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7750B1 - 차량의 스트어링컬럼 틸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트어링컬럼 틸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750B1
KR100447750B1 KR10-2002-0028026A KR20020028026A KR100447750B1 KR 100447750 B1 KR100447750 B1 KR 100447750B1 KR 20020028026 A KR20020028026 A KR 20020028026A KR 100447750 B1 KR100447750 B1 KR 100447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lever
coupling
steering column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0045A (ko
Inventor
이병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8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750B1/ko
Publication of KR2003009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주행시 진동에 의한 틸트레버의 풀림을 방지하고, 스티어링컬럼의 틸트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스티어링컬럼 틸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스티어링컬럼 및 이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브래킷은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브래킷 내에 설치된다. 어저스트볼트는 마운팅브래킷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가이드슬롯을 통해 마운팅브래킷과 지지브래킷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되고, 이 어저스트볼트의 끝단에는 틸트레버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마운팅브래킷과 틸트레버 사이에는 틸트레버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는 레버스토퍼가 결합된다. 틸트레버는 단부의 일부가 돌출하여 형성된 제1결합부를 가지며, 제1결합부에는 일정직경의 결합공이 형성된다. 레버스토퍼는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가지며, 제2결합부에는 상기 결합공과 탄성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스토퍼에 의해 틸트레버의 비정상적인 회동을 일시적으로 구속할 수 있으므로 틸트레버의 자발적인 풀림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어저스트볼트의 피치설계의 자유도가 증가되어 스티어링컬럼의 틸트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스트어링컬럼 틸트장치{Apparatus for tilting the steering culumn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주행시 진동에 의한 틸트레버의 비정상적인 풀림현상을 방지하고, 동시에 관련부품들의 형상오차로 인한 스티어링컬럼의 틸트 작동성능 저하를 최소화하여, 스티어링컬럼의 틸트성능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스티어링컬럼 틸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되는 스티어링장치는 주행시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운전자가 직접 조작하는 스티어링휠과, 이의 조작력을 스티어링 기어 및 링크 등에 전달하기 위한 스티어링샤프트 및 스티어링컬럼과, 스티어링샤프트의 회전을 감속하여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기어장치 및 링크기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스티어링장치에는 스티어링컬럼의 위치를 상하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어링컬럼 틸트장치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스티어링휠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 1a는 종래의 일반적인 스티어링컬럼 틸트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섹션 방향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티어링컬럼 틸트장치(1)는 스티어링샤프트(26)가 내재된 스티어링컬럼(5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마운팅브래킷(20)의 외측에 장착된 틸트레버(30)의 회전에 의한 나사조임 또는 해제방식을 통하여 스티어링컬럼(50)의 상하이동을 가능케 하여 운전자가 스티어링휠(24)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를 도 1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티어링샤프트(26)를 감싸는 스티어링컬럼(50)의 하단부에는 지지브래킷(40)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브래킷(40) 및 스티어링컬럼(50)은 일정한 탄성을 가지며 상단부가 차체(10)에 고정된 'U'자 형상의 마운팅브래킷(20)에 의해 감싸지도록 설치된다.
즉, 마운팅브래킷(2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슬롯(22)의 외측으로부터 어저스트볼트(32)가 삽입되어 상기 마운팅브래킷(20) 및 지지브래킷(40)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이 어져스트볼트(32)의 일단에는 틸트레버(30)가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 1a에 표시된 틸트레버(30)의 최초 잠금상태(L)에서 스티어링컬럼(5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풀림상태(R)로 상기 틸트레버(30)를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틸트레버(30)가 어저스트볼트(32)와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지지브래킷(40)의 측면에 탄성 압착되어 있던마운팅브래킷(20)의 측면부가 원복되며 상기 지지브래킷(40)과 마운팅브래킷(20) 사이의 간극이 일정거리로 이격됨으로써 스티어링컬럼(50)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브래킷(4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운전자는 상기 스티어링휠(24)을 자신의 원하는 위치로 조절하고 다음, 상기 틸트레버(30)를 최초의 잠금위치(L)로 다시 회전시키게 되면, 다시 상기 마운팅브래킷(20)의 측면부가 탄성 압착되며 상기 지지브래킷(40)이 측면부에 단단히 밀착하며 고정됨에 따라 스팅어링컬럼(50)의 틸트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스티어링컬럼(50)의 틸트작업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래킷(20)과 지지브래킷(40) 사이의 간극(D)은 틸트레버(3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 그리고 어저스트볼트(32)의 나사피치(Pitch)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어진다.
여기서, 틸트레버(30)의 작동각 즉, 회전각은 상기 틸트레버(30)가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었을시 사용자의 레버조작에 대한 편의성과 관련되기 때문에 일정각도 이상 증가시킬 수 없으며, 결국 어저스트볼트(32)이 나사피치의 조절이 중요한 팩터(factor)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어저스트볼트(32)의 피치가 작게 설계되면, 틸트레버(30)의 체결력이 강화되어 잠금상태(L)에 있던 틸트레버(30)가 차량의 진동으로 인해 풀림상태(R)로 쉽게 풀리지 않지만, 반면, 틸트레버(30)의 회전시 어저스트볼트(32)의 축방향으로 진행되는 틸트레버(30)의 리드(Lead)가 작아지기 때문에, 마운팅브래킷(20)이 지지브래킷(40)에 견고하게 밀착되지 못하게 되거나 또는 완전하게 풀리지 못하게 되어 스티어링컬럼(50)의 틸트성능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이와 함께, 마운팅브래킷(20)이나 지지브래킷(40) 등의 상관부품들에 있어서, 평행도나 평탄도 불량 등과 같은 큰 외형오차가 있을 경우에도 간극(D)의 편차가 심해져서 상기 마운팅브래킷(20) 내에서 상기 지지브래킷(40)의 상하이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작동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어저스트볼트(32)의 나사피치를 크게 설계하는 것이 좋지만, 어저스트볼트(32)의 나사피치가 과도하게 증가되면 틸트레버(30)의 회전에 따른 리드가 증가하여 상기 마운팅브래킷(20)과 지지브래킷(40) 사이의 접촉력은 증가되지만, 차량의 주행시 전달되는 진동 및 틸트레버(30) 자중에 의한 모멘트(moment)로 인하여 틸트레버(30)가 쉽게 풀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일정크기 이상으로 나사피치를 증가시키는 데에는 많은 무리가 있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시 진동 및 자중에 의한 틸트레버의 비정상적인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컬럼 틸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저스트볼트의 나사피치 설계에 대한 설계자유도를 향상시켜 나사피치 증가에 따른 스티어링컬럼의 틸트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티어링컬럼 틸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틸트장치 상관부품들의 형상오차에 크게 영향을 받지않고서 스티어링컬럼의 틸트성능 향상시킬 수 있는 스티어링컬럼 틸트장치를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스티어링컬럼 틸트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컬럼 틸트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틸트레버 및 레버스토퍼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부분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레버스토퍼의 단면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브래킷과 레버스토퍼의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트레버와 레버스토퍼의 결합 및 해제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20 : 마운팅 브래킷
22a,22b : 가이드슬롯 26 : 스티어링샤프트
30 : 틸트레버 32 :어저스트볼트
33,62 : 제1 및 제2결합부 35 : 결합공
36 : 나사공 37,68 : 제1 및 제2경사부
40 : 지지브래킷 50 : 스티어링컬럼
60 : 레버스토퍼 63 : 관통공
64 : 결합돌기 66a,66b : 회전방지용 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컬럼 틸트장치는 양측면에 가이드슬롯을 가지며 차체에 고정되는 마운팅브래킷, 스티어링컬럼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마운팅브래킷 내에 설치되는 지지브래킷,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상기 스티어링컬럼 및 상기 지지브래킷과 함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슬롯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마운팅브래킷 및 상기 지지브래킷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설치되는 어저스트볼트, 상기 스티어링컬럼의 상하이동을 조절하 수 있도록 상기 어저스트볼트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고, 단부의 일부분이 외측으로 돌출하여 이루어진 제1결합부를 갖는 틸트레버, 및 중앙부에 몸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용 돌기를 갖는 관통공이 구비된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어저스트볼트에 끼워져 상기 마운팅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의 사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결합부와 탄성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하며 단부의 일부분이 외측으로 돌출하여 이루어진 제2결합부를 갖는 레버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에는 일정직경을 갖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결합공과 탄성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에는 상기 틸트레버의 회전시 상기 제2결합부의 상단이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탄성적으로 후퇴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 마련을 위하여 상기 제2결합부의 상단이 상기 마운팅브래킷의 외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소정의 경사부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용 돌기는 상기 틸트레버의 회전시 상기 레버스토퍼가 좌우로 연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가이드슬롯방향으로 일정거리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슬롯의 내측면에 걸릴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스토퍼의 결합돌기와 상기 틸트레버의 결합공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틸트레버가 상기 레버스토퍼에 일시적으로 구속되어, 주행시 차량의 진동으로 인한 틸트레버의 비정상적인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스토퍼에 의해 상기 틸트레버의 회동을 일시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어저스트볼트의 나사피치를 증가시켜도 상기 틸트레버가 쉽게 풀리지 않게되므로 나사피치 설계에 대한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틸트장치를 구성하는 상관부품들의 형상오차에도 크게 영향을 받지않고서 스티어링컬럼의 틸트성능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컬럼의 틸트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참조부호 중에서 종래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컬럼 틸트장치는 스티어링샤프트(26)를감싸는 스티어링컬럼(50)과, 상기 스티어링컬럼(50)의 하단에 고정되는 지지브래킷(40)과, 차체(10)에 고정되며 상기 스티어링컬럼(50) 및 지지브래킷(40)을 내부에서 지지하는 마운팅브래킷(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운팅브래킷(20) 및 상기 지지브래킷(4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어저스트볼트(32)와, 상기 어저스트볼트(32)의 일단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마운팅브래킷(20)과 상기 지지브래킷(40)사이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틸트레버(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틸트레버(30)와 상기 마운팅브래킷(2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틸트레버(30)의 회전력을 구속하기 위한 레버스토퍼(6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운팅브래킷(20)은 대략 'U'자 형상의 일정 탄성률을 갖는 탄성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상측의 양단부는 차체(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브래킷(20)의 양측면에는 후술되는 어저스트볼트(32)의 삽입을 가능케하고, 동시에 상기 삽입된 어저스트볼트(32)의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어저스트볼트(32)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슬롯(22a,22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티어링컬럼(50)은 스티어링휠(도시안됨)과 연결되는 스티어링샤프트(26)를 감싸고 있으며, 그 외주면 하단부에는 지지브래킷(40)이 용접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컬럼(50)에 고정된 상기 지지브래킷(40)은 어저스트볼트(32)를 통해 상기 마운팅브래킷(20) 내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저스트볼트(32)는 상기 일측 가이드슬롯(22a)에 횡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브래킷(40) 및 상기 마운팅브래킷(20)을 관통하도록 장착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슬롯(22b) 외측으로 나온 끝단부에는 레버스토퍼(60)와 함께 틸트레버(30)가 결합된다.
이때, 도면상에 참조부호를 통해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지브래킷(40)의 양 측면에는 상기 어저스트볼트(32)가 끼워져 결합되는 별도의 조립공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틸트레버(30) 및 레버스토퍼(6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틸트레버(30)는 그 회전 중심부에 어저스트볼트(32)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공(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공(36) 주변의 단부 일측에는 후술되는 레버스토퍼(60)의 제2결합부(62)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단부의 일측이 연장되며 부분적으로 돌출하여 이루어진 제1결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틸트레버(30)는 상기 어저스트볼트(32)에 끼워지는 상기 나사공(36)주변부가 측면 일측으로 돌출된 플랜지 타입을 형성하고 있지만, 이 밖에 일반적인 너트(nut)에 바아(bar)가 일체로 결합된 너트타입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33)에는 도면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Y)을 향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진 제1경사부(37)가 설정되어 있으며, 이 제1경사부(37)를 중심으로 상기 제1결합부(33)의 상부에는 일정직경을 갖는 결합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경사부(37)는 틸트레버(30)와 레버스토퍼(60)와의 원활한 작동성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틸트레버(30)의 작동시 상기 제2결합부(62)가 상기 제1결합부(33)로부터 탄성 후퇴가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와는 달리 상기 제2결합부(62)의 폭을 상기 가이드슬롯(22b)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게 되면, 상기 틸트레버(30)의 작동시 상기 제2결합부(62)가 상기 가이드슬롯(22b) 내부로 탄성 후퇴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33,62)에 별도의 경사부를 설정하지 않아도 상기와 동일한 작동성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틸트레버(30)와 밀착되도록 레버스토퍼(60)가 어저스트볼트(32)에 끼워져 장착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레버스토퍼(60)의 C-C'방향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레버스토퍼(60)는 상기 틸트레버(30)와의 탄성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탄성률을 갖는 탄성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레버스토퍼(60)의 중앙부에 상기 어저스트볼트(3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직경을 갖는 관통공(6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63)의 내부 상,하측에는 도 2의 가이드슬롯(22b)에 방향으로 일정거리 돌출된 회전방지용 돌기(66a,66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스토퍼(60)에는 상기 틸트레버(30)의 제1결합부(33)와 대응하여 상단의 일부분이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된 제2결합부(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2결합부(62)에는 상기 제1결합부(33)의 제1경사부(37)와 대응하는 제2경사부(68)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경사부(68)를 중심으로 하여 상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33)의 결합공(35)과 탄성적으로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되는 반구형상의 결합돌기(64)가 형성되어있다.
한편, 도 5는 도 2의 B-B'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로서, 가이드슬롯(22b)에 지지되는 회전방지용 돌기(66)에 의하여 레버스토퍼(60)의 좌우회동이 방지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버스토퍼(60)는 관통공(63)을 통해 어저스트볼트(3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임이 구속되고, 또한 가이드슬롯(32b)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끼워진 회전방지용 돌기(66a,66b)에 의해 좌우로의 회동이 구속된다.
이때, 상기 레버스토퍼(60)의 회동을 적절히 구속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방지용 돌기(66a,66b)의 폭을 상기 가이드슬롯(22b)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하여, 상기 가이드슬롯(22b) 내에 상기 회전방지용 돌기(66a,66b)가 걸려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용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틸트레버(30)와 레버스토퍼(60)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틸트레버(30)가 잠금(L)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사용자가 풀림(R) 방향으로 상기 틸트레버(30)에 일정한 힘을 가하게 되면, 제2결합부(62)의 결합돌기(64)와 결합되어 있던 제1결합부(33)의 결합공(35)이 상기 결합돌기(64)에 측방향의 힘을 가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결합공(35)을 통해 결합돌기(64)에 측면힘이 작용되면, 상기 결합돌기(64)는 상기 결합공(35)과의 계속적인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결합부(62)가 지닌 탄성에 의해 상기 결합공(35)으로부터 일시적으로 탄성 후퇴되며 분리된다.
이후 상기 결합공(35)과 완전히 분리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제1결합부(33)와 상기 제2결합부(62)와의 결합해제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틸트레버(30)가 상기 레버스토퍼(60)로부터의 구속을 벋어나서 정상적인 회전가능 상태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공(35)과 결합돌기(64)와의 분리과정에서 요구되는 힘 만큼의 일정한 토크가 상기 틸트레버(30)에 인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시 전달되는 진동과 틸트레버(30) 자체의 자중에 의해 인하여 운전자의 불식중에 틸트레버(30)가 비정상적으로 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틸트장치에 상기와 같은 틸트레버(30)의 보조적 풀림방지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틸트레버(30)의 회전을 강제로 구속시킬 수 있게 되어 일정한도 내에서 어저스트볼트(32)의 나사피치 증가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어저스트볼트(32)의 나사피치 확대로 인하여 틸트레버(30)의 작동시 마운팅브래킷(20)와 지지브래킷(40) 사이의 간극을 보다 확대시킴으로써 서로 간섭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브래킷(20) 이나 지지브래킷(40) 등의 상관부품들의 평행도 및 평탄도 등의 오차에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스티어링컬럼의 틸트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스토퍼를 통해 틸트레버의 비정상적인 회동을 강제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틸트레버의 풀림에 의한 탑승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트레버와 상기 레버스토퍼의 결합수단으로서 결합공 및 결합돌기의 간단한 결합구조를 채용하여 별도의 복잡한 장치구성 없이도 요구되는 작동성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부품제조가 용이하고 동시에 제조에 따른 부품원가의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스토퍼에 회전방지용 돌기를 형성하여 가이드슬롯의 좌우 내측면에 걸려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틸트레버의 작동시 레버스토퍼가 상기 틸트레버와 함께 좌우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에 형성된 경사부에 의하여, 틸트레버의 작동시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탄성 후퇴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어 틸트레버의 원할한 작동이 가능하다.
상기와는 별도로, 상기 제2결합부의 폭을 상기 가이드슬롯의 폭보다 작게 형성할 경우, 틸트레버의 작동시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가이드슬롯 내로 탄성 후퇴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에 경사부를 형성하지 않고서도 동일한 틸트레버의 작동성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스토퍼에 의해 상기 틸트레버의 자발적인 풀림이 방지됨에 따라, 종래에 문제시 되었던 어저스트볼트의 피치설계에 대한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상관부품들의 형상오차에 의한 스티어링컬럼의 틸트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양측면에 가이드슬롯을 가지며 차체에 고정되는 마운팅브래킷;
    스티어링컬럼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마운팅브래킷 내에 설치되는 지지브래킷;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상기 스티어링컬럼 및 상기 지지브래킷과 함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슬롯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마운팅브래킷 및 상기 지지브래킷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설치되는 어저스트볼트;
    상기 스티어링컬럼의 상하이동을 조절하 수 있도록 상기 어저스트볼트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고, 단부의 일부분이 외측으로 돌출하여 이루어진 제1결합부를 갖는 틸트레버; 및
    중앙부에 몸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이 회전방지수단을 갖는 관통공이 구비된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어저스트볼트에 끼워져 상기 마운팅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의 사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결합부와 탄성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하며 단부의 일부분이 외측으로 돌출하여 이루어진 제2결합부를 갖는 레버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컬럼 틸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에는 일정직경을 갖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결합공과 탄성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컬럼 틸트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틸트레버의 회전시 상기 레버스토퍼가 좌우로 연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가이드슬롯방향으로 일정거리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슬롯의 내측면에 걸릴 수 있도록 된 회전방지용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컬럼 틸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에는 상기 틸트레버의 회전시 상기 제2결합부의 상단부가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탄성적으로 후퇴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 마련을 위하여, 상기 제2결합부의 상단부가 상기 마운팅브래킷의 외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소정의 경사부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이 스티어링컬럼 틸트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스토퍼의 제2결합부의 폭은 상기 가이드슬롯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컬럼 틸팅장치.
KR10-2002-0028026A 2002-05-21 2002-05-21 차량의 스트어링컬럼 틸트장치 KR100447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026A KR100447750B1 (ko) 2002-05-21 2002-05-21 차량의 스트어링컬럼 틸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026A KR100447750B1 (ko) 2002-05-21 2002-05-21 차량의 스트어링컬럼 틸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045A KR20030090045A (ko) 2003-11-28
KR100447750B1 true KR100447750B1 (ko) 2004-09-08

Family

ID=3238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026A KR100447750B1 (ko) 2002-05-21 2002-05-21 차량의 스트어링컬럼 틸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7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683B1 (ko) 2011-12-09 201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틸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111B1 (ko) * 2002-08-20 2005-08-18 남양공업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위치조정장치
KR101326832B1 (ko) * 2011-11-21 2013-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틸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2238A (ja) * 1991-03-13 1993-10-12 Yamada Seisakusho Kk チルト・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装置
KR970069763A (ko) * 1996-04-30 1997-11-07 정몽원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장치
KR19980049931A (ko) * 1996-12-20 1998-09-15 박병재 자동차 스티어링 휠의 틸팅장치
KR19990025172A (ko) * 1997-09-11 1999-04-06 오상수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와 텔리스코픽 구조
KR20020032111A (ko) * 2000-10-25 2002-05-03 이계안 자동차의 스티어링컬럼 틸팅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2238A (ja) * 1991-03-13 1993-10-12 Yamada Seisakusho Kk チルト・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装置
KR970069763A (ko) * 1996-04-30 1997-11-07 정몽원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장치
KR19980049931A (ko) * 1996-12-20 1998-09-15 박병재 자동차 스티어링 휠의 틸팅장치
KR19990025172A (ko) * 1997-09-11 1999-04-06 오상수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와 텔리스코픽 구조
KR20020032111A (ko) * 2000-10-25 2002-05-03 이계안 자동차의 스티어링컬럼 틸팅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683B1 (ko) 2011-12-09 201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틸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045A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4757B2 (en) Steering column energy absorbing rake lock
US6623036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a vehicle
US8783717B2 (en) Steering column telescope lock
US9108673B2 (en) Crash release mechanism for automotive steering column
KR100741446B1 (ko) 자동차용 시트 경사 조절 장치
WO2010122958A1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位置調節装置
KR100599483B1 (ko) 스티어링 컬럼의 팝업 방지 구조
US5531317A (en) Tilt-type steering column device
US7798037B2 (en) Wedge arm positive rake lock
JP5086724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00447750B1 (ko) 차량의 스트어링컬럼 틸트장치
JP2005014681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8376404B2 (en) Integrated tooth rake lock for steering column
JP2005138825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4258274B2 (ja) 車両用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CN115107855A (zh) 操舵装置
JP2010076690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13047060A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026119B1 (ko)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
KR100527899B1 (ko) 스티어링 컬럼의 경사조절장치
KR100535879B1 (ko) 스티어링 컬럼의 경사조절장치
KR100525199B1 (ko) 스티어링 컬럼의 경사조절장치
KR100805405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100502510B1 (ko) 스티어링 컬럼의 경사조절장치
KR0129289Y1 (ko) 조향축의 각도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