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272B1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 - Google Patents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2272B1 KR101702272B1 KR1020160174958A KR20160174958A KR101702272B1 KR 101702272 B1 KR101702272 B1 KR 101702272B1 KR 1020160174958 A KR1020160174958 A KR 1020160174958A KR 20160174958 A KR20160174958 A KR 20160174958A KR 101702272 B1 KR101702272 B1 KR 1017022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finger plate
- finger
- bridge
- expansion joi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 일단에 고정관을 고정하고, 핑거플레이트의 일측 저면에 상기 고정관에 삽입되는 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핑거플레이트에 고정력을 발휘하는 앵커볼트가 파단 또는 풀렸을 경우에 발생하는 이상 소리에 의해 관리자가 발견하기 전까지 받침부의 저면에 돌출된 지지부에 의해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임의 탈락을 지연시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탈락에 의한 2차 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교량의 이웃하는 상판들의 일단 각각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판들 사이의 간격을 보상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상판 일단에는 파이프 형상의 고정관(400)이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30)는 상판 일단에 안착되고 일측에 복수의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312)이 형성되는 받침부(310)와; 상기 받침부(3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핑거부(320); 및 상기 받침부(310)의 타측 저면에 구성되고 상기 고정관(40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관(400)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교량의 이웃하는 상판들의 일단 각각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판들 사이의 간격을 보상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상판 일단에는 파이프 형상의 고정관(400)이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30)는 상판 일단에 안착되고 일측에 복수의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312)이 형성되는 받침부(310)와; 상기 받침부(3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핑거부(320); 및 상기 받침부(310)의 타측 저면에 구성되고 상기 고정관(40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관(400)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 일단에 고정관을 고정하고, 핑거플레이트의 일측 저면에 상기 고정관에 삽입되는 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핑거플레이트에 고정력을 발휘하는 앵커볼트가 파단 또는 풀렸을 경우에 발생하는 이상 소리에 의해 관리자가 발견하기 전까지 받침부의 저면에 돌출된 지지부에 의해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임의 탈락을 지연시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탈락에 의한 2차 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상판 양측 단부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장치이다.
상기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핑거형 상판과 하판부 및 U형 고무배수판으로 구성되며 한쌍의 하판 하면에 루프형 보강철근이 부착되고 조인트 유간부에 U형 고무 배수판이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서 하판부의 설치는 각각의 하판부를 조인트에 독립적으로 각각 설치하고, 양측 하판부간의 높이와 평탄성을 서로 조절하도록 되어 있어, 설치작업이 어렵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평탄성을 확보하기가 쉽지않다. 또한 이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신축이음장치의 측면에서 밀어넣어 시공하여야 하는 관계로, 하판측면부와 떨어진 단부는 콘크리트가 충실하게 충전되지 않아 공극이 발생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안정적인 지지에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하단 측면부 부근의 콘크리트 접합면에 공극이 발생될 경우,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의 하중에 대하여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이룰 수 없으므로 하중의 편심이 발생 신축이음장치가 침하 또는 부분적인 뒤틀림으로 통과차량의 안전에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종래의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내부에 U형 고무배수판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U형 고무배수판은 일정시간 경과시, 배수 및 오물이 적체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U형 고무배수판은 강판과 고무판이 연결된 구조로 현장에서의 횡방향상의 연결설치작업이 복잡하고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자갈 등의 단단한 이물질이 U형 고무배수판에 적치될 경우 신축기능 자체가 불가하게 되므로 구조물에 안정과 내구성에 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종래의 교량 신축이음장치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 제1411895호의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상판의 조인트부 또는 손상된 신축이음장치를 철거한 교량 상판의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교량 상판의 조인트부에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는 제1,2하판부(10)(10')와, 상기 제1,2하판부(10)(10')의 가로지지판(11) 하부에 연직되도록 설치되고 교량 상판에 접촉지지되는 지지볼트(21)가 하단에 설치된 수평조절부(20)와, 상기 제1,2하판부(10)(10')의 가로지지판(11)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서로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제1,2핑거플레이트(30)(30')와, 상기 제1,2핑거플레이트(30)(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압축되어 끼움설치되는 탄성간격재(40)를 포함하되, 상기 제1,2하판부(10)(10')에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타설구(12)가 구비되고, 상기 제1,2핑거플레이트(30)(30')의 상부면에는 제1,2하판부(10)(10')의 상단측면판(13)과 동일 높이를 구비하도록 핑거부 끝단에 테두리 강판(32)이 돌출되어, 테두리강판(32)과 제1,2하판부(10)(10')의 상단측면부(13) 사이에 탄성포장재나 몰탈(80)이 타설되어 차바퀴의 접지에 의한 진동소음을 방지하도록 소정깊이를 구비하는 타설홈(31)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구조적 특성 및 외부환경 등에 의해 교량의 상판에서 핑거플레이트가 파손 또는 설치위치에서 탈락되어 상기 교량을 통행하는 차량의 사고를 유발하는 2차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을 통행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나, 바람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작용하는 진동 등에 의해 교량에는 항시 진동 또는 충격 등이 작용하고, 이러한 진동 또는 충격이 교량 상판들 사이를 연결하는 핑거플레이트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도 3의 (a) 내지 (d)와 같이, 핑거플레이트를 체결한 앵커볼트의 판단시키거나 또는 체결된 앵커볼트가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풀려진다.
또한, 도 3과 같이, 교량의 상판에 핑거플레이트의 탈락된 위치로 차량이 지나갈 경우, 차량의 바퀴가 찢어짐 등에 의한 파손 등으로 차량의 2차 사고발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판 일단에 고정관을 고정하고, 핑거플레이트의 일측 저면에 상기 고정관에 삽입되는 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핑거플레이트에 고정력을 발휘하는 앵커볼트가 파단 또는 풀렸을 경우에 발생하는 이상 소리에 의해 관리자가 발견하기 전까지 받침부의 저면에 돌출된 지지부에 의해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임의 탈락을 지연시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탈락에 의한 2차 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의 이웃하는 상판들의 일단 각각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판들 사이의 간격을 보상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상판 일단에는 파이프 형상의 고정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상판 일단에 안착되고 일측에 복수의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핑거부; 및 상기 받침부의 타측 저면에 구성되고 상기 고정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 일단에 고정관을 고정하고, 핑거플레이트의 일측 저면에 상기 고정관에 삽입되는 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핑거플레이트에 고정력을 발휘하는 앵커볼트가 파단 또는 풀렸을 경우에 발생하는 이상 소리에 의해 관리자가 발견하기 전까지 받침부의 저면에 돌출된 지지부에 의해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임의 탈락을 지연시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탈락에 의한 2차 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시공상태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교량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불량사례의 실제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플레이트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플레이트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플레이트의 설치상태 측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시공상태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교량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불량사례의 실제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플레이트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플레이트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플레이트의 설치상태 측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핑거 플레이트(3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상판에 안착되는 받침부(310)와, 상기 받침부(310)의 일측에 구성되고 다수의 핑거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핑거부(320), 및 상기 받침부(310)의 저면에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핑거부(320)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지지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310)는 상기 교량의 상판에 안착되어 복수의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 상판에 고정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받침부(310)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312)이 형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310)의 일측에 복수의 삽입공(3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312)들 사이 공간에 받침부(310)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330)가 구성되는 형태이다.
상기 핑거부(320)는 상기 받침부(310)의 일측에 구성되어 대칭되는 방향에 구성된 한 조를 이루는 타방의 핑거플레이트(30)의 핑거부(320)에 형성된 핑거와 교호되게 구성되어 상판의 연결부위 간격을 보상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핑거부(320)는 사용목적 및 설치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받침부(310)의 저면에서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판에 구성되는 고정관(40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앵커볼트의 파손 또는 기타 이유로 고정력이 상실될 경우 상기 핑거플레이트(3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는 2차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받침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330)는 원형의 파이프 또는 각 파이프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속인 채워진 봉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받침부(310)에 용접에 의한 융착으로 고정되도록 금속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교량의 상판에는 받침부(310)의 저면에 돌출된 지지부(330)가 삽입되는 고정관(400)이 상판에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관(400)은 상판의 일단 즉, 핑거플레이트(30)의 설치공간에 구성된 철근 또는 구조물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관(400)은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져, 용접에 의한 융착으로 철근 또는 구조물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상판에 핑거플레이트(30)를 안착시켜 고정한 후 설치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판에 콘크리트 타설 후 핑거플레이트(3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작업 현장 또는 작업의 편의성에 따라 다양한 작업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핑거플레이트(30)의 지지부(330)는 상판의 철근 또는 구조물에 고정된 고정관(40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고정관(400)은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의 작용상태를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량의 상판 일단에 핑거플레이트(30)를 위치시킨다. 이 경우, 상판의 일단에 고정된 고정관(400)에 상기 핑거플레이트(30)의 지지부(330)가 삽입되도록 조립한다.
이어서, 상기 핑거플레이트(30)의 받침부(310)에 형성된 삽입공(312)을 통해 앵커볼트로 상기 상판에 핑거플레이트(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고정한다.
또한, 대응되게 구성되는 타방의 상판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핑거플레이트(30)를 고정한다. 이때, 상호 대응되는 핑거플레이트(30)들의 핑거부(320)의 핑거가 교호되게 위치됨으로써, 상판들의 간격을 보상하여 차량의 통행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상판에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상기 상판에 안착된 핑거플레이트(30)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판에 핑거플레이트(310)를 고정하면, 상기 받침부(310)의 삽입공(312)을 통해 체결된 앵커볼트에 의해 1차 고정력을 발휘하게 되고, 또한, 받침부(310)의 저면에 구성되어 상판에 고정된 고정관(400)에 삽입된 지지부(330)에 의해 2차 고정력이 발휘함으로써, 상판에 대하여 핑거플레이트(30)의 고정력이 향상된다.
한편, 장시간 사용으로, 차량의 통행 또는 외부환경 등에 의해 앵커볼트가 풀려지거나 또는 파단될 경우, 핑거플레이트(30)가 상판에서 탈락될 상황이 발생할 수 있지만, 상기 받침부(310)의 저면에서 돌출된 돌출길이를 가진 지지부(330)가 고정관(40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핑거플레이트(30)의 탈락을 지연시키게 된다.
즉, 일정길이를 가진 지지부(330)가 고정관(400)에 삽입된 상태임으로써, 상기 지지부(330)의 중심선 상의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330)의 길이만큼 핑거플레이트(30)가 들어 올려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핑거플레이트(30)의 위치가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교량 등을 통행하는 관리자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부분을 통행하면서 발생하는 소리에 의해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상기 핑거플레이트(30)의 앵커볼트가 파단 또는 풀림에 의해 발생한 이상 소리를 통해 긴급 유지보수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핑거플레이트(30)의 1차 고정력을 발휘하는 앵커볼트가 파단 또는 풀렸을 경우에 발생하는 이상 소리에 의해 관리자가 발견하기 전까지 받침부(310)의 저면에 돌출된 지지부(330)에 의해 상기 핑거플레이트(30)의 임의 탈락을 지연시킴으로써, 상기 핑거플레이트(30)의 탈락에 의한 2차 사고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0: 핑거플레이트 310: 받침부
312: 삽입공 320: 핑거부
330: 지지부 400: 고정관
312: 삽입공 320: 핑거부
330: 지지부 400: 고정관
Claims (1)
- 교량의 이웃하는 상판들의 일단 각각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판들 사이의 간격을 보상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상판 일단에는 파이프 형상의 고정관(400)이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되고;
상기 핑거플레이트(30)는 상판 일단에 안착되고 일측에 복수의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312)이 형성되는 받침부(310)와;
상기 받침부(3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핑거부(320); 및
상기 받침부(310)의 타측 저면에 구성되고 상기 고정관(40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관(400)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4958A KR101702272B1 (ko) | 2016-12-20 | 2016-12-20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4958A KR101702272B1 (ko) | 2016-12-20 | 2016-12-20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5571 Division | 2016-02-1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2272B1 true KR101702272B1 (ko) | 2017-02-03 |
Family
ID=5815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4958A KR101702272B1 (ko) | 2016-12-20 | 2016-12-20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2272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2014B1 (ko) * | 2020-09-15 | 2021-02-05 | (주)디에스엘 | 핑거 플레이트의 이탈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교량용 핑거 조인트 |
KR102248040B1 (ko) * | 2020-10-16 | 2021-05-04 | 매이크앤 주식회사 |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
KR102253508B1 (ko) | 2020-09-24 | 2021-05-18 | 주식회사 리얼테크 | 신축이음장치 |
KR20210100343A (ko) | 2020-02-06 | 2021-08-17 | 매크로드 주식회사 | 핑거플레이트 이탈 방지 장치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
CN115198577A (zh) * | 2022-06-01 | 2022-10-18 | 中铁工程设计咨询集团有限公司 | 一种跨座式单轨指形板系统及其施工方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99585A (ja) * | 1995-01-25 | 1996-08-06 | Katsumura Kensetsu Kk | 斜面安定工法 |
JP2003184180A (ja) * | 2001-12-14 | 2003-07-03 | Ohmoto Gumi Co Ltd | 柱脚の定着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柱脚の定着部 |
KR100552110B1 (ko) | 2005-05-30 | 2006-02-13 | (주)신광건설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사교용 신축 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
KR101365436B1 (ko) * | 2012-11-22 | 2014-02-19 |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
KR101411895B1 (ko) | 2012-06-13 | 2014-06-26 | 김남훈 |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그 시공방법 |
KR20150145484A (ko) | 2014-06-19 | 2015-12-30 |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 신축이음장치용 단차 및 유간세팅장치 |
-
2016
- 2016-12-20 KR KR1020160174958A patent/KR1017022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99585A (ja) * | 1995-01-25 | 1996-08-06 | Katsumura Kensetsu Kk | 斜面安定工法 |
JP2003184180A (ja) * | 2001-12-14 | 2003-07-03 | Ohmoto Gumi Co Ltd | 柱脚の定着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柱脚の定着部 |
KR100552110B1 (ko) | 2005-05-30 | 2006-02-13 | (주)신광건설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사교용 신축 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
KR101411895B1 (ko) | 2012-06-13 | 2014-06-26 | 김남훈 |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그 시공방법 |
KR101365436B1 (ko) * | 2012-11-22 | 2014-02-19 |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
KR20150145484A (ko) | 2014-06-19 | 2015-12-30 |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 신축이음장치용 단차 및 유간세팅장치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0343A (ko) | 2020-02-06 | 2021-08-17 | 매크로드 주식회사 | 핑거플레이트 이탈 방지 장치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
KR102399670B1 (ko) | 2020-02-06 | 2022-05-19 | 매크로드 주식회사 | 핑거플레이트 이탈 방지 장치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
KR102212014B1 (ko) * | 2020-09-15 | 2021-02-05 | (주)디에스엘 | 핑거 플레이트의 이탈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교량용 핑거 조인트 |
KR102253508B1 (ko) | 2020-09-24 | 2021-05-18 | 주식회사 리얼테크 | 신축이음장치 |
KR102248040B1 (ko) * | 2020-10-16 | 2021-05-04 | 매이크앤 주식회사 | 볼트 풀림에 의한 강판 이탈 방지 교량이음장치 |
CN115198577A (zh) * | 2022-06-01 | 2022-10-18 | 中铁工程设计咨询集团有限公司 | 一种跨座式单轨指形板系统及其施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2272B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 | |
KR101411895B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그 시공방법 | |
JP5193221B2 (ja) | 構造部材のためのカバーアセンブリ | |
KR100680180B1 (ko) | 교좌장치 | |
JP4823937B2 (ja) | 落橋防止構造 | |
KR101564721B1 (ko) |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 |
FR2848581A1 (fr) | Systeme pour transferer les charges entre des dalles coulees en place | |
KR101784721B1 (ko) |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080492B1 (ko) |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 |
KR102054709B1 (ko) | 보도확장로 | |
JP7093942B2 (ja) | 連結構造体 | |
JP6326389B2 (ja) | 橋梁の変位制限装置 | |
JP2006233498A (ja) | 落橋防止装置 | |
JP6068243B2 (ja) | 道路用伸縮継手 | |
KR200479787Y1 (ko) | 시스템 동바리 유헤드 고정 장치 | |
KR101193470B1 (ko) | 교량받침 및 교량의 시공방법 | |
CN206736706U (zh) | 一种混凝土现浇桥梁防落梁装置 | |
JP6286737B2 (ja) | 床版パネルの固定構造 | |
KR20200072986A (ko) | 단부확장 돌출플랜지와 받침 콘크리트 블럭을 갖는 강거더 및 이를 이용한 무조인트교량 시공방법 | |
JP2020007872A (ja) | 吊り天井の補強構造 | |
JP3197281U (ja) | 道路用伸縮継手 | |
KR101383680B1 (ko) | 교량의 신축이음 시공장치 | |
JP6473426B2 (ja) | 落橋防止構造 | |
JP2019108657A (ja) | 連結構造体 | |
JP6586305B2 (ja) | 既設橋梁の架替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09 Year of fee payment: 4 |