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422B1 -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422B1
KR102393422B1 KR1020190153167A KR20190153167A KR102393422B1 KR 102393422 B1 KR102393422 B1 KR 102393422B1 KR 1020190153167 A KR1020190153167 A KR 1020190153167A KR 20190153167 A KR20190153167 A KR 20190153167A KR 102393422 B1 KR102393422 B1 KR 102393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vertical surface
deformation
coupling
exteri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683A (ko
Inventor
최봉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원철강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원철강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원철강산업
Priority to KR102019015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4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7U- or C-shaped brackets and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형 방지 H형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에 외장패널을 결합하는 데에 사용되는 H형 클립의 변형을 방지하여 외장패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고, 외장패널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볼트 관통홀(14)이 형성된 수평면(13)의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 좌측 수직면(11) 및 우측 수직면(12)을 포함하여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10); 상기 좌측 수직면(11)의 단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좌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좌측 플레이트부(20); 상기 우측 수직면(12)의 단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우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우측 플레이트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외장패널을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L자형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L자형 브라켓을 용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열재패널의 용융 및 화재 발생을 예방하고, L자형 브라켓의 휘어짐으로 인한 외장패널의 탈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H형 클립의 양측에 거치되는 외장패널의 무게 및 힘에 의하여 H형 클립의 수평면의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수직면과 제2수직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음으로써, 거치되는 외장패널의 이탈을 방지하고, H형 클립을 해체할 시에 H형 클립을 고정하는 나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Deformation prevent H-type clip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변형 방지 H형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에 외장패널을 결합하는 데에 사용되는 H형 클립의 변형을 방지하여 외장패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고, 외장패널의 이탈을 방지하는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는 외부에 노출되므로, 외부로부터 건축물의 내부를 보호하고 외부를 장식하기 위하여 벽체의 표면에 마감공사를 실시한다. 이때, 외장패널의 내측에 단열재패널을 구비하여 여름에는 건축물 외측의 열이 건축물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겨울에는 건축물 내측의 열이 건축물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단열재패널의 외측에 외장패널을 거치시킴에 있어서, 종래에는 단열재패널과 각 파이프를 설치한 후 외장패널의 고정을 위하여 각 파이프에 L자형 브라켓을 결합하여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이와 같은 L자형 브라켓은 각 파이프에 용접을 하여 부착을 하거나, 벽체에 설치된 앵커볼트의 단부에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다. 허나, 용접을 이용하는 방법은, 용접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단열재가 녹아내리거나 화재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앵커볼트에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 느슨해질 수 있고 그로 인하여 힘을 지탱하는 부분이 약해지게 되어 L자형 브라켓이 휘어지거나 부러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35631호에는 외장패널에 필수적으로 형성되는 중공부에 삽입되어 외장패널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H형 클립이 개시되어 있다.
허나, 위와 같은 구성의 H형 클립은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때, 나사가 수직하게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H형 클립과 맞닿아서 구비되는 외장패널의 무게 및 힘에 의하여 H형 클립의 제1수직면과 제2수직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는데, 그로 인하여 외장패널의 거치가 불안정해지게 되므로, 외장패널이 건물 벽체에 견고히 부착되는 것에 한계가 있게 된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 클립의 제1수직면과 제2수직면이 휘어짐에 따라, 추후에 외장패널을 해체할 때 수평면에 결합된 나사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3563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장패널을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L자형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L자형 브라켓을 용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열재패널의 용융 및 화재 발생을 예방하고, L자형 브라켓의 휘어짐으로 인한 외장패널의 탈락을 방지하는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H형 클립의 양측에 거치되는 외장패널의 무게 및 힘에 의하여 H형 클립의 수평면의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수직면과 제2수직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음으로써, 거치되는 외장패널의 이탈을 방지하고, H형 클립을 해체할 시에 H형 클립을 고정하는 나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볼트 관통홀(14)이 형성된 수평면(13)의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 좌측 수직면(11) 및 우측 수직면(12)을 포함하여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10);
상기 좌측 수직면(11)의 단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좌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좌측 플레이트부(20);
상기 우측 수직면(12)의 단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우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우측 플레이트부(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에서,
상기 좌측 플레이트부(20)는 상기 좌측 수직면(11)의 단부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 좌측 플레이트(21) 및 제2 좌측 플레이트(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에서,
상기 우측 플레이트부(30)는 상기 우측 수직면(12)의 단부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 우측 플레이트(31) 및 제2 우측 플레이트(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에서,
상기 좌측 수직면(11)의 단부의 일부분 및 상기 우측 수직면(12)의 단부의 일부분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볼트 지지대(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에서,
상기 볼트 지지대(40)는,
결합볼트(2)를 지지하도록 상기 결합볼트(2)의 결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결합볼트 관통구(41)가 형성된 좌측 볼트 지지대(40a)와 우측 볼트 지지대(40b)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에서,
상기 결합볼트 관통구(41)는 상기 볼트 관통홀(14)과 동일한 축선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에서,
상기 상기 좌측 플레이트(20) 및 상기 우측 플레이트부(30)의 단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구부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벽체(100)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앙카볼트(101)를 수직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앙카볼트(101)에 브라켓(102)를 결합시킨 뒤 체결너트를 상기 앙카볼트(101)에 체결하는 제1단계;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브라켓(2) 사이에 각파이프(103)를 끼움결합하는 제2단계;
상기 브라켓(2)의 상하 또는 좌우에 단열재패널(110)을 거치하는 제3단계;
상기 H형 클립(1)을 결합볼트(2)를 이용하여 상기 각파이프(103)에 수직하게 고정결합하는 제4단계;
상기 H형 클립(1)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에 배치되는 외장패널(120)의 중공부에 상기 H형 클립(1)의 좌측 플레이트부(20) 및 우측 플레이트(30)가 거치되도록 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외장패널을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L자형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L자형 브라켓을 용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열재패널의 용융 및 화재 발생을 예방하고, L자형 브라켓의 휘어짐으로 인한 외장패널의 탈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H형 클립의 양측에 거치되는 외장패널의 무게 및 힘에 의하여 H형 클립의 수평면의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수직면과 제2수직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음으로써, 거치되는 외장패널의 이탈을 방지하고, H형 클립을 해체할 시에 H형 클립을 고정하는 나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H형 클립에 응력이 가해졌을 때 H형 클립이 변형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에 외장패널이 거치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이 부착된 건물벽체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에 외장패널이 거치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이 부착된 건물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볼트 관통홀(14)이 형성된 수평면(13)의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 좌측 수직면(11) 및 우측 수직면(12)을 포함하여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10), 좌측 수직면(11)의 단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좌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좌측 플레이트부(20), 우측 수직면(12)의 단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우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우측 플레이트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H형 클립(1)은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외장패널을 지지해야 하므로,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장패널을 지지하면서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몸체부(1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볼트 관통홀(14)이 형성된 수평면(13)의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 좌측 수직면(11)과 우측 수직면(12)이 포함되어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부(10)의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됨으로서 좌측 수직면(11)과 우측 수직면(12)에 배치되는 두 개의 외장패널(120)이 어떠한 사잇각을 가지지 않고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볼트 관통홀(14)은 H형 클립(1)을 설치하고자 하는 곳에 결합볼트(2)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결합볼트(2)가 관통하여야 하므로 볼트 관통홀(14)의 직경은 결합볼트(2)의 결합부와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볼트(2)의 결합부를 나사산으로 형성하였으므로, 볼트 관통홀(14)의 내측면에는 결합볼트(2)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허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볼트(2)가 H형 클립(1)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부의 형태를 지니고 있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며, 이에 대응되도록 볼트 관통홀(14)의 내측면의 형상 또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볼트 관통홀(14)을 결합볼트(2)의 결합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결합볼트(2)를 이용하여 H형 클립(1)을 고정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가능함은 물론이다.
좌측 플레이트부(20)는 좌측 수직면(11)의 단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좌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좌측 수직면(11)의 단부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 좌측 플레이트(21) 및 제2 좌측 플레이트(22)로 구성된다. 도2를 참고하여 보면, 제1 좌측 플레이트(21)와 제2 좌측 플레이트(22)가 좌측 수직면(11)의 단부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어 이중 패널로 구성되는 외장패널(120)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우측 플레이트부(30)는 우측 수직면(12)의 단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우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좌측 플레이트부(20)와 마찬가지로 우측 수직면(12)의 단부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 우측 플레이트(31) 및 제2 우측 플레이트(32)로 구성된다. 우측 플레이트부(30)도 제1 우측 플레이트(31)와 제2 우측 플레이트(32)가 우측 수직면(12)의 단부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어 이중 패널로 구성되는 외장패널(120)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좌측 플레이트부(20)와 우측 플레이트부(30)가 각각 두 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한 개의 플레이트 또는 다수 개의 플레이트로 형성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수직면(11)의 단부의 일부분 및 우측 수직면(12)의 단부의 일부분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볼트 지지대(40)가 형성된다.
여기서, 볼트 지지대(40)는, 결합볼트(2)를 지지하도록 결합볼트(2)의 결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결합볼트 관통구(41)가 형성된 좌측 볼트 지지대(40a)와 우측 볼트 지지대(40b)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좌측 볼트 지지대(40a)와 우측 볼트 지지대(40b)가 서로 붙어있는 형상과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볼트(2)의 결합부를 나사산으로 표현하였으므로, 결합볼트 관통구(41) 또한 결합볼트(2)의 나사산과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좌측 볼트 지지대(40a)와 우측 볼트 지지대(40b)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도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좌측 수직면(11)의 좌측으로 절곡된 제1 좌측 플레이트(21)가 위치한 부분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우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좌측 볼트 지지대(40a)가 형성되고, 우측 수직면(12)의 우측으로 절곡된 제1 우측 플레이트(31)가 위치한 부분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좌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우측 볼트 지지대(40b)가 형성됨으로써 볼트 지지대(40)가 구비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 좌측 플레이트(22) 및 제2 우측 플레이트(32)에도 볼트 지지대(40)가 형성된다.
도2를 살펴보면 좌측 플레이트(20) 및 우측 플레이트(30)에 형성되지 않고 몸체부(10)의 가운데 부분에 절곡되지 않은 볼트 지지대(4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필요에 따라 볼트 지지대(40)를 절곡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볼트 지지대(40)에 형성되는 결합볼트 관통구(41)는 몸체부(10)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14)과 동일한 축선 상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결합볼트(2)가 H형 클립(1)으로부터 수직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좌측 플레이트(20) 및 우측 플레이트(30)의 단부는 소정의 각도만큼 구부러진 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H형 클립(1)의 좌측 플레이트(20) 또는 우측 플레이트(30)가 외장패널(120)의 중공부에 결합 시, 좌측 플레이트(20) 또는 우측 플레이트(30)의 단부와 외장패널(120)의 단부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부드럽게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H형 클립(1)의 다른 실시예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볼트 지지대(40)가 H형 클립(1)의 중심부에 모여있고, 좌측 플레이트부(20)와 우측 플레이트부(30)가 볼트 지지대(4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때, 볼트 관통부(14) 또한 볼트 지지대(40)의 결합볼트 관통구(41)와 동일한 선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형태는 볼트 지지대(40)가 집중적으로 모여있음으로써, 외장패널(120)을 지지함에 있어서 외장패널(120)의 일부분을 3개의 볼트 지지대(40)가 동시에 지지하게 되므로, 혹시 발생할 수 있는 볼트 지지대(40)의 변형을 방지하여, 외장패널(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의 도5에서는 볼트 지지대(40)를 3개의 볼트 지지대(40)로 분리된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일체로 된 장방향의 볼트 지지대에 3개의 결합볼트 관통구(41)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H형 클립을 이용하는 시공방법은,
벽체(100)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앙카볼트(101)를 수직하게 고정시키고, 앙카볼트(101)에 브라켓(102)를 결합시킨 뒤 체결너트를 앙카볼트(10)에 체결하는 1단계, 적어도 2개 이상의 브라켓(102) 사이에 각파이프(103)를 끼움결합하는 제2단계, 브라켓(2)의 상하 또는 좌우에 단열재패널(110)을 거치하는 제3단계, H형 클립(1)을 결합볼트(2)를 이용하여 각파이프(103)에 수직하게 고정결합하는 제4단계, H형 클립(1)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에 배치되는 외장패널(120)의 중공부에 상기 H형 클립(1)의 좌측 플레이트(20) 및 우측 플레이트(30)가 거치되도록 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구성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H형 클립 2 : 결합볼트
10 : 몸체부 11 : 좌측 수직면
12 : 우측 수직면 13 : 수평면
14 : 볼트 관통부 20 : 좌측 플레이트부
21 : 제1 좌측 플레이트 22 : 제2 좌측 플레이트
30 : 우측 플레이트부 31 : 제1 우측 플레이트
32 : 제2 우측 플레이트 40 : 볼트 지지대
40a : 좌측 볼트 지지대 40b : 우측 볼트 지지대
41 : 결합볼트 관통구
100 : 벽체 101 : 앙카볼트
102 : 브라켓 103 : 각파이프
110 : 단열재패널 120 : 외장패널

Claims (8)

  1.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볼트 관통홀(14)이 형성된 수평면(13)의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 좌측 수직면(11) 및 우측 수직면(12)을 포함하여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10);
    상기 좌측 수직면(11)의 단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좌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좌측 플레이트부(20);
    상기 우측 수직면(12)의 단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우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우측 플레이트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 수직면(11)의 단부의 일부분 및 상기 우측 수직면(12)의 단부의 일부분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볼트 지지대(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방지 H형 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플레이트부(20)는 상기 좌측 수직면(11)의 단부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 좌측 플레이트(21) 및 제2 좌측 플레이트(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방지 H형 클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플레이트부(30)는 상기 우측 수직면(12)의 단부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 우측 플레이트(31) 및 제2 우측 플레이트(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방지 H형 클립.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지지대(40)는,
    결합볼트(2)를 지지하도록 상기 결합볼트(2)의 결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결합볼트 관통구(41)가 형성된 좌측 볼트 지지대(40a)와 우측 볼트 지지대(40b)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방지 H형 클립.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볼트 관통구(41)는 상기 볼트 관통홀(14)과 동일한 축선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방지 H형 클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좌측 플레이트(20) 및 상기 우측 플레이트부(30)의 단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구부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방지 H형 클립.
  8. 제 1항 내지 제 3항,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변형 방지 H형 클립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벽체(100)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앙카볼트(101)를 수직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앙카볼트(101)에 브라켓(102)를 결합시킨 뒤 체결너트를 상기 앙카볼트(101)에 체결하는 제1단계;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브라켓(102) 사이에 각파이프(103)를 끼움결합하는 제2단계;
    상기 브라켓(102)의 상하 또는 좌우에 단열재패널(110)을 거치하는 제3단계;
    상기 H형 클립(1)을 결합볼트(2)를 이용하여 상기 각파이프(103)에 수직하게 고정결합하는 제4단계;
    상기 H형 클립(1)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에 배치되는 외장패널(120)의 중공부에 상기 H형 클립(1)의 좌측 플레이트부(20) 및 우측 플레이트(30)가 거치되도록 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방법.
KR1020190153167A 2019-11-26 2019-11-26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93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167A KR102393422B1 (ko) 2019-11-26 2019-11-26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167A KR102393422B1 (ko) 2019-11-26 2019-11-26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683A KR20210064683A (ko) 2021-06-03
KR102393422B1 true KR102393422B1 (ko) 2022-05-03

Family

ID=7639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167A KR102393422B1 (ko) 2019-11-26 2019-11-26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4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631B1 (ko) * 2016-12-09 2017-05-29 벽산베이스월주식회사 H형 클립을 이용한 베이스 패널 부착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631B1 (ko) * 2016-12-09 2017-05-29 벽산베이스월주식회사 H형 클립을 이용한 베이스 패널 부착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683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898B1 (ko) 간단한 연결구조로 형성되어 다양한 시공방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커튼월.
KR101581540B1 (ko) 강관 비계용 연결구
KR102393422B1 (ko)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25578B1 (ko)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KR101818073B1 (ko) 커버 고정 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WO1999051828A1 (fr) Structure servant a monter un panneau sur la surface d'une paroi de l'ossature d'une construction
JP2020076252A (ja) 建築用金具
KR200342272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KR102437236B1 (ko) 내진 무용접 외장판넬 시스템
JP7409945B2 (ja) 天井吊り金具及び天井吊り金具の固定方法
JP6869789B2 (ja) 外壁改修構造
KR101762206B1 (ko) 스페이스 프레임 및 파이프 트러스의 멤버부재 보강 구조
JPH09291542A (ja) U字形アンカーボルトを用いた鉄骨柱脚
JP6117961B1 (ja) 勾配屋根における吊り天井下地構造及び既存吊り天井の下地改修方法
US6709211B1 (en) Girt or purlin retainer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577311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2405036B1 (ko) 패널지지장치
KR200385720Y1 (ko) 조립식 외벽 패널 고정장치
JP7007118B2 (ja) 壁パネル、耐力要素の交換方法および建物
KR200245679Y1 (ko) 건축배관 지지장치
JP4663422B2 (ja) 既設フェンスの改装方法および新設フェンス
US20240133416A1 (en) L-shaped bolt fastening structure for upright fastening
JP5185163B2 (ja) トンネル用内装パネルおよびトンネル覆工内面への内装パネル取付方法
JP6906344B2 (ja) 胴縁取付用金具
JP3902965B2 (ja) 最上階又は屋階の柱梁接合部における梁主鉄筋の定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