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437A -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437A
KR20190014437A KR1020170098296A KR20170098296A KR20190014437A KR 20190014437 A KR20190014437 A KR 20190014437A KR 1020170098296 A KR1020170098296 A KR 1020170098296A KR 20170098296 A KR20170098296 A KR 20170098296A KR 20190014437 A KR20190014437 A KR 20190014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hole
protrusion
finger joint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헌
김용덕
Original Assignee
김낙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헌 filed Critical 김낙헌
Priority to KR1020170098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4437A/ko
Publication of KR20190014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상의 베이스플레이트 타단에서 타측 방향으로 돌출성형되는 제1조인트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이 제1조인트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서 돌기부가 돌출형성된 제1핑거조인트와, 판상의 베이스플레이트 일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성형되는 제2조인트가 제1조인트와 인접한 다른 제1조인트사이로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이 제2조인트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제2핑거조인트를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일측 상판과 타측 상판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제1핑거조인트와 제2핑거조인트의 베이스플레이트 하부면에 형성되며, 호형의 돌기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돌부와 호형의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홈부 중 어느 하나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회동부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제1돌부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호형의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홈부와 제1홈부가 외측으로 삽입되도록 호형의 돌기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돌부 중 어느 하나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조정부와; 상기 교량 상판의 높낮이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기울기에 따라 조정부에 삽입된 회동부가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부를 조정부에 결합시키는 회동부의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AUTO TILTING CONTROL APPARATUS OF FINGER JOINT FOR EXPANSION JOINT APPARATUS}
본 발명은 판상의 베이스플레이트 타단에서 타측 방향으로 돌출성형되는 제1조인트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이 제1조인트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서 돌기부가 돌출형성된 제1핑거조인트와, 판상의 베이스플레이트 일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성형되는 제2조인트가 제1조인트와 인접한 다른 제1조인트사이로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이 제2조인트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제2핑거조인트를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제1핑거조인트의 돌기부와 제2핑거조인트의 삽입홈이 서로 요철결합된 상태에서 교량의 일측 상판과 타측 상판의 높낮이에 차이가 발생하면, 상판에 결합된 제1핑거조인트와 제2핑거조인트의 결합구조에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함은 물론 상판의 높낮이 차이에서 발생하는 단차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신축이음장치의 수명을 연장하고 자동차의 안전주행이 이루어지게 하는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판은 온도변화 등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되며, 이 교량의 상판은 수축과 팽창을 고려하여 이웃하는 상판과는 간격을 두고 설치함으로써, 상판의 수축과 팽창 시 상판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것을 감소시키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교량의 상판 상간에는 소음을 줄이고, 승차감을 좋게 하고, 이물질이나 빗물이 그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일반적인 신축이음장치는 핑거조인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 핑거조인트는 다수 개의 조인트와 홈이 파상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호 대향 설치하여 일측 핑거조인트의 조인트가 타측 핑거조인트의 각 홈에 삽입되어 서로의 빈틈을 일정부분 메꿔주어 상판 간의 이격공간을 최소화하고, 교량 상판이 수평방향으로 신축되어 상판 간의 이격된 공간이 벌어진다 하더라도 원활한 차량의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핑거조인트는 조인트가 서로 오버랩(overlap)되면서 틈새만을 메꿔줄 뿐 상호 간섭 또는 결합구조를 갖추지 못한 구조이므로, 차량 소통 시 반복적으로 충격이 전달되고, 이때, 핑거조인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가 동반하여 흔들림에 따라 점차 고정볼트가 해체되거나, 차량과의 충돌로 비산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2016년 03월 30일자에 특허출원 제10-2016-0038723호(발명의 명칭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신축이음쇠)를 출원하여 2016년 12월 14일자에 특허 제10-1688117호로 등록을 받은 바 있다.
상기 특허 제10-1688117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2)의 측면에 돌기(2a)와 홈(2b)를 형성하여 양측의 핑거조인트(10)(20)가 서로 요철결합되게 함으로써, 교량의 상판(40)(42)이 수평방향으로의 수축과 팽창할 때에도 요철결합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차량과의 충격에도 내구성과 결합구조의 안정성을 도모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 제10-1688117호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상판(400(42)의 수축과 팽창에 의한 상판(40)(42) 간의 상간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작용에 대해서는 안정성을 갖추고 있으나,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한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상판(40)과 타측 상판(42)의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될 경우 양측 핑거조인트(10)(20)가 서로 요철결합된 상태이므로 앵커볼트(4)와 핑거조인트(10)(20)의 결합부분이 벌어지거나, 핑거조인트(10)(20)가 앵커볼트(4)를 편중되게 가압하거나 충격을 주게 되어 앵커볼트(4)의 피로도를 높게 함으로써, 파단의 문제 또는 체결 해체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현대 건축기술의 발달로 교량의 상판(40)과 상판(42)의 높이의 차이는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대부분 근소한 차이라 할지라도 높이의 차는 발생할 수밖에 없다.
결국, 상기 특허 제10-1688117호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를 도입 시공할 경우 상판(40)(42) 사이의 높낮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한 후 교량의 일측 상판과 타측 상판간의 높이에 차이가 발생하면, 높이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기울기에 따라 양측의 핑거조인트가 이 기울기에 대응하여 서로 회동하도록 하여 조정함으로써, 상판에 결합된 핑거조인트의 결합구조에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상판의 상간에 발생한 높낮이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단차를 해소하여 원활한 차량소통을 유도하여 차량과 신축이음장치의 충격량을 최소화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판상의 베이스플레이트(110a) 타단에서 타측 방향으로 돌출성형되는 제1조인트(102)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이 제1조인트(102)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서 돌기부(102a)가 돌출형성된 제1핑거조인트(110)와, 판상의 베이스플레이트(120a) 일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성형되는 제2조인트(122)가 제1조인트(102)와 인접한 다른 제1조인트(102)사이로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이 제2조인트(122)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돌기부(102a)가 삽입되도록 삽입홈(122a)이 형성된 제2핑거조인트(120)를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에 있어서, 교량의 일측 상판(200)과 타측 상판(202)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150)와; 상기 제1핑거조인트(110)와 제2핑거조인트(120)의 베이스플레이트(110a)(120a) 하부면에 형성되며, 호형의 돌기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돌부(104a)와 호형의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홈부 중 어느 하나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회동부(104)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5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제1돌부(104a)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호형의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홈부(106a)와 제1홈부가 외측으로 삽입되도록 호형의 돌기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돌부 중 어느 하나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조정부(106)와; 상기 교량 상판(200)(202)의 높낮이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기울기에 따라 조정부(106)에 삽입된 회동부(104)가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부(104)를 조정부(106)에 결합시키는 회동부(104)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104)의 결합수단은, 상기 제1핑거조인트(110)와 제2핑거조인트(120)의 베이스플레이트(110a) 상부에서 회동부(104)의 제1돌부(104a) 또는 제1홈부 하부로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관통공(130)과; 상기 제1관통공(130)과 수직으로 연통되도록 조정부(106)의 제2홈부(106a) 또는 제2돌부 하부로 관통형성되며, 제1관통공(13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제2관통공(132)과; 상기 제1관통공(130)과 제2관통공(132)과 수직으로 연통되도록 고정플레이트(150)에 형성되며, 제1관통공(13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결합공(134)과; 상기 제1관통공(130)을 경유하여 제2관통공(132)과 결합공(134)으로 삽입되는 고정볼트(136)와; 상기 결합공(134)으로 삽입되어 하부로 관통되는 고정볼트(136)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3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관통공(130)의 내경 상부를 확경시켜 고정볼트(136)의 머리부(136a)가 삽입되게 하되, 확경된 내경의 하부와 확경된 내경면이 원호형 단면을 가지는 확경부(140)와; 상기 고정볼트(136)의 머리부(136a) 하부에 형성되며, 제1관통공(130)에 삽입되었을 때, 확경부(140)의 원호형 단면에 밀착되어 미끄럼접촉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 고정부(1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한 후 교량의 일측 상판과 타측 상판간의 높이에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높이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기울기에 따라 양측 핑거조인트의 베이스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된 원호형 회동부가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된 원호형 조정부에 결합된 구조이므로, 기울기에 대응하여 서로 회동하여 조정됨으로써, 상판에 결합된 핑거조인트의 결합구조에 충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기울기에 따라 핑거조인트가 회동함으로써, 교량의 일측 상판과 타측 상판의 단차를 핑거조인트가 회동하면서 형성하는 핑거조인트의 경사면으로 인하여 오히려 차량 소통 시 원활한 소통과 소음억제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판에 단차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차량과 신축이음장치의 충격량이 상대적으로 최소화되어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특허 제10-1688117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a, 도 2b는 종래 교량 상판의 높낮이가 서로 다를 때 발생하는 특허 제10-1688117호의 문제된 작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a,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핑거조인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핑거조인트(110)와 제2핑거조인트(120)가 서로 대향된 위치에서 요철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제1핑거조인트(110)는 판상의 베이스플레이트(110a) 타단에서 타측 방향으로 제1조인트(102)가 다수 개 돌출성형되며, 이 제1조인트(102)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핑거조인트(120)도 판상의 베이스플레이트(120a) 일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제2조인트(122)가 다수 개 돌출성형되며, 이 제2조인트(122)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핑거조인트(110)의 제1조인트(102)와 제2조인트(122)의 사이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핑거조인트(110)의 제1조인트(102)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돌기부(102a)가 돌출성형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제1조인트(102)의 양측면에 돌기부(102a)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2핑거조인트(120)의 제2조인트(122)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도 홈구조의 삽입홈(122a)이 형성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제2조인트(122)의 양측면에 삽입홈(122a)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핑거조인트(110)와 제2핑거조인트(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조인트(102)와 제1조인트(102) 사이로 제2조인트(122)가 삽입될 때 제1조인트(102)의 양측면에 돌출성형된 돌기부(102a)가 제2조인트(122)의 양측면에 홈구조로 형성된 삽입홈(122a)으로 삽입됨으로써, 견고한 결속력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제1핑거조인트(110)와 제2핑거조인트(120)의 베이스플레이트(110a)(120a) 하부면에서 호형 또는 원호형으로 돌출성형되는 돌기형상의 제1돌부(104a)가 도 4,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회동부(104)를 구성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돌부(104a)는 호형 또는 원호형 홈형상의 제1홈부(도시하지 않음)로 대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상판(200)(202)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150)의 상부에는 제1돌부(104a)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호형의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홈부(106a)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조정부(106)가 결합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2홈부(106a)는 호형 또는 원호형 돌기형상의 제2돌부(도시하지 않음)로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정부(106)의 제2홈부(106a)에는 회동부(104)의 제1돌부(104a)가 안착 또는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 회동부(104)가 홈형상의 제1홈부로 형성된다면, 조정부(106)에는 돌기형상의 제2돌부가 형성되어 서로 요철구조를 갖게 함이 마땅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핑거조인트(110)의 회동부(104)는 고정플레이트(150)에 결합되는 조정부(106)에 삽입되고, 제2핑거조인트(120)의 회동부(104)는 또 다른 고정플레이트(150)에 결합되는 조정부(106)에 삽입되며, 이때, 상기 제1핑거조인트(110)와 제2핑거조인트(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요철결합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정부(106)에 삽입된 회동부(104) 및 제1핑거조인트(110), 제2핑거조인트(120)가 상기 교량 상판(200)(202)의 높낮이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기울기에 따라 회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정부(106)에 삽입된 회동부(104)가 기울기에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부(104)부의 결합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회동부(104)의 결합수단은, 상기 제1핑거조인트(110)와 제2핑거조인트(120)의 베이스플레이트(110a)(120a) 상부에서 회동부(104)의 제1돌부(104a)(또는 제1홈부) 하부까지 관통형성되는 제1관통공(130)을 다수 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관통공(130)과 대응하여 수직으로 연통되도록 조정부(106)의 제2홈부(106a)(또는 제2돌부)에도 하부까지 관통형성되는 제2관통공(132)을 형성하되, 이 제2관통공(132)은 제1관통공(13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구조를 갖게 한다.
또한, 상기 제1관통공(130) 및 제2관통공(132)과 수직으로 연통되도록 고정플레이트(150)에도 결합공(134)을 형성하되, 이 결합공(134)도 제1관통공(13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1관통공(130)을 경유하여 제2관통공(132)과 결합공(134)으로는 고정볼트(136)를 삽입하고, 이 결합공(134)을 관통하여 고정플레이트(150)의 하부로 돌출되는 고정볼트(136)에는 고정너트(138)를 체결하여 제1핑거조인트(110), 제2핑거조인트(120)가 고정볼트(136)에 의하여 조정부(106)와 함께 고정플레이트(150)에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관통공(130)이 제2관통공(132)과 결합공(134)보다 내경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며, 이에 따라, 제2관통공(132)과 결합공(134)을 관통하는 고정볼트(136)의 외경과는 일정거리 이격된 틈새(130a)가 형성되는 구조임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는 도 5a와 도 5b에도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일측 상판(200)보다 타측 상판(202)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질 경우, 제2핑거조인트(120)의 회동부(104)와 이 회동부(104)가 삽입된 조정부(106)는 하강하게 되며, 상기 제2핑거조인트(120)의 회동부(104)는 원호형 제1돌부(104a)이고 조정부(106)는 원호형 제2홈부(106a)이므로, 제1돌부(104a)의 외경면은 제2홈부(106a)의 내경면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회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회동부(104)의 제1관통공(130)과 고정볼트(136)의 외경면 사이의 틈새(130a)의 거리만큼 회동부(104)가 회동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틈새(130a)는 회동부(104)의 회동각도의 범위의 한계를 뜻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관통공(130)의 내경 상부를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경시켜 확경부(140)를 구성함으로써, 고정볼트(136)의 머리부(136a)가 삽입되게 하되, 확경된 내경의 하부와 확경된 내경면이 도 5a와 같이 원호형 단면을 가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볼트(136)의 머리부(136a) 하부에는 도 4와 도 5a,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통공(130)에 고정볼트(136)의 머리부(136a)가 삽입되었을 때, 확경부(140)의 원호형 단면에 밀착되어 미끄럼접촉되도록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부(142)를 형성하여 회동부(104)가 조정부(106)에서 회동할 때 부드러운 회동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의 일측 상판(200)과 타측 상판(202)의 높낮이가 서로 달라져 어느 한 쪽은 높고 다른 한 쪽은 낮아지게 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핑거조인트(110) 또는 제2핑거조인트(120)의 회동부(104)가 조정부(106)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제1핑거조인트(110)와 제2핑거조인트(120)가 자연스럽게 단차 또는 단턱을 없애주고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이 신축이음장치를 통과할 때 경사면을 통과하게 되어 제1핑거조인트(110) 및 제2핑거조인트(120)와의 충격량이 증대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신축이음장치로 전달되는 충격량도 감소되어 신축이음장치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102 : 제1조인트 102a : 돌기부
104 : 회동부 104a : 제1돌부
106 : 조정부 106a : 제2홈부
110 : 제1핑거조인트
110a : 제1핑거조인트의 베이스플레이트
122 : 제2조인트 122a : 삽입홈
120 : 제2핑거조인트
120a : 제2핑거조인트의 베이스플레이트
130 : 제1관통공 130a : 제1관통공과 고정볼트사이의 틈새
132 : 제2관통공 134 : 결합공
136 : 고정볼트 136a : 고정볼트의 머리부
138 : 고정너트 140 : 확경부
142 : 고정부 150 : 고정플레이트
200 : 교량의 일측 상판 202 : 교량의 타측 상판

Claims (3)

  1. 판상의 베이스플레이트(110a) 타단에서 타측 방향으로 돌출성형되는 제1조인트(102)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이 제1조인트(102)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서 돌기부(102a)가 돌출형성된 제1핑거조인트(110)와, 판상의 베이스플레이트(110a) 일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성형되는 제2조인트(122)가 제1조인트(102)와 인접한 다른 제1조인트(102)사이로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이 제2조인트(122)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돌기부(102a)가 삽입되도록 삽입홈(122a)이 형성된 제2핑거조인트(120)를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에 있어서,
    교량의 일측 상판(200)과 타측 상판(202)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150)와;
    상기 제1핑거조인트(110)와 제2핑거조인트(120)의 베이스플레이트(110a) 하부면에 형성되며, 호형의 돌기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돌부(104a)와 호형의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홈부 중 어느 하나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회동부(104)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5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제1돌부(104a)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호형의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홈부(106a)와 제1홈부가 외측으로 삽입되도록 호형의 돌기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돌부 중 어느 하나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조정부(106)와;
    상기 교량 상판의 높낮이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기울기에 따라 조정부(106)에 삽입된 회동부(104)가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부(104)를 조정부(106)에 결합시키는 회동부(104)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104)의 결합수단은,
    상기 제1핑거조인트(110)와 제2핑거조인트(120)의 베이스플레이트(110a) 상부에서 회동부(104)의 제1돌부(104a) 또는 제1홈부 하부로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관통공(130)과;
    상기 제1관통공(130)과 수직으로 연통되도록 조정부(106)의 제2홈부(106a) 또는 제2돌부 하부로 관통형성되며, 제1관통공(13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제2관통공(132)과;
    상기 제1관통공(130)과 제2관통공(132)과 수직으로 연통되도록 고정플레이트(150)에 형성되며, 제1관통공(13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결합공(134)과;
    상기 제1관통공(130)을 경유하여 제2관통공(132)과 결합공(134)으로 삽입되는 고정볼트(136)와;
    상기 결합공(134)으로 삽입되어 하부로 관통되는 고정볼트(136)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130)의 내경 상부를 확경시켜 고정볼트(136)의 머리부(136a)가 삽입되게 하되, 확경된 내경의 하부와 확경된 내경면이 원호형 단면을 가지는 확경부(140)와;
    상기 고정볼트(136)의 머리부(136a) 하부에 형성되며, 제1관통공(130)에 삽입되었을 때, 확경부(140)의 원호형 단면에 밀착되어 미끄럼접촉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 고정부(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
KR1020170098296A 2017-08-02 2017-08-02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 KR20190014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296A KR20190014437A (ko) 2017-08-02 2017-08-02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296A KR20190014437A (ko) 2017-08-02 2017-08-02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437A true KR20190014437A (ko) 2019-02-12

Family

ID=65369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296A KR20190014437A (ko) 2017-08-02 2017-08-02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44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856A (ko) * 2019-06-26 2021-01-06 이하나 일단지지형으로 양단지지기능을 갖게한 교량용 핑거 신축이음장치
KR102248040B1 (ko) * 2020-10-16 2021-05-04 매이크앤 주식회사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KR102394411B1 (ko) * 2021-09-10 2022-05-06 포인텍이앤씨(주)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양단부 지지형 병렬 연결부재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856A (ko) * 2019-06-26 2021-01-06 이하나 일단지지형으로 양단지지기능을 갖게한 교량용 핑거 신축이음장치
KR102248040B1 (ko) * 2020-10-16 2021-05-04 매이크앤 주식회사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KR102394411B1 (ko) * 2021-09-10 2022-05-06 포인텍이앤씨(주)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양단부 지지형 병렬 연결부재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4437A (ko) 신축이음장치용 핑거조인트의 기울기 자동조정장치
CN101300155B (zh) 电缆支承装置
US8992103B2 (en) Dome camera
JP5276269B2 (ja) 関節を備えた床側面整列装置
RU2504620C2 (ru) Шарнирный узел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дорожное смотр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193143B1 (ko) 맨홀용 각도 및 높이 조절장치
JP5572174B2 (ja) モジュール型橋梁用伸縮装置
KR200392312Y1 (ko) 체결구
JP6438616B1 (ja) 雪庇予防材
EP3851585B1 (en) Prestressed cantilever including fixing module
KR20180112408A (ko) 교량용 신축이음쇠
JP4246595B2 (ja) アームレスト回動規制装置
KR101300690B1 (ko) 케이블 시스템의 편심 기능을 갖는 케이블 댐퍼
JP3597828B2 (ja)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US10619361B2 (en) Transition profile between flooring elements
JP2002516782A (ja) ロック装置
US20210031690A1 (en) Vehicle door mirror assembly
JP2006312841A (ja) 構造物移動制限用ストッパ装置
KR102583635B1 (ko)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가 포함된 교량받침
JP4263137B2 (ja) 室内照明灯
KR200354083Y1 (ko) 가설방음벽 설치용 포스트조인트의 회동 장치
KR100447750B1 (ko) 차량의 스트어링컬럼 틸트장치
KR102252075B1 (ko) 휀스
KR100535879B1 (ko) 스티어링 컬럼의 경사조절장치
JP2015068062A (ja) アンカ杭および建造物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