제1홀(11)과 대응되는 위치의 고정브래킷(2) 상측 수직부(7)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홀(12)과, 상기 제1홀(11) 및 제2홀(12)에 삽입되는 강판 이탈 방지부재(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판 이탈 방지부재(13)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핀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단에 판(Plate) 형태로 이루어져 중앙부(14-1)가 고정되고 양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날개부(14-2)가 형성된 걸림부재(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재(14)는 판(Plate) 형태로 이루어지되 금속재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변형함으로써 한 쌍의 날개부(14-2)가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걸림부재(14)를 상기 제1홀(11)과 제2홀(12)에 삽입할 때는 변형으로 한 쌍의 날개부(14-2)가 굽혀져 쉽게 통과가 가능하며, 상기 제2홀(12)과 제1홀(11)을 통과하여 상기 강판(3)의 관통홀(10)에 걸림부재(14)가 위치할 시에는 자체 탄성이나 외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펴지도록 함으로써 걸림되어 상기 강판 이탈 방지부재(13)가 빠지지 않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외력이라 함은 첨단부(尖端部)가 구비된 도구 등을 통해 가해지는 힘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력의 적용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상기 날개부(14-2)의 변형을 위한 유동 여유공간으로서, 상기 걸림부재(14)와 인접한 상기 강판 이탈 방지부재(13)의 전단부에는 전단을 향해 점차 외경이 감소하여 길이방향 수직단면상에서 라운드 형태를 취하는 라운드부(16)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라운드 형태를 취하는 것은 핀 형태인 강판 이탈 방지부재(13)의 제작시 선삭 등의 단일 공정으로 쉽게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림부재(14)의 결합수단으로서는 둥근 머리 볼트(17)가 이용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결합수단과 상기 고정볼트(4) 사이의 틈새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또한, 상기 강판 이탈 방지부재(13)의 전단부에는 상기 걸림부재(14)의 날개부가 굽힘시 안착될 수 있는 단차부(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브래킷(2)은 복수의 앵커(8)와 철근을 통해 교량 상부구조물(1)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강판(3)을 고정브래킷(2)에 안착시키며, 강판 이탈 방지부재(13)의 전단부를 상기 제1홀(11)과 제2홀(12)을 통과하여 설치하면, 상기 걸림부재(14)에 의해 강판 이탈 방지부재(13)는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고정볼트(4)를 체결한 후,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설치 완료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강판(3)은 상기 고정볼트(4)가 풀리더라도 강판 이탈 방지부재(13)에 의해서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 후에 고무패널의 교체와 같은 유지보수의 목적으로 상기 강판(3)의 탈거 및 장착이 필요하며, 이때 상기 고정볼트(4)를 풀고 견고히 끼워져 고정된 강판 이탈 방지부재(13)를 인위적으로 탈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이러한 작업을 하기 위한 공간도 지나치게 협소한 특징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강판(3)의 탈거시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날개부(14-2)와 라운드부(16) 사이에 존재하는 틈에 강제로 밀어 넣어 쉽게 상기 강판 이탈 방지부재(13)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강판(3)을 용이하게 탈거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앞선 실시예에서와 서로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제2실시예의 강판 이탈 방지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제2실시예의 강판 이탈 방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제2실시예의 강판 이탈 방지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강판 이탈 방지부재(13')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핀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단에 박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재(14')는 박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금속재로 이루어져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걸림부재(14')를 상기 제1홀(11)과 제2홀(12)에 삽입할 때는 탄성변형으로 굽혀져 쉽게 통과가 가능하며, 상기 제2홀(12)과 제1홀(11)을 통과하여 상기 강판(3)의 관통홀(10)에 걸림부재(14')가 위치할 시에는 원형으로 복귀함으로써 걸림되어 상기 강판 이탈 방지부재(13')가 빠지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강판 이탈 방지부재(13')의 전단부에는 상기 걸림부재(14')의 돌출 부분이 안착할 수 있는 단차부(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브래킷(2)은 복수의 앵커(8)와 철근을 통해 교량 상부구조물(1)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강판(3)을 고정브래킷(2)에 안착시키며, 강판 이탈 방지부재(13')의 전단부를 상기 제1홀(11)과 제2홀(12)을 통과하여 설치하면, 상기 걸림부재(14')에 의해 강판 이탈 방지부재(13')는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고정볼트(4)를 체결한 후,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설치 완료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강판(3)은 상기 고정볼트(4)가 풀리더라도 강판 이탈 방지부재(13')에 의해서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인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는 교량 상부구조물(1)의 진동 등으로 인해 고정볼트(4)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 신축에 의한 변형을 원활히 수용하고 강판(3)의 이탈로 인한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작 및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설치 후에도 안정된 결합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강판 이탈 방지부재의 구비됨에도 유지보수시 강판의 탈부착이 용이한 등의 이점을 가지게 된다.
1: 상부구조물 2: 고정브래킷
3: 강판 4: 고정볼트
5: 하측 수직부 6: 수평부
7: 상측 수직부 8: 앵커
9: 고정홀 10: 관통홀
11: 제1홀 12: 제2홀
13, 13': 강판 이탈 방지부재 14, 14': 걸림부재
14-1: 중앙부 14-2: 날개부
15, 15': 단차부 16: 라운드부
17: 둥근 머리 볼트

Claims (8)

  1. 상호 인접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에 각각 결합되는 교량이음장치에 있어서,
    상부구조물의 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전측으로 돌출되는 핑거부와 상기 핑거부 사이에 위치하는 요홈부로 이루어지며 일측의 핑거부가 타측의 요홈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강판 및
    상기 고정브래킷에 상기 강판을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상부구조물의 전단면에 접하는 하측 수직부,
    상기 하측 수직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구조물의 상면에 접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강판과 상부구조물 사이에 배치되는 상측 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브래킷에는
    상기 수평부의 하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앵커 및
    상기 수평부의 복수의 앵커가 설치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홀이 구비되며,
    상기 강판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홀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구비되되,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 안착되며,
    상기 강판의 관통홀과 상기 상측 수직부에 대면하는 강판의 후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홀,
    상기 제1홀과 대응되는 위치의 고정브래킷 상측 수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홀 및
    상기 제1홀 및 제2홀에 삽입되는 강판 이탈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판 이탈 방지부재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핀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단에 판 형태로 이루어져 중앙부가 고정되고 양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
    는 한 쌍의 날개부가 형성된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강판 이탈 방지부재의 전단부 양측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한 쌍의 날개부가 안착될 수 있는 단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와 인접한 상기 강판 이탈 방지부재의 전단부에는 전단을 향해 점차 외경이 감소하여 길이방향 수직단면상에서 라운드 형태를 취하는 라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판 이탈 방지부재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핀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단에 박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강판 이탈 방지부재의 전단부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돌출 부분이 안착할 수 있는 단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KR1020200134351A 2020-10-16 2020-10-16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KR102248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351A KR102248040B1 (ko) 2020-10-16 2020-10-16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351A KR102248040B1 (ko) 2020-10-16 2020-10-16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040B1 true KR102248040B1 (ko) 2021-05-04

Family

ID=75913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351A KR102248040B1 (ko) 2020-10-16 2020-10-16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0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5417A (zh) * 2021-06-17 2021-08-10 李涛 一种梳齿式桥梁伸缩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480A (ko) * 1999-07-09 2001-02-05 조재연 교량의 신축 조인트
KR200369564Y1 (ko) 2004-09-23 2004-12-09 대봉기계공업 주식회사 교량용 핑거형 조인트
JP2006300299A (ja) * 2005-04-15 2006-11-02 Etsuzo Kuinose ボルトの緩まない座金
KR100841264B1 (ko) * 2007-10-10 2008-06-25 매크로드 주식회사 볼트 교체가 가능한 교량용 핑거 조인트 결합 구조물
KR101702272B1 (ko) * 2016-12-20 2017-02-03 정진교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
KR101810453B1 (ko) * 2017-02-16 2017-12-20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도포방수제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방수 시공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신축이음장치
KR20190014437A (ko) * 2017-08-02 2019-02-12 김낙헌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
US20200157752A1 (en) * 2016-03-29 2020-05-21 Maurer Engineering Gmbh Transition construction for bridging a building joint
KR102125859B1 (ko) * 2013-12-06 2020-06-23 주식회사 두산 핀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480A (ko) * 1999-07-09 2001-02-05 조재연 교량의 신축 조인트
KR200369564Y1 (ko) 2004-09-23 2004-12-09 대봉기계공업 주식회사 교량용 핑거형 조인트
JP2006300299A (ja) * 2005-04-15 2006-11-02 Etsuzo Kuinose ボルトの緩まない座金
KR100841264B1 (ko) * 2007-10-10 2008-06-25 매크로드 주식회사 볼트 교체가 가능한 교량용 핑거 조인트 결합 구조물
KR102125859B1 (ko) * 2013-12-06 2020-06-23 주식회사 두산 핀 고정장치
US20200157752A1 (en) * 2016-03-29 2020-05-21 Maurer Engineering Gmbh Transition construction for bridging a building joint
KR101702272B1 (ko) * 2016-12-20 2017-02-03 정진교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
KR101810453B1 (ko) * 2017-02-16 2017-12-20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도포방수제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방수 시공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신축이음장치
KR20190014437A (ko) * 2017-08-02 2019-02-12 김낙헌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5417A (zh) * 2021-06-17 2021-08-10 李涛 一种梳齿式桥梁伸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040B1 (ko)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KR101702272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8196162A (ja) 落橋防止構造
KR20190014813A (ko)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KR101912363B1 (ko) 교량상판의 신축이음장치 교체방법 및 신축이음장치 교체용 어셈블리
JP4810959B2 (ja) 埋設型枠の取付構造、取付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
JP6068510B2 (ja) デッキプレート支持具とそれを用いたスラブ施工方法
WO2007021078A1 (en) Replaceable drainage device of expansion joint
CA1152794A (en) Road joint element
JP6286737B2 (ja) 床版パネルの固定構造
KR20210019264A (ko)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
JP4321779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締付金具
JP3127864U (ja) 柱鉄筋への親綱取付用具
JP3335971B2 (ja) コンクリート舗装の補強方法および補強構造
JP4705004B2 (ja) 歪調整冶具及び歪調整方法
KR101674576B1 (ko) 합성 h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JP3014682U (ja) バリケード支持具
KR102489426B1 (ko) 도로 경계 표시봉
JP7231292B1 (ja) 道路橋のフインガージョイント
KR102393422B1 (ko)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7483275B1 (ja) 部材連結具
JP7409945B2 (ja) 天井吊り金具及び天井吊り金具の固定方法
EP1965002A2 (en) Support structure for slabs for cladding a wall to be clad
JP3786275B2 (ja) 梯子用可動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